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030A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030A
KR20060017030A KR1020040065532A KR20040065532A KR20060017030A KR 20060017030 A KR20060017030 A KR 20060017030A KR 1020040065532 A KR1020040065532 A KR 1020040065532A KR 20040065532 A KR20040065532 A KR 20040065532A KR 20060017030 A KR20060017030 A KR 2006001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scree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50257B1 (en
Inventor
심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6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257B1/en
Publication of KR2006001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0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2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단말기 화면(LCD)을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토록 하고, 이때 각 화면의 갱신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그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capable of dividing a terminal screen (LCD) to be u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improving the update rate of each screen, and a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thereof. There is a purpose.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인터럽트 발생되어 분할된 화면(LCD) 영역별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저장수단; 제1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2 LCD를 생성하고,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에 표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인터럽트 발생시 화면 분할하여, 발생된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해당 LCD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screen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display for each area of an interrupted divided LCD area; When the first interrupt occurs, the first LCD screen is divided to generate a second LCD to display data required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and the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is rea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to control the display on the corresponding LCD. Way; And display means for screen-dividing upon occurrence of an interrup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displaying data necessary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on the corresponding LCD.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통신 단말기, 화면분할, LCD, 스크린 메모리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split, LCD, screen memory

Description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creen split control function and its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2e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예시도,2A to 2E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 divis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어부 11 : 음성 메모리10 control unit 11: voice memory

12 : 메모리 13 : 키 입력부12: memory 13: key input

14 : 표시부 15 : RF부14 display unit 15 RF unit

16 : 착신음 발생부 17 : 음성 처리부16: ring tone generator 17: voice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화면(LCD)을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그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by dividing a terminal screen (LCD), and a screen thereof. A division control method.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그 기술의 개발도 셀룰러폰, PCS폰, PDA폰, 위성통신폰 등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그의 기술개발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더욱 첨단 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휴대 통신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기능과 디자인이 촌각을 다투어 개발되고 있다.Personal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such as cellular phones, PCS phones, PDA phones, satellite communication phones. In addition, his technical development continues, and even more advanced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and functions and designs are being developed to meet the limits of mobile communication.

하지만, 이러한 첨단기술의 개발에 모든 연구 및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가 우리가 지니는 생활용품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휴대하면서 그 부가기능이 반영되지 못하는 현실들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기본적인 음성통화 이외에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SMS, MMS, 이메일, 게임 등),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 일정관리, 개인 메모, 인터넷 검색, 방송 수신, 동영상/음악 재생 등의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However, all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has been made in the development of such advanced technology,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a daily necessities of our daily life while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carry the additional functions. That is, i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basic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SMS, MMS, e-mail, games, etc.), telephone number database, schedule management, personal memo, Internet search, broadcast reception, video / music playback, etc.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dditional functionality.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와 입력된 정보 및 일정 정보를 가시상태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Such a portable terminal typically includes a user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schedule information in a visible state.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실예로선,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휴대단말기(PCS폰, PDA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통상 사용자 정보의 처리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러 기능 수행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기능 수행 방법들에 있어 통상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메뉴 선택 입력 혹은 단축키 등에 따른 해당 기능의 동작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정해진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를 지정한 후 소정 요구 입력에 따라 지정된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단축키를 선택하면 단축키에 해당되는 메뉴에 따른 소정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구나, 최근에는 각 메뉴를 아이콘화하여 사용자가 수행을 요구하는 기능이 있으면 그에 따른 해당 아이콘 선택을 이룬 후 해당 기능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메뉴 선택을 통한 기능 수행 방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Examples of such portable terminals include digital portable telephones (cellular phones), electronic notebook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S phones, PDA phones),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and the like. Such portable terminals usually perform us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 method commonly used in the method of performing such functions is to perform an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menu selection input or a shortcut key. There is a way. This is done by assigning a menu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unction and then displaying a specified menu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quest input so that when a user selects the menu,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is performed. Through a process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 to the menu to be performed. In addition, recently, if a function is required to be performed by the user by iconizing each menu, the corresponding icon selection is made accordingly, and the function is performed by selecting the icon accordingly. The proposed method is to further increase the convenience of.

그런데,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는 중소형의 액정 패널 하나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라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핸드폰 중, 예를 들어 게임을 하고 있을 때 단순히 게임 기능만이 수행되며, 문자 메시지(또는 Call) 등과는 연계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s an example of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cannot display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t a time because only one small and medium liquid crystal panel is provided.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only a game function is performed when a mobile phone currently on the market, for example, is playing a ga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text message (or call).

즉, 게임을 하면서 시계를 보고 싶은 경우나, 게임을 하면서 전화를 걸고 싶은 경우, 노래를 들으면서 문자를 보내거나 보고 싶은 경우 등, 즉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중 한번에 두가지 기능을 함께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도 한가지 화면만을 제공한다.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watch a watch while playing a game, if you want to make a phone call while playing a game, if you want to send a text while watching a song, or if you want to use both functions at once Provide screen only.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라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게임을 하면서 Call을 건다던지 문자를 보내면서 멜로디를 듣는 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두가지 기능을 함께 LCD 창에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CD window does not show two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playing a call or sending a text while listening to a melody while playing a game with the portable terminal currently on the market.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more detail as follows.

