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552A -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552A
KR20060017552A KR1020060005358A KR20060005358A KR20060017552A KR 20060017552 A KR20060017552 A KR 20060017552A KR 1020060005358 A KR1020060005358 A KR 1020060005358A KR 20060005358 A KR20060005358 A KR 20060005358A KR 20060017552 A KR20060017552 A KR 20060017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power supply
control unit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하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7552A/en
Priority to KR1020060012918A priority patent/KR20060024009A/en
Publication of KR2006001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5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보일러 등과 같이, 주된 제어장치[본체 M1]와 본체 [본체 M1]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다수의 단말기 [S2 ∼ Sn] 사이를 전원공급선 2 선만으로 연결하여 본체를 포함한 다수의 단말기 상호간에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쌍방향 통신 씨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본체 [본체 M1]가 단말기[S2 ∼ Sn] 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선 (+), (-), 그리고 Rx, Tx 선 총 4 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2 선만으로 전원공급과 다자간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체와 단말기들 사이의 결선을 위한 옥내.외 배선공사가 용이하도록 하고 결선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다자간 쌍방향 통신을 필요로 하는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 nonpolar two-wi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ultilateral communication is disclosed.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the boiler is started, the main control unit [unit M 1] and the unit number of the terminal [S 2 ~ S n] body by connecting the only power supply line 2, the line to be used in a wired connection with the [unit M 1] It relates to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Normally, the main body [main body M 1 ] needs a total of four power supply lines (+), (-), and Rx and Tx lines in order to enable multi-party communication while supplying power to terminals S 2 to S n .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indoor and outdoor wiring work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s by enabling power supply and multi-wa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sing only two wires, and provides convenience of wiring, resulting in multi-wa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t will increas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Description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종래의 방식으로 쌍방향 통신을 하는 씨스템에 대한 회로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for a system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conventional manner.

도 2 는 종래의 통신방식으로 본체와 단말기가 아닌, 단말기 상호통신이 불가능한 통신방식.Figure 2 is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not the terminal mutual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회로구성도Figure 3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of "non-polarity two-wi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ulti-party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주된 제어장치와 단말기 [부된 제어기]가 쌍방향 통신을 할 때의 각 부에 나타난 데이터 파형도.Fig. 4 is a data waveform diagram showing each part when a main control device and a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M1 ; 주된 제어장치의 회로블럭M 1 ; Circuit block of main controller

S2 ; 제 1 단말기의 회로블럭S 2 ; Circuit block of the first terminal

S3 ; 제 2 단말기의 회로블럭S 3 ; Circuit block of the second terminal

11 ; 주된 제어장치의 송신 데이터 펄스 드라이버11; Transmit data pulse driver of main controller

12 ; 주된 제어장치의 수신 데이터 축출기12; Receive Data Ejector of Main Control

13 ; 주된 제어장치의 구동전원 회로부13; Driving power circuit part of main control device

14 ; 주된 제어장치의 중앙 제어부14; Central control unit of main control unit

15 ; 입력전압 변환 및 브릿지 정류 회로부15; Input voltage conversion and bridge rectifier circuit

21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송신 데이터 펄스 드라이버21; Transmit data pulse driver of terminal [loaded controller]

22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수신 데이터 축출기22; Receive Data Ejector in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23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구동전원 회로부23; Driving power circuit part of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24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중앙 제어부24; Central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d controller]

T11 ; 주된 제어장치의 다운 트랜스T 11 ; Down transformer of main control

F ; 휴즈F; Hughes

D11∼D15 ; 주된 제어장치의 제 1∼ 제 5 다이오드D 11 to D 15 ; First to fifth diodes of the main controller

C11, C12 ; 주된 제어장치의 제 1 및 제 2 콘덴서C 11 , C 12 ; First and second condenser of the main controller

Z11 ; 주된 제어장치의 선로 부하 [Line Impedance]Z 11 ; Line Load of Main Controls [Line Impedance]

