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4842A -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 Google Patents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4842A
KR20060014842A KR1020040063562A KR20040063562A KR20060014842A KR 20060014842 A KR20060014842 A KR 20060014842A KR 1020040063562 A KR1020040063562 A KR 1020040063562A KR 20040063562 A KR20040063562 A KR 20040063562A KR 20060014842 A KR20060014842 A KR 20060014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able
optical fiber
cable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김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기 filed Critical 김상기
Priority to KR102004006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4842A/en
Publication of KR2006001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8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각종 사고로 인해 단선되거나 파손된 광케이블을 임시로 복구할 수 있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를 개시한다. 이러한 장비는, 다수의 광섬유가 외피로 피복된 복구용 광케이블(330)과,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하여 드럼(110)과 고정판(120)을 구비한 권취 보빈(100)과,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양단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인입되어 선로용 광케이블을 응급 복구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2개의 접속 단자함(310, 320)과, 상기 권취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은, 상기 접속 단자함 내부에서 광섬유가 연결된 광커넥터로 연결되어 광 어댑터에 수용됨으로써,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연결된 광커넥터가 상기 광 어댑터에 수용되어 광접속된다. 이에 따라, 단선 또는 파손된 광케이블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응급 복구하면서, 광 접속된 광섬유 사이에서 접속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Disclosed is an equipment for emergency repair of optical cables that can temporarily repair optical cables that have been broken or damaged due to various accidents. Such equipment includes a recovery optical cable 330 coated with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a winding bobbin 100 having a drum 110 and a fixing plate 120 to wind the recovery optical cable, and the recovery optical cable 330. At least two connection terminal boxes 310 and 320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plate so that both ends of the optical cable are individually introduced to allow emergency repair of the optical fiber for the track, and a support fram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inding bobbin ( 200). The recovery optical cable is connected to an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an optical fiber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and accommodated in the optical adapter, so that the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is received in the optical adapter and optically connec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tically connected optical fibers while emergency recovery of broken or broken optical cable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응급복구, 광커넥터, 어댑터, 광케이블First Aid, Optical Connector, Adapter, Optical Cable

Description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접속자의 사진 및 외관 사시도이며, 1 is a photograph and appearance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echanical connect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의 외관 사시도이며,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equipment for emergency repair of an optical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에서 권취 보빈이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bobbin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in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pair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손잡이를 등받이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돌기와 결속구의 체결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결속돌기와 결속구의 체결 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2에서 이동용 손잡이가 등받이로부터 분리되어 절곡 방향이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며, 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astening of the binding protrusion and the binding sphere for binding the handle to the backrest,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fastening of the binding projection and the binding sphere, Figure 4c is a moving handle i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ith the bend separated from the backrest with the bending direction facing forward,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에 제동 장치가 적용된 위치를 살펴보기 위해 좌측면에서 조임볼트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b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 중에 복구용 광케이블이 권취 보빈에서 풀려지거나 또는 감겨질 때의 제동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5c는 작업 전후의 제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Figure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ightening bolt is removed from the left side to see the position where the braking device is applied to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b is a recovery optical cable winding bobbin during operation at the work site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braking device when it is unwound or wound at, and Figure 5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braking device before and after the work,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에 적용된 각형의 복구용 광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며, Figure 6 shows a rectangular optical cable for recovery applied to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에 적용된 그 일예로서 접속단자함에 복구용 광케이블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덮개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ver is opened to show a state in which a recovery optical cable is disposed in a connection terminal box as an example applied to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접속단자함의 본체 측면에서 인입되는 복구용 광케이블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일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며, 도 8b는 본 발명에 적용된 팬아웃 키트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8c는 팬아웃 키트에 의하여 광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광섬유가 튜브로 씌워져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d는 팬아웃 키트를 통해 인출된 광섬유가 광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며,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xture for supporting and fixing a recovery optical cable that is inserted from a main body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box, and FIG. 8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anout k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d of the optical cable is fixed by the fanout kit and the optical fiber is covered with a tube and drawn out, Figure 8d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fiber drawn through the fanout kit is connected to the optical connector,

도 9a는 작업 현장에서 선로용 광케이블 내 광섬유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현장용 광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광커넥터에서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의 광커넥터에서 플러그에 광섬유를 끼워 고정하는 작업 전후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그리고, FIG.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n-site optical connector which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optical fiber in a line optical cable at a work site, and FIG. 9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case in the optical connector of FIG. 9A, and FIG. 9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fixing the optical fiber to the plug in the optical connector of Figure 9a, and

도 10은 작업자에 의하여 복구 작업 현장에서 광커넥터를 사용하여 광접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 10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state in which the optical connection is made using an optical connector at a recovery work site by an operator.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Explanation of terms for main parts of attached drawings-

100 : 권취보빈 110 : 드럼100: winding bobbin 110: drum

120 : 고정판 122 : 광케이블 인출홈120: fixing plate 122: optical cable lead-out groove

126 : 롤러 127 : 조임볼트126: roller 127: tightening bolt

128 : 탄성 스프링 130 : 바퀴128: elastic spring 130: wheels

200 : 지지프레임 210 :지지다리200: support frame 210: support leg

230 : 이동 손잡이 310, 320 : 접속 단자함230: movement handle 310, 320: connection terminal box

315b: 광커넥터 315c: 어댑터315b: optical connector 315c: adapter

330 : 광케이블 340 : 팬아웃 키트330: optical cable 340: fan-out kit

500 : 어깨끈 520 : 등받이500: shoulder strap 520: backrest

본 발명은 각종 사고로 인해 단선되거나 파손된 광케이블을 임시로 복구할 수 있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quipment for emergency repair of optical cables that can temporarily repair the optical cable disconnected or damaged due to various accidents.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보다 빠른 통신속도를 가능하게 하는 광통신의 핵심기술 중 하나가 바로 광케이블이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데이터가 담긴 광신호의 경로인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광섬유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전기신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종래 방식보다 데이터 전송속도 및 품질이 우수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optical communication that enables faster communication speed is optical cable. Such an optical cable includes an optical fiber which is a path of an optical signal containing data, and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optical fiber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superior data transmission speed and qualit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ing an electric signal.

하지만, 광케이블은 전기신호가 이송되는 종래 케이블에 비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다소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하는 각종 내용물이 광케이블 내에 더 포함되면서 그 하중과 부피를 증가시켰고 이로 인해 그 구조 또한 복잡해졌다. However, since the optical cable is somewhat less resistant to external forces than the conventional cable to which the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various contents to compensate for this are further included in the optical cable to increase its load and volume, thereby making the structure complicated.

한편, 상기 광케이블은 일단 단선되면 사고가 일어난 당해 라인의 광케이블 을 교체하는 등 보수 작업을 해야 하는데, 그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광케이블이 단선 되는 등 사고가 일어난 경우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 비를 이용하여 단선 또는 파손된 광케이블을 임시로 복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응급복구용 장비는 임시 복구 장비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신속 정확하게 단선된 광케이블을 복구할 수 있어야 하며 작업 구역으로의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이 있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cable has to be repaired, such as replacing the optical cable of the line in which the accident occurred once disconnected, but because the operation is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he optical cable for emergency recovery in case of an accident such as disconnection of the optical cable Equipment is being used to temporarily repair broken or broken optical cables. In addition, since th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is a temporary recovery equipment, it should basically be able to recover the optical cable disconnected quickly and accurately, and should be convenient to move and carry to the work area.

이러한 종래의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장비을 살펴보면, 단선된 광케이블 복구에 사용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원형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하여 양단에 고정판이 부착된 드럼과, 광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고정판에 부착된 접속단자함과, 드럼이 회전하면서 감겨진 광케이블이 풀려질 수 있도록 회전축에 의하여 드럼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Looking at such a conventional optical cabl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a circular optical cable of a certain length to be used for repairing a broken optical cable, a drum with fixing plates attached at both ends to wind the optical cable, and a connection terminal attached to the fixing plate for connecting the optical cable And a support frame rotatably supporting the drum by a rotating shaft so that the optical cable wound while the drum rotates can be released.

그리고, 접속 단자함은 그 내부에서 기계식 접속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를 서로 광접속하고 있다. 도 1a와 도 1b는 이러한 종래 기계식 접속자를 보인 사진과 외관 사시도이다.  The connection terminal box optically connects optical fibers in the optical cable to each other using a mechanical connector therein. 1A and 1B are photographs and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such a conventional mechanical connector.

도 1을 살펴보면, 기계식 접속자는, 내측에 매칭젤이 충진된 모세관 유리와, 상기 모세관 유리의 양단으로 광섬유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 잠금 너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기계식 접속자에 의한 광접속은 모세관 유리 양단에 서로 광접속하고자 하는 광섬유를 끼워 맞추고 잠금너트로 조여 고정하여 광접속하도록 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echanical connector includes a capillary glass filled with a matching gel therein, and a lock nut provided to fix and insert an optical fiber at both ends of the capillary glass. The optical connection by such a mechanical connector is to fit the optical fibers to be opt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apillary glass, and tightened and fastened with a lock nut to optically connect.

