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307A -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307A
KR20060018307A KR1020040066629A KR20040066629A KR20060018307A KR 20060018307 A KR20060018307 A KR 20060018307A KR 1020040066629 A KR1020040066629 A KR 1020040066629A KR 20040066629 A KR20040066629 A KR 20040066629A KR 20060018307 A KR20060018307 A KR 2006001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mposite
composite material
preform
mold
impreg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관
변준형
엄문광
하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6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307A/ko
Publication of KR2006001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7/00Making 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 C22C47/02Pretreatment of the fibres or filaments
    • C22C47/025Aligning or orienting th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7/00Making 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 C22C47/08Making 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by contacting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molten metal, e.g. by infiltrating the fibres or filaments placed in a mould
    • C22C47/12Infiltration or casting under mechanical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49/00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 C22C49/02Alloys containing metallic or non-metallic fib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rix material
    • C22C49/04Light metals
    • C22C49/06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가압력으로도 금속복합재료의 함침이 용이하도록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은, 직조된 프리폼(100)과 기지재료(150)를 캔(220)에 장입하는 캐닝과정(200)과, 상기 캔(220)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는 진공형성과정(300)과, 상기 기지재료(150)를 용융시키는 용해과정(400)과, 금형(520)을 예열하는 금형예열과정(500)과, 예열된 금형(520)에 상기 캔(220)을 내장시켜 가압하는 함침과정(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해과정(400)과 금형예열과정(500)은 동시에 행하여지며, 상기 프리폼(100)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직조되는 연속섬유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재료(150)는 알루미늄(Al)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해과정(400)에서의 온도는 상기 기지재료(150)의 용해온도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폼의 변형없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압력으로 경량의 박판 금속복합재료의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금속복합재료, 액상가압, 프리폼, 기지재료, 함침, 박판

Description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Matrix Composites using Liquid pressing process}
도 1 은 종래 용탕단조법에 의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직조된 프리폼의 2차원 입체도.
도 2b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직조된 프리폼의 3차원 입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서의 캔몸체에 프리폼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b 는 도 4a 에 기지재료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c 는 도 4b 에 캔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서의 함침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a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의 함침과정에서 가압방향에 따른 멜트(Melt)의 유동형태를 보인 구성도.
도 6b 는 도 6a 에서 섬유다발 사이의 1차유동 형태를 보인 상태도.
도 6c 는 도 6a 에서 섬유가닥 사이의 2차유동 형태를 보인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의 함침과정에서 표면장력을 극복하기 위한 가압력을 보인 실험그래프.
도 8a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서 2차원으로 직조된 프리폼에 함침된 금속복합재료의 평면사진.
도 8b 는 도 8a 의 확대 단면사진.
도 8c 는 도 8b 의 A'부분 확대 사진.
도 9a 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서 3차원으로 직조된 프리폼에 함침된 금속복합재료의 평면도.
도 9b 는 도 9a 의 X방향 단면사진.
도 9c 는 도 9a 의 Y방향 단면사진.
도 9d 는 도 9b 의 A부분 확대 사진.
도 9e 는 도 9c 의 B부분 확대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리폼 150. ..... 기지재료
200. ..... 캐닝(Canning)과정 220. ..... 캔
222. ..... 캔몸체 224. ..... 캔커버
226. ..... 배출관삽입구 228. ..... 배출관
300. ..... 진공형성과정 400. ..... 용해과정
500. ..... 금형예열과정 520. ..... 금형
600. ..... 함침과정 620. ..... 프레스
본 발명은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낮은 가압력으로도 금속복합재료의 함침이 용이하도록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란 두 가지 이상 구성물질의 혼합체로써 서로 화학적으로 구분되는 구성물질들이 각각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결합되어 있으면서 각 구성물질의 독특한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개개의 구성물질이 분리 되어 있을 때 보다 좋은 특성을 얻고자 인위적으로 구성된 물질을 일컫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 재료용 복합재료의 구성물질은 기지와 강화재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기지는 강화재를 서로 결합시키고 강화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복합재료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복합 재료 내에서 연속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한편, 강화재는 외부응력을 지탱하여 복합재료가 기지에 비해 좋은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게 하며 기지 내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 휘스커 또는 섬유 형태의 구성물질이다.