R11∼R15 ; 주된 제어장치의 제 1∼ 제 5 저항R 11 to R 15 ; First to fifth resistors of the main control unit

Q11∼Q13 ; 주된 제어장치의 제 1∼ 제 3 트랜지스터Q 11 to Q 13 ; First to third transistors of the main controller

U11 ; 주된 제어장치의 제어마이콤U 11 ; Control microcomputer of main controller

U12 ; 주된 제어장치의 레귤레이터U 12 ; Regulator of main control

Rx1 ; 주된 제어장치의 제어마이콤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Rx 1 ; Receive data input terminal of control microcomputer of main controller

Tx1 ; 주된 제어장치의 제어마이콤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Tx 1 ; Transmission data output terminal of control microcomputer of main controller

O1 ; 주된 제어장치의 제어마이콤의 제어 출력단자O 1 ; Control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of the main control unit

D20, D21, D22, D23, D28, D29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제 1∼ 제 6 다이오드D 20 , D 21 , D 22 , D 23 , D 28 , D 29 ; First to sixth diodes of the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C21, C22, C28, C29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제 1∼ 제 4 콘덴서C 21 , C 22 , C 28 , C 29 ; 1st to 4th condenser of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R21∼R25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제 1∼ 제 5 저항R 21 to R 25 ; First to fifth resistors of terminals [attached controller]

Q21∼Q23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제 1∼ 제 3 트랜지스터Q 21 to Q 23 ; First to third transistors of the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U21 ; 제 1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제어마이콤U 21 ; Control microcomputer of the first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U22 ; 제 1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레귤레이터U 22 ; Regulator of the first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Rx2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제어마이콤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Rx 2 ; Receive data input terminal of control microcomputer of terminal [loaded controller]

Tx2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제어마이콤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Tx 2 ; Transmission data output terminal of control microcomputer of terminal [loaded controller]

I2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키 입력단자I 2 ; Key input terminal of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SW1 ;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입력키 스위치SW 1 ; Input key switch of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U31 ; 제 2 단말기의 제어마이콤U 31 ; Control microcomputer of the second terminal

Rx3 ; 제 2 단말기의 제어마이콤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Rx 3 ; Receive data input terminal of control microcomputer of second terminal

Tx3 ; 제 2 단말기의 제어마이콤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Tx 3 ; Transmission data output terminal of control microcomputer of second terminal

