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012A -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012A
KR20060018012A KR1020040066329A KR20040066329A KR20060018012A KR 20060018012 A KR20060018012 A KR 20060018012A KR 1020040066329 A KR1020040066329 A KR 1020040066329A KR 20040066329 A KR20040066329 A KR 20040066329A KR 20060018012 A KR20060018012 A KR 20060018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ver
dust
collecting containe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8012A/ko
Publication of KR2006001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통을 일측방으로 기울이면 하면커버가 저절로 개방되는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중의 이물이 분리되어 집진되는 집진통(110)과,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먼지필터(150)와, 상기 집진통(110)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하면커버(120)와, 상기 집진통(1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하면커버(120)가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개방수단은 상기 집진통(11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이동통로(160)와; 상기 이동통로(160)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구름볼(162)과; 상기 집진통(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름볼(162)의 충돌시 일단이 상기 하면커버(120)와 분리되는 체결레버(16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진통 내부의 이물제거가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집진통, 이물제거, 하면커버, 개방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통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집진통 하단부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인 커버개방수단에 의해 하면커버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인 커버개방수단에 의해 하면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인 커버개방수단에 의해 하면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집진어셈블리 110. 집진통
112. 흡입가이드 120. 하면커버
120'. 걸림홈 122. 커버힌지
130. 손잡이 140. 상면커버
142. 토출구 144. 체결리브
150. 먼지필터 152. 필터몸체
154. 하단고정부 160. 이동통로
162. 구름볼 164. 체결레버
166. 구획벽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통을 일측방으로 기울이면 하면커버가 저절로 개방되는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본체(1)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몸체(5)와, 상기 하부몸체(5)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도시 생략)가 내장되는 상부몸체(6)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본체(1)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몸체의 양측면에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공기가 본체(1)에서 토출되는 토출부(8a)가 구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b)와,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4)와, 상기 조작부(4)와 흡입노즐(2)을 연결하는 연장관(3a)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도시 생략)와 연결된 전선(9)을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조작부(4)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연결부(3c)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3b) 및 연장관(3a)을 거쳐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에서 집진통(10)에 의하여 미세한 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를 분리하여 토출부(8a)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토출시키는 과정을 거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통(10)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과정을 도 3에 도시한 사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먼지필터(14)가 체결된 상태의 집진 통(10)을 도시한 것으로, 일측에는 흡입연결부를 통하여 본체로 유입된 공기는 집진통의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흡입가이드(12)가 성형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입가이드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질량이 큰 먼지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멍(13a)이 성형된 분리판(13)이 조립되고, 상기 흡입가이드부(12)의 타측 외벽에는 본체(1)에서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성형된 손잡이(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집진통(10)의 상부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면커버(11)에는, 중앙에 토출구(11a)가 성형되고, 상기 토출구(11a)의 저면 가장자리에 먼지필터(14)가 체결된다.
상기 먼지필터(14)의 필터몸체(14b)는 길이방향의 주름이 원주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몸체(14b)의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하측고정부(14a) 테두리는 필터몸체(14b)의 저부를 감싸도록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어 있다.
