KR20060022954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954A
KR20060022954A KR1020040071756A KR20040071756A KR20060022954A KR 20060022954 A KR20060022954 A KR 20060022954A KR 1020040071756 A KR1020040071756 A KR 1020040071756A KR 20040071756 A KR20040071756 A KR 20040071756A KR 20060022954 A KR20060022954 A KR 2006002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air
filter assembly
dus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2954A/ko
Publication of KR2006002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18Impermeable dust collect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의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청소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서 제공된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킨 후에 토출시키고, 상면에 개방부(opening)가 형성된 집진통(dust collecting box);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고 상기 공기를 상측으로 토출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외주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메쉬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진공청소기, 필터어셈블리, 메쉬망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어셈블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집진 어셈블리 110 : 집진통
112 : 흡입 가이드 120 : 분리판
130 : 손잡이 142 : 개방부
150 : 필터 어셈블리 152 : 필터
200 : 메쉬망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향상된 집진 어셈블리를 갖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실내 바닥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 를 제거한 후 공기만을 다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청소기는 본체(1)와 흡입노즐(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 바닥의 공기는 상기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는 하부 몸체(5)와 상부 몸체(6)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몸체(5)의 내부에는 흡입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몸체(6)의 내부에는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1)의 하부 양측면에는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8a)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의 사이에는 흡입호스(3b), 조작부(4), 그리고 연장관(3a)이 제공된다. 상기 흡입호스(3b)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부(4)는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3a)은 상기 흡입호스(3b)와 흡입노즐(2)의 사이를 연통시킨다.
전선(9)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4)의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본체에 내장된 흡입수단으로부터 적당한 흡입력이 발생된다. 상기 흡입력은 상기 흡입호스(3b), 조작부(4), 그리고 연장관(3a)을 순차적으로 지나서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노즐(2)을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dust-laden air)가 흡입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중의 먼지는 집진통(10)에 구비된 필터(미도시)에서 분리되고, 상기 공기만 상기 토출부(8a)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의 바닥의 청소가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종래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및 필터를 청소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작동이 끝난 후 상기 집진통 및 필터를 청소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둘째, 상기 진공청소기에 내장되는 필터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필터의 교체 및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한 집진 어셈블리를 갖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서 제공된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킨 후에 토출시키고, 상면에 개방부(opening)가 형성된 집진통(dust collecting box);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고 상기 공기를 상측으로 토출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외주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메쉬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 어셈블리(100)는 집진통(110), 필터 어셈블리(150), 하면 커버(180), 그리고 메쉬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가 흡입노즐을 통하여 상기 집진 어셈블리(100)로 흡입된다.
상기 집진통(110)은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고, 그의 측면에는 상기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가이드(1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가이드(112)의 일단은 상기 집진통(110)의 외면에 비스듬하게 돌출되고, 상기 흡입가이드(1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110)의 내면을 따라서 접선방향으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통(110)의 내측면에는 분리판(120)이 장착되고, 상기 분리판(120)의 일측에는 홀(12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먼지는 상기 홀(120a)을 통하여 분리판(120)의 하측으로 떨어진다.
