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881A -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881A
KR20060019881A KR1020040068563A KR20040068563A KR20060019881A KR 20060019881 A KR20060019881 A KR 20060019881A KR 1020040068563 A KR1020040068563 A KR 1020040068563A KR 20040068563 A KR20040068563 A KR 20040068563A KR 20060019881 A KR20060019881 A KR 20060019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izer
computer
environment
convertible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9881A/ko
Publication of KR20060019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컨버터블 컴퓨터(Convertible PC)에 있어서, 특히 컴퓨터의 사용 환경에 따라 디지타이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은, 노트북 및 타블렛의 동작을 지원하는 컨버터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별로 디지타이저의 동작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컴퓨터에서의 현재 디지타이저 사용 환경 정보를 감지한 후, 감지된 결과와 미리 설정된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타블렛 환경이면 인에이블시켜 주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노트북 환경이면 스타일러스 장착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켜 주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사용 불가능 환경이면 디지타이저를 디스에이블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컴퓨터, 타블렛, 노트북, 디지타이저

Description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Driving control method of digitizer in the convertible PC}
도 1은 종래 컨버터블 컴퓨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디지타이저 모드 검출부 53,54...센서
55...이벤트 발생부 56...제어부
57...디지타이저 58...디지타이저 드라이버
59...사용자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컨버터블 컴퓨터(Convertible PC)에 있어서, 특히 컴퓨터의 사용 환경에 따라 디지타이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들의 시스템은 작고 가벼우며 휴대하기에 편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Note Book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스마트 폰(Smart Phone)등이 그것들이다.
통상 휴대용 컴퓨터인 노트북 컴퓨터나 휴대용 디지털 단말기는 크게 두 가지 형태를 갖는다. 한 형태는 기본 입력장치인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키보드를 중심으로 조작이 이루어지며, 펜은 포인팅 디바이스로 보조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키보드 패드 타입이 있으며, 또 다른 형태는 이동 중에 작업이 편리하도록 한 손으로 컴퓨터를 잡고 다른 손으로 펜이나 손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 패드 타입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노트북 컴퓨터로 지칭되는 휴대용 컴퓨터는 일반 데스크탑형 컴퓨터에 비해 가볍고 부피가 작으며, 쉽게 휴대할 수 있어 일반 데스크탑형 컴퓨터에서는 얻을 수 없는 많은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사용에 있어서 장소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아 컴퓨터의 활용 범위를 한층 확장시키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1)은 하부의 키보드부(2) 및 상부의 디스플레이부(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1의 (a)와 같이 타블렛(tablet) 모드일 때 상기 키보드부(2)의 상단으로 디스플레이부(3)가 중첩되고, 도 1의 (b)와 같이 노트북 모드일 때 상기 키보드부(2))의 후단으로 디스플레이부(3)가 경사지게 이동된다.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1)은 타블렛 모드 또는 노트북 형태로 컨버터블하게 사용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1)은 타블렛 환경일 때 스타일러스(4)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의 LCD 화면상에서 입력하면 디지타이저가 스타일러스(4)의 입력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1)은 노트북 환경일 때, 키보드부(2)의 키보드(2a)를 이용하여 경사진 디스플레이부(3)의 LCD 화면을 보면서 키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1)은 컨버터블 컴퓨터로서, 사용 환경에 따라 타블렛 또는 노트북 환경으로의 모드 변경이 가능하며, 시스템 본체는 키보드부 또는 디스플레이부 내부에 탑재된다.
도 2는 종래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디지타이저(digitizer)(10)는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의 한 종류로서, LCD 패널의 배면에 설치되어 직사각형의 넓다란 평면 모양 타블렛(tablet)(11)과, 타블렛 위에서 사용자가 손에 잡고 움직일 수 있는 펜 모양의 스타일러스(stylus)(12)로 구성된다.
상기 타블렛(11)은 X, Y 좌표입력 표면(X and Y coordinate input surface) 밑에 그물 형태로 미세하기 구성되어 있는 전선이 깔려 있다. 상기 타블렛(11) 위 에서 움직이는 물체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X 축과 Y 축의 좌표를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2진 데이터(binary data)로 변환하는 입력장치이다.
사용자가 스타일러스(12)를 이동시키면 그 좌표 정보를 밑판이 읽어 자동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 기억 장소로 전달하고, 상기 스타일러스(12)의 뾰족한 부분인 팁(tip)을 누르거나 버튼들을 누르면 그에 해당되는 명령이 수행된다. 상기 스타일러스(12)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있어서 팁을 누르면 스타일러스(12)의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타이저는 그림, 도표, 설계도면 등을 그리기 위한 CAD(computeraided design) 시스템이나 그래픽 디스플레이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된다.
상기의 디지타이저(10)는 스타일러스(12)의 움직임에 따른 X, Y 좌표 입력 표면 밑의 전자장(electro magnetic field)의 아날로그 변화를 입력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1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X, Y 좌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좌표 변환부(14)로 구성된다. 이때 X, Y 좌표 값은 컴퓨터 시스템에 적합한 이진 데이터(binary data)이다.
