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534A - 전자기기용 키패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534A
KR20060016534A KR1020040065019A KR20040065019A KR20060016534A KR 20060016534 A KR20060016534 A KR 20060016534A KR 1020040065019 A KR1020040065019 A KR 1020040065019A KR 20040065019 A KR20040065019 A KR 20040065019A KR 20060016534 A KR20060016534 A KR 20060016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keypad
key
electronic devic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556B1 (ko
Inventor
오종석
양윤홍
Original Assignee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5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71)를 구비한 패드(70)와, 상기 베이스 부재(71)에 접착되어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61)을 갖는 키(60)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키탑(61)의 상면에 도포되어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하고, 이로써 사용자가 키(60)를 누를 경우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기호와 취향에 더욱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전자기기를 양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키패드{KEYPAD FOR ELECTRONIC APPLIA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포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포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인쇄회로기판 B1 : 접점
F : 프런트 하우징 F1 : 구멍
P : 인쇄층 S : 돔 스위치
60 : 키 61 : 키탑
70 : 패드 71 : 베이스 부재
72 : 돌기 80 :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
90 : UV 코팅층 100 : 키패드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가변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을 베이스 부재 위에 제공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멋스러운 전자기기를 양산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용 키패드는 가정용 전화기, PDA, 전자계산기, 컴퓨터용 키보드 또는 셀룰러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과 연동되어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 소개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는 편의상 셀룰러폰용 키패드를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셀룰러폰의 키 조작은 작동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돔 스위치를 사용하고, 키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가 돔 스위치를 가압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을 터치토록 함으로써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1)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10) 및 인쇄회로기판(2) 사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프런트 하우징(10)의 홀(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21)을 갖는 키(20)와, 프런트 하우징(10) 속으로 안착되는 베이스 부재(31)를 구비한 패드(30)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1)는 키탑(21)의 저면 중앙에 돔 스위치(4)의 탄성에 연동되면서 인쇄회로기판(2)의 접점(5)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돌출 성형된 돌기(22)를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 부재(31)와 키탑(21)은 연결부(3)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이 연결부(3)는 키탑(21)의 상하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마련되고, 키탑(21)의 상면에는 문자나 숫자가 인쇄된 인쇄층(2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키패드(1)의 키(20)를 누르면 그 저면에 형성된 돌기(22)가 돔 스위치(4)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인쇄회로기판(2)의 접점(5)과 접촉하면서 시그널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시그널을 발생시킨 다음 키(20)에서 손을 이탈시키면 돔 스위치(4) 및 연결부(3)의 자체 탄성으로 키(20)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1)는 키(20)가 투명 내지는 단일의 색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취향과 성향을 갖는 사용자들에게 크게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자가 키를 누를 경우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자기기용 키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를 구비한 패드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착되어 프런트 하우징의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키탑의 상면에 도포되어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를 구비한 패드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착되어 프런트 하우징의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키탑의 하면에 도포되어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를 구비한 패드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착되어 프런트 하우징의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을 갖는 키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도포되어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취향과 성향을 갖는 소비자들에게 더욱 호감이 갈 수 있는 전자기기용 키패드를 개발하여 제안한 것으로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PSP; Pressure Sensitive Paint)를 적극 활용하여 키의 색상을 더욱 자유롭게 구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압력 반응형 페인트는 형광 또는 인광의 발광소자 그리고 산소나 특정기체가 투과될 수 있는 바인더(binder)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데 발광소자가 특정 파장의 광원에 의하여 여기될 때 발산하는 다른 파장의 광량이 산소나 특정기체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압력가변에 따라 발산 광도가 스스로 변화되는 페인트를 일컫는다.
실제 압력 반응형 페인트의 응용분야로서 압력가변에 따라 발산광도가 변화되는 페인트를 광학처리 시스템과 압력교정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일정 압력에서의 발광특성을 보정할 경우 물체의 표면에 압력측정소자를 삽입시키지 않고도 압력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표면압력측정 시스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압력 반응형 페인트를 이용한 표면압력측정 시스템은 압력을 측정하려는 부분 에 얇은 페인트를 도포한 후 원거리에서 광학적 압력측정방법으로 넓은 부분에 걸쳐 일거에 압력분포를 구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압력측정이 곤란한 3차원의 곡면이나 회전체 등과 같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항공기의 풍동시험기술이나 화상처리기술, 유기화학, 유체역학, 전산처리, 광학 등의 기술분야에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 반응형 페인트를 응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100)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F) 및 인쇄회로기판(B) 사이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를 포함한 단면도로서, 키(60) 조작에 대한 작동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돔 스위치(S)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패드(70)의 구성이 되는 베이스 부재(71)의 돌기(72)가 돔 스위치(S)를 가압하여 인쇄회로기판(B)의 접점(B1)을 터치하면서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100)는 키(60)와 패드(70)로 구분할 수 있고, 키(60)는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필요에 따라서 키탑(61)의 상면에 문자나 숫자가 인쇄된 인쇄층(P)을 구비할 수 있으며,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키탑(61)의 상면에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도포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핵심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보호하기 위한 UV 코팅층(9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러할 경우 UV 코팅층(90)과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 사이에 문자나 기호로 새겨진 인쇄층(P)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키(60)를 누를 경우 그 누름 압력에 의하여 미도시된 LED와 같은 광원이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의 형광 또는 인광의 발광소자와 연동되어 여기되는 파장의 광량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표출될 수 있게 되어 더욱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키패드(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100)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F) 및 인쇄회로기판(B) 사이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를 포함한 단면도로서, 키탑(61)이 투명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그 위에 문자나 숫자로 된 인쇄층(P)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UV 코팅층(90)이 마련될 경우 키(60)의 누름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키탑(61)의 하면에 도포시키므로써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100)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F) 및 인쇄회로기판(B) 사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를 포함한 단면도로서 문자나 숫자로 된 인쇄층(P)이 키탑(61)의 하면에 마련될 경우 베이스 부재(71)의 상면에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도포할 수 있음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보여주고 있고, 이러한 설계로서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의 색상변화가 투명 내지는 반투명 재질의 키(60)에 투영될 경우 더욱 아름다운 색의 변화를 느낄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단일의 색상을 제공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키패드의 식상함 을 극복하고자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그 누름압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표출하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보다 아름답고 멋스러운 시감을 발휘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양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키패드(100)는 사용자가 키(60)를 누를 경우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의 기호와 취향을 보다 적극적으로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전자기기를 양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압력가변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표출하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제공하는 것을 가장 큰 핵심구성으로 하고, 기타 변화 가능한 공정 및 구성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화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하며 특허청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5)

