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60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형성의 조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형성의 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607A
KR20060015607A KR1020057021788A KR20057021788A KR20060015607A KR 20060015607 A KR20060015607 A KR 20060015607A KR 1020057021788 A KR1020057021788 A KR 1020057021788A KR 20057021788 A KR20057021788 A KR 20057021788A KR 20060015607 A KR20060015607 A KR 20060015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ities
entity
wtru
erro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제프리 골드버그
킴벌리 초트코우스키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1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개의 통신하고 있는 엔티티 사이에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다. 두 개의 엔티티는 그들 각각의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에 대한 보정 계수(correction factor)가 제공되며, 상기 엔티티는 그것의 빔 조정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여 통신하고 있는 다른 엔티티에 관한 그것의 빔의 정렬에서 측정된 임의의 오차를 보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엔티티가 빔 형성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엔티티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알지 못할 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정 계수는 다른 엔티티가 빔 형성할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여부 또는 다른 엔티티가 본 발명을 사용하고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실질적이 여부가 될 방식으로 하나의 엔티티에 의하여 계산되거나 사용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형성의 조정{COORDINATION OF BEAM 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빔 형성의 조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빔 형성에서 신호 파워의 전송 또는 수신은 의도된 각각의 수신기 또는 전송기의 방향에 집중된다. 신호의 전송 및 수신 모두는 전 방향성 패턴과 비교하여 빔 형성된 패턴으로부터 얻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전송기의 관점에서, 빔 형성은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워를 경감시키고, 의도하지 않은 수신기로 유도되는 간섭을 일으키는 파워를 경감시킨다. 수신기의 관점에서, 빔 형성은 요구되는 수신된 신호를 강화시키고 다른 전송기 또는 신호원으로 인한 간섭을 경감시키고, 게다가 그들은 전송의 주축(primary axis)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에서, 예를 들어, 빔 형성은 항상 마이크로웨이브 타워(microwave tower)(10, 12)와 같은 고정된 기초 설비와 관련된다. 이것은 도 1에서 도시한 것처럼 마이크로웨이브 타워(10, 12)의 빔에 대한 정지상태의 전송 및 수신이 각각 서로 향하게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다. 빔이 중복된 상태로 남아서 그에 의하여 신뢰할만한 전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타워가 탑재된 구조 및 간단히 사용 된 빔 폭(beam width)은 충분히 안정적일 필요가 있다. 만약 타워 또는 빔이 구조적 또는 전기적 불안정으로 인하여 불안정하다면, 빔은 도 2에서 도시한 것처럼 적절하게 중복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상황에서, 빔은 두 개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전송되고 비정렬(misalignment)의 등급이 전형적으로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보정은 상대적으로 쉽다.
그러나, 급격히 증가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용량과 통신 가능 범위 요구로, 빔 형성은 또한 기지국과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WTRUs)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빔 형성을 사용하는 기지국(20)과 전방향성(omni-directional) 패턴을 사용하는 WTRU(22)가 도시되어 있다. 빔에서의 가능한 외부적 영향(즉, 물리적 방해)을 무시하고, 기지국(20)은 상당히 변화가 없는 패턴 위치를 가져야만 한다. 반면에, WTRU(22)는 임의의 방향에서 회전과 위치 이동의 적용을 받는다. 만약 WTRU(22)의 전송 패턴이 정확히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이라면(즉, 원에 가까움), 회전은 통신 링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위치 이동은 WTRU(22)와 기지국(20) 통신 링크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문제를 일으킬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WTRU(22)는 최초로 전방향성 패턴(24)을 송출하고 그리고나서 위치를 변화시키고 전방향성 패턴(26)을 송출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기지국(20)은 접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그것의 빔을 수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물론 극단적인 변화는 다른 기지국으로 교환을 요구할 수 있고, 그것은 핸드오프(handoff)(또는 핸드오버(handover))를 일으키고,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도 4에서, 기지국(30)은 전방향성 패턴을 사용하고 WTRU(32)는 빔 형성을 사용한다. 여기서, WTRU(32)가 빔 형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회전뿐만 아니라 위치 이동도 기지국(30)과 WTRU(32) 사이에 패턴 중복을 악화시키는 문제를 더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러한 상황에서, WTRU(32)는 빔 패턴(34)을 최초로 송출하고 그리고나서 회전 또는 위치 이동 또는 둘 모두의 결과로써 위치를 변화시키며 빔 패턴(36)을 송출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은, 언급한 것처럼, 종래의 시스템의 종래의 능력인 핸드오프를 사용하여 또한 처리될 수 있다. 기지국(30)의 전방향성 패턴은 무선 통신에서 종종 발견되는 섹터(sectored) 패턴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WTRU(32)의 회전 및 위치 이동이 섹터들 사이에 핸드오프를 요구할 수 있기 위하여 기지국(30)이 그것의 위치를 둘러싸는 완전한 범위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핵심이며 이것은 종래의 시스템에서 종래의 능력이다.