본 발명은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일러 등과 같이 주된 제어장치[M1]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단말기 [예 ; 각방에 설치된 부된 제어기[S2 ∼ Sn]] 사이에 직류 전원 공급선 2 선만을 사용하여 주된 제어장치와 단말기, 또 단말기와 단말기 간에 서로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면서 극성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된 제어장치와 단말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옥내외 배선공사를 용이하도록 하고 또 그 결선의 편리성을 제고하여 결과적으로 쌍방향 통신을 필요로 하는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 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쌍방향 통신 씨스템에 있어서는 주된 제어장치 측에서 단말기 측으로의 직류 전원 공급선 2 선과 쌍방향 통신을 위한 2 선이 필요하여 총 4 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된 제어장치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옥내·외 배선에 어려움이 많고 또 제어장치와 제어기 양쪽에 대응하는 4 단자가 있어 대응하는 각선과 각단자를 구분하여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결선에 어려움이 많았고 또 각선과 단자를 잘못 연결한 경우 단말기의 제어마이콤이 파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도 2 와 같이 구성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시스템은 다자간 [단말기 상호간] 통신이 불가능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lar two-wire bidirectional two-way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ultilateral communication, and is used in connection with a main control device [M 1 ] such as a boiler. Main control device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terminal, an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using only two DC power supply lines between the subordinate controllers [S 2 ~ S n ] installed in each room, without polarity. And to facilitate the indoor and outdoor wiring work for connect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connection as a result of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requiring two-way communication. In the conventional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wo lines of DC power supply line from the main controller side to the terminal side and two wires for two-way communication are required, so that a total of four wires are used to connect the main controller and the terminal. It is difficult to wire indoors and outdoors, and there are 4 terminals corresponding to both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nect because each wire and terminal have to be connected separately.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control microcomputer is destroyed. In addition, the non-polar two-wi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was un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erminals].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쌍방 향 통신을 필요로 하는 주된 제어장치와 단말기간에 직류전원 공급선 2 선만으로 결선하여 이 2 선을 이용하여 주된 제어장치 측으로 부터 단말기 측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양측이 쌍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말기 상호간에도 쌍방향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극성 부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is to connect only two lines of the DC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terminal requir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use these two wires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side to the terminal si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wo-wire two-way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a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both sides of the terminal while supplying a DC power supply, and also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의 특징은 주된 제어장치 측에서 단말기 측으로 선로 부하를 통하여 직류전원을 공급하면서 이 선로 부하에 데이타에 대응하는 펄스 전류를 흘리는 방식으로 단말기 측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단말기 측에서는 주된 제어장치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 받으면서 전원을 공급받는 2 선에 실려있는 데이터를 축출하는 단계, 단말기 측으로 부터의 직류전원 공급선 2 선을 이용하여 주된 제어장치 및 다른 단말기측으로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주된 제어장치 측에서 단말기 측으로 부터의 데이터를 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방식으로 쌍방향 통신을 하는 씨스템에 대한 회로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직류 전원 공급선 2 선 [(+),(-)]과 쌍방향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선 2 선 [Rx, Tx], 총 4 선이 필요하다. 또 주된 제어장치 [1] 측으로 부터의 전원 공급선 [(+), (-)]을 단말기 [2]측의 통신단자 [Rx, Tx]에 잘못 연결하면 단말기 [2]측의 제어마이콤 [U21]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어 결선작업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도 2 와 같이 구성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은 본체와 단말기만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단말기 상호간에는 통신이 되지 않는다. 도 3 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에 있어서는 전원 공급선 2 선 [(+), (-)]을 통신선으로 겸용하여 사용하고 있고 또, 극성 부분없이 사용하기 때문에 선로 결선 잘못으로 인한 오동작이나 고장은 없다. 주된 제어기 [1]는 상용 교류 입력 [AC 110/220V]을 입력받아 트랜스 [T11]로 전압을 다운하여 브릿지 정류회로 [D11 ∼ D14]에서 정류한 후 평활용 콘덴서 [C11]로 평활하여 약 12VDC 정도의 직류 전원 [VCC]을 얻어 레귤레이터 [U12]로 5V 정전압 [VDD]을 만들어 구동전원으로 사용한다. 또 12V 정도의 직류전원 [VCC]은 주된 제어장치의 선로 부하 [Z11]를 통하여 각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전원으로 공급된다. 단말기 [S2]에서는 주된 제어기 [M1]로 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다이오드 [D20 또는 D21]와 콘덴서 [C21]로 정류 및 평활한 후 레귤레이터 [U22]로 5V 정전압을 만들어 단말기의 구동전원으로 사용한다. 단말기 구동용 전류의 흐름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eature of "non-polar two-wire bidirectional two-way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ulti-party communication" is to correspond to data on the line load while supplying DC power through the line load from the main control unit to the terminal side. Transmitting data to the terminal side in the manner of transmitting pulse current, and extracting data contained in the two wires supplied with the DC power supply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at the terminal side, and removing the two DC power supply lines from the terminal side. Transmitting data to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other terminal side using the same, and extracting data from the terminal side on the main control device sid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polar two-wi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ulti-wa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conventional manner, wherein two lines of DC power supply line [(+), (-)] and two lines of data communication line [Rx, Tx], 4 lines in total are required. If the power supply lines [(+), (-)] from the main control unit [1] are incor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s [Rx, Tx] of the terminal [2],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1 ] Is destroyed, so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for the wiring work. In the non-polar two-wi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ed as shown in FIG. 2, only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can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s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 in the " nonpolar 2-wire bidirectional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ulti-party communication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line 2 wire [(+), (-)] is used as a communication line, and polarity There is no malfunction or failure due to wrong wiring. The main controller [1] receives the commercial AC input [AC 110 / 220V], reduces the voltage to the transformer [T 11 ], rectifies it in the bridge rectifier circuit [D 11 to D 14 ], and then to the smoothing capacitor [C 11 ]. Smooth and obtain DC power supply [V CC ] of about 12V DC and make 5V constant voltage [V DD ] with regulator [U 12 ] and use it as driving power. The DC power supply [V CC ] of about 12V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of each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through the line load [Z 11 ] of the main control device. In terminal [S 2 ], the power supplied from main controller [M 1 ] is rectified and smoothed with diode [D 20 or D 21 ] and condenser [C 21 ], and 5V constant voltage is made with regulator [U 22 ]. Used as driving power source. The flow of current for driving a terminal is

