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582A - can - Google Patents
ca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0582A KR20060020582A KR1020050007069A KR20050007069A KR20060020582A KR 20060020582 A KR20060020582 A KR 20060020582A KR 1020050007069 A KR1020050007069 A KR 1020050007069A KR 20050007069 A KR20050007069 A KR 20050007069A KR 20060020582 A KR20060020582 A KR 200600205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handle member
- coupling groove
- stacked
- hinge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공정을 줄여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다층 적재가능한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 중앙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손잡이부재가 구비된 통상의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캔용기 하판 저면의 상기 손잡이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이 캔용기에 다른 캔용기를 적층했을때 상기 손잡이부재가 맞물리도록 캔용기 내측으로 오목한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stackable can container with a new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work process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while lowering the cost of the product. In a can container, a can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le memb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an container, wherein a coupling recess is formed in the can container so as to engage the handle member when another can container is stacked in the can container. Provide the container.
손잡이부재, 파지부, 파지부 결합홈, 힌지브라켓, 브라켓 결합홈Handle member, gripping part, gripping part coupling groove, hinge bracket, bracket coupling groov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평면 사시도1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저면 사시도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적층상태도3 is a stacked state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평면 사시도Figure 4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제2실시예의 저면 사시도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적층상태도6 is a lamination state diagram of the second embodim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몸체부 20. 상판10.
30. 하판 32. 파지부 결합홈30.
36. 브라켓 결합홈 40. 손잡이부재36. Bracket
42. 회동부재 44. 파지부42. Rotating
50. 힌지브라켓50. Hinge Bracket
본 발명은 액상이나 겔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포장용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공정을 줄여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다층 적재가능한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an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liquid or gel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stackable can container of a new structure that can reduce the work process and improve productivity while lowering the cost of a product. will be.
일반적으로 액상이나 겔상의 내용물 등을 담을 수 있로록 된 포장용 캔용기는 사각통 또는 원통형상으로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상하단을 밀폐하도록 시밍공정을 통해 그 중앙부가 몸체부 내부로 함몰되도록 기밀되게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의 중앙부에 구비된 손잡이부재로 구성된다.In general, the packaging can container, which can contain liquid or gel contents, is sealed in a rectangular or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center part is sea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through a seaming process to seal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par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be coupled, and consists of a handle member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그러나, 이러한 캔용기는 다층으로 적재할 경우, 상판 테두리부와 하판 테두리부의 좁은 면접촉에 의해 적층되므로, 적층이 용이하지 않으며, 적층되더라도 외력에 의해 다층 적재된 캔용기가 쉽게 쓰러져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an container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the can containers are stacked by narrow surface contact between the upp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can, and thus, lamination is not easy, and even when stacked, the can containers loaded with multilayers are easily collapsed and damaged by external force. have.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270646호에 의해 다층 적재가능한 캔용기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캔용기는 상판의 둘레부에 요홈을 갖는 돌출부를 다수개 형성되고, 하판의 둘레부에 상기 요홈과 대응되도록 돌부가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캔용기를 다층으로 적층하게 되면 상기 하판의 돌부가 상판의 요홈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ulti-layer stackable can container is provided and used by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70646, which is registered and registered in advance. The can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grooves at the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lower plate to correspond to the grooves. Therefore, when the can container is stacked in multiple layers, the protrusions of the lower plate may be coupled to the recesses of the upper plate to be stably stacked.