그러나, 두 엔티티(entity)(즉, 기지국 및 WTRU)가 모두 빔 형성을 사용하고 있는 도 5에서 도시한 것처럼, WTRU(40)에 의한 움직임(대쉬(dashed) 패턴을 주시)은 패턴 중복을 방해하기가 더 쉽다. 즉, 적절히 정렬된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빔 형성은 통신을 향상시키는 반면에, WTRU 및 기지국 모두 빔 형성을 사용하고 그에 의하여 링크를 확립하고 유지하는, 비정렬의 경우 시간이 더 소비되고 다루기 힘들게 되기가 쉽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조정 전" 상황은 두 개의 정렬되지 않은 빔을 도시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그 빔들이 Xa, Xb를 발생시키는 그 엔티티(기지국 또는 WTRU 둘 다 될 수 있음) 모두는 그 빔을 더 잘 정렬시키기 위하여 조정을 결정한다. 그 러나, 그들은 다른 것이 행하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은 모두 요구되는 조정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전체 조정은 기존의 오차와 대략 동일한, 정렬 결과 생기는 오차를 발생시키고, 그 빔들은 "조정 후" 환경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다른 방향을 가리킨다. 조정이 시도된 후에, 동일한 것이 발생하여 그에 의하여 그 빔으로 하여금 빔의 최적의 정렬 상태 근방에서 진동하는 패턴이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측정들 또는 빔의 실제 조정들 사이에 어떠한 암시된 시간 관계가 없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유일한 상황은 하나의 엔티티에 의한 측정 및 수행된 결과적인 조정과 다른 엔티티에서 발생한 동일한 측정 및 결과적인 조정이 중복하는 시간이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형성의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개의 통신하고 있는 엔티티 사이에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다. 두 개의 엔티티는 그들 각각의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에 대한 보정 계수(correction factor)가 제공되며, 상기 엔티티는 그것의 빔 조정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여 통신하고 있는 다른 엔티티에 관한 그것의 빔의 정렬에서 측정된 임의의 오차를 보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엔티티가 빔 형성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엔티티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알지 못할 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정 계수는 다른 엔티티가 빔 형성할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여부 또는 다른 엔티티가 본 발명을 사용하고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실질적이 여부가 될 방식으로 하나의 엔티티에 의하여 계산되거나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절히 정렬되어 형성된 전송을 발신하는 고정된 전송기 및 고정된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정렬되지 않고 형성된 전송을 발신하는 고정된 전송기 및 고정된 수신기를 도시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빔 형성을 사용하는 기지국 및 전 방향성 패턴을 사용하는 WTRU를 도시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 방향성 패턴을 사용하는 기지국 및 빔 형성을 사용하는 WTRU를 도시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 및 WTRU의 각각의 빔이 WTRU의 이동으로 인한 비정렬 될 수 있는 것인 기지국 및 WTRU를 도시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두 개의 엔티티 Xa, Xb(그 둘은 기지국 또는 WTRU가 될 수 있음)의 각각의 빔의 비정렬에 대한 보정을 시도하는 구 개의 엔티티 Xa, Xb를 도시한다.
도 7은 기지국 및 WTRU가 빔 형성할 수 있는 전송 패턴 시나리오의 예를 설명하는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8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WTRU의 각각의 빔의 비정 렬을 방위 차원(azimuth dimension)에서 보정하는 기지국 및 WTRU를 도시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WTRU의 각각의 빔의 비정렬을 고도 차원(elevation dimension)에서 보정하는 기지국 및 WTRU를 도시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WTRU의 각각의 빔의 비정렬을 방위 차원에서 보정하는 기지국 및 WTRU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및 WTRU의 각각의 빔의 비정렬을 고도 차원에서 보정하는 기지국 및 WTRU를 도시한다.
도 1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무선 엔티티는 그들의 빔을 조정하여 시스템 내의 통신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여기서,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은 사용자 장치, 자동차, 이동 기지국, 수신기, 전송기,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fixed or mobile subscriber unit), 호출기 또는 무선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하는 경우, 기지국은 노드-B, 수신기, 전송기, 사이트 제어기(site controller), 접속 지점 또는 무선 환경에서의 임의의 다른 유형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임의의 안테나 패턴과 같이, 도면에 도시된 빔의 윤곽은 단순히 그 패턴 내의 최대 에너지로부터 특정 크기를 감쇄시키는 신호의 표현인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신호는 사실상 그 윤곽 위에서, 그러나 추가로 감쇠된 레벨 에서 연속한다. 여기의 도면에 도시된 패턴은 통신이 가능한 레벨을 표현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레벨들은 사실상 전송기 및 수신기 능력의 적용을 받는다. 중복하는 것으로 보이는 경우, 우세한 조건하에서 주어진 목적에서 허용할 수 있는 통신에 대하여 적합한 패턴을 표현하도록 의도된다.
용이성을 위하여, 여기서 1차원 전송 패턴이 도시되고 설명된다. 그러나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빔의 비정렬(misalignment) 및 그것에 기초한 임의의 조정이 방위(즉, 수평) 또는 고도(즉, 수직) 차원에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들의 조합에서 또한 이루어진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비정렬된 빔들은 방위 차원, 고도 차원 또는 그것의 조합에서 비정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비정렬된 빔을 보정하기 위한 조정은 방위 차원, 고도 차원 또는 그것의 조합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여기서 사용되는 빔 폭은 수평 빔 폭 또는 수직 빔 폭일 수 있다. 즉, 그들의 빔 폭을 조정함으로써 빔을 조정하는 경우, 그 빔은 그것의 수평 빔 폭, 수직 빔 폭 또는 그것의 조합을 조정할 수 있다.
