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129A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129A
KR20060010129A KR1020040058725A KR20040058725A KR20060010129A KR 20060010129 A KR20060010129 A KR 20060010129A KR 1020040058725 A KR1020040058725 A KR 1020040058725A KR 20040058725 A KR20040058725 A KR 20040058725A KR 20060010129 A KR20060010129 A KR 2006001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nglish
touch sensor
touch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3061B1 (en
Inventor
오범환
최철현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5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061B1/en
Publication of KR2006001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0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접촉센서를 이용한 문자 정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n x m (n ≥4, m ≥4) 배열 구조의 상기 접촉센서에 한글/영문 전환키에 의해 한글 문자 입력 또는 영문 문자 입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한글 문자 입력의 경우, 자음부와 모음부를 분리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문 문자 입력의 경우, 기 설정된 대소문자 구분키에 의해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영문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촉 센서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하여 한글 입력과 영문 입력을 할 수 있고 단말기 입력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단말기 조작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스크롤 기능을 부가하여 다기능성 정보 입력 장치로 응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In the character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a touch sensor attached to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xm (n ≥ 4, m ≥ 4) Selecting a Korean character input or an English character input by using a Hangul / English switching key on the contact sensor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 separating the consonant part and the vowel part and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 combined wit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nd in the case of the English character input, case-sensitive by a predetermined case-sensitive key, comprising the step of inputting the English character on the touch senso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ttach the touch sensor to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put Korean and English input, reduce the volume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as well as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dd a scroll function It can be applied as an information input device.

이동통신 단말기, 접촉 센서, 한글, 영문, 입력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uch sensor, Korean, English, input

Description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나타낸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key input unit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 부가형 소형 단말기 정보 입력 장치의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croll function-added small terminal information input device using a contact sensor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 센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contact sensor arra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자음부 30: 모음부20: consonant part 30: collection part

31: enter 키 31: enter key

본 발명은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한글, 영문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롤 기능을 부가한 접촉 센서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하여 한글 입력과 영문 입력을 할 수 있고 단말기 입력 장치의 부피 감소와 함께 다기능성 정보 입력 장치에 사용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touch sensor array, and in particular, a touch sensor with a scroll function can be attached to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nable Korean input and English input and to reduce volume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used in a multifunctional information input device.

일반적으로, 한글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근거하여, 초성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중성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ㅚ, ㅟ, ㅘ, ㅝ, ㅙ, ㅞ, 종성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ㅉ,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ㅌ, ㄹㅍ, ㄹㅎ, ㅁㅅ, ㅂㅅ 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Hangul is based on the unification of Korean spelling, the consonants a, b, c, d,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k , Neutral 성, ㅑ, ㅓ, ㅕ, ㅗ, ㅛ,, ㅠ, ㅡ, ㅣ, ㅐ, ㅒ, ㅚ, ㅟ, ㅘ, ㅝ, ㅙ, ㅞ, finality a, b, c, d, ㅁ, ㅂ , ㅅ, ㅇ, ㅈ, ㅁ, ㅋ, ㅌ, ㅅ, ㅎ, ㄲ, ㅉ, ㅅㅅ, ㄴㅈ, ㅎㅎ,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ㅌ, ㄹㅍ, ㄹ, ㅁㅅ, ㅂㅅ.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이론상 만들 수 있는 글자의 수는 11,172(19x21x28)자가 된다. 그러나, 실제 상용되는 한글의 글자 수는 약 2,500자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완성형 코드나 조합형 코드의 경우 1800자부터 1900자 정도의 한글을 표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letters that can be theoretically formed by combining initial, neutral, and final is 11,172 (19x21x28) characters.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Hangul characters that are commonly used is about 2,500 characters, and in the case of a commonly used completed code or combined code, 1,800 to 1,900 characters can be represented.