그런데, 이러한 캔용기는 상판에 요홈을 갖는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프레스성형해야 함은 물론 하판에도 상기 요홈에 맞물리도록 다수개의 돌부를 프레스성형 하여야 하므로, 금형이 복잡해져 금형비가 상승되고, 작업공정이 늘어나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됨은 물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캔용기는 넓은 면적에 걸쳐 다수개의 돌출부 및 돌부가 형성되도록 프레스성형하게 되므로, 상기 돌출부 및 돌부를 형성시 터짐현상이 발생되어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연질의 금속판을 사용해야 하므로, 제품의 코스트가 현저히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둘레부에 다수개의 돌출부를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판에 문자 등을 인쇄시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며, 운반이나 적층시 상기 돌출부의 코팅층이 쉽게 손상되면서 녹이 발생되어 제품의 가치를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such a can container must be press-molded to form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grooves on the upper plate, as well as press form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to engage the grooves on the lower plate, so that the mold is complicated and the mold ratio is increased. Increasing the cost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productivity is a problem. In particular, since the can container is press-molded to form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protrusions over a large area, a burst phenomenon occurs when the protrusions and protrusions are formed, and thus a soft metal plate having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must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top plate, many restrictions are applied when printing letters, etc. on the top plate.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부재의 파지부를 캔용기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하판에는 상기 파지부가 끼움결합되는 걸림홈을 형성하기만하면 되므로,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상판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상판에 인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가 캔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pping portion of the handle member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can container, the gripping portion is fitted to the bottom plate The new structure is designed to freely print on the top plate while preventing the top plate from becoming dirty as well as lowering the cost of the product while improving productivity by reducing work processe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판 중앙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손잡이부재가 구비된 통상의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캔용기 하판 저면의 상기 손잡이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이 캔용기에 다른 캔용기를 적층했을때 상기 손잡이부재가 맞물리도록 캔용기 내측으로 오목한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can container having a handle member which is hinged at one end to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ndle memb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an container It provides a ca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can container so that the handle member is engaged when the other can container is stacked in the can container.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적층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캔용기(100)는 사각통형상으로 몸체부(10)와, 이 몸체부(10)의 상하단을 밀폐하도록 시밍공정을 통해 그 중앙부가 몸체부(10) 내부로 함몰되도록 기밀되게 결합되는 상판(20) 및 하판(30)과, 상기 상판(20)의 중앙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손잡이부재(40)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40)는 금속재 와이어로 사용하여 일측이 개방되도록 대략 사각형태로 절곡되어 그 양단부가 상판(10)의 중앙부에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회동부재(42)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어 상기 회동부재(42)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면 원형 봉형상의 파지부(44)로 구성된다.1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stacked state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the
이때, 상기 파지부(44)는 손잡이부재(40)가 상판에 눕혀졌을때, 파지부(44) 의 상측 둘레부가 캔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직경이 큰 것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서는 상기 파지부(44)를 단면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일측면 둘레부가 캔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단면 타원이나 다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하판(30) 저면의 상기 파지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즉, 상기 손잡이부재(40)가 상판(20)에 눕혀졌을때의 파지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이 캔용기(100)에 다른 캔용기(100a)를 적층했을때, 상기 파지부(44)의 캔용기(100) 상측으로 노출된 일측면이 맞물리도록 캔용기(100) 내측으로 오목한 슬롯형태의 파지부 결합홈(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파지부 결합홈(32)은 하판(30) 중앙부를 중심으로 사각 형태로 배열되어, 캔용기를 다층으로 적층시 방향에 상관없이 파지부(44)에 파지부 결합홈(32)이 맞물리도록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재(40)의 파지부(44)가 하판의 결합홈(32)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손잡이부재(40) 전체를 하판에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손잡이부재를 구성하여 이 손잡이부재를 이용하여 캔용기를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은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the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캔용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캔용기를 적층하게 되면 하측 캔용기(100)의 상판(20)에 구비된 손잡이부재(40) 파지부(44)의 상측 둘레부가 상측 캔용기(100a)의 하판(30) 저면에 형성된 파지부 결합홈(32)에 맞물려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적층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따라서, 상기 캔용기(100)는 손잡이부재(40)의 파지부(44)의 상측면이 캔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직경이 큰 것을 사용하고, 캔용기(100)의 하판(30)에 파지부 결합홈(32)만 프레스성형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상판에 요홈을 갖는 다수개의 돌출부와 하판 상기 요홈에 맞물리는 다수개의 돌부를 프레스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에 비해, 금형이 단순하여 금형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공정도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캔용기(100)는 하판(30)에만 파지부 결합홈(32)을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 걸쳐 프레스성형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프레스성형시 터짐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가인 금속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코스트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캔용기(100)는 상판(20) 둘레부에 종래와 같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판(20)에 문자 등을 자유롭게 인쇄할 수 있으며, 상판(20)이 지저분해지 등 제품의 가치가 살실되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n
<실시예 2><Example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제2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적층상태도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 중앙부에 손잡이부재(40)를 좌우로 회동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브라켓(50)이 구비된다. 이 힌지브라켓(50)은 채널형태로 길게 절곡하여 그 내측에 하부로 개구된 삽입홈(52)이 길게 연장형성되는 단면 " ∩"자 형태의 걸림부(54)와, 이 걸림부(54)의 양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절곡되어 캔용기(100)의 상판(20)에 스폿용접되는 접합부(5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54)는 그 상측이 캔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4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6 is a lamination state diagram of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sign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s shown, the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힌지브라켓에 의해 손잡이부재의 양단부를 힌지 결합시켰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손잡이부재의 양단부를 개별적으로 힌지 결합시키도록 힌지브라켓을 분할 형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inge bracket is hing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member by one hinge bracket. However, in some cases, the hinge bracket may be divided so as to individually hinge the both ends of the handle member.
