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6227A -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6227A
KR20060016227A KR1020040064598A KR20040064598A KR20060016227A KR 20060016227 A KR20060016227 A KR 20060016227A KR 1020040064598 A KR1020040064598 A KR 1020040064598A KR 20040064598 A KR20040064598 A KR 20040064598A KR 20060016227 A KR20060016227 A KR 20060016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essage information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118B1 (ko
Inventor
우성식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6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1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단문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통화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단문 메시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발신자 표시, 문자 메시지, 통화중

Description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short massag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수신 받은 경우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단문 서비스 알림 기능의 선택의 경우에 따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서비스 아이디의 값에 따른 의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어부
103 : 키 입력부
105 : 표시부
107 : 메모리
111 : 송수신부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는 이동 가입자에게 전송할 정보가 있을 경우 단문 메시지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에서 이동가입자 단말기로 단문메시지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기능으로, 단문 메시지를 이동국과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시스템과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 장치로 전달해 주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단문 메시지를 활용한 여러 서비스 중에서 착신 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통화중이거나 착신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응하는 착신 불가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예를 들면, 캐치콜)가 제공되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서비스에 있어서, 통화중에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기는 설정된 단문 메시지 도착 알림 설정에 따라 도착 알림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럴 경우, 단문 메시지의 알림 신호는 일반적인 경우 불편함이 없지만, 착신 단말이 통화중인 상태에서 계속 도착 알림 신호가 발생할 경우, 기존의 통화의 소통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중에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알림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신 불가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에 의한 알림 신호가 통화중에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화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가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는 IS-41 규격과 GSM/UMTS의 규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은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 정보의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단문 메시지 정보는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 중 미리 정의된 번호 이외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assage Service Center : SMSC)와 결합하는 단말기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가 통화 모드에서 착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통화 모드에서 착신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화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통화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수단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가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는 IS-41 규격과 GSM/UMTS의 규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은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 정보의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단문 메시지 정보는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 중 미리 정의된 번호 이외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CPU)(101), 제어부(101)의 제어를 받고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 및 동작의 입력을 담당하는 키(Key) 입력부(103), 표시부(105), 메모리(107), 음성처리부(109) 및 송수신부(111)를 포함한다.
제어부(101)는 송수신부(111)에서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고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가 통화중 모드인 경우 수신한 메시지를 메모리(107)에 저장하고, 그 통화가 끝나 대기 모드로 전환 된 경우에 그 메시지를 표시부(105)에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수신한 단문 메시지의 종류를 분석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가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인지, 혹은 발신자 표시 서비스. 예를 들어 캐치콜이나 골키퍼와 같은 상표명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발신자 표시 단문 메시지 서비스인지를 분석하여 각 단문 메시지의 형태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표시부(105)는 액정 표시 장치(LCD), 진동 장치, 스피커등과 같은 표시 장치로서, 제어부(101)의 제어를 받아 이동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05)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05)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대기 모드인 상태에서만 단문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의 도착을 알리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메모리(107)에는 제어부(101)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폼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107)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07)는 상기 제어부(101)의 명령에 따라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음성 처리부(109)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송수신부(111)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메모 리(107)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부(111)는 제어부(101)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통화중 모드에서, 송수신부(111)에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제어부(101)는 단문 메시지의 수신을 바로 출력하지 않고, 우선 단문 메시지를 메모리(107)에 저장한다. 그 후, 통화가 끝나고 단말기가 통화중 모드에서 통화 대기 모드로 전환된 후에 제어부(101)는 메모리(107)에 저장되어 있던 단문 메시지를 표시부(105)의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수단을 사용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안테나(201), 듀플랙서(203), 송수신부(205, 207), 중간 주파수부(209, 211), 베이스 밴드 프로세싱부(213), 주변 장치부(21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말기는 크게 고주파 처리부와 기저대역 처리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고주파 처리부는 듀플랙서(203), 송수신부(205, 207), 중간 주파수부(209, 211)가 포함되며, 기저대역 처리부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싱부(213), 주변 장치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듀플랙서(203)는 상기 안테나(201)로부터 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수신부(20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송신부(207)에서 전달 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안테나(201)를 거처 이동 통신 말단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듀플랙서(203)는 송신 주파수와 수신 주파수를 분리하는 밴드패스 필터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며, 하나의 안테나로 혼신 없이 송신과 수신을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수신부(205, 207))는 상기 중간 주파수부(209, 211)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적절하게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송신부(207)와 수신부(205)는 쌍으로 존재하며, 송신부(207)는 송신측 중간 주파수부(211)에서 전달 받은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에 적합하게 변환하거나 증폭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수신부(205)는 상기 듀플랙서로부터 전달받은 수신 신호를 적절하게 변환하거나 증폭하여 수신측 중간 주파수부(209)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 주파수부(209, 211)는 상기 송수신부(205, 207)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적절하게 변환하여 기저대역에서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거나, 상기 기저대역에서 처리된 신호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밴드 프로세싱부(213)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가장 중요한 역 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밴드 프로세싱부(213)는 상기 무선 기저대역에서 음성이나 데이터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규격에 알맞은 신호로 처리하며, 디지털 신호를 음성 신호나 다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밴드 프로세싱부(213)중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MSM(Mobile Station Modem)이라 불리는 부분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나 호 처리를 담당하며 제어장치를 함께 내장하고 있다.
상기 주변 장치부(215)는 상기 베이스 밴드 프로세싱부(213)에서 변환된 음성이나 기타 신호를 적절하게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변장치에는 음성 출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화상 출력 장치, 화상 입력 장치, 진동 알림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수신 받은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301). 그러면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의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를 확인한다(단계 303). 그 후, 확인한 텔레서비스 아이디가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여(단계 305), 그렇지 않다면 기존의 단문 메시지 출력에 따른 순서로 진행하고(단계 307), 그렇다면 현재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09). 여기서 현재 상태가 통화중 상태가 아니라면 기존의 단문 메시지의 출력 순서와 같이 수신한 단문 메시지의 알림을 출력하고(단계 311), 그렇지 않다면 일단 알림 출력을 하지 않고 메시지를 임시 저장 한다(단계 313). 그 후,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가 끝났는지 판단하여(단계 315),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만 메시지 알림을 출력한다(단계 311).
여기서 일반 단문 메시지와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단문메시지의 구분은 텔레서비스 아이디로 할 수 있다. 텔레서비스 아이디는 SMCI(Short Message Common Interface)에서 사용하는 값으로 값에 따라 단문 메시지의 형식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CDMA의 단문 메시지 값은 4098을 사용한다. 따라서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 4098이 아닌 다른 값으로 전송한다면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따른 단문 메시지와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다. 텔레서비스 아이디의 정의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표시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의 순서도이다.
도 4에 의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401). 그 후, 현재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403). 여기서 현재 상태가 통화중 상태가 아니라면 기존의 단문 메시지의 출력 순서와 같이 수신한 단문 메시지의 알림을 출력하고(단계 405), 그렇지 않다면 일단 알림 출력을 하지 않고 메시지를 임시 저장한다(단계 407). 그 후,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 가 끝났는지 판단하여(단계 409),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만 메시지 알림을 출력한다(단계 405).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단문 서비스 알림 기능의 선택의 경우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단계 501), 상기 단말기가 발신자 표시 메시지의 알림을 지연하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단계 503)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알림 순서에 따르고(단계 505), 설정되어 있다면 일반 단문 메시지의 알림 지연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단계 507)하여, 그렇지 않다면 발신자 표시 알림만 지연하고(단계 509), 그렇다면 모든 단문 메시지의 알림을 지연한다(단계511).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텔레서비스 아이디의 값에 따른 의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의하면, 왼쪽의 값(Value)은 텔레서비스 아이디의 값을 나타내며, 오른쪽의 정의(Definition)는 각 값에 따른 텔레서비스 아이디의 정의를 나타낸다.
값 0 는 사용되지 않는다(601).
값 1은 유지 보수를 위해 보존되어 있다(603).
값 2~4095는 IS-41에서 사용되도록 보존되어 있다(605).
값 4096은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확장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위한 값이다(607).
값 4097은 CDMA의 페이징 텔레서비스를 위한 값이다(609).
값 4098은 CDMA의 메시징 텔레서비스를 위한 값이다(611).
값 4099는 CDMA의 음성 메일 통지를 위한 값이다(613).
값 4100~32512는 IS-41에서 사용되도록 보존되어 있다(615).
여기서 값 4098은 CDMA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텔레서베스 아이디 값이다. 그러므로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단문 메시지를 정의되지 않고 보존되어있는 값들 중 하나로 사용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와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따른 단문 메시지의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통화중에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알림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착신 불가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에 의한 알림 신호가 통화중에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화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가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는 IS-41 규격과 GSM/UMTS의 규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 정보의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단문 메시지 정보는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 중 미리 정의된 번호 이외의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6.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assage Service Center : SMSC)와 결합하는 단말기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가 통화 모드에서 착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가 상기 통화 모드에서 착신된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화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방법.
  7. 단문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화 모드에서 단문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통화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수단;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가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정보는 IS-41 규격과 GSM/UMTS의 규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은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 정보의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표시 서비스에 의한 단문 메시지 정보는 텔레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 중 미리 정의된 번호 이외의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40064598A 2004-08-17 2004-08-17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11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598A KR100611118B1 (ko) 2004-08-17 2004-08-17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598A KR100611118B1 (ko) 2004-08-17 2004-08-17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227A true KR20060016227A (ko) 2006-02-22
KR100611118B1 KR100611118B1 (ko) 2006-08-10

