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473A -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473A
KR20060022473A KR1020040071309A KR20040071309A KR20060022473A KR 20060022473 A KR20060022473 A KR 20060022473A KR 1020040071309 A KR1020040071309 A KR 1020040071309A KR 20040071309 A KR20040071309 A KR 20040071309A KR 20060022473 A KR20060022473 A KR 20060022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hannel
display unit
information
multimedia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444B1 (ko
Inventor
조영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444B1/ko
Priority to US11/213,543 priority patent/US20060052081A1/en
Priority to CNA2005100994785A priority patent/CN1747511A/zh
Priority to JP2005259671A priority patent/JP2006081186A/ja
Publication of KR2006002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7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 H04H60/8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source locations or destination location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채널정보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1표시부로 전달하며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제2표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기(이동통신용, 차량용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Description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 TERMINAL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위성 텔레비전 방송 채널정보를 화면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엘씨디를 통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
도 6은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
도 7은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또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 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
도 10은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을 수신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MB는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여 가입자들이 옥외에서 또는 이동 중에도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또는 차량용 수신기를 통해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채널로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DMB를 시청할 때 사용자는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방송 채널정보를 보고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이때 선택된 방 송채널은 한 화면 내에 작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화면 아래에 방송채널이 작게 표시되게 하거나, 화면 비침 기능을 이용하여 투명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위성 텔레비전 방송 채널정보를 화면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위성 TV의 경우 여러 방송 채널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현재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이하 '채널정보'가 예를 들어 채널번호 '9' 혹은 문화방송 'MBC'를 나타내는 용어라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뽀뽀뽀'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 혹은 CF 등을 통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화면을 지우고, 채널정보 표시 화면을 새로 띄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시청 중이던 프로그램 화면을 보지 못하고 채널정보 화면만을 보게 된다. 또한 방송채널을 스크롤 할 때에도 시청 중이던 화면을 볼 수 없다.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이용할 경우 현재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 화면을 볼 수는 있다. 그러나 현재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정보 화면을 작은 이미지로 보게 되므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있다. 참조부호 a는 방송 채널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b는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의 화면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가 채널정보를 보고자 할 경우 현재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 화면을 볼 수 없거나 이미지가 작아지는 등 현재 시청 중인 화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연속극이나 스포츠 경기 등을 시청하던 중 방송채널 확인을 할 경우 화면이 끊기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사용자가 제품의 기능에 매우 불만족스러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현재 시청 중인 프로그램 화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DMB 채널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에서 DMB 채널정보와 해당 채널의 프로그램을 각각 다른 표시부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제1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채널정보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1표시부로 전달하며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제2표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제2발명은 제1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가능한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이,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모드 선택을 감지하면 메모리에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채널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 프로그램을 상기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채널번호, 공영 혹은 민영방송, 프로그램의 이름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예는 휴대폰으로 가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main body)(20), 메인 바디(20)의 하부에 연결된 서브 바디(sub body)(40)로 구성된다. 