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491A -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그리고 데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그리고 데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491A
KR20060011491A KR1020040060360A KR20040060360A KR20060011491A KR 20060011491 A KR20060011491 A KR 20060011491A KR 1020040060360 A KR1020040060360 A KR 1020040060360A KR 20040060360 A KR20040060360 A KR 20040060360A KR 20060011491 A KR20060011491 A KR 2006001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vi
host
link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129B1 (ko
Inventor
차상훈
권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129B1/ko
Priority to DE602005019953T priority patent/DE602005019953D1/de
Priority to EP05014649A priority patent/EP1624670B1/en
Priority to AT05014649T priority patent/ATE461587T1/de
Priority to US11/178,314 priority patent/US7667775B2/en
Priority to CNB2005100879819A priority patent/CN100463512C/zh
Publication of KR2006001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491A/ko
Priority to US11/589,909 priority patent/US9232270B2/en
Priority to US11/589,856 priority patent/US8869225B2/en
Priority to US11/589,858 priority patent/US913757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그리고 데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POD 모듈로부터 호스트에게 DVI 상태를 진단하여 보내라는 요청을 하였을 때, 다수의 주변 기기들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모든 DVI 링크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여 DVI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POD 모듈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주변 기기들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에도 하나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만을 전송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SCTE 28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Generic Diagnostic Protocol내 Diagnostic Status Report 신택스를 확장하여 호스트와 연결이 존재하는 모든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POD 모듈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확장이 용이하면서 기존 SCTE 28 규격을 채택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DVI 상태, Diagnostic

Description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그리고 데이터 구조{Cable broadcasting receiving system and DVI status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structure}
도 1은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 단일 DVI 링크로 주변기기가 연결된 예를 보인 일반적인 도면
도 2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와 주변 기기들이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로 연결된 예를 보인 일반적인 도면
도 3은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에 DVI 입/출력 단자가 존재하는 경우의 DVI 링크 연결의 예를 보인 일반적인 도면
도 4는 종래의 DVI Status Report 신택스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종래의 DVI 상태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Generic Diagnostic에서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의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DVI Status Report 신택스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DVI 상태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스트 101 : 제1 튜너
102 : 제1 복조부(VSB/QAM) 103 : 역다중화부
104 : 디코더 105 : 제2 튜너
106 : 제2 복조부(DSG) 107 : 제3 튜너
108 : 스위칭부 109 : 변조부
110 : CPU 111 : 제3 복조부(OOB)
120 : DVI 제어부 200 : POD 모듈(케이블 카드)
본 발명은 케이블 방송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하는 케이블 방송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VI를 통해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주변 기기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데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VI(Digital Visual Interface)는 평면 모니터에 PC를 디지털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디지털 디스플레이 워킹 그룹(Digital Display Working Group ; DDWG)이라고 불리는 컴퓨터 업계의 리더들이 구성한 콘소시엄에서 제정한 전송 규격(standard)이다. 즉 PC와 모니터 사이의 신호를 디지털로 연결하는 규격인 DVI는 PC와 업무용 프로젝터, 상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광판 등 PC와 연결해 사용 하는 주변기기에 주로 채용되어왔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TV, 케이블 디지털 TV 등에도 채용되고 있다.
즉 상기 DVI 규격이 개발되기 전에는 PC가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도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PC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했다가 다시 이를 디지털로 변환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했다. 따라서 상기된 복잡한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PC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지털로 전송하게 하기 위하여 DVI 규격을 개발하였다. 이때 상기 DVI 규격에서는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단일 방향으로 전송한다.
한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크게 케이블 방송을 전송하는 송신측인 케이블 방송국과, 전송된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방송국은 SO 헤드엔드, 또는 MSO 헤드엔드라 하기도 한다. 여기서 SO(System Operator)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즉, 지역 케이블 TV 방송 사업자)이고, MSO(Multiple System Operator)는 여러 개의 SO가 합쳐진 형태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 CA) 시스템을 포함하는 POD(Point Of Deployment) 모듈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오픈 케이블 방식이다. 상기 POD 모듈은 일 예로, PCMCIA 카드를 사용하며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본체 슬롯에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POD 모듈을 케이블 카드라 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POD 모듈이 삽입되는 본체를 호스트라 하기도 한다. 즉 상기 POD 모듈과 본체를 합쳐서 케이블 방송 수신기라 한다.
이때 상기 호스트와 다른 주변 기기들(예를 들어, DVD 재생기, 디지캠, 셋톱 박스 등)간에는 DVI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될 수 있다. 즉 호스트에 DVI 단자들이 적어도 복수개 이상 존재하면, 상기 호스트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주변 기기들도 복수개 이상이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디지털 빌트 인(Digital Built in) TV 또는 디지털 레디(Digital Ready) TV가 호스트에 해당된다.