스마트 폰, PDA 폰, 카메라폰, PDA 등의 개인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통해 숫자 또는 한글을 입력하면, 입력된 키 값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CPU가 처리하여, 입력된 숫자는 단말기의 LCD 화면에 그대로 표시해주고, 입력된 한글은 한글 폰트 메모리에 내장된 한글 폰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키 값을 검색하여 한글입력 키에 의한 한글입력에 따라 단말기의 LCD 화면에 표시해 준다.As shown in FIG. 1, when a user inputs a number or Korean through a key input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put key value is inpu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PDA phone, a camera phone, a PDA, and the like. The CPU processes the input number and displays it on the LCD screen of the terminal. The inputted Hangul is searched for the input key value using the Hangul font embedded in the Hangul font memory. It i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terminal.

최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법은 키 입력부에 자음 전용키(*), 모음 전용 변환키(#) 및 쌍자음을 위한 키를 별도로 두어 사용한다. Recently, the Korean input method in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consonant-only key (*), a vowel-only conversion key (#), and a key for twin consonants separately.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에 의한 자음 입력 외에, 모음 입력시 'l', 'ㆍ', 'ㅡ'를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게 된다. 즉, 상기 'l'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ㅏ'로 조합하고, 상기 'l'와 'ㆍ'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ㅑ'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l'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ㅓ'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ㆍ'와 'l'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ㅕ'로 조합하며, 상기 'ㆍ'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ㅗ'로 조합하고, 상기 'ㆍ'와 'ㆍ'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ㅛ'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ㅜ'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ㆍ'와 'ㆍ'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ㅠ'로 조합되어 모음이 형성되고, 초성, 중성 종성의 자음과 쌍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한글 문자 입력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o consonant input by a key input unit of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owels are combined using 'l', '·', and '-' when the vowel is input. That is, the combination of 'l' and '·' into 'ㅏ' is input, and the combination of 'l' and '·' and '·' is combined into 'ㅑ' and '·' And 'l' are combined to form 'ㅓ', and '·' and '·' and 'l' are combined to 'ㅕ', and '·' and '-' are combined. Combination of 'ㅗ' as the normal input, 'ㅛ' as the continuous input of '·', '·' and 'ㅡ', 'TT' as the continuous input of 'ㅡ' and '·' And vowels are formed by successive inputs of 'ㅡ', '·' and '·', and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primary and neutral species are combined to input Korean characters. Is done.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에 기 설정된 한글/영문 전환키 및 영문자의 대소문자 구분 키를 지원하고, 한글과는 달리 영문자 입력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축소형 영문 자판 배열에 대해 국제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권고안을 제정하여 표준화되어 있다.It supports the Hangul / English conversion key and the case-sensitive key of English alphabet, which is set in the key input part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ommendations are made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and standardized.

국제 통신 연합(ITU)의 표준화된 영문자 자판 배열의 권고안은 1993년 WTSC 총회에서 제안된 캐나다 방식(ITU E.161/1993 option A)과 오스트레일리아 방식(ITU E.161/1993 option B)이 제안되어 표준으로 사용되어 왔다. Recommendations from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for standardized alphabetic keyboard layouts include the Canadian method (ITU E.161 / 1993 option A) and the Australian method (ITU E.161 / 1993 option B) proposed at the 1993 WTSC Assembly. It has been used as a standard.

현재 사용되는 축소형 영문자 입력 방식 및 장치는 ITU의 권고안 옵션 B를 그대 로 취하던가 약간 변형하여 사용되고 있다.Reduced alphabet input methods and devices currently in use are taken from ITU's Recommendation B, or slightly modified.