그리고, 금속기지 복합재료는 금속기지의 높은 인성과 산화물(Al2O3), 탄화물(SiC, B4C), 질화물(TiN, AlN) 등 강화입자의 고경도, 고온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등의 조합에 의해 기존의 금속재료에 비하여 비강도, 탄성계수 및 인성 등이 크게 향상된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면서 고분자 복합재료에 비하여 고온 강도, 전기 및 열전도도와 내마멸 특성이 우수하며, 소재의 재활용율도 고분자 복합재료보다 높아 우주항공, 자동차 및 방위 산업 등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소재이다.
또한, 알루미늄기지 복합재료는 신소재 중에서 기존 철강 및 비철 재료에 비해 경량이면서 높은 비강도, 피로강도, 탄성률, 내마모성, 고온 특성, 낮은 열팽창 계수 등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재료이다.
도 1 에는 용탕단조법에 의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상태가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금형(10)의 내부에 프리폼(Preform, 12)이 장입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리폼(12) 주위에 액상인 용탕(1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10)의 상부에는 펀치(Punch, 16)가 설치되어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금형(10) 내부의 용탕(14)에 압력(P)을 가하게 된다.
상기 펀치(16)에 의해 상기 용탕(14)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금형(100)의 하측에 장입되어 있는 프리폼(12) 사이에 액상인 용탕(14)이 스며들어 함침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금속복합재료가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탕단조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프리폼(12)이 장입되어 있는 상기 금형(10)의 고액 공존 구간에서 상기 펀치(16)로 가압함으로써 액상인 상기 용탕(14)이 상기 프리폼(12) 내부로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탕단조법은 고액 공존 구간에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펀치(16)에 의한 50MPa 이상의 높은 가압력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상기 펀치(16)의 가압시기가 조금만 늦어도 상기 용탕(14)의 유동 저항이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재현성이 떨어지게 되며, 특히 얇은 판재의 제조는 더 더욱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가압력으로도 금속복합재료의 함침이 용이하도록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은, 직조된 프리폼과 기지재료를 캔에 장입하는 캐닝과정과, 상기 캔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는 진공형성과정과, 상기 기지재료를 용융시키는 용해과정과, 금형을 예열하는 금형예열과정과, 예열된 금형에 상기 캔을 내장시켜 가압하는 함침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해과정과 금형예열과정은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폼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직조되는 연속섬유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재료는 알루미늄(Al)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해과정에서의 온도는 상기 기지재료의 용해온도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폼의 변형없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압력으로 경량의 박판 금속복합재료의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금속복합재료는 기지금속(Matrix alloy)과 강화재(Reinforcement)를 거시적으로 혼합하여 사용 용도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게 하는 재료로 정의되는데, 열적 안정성, 비강도, 열전도도, 내마모성, 치수 안정성 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요구 특성을 설계자가 선택적으로 재단(Tailorability)할 수 있는 뛰어난 설계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금속복합재료는 기지금속과 강화재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Al)합금, 구리(Cu)합금, 티타늄(Ti)합금 등이 기지금속으로 주로 사용되고, 강화재로는 탄화규소(SiC), 알루미나(Al2O3), 탄소(Carbon)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상용화된 금속복합재료는 알루미늄기지 금속복합재료로써,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인 아웃개싱(Outgassing)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도 2a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직조된 프리폼의 2차원 입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직조된 프리폼의 3차원 입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서의 캔몸체에 프리폼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 에는 도 4a 에 기지재료를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c 에는 도 4b 에 캔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액상가압공정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은 직조된 프리폼(Preform,100)과 기지재료(150)를 캔(220)에 장입하는 캐닝(Canning)과정(200), 상기 캔(220)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는 진공형성과정(300), 상기 기지재료(150)를 용융시키는 용해과정(400), 금형(520)을 예열하는 금형예열과정(500), 그리고 예열된 금형(520)에 상기 캔(220)을 내장시켜 가압하는 함침과정(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닝과정(200)은 도 4a 내지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220)에 프리폼(100)과 기지재료(150)를 차례로 적재하게 된다. 즉, 대략 사각박스 형상의 캔몸체(222) 내부에 도 2a 와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직조된 프리폼(100)을 먼저 적재하고, 상기 프리폼(100)의 상단에 기지재료(150)를 적재하 며, 상기 캔몸체(222)의 상면을 캔커버(224)로 차폐하게 된다.