  1. 베이스 부재(71)를 구비한 패드(70)와, 상기 베이스 부재(71)에 접착되어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61)을 갖는 키(60)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키탑(61)의 상면에 도포되어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보호하는 UV 코팅층(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V 코팅층(90)과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 사이에 문자나 기호가 새겨진 인쇄층(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
  4. 베이스 부재(71)를 구비한 패드(70)와, 상기 베이스 부재(71)에 접착되어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61)을 갖는 키(60)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키탑(61)의 하면에 도포되어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 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
  5. 베이스 부재(71)를 구비한 패드(70)와, 상기 베이스 부재(71)에 접착되어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61)을 갖는 키(60)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71)의 상면에 도포되어 압력의 가변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키는 압력 반응형 페인트 층(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키패드(100).
KR1020040065019A 2004-08-18 2004-08-18 전자기기용 키패드 KR10056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19A KR100567556B1 (ko) 2004-08-18 2004-08-18 전자기기용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19A KR100567556B1 (ko) 2004-08-18 2004-08-18 전자기기용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534A true KR20060016534A (ko) 2006-02-22
KR100567556B1 KR100567556B1 (ko) 2006-04-05

Family

ID=3712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019A KR100567556B1 (ko) 2004-08-18 2004-08-18 전자기기용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90B1 (ko) * 2006-07-14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856B1 (ko) * 2010-02-03 2011-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입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90B1 (ko) * 2006-07-14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US7728236B2 (en) 2006-07-14 2010-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pad and keypad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556B1 (ko)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96509A (zh) 键盘及其制造方法
CN102386010A (zh) 键盘及其键盘制造方法
KR100567556B1 (ko) 전자기기용 키패드
TWI601171B (zh) 鍵盤裝置
KR101330937B1 (ko) 이동단말기의 백라이팅 구조물 제조방법, 이동단말기의백라이팅 구조물 및 백라이팅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
KR100643479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WO2010024137A1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に用いるためのドーム付シート
US20090178906A1 (en) Keypad panel assembly having arrays of micropores
KR20070037767A (ko) 휴대폰용 금속 서스형 박막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90178753A1 (en) Process for keypad panel having arrays of micropores
KR100622283B1 (ko) 전자기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TWI512775B (zh) 透光鍵帽及其鍵帽製造方法
KR100695520B1 (ko) 금속재질감을 갖는 휴대폰용 이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4434Y1 (ko) 휴대폰용 금속 서스형 박막 키패드
KR20020080687A (ko)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TW201316366A (zh) 鍵盤及其鍵盤製造方法
KR100528493B1 (ko)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5934A (ko) 키탑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탑패드
KR20030090012A (ko) 이엘램프가 내장된 셀룰라폰용 키패드
KR200404433Y1 (ko) 핸드폰용 박막형 평면 키패드
KR200378607Y1 (ko) 메탈 키패드
TWI587339B (zh) 鍵盤及其鍵盤製造方法
KR100594633B1 (ko) 일체형 금속터치패드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일체형 금속터치패드가 구비된 금속키패드
KR200394140Y1 (ko) 메탈 키패드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