이때, 상기 하판(30) 저면의 상기 걸림부(5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이 캔용기(100)에 다른 캔용기(100a)를 적층했을때 상기 걸림부(54)의 캔용기(100) 상측으로 노출된 외측면이 맞물리도록 캔용기(100) 내측으로 오목한 슬롯형태의 브라켓 결합홈(3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 결합홈(36)은 하판(30) 중앙부를 중심으로 서로 교자되도록 "×"자 형태로 형성되어, 캔용기를 다층으로 적층시 방향에 상관없이 걸림부(54)의 일측면에 브라켓 결합홈(36)이 맞물리도록 된다.At this time, when another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힌지브라켓에 의해 손잡이부재의 양단부를 힌지 결합시켰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손잡이부재의 양단부를 개별적으로 힌지 결합시키도록 힌지브라켓이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inge bracket is hing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member by one hinge bracket, but in some cases, the hinge bracket may be separately formed to hinge the both ends of the handle member.
따라서, 상기 캔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캔용기를 적층하게 되면 하측 캔용기(100)에 손잡이부재(40)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브라켓(50)의 걸림부(54) 상측 둘레부가 상측 캔용기(100a)의 하판(30) 저면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홈(36)에 맞물려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캔용기 (100)는 힌지브라켓(50)의 걸림부(54) 상측면이 캔용기(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하고, 캔용기(100)의 하판(30)에 브라켓 결합홈(36)만 프레스성형하면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whe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캔용기는 상판의 구비된 손잡이부재 파지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재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브라켓 걸림부를 캔용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캔용기의 하판에는 상기 파지부 또는 걸림부가 끼움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프레스성형하면 되므로, 금형이 단순하여 금형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공정도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코스트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또한, 상판에 종래와 같이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문자 등을 자유롭게 인쇄할 수 있으며, 제품이 지져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n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andle member holding portion of the upper plate or a hinge bracket engaging portion for hinge-engagement of the handle member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can container, the holding portion on the lower plate of the can container Alternatively, since the engaging groove may be press-molded to engage the engaging portion, the mold may be simplified to reduce the mold cost, and the work process may be reduced to improve productivity, there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cost of the product. In addition, since the upper plate is not provided with a protrusion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freely print characters,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irt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objects, configura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069A KR20060020582A (en) | 2005-01-26 | 2005-01-26 | ca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7069A KR20060020582A (en) | 2005-01-26 | 2005-01-26 | ca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4726U Division KR200367605Y1 (en) | 2004-08-30 | 2004-08-30 | ca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0582A true KR20060020582A (en) | 2006-03-06 |
Family
ID=3712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7069A KR20060020582A (en) | 2005-01-26 | 2005-01-26 | ca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2058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0133B1 (en) * | 2006-05-25 | 2008-03-18 | 원정제관(주) | Packaging container |
KR102059975B1 (en) * | 2019-08-20 | 2019-12-27 | 동화제관(주) | Pint pot |
-
2005
- 2005-01-26 KR KR1020050007069A patent/KR20060020582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0133B1 (en) * | 2006-05-25 | 2008-03-18 | 원정제관(주) | Packaging container |
KR102059975B1 (en) * | 2019-08-20 | 2019-12-27 | 동화제관(주) | Pint p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35674B2 (en) | Sealed food box | |
EP2447180B1 (en) |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stopper | |
US7926674B2 (en) | Container with seal | |
US7357267B1 (en) | Plastic bottle with handle | |
US20040104230A1 (en) | Collapsible container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goods | |
KR20170038022A (en) | Container and closure and manufacture thereof | |
CA3120714A1 (en) | Dual-seal liner and non-removable closure assembly | |
KR20060020582A (en) | can | |
KR200367605Y1 (en) | can | |
US6817473B2 (en) | Household product package with tamper evident cap | |
CA2579428A1 (en) | Non-cylindrical container and lid | |
JP2003276725A (en) | Paper container | |
CN101743169A (en) | Easy grip bottle | |
CN212074943U (en) | Anti-leakage paper cover | |
AU2011302623B2 (en) | Container for retention of shrink wrap | |
JP2527402Y2 (en) | Plastic bottle | |
EP3386871B1 (en) | Beverage container | |
KR200348913Y1 (en) | The ink can by steel which have to if pile up | |
JPH0415639Y2 (en) | ||
JP2015105113A (en) | Plastic bottle | |
KR200437656Y1 (en) | Packaging container | |
CN217457059U (en) | Novel packaging can | |
CN220054838U (en) | Barrel with barrel cover easy to open | |
KR200276077Y1 (en) | Packing can capable of loading in a multilayer | |
KR200423233Y1 (en) | Packaging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