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555A -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 Google Patents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555A
KR20060010555A KR1020040059298A KR20040059298A KR20060010555A KR 20060010555 A KR20060010555 A KR 20060010555A KR 1020040059298 A KR1020040059298 A KR 1020040059298A KR 20040059298 A KR20040059298 A KR 20040059298A KR 20060010555 A KR20060010555 A KR 20060010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test
term
items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한
Original Assignee
박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한 filed Critical 박종한
Priority to KR102004005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0555A/ko
Publication of KR20060010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간이기억검사는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로서, 월, 일, 요일 및 계절로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지남력 문항들, 새로운 정보를 수초 내지 1∼2분 동안 저장하는 단기 기억 문항들, 단기 기억을 견고하게 하는 장기 기억 문항들, 그리고 먼 과거에 견고해진 정보인 원격 기억 문항들로 구성된 네 개의 하위검사항목들을 포함한다.
치매, 진단, 간이기억검사, 기억장애, 선별검사

Description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MINI-MEMORY TEST FOR SCREENING FOR MEMORY IMPAIR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이기억검사의 ROC 곡선도
본 발명은 치매 진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매의 초기 증상이자 필수 증상인 기억 장애를 간편하게 선별하는 검사도구에 관한 것이다.
치매를 조기에 진단해야 할 이유는 여러 가지 있다. 첫째, 조기 진단은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대사 장애나 영양 결핍으로 인한 치매, 감염 질환으로 인한 치매는 조기에 진단하면 병전 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으나, 결정적인 시기를 놓치면 비가역성으로 넘어가 버린다. 또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질병인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의 경우에도 초기나 중기에 아세틸콜린분해효소억제제나 항산화 물질,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면 경과가 더 나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노인들에서 치매의 발병률은 높지 않지만 유병률은 매우 높다. 그리고 치매는 인지기능과 중추 실행 기능을 포함하여 고등 대뇌 기능을 심각하게 훼손하므로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치매는 개인의 질병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가족과 국가-사회의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치매의 병태 생리나 자연적인 경과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가능한 한 초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수적이다.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서는 일차 의료기관이나 지역사회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진단적 가치가 높은 검사 도구가 필요하다. 치매의 필수 증상인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를 찾아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선별 검사들이 개발되어 있다.
치매 선별 검사도구의 예로서, 간이정신상태검사와 7분선별검사를 들 수 있다. 간이정신상태검사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매 선별 검사 도구로서, 검사에 5∼10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7분선별검사는 다양한 영역의 인지기능 평가를 통한 선별검사 도구로서, 검사에 10∼13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기존의 선별 검사들은 공통적으로 몇 가지 문제점들을 지니고있다.
첫째, 간단한 검사에 인지기능의 여러 영역을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치매의 필수 증상이자 알쯔하이머병의 초기 증상인 기억 감퇴를 깊이 있게 평가할 수 없다.
둘째, 검사 성적이 학력, 성별, 연령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셋째, 감각 기관의 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에게는 검사를 제대로 시행할 수 없다. 시력이 나쁜 사람들은 시계 그리기 검사나 간이정신상태검사의 5각형 겹쳐 그 리기와 읽고 쓰기 검사를 시행할 수 없고, 청력이 저하된 사람들에게는 언어 소통이 필요한 검사를 시행할 수 없다.
넷째, 지역사회 노인들에게 음성 예측률은 우수하지만 양성 예측률이 낮다. 지역 사회 노인들에서 치매의 유병률을 10%로 가정할 때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음성 예측률은 95∼99%이었지만 양성 예측률은 15∼72%에 지나지 않았다. 국내 노인들에서 치매의 유병률을 10.8%로 가정했을 때 지역 사회 노인들에서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치매 진단 능력은 구분점 24/23에서 양성 예측률은 56.7%, 음성 예측률은 99.0%이었다. 인지기능장애 진단도구는 57/77점 이하를 치매로 규정했을 때 양성 예측률과 음성 예측률은 각각 64.2%와 99.1%이었다.