도 1은 호스트와 주변 기기(Device)가 단일 DVI 링크로 연결된 예를 보인 것으로서, 특히 호스트의 DVI 입력 단자(Input port)에 셋톱 박스(또는 DVD 재생기)의 출력 단자(Output port)가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호스트와 주변 기기들이 복수개의 DVI 링크로 연결된 예를 보인 것으로서, 호스트에 DVI 입력 단자가 복수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이다. 도 2를 보면, 호스트의 제1 DVI 입력 단자에는 셋톱박스의 DVI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호스트의 제2 DVI 입력 단자에는 DVD 재생기의 DVI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임의의 주변 기기에 DVI 입/출력 단자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특히 셋톱박스에 DVI 입/출력 단자가 모두 존재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을 보면, 호스트의 DVI 입력 단자에 셋톱박스의 DVI 출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셋톱박스의 DVI 입력 단자에는 DVD 재생기(또는 다른 셋톱 박스)의 DVI 출력 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POD 모듈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오픈 케이블 규격에는 호스 트의 각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진단(Diagnostic) 기능이 있다. 즉 호스트의 동작 상태, 주변 기기의 연결 상태 등을 체크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SCTE(Society of Cable Telecommunications Engineers) 28 2004 규격에는 호스트-POD 인터페이스 리소스층에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이 정의되어 있다.
상기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은 호스트의 각 상태 정보를 로컬(local, 사용자)이나 케이블 방송국(remote, MSO 헤드엔드)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정의한 규약이다.
상기 Generic Diagnostic Protocol에서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Diagnostic들을 정의하고 있다.
Diagnostic ID Diagnostic
00 Set-Top memory allocation
01 Software version
02 Firmware version
03 MAC status
04 FAT status
05 FDC status
06 Current Channel Report
07 1394 Port
08 DVI status
09~FF Reserved for future use.
즉 POD 모듈에서 호스트로 진단 요청이 전송되고 이때의 Diagnostic ID가 08이면, 호스트의 DVI 상태를 확인하여 POD 모듈로 report하라는 의미이다.
도 4는 호스트에서 DVI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POD 모듈로 report하는 신택스(DVI Status Report Syntax)의 예를 보이고 있으며, 각 필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4에서, connection_status 필드는 어떤 연결이 DVI 단자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낸다(Indicates if a connection exists on the DVI port). 예를 들어, 상기 connection_status 필드 값이 002이면 DVI 연결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host_HDCP_status 필드는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복제방지 기능의 저작권 보호 규격)가 DVI 링크 상에서 인에이블되었는지를 나타낸다(Indicates if HDCP is enabled on the DVI link). 예를 들어, host_HDCP_status 필드 값이 02이면 인에이블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Device_HDCP_status 필드는 DVI 단자를 통해 호스트에 연결된 주변 기기의 HDCP 상태를 나타낸다(Indicates the connected device's HDCP status).
video_format 필드는 DVI 단자에서 이용되는 현재 비디오 포맷을 나타낸다(Indicates the current video format utilized on the DVI port).
horizontal_lines 필드는 DVI 링크 상의 비디오 포맷과 관련된 수평 라인 수를 나타낸다(Indicates the number of horizontal lines associated with the video format on the DVI link).
vertical_lines 필드는 DVI 링크 상의 비디오 포맷과 관련된 수직 라인 수를 나타낸다(Indicates the number of vertical lines associated with the video format on the DVI link).
scan_rate 필드는 DVI 링크 상의 비디오 포맷과 관련된 주사율을 나타낸다(Indicates the scan rate associated with the video format on the DVI link).
aspect_ratio 필드는 DVI 링크 상의 비디오 포맷과 관련된 화면비를 나타낸다(Indicates the aspect ratio associated with the video format on the DVI link).
prog_inter_type 필드는 DVI 링크 상의 주사 방식이 비월 주사인지 순차 주사인지를 나타낸다(Indicates if the video is either progressive or interlaced on the DVI link).
즉 상기 POD 모듈이 호스트에게 DVI 상태를 확인하여 보고하라는 진단 요청(Diagnostic_req APDU)을 하면, 상기 호스트는 DVI 상태를 체크하고 그 결과(Diagnostic_cnf APDU)를 도 4와 같은 DVI status report 신택스 형태로 POD 모듈에 전송한다.
도 5는 이러한 과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호스트는 POD 모듈에서 전송한 Diagnostic_req APDU를 파싱하여(단계 401), Diagnostic ID가 0x08인지를 판별한다(단계 402). 상기 단계 402에서 Diagnostic ID가 0x08이면 DVI 상태를 확인하라는 진단 요청이므로 호스트의 DVI 상태를 확인하여 POD 모듈로 리포트하고, 0x08이 아니면 해당하는 항목의 상태를 확인하여 POD 모듈로 리포트한다.
즉 상기 단계 402에서 Diagnostic ID가 0x08이라고 판별되면 도 4와 같은 DVI status report 신택스를 생성한 후(단계 403), Diagnostic_cnf APDU에 담아 POD 모듈로 전송한다(단계 404).