상기 먼지필터(14)의 필터몸체(14b)는, 소정의 강도가 확보되고 세척시 형태가 유지되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섬유재로 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몸체(14b)의 상부와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상측고정부(도시 생략)와 하측고정부(14a)도 필터몸체(14b)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세척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몸체(14b)가 길이방향의 주름이 다수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유동 하는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게 되므로, 집진효율이 최대로 극대화되게 된다. 즉, 토출구(11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몸체(14b)에 의하여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먼지필터(14)의 필터몸체(14b) 표면에 미세한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필터(14)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털어주거나 세척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상기 집진통(10) 내부에 쌓이는 이물의 외부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먼지필터의 분리시 필터에 부착된 이물이 동시에 분리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중의 이물이 분리되어 집진되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먼지필터와, 상기 집진통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하면커버와, 상기 집진통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하면커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개방수단은, 상기 집진통의 하단에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구름볼과; 상기 집진통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름볼의 충돌시 일단이 상기 하면커버와 분리되는 체결레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집진통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좌우에 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은, 일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의 일측에는 체결레버의 회동 후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이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진통 내부의 이물제거가 보다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분리하여 집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캐니스터 방식(Canister type) 및 업라이트 방식(Upright type)은 물론 모든 타입의 청소기에 장착 가능한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어셈블리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어셈블리의 집진통 하단부가 평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a와 6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어셈블리의 커버개방수단의 작동상태가 부분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진어셈블리(100)에는 대략 원통형의 집진통(110)이 구비되고, 이러한 집진통(110)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흡입 가이드(1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가이드(112)는 일단이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으로 소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통(110)의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112)는 상기 집진통(110)의 외면에 비스듬히 일정부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집진통(110)의 하면은 하면커버(12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하면커버(120)는 상기 집진통(110)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커버개방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면커버(120)의 선단(도 6a 및 도 6b에서 볼 때)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레버(164)가 걸어지는 걸림홈(120')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면커버(120)는 하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면커버(120)의 좌측(도 4에서)단에는 하면커버(120)의 회동중심이 되는 커버힌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가이드(112)의 타측 외벽에는 본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30)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통(110)의 상면은 상면커버(14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상면커버(140)는 상기 집진통(110)의 상단에 개폐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중앙에는 토출구(142)가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140)의 저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먼지필터(150)가 체결되는 체결리브(144)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42)의 하부에는 먼지필터(150)가 체결된다. 상기 먼지필터(150)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것으로, 길이 방향의 주름이 원주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필터몸체(152)와, 상기 필터몸체(152)의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하단고정부(154)와, 상기 필터몸체(152)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단고정부(15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먼지필터(150)의 필터몸체(152)는, 소정의 강도가 확보되고 세척시 형태가 유지되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섬유재로 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몸체(152)의 상부와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상단고정부(156)와 하단고정부(154)도 필터몸체(152)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세척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고정부(156)가 상기 상면커버(140)의 체결리브(144)에 체결된다.
상기 필터몸체(152)의 중앙부에는 토출안내구(152a)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안내구(152a)는 상기 필터몸체(152)를 통과한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안내구(152a)의 상단은 상기 상면커버(140)의 토출구(142)와 대응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필터몸체(152)가 길이방향의 주름이 다수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게 되므로, 집진효율이 최대로 극대화되게 된다. 즉, 토출구(142)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몸체(152)에 의하여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집진통(110)의 하단부에는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이동통로(160)와, 상기 이동통로(160) 내부를 따라 구르는 구름볼(162)과, 회동가능한 체결레버(164) 등으로 이루어지는 커버개방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통로(160)는 상기 구름볼(162)이 내부를 굴러 이동가능한 터널로,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즉 도 5에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는 좌이동통로(160')가 좌측면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우측에는 우이동통로(160")가 우측면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이동통로(160')와 우이동통로(160")는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획벽(166)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상기 이동통로(160)의 저면은 전방보다 후방(도 5에서 볼 때)이 낮도록 일정각도(α)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이 경사지도록 하는 것은 상기 집진통(11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름볼(162)이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하면커버(12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좌이동통로(160')와 우이동통로(160")에는 각각 좌측볼(162')과 우측볼(162")이 내장되어 유동한다. 상기 이동통로(160)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체결레버(164)가 구비된다. 즉 좌측레버(164')와 우측레버(164")가 상기 이동통로(160)의 선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체결레버(164)는 상기 집진통(110)과 레버힌지(164a)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되며, 체결레버(164)의 상반부는 상기 이동통로(160)에 위치되고 하반부는 상기 집진통(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버(164)의 하단은 절곡(약 90도 정도)되어 절곡단부(164b)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절곡단부(164b)에 의해 상기 하면커버(120)가 상기 집진통(110) 하단에 밀착된다.
상기 체결레버(164)의 상단부와 상기 구획벽(166) 사이에는 압축스프링(S)이 설치된다. 즉 상기 좌측레버(164')의 선단부와 구획벽(166) 사이 및 상기 우측레버(164")와 구획벽(166) 사이에 각각 압축스프링(S)이 형성되며, 이러한 압축스프링(S)은 상기 체결레버(164)의 상단부가 상기 구름볼(162)에 의해 회동한 다음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진공청소기의 작동에 따라 흡입노즐을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고, 이러한 흡입공기와 이물은 상기 흡입가이드(112)를 통해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토출구(142)를 통하여 빠져나가기 위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먼지필터(150)에 의하여 분리되어 집진통(110)의 내부에 쌓이게 된다.