상기 집진통(110)을 본체로부터 착탈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30)가 제공되고, 상기 집진통(110)의 상면(140)의 중앙부에는 개방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142)의 테두리에는 필터 어셈블리(150)가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는 상측 고정부(156), 하측 고정부(154), 그리고 필터(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측 고정부(156)는 중앙부에 공기 토출구(156a, discharging hole)가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부(142)의 상면 테두리에 로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방부(142)의 테두리는 상기 상측 고정부(156)가 로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측 고정부(154)는 상기 상측 고정부(156)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공된다. 상기 상측 고정부(156)와 하측 고정부(154)의 사이에는 필터(152)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152)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공기의 토출유로(152a)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 고정부(156)는 상기 하측 고정부(154)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하측 고정부(154) 및 필터(152)는 상기 개방부(142)를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상측 고정부(156)의 중앙에는 상기 토출유로(152a)를 통하여 안내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56a)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56a)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토출가이드(156b)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가이드(156b)는 상기 토출구(156a)를 청소기의 본체에 형성되는 토출부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집진통(110) 상면의 일측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로딩부(146)가 형 성된다. 상기 로딩부(146)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를 집진통(1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돌출편(156')과 레버(1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156')은 상기 상측 고정부(156)의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레버(148)는 상기 집진통(110) 상면에 장착된 힌지(148)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돌출편(156')을 선택적으로 구속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148)에 의하여 상기 돌출편(156')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상측 고정부(156)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를 상기 집진통(110)으로부터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158)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손잡이들(158)이 토출구(156a)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레버(148)를 회전시켜 상기 돌출편(156')을 해제한 후, 상기 손잡이(158)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가 상기 집진통(110)의 개방부(142)로부터 분리된다. 반면에,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를 고정할 때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를 상기 개방부(142)에 삽입한 후 상기 레버(148)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돌출편(156')은 상기 레버(148)에 의하여 구속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필터(152)는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고정부(154)와 하측 고정부(156)의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152)는 내구성이 좋고 세척이 가능한 섬유성(fibrous)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필터(152)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필터(15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주름들이 형성됨으로써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고, 집진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필터(152)의 내측에는 토출유로(152a)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유로(152a)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구(156a)를 통하여 상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고정부들(154,156)의 사이에서 상기 필터(152)를 원통 형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측 및 하측 고정부들(154,156)을 연결하고 상기 필터(152)를 지지하는 수단이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하는 수단은 상기 고정부들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리브들로 이루어지거나, 다수개의 홀들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의 외주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메쉬망(20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메쉬망(200)은 공기 중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필터링한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200)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의 하측으로부터 씌워지도록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주머니 형상의 메쉬망(200)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의 외주면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메쉬망(200)은 나일론(Nylon) 또는 폴리 에스테르(Polyester) 등과 같은 합성섬유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쉬망(200)은 일정수준 이상의 탄력성을 가지므로 파손될 위험이 적고, 청소기의 사용이 끝난 후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에서 분해 한 후 세탁할 수 있다.
상기 메쉬망(200)은 상기 집진 어셈블리(100)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입자 중에 상대적으로 큰 것을 포집하므로, 상기 메쉬망(200)을 통과한 공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먼지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152)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먼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상기 필터(152)의 수명을 증가시키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200)에 형성된 체눈의 크기를 나누는 척도로서 테일러(Tyler)의 기준에 의한 메쉬(mesh) 단위가 사용된다. 상기 메쉬는 1 제곱 인치(in2) 내에 포함된 체눈의 수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쉬망(200)은 230-270 메쉬를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쉬망(200)은 1 제곱 인치 당 230~270 개의 체눈을 가진다. 상기 메쉬가 너무 크면 체눈의 크기가 작아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메쉬망을 통과하기 어렵고, 상기 메쉬가 너무 작으면 체눈의 크기가 커서 먼지입자가 거의 모두 통과한다.
따라서, 원하는 수준의 먼지 필터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상기 메쉬망(200)은 240-260 메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메쉬에서는 사용자가 일정기간 청소기를 사용하는 동안 상대적으로 큰 먼지입자는 매쉬망(200)에 의하여 포집되거나 상기 매쉬망(200)에 부딪힌 후 아래로 낙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의 표면에 먼지 입자들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쉬망(200)의 상단에는 상기 메쉬망(200)을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의 상측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210)가 구비된다.
상기 메쉬망(200)과 필터 어셈블리(150)의 접촉부분에는 먼지 등이 새어들어 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메쉬망(200)을 필터 어셈블리(150)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밀착부재(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200)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로부터 탈착하기 위하여, 상기 밀착부재(210)는 고무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의 사용이 끝난 후에 필터 어셈블리(150)를 분해하고, 상기 메쉬망(20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메쉬망(200)을 세탁한 후 다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 및 메쉬망(200)을 조립하고 청소를 수행하면 청소 성능이 오랜기간 유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통(110)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하면은 하면 커버(18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하면 커버(180)는 상기 집진통(110)의 하부에 제공된 커버 힌지(18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커버 힌지(182)의 타측에는 상기 하면 커버(18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locking assembly가 제공된다.
상기 locking assembly는 돌기(192), 힌지축(198), 회전걸이(194, rotatable hanger), 그리고 스프링(S)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돌기(192)는 상기 하면 커버(180)에서 돌출되고, 상기 힌지축(198)은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지지부(196)에 제공된다. 상기 회전걸이(194)는 힌지축(198)을 중심으 로 시소(seesaw) 운동한다.