상기된 도 4의 DVI status report 신택스는 도 1과 같이 호스트가 다른 주변 기기와 단일 DVI 링크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다. 그런데 도 2나 도 3과 같이 호스트와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device)들이 DVI 단자를 통해 동시에 연결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종래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 내 DVI status report 신택스가 호스트에 다수의 주변 기기가 DVI 링크로 연결되어 있어도 단지 한 개의 주변 기기의 DVI 상태 정보만을 POD 모듈로 전송하도록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도 2와 같이 호스트에 DVI 단자가 적어도 복수개 이상 존재하고 상기 복수개 이상의 DVI 단자에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가 동시에 연결된 경우, 상기된 도 4의 DVI status report 신택스를 따르면 이들 중 단지 한 개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만 POD 모듈로 전송할 수 있을 뿐, 나머지 다른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는 POD 모듈로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어떤 주변 기기에 DVI 입/출력 단자가 동시에 존재하고 그 DVI 입/출력 단자에 호스트 및 다른 주변 기기가 동시에 연결된 경우에도 상기된 도 4의 DVI status report 신택스를 따르면 이들 중 단지 한 개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만 POD 모듈로 전송할 수 있을 뿐, 나머지 다른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는 POD 모듈로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에는 호스트와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와의 DVI 링크 연결의 경우에 복수개 이상의 DVI 입/출력들의 상태 정보를 POD 모듈로 전송하는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된 종래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에는 단지 한 개의 DVI 상 태 정보만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호스트의 DVI 단자가 DVI 입력 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를 구분해주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OD 모듈이 호스트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오픈 케이블 방식의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호스트와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와의 DVI 링크가 존재하면 복수개 이상의 DVI 입/출력들의 상태 정보를 모두 POD 모듈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그리고 데이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SCTE 28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Generic Diagnostic Protocol 내 DVI status report 신택스를 확장하여 다수의 주변 기기들이 동시에 호스트와 DVI 단자로 연결된 경우에도 이들의 상태 정보를 모두 POD 모듈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그리고 데이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 기기가 연결된 호스트의 DVI 단자가 DVI 입력 단자인지,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POD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POD 모듈로부터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진단 요청이 전송되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는 DVI 제어부를 포함하여 호스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VI 제어부는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별로 상기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VI 제어부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해당 DVI 링크 상태 정보에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VI 제어부는 SCTE 규격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을 확장하여,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VI 제어부는 SCTE 규격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 내 DVI Status Report 신택스에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을 추가하며, 상기 'for' 루프의 반복 횟수는 호스트에 연결이 존재하는 DVI 링크 수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or' 루프에는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connection_type 필드가 새로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or' 루프에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 를 나타내는 connection_no 필드가 새로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POD 모듈로부터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진단 요청이 전송되면 확장된 SCTE 규격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을 이용하여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는 DVI 제어부를 포함하여 호스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VI 제어부는 SCTE 규격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 내 DVI Status Report 신택스에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을 추가하여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을 확장하며, 상기 'for' 루프의 반복 횟수는 호스트에 연결이 존재하는 DVI 링크 수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은,
(a) 상기 POD 모듈로부터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진단 요청이 전송되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별로 상기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해당 DVI 링크 상태 정보에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은,
(a) 상기 POD 모듈로부터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Diagnostic ID를 포함한 진단 요청(Diagnostic_req APDU)이 전송되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connection_status 필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수를 표시하는 connection_count 필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을 상기 connection_count 필드 값만큼 반복하여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connection_type 필드를 상기 'for' 루프에 새로이 정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connection_no 필드를 상기 'for' 루프에 새로이 정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DVI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는,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connection_status 필드; 호스트에 연결이 존재하는 DVI 링크의 수를 표시하는 connection_count 필드; 그리고 상기 connection_count 필드 값만큼 반복하여 호스트에 연결이 존재하는 모든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for' 루프에는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connection_type 필드;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표시하는 connection_no 필드; 해당 DVI 링크 상에서의 HDCP 인에이블 여부를 표시하는 host_HDCP_status 필드; 해당 DVI 링크 상에서의 주변 기기의 HDCP 상태를 표시하는 device_HDCP_status 필드; 그리고 해당 DVI 링크 상에서의 비디오 포맷 정보를 표시하는 video_format 필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Generic Diagnostic Protocol에서 POD 모듈이 호스트로 진단 요청(Diagnostic_req APDU)을 하고, 호스트는 진단 결과(Diagnostic_cnf APDU)를 POD 모듈로 전송하는 원리를 보이고 있다.
즉 상기 POD 모듈은 진단 명령을 받으면 호스트로 진단 요청(Diagnostic_req APDU)을 하는데, 상기 진단 명령은 케이블 방송국에서 POD 모듈로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POD 모듈에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POD 모듈에서 진단 요청이 없더라도 호스트에서 주기적으로 시스템 상태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POD 모듈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리모콘이나 메뉴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진단 명령 항목이 있다면 사용자가 직접 리모콘이나 메뉴 화면을 통해 진단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직접 진단 명령을 선택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사용자는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케이블 방송국에 문의를 할 것이고, 그러면 케이블 방송국에서는 진단 명령을 해당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POD 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POD 모듈로부터 진단 요청(Diagnostic_req APDU)을 받은 호스트는 Diagnostic ID에 해당하는 진단 항목들의 상태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다시 POD 모 듈로 report한다(Diagnostic_cnf APDU).
