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496A - A reading desk with camera - Google Patents

A reading desk with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496A
KR20060007496A KR1020040056308A KR20040056308A KR20060007496A KR 20060007496 A KR20060007496 A KR 20060007496A KR 1020040056308 A KR1020040056308 A KR 1020040056308A KR 20040056308 A KR20040056308 A KR 20040056308A KR 20060007496 A KR20060007496 A KR 2006000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processing unit
document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기철
이종만
윤성구
Original Assignee
(주)성진산업 지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산업 지점 filed Critical (주)성진산업 지점
Priority to KR102004005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7496A/en
Publication of KR2006000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4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를 거치하는 문서 거치대와, 상기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거치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카메라 거치대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며 문자 인식을 통하여 전자적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ument holder for mounting a document, a camera for receiving an image of the document and outputting it as an electrical signal, a camera holder for mounting the camera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inputting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An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which performs image processing, converts an electronic text file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converts it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and display mean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nd a camera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tate of the camera,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입력 받아 이를 확대, 축소하여 읽기 편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색맹이 있는 장애인도 불편 없이 문서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한 후 이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노인이나 시력이 약한 사람 및 시각 장애인의 정보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of a document is input to a camera, and the image can be enlarged and reduced to be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in a form that is easy to read, and the disabled can see the document without inconvenience through color processing. Through image processing, the image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and then output through a speaker, etc., so that it can be helpful for acquiring information for the elderly, people with low vision,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독서대, 카메라, 디스플레이 수단, 이미지 처리, 문자 인식, 음성 출력Reading table, camera, display means, image processing, character recognition, voice output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A READING DESK WITH CAMERA}Reading table with camera {A READING DESK WITH CAMERA}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독서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1 shows a reading camer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의 블록도. 3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and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n a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제어부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trol unit in a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독서 카메라 12: 구멍10: reading camera 12: hole

14: 초점 및 높이 조절 링 16: 케이블14: focus and height adjustment ring 16: cable

18: 모니터18: monitor

200: 독서대 210: 문서 거치대200: reading desk 210: document holder

220: 카메라 230: 카메라 거치대220: camera 230: camera holder

240: 디스플레이 수단 250: 제어부240: display means 250: control unit

300: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 310: 이미지 처리부300: image and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10: image processing unit

500: 독서대 510: 문서 거치대500: reading desk 510: document holder

520: 카메라 530: 카메라 거치대520: camera 530: camera cradle

550: 제어부5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화면에 확대하여 출력하며 또한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한 후 이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노인이나 시력이 약한 사람 및 시각 장애인의 정보 습득에 도움을 주는 것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receive an image of a document by using a camera and to enlarge the output on a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desk equipped with a camera that helps to acquire information of an elderly person, a person with low vision, and a visually impaired person.

도서관 등에서 제공되는 독서대는 단순히 책상 형태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책을 대출한 후 독서대에 앉아서 책을 읽는 것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특히 노인이나 시력이 약한 사람에 대한 고려는 없으며 스스로 돋보기를 사용하는 형태로 책을 읽을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의 경우 점자로 된 책을 제외하면 책을 읽을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었다.The reading desk provided in the library is simply in the form of a desk, and the user is just sitting on the reading desk after reading a book and borrowing the book. However, there is no particular consideration for the elderly or people with low vision, and they have no choice but to read the book by using a magnifying glass on their own. In addi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re was no way to read books except for books in Brail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다.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예컨대 2000년 7월 10일자로 출원되고 2002년 1월 18일자로 공개된 "독서 카메라"라는 명칭의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39262호는 모니터와 케이블로 연 결된 카메라를 책 위에 올려놓고 카메라를 조작하여 원하는 부분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39262, entitled "Reading Camera", filed July 10, 2000 and published January 18, 2002, places a monitor and cable-connected camera on a book. It provides a function to enlarge the image of the desired part by operating the camera.

