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640A -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640A
KR20060011640A KR1020040060571A KR20040060571A KR20060011640A KR 20060011640 A KR20060011640 A KR 20060011640A KR 1020040060571 A KR1020040060571 A KR 1020040060571A KR 20040060571 A KR20040060571 A KR 20040060571A KR 20060011640 A KR20060011640 A KR 2006001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tt
voice
portable terminal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6018B1 (en
Inventor
이정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018B1/en
Publication of KR2006001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투토크(PTT) 서비스 이용시, 대기상태에서 PTT통화 요구시에 수신되는 음성을 자동 저장할 수 있도록 한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착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의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 착신자측으로 수신되는 PTT콜 요구와 함께 수신되는 발신자측의 음성을 저장하는 통화 저장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모드시,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어있으면, 수신되는 음성을 저장하는 과정과; 통화내용 재생키 입력시, 상기 저장된 음성의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toring and playing back a PTT call content for automatically storing a voice received when a PTT call is requested in a standby state when using a Push-To-Talk (PTT) servi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toring and reproducing PTT call contents of a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ush-To-Talk (PTT) service, storing a caller's voice received along with a PTT call request received at the called party's side. Setting a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in the standby mode, and if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storing the received voice; When the call details playback key is input, the call contents of the stored voice are reproduced.

PTT휴대용 단말기, PTT(푸쉬투토크), 알림, PTT알림음, 통화내용 저장PTT handheld terminal, PTT (push-to-talk), notification, PTT notification sound, save call contents

Description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초기 PTT콜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1 is a flow chart showing a general initial PTT call processing proces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TT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TT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을 보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toring and playing back PTT call conten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제어부 21: RF부10: control unit 21: RF unit

23: 모뎀 25: 오디오 처리부23: modem 25: audio processor

27: 키패드 29: 메모리27: keypad 29: memory

80: 표시부 ANT: 안테나80: display unit ANT: antenna

MIC: 마이크 SPK: 스피커MIC: Microphone SPK: Speak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투토크(PTT) 서비스 이용시, 대기상태에서 PTT통화 요구시에 수신되는 음성을 자동 저장할 수 있도록 한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toring and playing back a PTT call content for automatically storing a voice received when a PTT call is requested in a standby state when using a Push-To-Talk (PTT) service.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체 서비스지역을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영역으로 분할하여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인 셀들(cells)로 구성하고, 기지국들은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으로 집중 제어하여 가입자가 셀간을 이동하면서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a mobile terminal divides an entire service area in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 (BS) areas and configures cells, which are small service areas, and base stations are 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Centralized control allows subscribers to make calls while moving from cell to cell.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결합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중의 하나로 IP를 이용한 패킷 기반(Packet Base)의 음성 서비스를 VoIP(Voice over IP)라고 한다.In the portable terminal, a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various technologies for combining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n Internet-based protocol have been developed. One such technology is called VoIP (Voice over IP), a packet-based voice service using IP.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패킷 기반의 호 서비스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설정하야여 하기 때문에 호 설정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IP네트워크의 다중전송(Multicast) 기능을 이용하여 그룹호(Group Call) 및 개인호(Private Call)와 같은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액티브 호 서비스란 사용자들의 상호간 동작에 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 호의 한 종류로서 예를 들어 워키토키(Walkie-talkie)에서와 같은 푸쉬투토크(PTT: Pust to talk 이하,"PTT"로 표기함) 기능이 있다. 또한 그룹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다자간 통화를 의미하며 개인호란 미리 정해지는 사용자들의 그룹내에서 사용자들간의 1:1통화를 의미한다.The packet-based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operates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call setup time is relatively long because a call must be establish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IP network. 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interactive call services such as a group call and a private call by using the multicast function of the IP network. In this case, the interactive call service is a kind of call in which calls are made by mutual interactions of users. For example, PTT (Pust to talk, or " PTT ") as in Walkie-talkie. There is a function. In addition, a group call means a multi-party call between users in a predetermined group of users, and a personal call means a 1: 1 call between users in a predetermined group of users.