따라서 기존 검사들이 지니고 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새로운 검사 도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맹이거나 시청각 장애가 있는 노인에게도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와 채점에 특별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는 기억장애 선별 검사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인들의 기억 장애 선별 검사를 학력, 연령, 그리고 성별 영향을 받지 않고도 시행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기억 장애 선별 검사도구는, 월, 일, 요일 및 계절로 이루어진 시간 지남력 네 문항, 새로운 정보를 수초 내지 1∼2분 동안 저장하는 단기 기억 여덟 문항, 단기 기억을 견고하게 하는 장기 기억 여덟 문항, 그리고 먼 과거에 견고해진 정보가 포함된 원격 기억 네 문항들로 구성된 네 개의 하위 검사 항목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 치매의 선별 검사가 갖추어야할 요건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달라진다. 예컨대, 유병률이나 발병률 혹은 위험 요인들을 밝히는 역학적 연구라면 치료가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위음성률과 위양성률이 다소 높아도 환자 개개인에게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특정 집단내에 있을지도 모르는 환자를 일찍 찾아내어서 치료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선별 검사에서 위양성률이 다소 높아도 괜찮으나 위음성률은 매우 낮아야 한다. 즉, 진단 특이도보다 민감도가 더 중요한 것이며, 아울러 치매의 초기에, 가능한 한 전임상 단계에서 질병을 찾아 낼 수 있어야 한다.
기억력 감퇴는 모든 원인의 치매에서 필수 증상이자 공통된 증상이다. 추후에 알쯔하이머병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건망성 경도인지장애도 경도인지장애 중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는 치매의 필수 증상인 기억력 감퇴 유무와 그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검사 성적이 학력, 연령, 그리고 성별 영향을 받지 않으며 특별한 도 구나 수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시행이 간편하고, 시간이 짧게 걸리며, 채점이 쉽고, 초기 혹은 전임상 단계에서 질병을 찾아 낼 수 있는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구현한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현하는 검사도구가 만족해야 하는 조건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노인들이나 협조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 치매 환자들에게 사용하려면 검사 방법이 간단하고, 쉽고 또 짧은 시간 안에 끝낼 수 있어야 한다.
2. 검사가 널리 사용되려면 검사자가 간단한 훈련이나 교육만으로도 검사를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
3. 검사에 특별한 도구나 수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4. 검사에 걸리는 시간이 짧고 채점도 쉽고, 점수의 해석이 간단해야 한다.
5. 노인들에서는 시력과 청력이 저하된 사람들, 문맹인, 사지 쇄약이 빈번한데, 이들에게도 검사가 시행될 수 있어야 한다.
6. 기억력을 집중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7. 검사 성적이 학력, 성별, 연령 등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야 한다.
8. 진단 능력이 우수해야 한다.
9. 외국과 저작권 분쟁의 소지가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존의 검사들이 지닌 문제점들을 해소함과 아울러 상기한 검사 조건들을 비교적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의 검사법을 구현한다.
본원 발명자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검사법에 포함된 문항들을 1997년 본원 출원 발명자 박종한 등에 의해서 개발되고 치매 진단에 유용성이 입증된 "인지기능 장애 진단도구"(박종한, 김희철, 이양현, 이종훈: 개정판 인지기능 장애 진단 도구: 반구조화 인지기능 평가 도구. 신경정신의학 2000; 39: 589-597)의 85개 문항들에서 본 발명의 간이기억검사의 목적에 맞게 일부를 선택적으로 발췌하고 신뢰도 및 진단 타당도 등의 테스트 및 검증을 통한 개량으로 완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간이기억검사(Mini-Memory Test: MiMeT)"라 명명한다.
본 발명의 간이기억검사는 네 개의 하위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시간 지남력이 4문항, 단기 기억이 8문항, 장기 기억이 8문항, 그리고 원격 기억이 4문항으로 구성되어, 총 24문항이 된다. 1문항 당 1점이고, 한 개 문항에 1점씩 배당되므로 총점은 24점이다. 간이기억검사 평가에서는 점수가 높을수록 기억이 양호함을 의미한다.