그런데, 종래의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에는 원형의 광케이블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광케이블이 드럼에 감겨질 때 광케이블 간에 불필요한 공간부가 형성되 어 그 하중과 하중과 부피를 크게 하고 이에 따라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장비 전체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하여 그 휴대 및 이동이 불편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응급 복구용 장비에 적용된 광케이블에 의하면, 양단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광케이블 내 광섬유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 현장에서 광케이블 내 해당 광섬유를 별도로 측정하여 확인한 후 상호 연결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그 응급 복구 작업 시간도 크게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광케이블은 지중에 매설되는 등 외부 충격에 보호될 수 있도록 포설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은 응급 복구형으로 드럼에서 풀려 지상에 노출되어 있어 이를 외부로부터 가해질 수 있는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별도의 보호 수단을 강구하여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optical cabl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uses a circular optical cable, when the optical cable is wound on the drum, unnecessar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ptical cables, increasing the load, the load and the volume, and accordingly, Its size and weight were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carry and mov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ptical cabl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emergency repair equipment, since the optical fiber in the optical cable to be connected at both ends cannot be identified, the worker had to measure and check the corresponding optical fiber in the optical cable separately at the work site, and then work with each other. This was cumbersome and the time for emergency recovery work was also inconvenient. And, it is common that the optical cable is laid so as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s such as being buried in the ground. The emergency recovery optical cable is an emergency recovery type, which is released from the drum and exposed to the ground to protect it from the impact that may be applied from the outside. It was inconvenient because a separate protection measures should be taken to make it possible.

또한, 종래의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광접속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종래의 기계식 접속자에 의하면, 현장에서 광접속하기 위해 크기가 작은 광섬유를 수작업으로 하나씩 끼워 넣고 그 양단의 잠금 너트를 조여 고정하여 연결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또한, 코어와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진 광섬유 상호간의 접속이 정밀하지 않아 손실이 발생할 수 없으며, 결국 광케이블에 의한 통신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connector as shown in Fig. 1 to optically connect the optical cable by using the conventional optical cabl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by inserting the small optical fibers by hand one by one for the optical connection in the field, the lock nut at both ends Tightening and fixing the cable leads to difficult and cumbersome work. Als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re and the clad layers of the optical fiber is not precise, so that no loss can occur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 by the optical cable can be degraded. There was only a limi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선 또는 파손된 광케이블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응급 복구하면서, 광 접속된 광섬유 사이에서 접속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장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optical cable emergency repair equipment having a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loss of connection between optically connected optical fibers, while quickly and accurately emergency repair of disconnected or broken optical cables. Its purpose is t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다수의 광섬유가 외피로 피복된 복구용 광케이블과,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하여 드럼과 고정판을 구비한 권취 보빈과,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양단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인입되어 선로용 광케이블을 응급 복구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2개의 접속 단자함과, 상기 권취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에 있어서: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은, 상기 접속 단자함 내부에서 광섬유가 연결된 광커넥터로 연결되어 광 어댑터에 수용됨으로써,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연결된 광커넥터가 상기 광 어댑터에 수용되어 광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covery optical cable coated with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the winding bobbin provided with a drum and a fixing plate for winding the recovery optical cable, and the recovery Both ends of the optical cable are individually inserted so that the emergency recovery of the optical cable including at least two connection terminal box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plate for emergency recovery of the optical fiber cable, and a support frame rotatably supported by the winding bobbin. In the equipment for use: The optical fiber for recovery is connected to the optical adapte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inside the connection terminal box is accommodated in the optical adapter, the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can be received and optically connected to the optical adapter Provide emergency repair equipment for optical cables.

상기 지지프레임은,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부와, 상기 관통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판에 접촉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삽입된 탄성 스프링과, 상기 탄성 스프링을 가압하여 관통공부에 수용된 롤러가 상기 고정판에 접촉되어 제동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부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조여질 수 있는 조임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권취보빈이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장착된 바퀴와, 상기 지지 다리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등에 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어깨끈이 장착된 등받이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밀거나 끌수 있도록 등받이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이동 손잡이를 포함한 지지프레임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공구함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의 전방에는 상기 이동 손잡이가 보관될 수 있는 이동 손잡이 보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through-hole having a female thread, a roller accommodated in the through-hole and contacting the fixed plate, an elastic spring insert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oller, and a roller accommodated in the through-hole by pressing the elastic spring.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ightening bolt that can be screwed and screwed wit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o contact the fixing plate to apply a braking force. In addition, the support bobbin is mounted to the winding bobbin rotatably supported, the wheel mounted on the support leg, the backrest is attached to the support leg and the shoulder strap is mounted so that the operator can carry on the back, the operator by hand Disclosed is a support frame comprising a movable handle detachably connected to a backrest for holding, pushing or dragging. Here, a tool box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and the front frame may include a moving handle storage portion in which the moving handle may be stored.

상기 권취보빈은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이 감겨질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보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은 사각 단면 형상의 광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nding bobbin is composed of at least two bobbins in which the recovery optical cable can be wound, and the recovery optical cable is preferably an optical cable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한편, 상기 접속단자함내의 복구용 광케이블의 광섬유는, 서로 다른 색상의 튜브로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접속단자함에서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동일 광섬유는 서로 동일한 색상의 튜브가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함 내에서, 복구용 광케이블의 단부, 및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튜브가 삽입된 분배반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팬아웃 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cal fiber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is covered with tubes of different colors. In the two connection terminal boxes, the same optical fiber of the repairing optical cable is preferably covered with tubes of the same colo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an-out kit having an end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and a fixing frame for fixing the distribution panel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so that the optical fiber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can be inserted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have.

그리고,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연결된 광커넥터와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연결된 현장용 광커넥터는 상기 접속 단자함 내부에서 상기 광어댑터에 각각 수용되어 광접속됨으로써 응급 복구가 이루어지며는데, 상기 현장용 광커넥터는, 단부에 광섬유가 노출된 실린더 형상의 페롤(F)과; 상기 페롤의 광섬유와 연결된 광섬유 매칭젤(M.G)을 내장하며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상기 매칭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페롤과 고정된 케이스와; 중앙부에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섬유 통과로와 측 면에 웨지가 끼워질 때 벌어져 광섬유 통과로가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웨지홈을 가진 광섬유 지지체와, 광섬유 지지체를 탄성적으로 감싸 쥐는 탄성체와, 탄성체를 감싸 보호하며 웨지가 웨지홈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웨지 삽입구가 형성된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플러그와;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플러그로 유도하고 보호하기 위한 부츠와; 상기 케이스를 감싸 고정하며 어댑터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우징;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eld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for the recovery optical cable and the field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for the line are each received by the optical adapter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and the optical connection is made by the optical connection, the field optical connector Cylindrical-type ferrol F in which the optical fiber was exposed to the edge part; A case in which an optical fiber matching gel (M.G)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ferrol is formed and a passage is formed to connect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with the matching gel; An optical fiber support having an optical fiber passage formed so that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can pass through and a wedge groove formed so that the optical fiber passage can be expanded when the wedge is fitted on the side, and the optical fiber support is elastically wrapped The rat is made of an outer shell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a wedge insertion hole to protect and protect the elastic body and to be inserted into the wedge groove, the plug being connected to the case to fix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from the outside; Boots for guiding and protecting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And a housing for wrapping and fixing the case and being accommodated in an adapt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에서 권취 보빈이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repair equipment of the optical cabl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bobbin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in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pair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ross section.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응급복구용 장비(10)는 응급 복구 구간에 사용될 수 있는 상당 길이의 복구용 광케이블이 권취될 수 있는 구조의 권취보빈(100)과, 광케이블의 접속을 위하여 권취보빈(100)에 고정된 접속 단자함(310,320)과, 상기 권취보빈(10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00)과, 파손된 광케이블을 복구하기 위한 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200)에 부착된 공구함(600)을 구비한다. 여기서, 공구함(600)은, 광케이블 복구를 위해 사용되는 공구를 개별적으로 소지함으로서 발생되는 불편을 줄일 수 있어 편리하다. 2 and 3,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repair equipment 10 has a winding bobbin 100 of a structure in which a recovery optical cable of a considerable length that can be used in an emergency repair section can be wound. And connection terminal boxes 310 and 320 fixed to the winding bobbin 100 for connection of the optical cable, a support frame 20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inding bobbin 100, and a tool for repairing the damaged optical cable. It is provided with a tool box 600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200 to store the. Here, the tool box 600 is convenient because it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individually holding a tool used for the optical cable recovery.

상기 권취보빈(100)은 대부분의 광케이블이 감겨질 수 있는 주보빈으로서 제1보빈과, 제1보빈의 측방에 구비된 보조보빈으로서 제2보빈(121)으로 이루어진다.The winding bobbin 100 includes a first bobbin as a main bobbin to which most optical cables can be wound, and a second bobbin 121 as an auxiliary bobbi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irst bobbin.