편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국과 WTRU 사이에서 설명되나 물론 필요한 경우 WTRU 사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단 무선 통신 시스템과 WTRU 사이에서 접속이 확립되면, 그들은 빔 형성의 사용을 협의할 것이다. 오직 WTRU의 회전 및 위치(방위 및 고도 모두)가 충분히 안정적이라고 간주되는 경우에만 두 개의 엔티티 모두가 빔 형성하는 것을 동의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것은 사용자, WTRU에서의 움직임 센서 또는 통신 채널의 특성의 감시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확립된 WTRU에서 의 설정이 될 수 있다. 실제 등급의 각 엔티티로부터의 빔 형성의 실제 등급은 이용 가능한 파워, 거리, 그리고 트랜스시버(transceiver)의 제어 위의 경감 요인(예를 들어, 페이딩(fading), 다중경로(multipath), 환경 조건)의 함수이고 다른 트랜스시버로부터의 또는 다른 트랜스시버로의 파워 소비 및 간섭에 관련하여 최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의 테이블은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상위 및 하위 링크 모두에 대한 네 개의 시나리오의 예를 제공한다. 각 방향에서 사용된 시나리오는 애플리케이션 필요, 장치의 능력, RF 환경 그리고 각 장치의 물리적 안정성의 함수이다. 일부 환경에서 그 사용은 주어진 방향에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링크 응답 채널이 전방향성 전송 및 응답 또는 무응답 제어 신호의 빠르고 신뢰할만한 검출을 보장하기 위한 빔 형성된 수신기(시나리오 76)에 의하여 더 잘 제공되는 반면에, 고속 대상으로 된 다운로드는 전송기(sender)와 수신기(시나리오 72. 74) 모두에서 견고한 하위링크 빔에 의하여 가장 잘 제공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안에서 동작하는 WTRU는 빔 형성의 그들의 각각의 빔 형성의 사용의 제어를 통신하거나 협의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것은 주어진 범위에서 빔 형성 전개의 사용을 알리지 않거나 협의하지 않는 네트워크 또는 장치에서 빔 형성 전개의 결과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엔티티 모두에 의한 빔 형성의 사용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처럼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제 1 실시예에서, 시나리오 72 및 74와 같은 상황에서의 빔 형성의 제어는 비조정된 방식으로 수행되어,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처럼, 비 정렬된 빔의 조정을 최적화시키고 그 빔들이 진동 패턴이 되는 것을 막는다. 도8a는 두 개의 엔티티 및 그들의 빔의 도면이고, 도8a의 "조정 전" 부분에 관련하여, 두 개의 통신하고 있는 엔티티(80, 82) 중 적어도 하나, 즉 80은 그들 각각의 빔(84, 86)이 비정렬된 등급의 부분과 동일한 보정(즉, 조정)을 수행할 것이다. 즉, 엔티티(80)는 오차 측정의 부분인 조정을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보정의 처음 몇 번의 반복 후에도 아직 어느 정도의 비정렬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하나의 엔티티가 전체 보정을 시도하고 있고 다른 것이 본 발명을 구현하고 있다면, 요구되는 정렬 등급을 달성하기 전에 임의의 반복으로 인해 도 8a의 "조정 전"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결국 오버슈트 조건이 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만약 하나의 엔티티가 그것의 빔을 조정하지 않는다면 또는 두 엔티티 모두가 본 발명의 처리를 사용하고 조정 부분이 오차의 절반보다 더 작다면, 그 빔들은 각 조정에서 언더슈트할 것이다. 만약 선행 문장의 보정 계수가 오차의 절반보다 더 크다면, 그 빔들은 오버슈트할 것이다. 측정에서 보정 계수와 오차의 다른 비율의 조합은 언더 또는 오버슈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하나의 엔티티가 본 발명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즉, 측정된 오차의 부분인 조정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요구되는 정렬 등급에서 수렴이 발생할 모든 경우에서 각각의 반복으로 비정렬의 등급은 감소할 것이다. 일단 요구되는 정렬 등급이 달성되면, 요구되는 등급보다는 작은 정렬 등급이 다시 검출될 때까지 조정은 중지할 수 있다. 물론, 요구되는 등급의 정렬은 운영자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어떻게 빔 정렬이 달성되는지를 더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 도시된 테이블 1을 참조한다. 테이블 1에서, 사용되는 조정부분(즉, 보정 계수)이 절반(0.5)인 것인 세 개의 시나리오 예가 도시된다. 오차 특정 및 조정은 등급으로 되어있다. 각 시나리오에서, 엔티티 "A"는 본 발명을 사용하고 엔티티 "B"는 그렇지 아니하다.
시나리오 1 : 중복 조정 기간
반복 측정된 오차 엔티티 A 조정 엔티티 B 조정
0 32 16 32
1 16 8 16
2 8 4 8
3 4 2 4
4 2 1 2
5 1 0.5 1
6 0.5 0 0
시나리오 2 : A 이전에 B 조정
반복 측정된 오차 엔티티 A 조정 엔티티 B 조정
0 32 32
1 0 0 0
시나리오 3 : B 이전에 그리고 B보다 더 빈번하게 A 조정
반복 측정된 오차 엔티티 A 조정 엔티티 B 조정
0 32 16
1 16 8
2 8 4 8
3 4 2
4 2 1
5 1 0.5 1
6 0.5 0
테이블 1
제 1 시나리오에서, 엔티티 A 및 엔티티 B는 중복 조정 기간을 갖는다. 즉, 그들은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비정렬(즉, 오차) 등급을 측정하고 그들의 각각의 빔을 조정하여 그들은 중복하게 되고 그들 사이의 통신을 최적화한다. 그러나, 설명한 것처럼, 그들은 그들의 빔 형성의 각각의 사용에 관하여 통신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진동 패턴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엔티티 A는 그것의 조정을 측정된 오차의 0.5로 감소시킨다. 반복 0에서, 32등급의 오차 측정은 결국 엔티티 A가 16등급의 조정을 수행하게 하고 엔티티 B가 전체 32등급의 조정을 수행하게 한다. 이러한 조정은 결국 반복 1에서 16등급의 오차 측정(즉, 도 8a의 조정 후 시나리오에서 도시된 것처럼 오버슈트 조건)이 있게 한다. 그러므로, 반복 1에서, 엔티티 A는 그것의 빔을 측정된 오차의 절반(즉, 8등급)으로 다시 조정할 것이고 엔티티 B는 그것의 빔을 측정된 오차와 동일한 크기(즉, 16등급)로 다시 조정할 것이다. 그 패턴은 0.5등급이 이 시나리오에서 요구되는 정렬 등급인 반복 6까지 계속될 것이다.