이러한, PTT서비스는 다수의 사용자 또는 그룹을 대상으로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가능케 하는 서비스로서, PTT를 위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말하고자함을 표시하고, 사용자 장치 즉, PTT서비스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이하, "PTT휴대용 단말기"로 표기함)는 서비스 요청을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자원의 이용가능성, 요청한 사용자의 우선순위 등과 같은 소정의 판단기준을 기초로 상기 요청을 거절하거나, 또는 요청된 자원을 할당한다. 그외 동시에, 특정 가입자 그룹내의 모든 다른 활성 사용자들과의 접속이 설정된다. 음성 접속이 설정된 후에 요청한 사용자는 말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그 채널에서 들을 수 있다. 사용자가 PTT를 해제하면, 그 PTT를 해제한 해당 휴대용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해제(release)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고, 자원들은 해제된다. 이러한 PTT통신 시스템은 지점-대-지점간 통신과 지점-대-다지점간 통신서비스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점-대-다지점간 통신서비스를 PTT서비스에서는 PTT그룹 통화라고 한다.The PTT service is a service that enables voice / data services simultaneously for a plurality of users or groups. By pressing a button for the PTT, the PTT service indicates that the user wants to speak, and the user device, that is, the portable PTT service is available. Th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TT portable terminal") sends a service request to the network. The network rejects the request or allocates the requested resource based on predetermined criteria such as availability of resources, priority of the requesting user, and the like. At the same time, a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 all other active users in a particular subscriber group. After the voice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requesting user can speak, and other users can listen on the channel. When the user releases the PTT, the portable terminal releasing the PTT sends a release message signal to the network, and resources are released. The PTT communication system is capable of point-to-point and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services. Here, the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service is called a PTT group call in the PTT service.

이러한, PTT 휴대용 단말기간의 PTT 콜은 발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가 착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상대방에게 요청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상기 PTT콜 요청은 PTT버튼을 누름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는 PTT알림음으로 PTT콜이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이에,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PTT콜이 수신을 알리는 PTT알림음이 울림을 인지하고,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의 발신자와 PTT콜을 개시한다.The PTT call between the PTT portable terminals starts from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requesting the PTT call to the called party's PTT portable terminal. The PTT call request is made possible by pressing the PTT button. Then, the called-party PTT portable terminal notifies that the PTT call has been received by the PTT notification sound. Accordingly, the user of the called party's PTT portable terminal recognizes the PTT notification sound to notify the PTT call reception, and initiates the PTT call with the caller of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그러나, 종래 PTT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PTT서비스는 수신자가 급한 상황에서 자리를 비우거나, PTT휴대용 단말기를 항시 휴대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에 수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수신되는 PTT콜 요구와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지 못하고, 단순히 PTT콜 발신자의 정보만을 표시해주는 서비스만을 해줄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수신자는 발신자가 어떠한 이유에서 PTT콜을 요구했는지 알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TT service through the conventional PTT portable terminal does not store the PTT call request and input voice received by the receiving PTT portable terminal when the receiver is not in a hurry or does not carry the PTT portable terminal at all times. It was a situation that could only provide a service that simply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PTT call caller. Therefore, the receiver has a problem in which the sender cannot know why the PTT call is reques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푸쉬투토크(PTT) 서비스 이용시, 대기상태에서 PTT콜 요구시에 수신되는 음성을 자동 저장할 수 있도록 한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using the Push-To-Talk (PTT) service, the method for storing and playing PTT call contents to automatically store the received voice when PTT call request in the standby st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PTT서비스의 대기상태에서 PTT콜을 요구한 발신자의 저장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storing and reproducing PTT call contents, which enables to play a stored voice of a caller requesting a PTT call in a standby state of a PTT ser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착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의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 착신자측으로 수신되는 PTT콜 요구와 함께 수신되는 발신자측의 음성을 저장하는 통화 저 장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모드시,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어있으면, 수신되는 음성을 저장하는 과정과; 통화내용 재생키 입력시, 상기 저장된 음성의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toring and reproducing PTT call contents of a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ush-To-Talk (PTT) service. Setting a call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voice of the voice; Determining whether a call storage mode is set in the standby mode, and if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storing the received voice; When the call details playback key is input, the call contents of the stored voice are reproduced.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대기모드(dormant)에서 PTT콜요구시, 수신되는 발신자의 음성을 통화내용으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통화내용을 이후 재생하여 착신자가 발신자가 어떠한 의도로 PTT콜을 요구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when the called-party PTT portable terminal requests a PTT call in the PTT call standby mode (dormant), the incoming caller's voice is stored as the call contents, and the stored call contents are subsequently reproduced by the caller. You can check the intention of requesting PTT call.