상기 제1보빈과 제2보빈(121)은, 광케이블이 감겨지는 드럼(110)과, 드럼(110)에 감겨진 복구용 광케이블(3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드럼의 양단에 직경이 확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부착된 고정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시된 예는 권취보빈(100)이 두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보조 보빈(121)이 없는 하나의 권취보빈(100)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권취보빈에 감겨지는 광케이블의 양단부 중에서 적어도 일단부는 광케이블이 권취보빈에 감겨지면서 묻히게 되어 풀려질 없기 때문에, 보조 보빈(121)이 없는 경우에는 작업 현장에서 공중 또는 지중에 포설된 경우와 같은 작업 환경에서의 복구 작업을 위해 장비 전체를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바와 같은 보조 보빈(121)을 구비한 경우에는, 주보빈에 감겨져 묻히게 되는 광케이블의 일단부 측의 광케이블을 일정 길이 감아 여장 처리해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비록 공중이나 지중과 같은 위치로의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도 간단히 광케이블을 풀어 이동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익하다.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121, the diameter of the drum is extended to both ends of the drum so that the optical cable is wound around the drum 110 and the recovery optical cable 330 wound on the drum 110 is not separated It consists of a fixed plate 120 attached to have a shape. Here,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winding bobbin 100 is divided into two regions, but may be formed of only one winding bobbin 100 without the auxiliary bobbin 121. However, since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optical cable wound on the winding bobbin is buried as the optical cable is wound on the winding bobbin and cannot be released, when there is no auxiliary bobbin 121, work such as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in the air or underground at the work site The entire equipment must be moved for recovery in the environment. However,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auxiliary bobbin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tical cable on one end side of the optical cable to be wound and buried in the main bobbin can be wound around a certain length, it may be plac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air or underground. Even if you need to work, simply unwind the optical cable can be moved and work is very beneficial.

상기 고정판(120)은, 드럼에 감겨진 광케이블이 풀려진 후 측방으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 폭으로 절개된 형상의 광케이블 인출홈(12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측의 고정판(120)에는 지지다리(210)에 의하여 권취보빈(10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축(430)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30)에는 지지다리(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400)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회전 손잡이(430)를 잡고 돌림으로써 권취 보빈(100)을 회전시켜 광케이블(330)을 감거나 또는 푸는 등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 손잡이(430)는 여러가지 형상 및 구조로 할 수 있으나 접철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이 이동 또는 보관 등의 경우에 유리하다. 이러한 손잡이는, 회전축에 부착된 제1암(410)과, 상기 제1암에 접철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2암(4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암(410)에는, 상기 제2암(320)과 포개지는 부위에 장입홈(41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fixing plate 120 is provided with an optical cable lead-out groove 122 having a shape cut in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optical cable wound on the drum can be easily pulled out laterally. In addition, a rotating shaft 430 is attached to the outer fixing plate 120 so that the winding bobbin 100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leg 210. 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430 is attached to the rotary handle 40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otate in a state mounted on the support leg (210).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rotate the take-up bobbin 100 by holding and rotating the rotary knob 430 to facilitate an operation such as winding or unwinding the optical cable 330. Here, the rotary knob 430 may be of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but it is advantageous in the case of the moveable or storage such that the foldable structure. The handle includes a first arm 410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and a second arm 420 hingedly connected to the first arm. Here, the first arm 41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harging groove 411 is formed in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arm 320.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권취보빈(100)이 안착되어 회전함으로써 광케이블(330)이 풀리거나 또는 감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역 "V"자형으로 절곡된 바로 이루어진 지지 다리(210)와, 작업자가 평탄한 지면상에서 장비를 보다 수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다리에 장착된 바퀴(130)와, 작업자가 평탄하지 않은 지면 등에서 등에 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어깨끈(500)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다리(210)와 연결된 등받이(520)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밀거나 끌수 있도록 등받이(520)와 연결된 이동 손잡이(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구함(600)은 작업자가 어깨끈(500)을 메고 등에 지고 이동할 때 작업자의 머리 등 신체와 접촉하지 않고 장비(10)를 지면 등에 위치하여 작업할 때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등받이(520) 상단부 및 권취 보빈(100)이 위치한 전방을 향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frame 200, the winding bobbin 100 is seated and rotated so that the optical cable 330 can be unwound or wound so that the support leg 210 made of a straight bent in the reverse "V" shape, and the worker Wheel 130 is mounted on the support leg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equipment on a flat surface, and the shoulder strap 500 is mounted so that the operator can be carried back on the uneven ground, etc. It consists of a backrest 520 connected to 210 and a moving handle 230 connected to the backrest 520 so that an operator can hold and push by hand. Here, the tool box 600 is a backrest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access when working with the equipment 10 is located on the ground, etc. without touching the body, such as the head of the worker when the worker carrying the shoulder strap 500, etc. (520)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upper end and the winding bobbin 100 to face forward.

상기 지지다리(210)에는 그 상측부에 베이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으며, 베 어링을 매개로 권취보빈(100)의 고정판(120)에 부착된 회전축(430)과 지지다리(210)가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430)이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권취보빈(100)이 회전함에 따라 광케이블(330)이 풀리거나 또는 감겨질 수 있다. The support leg 210 has a bearing (not shown)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the rotating shaft 430 and the support leg 210 attached to the fixing plate 120 of the take-up bobbin 100 via the bearing.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rotating shaft 430 may be suppor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earing so that the optical bobbin 100 may be unwound or wound as the winding bobbin 100 rotates.

상기 이동 손잡이(230)는, 후방에서 작업자가 잡고 밀거나 또는 끄는데 용이하도록 등받이(520)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장비(10)를 평탄한 지면상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퀴(130)에 무게 중심이 오도록 손잡이를 누르고 바퀴를 밀거나 또는 끌고 감으로써 장비(10)를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평탄하지 않은 지면 등과 같은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가 등받이(520)의 어깨끈(500)을 이용하여 등에 지고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동 손잡이(230)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불편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230)는 등받이(5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탈부착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그 일예로서 살펴보고자 한다. The moving handle 230 is bent to be inclined backward from the backrest 52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ab or push or pull from the rear, if you want to move the equipment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a flat surface By pressing the handle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placed on the wheel 130 and pushing or dragging the wheel, the equipment 10 can be easily moved. However, in a work environment such as an uneven surface, when the worker wants to move against the back using the shoulder strap 500 of the backrest 520, the moving handle 230 is bent backwards, which is rather inconvenient. In order to alleviate this inconvenience, the handle 230 is preferably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ckrest 520 is detachable, there can be a variety of such detachable manners with reference to Figures 4a to 4c As an example, let's look.