제 2 시나리오에서, 엔티티 B는 엔티티 A에 앞서 조정한다. 반복 0에서, 엔티티 B는 32등급의 오차를 측정하고 그것의 빔을 32등급으로 조정한다. 그러므로, 반복 1에서, 엔티티 A가 그것의 오차 측정을 수행할 때, 그것은 오차를 측정하지 않을 것이고 조정을 하지 않을 것이다.
제3 시나리오에서, 엔티티 A는 엔티티 B보다 앞서 보다 자주 조정하고 있다. 반복 0 및 1에서, 상기 언급한 것처럼, 엔티티 B는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않고 엔티티 A는 단순히 그것의 오차 측정을 수행하고 그것의 빔을 측정된 오차의 0.5로 조정한다. 반복 2에서, 8등급의 오차 측정이 있다. 엔티티 A는 측정된 오차의 절반 (즉, 4등급)을 조정하고 엔티티 B는 측정된 오차와 동일한 크기(즉, 8등급)에서 그것의 빔을 조정한다. 이러한 패턴은 요구되는 정렬 등급이 반복 6에서 획득될 때까지 계속된다.
도 8a에서, 오차 측정 및 조정은 방위 차원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도 8b에서 도시된 것처럼, 고도 차원에서 오차 측정과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8b는 수평 표면이 빗금으로 도시된 고도 도면이다. 도 8b에서, 이루어지는 오차 측정과 조정은 도 8a와 테이블 1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나, 그들은 고도 차원에서 발생한다.
요구되는 정렬 등급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오차 측정 및 조정은 방위 및 고도 차원 모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정이 방위 및 고도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 도시된 테이블 2를 참조한다. 오차 측정 및 조정은 등급으로 되어 있다. 테이블 2에서, 제 1 시나리오의 테이블 1에서처럼, 중복하는 조정 기간이 있고 엔티티 A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반면, 엔티티 B는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테이블 2에서, 방위 차원과 고도 차원 모두에서 비정렬이 있다. 방위 및 고도 차원에서 요구되는 등급의 정렬에 수렴하는 것은 엔티티 A가 그들 각각의 오차 측정의 부분(이 경우 0.5)이 되는 방위 및 고도 조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
반복 1에서, 32등급의 방위 오차가 측정되고 40등급의 고도 오차가 측정된다. 그러므로, 양 차원에 대한 0.5의 보정 계수를 가정하면, 엔티티 A는 방위 방향 에서 그것의 빔을 16등급만큼 조정하고 엔티티 B는 방위 방향에서 그것의 빔을 전체 32등급만큼 조정한다. 마찬가지로, 엔티티 A 및 B는 또한 그들의 각각의 빔을 고도차원에서 각각 20등급 및 40등급만큼 조정한다. 테이블 2에서 도시한 것처럼, 이러한 패턴은 요구되는 정렬 등급이 양 차원에서 달성될 때(즉, 반복 6)까지 방위 및 고도 차원 모두에서 엔티티 A 및 B에 대하여 계속된다.
중복 조정 기간(방위 및 고도)
반복 측정된 방위 오차 엔티티 A 방위 조정 엔티티 B 방위 조정 측정된 고도 오차 엔티티 A 고도 조정 엔티티 B 고도 조정
0 32 16 32 40 20 40
1 16 8 16 20 10 20
2 8 4 8 10 5 10
3 4 2 4 5 2.5 5
4 2 1 2 2.5 1.75 2.5
5 1 0.5 1 1.75 .875 1.75
6 0.5 0 0 .875 0 0
테이블 2
비록 테이블 2에서는 동일한 보정 계수(즉, 0.5)가 양 차원에서 사용되었지만, 서로 다른 보정 계수가 방위 및 고도 차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비록 용이성을 위해 테이블 2에서 수렴이 양 차원에서 같은 반복(즉, 반복 6)에서 달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지만, 방위 및 고도 차원에서의 수렴은 다른 반복에서 달성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제공된 예시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시나리오에 적용되었지만, 오차 측정이 그들 각각의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통신할 수 없는 두 개의 엔티티 사이에서 오차 측정이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는 무한한 수의 시나리오가 물론 존재한다. 그러나, 그 시나리오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엔티티가 그것의 조정을 감소시키는 한 빔은 수렴할 것이다(즉, 요구되는 정렬 등급을 획득할 것이다.).