주된 제어기 VCC 단자 → Z11 → 주된제어기 (+) 단자 → 단말기의 한단자 → [D20 또는 D21] → C21 → [D22 또는 D23] → 단말기의 다른 한단자 → 주된 제어기 (-) 단자Main controller V CC terminal → Z 11 → Main controller (+) terminal → One terminal of terminal → [D 20 or D 21 ] → C 21 → [D 22 or D 23 ] → The other terminal of terminal → Main controller (- ) Terminals

와 같이 되어 단말기용 전원의 공급은 선로 부하 [Z11]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수개의 단말기에 공급하는 총전류를 30mA 라고 할 때 선로 부하 [Z11]의 저항치를 10Ω 으로 정하면 Z11 의 양단 전압은 0.3V 가 된다. 전류가 더 많으면 Z11 의 저항치를 낮추어 그 양단전압이 0.3V 가 되도록 하면 된다. 또, Z11 을 코일로 바꾸면 그 양단 전압을 0.3V 로 유지하면서 더욱 많은 전류를 복수개의 단말기 [S2, S3, . . .]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Z11 의 양단 전압을 0.3V 정도로 유지시키면 주된 제어장치의 제 2 트랜지스터 [Q12]의 에미터 베이스간 전압이 도통 전압 이하가 되므로 제 2 트랜지스터 [Q12]는 오프 [OFF]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단말기 측의 제 2 트랜지스터 [Q22] 도 에미터 베이스간에 역전압이 걸려있기 때문에 오프 [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Z11 의 순간 전류를 증가시켜 Z11 의 양단전압이 추가로 1.5V 이상 떨어지도록 하면 주된 제어장치의 제 2 트랜지스터 [Q12]도 도통이 되어 순간 온 [ON] 상태가 되고 단말기의 제 2 트랜지스터 [Q22]도 도통이 되어 순간 온 [ON] 상태가 된다.Since the as supply of the terminal power source for is achieved through the line load [Z 11] When referred to the total current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 30mA assuming a resistance value of the line load [Z 11] to 10Ω both-end voltage of the Z 11 Becomes 0.3V. If there is more current, lower the resistance of Z 11 so that the voltage at both ends is 0.3V. In addition, if Z 11 is replaced with a coil, a plurality of terminals [S 2 , S 3 ,. . .] Can be supplied. At this time, if the voltage at both ends of Z 11 is maintained at about 0.3V, the voltage between the emitter bases of the second transistor [Q 12 ] of the main control device becomes less than the conduction voltage, so the second transistor [Q 12 ]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do.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istor [Q 22 ] of the terminal side also maintains the OFF state because the reverse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emitter bases. Increasing the instantaneous current of the Z 11 in this state, when the both-end voltage of the Z 11 to fall more than 1.5V as the second transistors [Q 12] also the conduction time on [ON], the main control device and of the terminal The second transistor [Q 22 ] also becomes conductive and turns on instantaneously [ON].