상기 POD 모듈은 상기 호스트에서 전송된 진단 결과(Diagnostic_cnf APDU)를 케이블 방송국으로 전송하거나 호스트의 OSD Diagnostic application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케이블 방송국과 케이블 방송 수신기간의 양방향 전송이 가능하다면 상기 진단 결과는 OOB를 통해 케이블 방송국으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진단 결과는 케이블 방송국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OSD Diagnostic application을 통해 TV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만일 케이블 방송 수신기가 단방향이라면 상기 진단 결과는 OSD Diagnostic application을 통해 TV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내용을 케이블 방송국에게 알려주면, 케이블 방송국에서는 진단 결과에 따른 동작(예를 들면, 유무선이나 직접 방문을 통한 애프터 서비스)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POD 모듈로부터 전송된 진단 요청(Diagnostic_req APDU)에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Diagnostic ID(즉, 0x8)가 포함된 경우, 호스트에 DVI 링크로 연결된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POD 모듈로 전송할 수 있도록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을 확장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Generic Diagnostic Protocol에서 DVI 상태를 POD 모듈로 report하는 DVI Status Report Syntax를 확장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확장된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의 DVI Status Report Syntax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탤릭체 굵은 글씨 부분이 종래와 달라지는 것이다. 즉 connection_count 필드와 connection_no 필드, 그리고 connection_type 필드가 새로이 정의되고, 'for' 루프(loop)로 된 반복문이 추가되었다.
상기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은 다수의 주변 기기들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이들의 상태 정보를 모두 케이블 카드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for' 루프의 반복 횟수는 호스트에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들의 수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된 도 2와 같이 호스트에 DVI 링크로 2개의 주변 기기가 연결된 경우나, 도 3과 같이 호스트에 DVI 링크로 하나의 주변 기기가 연결되고, 상기 주변 기기에 다시 DVI 링크로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가 연결될 때 상기 'for' 루프는 2번 반복된다. 즉 상기 'for' 루프가 한번 수행될 때마다 하나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가 POD 모듈로 전송되며,'for' 루프가 두 번 반복되면 복수개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가 POD 모듈로 전송된다.
상기 connection_count 필드는 8비트를 할당하였으며, 호스트에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할 때 그 수를 나타내도록 정의한다(Indicates the number of the DVI link). 상기된 도 2나 도 3의 경우 상기 connection_count 필드 값은 2가 된다.
상기 connection_no 필드는 8비트를 할당하였으며, 상기 'for' 루프로 된 반복문 내에 위치한다. 상기 connection_no 필드는 'for' 루프에서 현재 전송되는 DVI 링크 상태 정보의 인덱스를 표시하도록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호 스트에 2개의 DVI 입력 단자가 구성되어 있고, 2개의 DVI 입력 단자에 각각 주변 기기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현재 전송되는 DVI 링크 상태 정보가 제 1 DVI 입력 단자의 상태 정보인지, 제 2 DVI 입력 단자의 상태 정보인지를 표시한다.
상기 connection_type 필드는 2비트를 할당하였으며, 상기 connection_no 필드와 마찬가지로 상기 'for' 루프로 된 반복문 내에 위치한다.
상기 connection_type 필드는 상기 'for' 루프에서 각 DVI 링크마다 해당 주변 기기와 연결된 호스트의 DVI 단자가 DVI 입력 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DVI 입/출력 단자인지를 나타내도록 정의한다(Indicates connection type).
다음은 상기 connection_type 필드 값에 정의되는 연결 타입 예를 보인 것으로서, 002이면 DVI 입력 단자(input connect only), 012이면 DVI 출력 단자(output connect only), 102이면 DVI 입/출력 단자(input/output connect)를 나타내며, 112는 미사용 상태(reserved)로 남겨둔다.
상기된 도 1을 예로 들 경우, 상기 connection_type 필드 값은 002이 된다. 즉 호스트에 DVI 입력 단자가 구성되고, 상기 DVI 입력 단자에 주변 기기가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DVI 단자에 할당되는 값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이는 규격 설계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for' 루프 내의 다른 필드들은 상기된 도 4의 DVI status Report 신택스의 필드들과 중복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된 도 7을 정리해보면, 호스트는 DVI 링크 상태를 확인한 후 POD 모듈에게 report할 DVI Status Report 신택스를 생성한다. 먼저, connection_status 필드 값에 DVI 링크가 존재하는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connection_status 필드 값이 0이 아니면 즉, 적어도 하나 이상 DVI 링크가 존재하면 connection_count 필드에 연결이 존재하는 DVI 링크 수를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connection_count 필드에 표시된 DVI 링크 수만큼 'for' 루프가 반복 수행된다. 상기 'for' 루프가 한번 수행될 때 하나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가 생성된다. 즉 해당 DVI 링크에 대한 connection_no 필드, connection_type 필드, host_HDCP_status 필드, device_HDCP_status 필드, 및 비디오 포맷 정보가 생성된다. 상기 비디오 포맷 정보에는 horizontal_lines, vertical_lines, scan_rate, aspect_ratio, prog_inter_type 정보가 포함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VI 제어부를 포함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크게 호스트(100)와, 상기 호스트(100)의 슬롯에 장.탈착 가능한 POD 모듈(200)로 구성된다. 상기 호스트(100)는 케이블 방송만 전용으로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 방송과 지상파 방송 또는 위성 방송까지도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케이블 방송과 지상파 방송을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 디지털 TV의 예를 보이고 있다.