하위 검사 구성에서, 시간 지남력은 월, 일, 요일 그리고 계절로 이루어져 있고, 4점이다. 단기 기억은 새로운 정보를 수초 내지 기껏해야 12분 동안 저장하는 것을 말하며, 물건 이름 세 개를 등록하는 것과 네 개의 명사와 한 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짧은 이야기를 금방 회상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는 8점이다. 장기 기억은 단기 기억을 견고하게 하는 것으로서 단기 기억과 마찬가지로 등록시킨 물건 이름 세 개와 암기시켜 둔 짧은 이야기를 수분 후에 재생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는 8점이다. 원격 기억은 먼 과거에 견고해진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하기 검사 도구 테이블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현직 대통령의 이름과 추석의 음력 월·일로서 4점이다.
<<간이기억검사 테이블>>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1
상기한 검사도구 테이블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이기억검사의 구체적인 검사문항, 검사 방법, 그리고 채점 방법을 알 수 있다.
노인들의 기억 장애 검사도구가 갖추어야할 조건은 신뢰도와 진단 타당도이다. 신뢰도라 함은 검사도구가 어떤 요인들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아야 함을 의미하고, 진단 타당도라 함은 목적하는 바를 잘 진단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이기억검사에 대해서는 신뢰도와 진단 타당도가 있는지를 평가 및 검증하였다.
간이기억검사의 신뢰도(reliability)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검사자간 신뢰도, 검사-재검사간 신뢰도, 내적 일치도로 구분하는 것이 보통이다. 검사자간 신뢰도란 동일한 대상에게 동시에 여러 사람의 검사자가 검사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 정도를 말한다. 검사-재검사간 신뢰도는 어떤 피검사자의 상태가 동일할 때 현재의 검사 결과와 나중의 검사 결과가 동일한 정도를 말한다. 어떤 검사 도구가 동일한 특성을 측정한다면 검사 도구에 포함된 각각의 문항도 비슷한 특성을 평가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런 가정이 성립할 때 그 검사 도구는 내적 일치도가 있다고 한다.
간이기억검사의 검사자간 신뢰도와 검사-재검사간 신뢰도는 본원 발명자 등이 포함된 상기한 연구 문헌 "인지기능 장애 진단도구"(박종한, 김희철, 이양현, 이종훈: 개정판 인지기능 장애 진단 도구: 반구조화 인지기능 평가 도구. 신경정신의학 2000; 39: 589-597)에서 이미 입증되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내적 일치도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간이기억검사"가 내적 일치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각 하위 검사, 즉 시간 지남력, 단기 기억, 장기 기억, 원격 기억 각각을 하나의 문항으로 간주해서 각 하위 검사들의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값을 이용하고, 또 진단 타당성을 확인하게 위해서 간이기억검사 각 하위 검사 성적들간의 피어슨 상관계수 등을 이용하였다.
대구가톨릭대학병원 정신과에서 진료 받은 노인 환자들 686명(기억장애 환자, 332명, 기억장애가 없는 환자 354명)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문항들의 내적 일치도를 평가하는 신뢰도계수인 크론바하 알파계수는 0.790이었다.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2
참고로,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반분법, 재검사법, 복수양식법, 내적 일치도 분석법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내적일치도 분석법이 통계 패키지에서 가장 널리 제공되고 있으며 그것이 바로 크론바하 알파계수이다.