따라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에서 한글입력 모드에 따른 한글문자 키버튼을 누르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한글문자를 인식하게 하고, 숫자와 영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키버튼을 누르면 영문자의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숫자와 영문자를 인식한다.Therefore, when the Hangul character key button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ode is pressed in the key input unit of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angul character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is recogniz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Recognize numbers and alphabets by distinguishing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그러나, 각종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다기능화되고 점점 휴대하기 좋게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서 각종 기능을 다양하게 사용하기 위한 입력 장치의 부피는 증가하고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들이 소형화로 인해 이러한 단말기 입력 장치의 부피는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various portable mobile terminals have become multifunctional and miniaturized to be more portable. In this trend, the volume of an input device for using various functions is increased and complica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is limited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terminals.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롤 기능을 부가한 n x m(n ≥4, m ≥4) 배열 구조의 접촉 센서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하여 기 설정된 한글/영문 전환키를 눌러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한글 입력과 영문 입력을 할 수 있고, 단말기 입력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단말기 조작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영문자 입력시 유사 단어를 선택할 수 있는 스크롤 기능을 부가하여 다기능성 정보 입력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touch sensor of an nxm (n ≥ 4, m ≥ 4) array structure with a scroll function to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essing the set Hangul / English switch key, you can input Korean and English combinations of consonants and vowels. You can not only reduce the volume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but also easily operate th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that can be used in a multifunctional information input device by adding a scroll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데 특히 적합한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장 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and English input device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which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executing the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s having the scroll func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접촉센서를 이용한 문자 정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n x m (n ≥4, m ≥4) 배열 구조의 상기 접촉센서에 한글/영문 전환키에 의해 한글 문자 입력 또는 영문 문자 입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한글 문자 입력의 경우, 자음부와 모음부를 분리하여 정보를 입력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문 문자 입력의 경우, 기 설정된 대소문자 구분키에 의해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영문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acter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a touch sensor attached to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xm (n ≥ 4, m ≥ 4) Hangul / Selecting a Korean character input or an English character input by an English conversion key;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 separating the consonant part and the vowel part and inputting information to input the Hangul character combined with the consonant part and the vowel part; And a case in which the English character is input, the case is distinguished by a predetermined case-sensitive key, and an English character is input on the touch sensor. It provides English input method.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가락이나 터치펜(touch pen)을 이용하여 접촉 센서의 해당 부위를 접촉하게 되면 센서가 반응하여 그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 기능적으로 인식하고, n x m(n, m은 4개 이상의 배열) 접촉 센서의 좌측 상단 기준으로 (n-1) x (m-1)배열로 구성되어 자음을 입력하는 자음부(20); n x m 접촉 센서의 1 x m배열과 n x 1배열로 된 하단부와 우측부에 위치하여 자음을 제외한 모음을 입력하는 모음부(30); 및 상기 자음부(20)와 상기 모음부(30)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문자를 최종 입력하는 enter키(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ouching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touch sensor using a finger or a touch pen (sensor) reacts to recognize the movement information sequentially and functionally, nxm a consonant part 20 configured to (n-1) x (m-1) arrays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touch sensor to input consonants; a vowel section 30 for inputting a vowel excluding consonants, which is located at a lower end and a right side of an n x m contact sensor and an n x 1 array; And an enter key 31 for finally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s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and the vowel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nsonant part 20 and the vowel part 30. Provides Korean and English input devic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스마트 폰, PDA폰, PDA 등의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수의 접촉 센서를 부착시킴으로써 단말기의 부피 감소와 함께 기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small number of touch sensors to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PDA phone, PDA, etc.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and reduce the volume of the terminal.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 부가형 소형 단말기 정보 입력 장치는 접촉 센서의 구조가 n x m (n ≥4, m ≥4) 배열이며, 도 2는 4 x 4 접촉 센서의 예를 나타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scroll function-added small terminal information input apparatus using the touch sensor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touch sensor is an nxm (n ≧ 4, m ≧ 4) array, and FIG. 2 is a 4 × 4 touch sensor. An example is given.