메인 바디(20)에는 제1표시부(112), 사이드키(113-1)와 키패드(113-2)를 포함하는 키입력부, 마이크(114), 제1스피커(115)가 구비되며, 주로 휴대 전화 기능 등을 수행하는 데 이용된다. 서브 바디(40)에는 제2표시부(123), 제2스피커(124)가 구비되 며 주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바디(40)가 회전형으로 구현되었으나 접이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두 바디의 연결 관계는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려 있을 때- 메인 바디(20)와 서브 바디(40)가 서로 겹쳐지지 않은 상태-에는 제1표시부(112)에 전체 방송 채널정보 혹은 현재 제2표시부(123)를 통해 시청 중인 프로그램(혹은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가 표시되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다. 그런데 서브 바디(40)를 회전시켜 메인 바디(20) 뒤로 겹쳐지게 하면,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제1표시부(112)만을 볼 수 있게 되었을 때는, 그 전까지 사용자가 제2표시부(123)를 통해서 시청하고 있었던 프로그램(혹은 채널)에 대한 채널정보가 상기 제1표시부(112)에 표시되고 제2스피커(124)를 통해서는 해당 DMB 오디오가 그대로 출력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표시부(112)를 보고 현재 들리고 있는 오디오가 어느 프로그램(혹은 채널)의 것인지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키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 전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2표시부(123)를 통해서 DMB를 시청할 수 있고, 제1표시부(112)를 통해서는 휴대 전화기 고유의 기능이나 DMB 채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표시부(112, 123)는 예를 들어 엘씨디(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표시부(123)가 메인(main)이라고 할 때, 제1표시부(112)는 서브(sub)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으며, 편의상 이들을 각각 메인-LCD, 서브-LCD라고 부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LCD를 통한 DMB 채널정보 표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DMB 채널정보 표시 화면은 전술한 도 2에서 서브-LCD인 제1표시부(112)에 표시된 것이다. 메인-LCD인 제2표시부(123)를 통해 DMB를 시청하던 중 사용자가 채널키(도시하지 않음. 편의상 채널 설정용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채널키라 칭함. 임의의 키를 해당 용도로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를 입력하면 제1표시부(112)에 다양한 채널정보가 표시된다. 이를 본 사용자는 업(up)/다운(down) 키- 도시하지 않음.-로 여러 채널정보들을 볼 수 있으며, 그들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면 채널 전환이 이루어져 제2표시부(123)에 표시되는 화면 내용이 바뀐다. 상기 채널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해당 용도로 미리 설정해둔 키(예: 확인키)를 이용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모듈- 폰 모듈(110)-, 제2모듈- DMB 모듈(122)-, 및 제3모듈- 멀티미디어 모듈(120)-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될 것이나, 세 모듈의 모두 또는 일부를 하나의 칩(편의상 제어부라 부르기로 함)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겸용 휴대 전화기로서, 휴대 전화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전화 기능 모듈(일명, 폰 모듈)(110), 방송 수신 기능을 하는 DMB 모듈(122),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폰 모듈(110)은 제1표시부(112), 키입력부(113), 마이크(114), 제1스피커(115), 그리고 제1메모리(116)를 제어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제2표시부(123), 제2스피커(124), 및 제2메모리(125)를 제어한다.
각 부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폰 모듈(110)은 무선(Radio Frequency: RF) 송수신 부분과 모뎀 칩(chip)- 예를 들면, 퀄컴(QualComm)사의 MSM(Mobile Station Modem) 5500- 부분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 관련 신호를 송수신하고 휴대 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제1표시부(112)는 상기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들과 관련된 정보 및 본 발명에 따른 DBM 채널정보 등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13)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 명령 혹은 데이터 등을 입력한다. 마이크(114)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한다. 제1스피커(115)는 휴대전화기능 수행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예: 통화 음성)를 출력한다. 제1메모리(116)는 휴대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DMB 모듈(122)은 안테나를 통해 DMB RF를 수신하기 위한 부분과 복조 부분(demodulator) 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가 그러한 세부 구성에 있지는 않으므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는다.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상기 DMB 모듈(122)에서 전달받은 DMB 데이터를 복 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정보(영상, 문자, 오디오)를 출력한다. 제2표시부(123)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20)에서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제2스피커(124)는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20)에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제2메모리(125)는 DMB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채널정보는 상기 제2메모리(125)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피커(124)와 제2표시부(123)는 DMB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그러므로 DMB의 형태에 따라 스피커와 표시부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방송만 서비스할 경우에는 스피커만으로 출력 인터페이스부 수단을 구성하면 된다. 또한 제2스피커(124)는 스테레오(stereo)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제1 및 제2스피커(115, 124)와 제1 및 제2표시부(112, 123)와 같이 이들을 하드웨어적으로 각각 분리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스피커와 하나의 표시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H.264 코덱 멀티미디어 프로세서(H.264 Codec Multimedia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DMB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ladder) 다이어그램이다.
사용자가 DMB모드를 선택하면, 611단계에서 폰 모듈(110)이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모듈(120)에게 사용자의 DMB모드 선택을 알린다.
