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525A - 만능 근육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만능 근육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525A
KR20060006525A KR1020040055601A KR20040055601A KR20060006525A KR 20060006525 A KR20060006525 A KR 20060006525A KR 1020040055601 A KR1020040055601 A KR 1020040055601A KR 20040055601 A KR20040055601 A KR 20040055601A KR 20060006525 A KR20060006525 A KR 2006000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ylinder
piston
for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순석
Original Assignee
양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순석 filed Critical 양순석
Priority to KR102004005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6525A/ko
Publication of KR2006000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능 근육 운동 기구로서 밀거나 당기는 힘에 대하여 제동력이 가하여 지도록 발명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과, 이 원통 내에 설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와 원통 사이에 가하여 지는 힘에 대하여 피스톤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왕복 운동 제동기와,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레버와,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원통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레버와, 상기 제1레버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레버의 일측 단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레버의 타단과 상기 제2레버의 타단에 가하여 지는 힘에 대하여 상기 제동기에 의한 저항력이 가하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근육 운동 기구이다.

근육운동기구, 왕복운동제동기, 운동력 조절장치, 유압운동기구

Description

만능 근육 운동 기구{A universal muscle exercis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왕복운동제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은 만능 근육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동 기구를 움직이다가 힘사용을 중단하면 즉각 그 위치에서 동작이 멈춤으로써 운동하는 사람에게 위해를 가하지 아니하고 운동기구 자체에도 손상이 가지 아니하는 만능 근육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역도, 완력기, 등 다양한 근육 운동기구들은 주로 중력의 무게 또는 스프링 힘을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이러한 것은 어떤 방향으로 힘을 가하였다가 놓으면 원위치 하려는 힘이 워낙 크기 때문에 서서히 원위치 시키지 아니하면 매우 위험하게 된다.
많은 헬스클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근육운동기구들도 주로 중력을 이용하는 기구들이 대부분이어서 당겼다가 놓거나 덜었다가 놓을 때 서서히 힘을 주어서 놓지 아니하면 무게추가 급속히 하강하여 운동기구를 손상시키거나 운동하는 사람이 위 해를 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왕복 운동을 하는 과정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힘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유압실린더나 압축공기실린더를 이용하여 저항력을 가하도록 하는 운동기구(예: 로윙머신)도 있지만, 이러한 것도 운동의 한쪽 방향으로만 저항력이 가하여지도록 된 것이어서 양방향의 운동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왕복운동을 억제하기 위한 왕복 운동 제동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근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창안된 만능근육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과, 이 원통 내에 설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원통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와 원통 사이에 가하여 지는 힘에 대하여 피스톤의 이동을 방해하는 제어 가능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왕복 운동 제동기와,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피스톤 로드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레버와,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피스톤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레버와, 제1레버의 일측 단부와 제2레버의 일측 단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제1레버의 타단과 제2레버의 타단에 가하여 지는 힘에 대하여 제동기에 의한 저항력이 가하여지도록 구성된 만능 근육 운동 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왕복 운동 제동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제동기의 일 실시 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10)과, 이 원통 내에 설치된 피스톤(12)과, 이 피스톤에 일체로 연결된 피스톤 로드(15)와, 피스톤 로드와 대향하는 원통의 외부에 위치하는 원통로드(14)와, 원통(10) 내의 피스톤(12)에 위하여 분리되는 원통 내의 두 개의 공간 즉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을 연결하는 연결통로(20)를 가진다.
연결통로(20)는 원통(10)의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을 연결하는 밀폐된 유체의 통로이고, 원통(20)의 제1공간(11)에 연결된 제1출입구(21)에서 파이프가 연결되어 제1연결통로(22)와 제2연결통로(23)로 분기되었다가 다시 합하여 져서 출입구(28)를 통하여 원통의 제2공간(13)으로 연결된다. 제1연결통로(22)에는 제1체크밸브(25)와 제1제어밸브(24)가 유로 중간에 설치되고, 제2연결통로(23)에도 제2체크밸브(26)와 제2제어밸브(27)가 유로 중간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체크밸브(25)와 제2체크밸브(26)는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설치한다.
이 연결통로(20)에는 연결통로의 일부분에 외부로 연결하는 외부연결통로(29)를 설치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연결통로 단부에는 밸브(28)를 설치한다. 이 외부연결통로는 유체 저장소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게 큰공간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부연결통로(29)를 통하여 피스톤 운동으로 인하여 소모되거나 누설되는 유체를 보충하고, 또 유체에서 발생되는 기체를 방출한다. 유체 순환 시스템에서 부족 되는 유체는 밸브(28)를 열고 오픈 된 개구에서 시스템 내부로 주입하면 된다.
또한 이 연결통로에는 일반적으로 유체 순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필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원통에는 피스톤 로드(15)가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때 내부 유체(30)가 연결통로(20) 이외의 부분으로 누설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하여 패킹(32: 예, 오링)이 설치되어 있다. 원통(10)에는 유체(30)가 피스톤(12)의 이동에 따라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의 체적이 변화되고 압력도 변화되므로 피스톤 가장자리와 원통 내벽 사이에 유체 누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하여 피스톤 자장자리에 패킹(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패킹(33)은 없어도 된다. 왜냐하면 유체가 조금 누설이 되어도 제동력은 제어밸브로서 조절이 되기 때문에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이 패킹은 피스톤 운동의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지만 이 패킹이 없을 경우에도 충분히 저항력이 발생되도록 원통 벽과 피스톤의 정밀도를 높이면 패킹이 필요 없다. 원통로드(14)는 꼭 로드일 필요는 없고 원통과 피스톤 로드 사이에 왕복 운동력이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운동력을 받는 부재를 형성하면 된다.