따라서therefore

단말기의 통상전류 = 30mATypical Current of Terminal = 30mA

Z11 = 10ΩZ 11 = 10Ω

R12 = 20ΩR 12 = 20 Ω

R22 = 20ΩR 22 = 20 Ω

으로 정하여 주된 제어장치의 제어 마이콤 [U11]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 [Tx1]에서 데이터 펄스를 발생시켜 제 1 트랜지스터의 [Q11]의 베이스에 가하면 제 1 트랜지스터[Q11]가 데이터 펄스형태로 온 [ON]되고 이때 단말기의 C28 또는 C29 를 통하여 제 2 트랜지스터 [Q22]도 데이터 펄스형태로 온 [ON]되기 때문에 제 3 트랜지스터 [Q23]도 데이터 펄스형태로 온 [ON]되어 단말기의 제어마이콤 [U21]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 [Rx2]에 데이터가 전달된다. 이때 주된 제어장치의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 [Q12, Q13]도 데이터 펄스형태로 온 되어 주된 제어장치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 [Rx1]에도 데이터가 전달되지만 제어마이콤 [U11]에서 자기 데이터가 되돌아 오는 것은 무시한다. 한편 단말기내 제어마이콤 [U21]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 [Tx1]로부터 데이터 펄스를 발생시켜 제 1 트랜지스터 [Q21]의 베이스에 가하면 제 1 트랜지스터 [Q21]가 데이터 펄스형태로 온 [ON]되고 이 신호가 D28 또는 D29 를 통하여 주된 제어장치에 전달되어 주된 제어장치의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 [Q12, Q13]도 펄스형태로 온 되어 주된 제어장치내 제어마이콤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 [Rx1]에 단말기로 부터의 데이터가 전달된다. 단말기의 제어마이콤 [U21]에서 데이터를 송출할 때에도 자신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 [Rx2]에도 데이터가 입력되지만 이것을 무시 처리하는 것은 주된 제어장치의 제어마이콤 [U11]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다. 같은 원리로 이 데이터 펄스는 다른 단말기 [S3 ∼ Sn]의 RX 단자 [Rx3 ∼ Rxn]에도 입력된다. 주된 제어장치와 단말기 [부된 제어기]의 Tx 용 트랜지스터 [Q11, Q21]의 콜렉터에 사용한 저항 [R12, R22]은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전류를 제한하여 Tx 용 트랜지스터로 소신호 트랜지스터 [Small Signal Transistor]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에 주된 제어장치와 단말기 [부된 제어기]간에 쌍방향 통신을 할 때의 각 부에 나타나는 데이터 파형도가 나타나 있다. 도 4 의 (1)은 주된 제어장치 [1]의 제어마이콤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 [Tx1]로 부터의 Tx 데이터 파형도, 도 4 의 (2)는 단말기[S2] 의 제어마이콤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 [Tx2]로 부터의 Tx 데이터 파형도, 도 4 의 (3)은 주된 제어장치와 단말기의 전원 공급선 (+) 단자에 나타나는 파형도, 도 4 의 (4)는 단말기의 제 2 트랜지스터 [Q22]의 콜렉터 단자에 나타난 데이터 파형도, 도 4 의 (5)는 단말기 제어마이콤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 [Rx2]에 나타난 파형도, 도 4 의 (6)은 주된 제어장치의 제 2 트랜지스터 [Q12]의 콜렉터 단자에 나타난 데이터 파형도, 도 4 의 (7)은 주된 제어장치 제어마이콤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 [Rx1]에 나타난 파형도이다. 이상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에 있어서는 주된 제어장치에는 입력전압 변환 및 브릿지 정류 회로부 [15], 중앙 제어부 [14], 전원 공급단자 (+) (-), 가중 선로 부하 [Z11], 송신 데이터 펄스 드라이버 [11], 수신 데이터 축출기 [12]와 구동 전원 회로부 [13]를 두어 구성하고, 단말기[부된 제어기]에는 전원 인입단자 (+) (-), 중앙 제어부 [24], 송신 데이터 펄스 드라이버[21], 수신 데이터 축출기 [22]와 구동 전원 회로부 [23]를 두어 구성한 후 쌍방향 통신이 필요한 주된 제어장치 [M1]와 단말기 [부된 제어기][S2∼Sn] 의 결선은 전원 공급선 2 [(+), (-)]선 만을 극성 구분 없이 연결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결선이 간단하고 결선 잘못에 의한 오동작 및 부품파손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When a data pulse is generated at the transmission data output terminal [Tx 1 ]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U 11 ] of the main control device and applied to the base of [Q 11 ] of the first transistor, the first transistor [Q 11 ] is a data pulse type. Is turned on [ON] and the third transistor [Q 23 ] is also turned on in the form of a data pulse since the second transistor [Q 22 ] is turned on in the form of a data pulse via C 28 or C 29 of the terminal.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d data input terminal [Rx 2 ]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1 ] of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 device of the second and third transistors [Q 12, Q 13] also on to the data pulse form of the main control unit receives data input terminal [Rx 1] In the data transfer, but the magnetic from the control microcomputer [U 11] Ignore the return of data. The terminal in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1] Transmission data output terminal [Tx 1] generates a data pulse from a first Applying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 21] The first transistor [Q 21] is on a data pulse in the form of [ON And thi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via D 28 or D 29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transistors [Q 12 , Q 13 ] of the main control unit are also turned on in pulse form to receive data of the control microcom