손가락이나 터치펜(touch pen)을 이용하여 접촉 센서의 부위를 접촉하게 되면 접촉 센서가 반응하여 그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 기능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4 x 4 접촉 센서의 좌측 상단 기준으로 3 x 3 배열은 자음부(20)로 사용하고, 4 x 4 접촉 센서의 하단부와 우측부는 모음부(30)로 사용되며, 하단부와 우측부에 화살표로 표시된 스크롤 기능을 부가하여 휠 마우스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모음과 자음이 설정되어 조합된 한글 문자 입력을 위해 우측 하단에 enter 키(31) 기능을 부가하여 선택 기능을 제공하였다. When a part of the touch sensor is touched using a finger or a touch pen, the touch sensor reacts to sequentially and functionally recognize the motion information. The 3 x 3 array is used as the consonant part 20, and the lower and right parts of the 4 x 4 contact sensor are used as the vowel part 30. By adding the scroll function displayed, it can function like a wheel mouse. The vowel and consonants are set to provide a selection function by adding the enter key 31 function at the bottom right to input the combined Hangul characters.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 센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4 x 4 접촉 센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예를 도 3에 나타내었 다.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원하는 단어를 쓰게 되면 접촉 센서가 반응하여 그 단어를 인식하는 것이다. 한글 문자 입력의 경우, 상기 자음부(20)와 상기 모음부(30)의 입력부로 구성되어, 자음은 3 x 3 배열의 인식패턴으로 입력되며, 모음은 도 3과 같이 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접촉센서의 하단부와 우측부에 위치한 모음부(30)에 모음을 입력한 후,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한글 문자를 enter 키(31)에 의해 입력한다.An example of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such a 4 x 4 touch sensor is shown in FIG. 3. When a desired word is written on the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responds to recognize the word. In the case of Korean character input, the consonant part 20 and the input part of the vowel part 30 are configured, the consonant is input in a recognition pattern of a 3 × 3 array, and the vowel is the remaining touch sensor as shown in FIG. After inputting the vowel in the vowel section 30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right side of the, the Hangul characters combined with consonants and vowels are input by the enter key 31.

도 3을 참조하면, 자음 입력의 경우, 3 x 3 배열의 자음부(20)에 자음 'ㄱ', 'ㄴ', 'ㄷ'를 입력한 예를 표시하였고, 특히 상기 접촉 센서의 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하단부와 우측부에 위치한 모음부(30)에 모음 입력의 경우, 한 번 누르는 경우(touch)와 이중모드로 누르는 경우(double touch)를 분리하여 우측부의 'l' 입력 전후로 'ㅏ','ㅓ','ㅑ','ㅕ' 모음을 입력할 수 있고, 하단부의 'ㅡ' 입력 전후로 'ㅗ','ㅜ','ㅛ','ㅠ'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case of consonant input, an example in which consonants 'ㄱ', 'b' and 'c' are inputted to the consonant part 20 in a 3 × 3 array is shown, and in particular, except for the consonant of the touch sensor. In the case of vowel input to the vowel section 30 located at the lower and right sides of the rest, separate the case of pressing (touch) and the case of pressing in double mode (double touch), and before and after the 'l' input of the right side 'ㅏ', ' You can enter 모음 ',' ㅑ ',' ㅕ 'vowel, and you can enter', ',' TT ',' ㅛ ',' ㅠ 'before and after' ㅡ 'input at the bottom.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n x m 접촉 센서 위에 자음 입력 후, 모음 입력시 'l', 'ㅡ' 모음을 기준으로 전후에 상기 touch와 상기 double touch를 함에 따라 모음을 조합하여 상기 enter키(31)를 선택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After entering the consonant on the nxm touch sensor attached to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vowel input, the enter key by combining the vowel according to the touch and the double touch before and after based on the vowel 'l', 'ㅡ' vowel Select to input Korean characters.

즉, 상기 접촉센서 우측부의 상기 'l'과 touch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ㅏ'로 조합하고, 상기 'l'과 상기 double touch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ㅑ'로 조합하며, 상기 touch와 'l'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ㅓ'로 조합하며, 상기 double touch와 'l'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ㅕ'로 조합한다.That is, a combination of 'l' and 'l' is a continuous input of the touch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touch sensor, and a combination of 'l' and 'l' is a continuous input of the double touch, and the touch and 'l' '' Is combined with the continuous input of ',' and '' is combined with the continuous input of the double touch and 'l'.