크론바하 알파계수는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이용할 경우에, 해당 문항에 대하여 가능한 모든 반분신뢰도를 구하고 이들의 평균을 산출한 것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항목들의 신뢰성까지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항 전체에서는 크론바하 알파 계수가 0.5 이상, 개별 문항 수준에서는 0.9 이상이면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크론바하의 알파계수 α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3
여기서, N= 문항수,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4
= 총분산,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5
= 각 문항의 분산
본 발명에 따른 간이기억검사의 신뢰도 즉, 크론바흐의 알파계수 α= 0.790이 인데, 표준 알파계수인 0.845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내적 일치도의 신뢰성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에서, 각각의 하위검사 성적과 그것을 제외한 총점과의 상관계수(corrected subtest-total correlation)는 0.555∼0.748이었다. 그리고 어느 하위검사를 제외한 크론바하 알파계수는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0.689∼0.800이었다.
상기와 같이 어느 하위검사를 제외하면 크론바하 알파계수 0.689∼0.800은 전체 검사의 크론바하 알파계수 0.790과 거의 같거나 약간 감소한 것으로, 즉 증가 하지 않은 것으로 각각의 하위검사(시간 지남력, 단기기억, 장기기억, 원격기억)가 기억력 검사로서 매우 중요함을 증명해주고 있다. 동시에 각 하위 검사 성적간의 상관계수가 0.444∼0.673으로서 매우 높지 않다는 것은 네 개의 하위 검사가 기억력에서 어느 정도 독립적인 영역을 이루고 있음을 암시해준다.
간이기억검사의 진단 타당도
1. 기억 장애 유무에 따른 간이기억검사 성적의 차이
하기 [표 2]에서 보듯이 기억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간이기억검사의 모든 하위 검사 성적과 총점이 기억 장애가 없는 환자들보다 훨씬 더 낮았고, 통계적으로도 모두 매우 유의한 수준이었다.
즉 피어슨 상관관계는 P값이 0.05미만일 때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는데, [표 2]에서 보듯이 각 하위 검사(시간 지남력, 단기 기억, 장기 기억, 원격 기억)의 P가 모두 0.000인 것으로 볼 때, 모두가 매우 유의한 수준임을 이해할 수 있다.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6
2. 민감도와 특이도 및 AUC(Area Under Curve)
어떤 검사도구의 '민감도'라 함은 그 도구가 해당 질병을 가진 환자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특이도'라 함은 해당 질병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을 정확하게 찾아 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하기 표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간이기억검사를 통한 진단 타당도를 분석한 도표이다.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7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간이기억검사 성적이 구분점 16/17에서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0.855와 0.935이었다. 완벽한 진단 검사라면 민감도와 특이도가 다 같이 '1'이다.
이것을 풀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구분점 16/17은 간이기억검사 성적이 16점 이하이면 기억 장애가 있다고 판단하고, 17점 이상이면 기억 장애가 없다고 판단한다고 가정한 것이다. 기억 장애가 있는 환자 1,000명에게 간이기억장애 검사를 시행하면 855명은 16점 이하로, 145명은 17점 이상으로 나왔다. 또 기억 장애가 없는 노인들 1,000명에게 시행하면 935명은 17점 이상으로, 65명은 16점 이하로 나왔다. 즉, 기억 장애가 있는 노인 14.5%와 기억 장애가 없는 노인 6.5%가 틀린 진단을 받았다.
구분점 17/18에서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0.916과 0.887이었고, 구분점 18/19에서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0.952와 0.805이었다.
AUC는 각각의 구분점에서 얻어지는 민감도와 특이도를 이용하여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곡선을 그린 다음에 그 곡선 밑의 면적을 계산한 것으로서, 0.5는 진단에 대해서 아무런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값이며, 완벽한 진단도구라면 1.0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이기억검사의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곡선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곡선은 진단도구의 효율성을 간결하고도 쉽게 제시해준다. 곡선하면적(Area Under Curve: AUC)이 클수록, 그리고 대각선(random ROC curve)에서 멀수록 민감도가 높은 것임을 나타낸다. 대각선 밑의 면적은 0.5인데, 표적자극과 비표적 자극을 변별할 능력이 없어 우연히 구별하는 수준일 경우 얻어지는 반응 곡선이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이기억검사의 AUC(±표준오차)는 0.964(± 0.006)이고, 95% 신뢰 구간은 0.952∼0.976이었다.