도 4a는 손잡이를 등받이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속돌기와 결속구의 체결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결속돌기와 결속구의 체결 후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2에서 이동용 손잡이가 등받이로부터 분리되어 절곡 방향이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의 분리 사시도이다. 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astening of the binding protrusion and the binding sphere for binding the handle to the backrest,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fastening of the binding projection and the binding sphere, Figure 4c is a moving handle in Figure 2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nding direction is forwar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backrest.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이동 손잡이(230)의 적어도 하단부가 돌출바 (231)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등받이(520)에는 이동 손잡이(230)의 돌출바(231)가 끼워 맞춰져 장착될 수 있도록 삽입홈(21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바(231)가 삽입홈(211)에 끼워 맞춰진 후에 작업자는 이동 손잡이(230)를 잡고 끌고 갈 때 이동 손잡이(230)가 등받이(52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동 손잡이(230)와 등받이(520)에는 서로 짝이 되어 결합되어 고정하는 결속 돌기(232)와 결속구(240)가 마련된다. 이러한 결속돌기(232)와 결속구(240)는 그 형식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3a와 도 3b로 도시된 일예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이동 손잡이(230) 하단부의 돌출바(231)에 결속 돌기(232)가 부착되어 있으며, 등받이(520)에 결속구(240)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결속구(240)는, 등받이 상단부에 부착된 고정대(241)와, 고정대(241)에 제1힌지축(242a)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편(242)과, 회동편(242)과 제2힌지축(242b)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당김고리(2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당김고리(243)가 이동 손잡이의 결속 돌기(232)에 걸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회동편(242)을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임으로써 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손잡이(230)를 등받이(5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와 반대로 회동편(242)을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당김고리(243)가 결속돌기(232)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면 된다. 4A to 4C, at least a lower end of the moving handle 230 is formed of a protruding bar 231, and the protruding bar 231 of the moving handle 230 is fitted to the backrest 520. Insertion groove 211 is provided. Then, after the protrusion bar 231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1, the operator grabs the moving handle 230 and the moving handle 230 and the moving handle 230 so as not to fall out of the backrest 520 when dragging. The backrest 520 is provided with a binding protrusion 232 and a binding hole 24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xed. The binding protrusion 232 and the binding hole 240 may be made in a variety of forms, but looking at the example shown in Figure 3a and 3b in more detail, the binding protrusion on the protrusion bar 231 of the lower end of the moving handle 230 232 is attached, and the binding port 240 is attached to the backrest 520. Here, the fastener 240 is a fixing table 241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a rotating piece 242 connected to the fixing table 241 so as to be rotatable via the first hinge shaft 242a, and the rotating piece 242. ) And a pull ring 243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hinge shaft 242b. Accordingly, in the state where the pull ring 243 is caught by the binding protrusion 232 of the moving handle, the pivoting piece 242 may be rotated downward to be fixed to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moving handle 23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backrest 520, the pivoting piece 242 may be rotated up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elease the pull ring 243 from the binding protrusion 232.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평탄한 지면에서와 같이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손잡이(230)를 잡고 밀거나 끌어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손잡이(230)의 절곡 방향이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하고, 평탄하지 않은 지면 등과 작업 환경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손잡이(230)를 등받이(520)로부터 분리하여 이동 손잡이(230)의 절곡방향이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돌려서 손잡이(230) 하단부의 돌출바(231)를 등받이(520)의 삽입홈(211)에 끼워 보관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등받이(520)의 어깨끈(500)을 메고 등에 지고 이동할 수 있어 유익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 손잡이(230)는, 등받이(520)의 전방 하부에 이동 손잡이 보관부로서 별도의 돌출바 수용홈부(250)을 마련되는데, 이동용 손잡이(230)를 분리하여 돌출바 수용홈부(250)에 끼워 보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응급복구용 장비(10)를 등에 짊어졌을 이동 손잡이(230)의 위치가 낮아져 이동용 손잡이(230)에 의하여 작업자의 머리에 닿아 발생될 수 있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어 유익하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holding and sliding or dragging the movement knob 230 using a wheel as in a flat ground,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movement knob 230 is inclined backward as shown in FIG. 2. On the uneven surface and the work environment, as shown in FIG. 4C, the moving handle 230 is detached from the backrest 520, and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handle 230 is inclined forward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handle 230. In the state in which the bar 2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1 of the backrest 520, the operator can carry the shoulder strap 500 of the backrest 520 more comfortably and move it. Here, the moving handle 23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protrusion bar receiving groove 250 as a moving handle storage portion i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520, by separating the moving handle 230, the protrusion bar receiving groove 250 By keeping it in place) the position of the moving handle 230, which would have carried the emergency repair equip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may occur by touching the operator's head by the moving handle 230 It is advantageous.

한편, 권취 보빈(100)은 복구용 광케이블(330)이 감겨진 상태나 또는 복구 현장에서 광접속에 사용된 된 후에 지지 프레임(200)으로부터 자유롭게 풀려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10)는 파손 또는 단선된 광 전송 선로를 응급 복구하는 것이므로 통상 지면상에 노출되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지나는 행인이나 또는 근처 작업 중의 작업자에 의하여 걸리거나 잡아 당겨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케이블(300)이 긴장되어 파손될 수 있으므로 광전송 선로가 복구된 후에도 권취보빈(100)은 일정 이상의 외부 간섭에 의하여 잡아 당겨지는 등의 경우에는 복구용 광케이블(330)이 풀려질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완충될 수 있는 구조의 제동장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하여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ing bobbin 100 should not be freely released from the support frame 200 after the recovery optical cable 330 is wound or after being used for the optical connection at the recovery site. However, since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pair equip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mergency repair of a damaged or disconnected optical transmission line, it is generally disposed to be exposed on the ground, and accordingly, to a passerby or an operator in nearby work. It can be caught or pulled by. In this case, the optical cable 300 may be damaged due to tension, so that even after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is recovered, the winding bobbin 100 may be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or more external interference so that the recovery optical cable 330 may be released. It is desirable to have a brak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cushion an external impac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에 제동 장치가 적용된 위치를 살펴보기 위해 좌측면에서 조임볼트가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b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 중에 복구용 광케이블이 권취 보빈에서 풀려지거나 또는 감겨질 때의 제동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5c는 작업 전후의 제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ightening bolt is removed from the left side to see the position where the braking device is applied to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b is a recovery optical cable winding bobbin during operation at the work sit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braking device when it is unwound or wound up, and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braking device before and after the work.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동 장치는, 지지다리(210)에는 암나사(111)가 형성된 관통공부(223a)와, 상기 관통공부(223a)에 수용된 볼과 같은 롤러(126)와, 상기 롤러(126)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삽입된 탄성 스프링(128)과, 상기 탄성 스프링(128)을 가압하여 관통공(223a)에 수용된 롤러(126)가 지지다리(2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동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부(223a)의 암나사부(111)와 나사결합되어 조여질 수 있는 조임볼트(127)를 구비한다. 5A to 5C, th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ough hole 223a having a female thread 111 formed in the support leg 210, and a roller 126 such as a ball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223a. ), An elastic spring 128 insert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oller 126, and a roller 126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223a by pressing the elastic spring 128 in contact with the support leg 210. It is provided with a tightening bolt 127 that can be screwed and screwed wit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11 of the through hole 223a so that the braking force can be applied in the stat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 현장에서 선로용 광케이블의 복구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권취 보빈(100)으로부터 복구용 광케이블(330)을 풀거나 또는 감거나 하는 등의 작업을 할 경우에는 조임볼트(127)를 풀어 관통공부(223a)에 수용된 롤러(126)가 지지다리(210)에서 이완되도록 하고(도 5b참조), 응급 복구 작업 전 또는 후에 복구용 광케이블(330)이 권취 보빈(100)에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임볼트(127)를 관통공부(223a)에 조여 지지다리(210)에 제동될 수 있도록 한다(도 5c 참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10)를 이용하여 광전송선로를 복구한 후에, 광케이블(330)이 보행자의 발에 걸리거나 또는 이동 중이거나 작업 중의 기타 도구에 의해 걸려 갑작스럽게 광케이블이 긴장되는 경우라도, 본 발명에 적용된 제동 장치의 제동력 이상의 외력은 권취 보빈(100)이 회전에 따라 감쇄될 수 있기 때문에, 취약한 광케이블에 대하여 불측의 외부 간섭이나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orker wants to repair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track at the work site, when the work such as loosening or winding the recovery optical cable 330 from the winding bobbin 100 (fastening bolt ( Loosen 127 to allow the roller 126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223a to relax on the support leg 210 (see FIG. 5B), and before or after the emergency repair operation, the optical fiber 330 for recovery is wound on the winding bobbin 100. When the wound state is to be maintained, the tightening bolt 127 is tightened to the through hole 223a to be braked to the support leg 210 (see FIG. 5C). Accordingly, after restoring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by using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cable 330 is caught by the foot of the pedestrian or by other tools while moving or working. Even when this tension is applied, the external force of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enuated by rotation of the winding bobbin 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pe with undesired external interference or impact on a weak optical cabl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에 적용된 각형의 복구용 광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6 shows a rectangular recovery optical cable applied to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cover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복구용 광케이블(330)은 다수의 광섬유(331)와, 외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도록 광섬유 주변에 위치한 인장선(332)과, 광섬유(331) 및 인장선(332)을 사각 단면 형상으로 피복한 외피(333)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6, the repairing optical cable 330 includes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331, tensile lines 332 positioned around the optical fiber to resist external forces, and optical fibers 331 and tensile lines 332. The shell 333 is formed of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이러한 각형 광케이블(330)은 권취 드럼(110)에 시점에 해당하는 일단부부터 종점에 해당하는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감겨진다. 이때, 광케이블(330)은 사각 단면 형상의 각형 광케이블(330)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감겨지는 광케이블(330) 사이의 틈새는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럼(110)에 감겨진 광케이블(330)은 서로 밀착되어 단위 면적당 감김수가 크게되어 장비(10)의 소형화 및 컴팩트화를 기할 수 있다. The rectangular optical cable 330 is sequentially wound from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int to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 in the winding drum 110. At this time, since the optical cable 330 is composed of a square optical cable 330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gap between the optical cables 330 wound can be minimized, and thus the optical cables 330 wound on the drum 110 are mutually As the number of turns per unit area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equipment 10 can be reduced and compact.