제 1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엔티티는 보정 계수 0.5를 사용하였다. 즉, 상기 설명에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엔티티는 측정된 오차가 얼마든지 그 오차의 0.5로 그것의 조정을 감소시켰다. 보정 계수 0.5가 양호한 반면에, 본 발명을 사용하는 엔티티가 오차 측정을 감소시키는 크기는 0과 1 사이의 임의의 수가 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WTRU는 빔 형성의 그들 각각의 제어를 통신하고 협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두 개의 엔티티는 적절한 보정 계수에 대하여 간단히 합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실시예에서, 엔티티 A 및 B는, 이유가 무엇이든지 그에 대하여, 엔티티 A는 측정된 오차의 0.2와 동일한 조정을 수행할 것이고 엔티티 B는 측정된 오차의 0.8과 동일한 조정을 수행할 것을 합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래 테이블 3에서 도시된 것처럼, 32등급의 오차가 측정된 반복 0에서, 엔티티 A는 6.4등급의 조정을 수행하고 엔티티 B는 25.6등급의 조정을 수행한다. 그리고나서, 반복 1에서, 0의 오차가 측정되고 더 이상 어떠한 행동도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은 도 9a의 방위 차원과 도 9b의 고도 차원에서 설명된다. 도 9a는 평면 도면(plan view)이고 도 9b는 수평 표면이 빗금으로 도시된 고도 도면이다.
중복 조정 기간
반복 측정된 오차 엔티티 A 조정 엔티티 B 조정
0 32 6.4 25.6
1 0 0 0
테이블 3
이러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엔티티가 그들의 빔 형성의 각각의 사용을 협의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엔티티에 의하여 사용되는 특정 보정 계수는 그들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계수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은 엔티티의 능력, 두 개의 통신하는 엔티티 사이의 각도, 엔티티가 그들의 각각의 빔을 전송하고 있는 파워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엔티티의 능력에 관련하여, 기지국은 전형적으로 WTRU보다 더 우수한 위상 어레이 안테나를 가져 그로 인해 기지국으로 하여금 그들의 빔에 더 양호한 조정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실 이러한 경우에서, 기지국이 그것과 통신하는 WTRU보다 더 큰 보정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기지국이 더 큰 부분의 조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두 개의 통신하는 엔티티 사이의 각도와 관련하여, 하나의 엔티티에 대하여 다른 엔티티보다 더 큰 각도가 필요한 경우, 그 더 큰 각도의 조정을 하는 엔티티는 더 큰 보정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을 지나 이동하고 있는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는 WTRU에 대하여, 그 기지국은, 더 넓은 빔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그것의 빔을 1 또는 2등급만큼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반면에, 그 WTRU는 보정을 위하여 그것의 안테나를 대략 5 또는 6등급만큼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WTRU가 기지국보다 더 큰 보정 계수를 사용함으로써 대다수의 조정이 WTRU에 할당될 수 있다.
엔티티들이 그들의 빔을 전송하고 있는 파워와 관련하여, 더 큰 보정 계수는 가장 높은 파워로 전송하고 있는 엔티티로 할당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그것과 통신하고 있는 WTRU보다 더 높은 파워에서 전송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WTRU의 신호의 추가 감쇠를 피하기 위해 대다수의 임의의 필요한 조정이 기지국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실상, 다른 계수가 다른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단순히 WTRU가 그것의 빔을 조금이라도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도록 지시하고 기지국이 측정된 오차의 100% 동일한 조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WTRU에 대한 보정 계수는 0.0이고 기지국에 대한 보정 계수는 1.0이다.
측정된 오차 및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 조정은 오차 측정 및/또는 조정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의 방향(방위 및/또는 고도)을 고려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안테나가 고도 차원에서 45등급 아래로 향하고 있어 그것의 빔을 지면으로 초점을 맞추게 된다면, 고도 차원에서의 임의의 측정 및/또는 조정은 안테나의 방향의 원인이 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이 방위(즉, 수평) 및 고도(즉, 수직)의 용어를 사용하여 특정 방향을 언급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공칭 방향으로부터 그 축을 회전시켜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가 의도적으로 설정되어 그 안테나가 공칭 수직 또는 수평면에 관련한 각도 오프셋(angle offset)에서 특정하게 사용되는 예가 있다. 예를 들어, 교차 편파(cross polarization) 구현은 45도 각에서 종종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임의로 배치된 또는 이동하는 장치는 사용된 용어와 일반적으로 관련된 방향과 알려지거나 고정된 관계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폭 조정(width adjustment) 및 조준(boresight)에 대한 자유도는 이상적으로 서로와 비교하여 90등급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반면에, 또한 서로와 비교하여 0등급과는 다른 제어할 수 있는 임의의 자유도를 갖고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 빔 조정은 빔을 조정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변수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빔을 조정할 수 있는 임의의 변수를 조정함으로써 비정렬된 빔의 보정이 수행되어 빔들은 적절히 중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조정은 빔의 조준, 빔이 전송되고 있는 파워나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이득, 또는 빔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전형적으로 수행된다. 물론, 빔은 이러한 세 개의 변수들 모두 또는 그들의 특정 조합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조정 변수는 방위 차원, 고도 차원 또는 그들의 결합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차원에서 조정을 수행하는 것은 다른 차원에서 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의 폭을 조정하여(그리고 파워 및 조준을 조정하지 않음) 고도 차원에서 비정렬된 빔을 보정하는 경우, 고도 차원에서의 빔의 폭의 증가 또는 감소는 수평 위치에서의 빔의 폭의 동일한 감소 또는 증가를 발생시킨다.