도 1에 도시되듯이 사용자는 책 위에 독서 카메라(10)를 올려놓은 후, 독서 카메라의 구멍(12)부분에 읽고자 하는 부분을 위치시킨 후 본체의 초점 및 높이 조절 링(14)으로 조절을 하여 이를 독서 카메라(10)와 케이블(16)로 연결된 모니터(18)를 통해서 읽도록 하는 방식이다.  As shown in FIG. 1, the user places a reading camera 10 on a book, places a portion to be read in the hole 12 of the reading camera, and then adjusts the focus with the focus and height adjustment ring 14 of the main body. This is to read through the monitor 18 connected to the reading camera 10 and the cable 16.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조작이 불편하고 또한 책을 읽기 위해서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카메라를 조작하고 원하는 부분을 찾아서 그 부분을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각 장애자들을 위해서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However, such a function is inconvenient to operate, and in order to read a book, the user needs to directly manipulate the camera, find a desired part, and input the part. It is also not helpful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입력 받아 이를 확대, 축소하여 읽기 편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색맹이 있는 장애인도 불편 없이 문서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한 후 이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노인이나 시력이 약한 사람 및 시각 장애인의 정보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in a form that is easy to read by receiving an image of the document with a camera to enlarge, reduce it,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view the document without discomfort, even people with color blindne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that can help an elderly person, a person with low vision, and a blind person acquire information by recognizing an image as a character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then outputting it through a speak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서를 거치하는 문서 거치대와, 상기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거치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카메라 거치대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며 문자 인식을 통하여 전자적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cument holder for mounting a document, a camera for receiving an image of the document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 camera holder for mounting the camera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An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and performs image processing, converts it into an electronic text file through text recognition, converts it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and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t provides a reading table comprising a display mean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nput, and a camera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camera,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nd the display means.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문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글자 부분을 추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로부터 추출되는 글자 부분을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와, 상기 이미지 인식부에서 인식된 글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는 텍스트 파일 변환부와, 상기 텍스트 파일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reading table provided with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image data of a document input from the camera and extracting a text portion of the image data, and a text por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 imag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character, a text fil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 data recognize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into a text file, a voice signal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text file into a voice signal, an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video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the processed image data to the display means.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로 입력된 상기 문서 이미지의 색상을 색맹을 가지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ading table having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t is preferable to change and output the color of the document image input by the electrical signal so that a person with color blindness can recognize.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ading table provided with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reproduc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초 점, 각도, 줌 상태 및 위치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ading table having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focus, angle, zoom state and position of the camera and the output of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문서를 거치하는 문서 거치대와, 상기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거치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카메라 거치대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문자 인식을 통하여 전자적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ocument holder for mounting a document, a camera for receiving an image of the document and outputting it as an electrical signal, a camera holder for mounting the camera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d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And an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n image processing, converting an electronic text file through text recognition, converting it 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audio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camera and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t provides a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이하, 본 발명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를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reading table provided with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200)는, 문서 거치대(210)와, 카메라(220)와, 카메라 거치대(230)와,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도시되지 않음)와, 디스플레이 수단(240)과, 제어부(250)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a reading stand 200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cument holder 210, a camera 220, a camera holder 230, and an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or (not shown). ), A display means 240, and a controller 250.

문서거치대(210)는 그 위에 책이나 문서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카메라(220)를 통해서 책이나 문서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document holder 210 can put a book or document on it and is configured to easily input the image of the book or document through the camera 220.

카메라 거치대(230)는 카메라(220)를 거치하고 있으며 카메라의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어서 제어부(2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의 각도를 좌우로 조절하는 장치, 카 메라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절하는 장치가 카메라 거치대(230)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camera holder 230 is mounted on the camera 220 and may inclu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amera, there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250. For example, a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camera from side to side, and a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up, down, left, or right may be mounted on the camera holder 230.

카메라(220)는 상기 문서거치대(210) 위에 놓인 책이나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아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220)는 CCTV 카메라의 경우 640*480, 디지털 방식의 경우 1024*768 이상의 해상도를 가질수 있으며, 줌, 초점 맞춤 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줌 기능을 이용하여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의 성능에 따라 확대 비율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The camera 220 receives an image of a book or a document placed on the document holder 210, converts the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The camera 220 may have a resolution of 640 * 480 in the case of a CCTV camera, 1024 * 768 or more in a digital method, and may use a camera having a zoom and focusing function. In particular, when the image of the document is input using the zoom function, the magnification ratio may be arbitrarily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수단(240)으로 전송하며 문자 인식을 통하여 전자적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performs image processing,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the display means 240, converts it into an electronic text file through text recognition, and converts it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it. .

