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131A -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 Google Patents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131A
KR20060021131A KR1020040069983A KR20040069983A KR20060021131A KR 20060021131 A KR20060021131 A KR 20060021131A KR 1020040069983 A KR1020040069983 A KR 1020040069983A KR 20040069983 A KR20040069983 A KR 20040069983A KR 20060021131 A KR20060021131 A KR 20060021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rise building
wireless lan
wireless terminal
la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6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1131A/en
Publication of KR2006002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1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건설중인 고층 빌딩에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바람직하게는 1대만 설치하고 다수의 안테나를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하여 건물 상하 라인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고층 빌딩 내의 모든 곳에서 통신할 수 있는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only one access point (Preferred Access Point) in a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antennas to the access point along the upper and lower lines of the building, high-rise that can communicate anywhere in the high-rise build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ireless LAN system for buildings.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무선 단말로 고층 빌딩 내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엑세스 포인트, 고층 빌딩의 상하 라인을 따라 상기 엑세스 포인트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받은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기하여 상단의 분기 수단 또는 안테나로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분기 수단 및 상기 분기 수단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분기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을 통하여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함.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LAN system for a user to access the Internet in a high-rise building as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module,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can access the Internet and data An access poi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branches to be connected in series using the access point and the cable along the upper and lower lines of a high-rise building, branching the input signal into two signals and output to the branch means or antenna on the top And a plurality of antennas connected to each of the means and the branching means to radiate a signal received from the branching means into free space and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free space.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 등에 이용됨.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wireless LAN system.

무선랜, 엑세스 포인트, 고층 빌딩, 분기기, 안테나WLAN, Access Point, Skyscrapers

Description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general WLAN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LAN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무선랜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st environment for measuring signal characteristics of the WLAN system of FIG.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인터넷 400 : 엑세스 포인트100: Internet 400: Access Point

500 : 무선 단말 10 : 증폭기500: wireless terminal 10: amplifier

20 : 분기기 30 : 안테나
20: tap-off 30: antenna

본 발명은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고층 빌딩 건설 현장에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무선 단말을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AN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a wireless LAN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that can communicate by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to a communication network at a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site such as an apartment. It is about.

아파트와 같은 고층 빌딩 건설 현장에서 건설업계가 신속한 시설 점검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하자 등에 대하여 PDA나 노트북과 같은 무선 단말을 통신망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처하기 위하여 무선랜의 활용이 요구된다.In a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site, such as an apartment, the construction industry needs to utilize a wireless LAN to check and cope in real time by connecting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PDA or a laptop to a communication network for rapid facility checks and defects occurring on the site.

무선랜은 허브에서 클라이언트까지 기존의 트위스트 페어케이블, 동축 케이블 등을 통신 채널로 이용하던 유선랜 대신 고주파수의 전파나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대기를 통신 채널로 이용한다. 이러한 무선랜은 이용자들에게 이동성, 편의성, 구축 용이성 및 확장성 등을 제공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 동안만 임시적으로, 시설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네트워크이다.Wireless LAN uses the air as the communication channel by using high frequency radio waves or infrared rays instead of the wired LAN, which uses a conventional twisted pair cable or coaxial cable as a communication channel from a hub to a client. Since the WLAN provides users with mobility, convenience, ease of construction, and scalability, it is a network suitable for use on a construction site where the facility status is unstable temporarily only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무선랜은 무선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무선랜 카드가 구비된 노트북, PDA 등의 무선 단말로 구성된다. AP 후단의 구성은 일반 유선랜과 동일하게 전용회선, xDSL, 케이블 모뎀 등의 인터넷 백본이 이용된다.A wireless LAN is composed of an access point (AP) serving as a base station for exchanging data with a wireless terminal, and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laptop or a PDA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car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end of the AP, an Internet backbone such as a leased line, an xDSL, and a cable modem is used as in a general wired LAN.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general WLAN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은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PDA나 노트북과 같은 무선 단말(500)이 무선으로 직접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400)와 연결되고,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400)는 스위치 허브(300)에 연결되어 라우터(200)를 통하여 인터넷(100)에 접속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general WLAN system, a wireless terminal 500 such as a PDA or a laptop equipped with a WLAN module is directly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P) 400 wirelessly. The plurality of access points 400 are connected to the switch hub 300 and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100 through the router 200.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은 엑세스 포인트가 직접 무선 단말과 접속되어야 하므로, 아파트와 같은 고층 빌딩의 모든 층에서 무선 단말을 이용하기 위하여는 거의 모든 층마다 엑세스 포인트를 설치해야 한다.In such a conventional WLAN system, since an access point must be directly connected to a wireless terminal,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terminal in all floors of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n access point should be installed in almost every floor.