단말기의 UI(User Interface) 기능들을 보면, 현재 한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내용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특정 이벤트(예를 들면, SMS 수신, Call 수신 등)가 발생될 경우, 이벤트 발생전의 화면위에 새로 발생된 이벤트를 알리는 화면이 전체적으로 새로 출력된다. 이렇게 되면, 이전에 사용자가 사용했던 화면이 바로 없어지거나, 이벤트가 끝나서야 이전 화면 상태로 돌아 갈 수 있다. 이는 매초 또는 이벤트 발생시 화면을 갱신하기 위해, LCD로 할당된 스크린 메모리 전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Looking at the UI (User Interface) functions of the terminal, currently only one screen shows the content used by the user. Therefore, when a specific event (for example, receiving an SMS, receiving a call, etc.) occurs, a new screen for notifying a newly generated ev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before the event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screen previously used by the user disappears immediately or the event can be returned to the previous screen state after the event ends. This is because the entire screen memory allocated to the LCD is used to update the screen every second or when an event occurs.

예를 들어, 한 화면에서 문자를 편집하는 동시에 통화를 하는 중이라고 한다면, 편집 작업이 중단되고 통화를 나타내는 화면이 나타나고, 그 통화가 끝나서야 다시 편집작업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종래기술에 따라 전체 화면 크기 만큼 할당된 스크린 메모리를 사용하면, 화면에 구성할 데이터를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For example, if you are editing a text on one screen and you are talking on the phone at the same time, the editing operation is interrupted and the screen showing the call appears, and the editing is possible after the call ends. This is because, if the screen memory allocated by the total screen size is us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impossible to partially compose the data in order to newly compose the data to be configured on the screen.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화면에 보여질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해 항상 전체 메모리에 대해 모두 고려해야 하므로 부분적 데이터 구성이 어렵고, 또한 LCD 창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크린 메모리는 [전체 LCD 크기 * Color Depth bit수] 만큼 할당되므로, 화면 전환시 전체 LCD 사이즈 만큼의 스크린 메모리에 대해 모두 계산되므로 화면 갱신속도 또한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현재 단말기의 LCD 크기는 더욱더 커지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현상은 더욱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partial data configuration is difficult because all the memories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configure th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creen memory for storing data to be displayed on the LCD window is [full LCD size * Color Depth]. Since the number of bits] is allocated, the screen update speed is also slowed down because the screen is calculated for all screen memories as much as the LCD size when the screen is switched. In particular, the current LCD size of the terminal is becoming more and more, such a phenomenon is to be considered more.

따라서, LCD 화면을 분할하여 한 화면에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나타내 줄 수 있는 화면분할 기능이 수반된다면,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화면의 갱신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Therefore, if the LCD screen is divided and the screen splitting function that can simultaneously display two functions on one screen is accompanied, the user can not only provide more information but also improve the updating speed of each screen. It will be efficient.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말기 화면(LCD)을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토록 하고, 이때 각 화면의 갱신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그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meet the above-mentioned requirements, and splits the terminal screen (LCD) so that each can be used independently, and at this tim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split control function to improve the update rate of each scree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인터럽트 발생되어 분할된 화면(LCD) 영역별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저장수단; 제1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2 LCD를 생성하고,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에 표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인터럽트 발생시 화면 분할하여, 발생된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해당 LCD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screen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display for each area of an interrupted and divided screen (LCD) area; When the first interrupt occurs, the first LCD screen is divided to generate a second LCD to display data required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and the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is rea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to control the display on the corresponding LCD. Way; 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data necessary for interrupt processing generated on the LCD by dividing the screen when an interrupt occur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저장수단을 분할하여, 인터럽트 발생되어 분할된 화면(LCD) 영역별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각각 저장하는 저장 단계; 제1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2 LCD를 생성하는 화면분할 단계; 및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toring step of dividing the screen storage means, respectively storing data necessary for display for each area of the divided display (LCD) by interrupt generation; Splitting the first LCD to generate a second LCD to display data necessary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when the first interrupt occurs; And a display step of reading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from the screen storage means and displaying the data on the LCD.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 혹은 제2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3 LCD를 생성하고, 상기 제3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3 LCD에 표시하는 화면분할 및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interrupt occurs, splits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to generate a third LCD to display the data required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and stores th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LCD screen And splitting and displaying the read-out means by the means and displaying on the third LCD.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1 혹은 제2 인터럽트 해제시에, LCD 자동 화면 분할 이전 상태로 자동 천이되는 화면복귀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creen returning step of automatically transitioning to a state prior to LCD automatic screen division when the first or second interrupt is released.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1 화면분할 설정 요구에 따라,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2 LCD를 생성하고,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에 표시하는 제1 화면분할 및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LCD is divided into screens to generate a second LCD according to a user's first screen division setting request, and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is read from a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unit and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LCD.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screen division and display step.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2 화면분할 설정 요구에 따라, 제1 LCD 혹은 제2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3 LCD를 생성하고, 상기 제3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3 LCD에 표시하는 제2 화면분할 및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setting a second screen division,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is screen-divided to generate a third LCD, and data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LCD is read by the screen storage unit. And further comprising the second screen division and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the third LCD.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화면분할 해제 요구에 따라, LCD 강제 화면 분할 이전 상태를 유지하는 화면복귀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creen returning step of maintaining the state before the LCD forced screen divis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for splitting the scree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인터럽트 발생되어 분할된 화면(LCD) 영역별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메모리)(12)와, 제1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2 LCD를 생성하고,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메모리(12)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14)에 표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와,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인터럽트 발생시 화면 분할하여, 발생된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해당 LCD(14)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at least one screen memory) that stores data necessary for display for each divided area (LCD) area generated by interruption. (12) and, when the first interrupt occurs, splits the first LCD to generate a second LCD to display data necessary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and reads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memory 12. The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display on the LCD 14 and the display unit 14 for displaying the data necessary for interrupt processing generated on the LCD 14 by splitting the screen when an interrupt occur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It includes.