상기 접촉센서 하단부의 상기 touch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ㅗ'로 조합하고, 상기 double touch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ㅛ'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상 기 touch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ㅜ'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상기 double touch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ㅠ'로 조합되어 모음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문자 완성 후 enter를 눌러 한글 문자 입력이 이뤄진다.Combination of 'ㅗ' with the continuous input of the touch and the '-' of the touch sensor, combined with 'ㅛ' with the continuous input of the double touch and '-', and the touch with the '-' Combination of 'TT' as a continuous input of ',' and 'ㅠ' as a continuous input of the '-' and the double touch is combined to form a vowel, and the form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character and then press enter. Hangul characters are input.

영어 문자 입력의 경우, 영문 알파벳 v, u와, 알파벳 l, i, j와, 알파벳 g, y, q 등 유사한 단어가 많기 때문에 상기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히 정보를 입력시키기 어렵다.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입력받은 영문자에 대해 상기 유사한 단어들의 종류가 화면에 나열될 때, 하단부와 우측부에 화살표로 표시된 문자 방향키(↓,→)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스크롤 기능을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정확히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정보 입력시, 입력 받은 영문자 단어와 유사한 단어들이 화면에 나열되면 상기 화살표로 표시된 문자 방향키로 스크롤 기능을 이용하여 정확히 영문자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nglish character input, since there are many similar words such as English alphabet v, u, alphabet l, i, j, alphabet g, y, q,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nput information using the contact sensor. When the similar words are listed on the screen with respect to the English letters inputted on the touch sensor, the user selects the scroll function using the letter direction keys (↓, →) indicated by the arrows at the lower and right sides. You can type words correctly. When information is input on the touch sensor, if words similar to the input English word are listed on the screen, the English word can be input correctly using the scroll function with the letter direction key indicated by the arrow.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상기 접촉센서 위에 한글입력 모드에 따른 한글문자 키버튼을 누르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한글문자를 인식하게 하고, 숫자와 영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키버튼을 누르면 영문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키에 의해 숫자와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Pressing the Hangul character key button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ode on the touch sensor attached to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ows to recognize the Hangul character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press the key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and English character input mode. If you press it, you can enter numbers and alphabetic characters by case sensitive key.

따라서, 이와 같은 n x m(n ≥4, m ≥4)접촉 센서를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하여 입력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다기능 입력 장치로 활용될 것이다.Therefore, such an n x m (n ≥ 4, m ≥ 4) contact sensor is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reduce the volume of the input device and will be utilized as a multi-function input device.

도 4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접촉센서를 이용한 문자 정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n x m (n ≥4, m ≥4) 배열 구조로 된 상기 접촉센서에 한글/영문 전환키에 의해 한글 문자 입력 또는 영문 문자 입력을 선택하여(단계 S1) 한글/영문 입력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2).In a character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a touch sensor attached to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r English characters to the touch sensor having an nxm (n ≥ 4, m ≥ 4) array structure using a Hangul / English switching key Select (step S1) to check whether it is Korean / English input (step S2).

상기 한글 문자 입력의 경우,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자음부(20)와 모음부(30)를 분리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한글 문자를 선택하여(단계 S3) 상기 자음부(20)에 자음을 입력하고(단계 S4) 상기 모음부(30)에 'l'와 'ㅡ' 모음을 기준으로 전후에 touch와 double touch를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고(단계 S5)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문자를 enter키로 선택하여 입력한다(단계 S6).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 the consonant part 20 and the vowel part 30 are separated on the contact sensor to input information, and the Hangul character is selected (step S3) and the consonant part is input to the consonant part 20 ( Step S4) In the vowel unit 30, the vowel is input by using touch and double touch before and after the vowel 'l' and 'ㅡ' (step S5), and the Hangul characters combined with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with the enter key. And input (step S6).