그리고, 이러한 광케이블(330)의 시점에 해당하는 일단부 및 종점에 해당하는 타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함에 수용되는데, 이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In addition,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start point of the optical cable 330 and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 are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as shown in FIG. 2.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에 적용된 그 일예로서 접속단자함에 복구용 광케이블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덮개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접속단자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에 2개가 배치되는데, 하나의 접속단자함에는 복구용 광케이블의 시점에 해당하는 일단부가 수용되어 단선된 선로용 광케이블의 일측 단부와 광접속되도록 하며,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함에는 복구용 광케이블의 종점에 해당하는 타단부가 수용되어 단선된 선로용 광케이블의 타측 단부와 광접속되도록 한다. 이하 2개의 접속 단자함 중에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접속단자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ver is opened to show a state in which a recovery optical cable is disposed in a connection terminal box as an example applied to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wo connection terminal boxes are arranged on the fixing plate as shown in FIG. 2, and one connection terminal box is accommodated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optical fiber for recovery to optically connect with one end of the disconnected line optical cable. The other connection terminal box accommodates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so as to be opt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onnected line optical cable. Hereinafter, one connection terminal box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among two connection terminal boxes.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단자함(310)은, 광케이블(330)이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2개의 인입구(312c, 312d)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의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나사로 고정된 본체(312)와,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 덮개(312a)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312)와 덮개(312a)는 서로 짝이 되는 별도의 결속구나 결속고리를 부착하여 본체에 덮개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그 내부를 보호토록 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connection terminal box 310 includes two inlets 312c and 312d provided to allow the optical cable 330 to be inserted therein, and is detachable to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plate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312 is fixed with a screw, and the cover 312a which is hing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Although not shown here, the main body 312 and the cover 312a are attached to separate binding or binding rings that are paired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n the main body to protect the inside thereof.

상기 본체(312)는 광커넥터(315b)가 수용되어 광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어댑터(315c)와, 어댑터(315c)가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어댑터 고정홀(3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용접 또는 나사로 고정된 어댑터 취부 브래키트(314)와, 인입구(312, 312d)를 통하여 인입되는 광케이블(3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11)를 구비한다. The main body 312 has an adapter 315c for accommodating and optically connecting the optical connector 315b, and an adapter fixing hole 314a for removably fixing the adapter 315c. An adapter mounting bracket 314 welded or screwed therein and a fixture 311 for fixing the optical cable 330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312 and 312d.

본 발명에 따른 장비는, 이러한 접속 단자함내부에 팬아웃 키트(340)와 광커 넥터(315b) 등을 활용하여 복구용 광케이블 단부를 효과적으로 결합 배치하여 놓음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보다 간편, 신속하게 응급 복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접속 단자함에 복구용 광케이블을 수용하여 팬아웃 키트(340)와 광커넥터(315b) 등과 연결하여 배치된 상태를 도 7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fanout kit 340 and an optical connector 315b in the junction box to effectively combine and arrange the ends of the optical fiber for recovery. As described above, a state in which the recovery optical cable is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and connected to the fanout kit 340 and the optical connector 315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D.

먼저, 권취 보빈에 감겨진 복구용 광케이블(330) 일단부는 본체(312)의 인입구(312d)를 통하여 내부에 수용되며 인입구(312d)에서 광케이블(330)의 고정은 고정구(311)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고정구(311)는 열수관이나 2개 내지 3개의 조임 너트를 활용하는 등 그 방식 및 형식에 있어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일예로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one end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330 wound on the winding bobbin is received inside through the inlet 312d of the main body 312, and the fixing of the optical cable 330 at the inlet 312d is made by the fixture 311. , The fixture 311 may be made in various ways and forms, such as using a hot water pipe or two to three tightening nuts, bu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8a as an example.

도 8a는 접속단자함의 본체 측면에서 인입되는 복구용 광케이블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의 일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FIG. 8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ixture for supporting and fixing a recovery optical cable introduced from a main body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box. FIG.

도 8a를 참조하면, 광케이블 고정구(311)는, 광케이블(3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의 형상을 가진 광케이블 수용 볼트(311f)와, 광케이블 수용볼트(311f)에 끼워지는 패킹(311b)과, 광케이블 수용볼트(311f)와 나사 결합하여 광케이블(330)을 잡아 고정하기 위한 조임너트(311a)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8A, the optical cable fixing unit 311 includes an optical cable accommodation bolt 311f having a hollow shape and a packing 311b fitted to the optical cable accommodation bolt 311f so that the optical cable 330 can pass therethrough. It is provided with a tightening nut (311a) for holding and fixing the optical cable 330 by screwing the optical cable receiving bolt (311f).

상기 광케이블 수용볼트(311f)는, 그 일단이 본체 내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는 머리부(미도시됨)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311e)와, 그 타단에 원추 또는 구형 단면 형상과 같이 내부로 직경이 축소하는 형상을 가지며 가로 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되어 형성된 그랩퍼(311d)로 이루어진다. The optical cable accommodating bolt 311f includes a head portion (not shown),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screw portion 311e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cone or spherical cross-sectional shape at the other end thereof. It is made of a gripper (311d) having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reduced inside and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조임너트(311a)는, 광케이블 수용볼트(311f)의 나사부(311e)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는 광케이블 수용볼트(311f)와 나사 결합되어짐에 따라 광케이블 수용볼트(311f)의 그랩퍼(311d)를 가압하여 그랩퍼(311d)가 중심부로 움직여 광케이블(330)을 조임으로써 광케이블(3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로 직경이 축소하는 형상을 가진다. The tightening nut 311a has a female thread formed therein to be screwed with the screw portion 311e of the optical cable accommodation bolt 311f, and an end thereof is screwed with the optical cable accommodation bolt 311f. Pressing the grabper 311d of the receiving bolt 311f moves the center of the grabper 311d to tighten the optical cable 330, thereby reducing the diameter inside thereof so that the optical cable 330 can be fixed.

여기서, 미 설명된 참조부호 "330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사각 단면 형상의 광케이블(330)이 패킹 및 광케이블 수용볼트에 보다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열수축관 등을 이용하여 원형 단면이 되도록 가공 처리된 가공부이다. Here, the reference numeral "330a", which is not described, is process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using a heat shrink tube or the like so that the optical cable 330 of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tightly fixed to the packing and the optical cable accommodation bolt. It is a processing part.

다음으로, 본체(312) 내부로 수용된 광케이블(330)은 외피가 벗겨져서 노출된 광섬유(331)들을 팬아웃 키트(340)에 수용하여 서로 다른 색으로 된 튜브(234)로 감싸여진 후 광커넥터(315b)와 결합되는데, 도 8b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optical cable 330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312 is peeled off the outer shell to receive the exposed optical fiber 331 in the fanout kit 340 is wrapped in a tube 234 of different colors and then the optical connector ( 315b),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B to 8D.

도 8b는 본 발명에 적용된 팬아웃 키트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8c는 팬아웃 키트에 의하여 광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광섬유가 튜브로 씌워져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d는 팬아웃 키트를 통해 인출된 광섬유가 광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Figure 8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anout k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d of the optical cable is fixed by the fanout kit and the optical fiber is covered with a tube pulled out, Figure 8d is a fanout kit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fiber drawn through the connected to the optical connector.

도 8b와 도 8c를 참조하면, 팬아웃 키트(340)는, 각기 서로 다른 색으로 된 튜브(234)가 개별적으로 끼워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여러개의 관통공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분배반(343)과, 복구용 광케이블(330) 내의 취약한 광섬유(331)가 광케이블 단부로부터 분배반(343)에 고정된 튜브(234)를 통해 원할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구용 광케이블 단부와 분배반(34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341, 34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분배반(343)의 관통공(343a)은 광케이블 내 광섬유 수에 따라 6 내지 12개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B and 8C, the fanout kit 340 may include a distribution pane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ubes 234 having different colors may be individually inserted and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343 and the recovery optical cable end and distribution panel so that the fragile optical fiber 331 in the recovery optical cable 330 can be smoothly withdrawn from the optical cable end through the tube 234 fixed to the distribution panel 343. Fixing frames 341 and 342 for fixing 343 are provided. Here, 6 to 12 through holes 343a of the distribution panel 343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tical fibers in the optical cable.

상기 고정 프레임(341, 342)은, 그 형상 및 구조를 여러 가지로 할 수 있으나, 도시된 일예와 같이 하부 본체(341)와 상부 덮개(342)로 분할되어 나사로 결합된 구조로 할 수 있으며, 하부 본체(341)와 상부 덮개(342)가 결합된 내부에는 광케이블 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광케이블 고정부(341a)와, 광섬유(331)가 원만하게 안내되도록 광케이블 고정부(341a)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분배반(343)이 고정될 수 있는 분배반 고정부(341b)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분배반(343)의 측면과 고정 프레임의 하부 본체(341) 및 상부 커버(342)의 내측면에는 서로 짝이 되어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요철부를 마련함으로써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분배반(343)과 고정 프레임(341, 342)의 상호 조립에 관하여 약술하면, 먼저 분배반(343)에서 그 관통공(343a)에 각각 다른 색상의 튜브(234)를 삽입하여 접착제로 고정한 후 그 일측에서 외부로 나와 있는 여분의 튜브(234)를 칼로 잘라내는 등 마감처리를 하고, 하부 본체(341)에 분배반 고정부(341b)와 광케이블 고정부(341a)에 분배반(343)과 광케이블(330)을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 커버(342)를 나사(344)로 조여 상호 결합한다. The fixing frames 341 and 342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However, the fixing frames 341 and 342 may be divided into a lower main body 341 and an upper cover 342 and combined with a screw. The lower body 341 and the upper cover 342 are combined with the optical cable fixing part 341a which can receive and fix the optical cable ends, and the optical cable fixing part 341a so as to guide the optical fiber 331 smoothly. The distribution panel fixing part 341b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ix the distribution panel 343. Here, the side surface of the distribution panel 34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341 and the upper cover 342 of the fixing frame to be fixed to each other by providing an uneven portio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distribution panel 343 and the fixing frames 341 and 342 are mutually assembled, the tubes 234 of different color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343a in the distribution panel 343 and fixed with adhesive. After the finish processing such as cutting out the excess tube 234 that comes out from one side with a knife, and the distribution panel 343 in the lower panel 341 to the distribution panel fixing portion 341b and the optical cable fixing portion 341a. And the optical cable 330 are arranged to each other by tightening the upper cover 342 with a screw 344 to each other.