사용자의 DMB모드 선택을 알게 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522단계에서 초기화를 수행한다. 524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전자프로그램가이드 (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함.) 정보의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으면 528단계에서 EPG 정보를 수신한다. 반면에, 업데이트 주기가 되지 않았으면 526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초기상태이거나 사용자가 고의로(업데이트를 원할 경우 아무 때나 지울 수도 있을 것이다.) 지운 경우이다.
526단계에서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528단계로 진행하여 EPG 정보를 수신한다. 524단계 ?? 526단계 ?? 528단계로의 진행은,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EPG 정보 업데이트 주기가 되지 않았더라도 사용자의 요구(DMB모드 선택을 통한)가 있었으므로 이에 응하기 위해 실시하는 과정이다.
526단계에서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할 경우 혹은 528단계에서 EPG 정보를 수신한 다음, 530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폰 모듈(110)에 EPG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532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상기 EPG 정보를 기초로 DMB 채널정보를 생성하여 제2메모리(125)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업데이트 주기 도래 여부를 체크하는 이유는 EPG 정보가 소정의 시간에 그 내용과 구조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방송 사업자가 정할 수 있는 것으로, 방송 사업자는 주기적으로 EPG 정보를 보내게 되며 보내는 주기마다 변경된 EPG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EPG 정보를 수신한 폰 모듈(110)은 613단계에서 DMB 채널 메뉴를 생성한다. 그리고 615단계에서 폰 모듈(110)은 DMB 채널정보를 제1표시부(112)에 표시한다. 전술한 도 3은 이때 표시되는 DMB 채널정보 화면의 예시이다. DMB 채널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617단계에서 폰 모듈(110)이 이를 감지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20)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정보를 알려준다.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정보를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53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DMB 채널의 프로그램을 제2표시부(123)에 표시한다.
한편, 아래 설명되는 536, 538, 540, 619, 621단계는 실시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에게 채널 전환 의사가 없을 때는 실시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들을 거쳐 DMB 채널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던 사용자가 다른 DMB 채널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채널키를 입력하여 다른 DMB 채널을 선택하면, 619단계에서 폰 모듈(110)이 이를(DMB 채널 변경 입력을) 감지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20)에게 알린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널 '10'을 선택했다면 폰 모듈(110)은 멀티미디어 모듈(120)로 '1', '0'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536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상기 폰 모듈(110)로부터 수신한 채널 변경 입력이 유효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하면 채널을 변경한다. 상기 유효성 판단은 사용자가 실수로 입력을 잘못하거나 없는 채널의 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실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538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DMB 채널 변경 정보를 폰 모듈(110)에 송신한다. 또한 540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변경된 DMB 채널의 프로 그램을 제2표시부(123)에 표시한다.
상기 DMB 채널 변경 정보를 수신한 폰 모듈(110)은 621단계에서 변경된 DMB 채널정보를 제1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도 6은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전술한 도 5와 비교하면, 536, 538, 540, 619, 및 621단계가 없고(실시 여부가 선택적이므로 도시하지 않음), 617단계 다음에 720, 725, 730단계가 더 추가된 것으로 DMB 시청 중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폰 모듈(110)은 615단계에서 DMB 채널정보를 제2표시부(123)에 표시한 후, SMS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617단계 다음에 720단계를 표시하였으나 이 두 단계들 사이의 순서는 무의미하다. 상기 체크 결과 SMS가 수신되었으면, 725단계에서 폰 모듈(110)은 SMS 화면을 제2표시부(123)에 표시한다. 반면에, SMS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730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DMB 채널정보를 제2표시부(123)에 표시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은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또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전술한 도 5와 비교하면, 멀티미디어 모듈(120)이 폰 모듈(110)에 EPG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532단계에서 DMB 채널정보를 생성하여 533단계에서 그 생성된 DMB 채널정보를 폰 모듈(110)에 송신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폰 모듈(110) 은 별도로 자신의 DMB 채널정보를 생성할 필요 없이 멀티미디어 모듈(120)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615단계에서 폰 모듈(110)은 멀티미디어 모듈(120)이 제공하는 DMB 채널정보를 그대로 사용하여 제1표시부(112)에 표시한다. 이하 설명하지 않는 단계들은 도 5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1)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겸용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이하 PDA라 함.)를 나타낸다. 전술한 도 4와 비교하면, 폰 모듈(110)의 제어를 받던 구성요소들 중 제1메모리(116)를 제어하고는 모두 멀티미디어 모듈(120)의 제어를 받는다는 점이 상이하다. 그러나 이는 PDA 고유의 구성에 따른 것이다. 또한 PDA 고유의 기능을 제외한, 본 발명의 적용에 따른 각 부분의 동작은 도 4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참조부호도 동일하게 나타내기로 한다.