상기 프리폼(100)은 강도와 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Carbon Fiber : PAN type carbon fiber 또는 Pitch type carbon fiber), 탄화규소섬유(SiC Fiber) 또는 알루미나섬유(Al2O3 Fiber) 등 직조가 가능한 연속섬유이면 모두 가능하고, 상기 기지재료(150)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볍고 얇으며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캔(22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배출관삽입구(226)에 배출관(228)의 일단을 삽입하고, 상기 캔(220) 내부의 가스 등 유체를 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캔(220)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며, 내부의 가스를 배출한 다음에는 상기 배출관(228)을 제거하고 상기 배출관삽입구(226)를 밀폐한다.
이처럼 상기 캔(220) 내부의 가스(유체)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기지재료(150)가 용융되는 경우에 주위의 가스 때문에 보강재의 산화반응과 같은 화학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미리 방지하고, 복합재의 기공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캔(220) 내부의 가스가 제거되고 나면, 상기 캔(220)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열로에서 가열하게 된다. 이때에는 기지재료(150)가 액상이 되도록 상기 기지재료(150)의 용융점 이상까지 가열하여야 하며, 상기 캔(220)은 상기 기지재료(150)보다 용융점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게 되므로 용융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프리폼(100)과 기지재료(150)가 장입되어 밀봉된 상태의 캔(220)을 가열함과 더불어 상기 캔(220)을 가압하기 위한 금형(520)도 가열하게 된다. 이 처럼 상기 금형(520)을 미리 가열하는 이유는 상기에서 가열된 캔(220)을 상온의 금형(520)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고온의 캔(220)이 금형(520)으로 열을 빼앗겨 상기 기지재료(150)가 급속하게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상기 캔(220)을 상온의 금형(520)에 삽입하여 성형한 결과 성형시험편이 금형(520) 내부에 충분히 충진되지 않았으며, 금형(520)의 온도를 미리 예열하여 상기 캔(220)의 가열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성형시험편을 성형한 경우에는 시편이 금형(520) 내부에 완전히 충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형(520)을 예열하여 유지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서의 함침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가열된 캔(220)을 예열된 금형(520)에 장착한 후, 프레스(620)를 이용하여 하중(P)을 가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캔(220) 내부에 정수압이 걸리게 되고 액상의 기지재료(150)가 상기 프리폼(100)에 함침된다.
상기와 같이 기지재료(150)의 함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면장력의 극복이 필요하다. 즉, 알루미늄 용해물(Al melt)이 직조된 프리폼(100)으로 함침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소섬유(Carbon Fiber)로 이루어진 프리폼(100) 사이로 용융된 알루미늄(Al)이 유동하여야 하므로 표면장력의 극복이 필요하다.
도 6a 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함침과정에서 가압방향에 따른 멜트(Melt)의 유동형태를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b 에는 도 6a 에서 섬유다발 사이의 1차유동 형태를 보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c 에는 도 6a 에서 섬유가닥 사이의 2차유동 형태를 보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알루미늄 용해물(Al melt)이 직조된 프리폼(100) 내부의 탄소섬유 다발과 가닥들과의 계면에서 생기는 표면장력에 의해 탄소섬유(CF) 전체에서 섬유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이 형성되므로, 이 경우의 유동은 도 6b 의 섬유다발 사이와 도 6c 의 섬유가닥 사이에서 반복된다고 할 수 있다.