빔 또는 빔들을 조정하여 비정렬을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특정 조정 변수 또는 변수들은, 요구되는 것처럼, 운영자 선택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로 조준 조정이 비정렬된 빔을 보정하기 위한 주 변수이고, 빔의 조준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 임의의 조정을 향상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원하기 위하여 파워와 빔 폭이 사용되는 제 2 역할로써 파워와 빔 폭이 사용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를테면 7등급의 보정은 이를테면 방위 차원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는 경우, 조준을 사용하여 그 빔을 5등급만큼 조정하고 파워를 증가/ 감소시키고(그 빔이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의존) 그리고/또는 남은 2등급에 대하여 그 폭을 증가/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변수들은, 빔의 비정렬을 보정하기 위하여 모두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옵션이 되기 위하여 주 옵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준, 파워 및 빔 폭을 이용할 수 있는 변수로써 다시 사용하여, 보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때, 보정을 수행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변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준 제어에서 양호한 해상도가 없는 상황(즉, 특정 안테나가 조준 제어에 관한 고 해상도를 갖지 않는 경우)에서, 임의의 필요한 조정 또는 그것의 대다수는 빔의 파워 또는 폭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서, 빔이 조정되어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동작하는 무선 엔티티(즉, 기지국 및 WTRU) 사이의 무선 통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그 시스템(100)은 복수의 무선 엔티티들(104, 106, 108, 110)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102)를 포함한다. 물론, 시스템 엔티티는 본 발명이 구현되고 있는 시스템의 유형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시스템(100)에서, 104 및 106 무선 엔티티들은 기지국인 반면에, 108 및 110 무선 엔티티는 WTRU이다. 그 엔티티는 빔 형성된 전송 및 수신 패턴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그들 자신의 빔과 그들과 통신하고 있는 다른 엔티티의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기 위한 프로세서(WTRU(110)에 대하여는 112a, 기지국에 대하여는 112b)를 포함한다. 두 개의 엔티티(즉, 104 및 110)가 통신을 하고 있고 그 들 각각의 빔의 정렬에서 오차가 검출된 때, 그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들의 빔을 상기 언급한 것처럼 측정된 오차의 부분(fration)만큼 조정할 것이다. 추가적인 프로세서(들)(114a, 114b)가 제공되어 그 부분을 계산하고 측정된 오차에 의하여 다중화된 부분과 동일한 크기에서 그 빔을 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관하여 수행된 모든 기능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통신하는 엔티티가 그들 각각의 빔 형성의 사용을 협의하지 않거나 달리 조정하지 않는 경우, 계산된 부분은, 상기 언급한 것처럼, 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무선 엔티티는 그들 각각의 빔 형성의 사용을 협의할 수 있고 그 결과 통신하여, 예를 들어, 그들 각각의 빔을 조정하기 위하여 각 엔티티에 의하여 사용된 부분들이 하나로 합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이 WTRU(110)와 관련하고 있는 반면에, 임의의 엔티티(즉, 시스템(100) 내의 임의의 WTRU 및 임의의 기지국)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언급한 것처럼, WTRU(110)는 WTRU(110)와 WTRU(110)가 통신하고 있는 다른 무선 엔티티, 즉 기지국(104)으로부터 발산하는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12a)를 포함한다. WTRU(110)는, 그 부분을 계산하고 측정된 오차에 의하여 다중화된 계산된 부분과 동일한 크기에서 그것의 빔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14a)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통신하는 엔티티는 그들 각각의 빔 형성의 사용을 협의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엔티티가 통신의 조건에 기초한(즉, 예를 들어, 거리 및/또는 두개의 엔티티 사이의 각도 또는 다른 엔티티의 안테나에 대비한 하나의 엔티티의 안테나의 능력에 기초하여) 부분을 사실상 계산하고 하나의 엔티 티가 계산된 부분에서 하나를 감산한 것과 동일한 부분을 간단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WTRU(110)가 기지국(104)와 통신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WTRU(110)는 통신의 조건에 기초한 부분을 계산하고 기지국(104)으로 그 부분을 통신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기지국(104)은 WTRU(110)에 의하여 제공된 부분에서 1을 감산함으로써 간단히 그 부분을 계산할 것이다. 이것은 각 엔티티(110, 104) 각각의 빔이 도 9a 및 9b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처럼 수렴할 수 있게 한다.
무선 엔티티 사이의 빔 형성의 협의를 수행하기 위하여, 엔티티는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전송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로써 WTRU(110)를 계속해서 들면, WTRU(110)는 WTRU(110)가 WTRU가 통신하는 엔티티에 그것의 빔을 조정할 부분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1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TRU(110)는 또한 WTRU(110)가 통신하고 있는 다른 무선 엔티티로부터 임의의 유형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1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정보는 WTRU(110)가 통신하고 있는 엔티티에 의하여 사용되고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WTRU(110)가 부분을 수신 또는 전송하고 있는지 여부는 WTRU(110)가, 다른 엔티티가 사용하고 있는 부분이 무엇이든지 그것에서 하나를 감산한 것을 사용하는 것과는 반대로, 통신 둘러싸는 조건에 기초하여 부분을 계산하는 엔티티인지 여부에 의존한다.