이러한 상기 PTT콜 처리과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A brief description of the PTT call processing process is as follows.

도 1은 일반적인 초기 PTT콜 처리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111단계~145단계까지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이 각각 제1, 제2 기지국400,500과 서비스 옵션 네고(nego)를 수행하여 트래픽 채널(TCH; Traffic Channel)을 셋업(setup)한후, SIP를 기반으로 PTT 응용프로그램으로 음성통화을 수행한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eneral initial PTT call processing process, in which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200 perform the first and second base stations 400 and 500 and service option nego from step 111 to 145, respectively. After the traffic channel (TCH) is set up, a voice call is performed to the PTT application based on the SIP.

우선, 111단계에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이 SDB(Short Data Burst)형태로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제1 기지국400으로 전송한다.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 전송직후, 113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PTT서비스를 위해 제1 기지국400과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SO_PTT)) 네고를 실시하면서 트 래픽 채널(Traffic Channel) 셋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고는 PPP 세션(session)을 포함한 물리계층부터 응용계층까지의 상위 네트워크 세션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Origination"으로 표기하였다.First, in step 111,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a PTT call request signal (INVITE) to the first base station 400 in the form of a short data burst (SDB). Immediately after the PTT call request signal (INVITE) is transmitted, in step 113, the originat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performs a service option (SO_PTT) negotiation with a first base station 400 for a PTT service while providing a traffic channel (Traffic Channel). Perform setup. Here, the Nego is referred to as "Origination" as a process of preparing a higher network session from the physical layer to the application layer including the PPP session (session).

이후, 115~117단계에서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는 상기 제1 기지국400으로 전송된후 PTT서버300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가 서비스 받고 있는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된다. 이때, 119단계와 121단계에서 상기 제2 기지국500은 주기적으로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로 페이징 신호(General Page)를 송출하며,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상기 페이징 신호에 대한응답신호(Page Response)를 상기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하는 중에 있다. 이러한 페이징 수행중, 상기 117단계에서 제2 기지국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으로 쇼트 데이터 버스트(SDB;Short Data Burst) 형태로 상기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PTT콜이 형성되었음을 표시하여 이를 착신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트래픽 채널이 셋업된 상태가 아니므로 어떠한 음성도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Thereafter, in steps 115 to 117, the PTT call request signal INVIT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400, and then to the second base station 500 where the PTT server 300 and the destination PTT portable terminal 200 are serviced. In this case, in steps 119 and 121, the second base station 500 periodically sends a paging signal (General Page) to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200 responds to the paging signal. Response) is being transmit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500. During the paging, in step 117, the second base station transmits the PTT call request signal (INVITE) in the form of a short data burst (SDB) to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200. Then, the called party PTT portable terminal 200 indicates that the PTT call has been formed and informs the called party. However, since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200 is not in a traffic channel setup state, no voice is transmitted to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다음, 125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제2 기지국500으로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신호로 "MS L2 Ack"를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127단계에서 상기 제2 기지국500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측으로 상기 "MS L2 Ack"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BS L2 Ack"신호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으로 전송한다.Next, in step 125, the called-party PTT portable terminal 100 transmits "MS L2 Ack" to the second base station 500 a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PTT call request signal INVITE is normally receiv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500. Then, in step 127, the second base station 500 transmits a "BS L2 Ack" signal to the called party PTT portable terminal 200 indicating that the "MS L2 Ack" signal has been normally received to the called party PTT portable terminal 200.

이후, 129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SDB형태로 "200 OK" 메시지(Message)를 제2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200 OK" 메시지는 초기 PTT콜을 요구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에게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가 PTT콜 요구신호(INVITE)를 수락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다. Thereafter, in step 129, the called-party PTT portable terminal 200 transmits a “200 OK” message to the second base station 500 in the SDB form. Here, the "200 OK" message i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has accepted the PTT call request signal (INVITE) to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requesting the initial PTT call.

이때, 131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도 상기 "200 OK" 메시지를 보낸 직후, 상기 제2 기지국500과 연동하여 PTT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SO_PTT)) 네고를 실시하면서, 트래픽 채널 셋업을 실시한다.In this case, immediately after the called-party PTT portable terminal 200 sends the "200 OK" message in step 131, the service is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500 to perform a service option (SO_PTT) negotiation for a PTT service. Perform channel setup.