즉, 1차유동에서는 섬유가닥 사이에서 보다 섬유다발 사이에서의 표면장력을 극복하려는 가압력이 커게 작용하고, 2차유동에서는 섬유다발 사이에서 보다 섬유가닥 사이에서의 가압력이 커게 작용하게 됨으로써 함침에 관련된 가압력은 섬유가닥 사이에서 작용하는 2차유동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알루미늄 용해물(Al melt)이 직조된 프리폼(100) 내부로 함침되는 것을 방해하는 이와 같은 표면장력의 극복에 필요한 가압력은 다음과 같은 힘 평형 방정식으로부터 계산이 가능하다.
예로 섬유 두 가닥에 작용하는 표면 장력에 의한 유동 형태로 한정하여 식 전개를 단순화하면,
2γcosθ = Lcellㆍ△P 가 되고, 따라서 표면장력의 압력상당치는
△P = 2γcosθ/Lcell 가 된다.
여기서, 알루미늄 용해물(Al melt)의 표면장력 γ = 3.18 ~ 3.4 N/m이고 접촉각 θ = 140°~ 160°인데, 같은 섬유체적율에서 단위 셀 간 거리(Lcell)가 사각배 열(γ = 3.4 N/m, θ = 160°)보다 삼각배열(γ = 3.18 N/m, θ = 140°)이 길므로 표면장력 효과는 사각배열이 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식의 결과치가 도 7 에 도시되어 있으며, 결과치에서 압력상당치가 음수값을 보이는 것은 표면장력이 유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프레스(620)에 작용하는 하중(P)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경우, 초기에는 표면장력이 유동을 방해하므로 탄소섬유(CF)인 프리폼(100) 내부로 기지재료(150) 즉, 알루미늄 용해물(Al melt)이 함침되지 않고 탄소섬유(CF)를 압축시키는데 소진된다.
그러다가 압력(P1)이 표면장력보다 커지면 함침이 시작되며, 일단 알루미늄 용해물(Al melt)의 유동이 시작되면 탄소섬유(CF)인 프리폼(100) 내부로 완전 충전되는 것은 순식간(1-2초 이내)에 일어난다.
한편, 상기에서 함침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표면장력을 극복하는 힘 외에 상기 캔(220)의 소성변형에 필요한 소성가압력(P2)이 더 필요하다. 즉, 상기 프레스(620)에 작용하는 힘(P)에 의해 상기 캔(220)이 소성변형을 일으켜 찌그러지게 되면, 용융상태의 알루미늄 용해물(Al melt)에 압력이 가해져서 정수압에 의한 함침이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의 가압력(P)은 함침에 필요한 이론적 최소 가압력(P1)과 캔(220)의 소성변형에 필요한 가압력(P2)의 합이 된다. 예로, 함침에 필요한 이론적 최소 가압력(P1)이 0.8 MPa이고 캔(220)의 소성변형에 필요한 가압력(P2)이 20.0 MPa이라면 실제 가압력(P)는 최소한 20.8 MPa 이상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도 8a 에는 본 발명의 2차원으로 직조된 프리폼에 함침된 금속복합재료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b 에는 도 8a 에서 세로축으로 절단한 확대 단면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8c 에는 도 8a 에서 가로축으로 절단한 확대 단면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2차원으로 직조된 프리폼(100)에 기지재료(150)의 함침이 골고루 잘 되어 있어 판재형상으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박판의 금속복합재료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a 에는 본 발명의 3차원으로 직조된 프리폼에 함침된 금속복합재료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b 에는 도 9a 의 X방향 단면사진을, 도 9c 에는 도 9a 의 Y방향 단면사진을, 도 9d 에는 도 9b 의 A부분 확대 단면사진을, 그리고 도 9e 에는 도 9c 의 B부분 확대 단면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3차원으로 직조된 프리폼(100)에 기지재료(150)의 함침이 골고루 잘 되어 있어 도 8 에서와 같은 판재형상이 아닌 금속복합재료의 벌크(Bulk)화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에서는, 2차원 또는 3차원적으로 직조된 프리폼에 기지재료를 캔에 장입하여 가열하고, 이렇게 가열된 액상의 기지재료를 가압함으로써 프리폼에 함침시켜 금속복합재료를 제조하게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높은 가압력(50MPa이상)으로 인해 프리폼의 변형을 야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보다 낮은 가압력(30MPa이하)으로 프리폼의 변형없이 금속복합재료의 제작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용융된 기지재료의 초기 유동을 방해하는 표면장력에 의한 이론적 압력(0.8MPa)보다 외부압력이 조금만 크면 완전한 함침을 위한 시간이 극히 짧아지므로, 기지재료가 프리폼에 함침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기지재료를 알루미늄(Al)재질로 하여 직조된 프리폼에 함침시킴으로써 가볍고 얇으며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복합재료의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2차원으로 직조되는 프리폼으로 제작되는 금속복합재료의 판재형상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 3차원으로 직조되는 프리폼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진 금속복합재료의 제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벌크(Bulk)형상의 금속복합재료의 제조도 가능한 이점도 있다.