여기서, 메모리(12)는 화면분할된 LCD별로 스크린 메모리를 구비한다. 따라서, 2 화면분할시 2개의 스크린 메모리를 갖고, 4 화면분할시 4개의 스크린 메모리를 갖는다. Here, the memory 12 includes a screen memory for each screen-divided LCD. Thus, it has two screen memories in two screen divisions and four screen memories in four screen divisions.

무선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화면분할 제어 기능(화면분할 및 화면 크기 조절, 메뉴 키의 동작 등)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The control unit 1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achieves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screen division and screen siz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menu key,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n, control of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s achieved.

음성 메모리(11)는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voice memory 11 stores various voice data.

메모리(12)에는 제어부(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특히, 메모리(12)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스크린 메모리(RAM)를 포함한다. The memory 12 stores an operation program and a system program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operation program and the system program are usually stored in a ROM area included therein and can be erased as necessary. Electrically erasable ROMs include EEPROM and flash memory. In particular, the memory 12 also includes a screen memory (RAM)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various operating programs.

특히, LCD 창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크린 메모리는 [전체 LCD 크기 * Color Depth bit수] 만큼 할당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스크린 메모리를 1/2, 1/4 등으로 나누어 사용하여 하나의 LCD를 2개 혹은 4개의 LCD가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것처럼 사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면 갱신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단말기 UI의 한 화면에서 두 작업 혹은 네 작업 등으로 동시에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 screen memory for storing data to be displayed on the LCD window is allocated as much as [total LCD size * number of color depth bits],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screen memory into 1/2, 1/4, etc. Use 2 or 4 LCDs as if they were operating independently. By doing this, the screen update speed can be improv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wo tasks or four tasks on one screen of the terminal UI.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LCD 드라이버(driver)에 전달되어 화면에 보여지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스크린 메모리(RAM)는 [LCD 크기 * 화소를 표현하는 color depth bit수] 만큼 할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스크린 메모리를 예를 들면 [(LCD 크기/2) * 화소를 표현하는 color depth bit수] 만큼의 크기를 갖는 두 개의 스크린 메모리로 따로 할당한다. 즉, 각 스크린 메모리는 LCD상에서 분할된 영역중 윗(상)부분에 보여질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 스크린 메모리'와, 아래(하)부분에 보여질 데이터를 저장할 '하 스크린 메모리'로 나뉘어진다. 또는, 왼쪽(좌)부분에 보여질 데이터를 저장하는 '좌 스크린 메모리'와, 오른쪽(우)부분에 보여질 데이터를 저장하는 '우 스크린 메모리'로 나뉘어진다. 이때, 할당된 각 메모리(상/하 스크린 메모리 혹은 좌/우 스크린 메모리)에는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따로 구성하여 저장하는데, 이때 각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터들은 실제 단말기의 화면에 위치할 좌표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즉, 저장시에는 이미 구현되어 있는 방법으로 각 메모리별 데이터 연결 목록을 구성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각 메모리(상/하 스크린 메모리 혹은 좌/우 스크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메모리별로 LCD 영역을 지정하여 LCD 드라이버(driver)로 전달하면, 전달된 데이터들은 메모리가 속한 영역의 부분 화면만을 갱신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screen memory RAM, which is transmitted to the LCD driver and stores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is allocated as much as [LCD size * number of color depth bits representing pixel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screen memory is separately allocated to two screen memories having a size of, for example, [(LCD size / 2) * number of color depth bits representing pixels]. That is, each screen memory is divided into an 'up screen memory' for storing data to be displayed on the upper (upper) part of the divided areas on the LCD, and a 'low screen memory' for storing data to be displayed on the lower (lower) part. . Alternatively, the screen is divided into a left screen memory storing data to be displayed on the left (left) and a right screen memory storing data to be displayed on the right (right). In this case, data allocated for display is separately stored in each allocated memory (upper / lower screen memory or left / right screen memory), and the data to be stored in each memory are divided by coordinates to be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actual terminal. Stored. That is, when storing, the data connection list for each memory is constructed and stored in a method already implemented. Then, if the data stored in each memory (up / down screen memory or left / right screen memory) is transferred to the LCD driver by specifying the LCD area for each memory, the transferred data is updated only the partial screen of the area to which the memory belongs. Done.

이와 같이 화면에 어느 위치해 보여지는 데이터인지에 따라 갱신할 메모리가 나뉘어져 있으므로, 필요한 메모리의 데이터만 갱신하면 된다. 따라서, 화면에 뿌려질 데이터를 구성하는 속도가 전체 LCD 크기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빨라지게 되어 전체 디스플레이 갱신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UI적 효과를 이용할 수 있고, 동시에 두 개의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편집작업을 하고 있는 LCD 영역에 속한 메모리는 편집시마다 따로 구성해주고, 통화중을 나타내는 화면은 다른 하나의 메모리에 구성을 한 후 각각 갱신을 하게 되면, 두 가지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다. Thus, since the memory to be updated is divided according to which data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the data of the required memory need to be updated. Therefore, the speed of composing the data to be scattered on the screen is faster than using the entire LCD size, and the overall display update speed is faster. Using this method, various UI effects for the user can be used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two operations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the memory belonging to the LCD area being edited is configured separately for each edit, and the screen showing the call is configured in another memory and updated after each update. have.

키 입력부(13)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특히, 화면분할 설정키, 화면분할시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 가능한 화면 전환키, 화면분할 해제키 등)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key input unit 13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menu keys,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a screen division setting key, a screen switch key for selecting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during screen division, a screen division release key, etc.). ), And outputs key data to the controller 10 by an external operation.