다음, 133단계부터 137단계동안, 상기 "200 OK" 메시지는 제2 기지국500에서 PTT서버300과 제1 기지국400을 통해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으로 전송되고, 그 "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트래픽 채널 셋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착신측에서 PTT콜 요구를 수락하여 PTT콜이 형성되었음을 표시한다. Next, during steps 133 to 137, the "200 OK"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500 to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the PTT server 300 and the first base station 400, and receives the "200 OK" message.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completes the traffic channel setup. Then,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accepts the PTT call request from the called party and indicates that a PTT call is formed.

이후, 139단계와 141단계에서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SIP Ack"신호를 통해 PTT서버300측으로 발언권을 요청한후 143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PTT서버300은 상기 발언권 요청을 제어하여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로 발언권을 준다.Subsequently, in step 139 and step 141,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performs a step 143 after requesting a talk right to the PTT server 300 through a "SIP Ack" signal while the session is connected. The PTT server 300 controls the talk right request and gives a talk right to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43단계에서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은 RTP(Real Time Protocol)를 통해 실시간으로 발언내용(Talk Burst)을 PTT서버3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143단계를 통해 상기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이 발언한 내용은 PTT서버300으로 전송되어 1차적으로 버퍼링(Buffering)된다. 이후, 상 기 PTT서버300에 버퍼링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발언내용(Talk Burst)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트래픽 채널 셋업의 완료여부에 따라 RTP를 통해 PTT서버에서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으로 전송된다. 즉, 상기 PTT서버300은 상기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트래픽 채널 셋업이 완료된 이후에 버퍼링하고 있던 발언내용을 전송하게 된다.In step 143, the calling-side PTT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obtained the right to speak transmits a talk burst to the PTT server 300 in real time through a Real Time Protocol (RTP). Then, the content spoken by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in step 143 is transmitted to the PTT server 300 to be primarily buffered. Thereafter, the talk burst of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200 buffered in the PTT server 300 is determined by the called PTT server at the PTT server through RTP depending on whether the traffic channel setup of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200 is completed. PTT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at is, the PTT server 300 transmits the buffered speech contents after the traffic channel setup of the called-party PTT portable terminal 200 is completed.

이후,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과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트래픽 채널 셋업이 완료된후에 따라 PTT서버300과 네고할 필요없이 전술한 상기 "SIP Ack"신호와 그 "SIP Ack"신호에 응답신호의 "SIP Respone"만으로 발언권을 부여받아 발언을 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alling PTT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200 do not need to negotiate with the PTT server 300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traffic channel set-up, so that the above-mentioned " SIP Ack " signal and the " SIP Ack " You can speak with "SIP Respone" on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은 발신측 PTT휴대용 단말기100의 PTT콜 요구신호수신이후, 발신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통화내용을 착신측 PTT휴대용 단말기200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lled-party PTT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the contents of a call in the memory area of the called-party PTT portable terminal 200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 caller's voice after receiving the PTT call request signal of the calling-party PTT portable terminal 100. ha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PTT통화내용 저장방법을 기술하는데 있어,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describing a method for storing PTT call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ese modific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TT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는 PTT휴대용 전화기가 될 수 있으며, 발신자의 통화내용을 자동 저장하는 착신측 PTT휴대용 전화기관점에서 후술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TT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TT portable terminal may be a PTT portable telepho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alled party PTT portable telephone institution that automatically stores the caller's contents.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RF unit 21 performs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21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모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모뎀23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 The modem 23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modem 23 processes packet data or the like or audio signals such as voice.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제어부10으로부터 수신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제어부10로부터 PTT통화저장모드에 따라 메모리29에 저장된 통화내용 또는 PTT알림음을 스피커SPK로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25 receiv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odem 23 from the controller 10, converts the received audio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10. The audio processor 25 converts the call content or PTT notification sound stored in the memory 29 into an audible sound from the controller 10 according to the PTT call storage mode.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저장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그 통화 저장모드를 통해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 통화저장모드를 키입력 한번으로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PTT통화 저장모드키와, 상기 통화저 장모드를 통해 저장된 통화내용을 키입력 한번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내용 재생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keypad 27 is provided with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text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he keypad 27 may set a call storage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function keys for reproducing stored call contents through the call storage mode. For example, a PTT call storage mode key for setting or releasing a call storage mode with a single key press, and a call content playing key for reproducing a stored call content with a single key input through the call storage mode. It can be provided.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PTT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PTT콜 수신시 이를 알리는 PTT 알림음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통화저장모드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통화저장모드를 통해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시키는 통화내용 재생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The memory 29 may be composed of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stores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TT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program memory stores a program for outputting a PTT notification sound for notifying when a PTT call is received. In addition, programs for setting the call storage mode are stored. In addition, programs for reproducing call contents for reproducing stored call contents through the call storage mode are stored.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통화저장모드 설정에 따라 수신되는 발신자의 음성이 데이터화되어 통화내용으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통화내용이 저장되면서 아울러 발신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자의 PTT콜을 수신한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통화내용과 발신자 정보 등을 갖는 통화내용 저장목록에 등록저장된다.In addition,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In addition, the voice of the caller received according to the call storage mode setting is dataized in the data memory and stored as a call content. In addition, the call contents are stored and caller information is stored. Here, the caller information may be a caller's telephone number, a time of receiving a caller's PTT call, and the like. The data memory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call contents storage list including the call contents and caller information.