디스플레이 수단(240)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means 240 displays an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or.

제어부(250)는 상기 카메라(220),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4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카메라의 상하 위치, 좌우 위치, 초점 조절, 각도 조절 등의 기능과 문서를 인식하여 음성 신호로 출력할 것인지 여부, 디스플레이 수단의 밝기 조절,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색상 변환 등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50 is connected to the camera 220,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or, and the display means 24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control a state.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up and down, left and right, focus, and angle of the camera and control functions such as whether to recognize a document and output it as a voice signal,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means, and convert the color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는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어폰 잭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이어폰을 연결하고 음성신호를 청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peaker for reproduc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lternatively, the earphone jack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may connect his earphone and listen to a voice sig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300)는 이미지 처리부(310)와, 이미지 인식부(320)와, 텍스트 파일 변환부(330)와, 음성 신호 생성부(340)와, 영상 신호 생성부(350)를 포함한다.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and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unit 300 in the reading table provided with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or 300 may include an image processor 310, an image recognizer 320, a text file converter 330, an audio signal generator 340, and an image signal generator ( 350).

이미지 처리부(310)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문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The image processor 310 serves to process image data of a document input from a camera.

우선 입력된 문서의 이미지의 글자 부분을 추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문서 이미지 회전, 라인 분리 및 추출, 글자 분리를 통하여 글자 부분만을 추출하게 된다. First, it may play a role of extracting a text portion of an image of an input document. In more detail, only the text portion is extracted through document image rotation, line separation and extraction, and character separation.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문서의 이미지는 정확히 수평이 안 맞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로 방향으로 문자에 해당되는 검은 픽셀의 RGB 값을 더하면서 가로 방향으로 문자 영역과 줄과 줄 사이 공간의 식별이 가장 잘되는 방향을 찾는다. 글씨 부분은 검은색이 강한 RGB 값을 가지며, 줄과 줄 사이의 공간은 흰색에 가까운 RGB 값을 가진다. 가장 글씨에 해당되는 검은색과 공간에 해당되는 흰색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는 방향으로 문서를 회전시킨다. Most images of documents input from the camera are not exactly horizontal. While adding the RGB values of the black pixel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nd the direction where the character area and the space between the lines are best identif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ext is black with strong RGB values, and the space between lines has an RGB value close to white. Rotate the document in such a way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ost black and the white is clear.

또한 문서 이미지의 회전시 사용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라인을 분리할 수 있다. 즉, 문자가 있는 부분과 줄과 줄 사이의 공백 부분이 명확히 구분되므로 위로 부터 각 라인별로 문자에 해당되는 부분의 이미지만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You can also separate lines based on the data used to rotate the document image. In other words, the part with the character and the part between the line and the line are clearly distinguished, so that only the image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top.

이렇게 문서의 한 라인에 해당되는 이미지가 분리되면, 글자 분리를 수행한다. 문서의 한 라인에 해당되는 이미지의 세로 방향으로 픽셀의 값을 더하면 글자가 있는 부분과 글자와 글자 사이, 공백 등을 구분할 수 있다. 글자는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일정하므로 글자의 세로 사이즈 정보를 활용하면 더욱 정확하게 각 문자의 가로 폭을 예측할 수 있어 한 글자에 해당되는 영상을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각 글자의 이미지는 파일로 저장된다.When the image corresponding to one line of the document is separated, character separation is performed. By adding the pixel valu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one line of the documen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character part, the character and the character, and the space. Since the letter has a constant ratio of width to height, by using the vertical size information of the letter, the width of each letter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so that an image corresponding to one letter can be separated. The image of each character separated in this way is saved as a file.

또한 이미지 처리부(310)는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문서 이미지 내의 특정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색맹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사용되어 색맹 장애가 있는 색상을 인식 가능한 다른 색상으로 변경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컬러 영상을 흑백 영상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Also, the image processor 310 performs image processing related to the document image. For example, one color in a document image can be changed to another. This feature is useful for color blind people and can be used to change color with color blindness to other recognizable colors. It may also be used when changing a color image into a black and white image.