여기서, 화면분할 설정키, 화면 전환키, 화면분할 해제키는 별도로 지정될 수도 있고, 기본 기능에 부가적으로 핫 키(hot key) 등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 를 들면, 부가적으로 지정하는 경우, 화면분할 설정키는 #1번, 화면 전환키는 #2번, 화면분할 해제키는 #3번이다.Here,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the screen switch key, and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may be separately designated, or may be designated as a hot key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For example, when additionally specified,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is # 1, the screen switching key is # 2, and the screen splitting key is # 3.

화면분할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하나는 제1 LCD(주 화면)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예를 들면, 게임 혹은 음악을 듣는 등)되고 있는 도중에 호가 착신되거나 SMS를 통해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면 자동으로 주 화면(제1 LCD)이 분할되어 보조 화면(제2 LCD)이 나타나는 방식이다(하기의 도 2b, 도 2c 참조). 혹은, 도 2b 및 도 2c와 같이 분할 화면의 크기를 다르게 주 화면, 보조 화면으로 분리하지 않고, 도 2d 및 2e와 같이 화면 분할을 균등하게 할 수도 있다. Screen splitting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being the first LCD (main screen) being used by the user (for example, playing a game or listening to music) while receiving a call or receiving a text message via SMS. When the reception is received, the main screen (first LCD) is automatically divided so that the sub screen (second LCD) is displayed (see FIGS. 2B and 2C below).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2B and 2C, the split screens may be equally divided as shown in FIGS. 2D and 2E without dividing the size of the split screen into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다른 하나는 제1 LCD(주 화면)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예를 들면, 게임 혹은 음악을 듣는 등)되고 있는 도중 혹은 초기메뉴 상태(사용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면분할 설정 키를 눌러 주 화면(제1 LCD)을 강제적으로 분할하여 보조 화면(제2 LCD)이 나타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역시, 도 2d 및 2e와 같이 분할 화면의 크기를 균등하게 할 수도 있다. The other is that the user presses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while the first LCD (main screen) is being used by the user (for example, listening to a game or music) or in the initial menu state (no use). The sub-screen (second LCD) is displayed by forcibly dividing the screen (first LCD).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plit screen may be equalized as shown in FIGS. 2D and 2E.

상기 화면분할 설정키는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될 수 있고, 기존 기능키에 부가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면분할 설정키로서의 핫 키(hot key)를 "#1번"등으로 할 수 있다.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may be designated as a separate basic key on the terminal, or may be additionally assigned to an existing function key. For example, the hot key as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can be "# 1" or the like.

표시부(1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4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display unit 14 displays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progress of the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That is, the overall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put user information are displayed.

따라서, 제어부(10)는 키 입력부(13)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 라 해당 메뉴를 메모리(12)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한다. 즉, 키 입력부(13)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함으로써, 키 입력부(13)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메뉴 표시 모드로의 진입 및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메뉴를 메모리(12)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 reads the menu from the memory 12 and displays the menu on the display unit 14 according to the user's menu display request by the key input unit 13. That is, the key input unit 13 is a conventional user information input means, and has a plurality of keys suitabl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applied, such as a number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if there is an input of each of the provided keys, Therefore, by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unique key data to the control unit 10, through the key input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3 to enter the menu display mode and selection of the menu is made. Then, the controller 10 reads the menu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input from the memory 12 and displays the menu on the display unit 14.

RF부(15)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RF unit 1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 and convert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into a radio signal. In addition, the RF unit 15 converts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desired signal and outputs it.

착신음 발생부(16)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한다. The ring tone generator 16 generates a ring tone through the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음성처리부(17)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5)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음성 메모리(1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voice processor 17 modulat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voice data, demodulates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RF unit 15 and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voice memory 11 into voice signals. Sound is output through a speaker.

도 2a 내지 2e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예시도이다.2A to 2E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 division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의 제1 LCD(주 화면)가 자동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강제 분할되면 제1 LCD(주 화면) 상에 도 2b와 같이 최소 단위의 제2 LCD(보조 화면)이 나타난다. 혹은, 도 2d 및 2e와 같이 제1 및 제2 LCD가 균등하게 분할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When the first LCD (main screen) of FIG. 2A is forcibly divided by automatic or user selection, the second LCD (secondary screen) of the minimum unit appears on the first LCD (main screen) as shown in FIG. 2B.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LCDs may be equally divided as shown in FIGS. 2D and 2E.

이때, 제2 LCD(보조 화면)의 크기를 도 2c와 같이 임의적으로 조절하거나, 도 2d 및 2e와 같이 균등 분할된 제2 LCD의 크기를 임의적으로 조절 가능한데, 제2 LCD의 화면 조절키로서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있고, 기존 설정키로서의 사이드 키(side key) 혹은 네비게이션 키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econd LCD (secondary screen)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s shown in FIG. 2C or the size of the second LCD divided evenly as shown in FIGS. 2D and 2E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t can be designated as a separate primary key on the screen, and a side key or a navigation key as an existing setting key can also be used.

예를 들면, 화면 크기 조절키로서의 사이드 키(side key)에 의한 동작을 살펴보면, " ↑"는 제2 LCD의 상하 방향의 화면 크기를, " ↓"는 제2 LCD의 좌우 방향의 화면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키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상하좌우(↑,↓,←,→)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나타난 상태에서, 화면 조절키(사이드 키, 네비게이션 키)를 눌러 제2 LCD의 크기를 조절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operation by the side key as the screen size adjusting key, "↑" indicates the screen siz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econd LCD, and "↓" indicates the screen siz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econd LCD. Adjust In addition, when using the navigation keys, it is possible to apply up, down, left and right (↑, ↓, ←, →) as it is. That is, while the first LCD is divided and the second LCD is displayed, the size of the second LCD is adjusted by pressing a screen control key (side key, navigation key).