도 9는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사용자가 DMB모드를 선택하면, 812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이 이를 감지하고, 814단계에서 초기화를 수행한다. 816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EPG 정보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와 같이 업데이트 주기가 도래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이유는 EPG 정보가 업데이트 주기마다 그 내용과 구조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체크결과 업데이트 주기가 되었으면 820단계에서 EPG 정보를 수신한다. 반면에, 업데이트 주기가 되지 않았으면 818단계에서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초기상태이거나 사용자가 고의로 지운 경우이다.
818단계에서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820단계로 진행하여 EPG 정보를 수신한다. 816단계 ?? 818단계 ?? 520단계로의 진행은,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EPG 정보 업데이트 주기가 되지 않았더라도 사용자의 요구(DMB모드 선택을 통한)가 있었으므로 이에 응하기 위해 실시하는 과정이다.
818단계에서 제2메모리(125)에 EPG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거나 820단계에서 EPG 정보를 수신하면, 822단계로 진행하여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EPG 정보를 기초로 DMB 채널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824단계에서 상기 생성한 DMB 채널정보를 제1표시부(112)에 표시한다. 전술한 도 3은 이때 표시되는 DMB 채널정보 표시 화면의 예시이다. DMB 채널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82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28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DMB 채널의 프로그램을 제2표시부(123)에 표시한다.
아래 설명되는 830 및 832단계는 실시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채널 전환 의사가 없을 때는 실시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2표시부(123)에 표시되는 DMB 채널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던 사용자가, 다른 DMB 채널을 시청하고자, 채널키를 입력하여 다른 DMB 채널을 선택하면, 830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이 상기 채널 변경 입력을 감지하고 그 유효성을 판단하여 유효한 입력이면 채널을 변경한다. 그리고 832단계에서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변경된 DMB 채널정보를 제1표시부(112)에 표시하고, 변경된 DMB 채널의 프로그램을 제2표시부(123)에 표시한다.
도 10은 도 8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다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을 전술한 도 9와 비교하면, 812단계 ~ 828단계까지의 동작은 동일하고, 911, 913, 및 915단계가 더 추가된 것으로, 828단계의 수행으로 사용자가 제2표시부(123)에 표시되는 DMB 시청 중 SMS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모듈(120)은 828단계에서 DMB 채널의 프로그램을 제2표시부(123)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폰 모듈(도시하지 않음.)로부터 SMS가 수신되었음을 통보받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SMS가 수신되었으면, 913단계에서 SMS 화면을 제1표시부(112)에 표시한다. 반면에, SMS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915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DMB 채널정보를 제1표시부(112)에 표시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에도 전술한 도 9와 마찬가지로 830, 832계를 포함시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911단계는 828단계 다음에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도 6 및 상기 도 10에서는 SMS 메시지 수신 및 그 화면 표시를 예로 들었으나 다른 종류의 메시지 수신 및 그 표시도 마찬가지임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서는 단말기가 휴대폰이거나 PDA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했으나, 표시부를 두 개 이상 가지는 MP3 플레이어{예: 휴대용 MP3 플레이어에 LCD 화면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인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플레이어, 혹은 텔레매틱스 단말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 모듈이 MP3, DVD 플레이, 혹은 텔레매틱스 제어를 위한 고유의 처리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처리(예: 채널 선택 혹은 변경, 프로그램 표시 등)를 겸하도록 구현하거나 별도의 기능 모듈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DMB 시청 중에 현재 시청하는 DMB 화면에 방해되지 않게 채널정보를 보고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여 채널 전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6)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채널정보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로부터 검출한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1표시부로 전달하며 프로그램 정보는 상기 제2표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며,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읽어 상기 채널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없으면,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로부터 새로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부는 상기 단말기의 다른 기능들과 관련된 정보를 더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폰 모듈과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폰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채널정보가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폰 모듈이 사용자의 채널 변경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로 상기 채널 변경 입력을 송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이 상기 채널 변경 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유효하면 상기 폰 모듈에 채널 변경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폰 모듈은 상기 제1표시부에 변경된 채널정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폰 모듈은 상기 제1표시부에 채널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채널정보 화면 표시를 중지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폰 모듈과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채널정보가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9. 제8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이 사용자의 채널 변경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채널 변 경 입력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유효하면 상기 제1표시부에 변경된 채널정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상기 제1표시부에 채널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폰 모듈로부터 메시지 수신을 통지받으면, 상기 채널정보 화면 표시를 중지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11. 