이미지 인식부(320)는 이미지 분리부(310)에서 분리되어 저장된 각 글자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글자 이미지를 인식하는 과정은, 우선 글자 이미지 1개를 입력받아 씨닝(thinning)을 적용한다. 씨닝은 문자 인식에 도움이 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한 예로, 한글의 '이'자의 초성 'ㅇ'과 중성 'ㅣ' 획의 경우 윗부분에 왼쪽으로 약간 불룩한 돌출부가 있다. 이러한 부분을 제거하는 과정이 씨닝이다. 다음은 글자 골격(skeleton)을 구한다. 고딕체는 선의 굵기가 굵지만, 글자 인식에는 굵기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길이가 줄지 않도록 두꺼운 선을 가늘게 만드는 과정이 글자 골격을 구하는 과정이다. 글자 골격을 구하는 과정을 거치면 선의 굵기를 한 픽셀 두께로 한 선의 정보가 남는다. 이러한 글자 골격 정보를 이용하여 스트로크(stroke) 정보를 축출한다. 참고로, "ㄱ"은 가로 획과, 가로 획이 끝나는 지점에서 아래 방향 또는 왼쪽아래 방향으로의 직선 성분으로 표현되는 두개의 스트로크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문자의 영상을 연속된 스트로크의 정보로 바꾸어 문자 인식이 가능한 정보로 변환한다.The image recognition unit 320 serves to recognize each letter stored separately from the image separation unit 310.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a text image, first, a text image is input and thinning is applied. Thinning is the process of removing parts that are not conducive to character recognition. For example, Hangeul's initial letter 'ㅇ' and neutral 'ㅣ' stroke have a slightly bulge to the left at the top. The process of removing these parts is thinning. Next, we get the letter skeleton. Gothic fonts are thick, but they don't really help with text recognition. Therefore, the process of thinning thick lines so as not to reduce the length is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character skeleton. After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character skeleton, the information of the line having a thickness of one pixel is left. Stroke information is extracted using such character skeleton information. For reference, "a"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wo strokes represented by a horizontal stroke and a straight line component in a downward direction or a lower left direction at the point where the horizontal stroke ends. In this way, the image of the character is converted into information of consecutive strokes and converted into information capable of character recognition.

문자 영상에서 얻은 스트로크 정보는 문자 모델 DB(Database)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 모델과 비교하면서 가정 적절한 문자를 알아낸다. 한 문자 영상으로 해석 가능한 문자 모델이 여러 가지 나올 수 있다. 즉, '거'와 '지' 등과 같이 문자 영상 분석으로는 식별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앞 문장과의 문맥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문자를 결정한다. 한 예로, 앞 문자에 받침이 없는 경우 '을'과 '를'이 가능성 있는 문자로 추천되는 경우 '를' 문자로 결정함이 적절하다. The strok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haracter image is compared with the character model stored in the character model DB (Database) to find the appropriate character. There can be several character models that can be interpreted as a single character image. In other words, identification may be very difficult by character image analysis such as 'ger' and 'ji'. In this case, the most appropriate letter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context with the previous sentence. As an example, it may be appropriate to determine if a character is a letter if there is no support for the preceding character and if a character is recommended as a possible character.

텍스트 파일 변환부(330)는 이미지 인식부(320)를 통해서 인식된 각 글자를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The text file converter 330 converts each character recognized by the image recognizer 320 into a text file format.

음성 신호 생성부(340)는 상기 텍스트 파일의 전자적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TTS(text-to-speech)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는 스피커나 이어폰 등을 이용하여 출력된다. The voice signal generator 340 converts the electronic signal of the text file into voice. For example, it may be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using a text-to-speech (TTS) function, which is output using a speaker or earphone.

영상 신호 출력부(350)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310)에서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디스플레이 수단(24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The image signal output unit 350 serves to output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310 to the display means 24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제어부(250)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the controller 250 in a reading stand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50)는, 각 스위치를 포함하며, 각 스위치를 통해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카메라, 문자 인식 처리부, 디스플레이 수단에 입력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unit 250 includes switches, and inputs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each switch to a camera, a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means to perform control.