Claims (5)

  1. 직조된 프리폼과 기지재료를 캔에 장입하는 캐닝과정과,
    상기 캔 내부의 유체를 제거하는 진공형성과정과,
    상기 기지재료를 용융시키는 용해과정과,
    금형을 예열하는 금형예열과정과,
    예열된 금형에 상기 캔을 내장시켜 가압하는 함침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과정과 금형예열과정은 동시에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직조되는 연속섬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재료는 알루미늄(Al)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과정에서의 온도는 상기 기지재료의 용해온도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KR1020040066629A 2004-08-24 2004-08-24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KR20060018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629A KR20060018307A (ko) 2004-08-24 2004-08-24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629A KR20060018307A (ko) 2004-08-24 2004-08-24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307A true KR20060018307A (ko) 2006-03-02

Family

ID=3712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629A KR20060018307A (ko) 2004-08-24 2004-08-24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71B1 (ko) * 2011-12-28 2013-09-04 한국기계연구원 가압 공정을 위한 압력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철강 조직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71B1 (ko) * 2011-12-28 2013-09-04 한국기계연구원 가압 공정을 위한 압력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철강 조직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73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ufacturing a structure having organized areas
Orbulov et al. Producing metal matrix syntactic foams by pressure infiltration
JP2009214540A (ja) 金属−セラミックマトリックスハイブリッド複合構造の製造方法、複合構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複合構造
Dukhan et al. Characterization of aluminum foam–polypropylene interpenetrating phase composites: flexural test results
Taufik et al. Feasibility study of natural fiber composite material for engineering application
JP2021003867A (ja) 繊維強化複合材料成形品の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KR20060018307A (ko) 액상가압공정을 이용한 금속복합재료 제조방법
WO2004052573A1 (ja) 複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13233B1 (ko) 비정질 금속기지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Guseppe Technology-driven design of MMC squeeze cast connecting-rods
Park et al. Reinforcement redistribution in Al SiC composites under cyclic deformations
Gohil et al. Emerging techniques for waste residue composites
KR100658098B1 (ko) 액상 가압 성형법을 이용한 나노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N110184549A (zh) 三明治结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H0378177B2 (ko)
Yao et al. Anisotropic compressive properties and energy absorption of metal–resin interpenetrating phase composites
Yadav Spark plasma sintering of aluminum matrix composites
Vaidya et al. The process and microstructure modeling of long-fiber thermoplastic composites
Neussl et al. Selectively fibre-reinforced components produced by the modified investment casting process
Tu Fabric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aluminum matrix composites by squeeze casting
WO2005009649A1 (ja) 強化部材、強化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エンジンブロック
WO2004060592A1 (ja) 複合体の製造方法、複合体の製造装置、及び複合体
Beronská et al. The influence of Cr on structure and thermal expansion of copper matrix composites reinforced with unidirectionally aligned continuous high modulus C fibres
KR102478654B1 (ko) 계면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S60131948A (ja) 繊維強化金属複合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