상기 먼지필터(1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몸체(152)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안내구(152a)를 통해 상방으로 유도되어 상기 상면커버(140)의 토출구(142)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집진통(110) 내부에 이물이 쌓이면, 집진통(110) 하면커버(120)를 개방하여 내부의 이물을 배출하여야 하는데, 이때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집진통(110)의 손잡이(130)를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집진통(110)의 선단부(도 5에서)를 하측으로 기울이면, 상기 이동통로(160)의 후단부에 위치되어 있던 구름볼(162)이 상기 이동통로(160)를 따라 안내되어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구름볼(162)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속도에 의해 점차 속도가 증가하다가 상기 체결레버(164)의 상단부와 충돌하게 된다. 상기 구름볼(162)이 상기 체결레버(164)의 상단부와 충돌하면, 도 6b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164)는 상기 레버힌지(164a)를 축으로 회동하여 하단부의 절곡단부(164b)가 상기 하면커버(120)의 걸림홈(120')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레버(164)의 절곡단부(164b)가 상기 걸림홈(12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하면커버(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힌지(122)를 축으로 하방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이때 상기 집진통(110) 내부의 오물이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집진통(110)을 일측으로 기울이는 것만으로 하면커버(120)의 개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하면커버(120)가 개방되어 내부의 오물이 배출되고 난 다음 다시 장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면커버(120)를 상기 집진통(110)에 장착한다.
이때에는 우선 상기 집진통(110)을 바로 세운다. 상기 집진통(110)이 직립되면, 상기 이동통로(160)의 저면은 후단(도 5에서)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구름볼(162)이 저절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레버(164)는 상기 압축스프링(S)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때 상기 하면커버(120)를 상기 집진통(110) 상면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면커버(120)에 밀려 상기 체결레버(164)가 일정부분 회동하다가, 상기 체결레버(164)의 절곡단부 (164b)가 상기 하면커버(120)의 걸림홈(120')에 걸어지게 되어 하면커버(120)의 체결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통로(160)와 체결레버(164) 등을 좌우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구비하였으나, 좌우의 어느 일측에만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로(160)가 상기 집진통(11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전후로 직선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에서는, 집진통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하면커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개방수단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집진통을 일측으로 기울이는 것만으로 하면커버의 개방이 저절로 완료되므로, 집진통 내부의 오물 제거가 보다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집진어셈블리의 청소작업이 보다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기중의 이물이 분리되어 집진되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먼지필터와,
    상기 집진통 하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하면커버와,
    상기 집진통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하면커버가 개방되도록 하는 커버개방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개방수단은,
    상기 집진통의 하단에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구름볼과;
    상기 집진통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름볼의 충돌시 일단이 상기 하면커버와 분리되는 체결레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집진통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좌우에 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로의 저면은,
    일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의 일측에는 체결레버의 회동 후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20040066329A 2004-08-23 2004-08-23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18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329A KR20060018012A (ko) 2004-08-23 2004-08-23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329A KR20060018012A (ko) 2004-08-23 2004-08-23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012A true KR20060018012A (ko) 2006-02-28

Family

ID=3712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329A KR20060018012A (ko) 2004-08-23 2004-08-23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80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40B1 (ko) * 2009-10-0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N109662650A (zh) * 2018-09-12 2019-04-23 陈斌 撞击式布袋除尘吸尘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40B1 (ko) * 2009-10-0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CN109662650A (zh) * 2018-09-12 2019-04-23 陈斌 撞击式布袋除尘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722B1 (ko) 청소기
KR100635668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3566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709418B1 (ko) 진공청소기
KR10117829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51295B1 (ko) 진공청소기
US10828649B2 (en)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06407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10461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18012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4393287B2 (ja) 電気掃除機
JP2008043792A (ja) 電気掃除機
KR100693571B1 (ko) 진공청소기
KR20060117000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63361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58709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33618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10762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83177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3361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119737A (ko) 진공청소기
KR2006000836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106191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1801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