제1기능을 제어하는 제1모듈, 상기 제1기능의 수행에 따른 표시를 위한 제1표시부, 제2기능을 제어하는 제2모듈, 및 상기 제2기능의 수행에 따른 표시를 위한 제2표시부를 구비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이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모드 선택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2모듈에게 알리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모드 선택을 알게 된 상기 제2모듈이 메모리에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2모듈이 상기 제1모듈에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수신한 제1모듈이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기능을 제어하는 제1모듈, 상기 제1기능의 수행에 따른 표시를 위한 제1표시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제2모듈,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의 수행에 따른 표시를 위한 제2표시부를 구비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이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모드 선택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2모듈에게 알리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모드 선택을 알게 된 상기 제2모듈이 메모리에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2모듈이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채널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1모듈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모듈이 수신된 채널정보를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혹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1모듈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모듈에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알려주는 과정과,
    상기 제2모듈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모듈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채널 변경 요구를 감지하면 채널 변경 정보를 상기 제1모듈에 송신하고 변경된 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1모듈이 상기 채널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된 채널정보를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 혹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휴대전화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폰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방법.
  16. 제11항 혹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2모듈이 업데이트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 주기가 도래하였으면, 수신되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신호로부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새로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방법.
  17. 제11항 혹은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가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듈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제1모듈이 상기 채널정보 화면의 표시를 중지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가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 및 제2표시부를 구비하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가능한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모드 선택을 감지하면 메모리에 전자채널가 이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기초로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되는 채널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제2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한 채널 변경 요구를 감지하면, 상기 변경된 채널에 해당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제2표시부에 표시하고, 변경된 채널정보를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전자채널가이드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업데이트 주기가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 주기가 도래하였으면,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로부터 전자채널가이드 정보를 새로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정보가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시지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채널정보 화면의 표시를 중지하고 상기 수신 메시지를 상기 제1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제어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모듈과,
    제1기능을 제어하는 제1모듈과,
    상기 제1기능의 수행에 따른 표시 혹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와,
    제2기능을 제어하는 제2모듈과,
    상기 제2기능의 수행에 따른 표시 혹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제어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모듈과,
    소정의 기능을 제어하는 모듈과,
    상기 모듈의 제어를 받아 상기 기능의 수행에 따른 표시 혹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와,
    상기 모듈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기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 텔레메틱스 기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40071309A 2004-09-07 2004-09-07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KR100689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309A KR100689444B1 (ko) 2004-09-07 2004-09-07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US11/213,543 US20060052081A1 (en) 2004-09-07 2005-08-2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a terminal
CNA2005100994785A CN1747511A (zh) 2004-09-07 2005-09-05 用于在终端中显示数字多媒体广播信道信息的装置和方法
JP2005259671A JP2006081186A (ja) 2004-09-07 2005-09-07 端末機の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チャンネル情報表示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309A KR100689444B1 (ko) 2004-09-07 2004-09-07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473A true KR20060022473A (ko) 2006-03-10
KR100689444B1 KR100689444B1 (ko) 2007-03-08

Family

ID=3616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309A KR100689444B1 (ko) 2004-09-07 2004-09-07 단말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52081A1 (ko)