또한 증권 정보나 날씨와 같은 데이터 방송 전송 방식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특히 오픈 케이블 내 상향 서비스를 위한 방식으로 OOB(Out Of Band) 방식과 DSG(DOCSIS Settop Gateway)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데이터 방송은 시청자가 TV를 보는 순간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볼 수도 있고, 방송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OOB 방식은 미국에서 보편화된 방식이고, DSG 방식은 우리 나라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방식이며, 우리 나라에서는 어떤 방식을 규격으로 채택할지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즉 전용 OOB 방식, OOB, DSG 혼합 방식, 전용 DSG 방식등이 논의되고 있다.
상기 OOB 방식은 케이블 방송국(헤드엔드)과 셋톱 박스내의 인터섹 장비간의 전송 규격을 규정한 기준이다. DSG(DOCSIS Settop Gateway)는 케이블 방송국의 케이블 모뎀 제어 시스템과 셋톱 박스내의 DOCSIS 기반 케이블 모뎀간의 전송 방식을 말한다. 상기 DOCSIS는 미국 케이블 방송 표준 인증 기관인 케이블랩스가 채택한 디지털 케이블 TV 규격으로서, 케이블 모뎀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규격이다.
도 8에서는 상기 방식들 중 OOB, DSG 혼합 방식을 적용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뿐이며, OOB 전용 또는 DSG 전용 케이블 방송 수신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의 호스트(100)에서 제1 튜너(101)는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지상파 A/V(Audio/Video) 방송이나 케이블을 통해 인-밴드(In-band)로 전송되는 케이블 A/V 방송 중 특정 채널 주파수만을 튜닝하여 제1 복조부(102)로 출력한다.
이때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은 전송 방식이 다르므로 제1 복조부(102)에서의 복조 방식도 다르다. 즉 지상파 A/V 방송은 VSB(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되고, 케이블 A/V 방송은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된다. 그러므로 제1 튜너(101)에서 튜닝된 채널 주파수가 지상파 방송이면 제1 복조부(102)에서 VSB 방식으로 복조되고, 케이블 방송이면 QAM 방식으로 복조된다.
또한 상기 제1 복조부(102)에서 복조된 신호가 지상파 방송이면 복조된 신호는 역다중화부(103)로 출력되고, 케이블 방송이면 슬롯에 장착된 POD 모듈(200)을 통해 역다중화부(103)로 출력된다. 상기 POD 모듈(200)은 고부가가치의 방송 콘텐츠에 대한 복사 방지 및 제한적인 접근을 위하여,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 CA) 시스템을 포함하며, 케이블 카드라고도 한다.
즉 상기 POD 모듈(200)은 케이블 A/V 방송에 스크램블이 걸려있다면 디스크램블하여 역다중화부(103)로 출력한다. 만일 POD 모듈(200)이 슬롯에 삽입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1 복조부(102)에서 복조된 케이블 A/V 방송은 바로 역다중화부(103)로 출력된다. 이 경우 스크램블된 케이블 A/V 방송은 디스크램블을 하지 못하므로 정상적으로 시청하지 못한다.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다중화되어 전송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디코더(104)로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104)는 각각 비디오 디코딩 알고리즘과 오디오 디코딩 알고리즘을 통해 압축된 A/V 신호를 원래 신호로 복원한 후 디스플레이를 위해 출력한다.
한편 제2 튜너(105)는 DSG 방식으로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방송 중 특정 채널 주파수를 튜닝하여 제2 복조부(106)로 출력한다. 상기 제2 복조부(106)는 DSG 방식의 데이터 방송을 복조한 후 CPU(110)로 출력한다.
또한 제3 튜너(107)는 케이블을 통해 OOB로 전송되는 데이터 방송 중 특정 채널 주파수를 튜닝하여 제3 복조부(111)로 출력한다. 상기 제3 복조부(111)는 OOB 방식의 데이터 방송을 QPSK 복조한 후 POD 모듈(200)로 출력한다. 즉 상기 OOB의 경우 QPSK 전송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도 QPSK 방식으로 복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방송국과 케이블 방송 수신기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경우,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케이블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정보들(예를 들면, 유료 프로그램 신청, 호스트의 Diagnostic 정보 등)은 OOB나 DSG 방식으로 전송된다. 이를 위해 스위칭부(108)가 구비된다. 즉 OOB 방식이라면 사용자 정보나 시스템 Diagnostic 정보가 POD 모듈(200)과 스위칭부(108)를 통해 변조부(109)로 출력되고, 변조부(109)에서 QPSK 변조된 후 케이블을 통해 케이블 방송국으로 전송된다. 또한 DSG 방식이라면 CPU(110)와 스위칭부(108)를 통해 변조부(109)로 출력되고, 변조부(109)에서 QAM-16 변조된 후 케이블을 통해 케이블 방송국으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CPU(110)는 POD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Diagnostic_reg APDU를 파싱하여(단계 901), Diagnostic ID 중 0x08이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902). 만일 0x08이 있으면 DVI 제어부(120)를 통해 DVI 상태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POD 모듈(200)로 전송한다.