Family

ID=3712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598A KR100611118B1 (ko) 2004-08-17 2004-08-17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1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702B1 (ko) * 2005-07-29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모바일 기기
KR100764353B1 (ko) * 2006-07-28 2007-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과 이를 이용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77B1 (ko) * 2002-08-08 2004-1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단말기 통화 중 단문메시지의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702B1 (ko) * 2005-07-29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모바일 기기
KR100764353B1 (ko) * 2006-07-28 2007-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과 이를 이용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1118B1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937B1 (ko)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KR20010055631A (ko) 수신자의 메시지 확인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101029463B1 (ko) 휴대단말에서 긴급문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20000040300A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단축메시지 수신 제어방법
KR2001004695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100611118B1 (ko) 단문 메시지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54783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시도진행상태표시장치및방법
KR200601297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거부 설정방법
KR10053995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20030097427A (ko)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20060114081A (ko)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648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ms 착신 시 음성 호 처리 방법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100506249B1 (ko) 쇼트메시지 수신 음성 알림방법
KR10061779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 거부 방법
KR20030031714A (ko) 통신단말기의 통화연결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539872B1 (ko) 이동통신단말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571239B1 (ko) 호의 착신 확인 방법
KR100713474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셋간에 정보 송수신 방법
KR100680919B1 (ko) 문자메시지 전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94342A (ko) 이동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통화 종료 이유 통보방법
KR10065064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 제한 방법
KR20060033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 통지 연기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