in the main control unit. Data from the terminal is transferred to the input terminal [Rx 1 ]. Even when data is sent from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1 ] of the terminal, data is also inputted to the received data input terminal [Rx 2 ] of the terminal, but disregarding this processing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rol microcomb [U 11 ] of the main controller. . By the same principle, this data pulse is also input to the R X terminal [Rx 3 -Rxn] of other terminals [S 3 -S n ]. The resistors [R 12 , R 22 ] used for the collectors of the Tx transistors [Q 11 , Q 21 ] of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terminal [subordinate controller] are Tx transistors by limiting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transistors. Transistor]. Fig. 4 shows a data waveform diagram that appears in each section when the two-way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2) in Fig. 4 (1) is the main control device (1) also Tx data waveforms from the transmission data output terminal [Tx 1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of Figure 4 is th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microprocessor of terminal [S 2; Tx data waveform diagram from the data output terminal [Tx 2 ], FIG. 4 (3)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power supply line (+) terminal of the terminal, and FIG. 4 (4) is a second waveform diagram of the terminal. 4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 22 ], and (5) of FIG. 4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the receiving data input terminal [Rx 2 ] of the terminal control microcomputer. Fig waveform data shown i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 12], FIG. 4 (7) is a waveform diagram shown in the received data input terminal [Rx 1] of the main control unit controls the microcomputer.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in the " non-polar two-wi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ulti-party communication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 device includes an input voltage conversion and bridge rectifier circuit section [15], a central control section [14], and a power supply terminal (+) ( -), Weighted line load [Z 11 ], transmit data pulse driver [11], receive data extractor [12] and drive power circuit section [13]. (-), The central control unit [24], the transmission data pulse driver [21], the reception data extractor [22] and the drive power circuit unit [23], and then the main control unit [M 1 ] and the terminal [ The wiring of the connected controller] [S 2 ~ S n ] is composed by connecting only the power supply line 2 [(+), (-)] wires without polarity separation, so that the wiring is simple and prevents malfunction and component damage due to incorrect wiring. It work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무극성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에 있어서는 쌍방향 통신이 필요한 주된 제어장치[M1] 와 단말기 [부된 제어기] [S2 ∼ Sn] 를 전원 공급선 (+) (-) 두 선만 극성 구분 없이 연결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제어장치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옥내외 배선이 간단하고 단말기와 배선의 오결선에 의한 오동작 또는 부품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어 결과적으로 다자간 쌍방향 통신이 필요한 제품의 가치 상승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 nonpolar 2-wire bidirectional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multilateral communication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control device [M 1 ] and a terminal [subordinate controllers] [S 2 to S n ] which requi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r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 +) Since only two wires are connected without polarity separation, indoor and outdoor wiring for connecting the control device and the terminal is simple, and it is effective to solve problems such as malfunction or parts damage due to incorrect wiring of the terminal and wiring. This will increase the value of products requiring multi-way two-way communic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데, 그와 같은 변경은 청 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4)