전원스위치(410)는 제어부(250)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능을 하는 스위치이다. The power switch 410 is a switch that functions to apply power to the controller 250.

카메라 상하 이동 스위치(420)는 카메라의 위치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스위치이다.The camera up and down switch 420 is a switch that function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camera up and down.

카메라 각도 조절 스위치(430)는 카메라의 각도를 상하좌우로 기울여서 문서의 상측 부분, 하측 부분, 좌측 부분, 우측 부분을 입력받도록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The camera angle adjustment switch 430 is a switch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camera up, down, left, and right to receive an upper portion, a lower portion, a left portion, and a right portion of the document.

카메라 줌 스위치(440)는 카메라의 줌을 조절하는 스위치로서, 카메라 배율을 조절하여 입력되는 문서 이미지의 확대 및 축소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The camera zoom switch 440 is a switch for adjusting the zoom of the camera, and i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the input document image by adjusting the camera magnification.

카메라 초점 조절 스위치(450)는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어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한 스위치이다. The camera focus control switch 450 is a switch for focusing the camera to obtain a clear image.

카메라 좌우회전 스위치(460)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총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이 스위치는 메뉴를 선택하여 메뉴 항목이 표시된 때에는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좌우 화살표로 활용될 수도 있다. Camera left and right rotation switch 460 can be rotated 180 degrees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center. The switch may also be used as a left and right arrow for selecting a menu item when the menu item is displayed by selecting a menu.

메뉴 스위치(465)는 각종 메뉴를 사용하기 위해 누를 때 이용한다. 또한 이미지 처리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각종 선택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메뉴에는 색상 변경, 화면의 밝기 변경, 콘트라스트 변경, 흑백으로 변경 기능을 포함 한다. 색상 변경은 특정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시킬 때 이용한다. 이 기능은 색맹 장애인에게 유용하게 사용되어 색맹 장애가 있는 색상을 인식 가능한 다른 색상으로 변경시키는 데 이용된다. 또한 컬러 영상을 흑백 영상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이용된다.The menu switch 465 is used when pressed to use various menus. In addition, when the image processing function is used, it is used to indicate various selection functions. The menu includes color change, screen brightness change, contrast change, and black and white change. Color change is used to change one color to another. This feature is useful for people with color blindness and is used to change color with color blindness to other recognizable colors. It is also used to change a color image to a black and white image.

선택 스위치(470)는 메뉴 스위치(465)를 통해 메뉴가 표시된 후 좌, 우 화살표 즉 카메라 좌우 회전 스위치(460)로 원하는 메뉴로 이동한 다음 선택 키(470)를 누르면 해당 항목의 메뉴가 선택되어 실행되도록 한다. 여러 가지 이미지 처리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주로 이용될 수 있다.After the menu is displayed through the menu switch 465, the selection switch 470 moves to a desired menu with the left and right arrows, that is, the camera left / right rotation switch 460, and then presses the selection key 470 to select a menu of the corresponding item. To be executed. It can be used mainly when selecting various image processing functions.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475)은 현 상태 표시 및 메뉴 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패널이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475 is a liquid crystal panel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display and menu items.

카메라 각도 전후, 좌우 버튼 기능 교환 스위치(480)는, 카메라 각도 조절 스위치(430)의 전후, 좌우 스위치 기능을 상호 교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카메라 좌우회전 스위치(460)로 카메라를 회전시키면, 카메라 회전 이전의 좌우 방향은 카메라 회전 후 전후 방향으로 바뀐다. 따라서 카메라 회전 후 좌우 방향 버튼을 누르면 실제로 카메라는 전후로 움직이게 되므로 원하는 곳의 문서로 카메라를 이동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카메라의 회전에 따라 좌우와 전후 방향이 바뀌므로, 카메라 각도 조절 스위치(430)의 전후, 좌우 스위치 기능을 상호 교환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된다.Before and after the camera angle, the left and right button function exchange switch 480 has a function of mutually exchangi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witch functions of the camera angle adjustment switch 430. When the camera is rotated by the camera left / right rotation switch 460,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efore the camera rotation are changed back and forth after the camera rotation. Therefore, if you press the left or right button after rotating the camera, the camera actually moves back and forth, so it is difficult to move the camera to the desired document. Therefore, since the left and right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era, it is necessary to interchang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witch functions of the camera angle control switch 430, which is used in this case.