한편,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나타난 경우에, 각 화면(제1 및 제2 LCD)에서의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화면 전환키에 의해 가능하다. 즉, 화면분할된 상태에서, 메뉴 키에 의한 동작은 제1 LCD에서의 동작을 기본으로 하는데, 만약 화면 전환키를 누르면 메뉴키에 의한 동작은 제2 LCD에서의 동작으로 전환된다. 즉, 제1 LCD와 제2 LCD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화면 전환키에 의해 메뉴키의 동작이 적용되는 화면이 결정된다. 이 화면 전환키는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될 수 있고, 화면분할 설정키(지정키 혹은 "#1번")를 활용할 수도 있다. 또는, 기존 기능키에 부가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 다. 예를 들면, 화면 전환키로서의 핫 키(hot key)를 "#2번"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LCD로 화면분할된 상태에서, 메뉴 키에 의한 동작은 제1 LCD에서 동작되고, 화면분할 설정키를 누르면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제2 LCD에서의 동작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LCD is divided and the second LCD is displayed, the operation by the function keys on each screen (the first and the second LCD)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which is possible by the screen switching key. That is, in the screen-divided state,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based on the operation on the first LCD. If the screen switching key is pressed,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switched to the operation on the second LCD. That is, when the first LCD and the second LCD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the screen to which the operation of the menu key is applied is determined by the screen switch key. The screen switching key may be designated as a separate basic key on the terminal, or may use a screen splitting setting key (specified key or "# 1"). Alternatively, it can be specified in addition to an existing function key. For example, the hot key as the screen switching key can be "# 2"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screen is split into the first and second LCDs,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first LCD, and when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is pressed,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switched to the operation on the second LCD. You can do that.

그러나, 제1 LCD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예를 들면, 게임 혹은 음악을 듣는 등)되고 있는 도중에 호가 착신되거나 SMS를 통해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어 자동으로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생겨난 경우에는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제2 LCD에서의 동작을 기본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화면 전환키 혹은 화면분할 설정키를 누르게 되면,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적용되는 화면이 전환됨은 자명하다.However, while the first LCD is being used by the user (for example, playing a game or listening to music), a call is received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through SMS, so that the first LCD is automatically divided and a second LCD is generat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may default to the operation on the second LCD. Of course, even in such a case, if the screen switching key or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is pressed, it is obvious that the screen to which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applied is switched.

뿐만 아니라, 제1 LCD가 사용되고 있는 도중에 호가 착신되거나 SMS를 통해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어 자동으로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생겨난 경우에는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화면 전환 기능없이 메뉴키가 제2 LCD에만 적용되고, 제2 LCD에서 동작 수행이 완료되면(예를 들면, 통화 완료, 문자 송수신 완료 등) 자동으로 제2 LCD가 사라지고 제1 LCD만이 남게되고, 제1 LCD에서 기능키가 동작된다.In addition, when a call is received while a first LCD is being used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through SMS, the first LCD is automatically divided so that a second LCD is generated. Without the function, the menu key is applied only to the second LCD, and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on the second LCD (for example, call completion, text transmission completion, etc.), the second LCD disappears automatically and only the first LCD remains. The function keys are activated on the LCD.

한편, 제1 LCD 및 제2 LCD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메뉴키가 적용되는 화면에서 화면분할 해제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화면은 사라지고 나머지 화면만 남게 된다. 예를 들면, 제1 LCD에서 메뉴키가 동작될 때 화면분할 해제키를 누르면 제1 LCD가 사라지고 제2 LCD가 주 화면이 된다. 반대로, 제2 LCD에서 메뉴키가 동작될 때 화면분할 해제키를 누르면 제2 LCD가 사라지고 제1 LCD가 그대로 상태를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LCD and the second LCD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when the screen split release key is pressed on the screen to which the menu key is applied, the corresponding screen disappears and only the remaining screen remains. For example, when the screen split release key is pressed while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first LCD, the first LCD disappears and the second LCD becomes the main screen. On the contrary, if the screen split release key is pressed while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second LCD, the second LCD disappears and the first LCD remains intact.

상기 화면분할 해제키는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될 수 있고, 기존 기능키에 부가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면분할 해제키로서의 핫 키(hot key)를 "#3번" 등으로 할 수 있다.The split screen release key may be designated as a separate basic key on the terminal, or may be additionally assigned to an existing function key. For example, the hot key as the screen division release key can be "# 3" or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LCD를 분할하여 균등하게 제2 LCD를 생성하거나, 제2 LCD의 크기를 차등 분할하여, 추가된 제2 LCD의 크기를 임의 조절 가능하고, 제1 LCD와 제2 LCD에서 선택적인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가능하다. 이때, 특히 각 LCD에 표시되는 데이터들을 스크린 메모리별로 저장하여, 필요한 메모리의 데이터만 갱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갱신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vide the first LCD evenly to produce a second LCD, or divide the size of the second LCD evenly, and can arbitrarily adjust the size of the added second LCD, Operation by an optional function key on the second LCD is possible. In this case, in particular, data displayed on each LCD may be stored for each screen memory, and the display update speed may be improved by updating only the data of the required memory.

상기의 LCD 분할 제어 방식에 있어서,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차등하게 나타난 상태에서(도 2b 및 2c 참조), 만약 다른 인터럽트 발생시에는 제1 LCD를 분할하여 도 2b 및 2c와 같은 크기의 제3 LCD를 제2 LCD의 상하좌우에 출력 가능하고, 제1 내지 제3 LCD가 표시된 상태에서 또 다른 인터럽트 발생시에는 동일한 크기의 제4 LCD를 제3 LCD의 상하좌우에 또한 출력 가능하다. In the LCD splitting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LCD is divided and the second LCD is differentially displayed (see FIGS. 2B and 2C), when another interrupt occurs, the first LCD is divid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ose of FIGS. 2B and 2C. The third LCDs may be output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LCD, and when another interrupt occurs while the first to third LCDs are displayed, the fourth LCD of the same size may also be output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LCD.