상기 디지타이저(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컴퓨터 본체와 직렬 인터페이스(20)로 연결되며, 바이오스(21) 및 디지타이저 드라이버(22)에 의해 스타일러스 입력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타이저(10)의 좌표 변환부(14)로부터 출력되는 X, Y 좌표 값은 컴퓨터 본체의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12)로 입력되면, 바이오스(basic input output system; BIOS)(21)는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20)로부터 X, Y 좌표 값이 입력되는가를 감시하여, 입력되는 X, Y 좌표 값을 디지타이저 드라이버(digitizer driver)(22)로 제공한다. 상기 디지타이저 드라이버(22)는 입력되는 좌표 값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한다.
이때, 윈도우 상에서 디지타이저 드라이버(22) 및 운영체제(30)를 통해 스타일러스(12)의 작업을 인식하게 되며, 중앙처리부(CPU)(31)는 영상 처리부(32)를 제어하여 LCD 구동부(33)를 구동시켜 상기 스타일러스 작업에 대응하는 응답을 LCD 패널(34)에 표시해 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컨버터블 컴퓨터에서는 노트북 모드이거나 타블렛 모드에 상관없이 디지타이저(10)가 항상 인에이블(enable)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으며, 필요시 디지타이저(10)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항상 디지타이저(10)를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함에 따라 디지타이저(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동안에는 항상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배터리 소모가 큰 문제가 있다.
또한 디지타이저(10)의 자기장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해 디지타이저(10)의 뒷면과 시스템의 각 노이즈 발생 부위에 노이즈 방지 시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기장으로 인한 시스템의 오 동작이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지타이저(10)의 사용을 원치 않을 경우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은 컨버터블 컴퓨터에서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을 인지하고, 그 사용 환경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은,
노트북 및 타블렛의 동작을 지원하는 컨버터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별로 디지타이저의 동작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컴퓨터에서의 현재 디지타이저 사용 환경 정보를 감지한 후, 감지된 결과와 미리 설정된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타블렛 환경이면 인에이블시켜 주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노트북 환경이면 스타일러스 장착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켜 주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사용 불가능 환경이면 디지타이저를 디스에이블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타이저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위해, 디지타이저에 인가되는 전원 제어, 하드웨어의 스탠바이 제어, 소프트웨어 스탠바이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터의 사용 모드(51) 또는 디지타이저의 사용 불가능 모드(52)인지를 판단하는 디지타이저 모드 검출부(50)와, 상기 디지타이저 모드 검출부(50)를 통해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 여부 및 유무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센서(53,54)와, 상기 센서(53,54)의 감지결과를 인식한 후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디지타이저(57)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시켜 주기 위한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부(55)와, 상기 이벤트 발생부(55)로부터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디지타이저(57)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켜 주는 제어부(56)와, 상기 이벤트 발생부(55)에 의해 디지타이저(57)의 스타일러스 입력을 인식하고 디지타이저(57)의 각 모드에 따른 사용자 환경 설정을 가능케 하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58)와, 사용자 인터페이스(59)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 모드 검출부(50)는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57)의 사용 모드(51) 또는 사용 가능 모드(52)로 분류하여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디지타이저 사용 모드(51)는 컴퓨터가 사용되어지는 환경에 대한 것이며, 사용 불가능 모드(52)는 디지타이저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인지, 사용 불가능 환경인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디지타이저 사용 모드(51)는 컨버터블 컴퓨터에서 노트북 모드로 사용되는지, 타블렛 모드로 사용되는지 구분되며, 디지타이저 사용 불가능 모드(52)는 디지타이저의 불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노트북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디지타이저의 동작(인에이블/디스에이블)을 설정할 수 있게 제공해 주며, 타블렛 환경에서는 특별한 사용자의 세팅이 없는 경우 디지타이저를 인에이블(사용함)로 설정된다.
그리고, 사용 불가능 환경은 LCD 패널을 덮어놓거나 운반, 노화(AGING) 등으로 스타일러스 동작을 실행할 수 없는 상황으로 디지타이저를 디스에이블 시켜 준다. 그 나머지는 디지타이저의 사용 가능으로 설정해 준다.
상기 디지타이저 사용 모드(51)는 제1 센서(53)에 의해 감지되며, 디지타이저 사용 불가능 모드(52)는 제 2센서(54)에 의해 감지된다. 제 1센서(51)는 현재 키보드가 사용 가능한지, 스타일러스가 컴퓨터 본체로부터 탈착 여부 등에 따라 현재의 디지타이저 사용 모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센서(54)는 컴퓨터 운반이나 LCD 패널을 덮어놓은 상태, LCD 패널에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입력이 없을 경우 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벤트 발생부(55)는 제 1 및 제 2센서(53,54)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디지타이저(57)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켜 주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즉, 디지타이저 사용 모드별로 미리 설정된 디지타이저의 동작 제어 값이 매핑 테이블 형태로 기록되며, 이러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에 따라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56)는 상기 이벤트 발생부(55)에 의해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디지타이저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켜 준다. 즉, 타블렛 환경일 때 인에이블시켜 주고, 노트북 환경일 때 스타일러스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면 인에이블시켜 주고 스타일러스가 장착되어 있으면 디스에이블시켜 주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56)는 디지타이저(57)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켜 주기 위해, 직접 디지타이저를 온/오프시켜 주게 된다.