좌, 우 조명 스위치(485)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좌우에 설치될 수 있는 조명을 켜고 끄는 역할을 한다.Left and right light switch 485 serves to turn on and off the lights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read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문서 자동 낭독 스위치(490)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의 문서거치대(210)에 올려진 문서를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받아 문자를 인식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 등의 수단을 통해 출력시키는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The automatic document reading switch 490 automatically receives a document placed on the document holder 210 of the reading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amera, recognizes a character, converts it into voice, and outputs it through a speaker or the like. It plays a ro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reading table 500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500)는, 문서를 거치하는 문서거치대(510)와, 상기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카메라(520)와, 상기 카메라를 거치하는 카메라 거치대(530)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문자 인식을 통하여 전자적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55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reading table 500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cument holder 510 for placing a document, a camera 520 for receiving an image of the document and outputting the image as an electrical signal, An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and a camera cradle 530 for mounting the camera, performing image processing, converting it into an electronic text file through text recognition, and converting it into a voice signal for output. (Not shown), and a controller 550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camera,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nd the display means.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200)와의 차이점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유무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50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문서를 문서거치대(510)에 올려놓고 제어부(550)의 문서 자동 낭독 스위치를 누르면 자동으로 카메라가 문서의 이미지를 읽고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에서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difference from the reading stand 200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play means. That is, the reading table 500 having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display means, and when a user places a document on the document holder 510 and presses the automatic document reading switch of the controller 550, The camera reads an image of a document, and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converts it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문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글자 부 분을 추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로부터 추출되는 글자 부분을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와, 상기 이미지 인식부에서 인식된 글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는 텍스트 파일 변환부와, 상기 텍스트 파일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및 문자 인식부(300)와의 차이점은 영상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문서를 카메라를 통해 읽고 이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당연한 결과이다.Therefore,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image data of the document input from the camera and extracts the character portion of the image data, and the character por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an imag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text fil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character data recognize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into a text file, and a voice signal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text file into a voice signal. The difference from the image and character recogni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mage signal generation unit is not included. This is a natural result in that a reading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display means and automatically reads a document through a camera, converts it into a text file, and outputs a voice sig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에서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어폰 잭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이어폰을 연결하고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reading table including a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peaker for reproduc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Or, the earphone jack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onnect his earphone and listen to the voice signal.

비록 본원 발명의 구성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 예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를 통하여 정하여진다.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it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only,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서의 이미지를 카메라로 입력 받아 이를 확대, 축소하여 읽기 편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색맹이 있는 장애인도 불편 없이 문서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한 후 이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노인이나 시력이 약한 사람 및 시각 장애인의 정보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of a document is input to a camera, and the image of the document can be enlarged and reduced to be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in a form that is easy to read. In addition, by recognizing an image as a character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outputting it through a speaker or the like, it may be helpful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an elderly person, a person with low vision, and a visually impaired person.

Claims (8)