뿐만 아니라,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균등하게 나타난 상태에서(도 2d 참조), 만약 다른 인터럽트 발생시에는 제1 LCD를 좌우 균등하게 분할하여 제1 LCD와 동일 크기의 제3 LCD를 출력 가능하고, 제1 내지 제3 LCD가 표시된 상태에서 또 다른 인터럽트 발생시에는 제2 LCD를 좌우 균등하게 분할하여 제2 LCD와 동일 크기의 제4 LCD를 또한 출력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LCD is divided and the second LCD is evenly displayed (see FIG. 2D), when another interrupt occurs, the first LCD is divided equally to the left and right to output a third LCD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LCD. In addition, when another interrupt occurs while the first to third LCDs are displayed, the second LCD is equally divided left and right to output a fourth LCD having the same size as the second LCD.

아울러,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균등하게 나타난 상태에서(도 2e 참조), 만약 다른 인터럽트 발생시에는 제1 LCD를 상하 균등하게 분할하여 제1 LCD와 동일 크기의 제3 LCD를 출력 가능하고, 제1 내지 제3 LCD가 표시된 상태에서 또 다른 인터럽트 발생시에는 제2 LCD를 상하 균등하게 분할하여 제2 LCD와 동일 크기의 제4 LCD를 또한 출력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LCD is divided and the second LCD is evenly displayed (see FIG. 2E), when another interrupt occurs, the first LCD may be divided equally up and down to output a third LCD having the same size as the first LCD. In addition, when another interrupt occurs while the first to third LCDs are displayed, the second LCD may be divided equally up and down to output a fourth LCD having the same size as the second LCD.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대기화면 혹은 작업(메시지 작성, 게임, 음악재생 등)중에(301), 호(Call) 수신, 메시지(SMS 또는 MMS, 이메일 등)수신 등의 인터럽트 발생시(302) 제1 LCD가 자동 분할되어 제2 LCD가 생겨난다(304).First, the first LCD is automatically divided when an interrupt occurs such as receiving a call or receiving a message (SMS or MMS, e-mail, etc.) during a standby screen or a task (message preparation, game, music playback, etc.) (301). To form a second LCD (304).

또는, 사용자의 선택(화면분할 설정키에 의함)에 의해(303) 제1 LCD가 강제 분할되어 제2 LCD를 생성할 수 있다(304). Alternatively, the first LCD may be forcibly divided to generate a second LCD by the user's selection (by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303).

즉, 제1 LCD가 자동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강제 분할되면(304), 제1 LCD 상에 도 2b와 같이 최소 단위의 제2 LCD(보조 화면)이 나타나거나, 도 2d 및 2e와 같이 제1 LCD가 분할되어 제1 LCD와 제2 LCD의 크기가 균등하게 표시된다. That is, when the first LCD is forcibly divided by automatic or user selection (304), the second LCD (secondary screen) of the minimum unit appears on the first LCD as shown in FIG. 2B, or as shown in FIGS. 2D and 2E. The 1 LCD is divided so that the sizes of the first LCD and the second LCD are evenly displayed.

이와 같이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균등 혹은 차등하게 나타난 경우에(304), 각 화면(제1 및 제2 LCD)에서의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306), 이는 화면 전환키에 의해 가능하다(305). 즉, 화면분할된 상태에서(304), 메뉴 키에 의한 동작은 제1 LCD에서의 동작을 기본으로 하는데, 만약 화면 전환키를 누르면(305) 메뉴키에 의한 동작은 제2 LCD에서의 동작으로 전환된다 (306). 즉, 제1 LCD와 제2 LCD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304), 화면 전환키에 의해 메뉴키의 동작이 적용되는 화면이 결정된다(305,306).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LCD is divided so that the second LCD is evenly or differentially displayed 304, an operation by a function key on each screen (first and second LCDs)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306). This is enabled by the screen switch key (305). That is, in the divided screen state (304),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based on the operation on the first LCD, and if the screen switching key is pressed (305),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the operation on the second LCD. Is switched (306). That is, when the first LCD and the second LCD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304), the screen to which the operation of the menu key is applied is determined by the screen switching key (305, 306).

그러나, 제1 LCD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예를 들면, 게임 혹은 음악을 듣는 등)되고 있는 도중에 호가 착신되거나 SMS를 통해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어 자동으로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생겨난 경우에(304),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제2 LCD에서의 동작을 기본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화면 전환키 혹은 화면분할 설정키를 누르게 되면(305),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적용되는 화면이 전환됨은 자명하다(306).However, while the first LCD is being used by the user (for example, playing a game or listening to music), a call is received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through SMS, so that the first LCD is automatically divided and a second LCD is generated. In the case 304,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may default to the operation on the second LCD. Of course, even in this case, if the screen switch key or the screen division setting key is pressed (305), it is obvious that the screen to which the operation by the menu key is applied is switched (306).

뿐만 아니라, 제1 LCD가 사용되고 있는 도중에 호가 착신되거나 SMS를 통해 문자 메시지 등이 수신되어 자동으로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생겨난 경우에(304), 메뉴키에 의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화면 전환 기능없이 메뉴키가 제2 LCD에만 적용되고, 제2 LCD에서 동작 수행이 완료되면(예를 들면, 통화 완료, 문자 송수신 완료 등) 자동으로 제2 LCD가 사라지고 제1 LCD만이 남게되고, 제1 LCD에서 기능키가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call is received while a first LCD is being used or a text message or the like is received through SMS, and the first LCD is automatically divided to generate a second LCD (304), an operation by a menu key is selectively applied. The menu key is applied to the second LCD without any screen switching function, and the second LCD disappears and only the first LCD remains when the operation on the second LCD is completed. The function key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on the first LCD.