또한, 도 8d를 참조하면, 팬아웃 키트(340)를 통과하여 튜브(234)로 씌워진 광섬유(331)는 광커넥터(315b)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광커넥터(315b)로는 광전송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여러 형상의 광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예로 SC형 광커넥터가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SC형 광커넥터의 구조 및 광섬유와의 연결방식은 SC형 광커넥터를 이용한 일반 단심의 광점퍼코드와 동일하며 그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D, the optical fiber 331, which is covered by the tube 234 through the fanout kit 340, is connected to the optical connector 315b, and the optical connector 315b may be used in various optical transmission fields. Shaped optical connectors may be used, for example SC type optical connectors may be utilized. Here, the structure of the SC-type optical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method with the optical fiber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general single-core optical jumper code using the SC-type optical connector, and ar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그리고, 광커넥터로 연결된 후에는 어댑터 취부 브래키트(314)에 고정되어 있는 어댑터(315c)에 수용된다(도 7 참조). Then, after being connected with the optical connector, it is accommodated in the adapter 315c fixed to the adapter mounting bracket 314 (see Fig. 7).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응급 복구용 장비를 이용하여 응급 복구 현장에서 작업자는 보다 간편 신속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y using the optical cable emergency repair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can be used more easily and quickly in the emergency repair sit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비에는 권취 보빈(100)의 외측면에 나사로 고정판에 고정된 2개의 접속 단자함(310, 320) 중에서 하나의 접속 단자함에는 복구용 광케이블의 시점에 해당하는 일단부가 인입되어, 도 7을 참조하면, 그 내부의 광섬유(331)가 팬아웃 키트(340)를 통과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의 튜브(234)로 씌워져 광커넥터(315b)와 연결되어 어댑터 취부 브래키트(314)에 고정되어 있는 어댑터(315c)에 수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복구용 광케이블은 권취 보빈(100) 내의 보조 보빈(121)으로서 제2보빈에 일정 길이 감겨진 후 케이블 인출홈(122)을 통과하여 주보빈으로써 제1보빈에 복구 현장에서 일정 구간의 광전송 선로를 응급 복구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길이 예컨데, 100 m의 복구용 광케이블이 순차적으로 감기며, 복구용 광케이블의 종점에 해당하는 타단부는 다시 케이블 인출 홈(122)을 통과하여 고정판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접속 단자함에 인입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광섬유(331)가 팬아웃 키트(340)를 통과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의 튜브(234)로 씌워져 광커넥터와 연결되어 어댑터 취브 브래키트(314)에 고정되어 있는 어댑터(315c)로 수용된다. 여기서, 복구용 광케이블의 광섬유내 동일 광전송선로를 이루는 해당 광섬유는 서로 동일 색상의 튜브(234)로 씌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referring to FIG. 2, one of the two connection terminal boxes 310 and 320 fixed to the fixing plate with screw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ing bobbin 100 in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point of time of the repair optical cable. One end is inserted, and referring to FIG. 7, the optical fiber 331 therein is covered with tubes 234 of different colors while passing through the fanout kit 340 and connected to the optical connector 315b to connect the adapter mounting bracket. It is housed in an adapter 315c that is secured to the kit 314. Referring to FIG. 2, such a repairing optical cable is wound on the second bobbin as a secondary bobbin 121 in the winding bobbin 10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cable outlet groove 122 to the first bobbin as the main bobbin. For example, the length required for emergency recovery of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in a section, for example, 100 m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is wound in sequence, and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passes through the cable outlet groove 122 again It is inserted into another connection terminal box which is screwed to the fixing plate, and as shown in FIG. 7, the optical fiber 331 therein is covered with tubes 234 of different colors while passing through the fanout kit 340. It is received by an adapter 315c connected to the optical connector and fixed to the adapter hub bracket 314.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cal fibers forming the same optical transmission line in the optical fiber of the repairing optical cable are covered with the tubes 234 of the same color.

작업자는 일정 구간의 광 전송 선로 상에 단선 또는 파손에 의하여 응급 복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장비(10)를 가지고 이동하는데, 평탄한 지면상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바퀴(130)와 이동 손잡이(230)를 이용하여 이동하며, 평탄하지 않은 지면 등이나 들고 움직여야 할 환경에서는 등받이(520)와 손잡이(230)를 결속하고 있는 결속구(240)를 결속 고리로부터 해제하여 이동 손잡이(230)를 등받이(520)로부터 분리하여 절곡 방향이 전방을 향하도록 돌려서 등받이(520)에 끼워 보관한 상태에서 등받이(520)의 어깨끈(500)을 메고 등에 지고 이동한다. The worker moves with the equip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of emergency recovery by disconnection or breakage on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of a certain section. When moving on a flat surface, the wheel 130 and the moving handle ( In the environment to move by using a 230, such as uneven ground or holding the back support 520 and the binding port 240 that binds the handle 230 from the binding ring to release the moving handle 230 The shoulder strap 500 of the backrest 520 is carried on the back in a state in which it is separated from the 520 and rotated so that the bending direction is turned to the front and stored in the backrest 520.

작업자가 선로상의 광케이블이 단선된 작업 위치에 도착한 후에는, 단선된 선로용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들에 별도의 현장용 광커넥터를 각각 접속하여 준비를 하는데, 이러한 현장용 광커넥터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일예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After the worker arrives at the working position where the optical cable on the line is disconnected, the worker prepares by connecting a separate field optical connector to each of the optical fibers in the disconnected line optical cable. There may be various such field optical connectors. A brief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9C.

도 9a는 작업 현장에서 선로용 광케이블 내 광섬유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현장용 광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광커넥터에서 케이스의 내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9a의 광커넥터에서 플러 그에 광섬유를 끼워 고정하는 작업 전후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FIG.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n-site optical connector which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 optical fiber in a line optical cable at a work site, and FIG. 9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case in the optical connector of FIG. 9A, and FIG. 9C. Figure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fixing the optical fiber to the plug in the optical connector of FIG.

도 9a와 9b를 참조하면, 광커넥터(315a)는, 단부에 광섬유가 노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세라믹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페롤(F)과, 페롤(F)을 고정하며 양측으로 광섬유(331)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로 중간에 광섬유 매칭젤(M.G)을 내장한 케이스(C)와, 케이스(C)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광섬유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플러그(P)와, 외부의 광섬유(331)를 플러그(P)로 유도하고 보호하기 위한 부츠(B)와, 케이스(C)를 감싸 고정하며 어댑터(315c)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우징(H)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페롤(F)의 단부에서 매칭젤(M.G) 사이에는 광섬유(331a)가 내장된다. 9A and 9B, the optical connector 315a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hole through which an optical fiber is exposed is formed, and the ferrule F and the ferrol F are made of a ceramic material. And a path through which the optical fiber 331 passes through is formed at both sides, and is connected to the case C having the optical fiber matching gel MG in the middle of the path, and connected to the case C. A plug P, a boot B for guiding and protecting the external optical fiber 331 to the plug P, and a housing for wrapping and fixing the case C and being accommodated in the adapter 315c. (H) is provided. Here, the optical fiber 331a is embedded between the matching gel (M.G) at the end of the ferrol (F).

도 9c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P)는, 외부에서 광섬유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이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위하여 중앙부에 광섬유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섬유 통과로(hole)와 측면에 웨지(W)가 끼워질 때 벌어져 광섬유 통과로가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웨지홈(P4)을 가진 광섬유 지지체(P3)와, 광섬유 지지체(P3)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감싸 쥐는 탄성체(P2)와, 탄성체(P2)를 감싸 보호하며 웨지(W)가 웨지홈(P4)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웨지 삽입구(P5)가 형성되어 있는 외피(P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피(P1)는 케이스(C)와 부착되어 고정된다. Referring to (a) of FIG. 9C, the plug P has a structure for fixing the optical fiber in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fiber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for this purpose, an optical fiber through-hole formed so that the optical fiber can pass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reof. ) And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wrap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tical fiber support (P3) and the optical fiber support (P3) having a wedge groove (P4) formed so as to expand when the wedge (W) is fitted to the side (P2) and the outer cover (P1) is formed to wrap and protect the elastic body (P2) and the wedge insertion hole (P5) is formed so that the wedge (W) can be fitted into the wedge groove (P4). Here, the outer shell P1 is attached to the case C and fixed.