상기 영문 문자 입력의 경우, 기 설정된 대소문자 구분키에 의해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영문 문자를 선택하고(단계 S7),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입력받은 영문 문자에 대해 상기 유사한 단어들의 종류가 화면에 나열될 때, 화살표로 표시된 문자 방향키(↓,→)를 이용하여 유사한 단어에 대해 스크롤(scroll) 기능을 통해 영문 알파벳 문자를 선택하여 영문 문자를 입력한다(단계 S8)In the case of inputting the English character, a case is distinguished by a predetermined case sensitivity key and an English character is selected (step S7), and the types of the similar words for the English character received on the touch sensor are listed on the screen. In this case, by using the character arrow keys (↓, →) indicated by the arrow, the English alphabet letter is selected through the scroll function for the similar word and the English letter is input (step S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Or it may be modif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 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 및 장치는 스크롤 기능을 부가한 소수의 접촉 센서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시킴으로써, 스마트 폰, PDA폰, 카메라폰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입력과 대소문자 구분키에 의해 영문 입력을 할 수 있고, 단말기 입력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기능성 정보 입력 장치로 단말기 조작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s and apparatuses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 a few touch sensors with a scroll function to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providing a smart phone and a PDA phone. In addition, the user can input English characters by combining Korean consonants and case-sensitive keys combined with consonants and vowels of personal mobile devices such as camera phones, and reduce the volume of the terminal input devic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can also be used easily.

또한, 영문 문자 입력시 유사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살표에 의해 스크롤 기능을 부가하여 다기능성 정보 입력 장치로 응용될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be applied as a multi-functional information input device by adding a scroll function by the arrow to select similar characters when entering English characters.