상기 회전걸이(194)는 상기 돌기(192)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걸이부(194")와 버튼부(194')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194')와 집진통(110) 외측면 사이에는 스프링(S)이 제공된다. 상기 버튼부(194')를 누르면 상기 걸이부(19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돌기(192)와 결합된 상태에서 해제된다. 반면에, 상기 버튼부(194')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버튼부(194')는 스프링(S)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locking assembly(190)에서 상기 돌기(192)를 집진통(110)의 외측면에 형성하고 회전걸이(194)를 하면커버(180)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집진통의 상면은 착탈가능한 상면 커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집진통(110)은 상하면이 모두 개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집진통(110)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하면 커버(180)와 분리판(120)의 사이에는 흡입된 공기의 회전을 방지하는 칸막이 판(185, partition plate)이 제공된다. 상기 칸막이 판(185)은 상기 분리판(12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분리판(120) 하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 집진 어셈블리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를 함유한 공기(dust-laden air)는 상기 흡입가이드(112)를 통하여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먼지 입자는 분리판(120)의 하측으로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질량이 작은 먼지는 공기와 함께 유동되는 과정에서 필터에 의하여 분리되어 집진통(110)의 내부에 쌓인다. 상기 필터(152)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유로(152a)를 지나서 토출구(156a)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실내의 청소가 끝난 후에 상기 하면 커버(180)를 개방하여 상기 분리판(120) 하측에 쌓인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에서 상기 메쉬망(200)을 분리하여 세탁한 후 재장착함으로써 상기 필터 어셈블리(150)의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집진통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제공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필터 어셈블리만을 상측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집진 어셈블리를 청소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교체가 용이하다.
둘째,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외주면에 메쉬망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필터에 부착되는 먼지의 양을 감소시키고, 상기 필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 작업이 끝난 후 상기 메쉬망을 세탁함으로써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링 성능을 보다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집진통의 하면 및 상면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통 내부의 먼지들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집진통의 공기 토출구가 상부에 형성되므로, 먼지는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떨어지고 정화된 공기는 상측으로 배출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7)

  1.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에서 제공된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킨 후에 토출시키고, 상면에 개방부(opening)가 형성된 집진통(dust collecting box);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고,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링하고 상기 공기를 상측으로 토출시키는 필터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외주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메쉬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하측으로부터 씌워지도록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의 체수는 230~270 메쉬(mes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의 상단에는 상기 메쉬망을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상측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의 하측에는 상기 집진통의 하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하면 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커버는 상기 하면 커버와 상기 집진통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걸림돌기와 고리부를 포함하는 락킹 어셈블리에 의하여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40071756A 2004-09-08 2004-09-08 진공청소기 KR20060022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56A KR20060022954A (ko) 2004-09-08 2004-09-08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56A KR20060022954A (ko) 2004-09-08 2004-09-08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954A true KR20060022954A (ko) 2006-03-13

Family

ID=3712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756A KR20060022954A (ko) 2004-09-08 2004-09-08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29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9379A4 (en) * 2017-04-12 2020-06-17 Ecovacs Robotics Co., Ltd. CYCLONE SEPARATOR AND PORTABLE VACUU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9379A4 (en) * 2017-04-12 2020-06-17 Ecovacs Robotics Co., Ltd. CYCLONE SEPARATOR AND PORTABLE VACUUM
US11412902B2 (en) 2017-04-12 2022-08-16 Tineco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Dust cup and handheld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06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3188B1 (ko) 진공청소기
KR100936064B1 (ko) 진공청소기
KR100963382B1 (ko) 진공청소기
KR100912314B1 (ko) 진공청소기
US20110146024A1 (en) Cycloni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sequential filtration members
KR20050091836A (ko) 진공청소기
KR20050091829A (ko) 진공청소기
KR10096338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330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US7552506B2 (en)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KR10106407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10461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6333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7244370B2 (ja) 電気掃除機
KR20060022954A (ko) 진공청소기
KR10063361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18009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8709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22955A (ko) 진공청소기
KR20060018008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22953A (ko) 진공청소기
KR2006000836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34402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104612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