도 9c의 (b)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웨지(W)가 외피(P1)의 웨지 삽입구(P5)와 광섬유 지지체(P3)의 웨지홈(P4)으로 끼워지면 광섬유 지지체(P3)는 벌어져 광섬유 통과로(hole)가 확장되며, 광섬유 통과로(hole)에 광섬유가 끼워진 상태에서 웨지 (W)를 웨지홈(P4)에서 빼내면 광섬유 지지체(P3)는 그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는 탄성체(P2)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광섬유 통과로(hole)가 축소되면서 광섬유는 고정된다.Referring to (b) of FIG. 9C, when the wedge W is inserted into the wedge insertion hole P5 of the shell P1 and the wedge groove P4 of the optical fiber support P3 from the outside, the optical fiber support P3 is opened to open the optical fiber. When the passage is extended and the wedge W is pulled out of the wedge groove P4 while the optical fiber is inserted into the optical fiber hole, the optical fiber support P3 press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astic body P2. The optical fiber is fixed while the optical fiber passes through the optical fiber.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현장용 광커넥터(315a)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복구 작업 현장에서 단선된 선로용 광케이블에서 외피를 벗긴 후 웨지(W)를 플러그(P)에 끼워 플러그(P)의 광섬유 통과로(hole)를 확장시켜 노출된 광섬유를 부츠(B)와 플러그(P) 및 케이스(C)의 매칭젤(M.G)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선로용 광케이블 단부의 광섬유들에 각각 광커넥터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Using the field optical connector 315a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peels the outer skin from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wire disconnected at the repair work site, and then inserts the wedge (W) into the plug (P) to pass the optical fiber through the plug (P). By expanding the holes, the exposed optical fiber is accommodated in the matching gel (MG) of the boot (B), the plug (P), and the case (C), so that each optical fiber at the end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an optical connector. have.

작업자는 단선된 선로용 광케이블(O.C) 내의 광섬유들에 현장용 광커넥터(315a)를 각각 접속한 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10)에 적용된 접속 단자함 중에서 시점에 해당하는 하나의 접속 단자함을 고정판에서 분리하여 덮개를 열은 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단자함(312) 내의 일정 색상으로 피복된 광섬유 단부와 연결된 광커넥터를 수용하고 있는 어댑터(315c)에 현장용 광커넥터(315a)를 끼워 서로 광접속한다. 이때, 단선된 광케이블(O.C)이 공중이나 지중 등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비 전체를 가지고 움직일 수 없는 작업 현장에서는 고정판에서 나사를 풀어 접속 단자함을 분리하여 보조 보빈에 여분으로 감겨져 있는 복구용 광케이블을 풀어서 접속 단자함을 가지고 단선된 위치로 이동하여 광접속한다. 여기서, 도 10은 작업자에 의하여 복구 작업 현장에서 광커넥터를 사용하여 광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After the operator connects each of the field optical connectors 315a to the optical fibers in the disconnected line optical cable OC, the fixed plate is connected to the one terminal box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among the terminal boxes applied to the equip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opening the cover by detaching the sensor from FIG. 10, as shown in FIG. 10, the field optical connector 315a is connected to the adapter 315c which receives the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end coated with a certain color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312. Op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isconnected optical cable (OC) can not move with the entir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ir or underground, by unscrewing the fixing plate to remove the connection terminal box to loosen the recovery optical cable wound on the auxiliary bobbin Take the junction box and move it to the disconnected position for optical connection. Here,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an optical connection is made by using an optical connector at a recovery work site by an operator.

작업자는, 광 전송 선로 상에서 한쪽의 선로용 광케이블의 접속이 완료된 후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동장치 즉, 조임볼트(127)를 풀어 권취 보빈(10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광 전송 선로 상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다른 쪽의 선로용 광케이블 접속 위치로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복구용 광케이블의 종점에 해당하는 다른 하나의 접속 단자함을 고정판에서 분리한 후 회전 손잡이 등을 이용하여 권취 보빈(100)을 회전 시켜 복구용 광케이블이 풀려 지도록 하면서 연결코자 하는 선로용 광케이블의 접속 위치로 이동한다. 작업자가 작업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접속 단자함(312)의 덮개를 열고 접속 단자함 내부의 일정 색상으로 피복된 광섬유와 연결된 광커넥터를 찾아 광커넥터를 어댑터(315c)에 끼워 광섬선로용 광케이블(O.C)과 복구용 광케이블(330)을 광접속하여 광전송 선로 상의 응급복구를 완료한다. 작업자는 응급 복구가 완료되면, 고정판의 조임 볼트를 잠궈 권취 보빈(100)에 일정 제동력이 가하여지도록 함으로써 배설된 복구용 광케이블(330)에 갑작스런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에 이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After the connection of the optical cable for one line is completed on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the worker releases the braking device, that is, the tightening bolt 127,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winding bobbin 100 can freely rotate. In addition, the operator should move to the other optical fiber connection position of the other cable to be connected on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and for this purpose, the other connection terminal box corresponding to the end point of the optical fiber for recovery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and then the rotary knob is used. By rotating the winding bobbin 100 so that the recovery optical cable is released, it moves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connection. After the worker moves to the working position, the cover of the junction box 312 is opened in the mann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and the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coated with a certain color inside the junction box is found and the optic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adapter ( 315c) to optically connect the optical fiber (OC) for the optical fiber line and the optical fiber for recovery (330) to complete the emergency recovery on the optical transmission line. When the emergency recovery is completed, the operator locks the fastening bolt of the fixing plate so that a constant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winding bobbin 100 so as to alleviate this when sudde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paired optical cable 33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비에 의하면, 광케이블이 사각 단면 형상의 각형 광케이블이 활용되므로 권취보빈의 컴팩트화 및 장비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이동 손잡이가 서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미사용시에는 등받이에 별도 보관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등받이를 이용한 이동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응급 복구 작업 후 권취보빈이 일정 제동력 이상의 외력에 대하여 완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어 복구 후 타 작업 등과 연관되어 있는 작업 현장에서 복구용 광케이블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권취 보빈이 주보빈과 보조보빈으로 이분되어 있기 때문에 복구용 광케이블이 권취 보빈에 감길때 시점에 해당하는 광케이블 단부를 일정 길이 보조 보빈에 감아 놓음으로써 단선된 일측 선로용 광케이블 위치로 장비 전체를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장비 전체를 이동하기 어려운 작업 환경에서 접속단자함만을 간단히 분리하여 가지고 가서 작업할 수 있어 편리하고, 또한 복구용 광케이블의 양단에서 광섬유를 기존의 간단한 광커넥터로 연결하여 어댑터에 미리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다른 광커넥터로 연결한 후 간단히 해당 어댑터에 끼워 광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및 해제가 용이하고 정밀한 광접속 이 가능하고 접속손실도 줄일 수 있으며 응급복구 시간을 줄임으로서 작업효율도 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복구용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튜브로 씌워져 있기 때문에 약한 광섬유가 보호됨과 동시에 그 만큼 작업성이 향상되며 그 유지 보수에도 유익하며, 각각의 튜브는 작업자에 의해 식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광섬유를 식별하기 위해 별도 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튜브 색상의 동일 여부의 확인만으로 보다 신속 간편하게 응급 복구 작업을 할 수 있어 유익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tical cable is a square-shaped square optical cable is utilized, it is possible to compact the winding bobbin and downsizing the equipment, and the moving handles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backrest is not used. It is stored separately in the work place and the convenience of movement using the backrest is increased, and after the emergency recovery work, the winding bobbin can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buffered against external force above a certain brak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repairing optical cable in the cable.Because the winding bobbin is divided into the main bobbin and the auxiliary bobbin, the end of the optical cable corresponding to the point of time when the recovery optical cable is wound on the winding bobbin is wound by the auxiliary bobbin. Need to move the entire machine to the location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remove and operate only the terminal box in the working environment where the whole equipment is difficult to move, and it is convenient to connect the optical fiber to the existing simple optical connector at both ends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and to be accommodated in the adapter in advance. Therefore, it is easy to connect and disconnect, precise optical connection is possible, connection loss can be reduced, and emergency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emergency recovery time because it can be connected to another optical connector in the field and then simply plugged into the corresponding adapter. Furthermore, because the optical fiber in the recovery optical cable is covered with a tube, the weak optical fiber is protected and at the same time the workability is improved and the maintenance is also beneficial, and each tube has a different color for identification by the operator. Because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advantageous that emergency repair can be done more quickly and simply by checking whether the colors of tubes are the same without requiring separate square ratio to identify the optical fiber.