문서를 거치하는 문서 거치대와,Document holder for mounting documents, 상기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카메라와,A camera for receiving an image of the document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카메라를 거치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카메라 거치대와,A camera holder for mounting the camera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신호로 출력하고 문자 인식을 통하여 전자적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An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and performs image processing to output an image signal, converts it into an electronic text file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and converts it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audio signal;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Display mean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or;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디스플레이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camera,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nd the display means 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Reading desk having a camera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는,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문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글자 부분을 추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image data of a document input from the camera and extracting a character portion of the image data; 상기 이미지 처리부로부터 추출되는 글자 부분을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와,An imag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character part extrac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상기 이미지 인식부에서 인식된 글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는 텍스 트 파일 변환부와, A text file converter converting the character data recognize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into a text file; 상기 텍스트 파일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와, A voice signal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text file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voice file;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생성부An image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the image data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as an image signal 를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Reading desk having a camera that includes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로 입력된 상기 문서 이미지의 색상을 색맹을 가지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 출력하는 것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The image and the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unit, the reading table having a camera to change the output of the color image of the document image input by the electrical signal so that a person with color blindness can recogniz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And a camera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for reproduc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o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 각도, 줌 상태 및 위치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의 출력인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And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focus, angle, zoom state and position of the camera and an image signal and an audio signal which are outputs of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문서를 거치하는 문서 거치대와,Document holder for mounting documents, 상기 문서의 이미지를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카메라와,A camera for receiving an image of the document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카메라를 거치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카메라 거치대와,A camera holder for mounting the camera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문자 인식을 통하여 전자적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고 이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와, An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performs image processing, converts the electronic text file through text recognition, and converts the text into an audio signal; 상기 카메라와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camera and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Reading desk having a camera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는,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ing unit,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문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글자 부분을 추출하는 이미지 처리부와,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image data of a document input from the camera and extracting a character portion of the image data; 상기 이미지 처리부로부터 추출되는 글자 부분을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부와,An imag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character part extrac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상기 이미지 인식부에서 인식된 글자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는 텍스트 파일 변환부와, A text file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character data recognized by the image recognition unit into a text file; 상기 텍스트 파일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Voice signal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text file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 를 포함하는 것인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Reading desk having a camera that includes a.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이미지 및 문자 인식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And a camera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for reproduc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and text recognition processor.
KR1020040056308A 2004-07-20 2004-07-20 A reading desk with camera KR200600074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308A KR20060007496A (en) 2004-07-20 2004-07-20 A reading desk with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308A KR20060007496A (en) 2004-07-20 2004-07-20 A reading desk with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496A true KR20060007496A (en) 2006-01-26

Family

ID=3711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308A KR20060007496A (en) 2004-07-20 2004-07-20 A reading desk with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749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19B1 (en) * 2012-12-28 2014-07-08 (주)보은정보시스템 Bill counter supporting device with camera
WO2017023139A1 (en) * 2015-08-06 2017-02-09 서인식 Automatic alternative content search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20170017427A (en) 2015-08-06 2017-02-15 서인식 Automatic retrieval device of alternative cont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170034669A (en)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ortable image enlargement apparatus for low vision pers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19B1 (en) * 2012-12-28 2014-07-08 (주)보은정보시스템 Bill counter supporting device with camera
WO2017023139A1 (en) * 2015-08-06 2017-02-09 서인식 Automatic alternative content search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20170017427A (en) 2015-08-06 2017-02-15 서인식 Automatic retrieval device of alternative cont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170034669A (en)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ortable image enlargement apparatus for low vision pers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1167B2 (en) Document mode processing for portable reading machine enabling document navigation
US6948937B2 (en) Portable print reading device for the blind
US9626000B2 (en) Image resizing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in portable reading machine
US8036895B2 (en) Cooperative processing for portable reading machine
US7659915B2 (en) Portable reading device with mode processing
US7840033B2 (en) Text stitching from multiple images
US7505056B2 (en) Mode processing in portable reading machine
US7627142B2 (en) Gesture processing with low resolution images with high resolution processing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a reading machine
JP20115245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nlarging a text-based image of an object
US8249309B2 (en) Image evaluation for reading mode in a reading machine
US8186581B2 (en) Device and method to assist user in conducting a transaction with a machine
US20150043822A1 (en) Machine And Method To Assist User In Selecting Clothing
US20060006235A1 (en) Directed reading mode for portable reading machine
WO2005096760A2 (en) Portable reading device with mode processing
EP1050010A1 (en) Voice-output reading system with gesture-based navigation
TW201140340A (en) Sig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sign language transl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316386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program thereof
EP2410465A1 (en) Camera base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for text detection, recognition and further processing
KR20060007496A (en) A reading desk with camera
KR100954884B1 (en) Image binarization device
KR101162068B1 (en) Touch pannel type visual projector
JPH05100645A (en) Integrated external information fetching/processing/ display device
EP1804175A1 (en) An acoustic and visual device for simultaneously translating information
CN112329563A (en) Intelligent reading auxiliary method and system based on raspberry pie
KR100528181B1 (en) Screen magnifying system that can display both camera output and computer output on the sam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