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782A -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782A
KR20060021782A KR1020040070670A KR20040070670A KR20060021782A KR 20060021782 A KR20060021782 A KR 20060021782A KR 1020040070670 A KR1020040070670 A KR 1020040070670A KR 20040070670 A KR20040070670 A KR 20040070670A KR 20060021782 A KR20060021782 A KR 20060021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ozone
harmful substances
smoking
hazardous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환
Original Assignee
안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환 filed Critical 안영환
Priority to KR102004007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1782A/ko
Publication of KR2006002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에 유해한 물질을 미리 제거하여 흡연시 담배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흡연자의 건강을 최대한 지킬 수 있도록 하는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키입력부의 입력 값에 따라 각 구성 장치를 제어하는 콘크롤러와, 온도센서를 통한 유해물질제거실 내의 온도값에 의해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스위칭IC를 통해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유해물질제거실의 온도를 가하는 히터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해물질제거실의 공기를 배기시키면서 필터로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은, 흡연하기 전 미리 담배를 일정온도내에서 구우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를 통해 오존 및 음이온을 공급하여 유해물질 특히 휘발성 유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실제 흡연시 질병을 일으키는 각 종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거나 최소화되므로, 직접흡연자나 간접흡연자 모두 흡연으로인해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 하여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흡연, 담배, 유해물질, 직접 및 간접흡연, 질병, 음이온발생장치, 오존발생장치, 히터, 팬, 필터