제어부10은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PTT콜 착신시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로 PTT콜 수신시 알림음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통화저장모드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통화저장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29에 통화내용을 저장하고, 그 통화내용이 저장된 통화내용 저장 목록중 선택된 통화내용을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로 전송하여 통화내용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TT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a modem 23. In addition, when the PTT cal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0 transmits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sound when the PTT call is received to the audio processor 25.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call storage mode sett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all storage mode, the contents of the call are stored in the memory 29 and the selected call contents are stored in the call contents storage list in which the call contents are stored. do.

표시부8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배터리의 잔량과 수신감도율 및 모닝콜 설정유무를 나타내는 아이콘들 및 현재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통화저장모드 설정시 통화저장모드의 설정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통화저장모드가 설정되면 "PTT통화저장모드가 설정되었습니다" 라는 안내메시지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통화저장모드의 설정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80은 상기 통화저장모드를 통해 저장된 통화내용들의 통화내용 저장목록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통화내용 저장목록중 선택된 통화내용의 해당 발신자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80 displays messages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Here, the user data means icons indicat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reception sensitivity rate, and the presence of a wake-up call, and the current tim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8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when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At this time, when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the message "PTT call storage mode is set" is displayed. Thereafter, an icon indicating whether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80 displays a call contents storage list of call contents stored through the call storage mode.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calle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all contents in the call contents storage list is displayed. The display unit 8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8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in a touch screen manner, the keypad 27 and the LCD may be input units.

전술한 상기 도 1의 PTT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35 상에 표시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TT portable terminal of FIG. 1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the keypad 27 during transmission, and sets the transmission mode,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and di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odem 23. After processing the RF signal through the RF unit 21 to output. After the counter subscriber generates a response signal, it detects it through the RF unit 21 and the modem 23. Thereafter, a user establishes a voice call path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ddition, in the incoming mode, the controller 10 detects the incoming mode through the modem 23 and generates a ring signal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hereafter, when the user responds, the controller 10 detects this, and a voice call path is formed through the audio processor 25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the outgoing and incoming modes, voice communica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to the voi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 standby mode or text communication, the controller 10 displays text data processed through the modem 23 on the display 35.

이러한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의 통화내용 저장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of the call contents of the PTT portable terminal as follows.