상기한 [표 3]의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곡선, 특정 구분점에서의 진단 민감도와 특이도, 기억 장애군과 비기억 장애군간의 간이기억검사 성적의 평균 비교 등으로 미루어 보건대, 기억력 감퇴를 찾아내는 본 발명의 검사 도구(간이기억검사)의 진단적 가치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총점을 이용한 세 개의 구분점 16/17, 17/18, 18/19 중에서 어느 것을 택할 것인가 하는 것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달라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간이기억검사 총점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AUC와 제시된 구분점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살펴보면, 장기 기억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단, 연령, 성별, 교육이 간이기억검사 성적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이기억검사의 총점을 종속 변수로, 교육 구간, 연령 구간, 성별, 그리고 진단을 독립 변수로 한 선형다중회귀 분석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나 있다. 성별은 회귀방정식에서 배제되었다.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8
모델 3의 회귀방정식은,
y = 19.050 - 8.676x1 + 0.888x2 + 0.211x3(R2 = 0.635, adjusted R2 = 0.633)이었다.
여기서,
y : 간이기억검사 총점,
x1 : 진단(기억장애=1, 비기억장애=0),
x2 : 교육구간(무학-문맹=1, 무학-국문해독=2, 초등교육=3, 중등교육=4, 고등교육=5)
x3 : 연령구간(60∼64세=1, 65∼69세=2, 70∼74세=3, 75∼79세=4, ≥80=5)
R2 : 기여율,
adjusted R2 : 자유도 조정후 기여율.
모델 1을 모델 2나 모델 3과 비교해 보면 진단 외에 교육구간이나 연령구간을 독립변수에 포함시켜보아도 독립변수들의 기여율과 자유도 조정 후 기여율은 아주 미미하게 상승할 뿐이다. 각 모델에서 변수팽창인자는 1.000 내지 1.239이었다. 변수팽창인자가 10이상이거나 0.1이하일 때는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간에 다중공선성의 존재를 의심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그 결과가 1.0을 상회하고 10미만이므로 다중 공선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학력, 연령, 그리고 성별은 본 발명의 간이기억검사의 하위 검사 성적과 총점에 별 영향을 끼치는 않는다.
성별 비교에서는 단기 기억의 차이만이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수준이었으나 역시 무시할만한 정도이었다.
아래에서는 기존 평가 도구의 일 예인 간이정신상태검사와 7분 선별검사, 그 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이기억검사에 대한 특징, 수행 성적, 장단점이 설명되어 있다.
Figure 112004033757193-PAT00009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이기억검사는 기존의 검사에 비해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간이기억검사는 노인들의 기억장애 선별 검사로서, 문맹이나 시·청각 장애가 있는 노인에게도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와 채점에 특별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 교육, 연령, 그리고 성별 차이가 이 검사의 지남력, 단기기억, 장기기억, 그리고 원격기억과 같은 하위검사 성적과 총점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거나 미미하고, 진단 즉, 기억장애 유무만으로 총점 변량의 61.2%를 설명할 수 있다. 크론바하 알파로 평가했을 때 신뢰도는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곡선을 이용한 AUC(area under curve), 그리고 기억 장애군과 비기억 장애군의 간이기억검사 성적 비교를 근거로 한 기준 타당도는 매우 높았다. 그리고 비기억 장애군에서 각 하위검사들간의 상관 관계와 다른 치매평가 척도들의 성적과의 비교에서 구성 타당도도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기억 장애를 진단하는 총점의 구분점은 16/17, 17/18, 18/19중에서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며, 장기기억의 진단능력도 주목할만 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맹이거나 시청각 장애가 있는 노인에게도 시행할 수 있으며, 검사와 채점에 특별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는 기억장애 선별검사를 할 수 있으며, 노인들의 기억장애 선별 검사를 학력, 연령, 그리고 성별 영향을 받지 않고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치매 조기진단 도구에 있어서,
    월, 일, 요일 및 계절로 이루어진 시간에 대한 지남력 문항들과, 새로운 정보를 수초 내지 1∼2분 동안 저장하는 단기기억 문항들과, 단기기억을 견고하게 하는 장기기억 문항들과, 및 먼 과거에 견고해진 정보가 포함된 원격기억 문항들로 구성된 네 개의 하위 검사 항목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기기억 문항은 물건 이름 세개를 등록하는 것과 네 개의 명사와 한 개의 숫자로 이루어진 논리적 기억을 금방 회상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기기억 문항은 등록시킨 물건 이름 세 개와 암기시켜 둔 논리적 기억을 수분 후에 재생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격기억 문항은 전·현직 대통령의 이름과 추석의 음력 월·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3. 하기 간이기억검사 테이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 구.