주된 제어장치는,The main controller is 씨스템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입력전압 변환 및 브릿지 정류 회로부와 ;An input voltage conversion and bridge rectifier circuit unit for supplying a DC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system; 단말기 [부된 제어기]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 두 단자와 ;(+) And (-) terminals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terminal [attached controller];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주된 제어장치의 지배를 받는 소자 및 기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제어마이콤[14]]와 ;A central control unit [control micom [14]]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terminal, and synthesizing the results to control elements and devices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device; 상기 브릿지 정류 회로부와 전원 공급 (+)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 전류경로를 제공하면서 전원 공급선에 송·수신 데이터 파형을 중첩시키는 선로 부하[Z11]와 ;A line load [Z 11 ] connected to the bridge rectifier circuit part and a power supply (+) terminal to provide a current path to the terminal while superimpos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waveform on a power supply line; 상기 선로 부하와 상기 주된 제어장치의 중앙 제어부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Tx1]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선에 송신 데이터 파형을 중첩시키는 데이터 펄스 드라이버 [Data Pulse Driver] [11]와 ;A data pulse driver [11] connected to the line load and the transmission data output terminal [Tx 1 ] of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main control device to superimpose a transmission data waveform on the power supply line; 상기 선로 부하와 상기 주된 제어장치의 중앙 제어부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Rx1]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 선로에 중첩된 데이터 파형으로부터 데이터를 축출하여 중앙 제어부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Rx1]에 가해주는 데이터 축출기[12]와 ;It is connected to the line load and the reception data input terminal [Rx 1 ] of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main control device to extract data from the data waveform superimposed on the power supply line and apply the data to the reception data input terminal [Rx 1 ] of the central control unit. Data extractor [12] and; 상기 주된 제어장치의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용 전원 회로부로 구성되고,It is composed of a driving pow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part of the main control device, 단말기 [부된 제어기] [S2∼Sn]는,Terminal [attached controller] [S 2 ~ S n ], 상기 주된 제어장치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입하는 (+,-),(-,+) 두 단자와 ;(+,-), (-, +) Two terminals for introducing a DC power supply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상기 주된 제어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S1 ∼ Sn]의 중앙 제어부 [제어마이콤] [U21, U31, ...]와 ;A central control unit [control micom] [U 21 , U 31, ...] of the terminals [S 1 to S n ]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main control unit; 상기 전원을 인입하는 (+,-) 단자와 단말기 중앙 제어부의 송신 데이터 출력단자[Tx2]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인입 (+,-)선에 단말기 송신 데이터 파형을 중첩시키는 단말기 데이터 펄스 드라이버 [Sub controller Data Pulse Driver][21,31,...]와 ;Terminal data pulse driver connected to the (+,-) terminal for inputting the power and the transmission data output terminal [Tx 2 ] of the terminal central control unit to superimpose the terminal transmission data waveform on the power input (+,-) line. controller Data Pulse Driver] [21,31, ...] and; 상기 전원 인입 (+)단자와 단말기 중앙 제어부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 [Rx2]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인입 (+) 선로에 중첩된 데이터 파형으로부터 데이터를 축출하여 단말기 중앙 제어부의 수신 데이터 입력단자[Rx2]에 가해주는 단말기 데이터 축출기 [22, 32, ...]와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 terminal and the reception data input terminal [Rx 2 ] of the terminal central control unit to extract data from a data waveform superimposed on the power input (+) line to receive the data input terminal [Rx] of the terminal central control unit; Terminal data extractors [22, 32, ...] to 2 ]; 상기 단말기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용 전원 회로부로 구성되어, 주된 제어장치와 다수의 단말기 [부된 제어기] [S2 ∼ Sn]가 직류전원 공급선 (+), (-) 두 선만으로 다자간 쌍방향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선식 쌍방향 통신 씨스템.It is composed of a driving power supply circui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each part of the terminal, the main control device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controlled controller] [S 2 ~ S n ] by the DC power supply line (+), (-) only two lines A two-wire two-way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multi-wa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1 항에 있어 주된제어기 [M1]의 데이터 축출기 [12]의 구성이 D15, Q12, R14, Q13, R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The data extractor [12] of the main controller [M 1 ]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D 15 , Q 12 , R 14 , Q 13 , R 15 . 1 항에 있어 단말기 [S2, S3, ...]의 데이터 축출기 [22, 32, ...]의 구성이 C28, C29, D28, D29, D20, D21, C21, R23, Q22, R24, Q23, R2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The data extractor [22, 32, ...] of the terminal [S 2 , S 3 , ...] is composed of C 28 , C 29 , D 28 , D 29 , D 20 , D 21 ,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C 21 , R 23 , Q 22 , R 24 , Q 23 , R 25 1 항에 있어 단말기 [S2, S3, ...]의 데이터 드라이버 [21, 31, ...]의 구성이 C28, C29, D28, D29, R22, Q21, R21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The data driver [21, 31, ...] of the terminal [S 2 , S 3 , ...] is composed of C 28 , C 29 , D 28 , D 29 , R 22 , Q 21 , R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21
KR1020060005358A 2006-01-18 2006-01-18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1755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358A KR20060017552A (en) 2006-01-18 2006-01-18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KR1020060012918A KR20060024009A (en) 2006-01-18 2006-02-10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358A KR20060017552A (en) 2006-01-18 2006-01-18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552A true KR20060017552A (en) 2006-02-23