한편,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균등 혹은 차등하게 나타난 경우에(304), 제2 LCD의 크기를 도 2c, 도 2d 및 2e와 같이 임의적으로 조절 가능한데(308), 제2 LCD의 화면 조절키로서 단말기 상에 별도의 기본 키로 지정할 수 있고, 기존 설정키로서의 사이드 키(side key) 혹은 네비게이션 키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LCD is divided so that the second LCD appears evenly or differentially (304), the size of the second LCD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s shown in FIGS. 2C, 2D and 2E (308). As a screen control key, a separate basic key may be designated on the terminal, and a side key or a navigation key as an existing setting key may be used.

상기에서, 제1 LCD가 분할되어 제2 LCD가 균등 혹은 차등하게 나타난 경우에 (304), 메뉴키가 적용되는 화면에서 화면분할 해제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화면은 사라지고 나머지 화면만 남게 된다. 예를 들면, 제1 LCD에서 메뉴키가 동작될 때 화면분할 해제키를 누르면 제1 LCD가 사라지고 제2 LCD가 주 화면이 된다. 반대로, 제2 LCD에서 메뉴키가 동작될 때 화면분할 해제키를 누르면 제2 LCD가 사라지고 제1 LCD가 그대로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case where the first LCD is divided so that the second LCD is equally or differentially displayed (304), when the screen split release key is pressed on the screen to which the menu key is applied, the corresponding screen disappears and only the remaining screen remains. For example, when the screen split release key is pressed while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first LCD, the first LCD disappears and the second LCD becomes the main screen. On the contrary, if the screen split release key is pressed while the menu key is operated on the second LCD, the second LCD disappears and the first LCD remains intac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LCD를 분할하여 균등하게 제2 LCD를 생성하거나, 제2 LCD의 크기를 차등 분할하여, 추가된 제2 LCD의 크기를 임의 조절 가능하고, 제1 LCD와 제2 LCD에서 선택적인 기능키에 의한 동작이 가능하다. 이때, 특히 각 LCD에 표시되는 데이터들을 스크린 메모리별로 저장하여, 필요한 메모리의 데이터만 갱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갱신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ivide the first LCD evenly to produce a second LCD, or divide the size of the second LCD evenly, and can arbitrarily adjust the size of the added second LCD, Operation by an optional function key on the second LCD is possible. In this case, in particular, data displayed on each LCD may be stored for each screen memory, and the display update speed may be improved by updating only the data of the required memor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크린 메모리를 분할하여 사용함으로써, 화면 갱신이 필요한 데이터가 속해있는 영역만을 목록으로 구성하므로 계산량이 줄어들어 갱신속도가 빨라질 뿐만 아니라, 전체 LCD에서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단말기의 적어도 두 가지의 기능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creen memory is divided and used, only the area to which the data requiring screen updating belongs is configured as a list, so that the amount of calculation is reduced and the update speed is increased, and the area is divided in the entire LC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in parallel with at least two functions of.

