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723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723A
KR20060017723A KR1020040066195A KR20040066195A KR20060017723A KR 20060017723 A KR20060017723 A KR 20060017723A KR 1020040066195 A KR1020040066195 A KR 1020040066195A KR 20040066195 A KR20040066195 A KR 20040066195A KR 20060017723 A KR20060017723 A KR 20060017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quality measurement
measur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687B1 (ko
Inventor
강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6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13Specific cations in water, e.g. heavy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Specific anions i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6Organic contamination in wa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에서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질측정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의 오염여부 또는 수질상태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모듈과, 물의 오염기준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부와,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물의 오염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제어부에서 판단된 오염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물의 오염여부 또는 수질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등산이나 약수터에 가서 물을 섭취해야하는 경우에도 수질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수질측정모듈, 용존산소량, 온도, 수소이온농도, 총 용존 고형물질,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measuring quality of water using mobile phone and thereof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질측정모듈 20 : 메모리부
30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부
S110 : 수질측정단계 S120 : 판단단계
S130 : 표시단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즉석에서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질측정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의 오염여부 또는 수질상태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게임, 동영상, 영화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건강검진, 감정변화체크, 알콜검사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특성을 활용한 부가서비스는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한편, 산업화에 따른 각종 오염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있으며, 특히 수질오염문제는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더욱 심각하다.
상기와 같은 수질오염은 가정의 생활 하수, 공장 폐수, 농축산 폐수와, 농약, 비료 등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유기물이나 중금속, 독성 물질 등에 의해 일어난다.
이러한 수질오염으로 인해 오염된 수돗물이 각 가정에 제공되기 쉬우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가정에서는 정수기를 사용하거나, 지하수 또는 약수터에서 나오는 물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이나, 지하수, 또는 약수터의 물 역시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것은 아니므로 수질상태를 자주 점검해야 하지만,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하수나 약수터 같은 곳은 그 장소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수질 상태가 수시로 변경되기 쉬워 개인이 물을 사용할 때마다 점검해야할 필요성도 있으나, 이러한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항상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석에서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질측정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의 오염여부 또는 수질상태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은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모듈과, 물의 오염기준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부와,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물의 오염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제어부에서 판단된 오염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질측정모듈은 물에 포함된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와, 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제2센서와,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질측정모듈은 물에 포함된 총 용존 고형물질을 측정하는 제4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디지털 형태로 변경되어 PPM 또는 mg/L 단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에서 판단된 오염정도에 따라 상, 중, 하 또는 바형태의 그래프로 표시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오염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은 수질측정모듈을 통하여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단계와, 수질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오염정도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수질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은 수질측정모듈을 통하여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단계와, 수질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은 수질측정모듈(10), 메모리부(20), 제어부(30) 및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한다.
수질측정모듈(10)은 즉석에서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는 제1센서(12), 용존산소량(DO : Dissolved Oxygen)을 측정하는 제2센서(14), 온도를 측정하는 제3센서(16) 및 총 용존 고형물질(TDS : Total Dissolved Solids)을 측정하는 제4센서(18)를 포함한다.
수질측정모듈(10)은 제1센서 내지 제4센서(12 - 18)에서 측정된 양을 분석하여 데이터화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한다.
이때, 제1센서 내지 제4센서(12 - 18)에서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물에 접촉되는 부분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부(20)는 통상적인 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량(DO), 온도, 총 용존 고형물질(TDS)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값을 데이터화하여 저장한다.
제어부(30)는 수질측정모듈(10)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메모리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물의 오염여부를 판단하거나, 수질측정모듈(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경하여 PPM 또는 mg/L 단위로 디스플레이부(40)에 직접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수질측정모듈(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메모리부(20)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인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수질측정모듈(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PPM(Parts Per Million) 또는 mg/L 단위로 직접 표시하거나, 제어부(30)에서 판단된 수질상태에 따라 물의 오염 정도를 상, 중, 하 또는 바(bar)형태의 그래프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30)에서 판단된 수질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통해 오염정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녹색의 인디케이터는 안전상태, 노랑색의 인디케이터는 주의상태, 빨강색의 인디케이터는 경고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은 수질측정단계(S110), 판단단계(S120) 및 표시단계(S130)를 포함한다.
수질측정단계(S110)는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량(DO), 온도, 총 용존 고형물질(TDS)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질측정모듈(10)을 통하여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한다.
이때, 생물화학학적 산소요구량(BOD : Biolog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 Chemical Oxygen Demand), 부유물질량(SS)의 측정과 같이, 수질측정에 별도의 시료 또는 장비를 필요로하거나, 시간을 필요로 하는 측정방법은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단계(S120)는 수질측정단계(S110)에서 수질측정모듈(10)을 통하여 측정 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오염정도를 판단한다.
표시단계(S130)는 판단단계(S120)에서 판단된 물의 오염정도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수질상태를 상, 중, 하로 표시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표시한다.