Claims (11)

다수의 광섬유가 외피로 피복된 복구용 광케이블과,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하여 드럼과 고정판을 구비한 권취 보빈과,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양단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인입되어 선로용 광케이블을 응급 복구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2개의 접속 단자함과, 상기 권취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에 있어서:A recovery optical cable coated with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a winding bobbin provided with a drum and a fixing plate to wind the recovery optical cable, and both ends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are individually introduced to provide emergency repair of a line optical cable. In the equipment for the emergency repair of the optical cable comprising at least two connection terminal box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plate so as to support, and a support frame rotatably supported by the winding bobbin: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은,The recovery optical cable, 상기 접속 단자함 내부에서 광섬유가 연결된 광커넥터로 연결되어 광 어댑터에 수용됨으로써,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연결된 광커넥터가 상기 광 어댑터에 수용되어 광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 Emergency connection of the optical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optical connector inside the connection terminal box is accommodated in the optical adapter, so that the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cable for the line is accommodated in the optical adapter to be optically connected.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프레임은, The support frame,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부와, 상기 관통공부에 수용되어 상기 고정판에 접촉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삽입된 탄성 스프링과, 상기 탄성 스프링을 가압하여 관통공부에 수용된 롤러가 상기 고정판에 접촉되어 제동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부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조여질 수 있는 조임볼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A through hole formed with a female thread, a roller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and contacting the fixed plate, an elastic spring insert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oller, and a roller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by pressing the elastic spring to contact the fixed plate Equipment for emergency repair of the optical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ightening bolt that can be screwed in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of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braking force can be appli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The support frame, 공구함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Equipment for emergency repair of the optical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 box is attach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프레임은, The support frame, 권취보빈이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다리와, 상기 지지다리에 장착된 바퀴와, 상기 지지 다리와 연결되어 작업자가 등에 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어깨끈이 장착된 등받이와,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밀거나 끌수 있도록 등받이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이동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A support leg on which the take-up bobbin is seated and rotatably supported, a wheel mounted on the support leg, a backrest with a shoulder strap connected to the support leg to allow the worker to carry on his back, and a worker to hold and push Equipment for emergency repair of an optical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able handl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ckrest to turn on or off.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등받이의 전방에는,In front of the backrest, 상기 이동 손잡이가 보관될 수 있는 이동 손잡이 보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Emergency recovery equipment of the optical c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ing handle storage that can be stored in the moving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권취보빈은, The winding bobbin,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이 감겨질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보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Emergency repair equipment for an optical c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t least two bobbins that can be wound the recovery optical c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은. The recovery optical cable is. 중심부에 배치된 다수의 광섬유와, 광섬유 측방에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배치된 인장선과, 상기 광섬유와 인장선을 피복하며 그 외주면이 사각 형상의 다면체로 이루어진 외피를 구비한 사각 단면 형상의 광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The optical fi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disposed at the center, a tensile line disposed to resist external forces on the side of the optical fiber, and an outer shell covering the optical fiber and the tensile line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of a rectangular polyhedron. Equipment for emergency repair of optical cabl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상기 접속단자함내의 복구용 광케이블의 광섬유는,The optical fiber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서로 다른 색상의 튜브로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Equipment for emergency repair of optical ca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vered with tubes of different colors.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2개의 접속단자함에서,In the two connection terminal box,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동일 광섬유는, The same optical fiber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서로 동일한 색상의 튜브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Emergency repair equipment for an optical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es of the same color are covered with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접속 단자함 내에서, In the junction box, 복구용 광케이블의 단부, 및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튜브가 삽입된 분배반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프레임을 구비한 팬아웃 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 Emergency recovery of the optical cable further comprises a fan-out kit having an end of the repairing optical cable, and a fixing frame for fixing the distribution panel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so that the optical fiber of the repairing optical cable can be fitted equipment.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복구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연결된 광커넥터와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와 연결된 현장용 광커넥터는 상기 접속 단자함 내부에서 상기 광어댑터에 각각 수용되어 광접속됨으로써 응급 복구가 이루어지며;An optical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recovery optical cable and an optical fiber connector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line optical cable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optical adapter in the connection terminal box and op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mergency recovery; 상기 현장용 광커넥터는, The field optical connector, 단부에 광섬유가 노출된 실린더 형상의 페롤(F)과;A cylindrical ferrol F in which an optical fiber is exposed at an end thereof; 상기 페롤의 광섬유와 연결된 광섬유 매칭젤(M.G)을 내장하며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상기 매칭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페롤과 고정된 케이스와;A case in which an optical fiber matching gel (M.G) connect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ferrol is formed and a passage is formed to connect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with the matching gel; 중앙부에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광섬유 통과로와 측면에 웨지(W)가 끼워질 때 벌어져 광섬유 통과로가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웨지홈(P4)을 가진 광섬유 지지체(P3)와, 광섬유 지지체(P3)를 탄성적으로 감싸 쥐는 탄성체(P2)와, 탄성체(P2)를 감싸 보호하며 웨지(W)가 웨지홈(P4)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웨지 삽입구(P5)가 형성된 외피(P1)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플러그(P)와;An optical fiber support part P3 having an optical fiber path formed so that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can pass through and a wedge groove P4 formed so that the optical fiber path can be expanded when the wedge W is fitted to the side; An outer shell in which the elastic body P2 elastically surrounds the optical fiber support body P3 and the wedge insertion hole P5 is formed to wrap and protect the elastic body P2 and to allow the wedge W to be inserted into the wedge groove P4 ( P1) and plug (P) is connected to the case and can be fixed to the optical fiber of the optical fiber cable for the line from the outside; 선로용 광케이블의 광섬유를 플러그로 유도하고 보호하기 위한 부츠(B)와; Boots (B) for guiding and protecting the optical fiber of the line optical cable with a plug; 상기 케이스를 감싸 고정하며 어댑터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우징(H);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응급복구용 장비.Emergency housing of the optical cable comprising a; housing (H) for wrapping and fixing the case to be accommodated in the adapter.
KR1020040063562A 2004-08-12 2004-08-12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KR200600148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562A KR20060014842A (en) 2004-08-12 2004-08-12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562A KR20060014842A (en) 2004-08-12 2004-08-12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073U Division KR200367176Y1 (en) 2004-08-12 2004-08-12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842A true KR20060014842A (en) 2006-02-16

Family

ID=3712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562A KR20060014842A (en) 2004-08-12 2004-08-12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4842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717B1 (en) * 2013-05-03 2015-0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cable reel for optical fiber cable
KR101670407B1 (en) * 2016-06-20 2016-10-28 주식회사 산청 Life wire winding device
KR102037490B1 (en) * 2018-05-16 2019-10-28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Feeding length measuring device of tube
KR20190143269A (en)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유나이브 Appratus and method for replacement of active optical cable
CN110697512A (en) * 2019-10-21 2020-01-17 贵州师范大学 Optical fiber cable installation auxiliary assembly
CN114544142A (en) * 2020-11-25 2022-05-27 河南嘉瑞电力工程有限公司 Full-automatic power optical cable line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717B1 (en) * 2013-05-03 2015-0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cable reel for optical fiber cable
KR101670407B1 (en) * 2016-06-20 2016-10-28 주식회사 산청 Life wire winding device
KR102037490B1 (en) * 2018-05-16 2019-10-28 피에스이엔지 주식회사 Feeding length measuring device of tube
KR20190143269A (en)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유나이브 Appratus and method for replacement of active optical cable
CN110697512A (en) * 2019-10-21 2020-01-17 贵州师范大学 Optical fiber cable installation auxiliary assembly
CN110697512B (en) * 2019-10-21 2023-12-22 贵州师范大学 Auxiliary equipment for installing optical fiber cable
CN114544142A (en) * 2020-11-25 2022-05-27 河南嘉瑞电力工程有限公司 Full-automatic power optical cable line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3202B2 (en) Optical communication trunk cable branch and optical communication trunk cable
TWI457627B (en) Fiber optic enclosure with external cable spool
JPH0682649A (en) Recovery kit
JP4786294B2 (en) Termination board in optical cable connection closure
CN102236141B (en) There is the module of adapter side entry opening
KR20060014842A (en)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AU84849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surplus adss cable
KR200367176Y1 (en) Emergency equipment for optical cable
JP3814234B2 (en) Optical cable connection closure
JP4100834B2 (en) Optical communication trunk cable and branching device for optical communication trunk cable
CN114123045B (en) Pipe threading tool
JP2003322727A (en) Cable, with connector attached thereto and wire- inserting method
KR100473285B1 (en) The brightness emergency coil prop moving carrier
CN114620559A (en) External wrist framework for outdoor safety engineering mapping and method thereof
JP4832390B2 (en) Straight connection closure
JP2004086060A (en) Optical module and optical termination box
CN215755781U (en) Power line construction pay-off
CN219266616U (en) Power optical fiber distribution frame
JP3995979B2 (en) Optical cable connection closure
CN111552032A (en) Optical cable fusion platform and optical cable fusion method
CN215986639U (en) Auxiliary fixing device for weak current security field wiring
CN220171309U (en) 16-core optical cable fiber distribution box with adapter bracket and welding disc assembly
CN220906804U (en) Optical fiber winding machine
CN215091541U (en) Integral welding machine case
CN214475168U (en) Power plant's operation personnel on duty are with insp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