Claims (11)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접촉센서를 이용한 문자 정보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In a text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a touch sensor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 x m (n ≥4, m ≥4) 배열 구조의 상기 접촉센서에 한글/영문 전환키에 의해 한글 문자 입력 또는 영문 문자 입력을 선택하는 단계; selecting a Korean character input or an English character input by using a Hangul / English switching key on the contact sensor of an n × m (n ≧ 4, m ≧ 4) array structure; 상기 한글 문자 입력의 경우, 자음부와 모음부를 분리하여 정보를 입력하여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 및In the case of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 separating the consonant part and the vowel part and inputting information to input the Hangul character combined with the consonant part and the vowel part; And 상기 영문 문자 입력의 경우, 기 설정된 대소문자 구분키에 의해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영문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In the case of inputting the English character, the Korean character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the touch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is distinguished by a predetermined case-sensitive key, inputting the English character on the touch sensor, English inpu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n x m (n ≥4, m ≥4) 배열 구조의 상기 접촉센서는 정보 교환 및 처리 단말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하여 각종 정보를 기능적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The touch sensor having an nxm (n ≥ 4, m ≥ 4) array structure is attached to an information exchange and processing terminal and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uses a method of functionally in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with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소수의 상기 접촉 센서의 특정 부위를 순차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스크롤 기능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기능을 부가한 기능성 정보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functional information input method to add a function for recognizing the contact of a small number of the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ensor as a scroll function comman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글 문자 입력의 경우, In the case of the Hangul character input,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n x m 접촉 센서 위에 상기 자음부에 자음 입력 후, 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모음부에 모음 입력시 'l', 'ㅡ' 모음을 기준으로 전후에 한 번 누르는 경우(touch)와 이중모드로 누르는 경우(double touch)를 분리하여 우측부의 'l' 입력 전후로 'ㅏ','ㅓ','ㅑ','ㅕ' 모음을 입력할 수 있고, 하단부의 'ㅡ' 입력 전후로 'ㅗ','ㅜ','ㅛ','ㅠ' 모음을 입력함에 따라 상기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문자를 enter키로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When the consonant is input to the consonant part on the nxm contact sensor attached to th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vowel is input to the vowel part other than the consonant, 'l', 'ㅡ' is pressed once before and after based on the vowel (touch) If you press and in double mode (double touch), you can enter 'ㅏ', 'ㅓ', 'ㅑ', 'ㅕ' vowels before and after 'l' input on the right side, and before and after 'ㅡ' input at the bottom. Hangul with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by inputting the vowel ',' tt ',' ㅛ ',' ㅠ 'vowels, the Hangul characters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entered with the enter key. English input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접촉센서 우측부의 상기 'l'과 touch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ㅏ'로 조합하고, 상기 'l'과 상기 double touch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ㅑ'로 조합하며, 상기 touch 와 'l'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ㅓ'로 조합하며, 상기 double touch와 'l'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ㅕ'로 조합하여 모음을 형성하여 입력하고,Combination of 'l' with the continuous input of 'l' and the touch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touch sensor, 'combination' with 'l' with the continuous input of 'l' and the double touch, and of touch and 'l' Combination with 'ㅓ' as a continuous input, form a vowel by combining with 'ㅕ' as a continuous input of the double touch and 'l', 상기 접촉센서 하단부의 상기 touch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ㅗ'로 조합하고, 상기 double touch와 'ㅡ'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ㅛ'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상기 touch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ㅜ'로 조합하며, 상기 'ㅡ'와 상기 double touch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ㅠ'로 조합되어 모음이 형성되어 Combining 'ㅗ' into the continuous input of the touch and '-' of the touch sensor, and combining the '로' into the continuous input of the double touch and '-', The vowels are combined by successive inputs, and the vowels are combined by successive inputs of ㅡ and double touch. 상기 형성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문자 완성 후 enter를 눌러 한글 문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Hangul, English input method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and the vowel formed are combined and the Korean character input by pressing enter after completion of the charact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문 문자 입력의 경우In the case of the above English character input 상기 접촉 센서 위에 입력받은 영문 문자에 대해 유사한 단어에 대해, 화살표로 표시된 문자 방향키(↓,→)를 이용하여 스크롤 기능을 통해 유사한 단어의 알파벳 문자를 선택하여 영문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방법.The alphabetical letters of the similar words are selected through the scroll function using the letter direction keys (↓, →) indicated by the arrow for the similar words with respect to the English letters received on the touch sensor. Korean and English input method with scroll function using sensor array. 손가락이나 터치펜(touch pen)을 이용하여 접촉 센서의 해당 부위를 접촉하게 되면 센서가 반응하여 그 움직임 정보를 순차적, 기능적으로 인식하고, n x m(n, m은 4개 이상의 배열) 접촉 센서의 좌측 상단 기준으로 (n-1) x (m-1)배열로 구성되어 자음을 입력하는 자음부(20); When a user touches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touch sensor using a finger or a touch pen, the sensor reacts to recognize the movement information sequentially and functionally, and the left side of the nxm (n, m is 4 or more arrangements) touch sensor A consonant part 20 configured to have an (n-1) x (m-1) array as an upper reference and input a consonant; n x m 접촉 센서의 1 x m배열과 n x 1배열로 된 하단부와 우측부에 위치하여 자음을 제외한 모음을 입력하는 모음부(30); 및a vowel section 30 for inputting a vowel excluding consonants, which is located at a lower end and a right side of an n x m contact sensor and an n x 1 array; And 상기 자음부(20)와 상기 모음부(30)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문자를 최종 입력하는 enter키(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장치.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nsonant part 20 and the vowel part 30, the scroll function using the arrangement of the touch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enter key 31 for finally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s combined wit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Korean and English input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n x m (n ≥4, m ≥4) 배열 구조의 상기 접촉센서를 정보 교환 및 처리 단말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하여 각종 정보를 기능적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장치.A scroll using a touch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ensor having an nxm (n ≥ 4, m ≥ 4) arrangement is attached to an information exchange and processing terminal and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functionally in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Korean and English input device with function.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n x m (n ≥4, m ≥4) 배열 구조의 상기 접촉센서는 한글/영문 전환키에 의해 한글 문자 입력, 영문 문자 입력이 가능하고 특수문자와 숫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장치.The touch sensor of the nxm (n ≥ 4, m ≥ 4) array structure is possible to input Korean characters, English characters and input special characters and numbers by the Hangul / English conversion key using a touch sensor array, Korean and English input device with scroll functio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모음부(30)는 상기 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 입력시 'l', 'ㅡ' 모음을 기준으로 전후에 한 번 누르는 경우(touch)와 이중모드로 누르는 경우(double touch)를 분리하여 우측부의 'l' 입력 전후로 'ㅏ','ㅓ','ㅑ','ㅕ' 모음을 입력할 수 있고, 하단부의 'ㅡ' 입력 전후로 'ㅗ','ㅜ','ㅛ','ㅠ' 모음을 입력한 후 상기 자음과 모음으로 조합된 한글 문자를 상기 enter키(31)로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장치.The vowel section 30 separates the case of pressing a single touch back and forth based on the vowels 'l' and '-' when the vowel input other than the consonants (touch) and the double touch (double touch) are separated from the right side. 'ㅏ', 'ㅓ', 'ㅑ', 'ㅕ' vowels can be entered before and after the 'l' input, and 'ㅗ', 'TT', 'ㅛ', 'ㅠ' vowels before and after the 'ㅡ' input at the bottom. Korean and English input device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the contact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after inputting the selected Korean characters combined with the consonants and vowels with the enter key (31).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영문 문자 입력시, 상기 자음부(20)와 상기 모음부(30)의 구분없이 상기 접촉센서의 모음부에 화살표로 표시된 문자 방향키(↓,→)를 이용하여 스크롤 기능을 부가하여 휠 마우스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유사한 단어의 알파벳 문자를 선택하여 영문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 입력 장치.When inputting an English letter, the scroll function is added using a letter direction key (↓, →) indicated by an arrow to a vowel portion of the contact sensor without distinguishing the consonant portion 20 and the vowel portion 30, such as a wheel mouse. Korean and English input device having a scroll function using a touch sensor ar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the English letters by selecting the alphabet letters of similar words by providing a function.
KR1020040058725A 2004-07-27 2004-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KR1006230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725A KR100623061B1 (en) 2004-07-27 2004-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725A KR100623061B1 (en) 2004-07-27 2004-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129A true KR20060010129A (en) 2006-02-02
KR100623061B1 KR100623061B1 (en) 2006-09-19