하지만, 건설 현장의 불안정한 시설 상태 및 짧은 기간의 사용 기간 등을 감안 할 때, 고층 빌딩 건설 현장에 종래의 무선랜 시스템과 같이 비교적 양호하고도 안정적인 시설 상태 및 장기간의 사용을 고려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부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고층 빌딩 건설 현장에서 PDA 등의 무선 단말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considering the unstable facility condi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short period of use, it is not possible to use a system that considers a relatively good and stable facility condition and long-term use like a conventional WLAN system in a high-rise building site. Very unsuitable. For this reason, wireless terminals such as PDAs are not currently utilized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sites.

따라서, 고층 빌딩 건설 현장에서 경제적으로 용이하게 구축이 가능하고, PDA 등의 무선 단말을 편리하게 빌딩 내 모든 곳에서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층 빌딩 건설 현장에 적합한 새로운 무선랜 시스템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wireless LAN system suitable for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sites that can be easily and economically constructed at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sites and that wireless terminals such as PDAs can be conveniently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ywhere in the building. .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설중인 고층 빌딩에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바람직하게는 1대만 설치하고 다수의 안테나를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하여 건물 상하 라인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고층 빌딩 내의 모든 곳에서 통신할 수 있는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meet the above requirements, by installing only one access point (Access Point) in a high-rise building under construction an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antennas to the access point along the upper and lower lines of the build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that can communicate anywhere in the buil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무선 단말로 고층 빌딩 내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엑세스 포인트, 고층 빌딩의 상하 라인을 따라 상기 엑세스 포인트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받은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기하여 상단의 분기 수단 또는 안테나로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분기 수단 및 상기 분기 수단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분기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을 통하여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ireless LAN system for a user to access the Internet in a high-rise building in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module,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ccess poi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wireless terminal, and connected in series using the access point and the cable along the upper and lower lines of the high-rise building, branching the input signal into two signals to the branch means or antenna on the top A plurality of branching means for output and a plurality of antennas connected to each of the branching means to radiate a signal received from the branching means into free space, and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free spac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엑세스 포인트와 무선 단말과의 송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between the access point and the wireless terminal.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LAN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은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사용자의 무선 단말(500), 무선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100) 망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500)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엑세스 포인트(400), 엑세스 포인트(400)와 무선 단말(500)과의 송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10), 엑세스 포인트 또는 하단의 다른 분기기(2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입력받은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기하여 안테나 또는 상단의 다른 분기기(20)로 출력하는 분기기(20) 및 분기기(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송신하고, 무선 단말(5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을 통하여 수신하기 위한 지향성 안테나(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LAN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nternet 100 network so that a wireless terminal 500 of a user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module and a wireless terminal can access the Internet. An access point 4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terminal 500, an amplifier 10 for amplify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between the access point 400 and the wireless terminal 500, an access point, or another branching device 20 at the bottom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ranching device 20 and the branching device 20, which are connected by a cable and split the input signal into two signals and output to the antenna or another branching device 20 at the top,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irectional antenna 30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500 through the free space.

여기서, 분기기(20)와 분기기(20)간의 거리는 10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 지원 거리를 10m로 하면 보통 아파트 20층 건물 약 55m 높이에서 1개의 엑세스 포인트(400)로 분기점을 6-8개 정도 이용하여 건물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tap-off 20 and the tap-off 20 is preferably about 10 m. If the branch support distance is 10 m, the entire building can be covered by using 6 to 8 branch points with one access point 400 at a height of about 55 m in a 20-story apartment.

또한, 증폭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7개의 분기기와 8개의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10m 거리를 유지하며 분기한 경우, 평균 20층 건물 약 55m 높이 의 건물에 1개의 엑세스 포인트(400)와 끝단 안테나까지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200mW이상의 용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mplifier 10 maintains a 10m distance by using seven branch switches and eight directional antennas as shown in FIG. In order to maintain the performance up to) and the end antenna, it is preferable to use a capacity of 200 mW or more.

만약, 건물 특성상 무선랜 신호 간섭이나 전파 환경이 나쁜 곳에서는 증폭기(10)의 증폭 용량을 더욱 크게 하거나, 지향성 안테나(30)의 이득(기본 6dBi)을 높임으로써 무선랜 신호 세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If,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the WLAN signal interference or a bad radio wave environment is poor, the amplification capacity of the amplifier 10 may be increased or the gain (basic 6 dBi) of the directional antenna 30 may be increased to improve the WLAN signal strength. .

도 3은 도 2의 무선랜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st environment for measuring signal characteristics of the WLAN system of FIG.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의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엑세스 포인트는 MMC 통합형 MW3000 모델을 사용하였고, 무선 단말의 무선랜 카드는 MMC PCMCIA카드를 장착한 윈도우 XP 운영체제의 노트북을 사용하였으며, 안테나는 6dBi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였다.In order to measure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LAN system of the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point used the MMC integrated MW3000 model, the wireless LAN card of the wireless terminal is equipped with the MMC PCMCIA card I used a laptop with a Windows XP operating system and the antenna used a 6dBi directional antenna.

또한, 83평형 아파트를 가정하여 도 3에 도시된 세곳의 지점(A, B, C)에서 한국 전산원의 무선속도 테스트를 이용하여 신호세기 및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In addition, signal strength and performance were measured using a wireless speed test of the Korea Computer Center at three points (A, B, C) shown in FIG. ] Is the same.