상기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은 기초 설비 및 이동(즉, WTRU 및 기지국) 통신의 배경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WTRU들 사이의 빔 형성의 사용은 본 발명의 자연 스러운 확장이며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두개의 통신하고 있는 WTRU 중 하나가 정지한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은 상기 개요(outline)처럼 구현될 수 있다. 만약 두 개의 WTRU가 서로에 관하여 각각의 움짐임이 있다면, 빔 형성 사용과 비정렬된 빔의 보정은 또한 상기 언급한 것과 동일하지만, WTRU의 각각의 움직임의 적용을 받는다. 추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함께, 측정된 오차와 이루어진 조정은 방위 차원, 고도 차원 또는 두 차원 모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요하다면, 임의의 유형의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UMTS-FDD, UMTS-TDD, TDSCDMA, CDMA2000(EV-DO 및 EV-DV), 임의의 유형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지만, 청구항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5)

  1. 두 개의 통신 엔티티 사이의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고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가 상기 두 개의 엔티티 사이에서 통신 되지 않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두 개의 엔티티 중 하나의 빔 조정의 감소를 위하여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통신하고 있는 엔티티로부터 발산하는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오차의 부분과 동일한 양으로 상기 선택된 엔티티의 빔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는 기지국과 WTRU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는 두 개의 WTRU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오차가 미리 정하여진 값보다 아래에 있을 때까지 측정하는 단계와 조정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형성의 사 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은 0.5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방위 차원(dimension)에서 수행되는 것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고도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방위 및 고도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9. 두 개의 통신 엔티티 사이에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고 그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가 상기 두 개의 엔티티 사이에서 통신 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상기 엔티티에 대한 보정 계수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두 개의 보정 계수의 합은 1과 동일한, 보정 계수의 선택 단계;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로부터 발산하는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엔티티들 사이에서 보정 측정값을 통신하는 단계;
    상기 엔티티들 각각의 보정 계수에 따라 두 개의 엔티티의 빔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는 기지국과 WTRU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는 두 개의 WTRU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방위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고도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방위 및 고도 차원에서 수행되는 것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하나의 엔티티의 상기 보정 계수는 0이고 그에 의하여 상기 엔티티로 하여금 상기 엔티티의 빔 조정을 억제하게 하는 것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6. 두 개의 통신 엔티티 사이에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고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가 상기 두 개의 엔티티 사이에서 통신 되지 않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 중 하나의 빔 조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로부터 발산하는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엔티티의 빔을 조정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7. 두 개의 통신 엔티티 사이에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고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가 상기 두 개의 엔티티 사이에서 통신 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위 차원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상기 엔티티 각각에 대한 제 1 보정 계수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두 개의 제 1 보정 계수의 합은 1과 동일한, 제 1 보정 계수의 선택 단계;
    상기 고도 차원에서 사용을 위하여 상기 엔티티 각각에 대한 제 2 보정 계수 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두 개의 제 2 보정 계수의 합은 1과 동일한, 제 2 보정 계수의 선택 단계;
    상기 방위 차원에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로부터 발산하는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고도 차원에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로부터 발산하는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엔티티 각각의 제 1 보정 계수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엔티티의 빔을 조정하는 단계로서, 오차는 상기 방위 차원에서 검출되는, 상기 두 개의 엔티티의 빔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엔티티들 각각의 제 2 보정 계수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엔티티의 빔을 조정하는 단계로서, 오차는 상기 고도 차원에서 검출되는, 상기 두 개의 엔티티의 빔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8. 두 개의 통신 엔티티 사이에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고 빔 형성의 사용에 관한 제어 정보가 상기 두 개의 엔티티 사이에서 통신 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엔티티 각각에 대한 보정 계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로부터 발산하는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엔티티 각각의 보정 계수 및 오차 측정값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엔티티 모두의 빔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는 기지국과 WTRU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통신 엔티티는 두 개의 WTRU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상기 방위 차원에서 수행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상기 고도 차원에서 수행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측정 및 빔 조정은 상기 방위 및 고도 차원에서 수행되는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하나의 엔티티의 보정 계수는 0이고 그에 의하여 상기 엔티티로 하여금 상기 엔티티의 빔의 조정을 억제하게 하는 것인 빔 형성의 사용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25. 빔을 조정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엔티티 사이의 무선 통신을 향상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빔 형성된 송신 및 수신 패턴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그들 자신의 빔 및 그들이 통신하고 있는 다른 엔티티의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엔티티를 포함하고,
    통신하고 있는 두 개의 무선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무선 엔티티의 빔과 관련한 그것의 빔의 정렬에서 측정된 오차의 부분만큼 그것의 빔을 조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엔티티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엔티티의 빔을 측정된 오차만큼 증가된 부분과 동일한 양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고 있는 두 개의 무선 엔티티 중 제 1 엔티티는 상기 통신하고 있는 두 개의 무선 엔티티 중 제 2 엔티티로 상기 부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엔티티는 상기 부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고, 1에서 상기 측정된 오차만큼 증가된 부분을 감산한 것과 동일 한 양으로 제 2 무선 엔티티의 빔을 조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제 1 무선 엔티티는 WTRU이고 제 2 무선 엔티티는 WTRU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엔티티는 WTRU이고 제 2 무선 엔티티는 기지국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
  31.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이 통신하고 있는 다른 무선 엔티티의 빔에 대하여 WTRU의 빔의 정렬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송/수신 유닛(WTRU)으로서,
    상기 WTRU로부터 발산하는 제 1 빔과 상기 다른 무선 엔티티로부터 발산하는 제 2 빔의 정렬에서 오차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제 1 프로세서; 및
    제 1 부분을 계산하고 상기 측정된 오차만큼 증가된 제 1 부분과 동일한 양으로 상기 제 1 빔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WTRU가 그것의 빔을 조정할 측정된 오차의 부분을 상기 WTRU가 통신하고 있는 상기 무선 엔티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를 더 포함 하는 무선 송/수신 유닛.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WTRU가 통신하고 있는 상기 무선 엔티티로부터, 상기 엔티티가 그것의 빔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제 2 부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제 2 부분이 수신될 때,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1에서 상기 제 2 부분을 감산함으로써 제 1 부분을 계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정된 오차만큼 증가된 상기 제 1 부분과 동일한 양으로 상기 제 1 빔을 조정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WTRU가 통신하고 있는 상기 무선 엔티티는 다른 WTRU인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WTRU가 통신하고 있는 상기 무선 엔티티는 기지국인 것인 무선 송/수신 유닛.