Claims (15)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인터럽트 발생되어 분할된 화면(LCD) 영역별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각각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저장수단; At least one screen 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display for each area of an interrupted and divided LCD area; 제1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2 LCD를 생성하고,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에 표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When the first interrupt occurs, the first LCD screen is divided to generate a second LCD to display data required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and the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is rea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to control the display on the corresponding LCD. Way; And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인터럽트 발생시 화면 분할하여, 발생된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해당 LCD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the display means for splitting the screen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interrupt, and for displaying the data necessary for the generated interrupt processing on the corresponding LCD. 을 포함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 The control means, 제2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 혹은 제2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3 LCD를 생성하고, 상기 제3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3 LCD에 표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When the second interrupt occurs,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is divided into screens to generate a third LCD to display data necessary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and th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LCD is rea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3.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split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display on the LC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인터럽트 해제시에, When the interrupt is released, LCD 자동 화면 분할 이전 상태로 자동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LCD automatic screen divis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transition to the previous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 The control means, 사용자의 제1 화면분할 설정 요구에 따라,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2 LCD를 생성하고,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에 표시 제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According to a user's first screen division setting request, further comprising the function of screen-dividing the first LCD to generate a second LCD, reading out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n the corresponding LC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수단은, The control means, 사용자의 제2 화면분할 설정 요구에 따라, 제1 LCD 혹은 제2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3 LCD를 생성하고, 상기 제3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3 LCD에 표시 제어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setting the second screen division,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is screen-divided to generate a third LCD, and data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LCD is rea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to the third LC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split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to control display.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사용자의 화면분할 해제 요구에 따라, LCD 강제 화면 분할 이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split control function, wherein the screen split control function is maintain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o release a screen split. 제 1 항 또는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4 or 5, 상기 화면 분할된 LCD는 각각,The screen divided LCD, respectively, 균등 혹은 차등 분할되며, 화면 분할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임의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which is equally or differentially divided and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ndependently in a screen division stat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데이터들은, The data, 실제 단말기의 화면(LCD)에 위치할 좌표로 구분되어, 각 스크린 저장수단별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which is divided into coordinates to be located on a screen (LCD) of an actual terminal and stored for each screen storage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4 or 5,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저장수단은, The at least one screen storage means, 각각의 분할 화면별로 메모리가 할당되되, 각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터들이 실제 단말기의 화면에 위치할 좌표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저장시에는 기 구현되어 있는 방법으로 각 메모리별 데이터 연결 목록을 구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분할 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Memory is allocated for each split screen, and data to be stored in each memory is divided into coordinates to be located on the screen of the actual terminal, and when storing, the data connection list for each memory is constructed and stored in a pre-implemented mann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division control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크린 저장수단을 분할하여, 인터럽트 발생되어 분할된 화면(LCD) 영역별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각각 저장하는 저장 단계; A storage step of dividing the screen storage means and storing data necessary for display for each interrupted and divided screen (LCD) area; 제1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2 LCD를 생성하는 화면분할 단계; 및Splitting the first LCD to generate a second LCD to display data necessary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when the first interrupt occurs; And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Display step of reading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from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and displaying on corresponding LCD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제2 인터럽트 발생시, 제1 LCD 혹은 제2 LCD를 화면 분할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제3 LCD를 생성하고, 상기 제3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3 LCD에 표시하는 화면분할 및 표시 단계When the second interrupt occurs,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is divided into screens to generate a third LCD to display data necessary for the interrupt processing, and the data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LCD is rea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3 Screen division and display steps on the LCD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제1 혹은 제2 인터럽트 해제시에, LCD 자동 화면 분할 이전 상태로 자동 천이되는 화면복귀 단계 A screen return step of automatically transitioning to a state before the LCD automatic screen division when the first or second interrupt is released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사용자의 제1 화면분할 설정 요구에 따라, 제1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2 LCD를 생성하고, 각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해당 LCD에 표시하는 제1 화면분할 및 표시 단계According to a user's first screen division setting request, the first LCD is divided into screens to generate a second LCD, and first screen division and display for reading data to be displayed on each LCD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and displaying the data on the LCD. step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사용자의 제2 화면분할 설정 요구에 따라, 제1 LCD 혹은 제2 LCD를 화면 분할하여 제3 LCD를 생성하고, 상기 제3 LCD에 디스플레이할 데이터를 해당 스크린 저장수단에서 독출하여 상기 제3 LCD에 표시하는 제2 화면분할 및 표시 단계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setting the second screen division, the first LCD or the second LCD is divided into screens to generate a third LCD, and data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LCD is read out from the corresponding screen storage means to the third LCD. Second screen division and display step of displaying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사용자의 화면분할 해제 요구에 따라, LCD 강제 화면 분할 이전 상태를 유지하는 화면복귀 단계A screen return step that maintains the state before the LCD forced screen division according to the user's screen split request 를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분할 제어 방법.Screen division control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KR1020040065532A 2004-08-19 2004-08-19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KR1006502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32A KR100650257B1 (en) 2004-08-19 2004-08-19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32A KR100650257B1 (en) 2004-08-19 2004-08-19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030A true KR20060017030A (en) 2006-02-23
KR100650257B1 KR100650257B1 (en) 2006-11-24

Family

ID=3712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532A KR100650257B1 (en) 2004-08-19 2004-08-19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25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80B1 (en) * 2005-03-22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creen Splitting Function
KR20090075977A (en)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nd recorable medium for the method
US9996212B2 (en) 2012-08-28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460B1 (en)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Operation Method of Split Window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905038B1 (en) 2011-11-16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having a touch screen under multiple applications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88457B1 (en) 2011-11-16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having a touch screen processing plurality of apl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932718B1 (en) 2012-02-24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ize of display window on screen
AU2013202944B2 (en) 2012-04-26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EP2662761B1 (en) 2012-05-11 202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display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960061B1 (en) 2012-05-21 2019-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d displaying between executing screen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a device
KR101984673B1 (en) 2012-07-27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ex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016975B1 (en) 2012-07-27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3690624B1 (en) 2012-12-06 2023-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585553B2 (en) 2012-12-06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741192A3 (en) 2012-12-06 2016-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83071B1 (en) 2012-12-06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ex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102438B1 (en) 2012-12-06 202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282088B2 (en) 2012-12-06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gh screen device
EP4213001A1 (en) 2012-12-06 2023-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07404B1 (en) 2013-10-30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370A (en) 1997-11-07 1999-05-28 Kyocera Corp Portable video telephone system
KR20030056072A (en)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vide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29808B1 (en) * 2002-01-21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A portable telephone and display method of data thereof
KR100543302B1 (en) * 2003-07-10 2006-01-20 주식회사 팬택 Selective reception method during multimedia wor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1138B1 (en) * 2004-02-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ieving call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080B1 (en) * 2005-03-22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creen Splitting Function
KR20090075977A (en)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nd recorable medium for the method
US9996212B2 (en) 2012-08-28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0257B1 (en)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25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frame split controlling and its method
EP1655657B1 (en) Screen chang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US9195481B2 (en)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imultaneously
JP5242043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060062168A1 (en) Method of providing menu effect layer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menu effect using menu effect layer
JP2007166616A (en) Electronic terminal having screen division display function and screen display method thereof
US799604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pplication execution environment softwar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43302B1 (en) Selective reception method during multimedia wor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02454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s in idl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KR100881218B1 (en)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imultaneously
KR20050051307A (en) Message creation method through screen divis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52453A (en) Method for setting initial displa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538186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and program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40078276A (en)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spli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51086A (en) Method for writing and sending sms while playing multimedia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7172070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ata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050054666A (en) Method for using a emoticon made by user
KR20070027027A (en) Method for hierarchical user interface using multi demensional graphic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086219A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KR10062134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aving/Resuming Work State and Method for Saving/Resuming Work State
KR100713467B1 (en) Method for changing mode in wireless terminal
KR20040037381A (en) Method for selecting menu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phone
KR20080112508A (en) Method for displaying of music information in terminal
JPH11338607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06520A1 (en) Multi-tasking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terminal with DMB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