우선, 제어부10은 PTT콜 대기모드시, PTT콜 요구신호와 함께 발신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통화 저장모드 설정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한 음성 신호를 메모리29에 저장한다. 상기 통화 저장모드 설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27에 구비된 PTT통화 저장모드키 조작을 통해 가능하며, 상기 통화저장모드 설정시에 이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0은 음성신호를 메모리29에 저장하는 중에 일정시간 음성이 수신되지 않으면 통화내용 저장을 종료한다.First, in the PTT call standby mode, the controller 10 receives the caller's voice signal together with the PTT call request signal and stores the received voice signal in the memory 29 according to whether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call storage mode can be se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TT call storage mode key provided in the keypad 27,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80 when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If the voice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voice signal is stored in the memory 29, the controller 10 ends the storage of the call contents.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키패드27의 구비된 통화내용 재생키 입력이 발생하면 통화내용 저장목록을 표시부80에 표시하고, 그 통화내용 저장목록중 선택된 통화내용을 메모리29로부터 독출한다. 그러면,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제어부10으로부터 상기 메모리29로부터 독출한 통화내용을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한후 가청음으로 변 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통화내용을 재생한다.Thereafter, when the call content playing key input of the keypad 27 occurs,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call contents storage list on the display unit 80 and reads out the selected call contents from the memory contents storage list 29 from the memory 29. Then, the audio processor 25 receives the contents of the call read from the memory 29 from the controller 10, processes the data, converts the data to an audible sound, and plays the contents of the call through the speaker SPK.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oring and playing back a PTT call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은 311단계에서 PTT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공급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후, 키입력 또는 일반 호착신과 PTT콜 수신을 대기하는 대기모드로 진입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10 is supplied with the power of the PTT portable terminal in step 311 to perform an overall initializatio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n enters a standby mode waiting for key input or general call reception and PTT call reception. do.

상기 제어부10은 313단계에서 통화 저장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통화저장모드 설정은 PTT통화 저장모드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통화 저장모드 해제 또한 상기 PTT통화 저장모드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10 sets a call storage mode in step 313. At this time, the call storage mode setting may be made through the PTT call storage mode key, and the call storage mode release may also be made by the PTT call storage mode key.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315단계에서 PTT콜 요구신호 수신후, 발신자의 음성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PTT콜 요구신호 수신후, 발신자의 음성이 수신되면 317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저장모드의 설정여부를 확인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caller's voice is received after receiving the PTT call request signal in step 315, and after receiving the PTT call request signal, proceeds to step 317 if the caller's voice is received. Check.

이에, 상기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어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319단계에서 발신자 정보만을 메모리29에 저장하므로, 발신자가 어떠한 이유로 PTT콜을 요구했는지 알 수 없다.Thus, if the call storage mode is not set, the controller 10 stores only the caller information in the memory 29 in step 319, so that the caller cannot know why the caller requested the PTT call.

그러나, 상기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은 321단계에서 수신되는 음성을 상기 메모리29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323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음성이 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수신되는 음성이 감지되면 계속해서 상기 321단계를 수행하여 통화내용을 자동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수신되는 음성이 감지되지 않으면, 325단계에서 음성 저장을 종료하고, 대기모드로 진입 한다.However, if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the controller 10 stores the voice received in step 321 in the memory 29. Thereafter,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voice received periodically in step 323, and if the received voice is detected, the controller 10 continuously stores the call by performing step 321. However, if the received voice is not detected, the voice storage is terminated in step 325 and the standby mode is entered.

다음, 상기 제어부10은 327단계에서 통화내용 재생키입력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통화내용 재생키입력이 발생하면 329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내용 저장목록을 표시부80에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은 착신자가 통화내용 저장목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통화내용 저장목록 선택대기에 들어간다.Next,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a call content play key input has occurred in step 327. If the call content play key input occurs, the controller 10 proceeds to step 329 and displays the call content storage list on the display 80. Then, the controller 10 enters the call contents storage list selection wait so that the called party can select the call contents storage list.

이후, 상기 제어부10은 331단계에서 착신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통화내용을 메모리29로부터 독출하여 스피커SPK로 통화내용을 재생한다. 그러면, 착신자는 부재중 혹은, PTT콜요구신호에 응대할 수 없는 특정 상황에서 수신한 PTT콜의 발신자와 그 발신자가 어떠한 이유에서 PTT콜을 요구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0 reads out the corresponding call selected by the called party from the memory 29 in step 331 and plays the call through the speaker SPK. Then, the called party can check whether the sender of the received PTT call and the sender requested the PTT call in a specific situation in which he / she is absent or cannot respond to the PTT call request signal.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TT휴대용 단말기의 착신자가 부재중이거나 특정한 상황 또는 상기 PTT휴대용 단말기로 PTT콜을 요구했는지를 확인하기에 이격된 거리에 위치해있을 경우, PTT콜을 요구한 발신자의 통화내용을 자동저장하고, 그 저장된 통화내용을 이후에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PTT콜을 요구한 발신자가 어떠한 이유에서 PTT콜을 요구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l of a caller requesting a PTT call when the called party of the PTT portable terminal is absent or is located at a distanc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situation or a PTT call is requested to the PTT portable terminal. By automatically saving the contents and allowing the stored call contents to be reproduced later, the caller who requested the PTT call can check the reason for requesting the PTT call.