Family

ID=371255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358A KR20060017552A (en) 2006-01-18 2006-01-18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KR1020060012918A KR20060024009A (en) 2006-01-18 2006-02-10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918A KR20060024009A (en) 2006-01-18 2006-02-10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6001755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465B1 (en) 2017-09-20 2018-09-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Non polarize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communication error preventing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465B1 (en) 2017-09-20 2018-09-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Non polarize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communication error preven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009A (en)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21886B (en) For the method and system via four lines in Ethernet cable to supply electric power
US8818530B2 (en) LED light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US10228711B2 (en) Decoder systems and methods for irrigation control
US20070285215A1 (en) Passive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9888547B2 (en) Circuit assembly for operating lighting means via a master-slave system
CN111343065B (en) Communication electric appliance and air conditioner
JP2008054488A (en) Matrix converter and device having the same
JP3056500B2 (en) Inductively coupled communication adapter device
KR20060017552A (en) Cross communication possible non-polarized 2 line multi communication system
CN109863834B (en) Communication interface and device
JP2008219957A (en) Remote control system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KR20020037737A (en) Two way communication system with only two lines
US20210168913A1 (en) Remote power delivery for distributed lighting with integrated data transmission
CN210776261U (en)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realizing multi-path IO control
JP2004003476A (en) Variable speed water feeding device
US5907198A (en) Trickle power supply
KR960002838B1 (en) Wire remote controller communication device
JPH09133079A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variable speed feed water device
AU2019350380A1 (en) Controllable modular luminaire driver
KR100205927B1 (en) Serial communication device &amp; method using power supply circuit
CN219535889U (en) Multi-split switching power supply
KR20170015016A (en) AC power control devices
EP0822645A2 (en) Trickle power supply
JPH11127178A (en) Feeder for signal transmission system
JPS60248942A (en) Controll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