즉 상기 DVI 제어부(120)는 먼저, 호스트에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있는지와 그 수를 확인하여 connection_status 필드 값과 connection_count 필드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connection_status 필드 값이 0인지를 판별한다(단계 903). 만일 connection_status 필드 값이 0이면 호스트에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하나도 없음을 나타내므로 단계 907로 진행하여 DVI 상태 정보가 없음을 표시한 Diagnostic_cnf APDU을 POD 모듈(200)로 전송한다.
상기 단계 903에서 connection_status 필드 값이 0이 아니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기기가 호스트에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이므로 단계 904로 진행하여 변수 i를 0으로 초기화하고 상기 i값이 connection_count 필드 값보다 작은지를 판별한다(단계 905). 상기 변수 i는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 상태 정보를 모두 POD 모듈(200)로 전송하기 위해 connection_count 필드 값과 비교하는 값으로, 'for' 반복문이 수행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단계 905에서 i값이 connection_count 필드 값보다 작다고 판별되면 아직 POD 모듈(200)로 전송하지 않은 DVI 링크 상태 정보가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이때는 단계 906으로 진행하여 해당 DVI 링크의 connection_no 필드, connection_type 필드, host_HDCP_status 필드, device_HDCP_status 필드, 및 비디오 포맷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포맷 정보에는 horizontal_lines, vertical_lines, scan_rate, aspect_ratio, prog_inter_type 정보가 포함된다. 즉 상기 단계 904 내지 단계 906이 도 8의 'for' 루프로 된 반복문에 해당된다.
상기된 도 2를 예로 들고, 이때 호스트의 제 1 DVI 입력 단자의 상태 정보를 먼저 생성하고, 제 2 DVI 입력 단자의 상태 정보를 나중에 생성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connection_count 필드 값은 2로 설정되고, 단계 904에 의해 i값은 0이므로 단계 905에서 i값이 connection_count 필드 값보다 작다고 판별된다. 그러면 단계 906에서는 제 1 DVI 입력 단자에 대한 connection_no 필드, connection_type 필드, host_HDCP_status 필드, device_HDCP_status 필드, 및 비디오 포맷 정보를 생성하고 i값을 1 증가시킨 후 단계 905로 진행한다.
이때 i값은 1이 되므로 상기 단계 905에서 i값은 connection_count 필드 값보다 작다고 판별된다. 따라서 단계 906으로 진행하여 제 2 DVI 입력 단자에 대한 connection_no 필드, connection_type 필드, host_HDCP_status 필드, device_HDCP_status 필드, 및 비디오 포맷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i값을 1 증가시킨 후 다시 단계 905로 진행한다. 이때 i값은 2가 되므로 상기 단계 905에서 i값은 connection_count 필드 값보다 작지 않다고 판별되고, 단계 907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907에서는 'for' 루프가 수행될 때마다 생성된 호스트의 모든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Diagnostic_cnf APDU에 담아 POD 모듈(200)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DVI 상태 정보 생성 및 전송 과정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미들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CPU(110) 내에 DVI 제어부(120)가 포함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블 방송을 지원하는 모든 텔레비전 및 셋톱박스에 적 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SCTE 28 규격을 채택한 모든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그리고 데이터 구조에 의하면, POD 모듈로부터 호스트에게 DVI 상태를 진단하여 보내라는 요청을 하였을 때, 다수의 주변 기기들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모든 DVI 링크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여 DVI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POD 모듈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주변 기기들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에도 하나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만을 전송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SCTE 28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Generic Diagnostic Protocol 내 Diagnostic Status Report 신택스를 확장하여 호스트와 연결이 존재하는 모든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POD 모듈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확장이 용이하면서 기존 SCTE 28 규격을 채택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DVI 링크마다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DVI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DVI 단자가 존재하는 호스트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슬롯을 통해 호스트에 장.탈착이 가능한 POD 모듈을 포함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POD 모듈로부터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진단 요청이 전송되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는 DVI 제어부를 포함하여 호스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VI 제어부는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별로 상기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VI 제어부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해당 DVI 링크 상태 정보에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VI 제어부는
    SCTE 규격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을 확장하여,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VI 제어부는
    SCTE 규격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 내 DVI Status Report 신택스에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을 추가하며, 상기 'for' 루프의 반복 횟수는 호스트에 연결이 존재하는 DVI 링크 수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or' 루프에는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connection_type 필드가 새로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or' 루프에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connection_no 필드가 새로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 송 수신기.