또한, 수질측정단계(S110)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디지털 형태로 변경되어 PPM 또는 mg/L 단위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직접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에 구비된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기지국을 통하여 전송하고, 교환국에 연결된 수질분석서버는 전송된 수질측정값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결과값을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은 즉석에서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질측정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의 오염여부 또는 수질상태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된다.
또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물의 오염여부 또는 수질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등산이나 약수터에 가서 물을 섭취해야하는 경우에도 수질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모듈과;
    물의 오염기준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물의 오염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오염여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측정모듈은 물에 포함된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는 제1센서와;
    물에 포함된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제2센서와;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측정모듈은 물에 포함된 총 용존 고형물질을 측정하는 제4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 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질측정모듈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디지털 형태로 변경되어 PPM 또는 mg/L 단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오염정도에 따라 상, 중, 하 또는 바형태의 그래프로 표시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인디케이터를 통해 오염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6. 수질측정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수질측정모듈을 통하여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단계와;
    상기 수질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오염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오염정도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수질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물의 오염상태에 따라 상, 중, 하로 표시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인디케이터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
  8. 수질측정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수질측정모듈을 통하여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측정단계와;
    상기 수질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는 상기 수질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디지털 형태로 변경되어 PPM 또는 mg/L 단위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
KR1020040066195A 2004-08-21 2004-08-2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56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95A KR100565687B1 (ko) 2004-08-21 2004-08-2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195A KR100565687B1 (ko) 2004-08-21 2004-08-2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723A true KR20060017723A (ko) 2006-02-27
KR100565687B1 KR100565687B1 (ko) 2006-03-29

Family

ID=3712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195A KR100565687B1 (ko) 2004-08-21 2004-08-2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7115A (zh) * 2014-12-19 2015-03-1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智能移动终端进行的水质检测方法及系统
KR20210009704A (ko) 2019-07-17 2021-01-27 포엠인포텍 (주) 수자원 공급원 수질 모니터링 및 이용 제한/추천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자원 공급원 수질 모니터링 및 이용 제한/추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40B1 (ko) * 2013-02-22 2014-10-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터블 다항목 수질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539272B1 (ko) * 2013-05-02 2015-07-24 김정환 수질 환경 정보 측정 장치, 수질 환경 정보 측정 방법, 및 수질 환경 정보 측정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7115A (zh) * 2014-12-19 2015-03-1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智能移动终端进行的水质检测方法及系统
KR20210009704A (ko) 2019-07-17 2021-01-27 포엠인포텍 (주) 수자원 공급원 수질 모니터링 및 이용 제한/추천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자원 공급원 수질 모니터링 및 이용 제한/추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687B1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427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상수도 관로 부착형 수질센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정보 제공시스템
Clough et al. Comparison of measured and EF5‐r‐derived N2O fluxes from a spring‐fed river
Au et al. Methodology for public monitoring of total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toxicity in waterways by Canadian high school students
US9557307B2 (en) Beverage diagnostic and preservation devices and methods
CN103140755B (zh) 用于碱度分析的芯片上实验室
WO2007093714A3 (fr) Moyen electronique de detection et d&#39;alarme sans fil permettant la surveillance du niveau d&#39;un liquide contenu dans un reservoir ou une citerne
CN105615881A (zh) 一种监测身体状况的便携装置、系统及方法
CN105637356A (zh) 气体传感器模块、包括气体传感器模块的冰箱及其控制方法
CN106596888A (zh) 采用终端机和手机的网络水质检测系统
CN110470650A (zh) 一种多模式水质重金属在线监测系统
CN104749335A (zh) 水质检测系统、水质检测装置、移动终端和水质检测方法
KR1005656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atz et al. Using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indicators to track the impacts from the land application of treated municipal wastewater and other sources on groundwater quality in a karstic springs basin
US20190187089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mperometric sensor, amperometric sensor, and method for monitoring a measuring fluid in a fluid line network
Rodríguez-Murillo et al. Temporal evolution of organic carbon concentrations in Swiss lakes: Trends of allochthonous and autochthonous organic carbon
Karwot et al. Safety management of water economy. Case study of the water and sewerage company
CN108875230A (zh) 水库水质预测模型的建立方法及装置
Zhao et al. Bacterioplankton community variation in Bohai Bay (China) is explained by joint effects of environmental and spatial factors
KR200369054Y1 (ko) 수질측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5929144A (zh) 测量酒精浓度的可穿戴设备及其方法
KR20040056596A (ko) 수질검사 기능을 갖는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
CN208766100U (zh) 一种水中多种重金属同时在线监测系统
Li et al. Spatiotemporal dynamics of coupled dissolved silica and bicarbonate in a dam-induced urban lake system in the Three Gorges Reservoir Area
KR101910883B1 (ko) 용존수소 농도측정기 및 용존수소 농도측정 방법
CN202256230U (zh) 一种tds测试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