    Figure 112004033757193-PAT00010
KR1020040059298A 2004-07-28 2004-07-28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KR20060010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298A KR20060010555A (ko) 2004-07-28 2004-07-28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298A KR20060010555A (ko) 2004-07-28 2004-07-28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555A true KR20060010555A (ko) 2006-02-02

Family

ID=3712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298A KR20060010555A (ko) 2004-07-28 2004-07-28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05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649A (ko) * 2017-08-03 2019-0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및 예측 시스템
KR20210088181A (ko) 2020-01-06 2021-07-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수록한 기록 매체
KR102439690B1 (ko) * 2022-01-10 2022-09-02 한국과학기술원 학습한 컨텐츠의 기억 유지 기간을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649A (ko) * 2017-08-03 2019-0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치매 발병 예측 방법 및 예측 시스템
KR20210088181A (ko) 2020-01-06 2021-07-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인 기억에 기반한 기억력 및 집중력 측정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 수록한 기록 매체
KR102439690B1 (ko) * 2022-01-10 2022-09-02 한국과학기술원 학습한 컨텐츠의 기억 유지 기간을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ncekaş Gassaloğlu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urkish Version of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Heimburger et al. Implications of Gerstmann's syndrome
Haines et al. The West London Schools Study: the effects of chronic aircraft noise exposure on child health
Youn et al. Development of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Alexopoulos et al. Validation of the German revised Addenbrooke’s cognitive examination for detect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mild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 and 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Lacruz et al. Feasi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covariates of TICS‐m (telephone interview for cognitive status‐modified) in a population‐based sample: findings from the KORA‐Age study
Cunje et al. Alternate forms of logical memory and verbal fluency tasks for repeated testing in early cognitive changes
Bianchini et al.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ortland Digit Recognition Test in traumatic brain injury
Salmon et al.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Chinese elderly in the Shanghai Dementia Survey
Maviş et al. Test your memory-Turkish version (TYM-TR):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a cognitive screening test
Collins et al.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depression in the able elderly
Hourihan Earl Washington's confession: Mental retardation and the law of confessions
Zarina et al. Validation of Malay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Tanaka et al.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test for severe dementia
Farkas et al. Do tests of malingering concur? Concordance among malingering measures
Loring et al. The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cross-validation of mayo normative studies (MNS) demographically corrected norms with confidence interval estimates
Mahoney et al. The TE4D‐Cog: a new test for detecting early dementia in English‐speaking populations
Ryu et a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DST II and Bayley III in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Epstein et al. Impulsive cognitive tempo in severe and mild learning disabled children
KR20060010555A (ko) 기억장애 선별 검사도구
Sullivan et al. Stroke knowledge and misconceptions among survivors of stroke and a non-stroke survivor sample
Goodman et al. Huntington's chorea: a multidisciplinary study of affected parents and first generation offspring
Kuczek et al. Anxious and distrustful: how do state anxiety and memory distrust influence the misinformation effect?
Ross et al. The Memory Assessment Scales in the detection of incomplete effort in mild head injury
Ray Assessment of feigned cognitive impairment: A cautious approach to the use of the Test of Memory Malingering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