JP (1) JP2006081186A (ko)
KR (1) KR100689444B1 (ko)
CN (1) CN17475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15B1 (ko) * 2005-01-25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방법
KR100750471B1 (ko) * 2006-05-08 2007-08-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051B1 (ko) * 2005-10-17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KR100829113B1 (ko) * 2006-04-28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및 방법
EP2030403B1 (en) * 2006-06-02 2010-0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s service proxy in higa
KR100783103B1 (ko) * 2006-06-19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100867957B1 (ko) * 2007-01-22 2008-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83766B1 (ko) * 2007-04-04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피아이피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ip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010140B2 (en) * 2007-10-18 2011-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ing user cooperation and system of enabling the method
US9788043B2 (en) * 2008-11-07 2017-10-10 Digimarc Corporation Content interaction methods and systems employing portable devices
US20100304787A1 (en) * 2009-05-28 2010-12-02 Min Ho Le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on a mobile terminal
US8756507B2 (en) 2009-06-24 2014-06-17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media device user interface
CN102487326B (zh) * 2010-12-02 2015-05-27 北京创毅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信息发布方法及系统
WO2015182976A1 (en) * 2014-05-28 2015-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526B1 (en) * 1999-07-01 2004-03-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broadcast EPG data for program title display
US7509148B1 (en) * 2000-02-15 2009-03-24 Motorola, Inc. Message alert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message notification
US7065333B2 (en) * 2001-05-11 2006-06-20 Wildseed, Ltd.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broadcasts with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that includes multiple tuners
US6975836B2 (en) * 2001-06-28 2005-12-13 Kabushiki Kaisha Toshiba Data broadcasting system, receiving terminal devic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contents providing method
KR100400010B1 (ko) 2001-10-15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Epg 조작 방법
KR100416749B1 (ko) 2001-10-22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액정 표시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US6931265B2 (en) * 2002-05-24 2005-08-16 Microsite Technologies, Llc Wireless mobile device
US7366461B1 (en) * 2004-05-17 2008-04-29 Wendell Brow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recorded broadcast audio program
KR20050112873A (ko) * 2004-05-28 200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플용 dmb 수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15B1 (ko) * 2005-01-25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채널 전환 방법
KR100750471B1 (ko) * 2006-05-08 2007-08-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방송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7511A (zh) 2006-03-15
JP2006081186A (ja) 2006-03-23
KR100689444B1 (ko) 2007-03-08
US20060052081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5631B2 (en) Multichannel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DMB-enabled mobile phone
US64599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ceived messages of portable television (TV) phone
KR10085019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8737916B2 (en) Metadata display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 receiver
US200600520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in a terminal
KR101174659B1 (ko) 방송수신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정보 서비스 방법
KR10067746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 구성 방법
KR20050044844A (ko)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702205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ching DMB programs on a mobile terminal by direct channel input
KR1007102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예약방법
KR20080093197A (ko) 방송 콘텐츠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557135B1 (ko) 텔레비전 영상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다수 채널 표시 및 채널변경 방법
KR10067718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중 착신 호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KR1006302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티브이 시청 방법
KR10071335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7802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에서 다수 채널 표시방법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KR20010048805A (ko) 티브이폰에서 지역별 자동 채널선국방법
KR10079009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표시방법
KR20070061968A (ko) 긴급방송 자동시청기능이 구비된 디엠비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83104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0138066Y1 (ko) 방송시청제어장치
KR100720704B1 (ko)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영상을 표시하는 방송수신장치 및그 방법
JP200502691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