  8. 적어도 하나 이상의 DVI 단자가 존재하는 호스트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슬롯을 통해 호스트에 장.탈착이 가능한 POD 모듈을 포함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POD 모듈로부터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진단 요청이 전송되면 확장된 SCTE 규격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을 이용하여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는 DVI 제어부를 포함하여 호스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VI 제어부는
    SCTE 규격의 Generic Diagnostic protocol 내 DVI Status Report 신택스에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을 추가하여 Generic Diagnostic protocol을 확장하며, 상기 'for' 루프의 반복 횟수는 호스트에 연결이 존재하는 DVI 링크 수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VI 제어부는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connection_type 필드를 상기 'for' 루프에 새로이 정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VI 제어부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connection_no 필드를 상기 'for' 루프에 새로이 정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
  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DVI 단자가 존재하는 호스트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슬롯을 통해 호스트에 장.탈착이 가능한 POD 모듈을 포함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POD 모듈로부터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진단 요청이 전송되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c) 상기 (b) 단계에서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모두 생성하여 상기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별로 상기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해당 DVI 링크 상태 정보에 더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15. 적어도 하나 이상의 DVI 단자가 존재하는 호스트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슬롯을 통해 호스트에 장.탈착이 가능한 POD 모듈을 포함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의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POD 모듈로부터 DVI 상태를 진단하라는 Diagnostic ID를 포함한 진단 요청(Diagnostic_req APDU)이 전송되면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connection_status 필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수를 표시하는 connection_count 필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호스트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주변 기기들이 DVI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각 DVI 링크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을 상기 connection_count 필드 값만큼 반복하여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c) 단계에서 생성된 복수개 이상의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POD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connection_type 필드를 상기 'for' 루프에 새로이 정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 connection_no 필드를 상기 'for' 루프에 새로이 정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I 상태 정보 전송 방법.
  18. 적어도 하나 이상의 DVI 단자가 존재하는 호스트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슬롯을 통해 호스트에 장.탈착이 가능한 POD 모듈을 포함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DVI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에 있어서,
    호스트와 DVI 링크로 연결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connection_status 필드;
    호스트에 연결이 존재하는 DVI 링크의 수를 표시하는 connection_count 필드;
    상기 connection_count 필드 값만큼 반복하여 호스트에 연결이 존재하는 모든 DVI 링크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for' 루프로 된 반복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for' 루프는
    호스트에 구성된 해당 DVI 단자가 DVI 입력단자인지, DVI 출력 단자인지 아니면 DVI 입/출력 단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connection_type 필드;
    각 DVI 링크의 구분을 위해 해당 DVI 링크의 고유 번호를 표시하는 connection_no 필드;
    해당 DVI 링크 상에서의 HDCP 인에이블 여부를 표시하는 host_HDCP_status 필드;
    해당 DVI 링크 상에서의 주변 기기의 HDCP 상태를 표시하는 device_HDCP_status 필드; 그리고
    해당 DVI 링크 상에서의 비디오 포맷 정보를 표시하는 video_format 필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I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KR1020040060360A 2004-07-30 2004-07-30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상태 정보 처리 방법 KR101049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60A KR101049129B1 (ko) 2004-07-30 2004-07-30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상태 정보 처리 방법
EP05014649A EP1624670B1 (en) 2004-07-30 2005-07-06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same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AT05014649T ATE461587T1 (de) 2004-07-30 2005-07-06 Digitaler kabelfernsehempfänger, diagnosemethode dafür und datenstruktur eines dvi-statusberichtes
DE602005019953T DE602005019953D1 (de) 2004-07-30 2005-07-06 Digitaler Kabelfernsehempfänger, Diagnosemethode dafür und Datenstruktur eines DVI-Statusberichtes
US11/178,314 US7667775B2 (en) 2004-07-30 2005-07-12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digital cable TV receiver,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CNB2005100879819A CN100463512C (zh) 2004-07-30 2005-07-28 数字有线电视接收机及其诊断方法
US11/589,909 US9232270B2 (en) 2004-07-30 2006-10-31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digital cable TV receiver,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US11/589,856 US8869225B2 (en) 2004-07-30 2006-10-31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digital cable TV receiver,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US11/589,858 US9137572B2 (en) 2004-07-30 2006-10-31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digital cable TV receiver,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360A KR101049129B1 (ko) 2004-07-30 2004-07-30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상태 정보 처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417A Division KR101092456B1 (ko) 2009-09-22 2009-09-22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진단 방법
KR1020090089416A Division KR101092455B1 (ko) 2009-09-22 2009-09-22 케이블 카드 및 호스트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491A true KR20060011491A (ko) 2006-02-03
KR101049129B1 KR101049129B1 (ko) 2011-07-15

Family

ID=3521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360A KR101049129B1 (ko) 2004-07-30 2004-07-30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상태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7667775B2 (ko)
EP (1) EP1624670B1 (ko)
KR (1) KR101049129B1 (ko)
CN (1) CN100463512C (ko)
AT (1) ATE461587T1 (ko)