KR1020057021788A 2003-05-16 2004-04-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형성의 조정 KR20060015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115903P 2003-05-16 2003-05-16
US60/471,159 2003-05-16
US47558503P 2003-06-04 2003-06-04
US60/475,585 2003-06-04
US10/730,671 US7197337B2 (en) 2003-05-16 2003-12-08 Coordination of beam 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730,671 2003-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607A true KR20060015607A (ko) 2006-02-17

Family

ID=3342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788A KR20060015607A (ko) 2003-05-16 2004-04-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형성의 조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197337B2 (ko)
EP (1) EP1627515A4 (ko)
JP (1) JP2007500991A (ko)
KR (1) KR20060015607A (ko)
CN (1) CN101044742A (ko)
AR (1) AR044319A1 (ko)
BR (1) BRPI0411158A (ko)
CA (1) CA2526018A1 (ko)
MX (1) MXPA05012355A (ko)
NO (1) NO20055993L (ko)
TW (2) TW200537950A (ko)
WO (1) WO20041052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3176B2 (en) 2003-05-16 2008-05-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ordination of beam 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447523B2 (en) 2003-05-16 2008-11-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ordination of backhaul beam 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2448510A (en) * 2007-04-17 2008-10-22 David Thomas Alignment of directional antenna beams to form a high gain communication link
WO2013058673A1 (en) * 2011-10-20 2013-04-25 Limited Liability Company "Radio Gigabit" System and method of relay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beam adjustment
EP2891251B1 (en) * 2012-08-31 2021-08-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US20160173149A1 (en) * 2013-04-09 2016-06-16 Maxlinear, Inc. Automatic Twist and Sway Compensation in a Microwave Backhaul Transceiver
GB2534555A (en) 2015-01-20 2016-08-03 Kathrein Werke Kg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omated alignment of antennas
ES2755366T3 (es) 2015-05-13 2020-04-22 Ericsson Telefon Ab L M Formación de haz
JP7013382B2 (ja) * 2016-11-01 2022-01-31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10447374B2 (en) 2017-06-28 2019-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sweep or sca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814311B2 (ja) * 2020-01-08 2021-01-13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ビーム形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1798B1 (fr) 1985-05-10 1988-02-26 Alcatel Thomson Faisceaux Procede de pointage azimutal des antennes d'une liaison tropospherique
US5258764A (en) * 1991-09-26 1993-11-02 Santa Barbara Research Center Satellite orientation detection system
US6101399A (en) * 1995-02-22 2000-08-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r. University Adaptive beam forming for transmitter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071228B1 (en) 1999-07-20 2009-04-15 Texas Instruments Inc. Wireless network with steerable antenna calibration over independent control path
US6225961B1 (en) * 1999-07-27 2001-05-01 Prc Inc. Beam waveguide antenna with independently steerable antenna beams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planetary aberration in antenna beam tracking of spacecraft
US6901062B2 (en) * 1999-12-01 2005-05-31 Kathrein-Werke Kg Adaptive antenna array wireless data access point
AU4256001A (en) * 2000-03-11 2001-09-24 Antenova Limit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rray with steerable elements
GB0018859D0 (en) * 2000-08-01 2000-09-20 Fujitsu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eiving a transmission signal
US6417803B1 (en) * 2001-04-03 2002-07-09 The Boeing Company Beam alignment system and method for an antenna
US20030043435A1 (en) * 2001-08-27 2003-03-06 Oettinger Eric Gregory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quisition after link disruption in an optical wireless link
MXPA04000347A (es) 2001-07-10 2004-07-23 Qualcomm Inc Sistema y metodo para determinacion automatica de la direccion azimutal y elevacional de antenas y calibracion de las mismas.
US7386305B2 (en) * 2002-09-20 2008-06-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forming and rotating a transmission beam
US7373176B2 (en) 2003-05-16 2008-05-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ordination of beam 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447523B2 (en) * 2003-05-16 2008-11-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ordination of backhaul beam 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7950A (en) 2005-11-16
US7197337B2 (en) 2007-03-27
AR044319A1 (es) 2005-09-07
TW200427238A (en) 2004-12-01
EP1627515A2 (en) 2006-02-22
CN101044742A (zh) 2007-09-26
JP2007500991A (ja) 2007-01-18
TWI260127B (en) 2006-08-11
WO2004105254A3 (en) 2005-12-01
MXPA05012355A (es) 2006-02-02
EP1627515A4 (en) 2006-12-06
US20040229652A1 (en) 2004-11-18
CA2526018A1 (en) 2004-12-02
NO20055993L (no) 2006-01-17
BRPI0411158A (pt) 2006-07-11
WO2004105254A2 (en)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1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백홀 빔 형성의 조정
AU691295B2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US6400318B1 (en) Adaptive array antenna
EP2107637B1 (en) Antenna array and corresponding method
US7373176B2 (en) Coordination of beam 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110070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st vibration compensation
US20100227648A1 (en) Dynamic antenna control
US10498427B2 (en) Methods for radio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KR2006001560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형성의 조정
EP3869757B1 (en) Sending terminal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7548527B2 (en) Securing a connection in a radio system
US20040152415A1 (en) Active antenna method and system with variable directivity and gain
US20020198026A1 (en) Method, communications system,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signals with transmit diversity
US11540146B2 (en) Active antenna array dithering to improve scanning efficiency and reduce beam indices
EP2951604A1 (en) A method for antenna alignment in a non line-of-sight scenario
US20230239022A1 (en) Multilayer digital sector for advanced antenna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