Family

ID=3712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725A KR100623061B1 (en) 2004-07-27 2004-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06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63B1 (en) * 2005-12-1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thereof
KR100774986B1 (en) * 2005-07-04 2007-11-08 주식회사 애트랩 Portable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166B1 (en) * 2000-03-15 200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100475379B1 (en) * 2000-07-06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Of Music On Holding Service In Private Branch Exchange
KR100364841B1 (en) * 2000-12-30 2002-12-16 (주) 엘지텔레콤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ing vowel of the Hangul in the same
KR100414143B1 (en) * 2001-10-30 2004-01-13 미래통신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KR100530490B1 (en) * 2003-07-05 2005-11-22 송우찬 Apparatus And Method of Twin Tap Text Entry Using A Reduced Keypad
KR20050035681A (en) * 2003-10-14 2005-04-19 김여일 Korean alphabet letters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etters and the order of writting strok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86B1 (en) * 2005-07-04 2007-11-08 주식회사 애트랩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664263B1 (en) * 2005-12-1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ke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061B1 (en)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284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universal keypad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KR20120006503A (en) Improved text input
US7642932B2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JP5495702B2 (en) Input device
KR20030073477A (e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US6799914B2 (en)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06230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US20050088415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KR100343950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oftware keyboard for note-recognition and note-recognition method by pen input
KR1007684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100750634B1 (en) Device for input and output Chinese characters
KR100616228B1 (en) Method of Inputting a let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04286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0601355B1 (en) Device for Inputting Korean Letters
KR100411365B1 (en) Key matrix and Hangul input method using i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921533A1 (en) Method of mapping a traditional touchtone telephone keypad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apparatus
KR20070121279A (en) Korean consonant input methods in keypad
KR20050096598A (en) Character recognizing control method using numeral key pad
KR20040082760A (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Po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60100655A (en) Speed korean input system
JP2011071949A (en) Mobile terminal
KR20060069165A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joystick and terminal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