DE (1) DE60200501995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29B1 (ko) * 2004-07-30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상태 정보 처리 방법
KR100719021B1 (ko) * 2005-09-05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방송 수신장치 및 그 채널 맵 구성방법
US8750785B2 (en) * 2005-12-28 2014-06-10 The Directv Group, Inc. Modular receiving unit
KR20070094320A (ko) 2006-03-17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어플리케이션 송수신 방법, 수신 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수신 상태 정보의 데이터 구조
KR20070115327A (ko) 2006-06-01 200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진단 정보 데이터 구조 및 진단 정보 표출방법
KR100917889B1 (ko) * 2006-11-01 2009-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8363110B2 (en) * 2007-01-30 2013-01-29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ddressing audiovisual equipment issues
US8773527B2 (en) * 2007-08-27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debug information using a peripheral device
US9030976B2 (en) 2008-03-27 2015-05-12 Silicon Image, Inc. Bi-directional digital interface for video and audio (DIVA)
US20090313404A1 (en) * 2008-06-16 2009-12-17 Meng-Nan Tsou Apparatus for accessing conditional access device by utilizing specific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KR101650793B1 (ko) 2008-12-11 2016-08-24 래티스세미컨덕터코퍼레이션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전력 공급 회로
JP4538075B1 (ja) * 2009-02-27 2010-09-08 株式会社東芝 クロスカラードット妨害低減回路、クロスカラードット妨害低減機能を持つ映像装置、およびクロスカラードット妨害低減方法
KR101884255B1 (ko) * 2010-01-12 2018-08-01 래티스세미컨덕터코퍼레이션 홈 멀티미디어 네트워크에서의 비디오 관리 및 제어
SG2013083977A (en) * 2013-11-12 2015-06-29 Rockwell Automation Asia Pacific Business Ctr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an input-driven, switching-enabled, display device for an automation controller
US9724787B2 (en) * 2014-08-07 2017-08-0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 welding environment
WO2018071031A1 (en) * 2016-10-13 2018-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nitor usag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5416A (en) 1994-09-30 1998-02-03 Baker; Michelle User definable pictorial interface for a access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file system
US5448987A (en) * 1994-10-24 1995-09-12 Jang; Sun-Sing Kitchen smoke exhauster
US5883621A (en)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US6448987B1 (en) 1998-04-03 2002-09-10 Intertainer, Inc. Graphic user interface for a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using circular menus
JP4049285B2 (ja) 1998-11-02 2008-02-20 富士通株式会社 画面表示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画面表示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457857B1 (en) 1999-05-26 2008-11-2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twork hub to diagnose network operation and broadcast information to a remote host or monitoring device
US6839055B1 (en) 2000-01-25 2005-01-04 Dell Products L.P. Video data error detection
US7023858B2 (en) 2000-04-14 2006-04-04 Sony Corporation Data delivery in set-top box
US6559872B1 (en) 2000-05-08 2003-05-06 Nokia Corporation 1D selection of 2D objects in head-worn displays
KR100349205B1 (ko) * 2000-11-17 2002-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탈 영상표시기기의 디브이아이 커넥터 검출 장치 및방법
US6717600B2 (en) 2000-12-15 2004-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ximity selection of selectable item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20157115A1 (en) * 2001-04-24 2002-10-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ireless communication point of deployment module for use in digital cable compliant devices
US7248597B2 (en) 2001-05-02 2007-07-24 Nvidia Corporation General purpose input/output controller
US20030009542A1 (en) * 2001-06-14 2003-01-09 Kasal Alpay O. Digital entertainment solution
US6690395B2 (en) 2001-06-25 2004-02-10 Dbtel Incorporated Progressively rolling animation display method on cellular phones
GB2415314B (en) 2001-08-08 2006-05-03 Adder Tech Ltd Video switch
CA2369201A1 (en) 2002-01-24 2003-07-24 Alcatel Canad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intenance of fabric links for a network element
GB0208317D0 (en) * 2002-04-11 2002-05-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ling a home electronics system
US7987491B2 (en) * 2002-05-10 2011-07-26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alternative linkbases
JP4369214B2 (ja) * 2002-12-11 2009-1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Avシステム
US7486337B2 (en) * 2003-12-22 2009-02-03 Intel Corporation Controlling the overlay of multiple video signals
US7703141B2 (en) * 2004-03-11 2010-04-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otecting media content
KR101049129B1 (ko) * 2004-07-30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상태 정보 처리 방법
KR101092438B1 (ko) * 2004-08-05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67775B2 (en) 2010-02-23
EP1624670A2 (en) 2006-02-08
US20060026651A1 (en) 2006-02-02
US20070044135A1 (en) 2007-02-22
KR101049129B1 (ko) 2011-07-15
US20070044129A1 (en) 2007-02-22
EP1624670A3 (en) 2007-01-10
CN1728798A (zh) 2006-02-01
CN100463512C (zh) 2009-02-18
US8869225B2 (en) 2014-10-21
DE602005019953D1 (de) 2010-04-29
US9232270B2 (en) 2016-01-05
EP1624670B1 (en) 2010-03-17
US9137572B2 (en) 2015-09-15
ATE461587T1 (de) 2010-04-15
US20070067809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438B1 (ko)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진단 방법
EP1624670B1 (en)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same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US20090133056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KR101092455B1 (ko) 케이블 카드 및 호스트 진단 방법
KR101092456B1 (ko)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진단 방법
KR101092458B1 (ko) 케이블 카드 및 호스트 진단 방법
KR101092457B1 (ko) 호스트 및 그의 진단 방법
US20030002598A1 (en)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KR20080049947A (ko) 방송 시스템, 인터페이스 방법, 및 데이터 구조
US20070300276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channel information in broadcas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