측정 지점Measuring point AA BB CC 측정 결과 (신호세기/전송속도) Measurement result (signal strength / baud rate) -73dBm/4.22Mbps -73 dBm / 4.22 Mbps -79dBm/3.93Mbps -79 dBm / 3.93 Mbps -80dBm/1.88Mbps -80dBm / 1.88Mbps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파트 전체에서 매우 양호한 세기의 신호 와 전송 속도가 구현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signal and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very good strength is implemented throughout the apart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고층 빌딩에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바람직하게는 1대만 설치하고 다수의 안테나를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하여 건물 상하 라인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고층 빌딩 내의 모든 곳에서 편리하게 통신할 수 있는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only one access point (Access Point) in the high-rise building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antennas to the access point along the upper and lower lines of the building, convenient communication everywhere in the high-rise build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또한, 고층 빌딩에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바람직하게는 1대만 설치하고 안테나를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하여 건물 상하 라인을 따라 각 층마다 설치하여 무선랜을 구축함으로써, 무선랜 시스템을 고층 빌딩에 단기간에 용이하고도 경제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빌딩 공사 현장에서 공사 기간 중에 임시적으로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건설 현장 정보화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only one access point in a high-rise building, and connecting the antenna to the access point, and installing the wireless LAN by installing each floor along the upper and lower lines of the building, the WLAN system in a high-rise building for a short period of time It can be easily and economically constructed, and in particular, since it can be temporarily built and used during a construction period in a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site such as an apartmen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systems for construction site informatization.

Claims (2)

사용자가 무선랜 모듈이 장착된 무선 단말로 고층 빌딩 내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으로서,A high-rise building wireless LAN system for a user to access the Internet in a high-rise building with a wireless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module, 상기 무선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무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엑세스 포인트;An access point connected to an internet network so that the wireless terminal can access the interne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wireless terminal; 고층 빌딩의 상하 라인을 따라 상기 엑세스 포인트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받은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기하여 상단의 분기 수단 또는 안테나로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분기 수단; 및A plurality of branching mean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nd a cable along a vertical line of a high-rise building by using a cable, for branching an input signal into two signals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an upper branching means or an antenna; And 상기 분기 수단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분기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고,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자유 공간을 통하여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A plurality of antennas connected to each of the branch means to radiate a signal received from the branch means into a free space, and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a free space; 를 포함하는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엑세스 포인트와 무선 단말과의 송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Amplification means for amplify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the access point and a wireless terminal 을 더 포함하는 고층 빌딩용 무선랜 시스템.High-rise building wireless LAN system further comprising.
KR1020040069983A 2004-09-02 2004-09-02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KR200600211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983A KR20060021131A (en) 2004-09-02 2004-09-02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983A KR20060021131A (en) 2004-09-02 2004-09-02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131A true KR20060021131A (en) 2006-03-07

Family

ID=3712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983A KR20060021131A (en) 2004-09-02 2004-09-02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11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606B1 (en) 2018-03-27 2019-09-19 주식회사 케이티 Appratus for assigning channel for wirelss LAN and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606B1 (en) 2018-03-27 2019-09-19 주식회사 케이티 Appratus for assigning channel for wirelss LAN and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80B1 (en) Indoor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US72894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fixed wireless broadband access and wireless LAN integration
Mochizuki et al. Development and field experiment of wide area Wi-SUN system based on IEEE 802.15. 4g
WO2002030141A1 (en) Mobile base station system where the central unit and the antenna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CN206294350U (en) Network depth cover type indoor distributed system
WO2002041511A1 (en)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f components in a mobility network
CN103078654B (en) Wireless signal dual-mode antenna system, coupling amplification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20060021131A (en) Wireless la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KR101248764B1 (en) Method for setting transmitted signal strength in access point
Barbiroli et al. Characterization of WiMAX propagation in microcellular and picocellular environments
Josse et al. Energy-efficient deployment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s with radio-over-fiber links
US20070274269A1 (en) Device for Converting Umts Signals
US7822441B2 (en) Access point
CN203014800U (en) Wireless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antenna system and signal coupling amplifying device
Siqueira et al. Propagation measurements of a 3.5 ghz signal: Path-loss and variability studies
JP4493143B2 (en) Wireless LAN system
KR100648497B1 (en) Light dispersion system for out-building and provid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reof
US20030185289A1 (en) Cordless modem for portable computers
Dres et al. Building penetration measurements for 2.4 GHz broadcasting CDMA system
KR20120036413A (en) Method and system for expanding wireless lan communication area in the inside of a house
CN208522995U (en) It is a kind of based on 5.8G antenna can ad hoc network earth mat box
Nesa et al. Analysis of Signal Strength Variations for an Urban Public University Campus in Bangladesh
JP2004040449A (en) High frequency digital conversion communication equipment
JPH07154850A (en) Indoor service system for portable telephone
KR20040103276A (en) Apparatus of ralay AP for wireless 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