Claims (7)

푸쉬투토크(PTT)서비스가 가능한 착신측 PTT 휴대용 단말기의 PTT통화내용 저장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In the PTT call content storage and playback method of the called PTT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ush-To-Talk (PTT) service, 착신자측으로 수신되는 PTT콜 요구와 함께 수신되는 발신자측의 음성을 저장하는 통화 저장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a call storage mode for storing a voice of a caller received with a PTT call request received at a called party; 상기 대기모드시,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어있으면, 수신되는 음성을 저장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in the standby mode, and if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storing the received voice; 통화내용 재생키 입력시, 상기 저장된 음성의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reproducing the contents of the call of the stored voice when inputting the contents of the cal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내용을 재생하는 과정은 발신자측의 통화내용 저장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ying of the call content comprises: displaying a call history storage list of a caller; 상기 통화내용 저장목록중 선택된 통화내용을 감지하는 단계와;Detecting selected call contents in the call history storage list; 상기 감지된 통화내용을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reading out the detected call cont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저장은 소정시간 수신되는 음성이 없으면 음성 저장을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voice storage is terminated when there is no voice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저장모드는 착신측의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게 하는 특정 단축키에 의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2.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by a specific shortcut key that allows the called party to store the contents of the cal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저장모드 설정되어있으면, 수신되는 음성과 같이 발신자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if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caller information is stored as a voice receive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자의 PTT콜을 수신한 시간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caller information is a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time information of receiving a caller's PTT cal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저장모드가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발신자 정보만을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only the caller information is stored unless the call storage mode is set.
KR1020040060571A 2004-07-30 2004-07-30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KR100606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571A KR100606018B1 (en) 2004-07-30 2004-07-30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571A KR100606018B1 (en) 2004-07-30 2004-07-30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640A true KR20060011640A (en) 2006-02-03
KR100606018B1 KR100606018B1 (en) 2006-07-28

Family

ID=3712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571A KR100606018B1 (en) 2004-07-30 2004-07-30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01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72B1 (en) * 2004-12-0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conversa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1240263B1 (en) * 2006-07-18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FOR PUSH-TO-TALK ON CELLULAR(PoC) SERVICE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20150133545A (en) * 2014-05-20 2015-11-30 (주)오픈벡스 Walkie-talki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110A (en) * 1992-06-25 1994-02-04 Fujitsu Ten Ltd Radio telephone set with recording function
KR20020021729A (en) * 2000-09-16 2002-03-22 김성헌 Walkie-talkie having voice recording function and thereof control method
KR100575765B1 (en) * 2004-02-20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ling method of automatic response of the push to talk type mobile station
KR100605832B1 (en) * 2004-07-30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notifing reception stat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72B1 (en) * 2004-12-0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conversa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1240263B1 (en) * 2006-07-18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FOR PUSH-TO-TALK ON CELLULAR(PoC) SERVICE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20150133545A (en) * 2014-05-20 2015-11-30 (주)오픈벡스 Walkie-talki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018B1 (en)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04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speaker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 service in a push-to-talk portable terminal
US20200260236A1 (en) Text Alternative To Established Voice Call Session
US7536180B2 (en) Push to talk (PTT) service method
US20060121925A1 (en) Method for processing conversation information in wireless terminal
US200402282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l duplex dispatch
US20060040695A1 (en) Method of group call service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536195B2 (en) Method for PTT servic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CN100376118C (en) Voice call connection method during a push to talk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328918C (en)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a push to talk schem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92368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a dispatch call
KR20060016890A (en)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6018B1 (en)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matter of conversation by telephon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KR100724928B1 (en) Device and method of informing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125B1 (en) Method for mediating call of push to talk
KR100605832B1 (en) Method for notifing reception state in the push to talk portable terminal
KR100606019B1 (en) Method for auto alarm in the pust to talk portable terminal
KR100640326B1 (en) Method of informing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0323B1 (en)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25151A (en) Method for call process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