상기 제어부(56)의 제어 방식 중 첫 번째는 디지타이저(57)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해, 디지타이저(57)의 전원을 온/오프시켜 주기 위한 구동 신호와 전원 공급원, 그리고 그 사이의 스위칭 소자(FET)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에는 디지타이저의 PNP(P-ch FET, N-ch FET, P-ch FET) 기능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두 번째, 하드웨어 스탠바이(hardware standby)로서, 하드웨어의 특정 제어 핀을 통하여 디지타이저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타이저를 파워 온 서스펜드 상태로 만들어주게 된다. 세 번째, 소프트웨어 스탠바이(software standby)로서, 디지타이저 사용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켜 이를 운영체제 또는 디지타이저 드라이버에 전달하거나 특정 명령을 사용하여 이를 통해 디지타이저를 스탠바이 상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지타이저 드라이버(58)는 이벤트 발생부(55)로부터 발생된 이벤트가 인에이블이면 디지타이저(57) 상에서의 스타일러스의 입력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디지타이저 드라이버(5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9)를 통해서 유틸리티(utility) 또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디지타이저의 모드 설정이 가능하게 하고, 그 설정한 모드에 따라 디지타이저의 동작을 자동 변경, 유저 설정 변경, 변경 없음 등의 기능을 제공해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디지타이저(57)의 사용 모드를 조합하여 컴퓨터의 사용 환경에 가장 적합한 디지타이저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터의 사용 환경에 따라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이 설정되면(S51), 현재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을 감지하게 된다(S53).
이때, 상기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의 감지결과, 타블렛 환경인가를 확인하고(S55), 타블렛 환경이면 디지타이저를 인에이블시켜 주고(S63), 타블렛 환경이 아니면 노트북 환경인가를 확인하게 된다(S57).
상기 S57의 확인결과, 노트북 환경이면 스타일러스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고(S58), 스타일러스가 장착되지 않았으면 디지타이저를 인에이블시켜 주고(S63), 스타일러스가 장착되어 있으면 디지타이저를 디스에이블시켜 준다(S61).
그리고, 디지타이저의 사용 불가능 환경인지를 확인한 후(S59), 사용 불가능 환경이면 디지타이저를 디스에이블시켜 준다(S61).
상술한 컨버터블 컴퓨터는 반드시 도 1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구조가 아니더라도, 타블렛이 적용된 컴퓨터에는 모두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며, 컴퓨터의 사용 환경에 따라 최적으로 부합되는 디지타이저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상태를 미리 설 정해 주고, 이에 따라 디지타이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지타이저를 특정 환경에서만 인에이블시켜 줌으로써 시스템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여 동작은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노트북 및 타블렛의 동작을 지원하는 컨버터블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별로 디지타이저의 동작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
    컴퓨터에서의 현재 디지타이저 사용 환경 정보를 감지한 후, 감지된 결과와 미리 설정된 디지타이저의 사용 환경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타블렛 환경이면 인에이블시켜 주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노트북 환경이면 스타일러스 장착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타이저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켜 주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디지타이저가 사용 불가능 환경이면 디지타이저를 디스에이블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위해, 상기 디지타이저에 인가되는 전원 제어, 하드웨어의 스탠바이 제어, 소프트웨어 스탠바이 제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KR1020040068563A 2004-08-30 2004-08-30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KR20060019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563A KR20060019881A (ko) 2004-08-30 2004-08-30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563A KR20060019881A (ko) 2004-08-30 2004-08-30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881A true KR20060019881A (ko) 2006-03-06

Family

ID=3712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563A KR20060019881A (ko) 2004-08-30 2004-08-30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98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936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power control sensor
US6711004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for selectively operating in normal mode and tablet mode
US8624843B2 (en) Keyboard apparatus integrated with combined touch input module
US79030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method, and sensing device
US69548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for use in a touch-sensitive pad
US20100265209A1 (e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US20070171239A1 (en) Multiple-position docking station f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US2007005706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power modes
JP5485154B2 (ja) 入力装置、特に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JP5555200B2 (ja) タッチ・パネルを備える電子機器をウェイク・アップする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369429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20100039388A1 (en) Keyboard apparatus integrated with touch input module
KR101343610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CN104898962B (zh)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415184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CN201562144U (zh) 在高低能耗模式之间切换的电子设备和包括其的电子相框
KR20060019881A (ko) 컨버터블 컴퓨터에서의 디지타이저 동작 제어 방법
US20150370352A1 (en) Active stylus pen, data inpu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ctive stylus pen
JP6220429B1 (ja) 情報処理装置、タッチパネル感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8671B1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16024A1 (en) Touch pad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290569B (zh) 电源控制方法与使用此方法的电子装置
JP3634402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CN216647325U (zh) 一种显示触控装置及电子设备
TWI486742B (zh) 用於一電子裝置之電源管理方法及其相關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