Description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Tobacco hazardous substance exclus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해물질 제거장치 10 -전원공급부 11 - 콘트롤러
12 - 유해물질제거실 13 - 온도센서 14 - 히터
15 - 스위칭IC 16 - 팬 17 - 필터
18 - 오존발생기 19 - 음이온발생기 C - 담배
본 발명은 담배에 유해한 물질을 미리 제거하여 흡연시 담배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흡연자의 건강을 최대한 지킬 수 있도록 하는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흡연은 폐암을 비롯한 각종 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암학회의 통계에 의하면, 하루에 20개피 이상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안 피우는 사람보다 폐암 발병률이 20배나 높다. 그리고 폐암 사망의 75% 이상이 흡연과 관련이 있고 한다.
또 흡연을 하면 하지 않는 경우보다 만성적인 기관지염이 발생할 확률이 20배나 증가하고, 흡연을 하는 사람은 흡연을 안하는 사람보다 혈액속의 산소가 5%가 적으며, 임신부가 흡연을 하면 유산이나 사산의 위험성이 2배나 높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연인구는 점점 늘어가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 층의 흡연인구가 늘어난다는 사실에 대해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담배를 태울 때 발생하는 연기는 기체에 액체 또는 미세한 입자가 섞여 있는 혼합체인 연무질로서 필터를 통과한 물질을 기체 또는 증기성분이라하고, 질소,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관지 섬모작용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는 알데하이드, 케톤, 알코올과 에스터 등과 같은 저분자량을 갖는 휘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필터에 걸러진 물질을 입자성 물질이라 하고, 담배연기의 약 8%에 해당하며 타르를 포함한 적어도 38개의 알려진 발암물질과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과 니코틴이 있으며, 많은 종류의 무기 및 유기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는 담배연기는 주류연과 부류연으로 구분되는데, 주류연은 담배를 필 때 입으로 빨아들이는 성분으로 입자 성분과 증기 성분이 여기에 포함되고, 부류연은 주로 담배의 끝에서 나오는 연기와 종이를 통해 확산되어 공기중으로 직접 나오는 물질이며 담배를 빨은 후에 내뱉는 물질도 포함된다.
흡연은 직접흡연과 간접흡연으로 구분되는데, 직접흡연은 단순하게 주류연과 부류연을 흡연자가 들이마시는 경우이고, 간접흡연은 부류연을 제3자가 들이 마시는 것을 말한다.
학계에서는 직접흡연자의 피해보다는 간접흡연자의 피해가 더 심각하다는 연 구발표도 있다.
주류연의 대표적인 발암물질로는 벤젠, 베릴륨, 카드뮴, 2-나프탈렌, 니켈, 염화바이닐, 6가 크롬 등이 있으며 타르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부류연의 주요 성분은, 휘발성이 강한 유기 합성물로는 포름 알데하이드(방부, 소독제), 아크롤레인(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 최루가스 등에 쓰임), 1,3부타디엔(탄화수송의 일종), 에틸알데하이드가 있고, 휘발성 유기 합성물로는 벤젠(살충제, 기생충 박멸제), 톨루엔(페인트 제거제), 스티렌, 페놀(살균제) 등이 있다. 그외 반휘발성 유기 합성물인 니코틴, 나프탈렌, 파이린 등이 있고 미립자로된 유기합성물인 벤조피렌(강력한 발암물질), 솔라내솔 등가 같은 가스상의 비유기합성물로는 이샅화탄소, 물, 암모니아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량의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담배임에도 불구하고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해 흡연을 하고 있으며, 흡연의 유해성을 알고 있는 사람들 조차도 담배의 중독성으로 인해 담배를 끊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지속적으로 흡연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연자들로부터 금연을 유도하여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금연의 어려움을 강요하기 보다는 흡연 전에 미리 유해성분을 최대한 제거하여 흡연 즉, 직접 또는 간접흡연을 하더라도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와,
담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며, 상기 오존, 음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오존 및 음이온을 공급받아 장입된 담배의 유해물질을 분리하는 유해물질제거실과,
상기 유해물질제거실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유해물질제거실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걸러내는 에어필터와,
상기 팬과 히터부 및 오존, 음이온발생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1)는 상,하로 구분하여 하부에는 오존 및 음이온 발생부 즉, 오존발생기(18)와 음이온발생기(19)와 전원공급부(10)를 비롯하여 각 장치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1)부가 구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담배 유해물질제거실(12)과, 상기 유해물질제거실(1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16) 및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해물질제거실(12)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가 구비되어 내부에 낱개의 담배(C)를 투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오존 및 음이온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오존이나 음이온은 별도의 덕트를 통해 유해물질제거실(12)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의 블럭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전원공급부(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키입력부의 입력 값에 따라 각 구성 장치를 제어하는 콘크롤러와,
온도센서(13)를 통한 유해물질제거실(12) 내의 온도값에 의해 상기 콘트롤러(11)의 제어를 받는 스위칭IC(15)를 통해 전원공급부(10)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유해물질제거실(12)의 온도를 가하는 히터(14)와,
상기 콘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18)와,
상기 콘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기(19)와,
상기 콘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해물질제거실(12)의 공기를 배기시키면서 필터(17)로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팬(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해물질제거실(12)의 내부에 담배(C)를 장입시킨 상태에서 전원을 온(ON)시키게 되면 히터(14)가 작동하여 유해물질제거실(12)을 가열시키게 된다. 유해물질제거실(12)의 내부에는 온도센서(13)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정된 값에 따라 콘트롤러(11)가 스위칭IC(15)를 통해 상기 히터(14)를 제어를 하여 유해물질제거실(12)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오존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 작동하여 오존 및 음이온을 유해물질제거실(12)로 유입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에 의해 담배(C)는 유해물질제거실(12)의 내부에서 대략 40∼70℃내에서 구워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담배(C)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물질 특히 휘발성 유해물질들이 외부로 방출되게 되고 또 공급되는 오존 및 음이온에 의해 담배(C) 내부에 포함된 유해물질 및 외부로 방출된 유해물질들이 제거된다.
한편, 이러한 작동과 함께 팬(16)이 작동하여 유해물질제거실(1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그 과정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필터(17)를 통과하면서 유해물질들이 걸러지게 되어 깨끗이 정화된 공기만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17)는 걸러진 유해물질의 양에 따라 주기적으로 교환해주면 된다.
상기 동작의 진행에 의해 담배(C)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물질이 다량 제거되면 콘트롤러(11)는 설정된 시간에 따라 각 장치들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면 유해물질제거실(12) 내의 담배(C)를 외부로 인출하면 유해물질이 최소화된 담배(C)를 득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흡연하기 전 미리 담배를 일정 온도내에서 구우면서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를 통해 오존 및 음이온을 공급하여 유해물질 특히 휘발성 유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실제 흡연시 질병을 일으키는 각 종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거나 최소화되므로, 직접흡연자나 간접흡연자 모두 흡연으로인해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 하여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오존 및 음이온 발생기와,
    담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며, 상기 오존, 음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오존 및 음이온을 공급받아 장입된 담배의 유해물질을 분리하는 유해물질제거실과,
    상기 유해물질제거실의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유해물질제거실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걸러내는 에어필터와,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팬과 히터부 및 오존, 음이온발생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2.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키입력부의 입력 값에 따라 각 구성 장치를 제어하는 콘크롤러와,
    온도센서를 통한 유해물질제거실 내의 온도값에 의해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를 받는 스위칭IC를 통해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유해물질제거실의 온도를 가하는 히터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오존을 발생하는 오존발생기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기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해물질제거실의 공기를 배기시키면서 필터로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유해물질 제거 장치.
KR1020040070670A 2004-09-04 2004-09-04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KR20060021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670A KR20060021782A (ko) 2004-09-04 2004-09-04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670A KR20060021782A (ko) 2004-09-04 2004-09-04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596U Division KR200369811Y1 (ko) 2004-09-06 2004-09-06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782A true KR20060021782A (ko) 2006-03-08

Family

ID=3712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670A KR20060021782A (ko) 2004-09-04 2004-09-04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17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96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выработки аэрозоля и изделие для выработки аэрозоля
AU7113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harmful constituents from cigarettes and tobacco before smoking
KR102073238B1 (ko) 흡입 가능 매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CA3004948C (en) Flavor-enhanced tobacco blend
CA2963957C (en) Inhalator and cartridge thereof
JP6989151B2 (ja) 喫煙品
CA3083876C (en) Apparatus for volatilising aerosolisable material
KR20190065463A (ko) 에어로졸 제공 물품
JP2019519194A (ja) 吸引可能な媒体を生成するための物品及び喫煙材を加熱する方法
JP6062358B2 (ja) 封入型喫煙装置
JP2019528784A (ja) 保持器
KR102489532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JP2019519195A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物品及び方法
ATE479340T1 (de) Gerät und verfahren zum filtern von rauch
JP2007513627A5 (ko)
KR20210031985A (ko) 흡입 가능한 매체의 생성
KR20180081497A (ko) 담배 향미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11310A (ko)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위한 용기
KR200369811Y1 (ko)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US6431176B1 (en) Tobacco smoke contain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060021782A (ko) 담배 유해물질 제거장치
KR102536761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HK1052440A1 (zh) 從煙草和煙草演中去除親核毒素的方法、媒劑和裝置
AU2020250957A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US20240180255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