유체에는 기름을 사용하면 마찰이 적어짐으로 제동기의 수명이 길어진다. 그러나 유체에 기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체의 통로는 파이프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되지만, 원통 벽에 구멍을 뚫어서 원통 벽면에 직접 형성하여도 된다.
또 원통(10)과 피스톤로드(15)사이에 패킹(32)은 유체의 누설을 막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공지된 밀폐기구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가 있고, 일부러 패킹에 일정 량의 누설이 발생하도록 미리 누설통로를 형성하여도 된다.
제어 밸브는 공지된 여러 가지 밸브를 사용할 수가 있고, 유체의 통로가 원통 벽면에 직접 형성된 것이면 통로의 일부에 나사를 내어 코크를 설치하여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밸브는 제동기의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가 있다. 보통 사용하는 운동기구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단한 글로벌 밸브나 코크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승용차와 같이 진동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자제어밸브를 사용하여 제동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왕복 운동 제동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원통로드(14)와 피스톤 로드(15) 사이에 힘이 작용하여 왕복 운동을 일으키려고 하면, 다시 말하면 운동기구에서는 사람이 피스톤로드를 원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려고 한다든지 자동차용일 때는 자동차가 크게 흔들린다든지 하면, 원통에 대하여 피스톤이 이동하여 원통 내의 유체가 힘을 받아서 이동하게 된다.
지금 도시된 도면에서 피스톤(12)이 원통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공간(11)의 체적은 줄어들고 제2공간(13)의 체적은 크게 되어, 유체(30)는 제1출입구(21)로 나와서 제2출입구(28)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제1연결통로에는 제1체크밸브(25)가 유체의 이동을 완전히 막고 있음으로 제1연결통로(22)로는 유체가 이동될 수 없고, 제2연결통로(23)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26)는 순방향이 되므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제동력은 제2제어밸브(27)의 오픈 정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음에는 도시된 도면에서 피스톤(12)이 원통에 대하여 좌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임으로 이 경우에는, 제1공간(11)의 체적은 크게 되고 제2공간(13)의 체적은 작게 변화됨으로, 유체(30)는 제2출입구(28)로 나와서 제1출입구(21)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제2연결통로(23)에는 제2체크밸브(65)가 역방향이 되어 유체의 이동을 완전히 막고 있음으로 제2연결통로(23)로는 유체가 이동될 수 없고, 제1연결통로(22)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25)는 순방향이 되므로 유체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제동력은 제1제어밸브(24)의 오픈 정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유체로서 액체를 사용하고 밸브를 완전히 잠그면 피스톤의 이동은 극히 제한되어 이동이 매우 힘들어 진다. 이 때는 유체가 피스톤과 원통 벽 사이의 누설되는 양 정도로만 피스톤이 이동될 수 있다. 제어밸브를 완전히 열면 제동력이 가장 작게 된다.
제어밸브를 적당하게 열면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당한 힘이 필요하게 된다. 제1연결통로와 제2연결통로의 제어밸브의 열림 정도를 각각 다르게 하면 제1연결통로로 유체가 흐를 때의 운동방향과 제2연결통로로 유체가 흐를 때의 제동력에 차이가 나서 운동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왕복 운동시키려는 힘에 대항하는 저항력은 제어밸브의 조절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된다.
그리고 유체로서 액체 대신 기체를 사용하면 제동력은 다양하게 변화된다.
즉 압축하는 힘과 밸브를 통과하는 기체에 의하여 감소되는 압축력이 균형을 이루면서 제동력이 변화된다. 기체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처음 압축력에 대하여는 저항이 매우 적다가 기체가 어느 정도 압축된 후에는 큰 저항력이 작용할 것이다.
본 제동기는 제1도에서 보인 것 이외에도 피스톤 자체에 미세한 구멍을 형성하거나 원통 벽면에 미세한 홈을 형성하여 제동력의 상한치와 하한치를 조절할 수가 있다. 연결통로들을 이루는 파이프는 금속 파이프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플렉시블한 호스를 사용하여도 된다. 원통과 피스톤 사이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은 고무나 금속으로 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다음은 도2를 참조하면서 위에서 설명한 제동기를 이용하는 근육운동기구를 설명한다.
본 만능 근육 운동 기구는 원통형 원통(10)과, 이 원통 내에 설치된 피스톤(12)과, 이 피스톤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원통(10)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로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피스톤로드와 원통 사이에 가하여 지는 힘에 대하여 피스톤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왕복 운동 제동기와,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피스톤로드(15)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핀(57)으로 결합된 제1레버(56)와,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원통(10)의 일단[여기서는 원통로드(14)의 단부]이 회동 가능하게 핀(70)으로 결합된 제2레버(71)와, 제1레버의 일측 단부와 제2레버의 일측 단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제1레버의 타단과 제2레버의 타단에 가하여 지는 힘에 대하여 제동기에 의한 저항력이 가하여지도록 구성된다.
결합수단은 제1레버(56) 및 제2레버(71)의 일단을 직접 축으로 결합시켜서 회 동 가능하게 하여도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61) 양단에 축(58, 69)으로 결합하여서 회동되게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 지지바(61)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길게 또는 짧게 만들 수가 있다. 제1레버(56) 및 제2레버(71)의 일단을 직접 축으로 결합시켜서 회동 가능하게 만들면 구조가 간단하지만 제1레버와 제2레버가 이격되는 거리와 저항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쉽지 아니하므로 지지바(61)를 추가하여 링크기구로 만들어 각 레버의 타단을 각각 손잡이(53)로 사용하여 실린더의 저항력과 손잡이에 가할 수 있는 힘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하기가 쉽다.
또 결합수단은 제1레버 및 제2레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61)와, 제1레버와 제2레버를 끌어당기거나 멀어지게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62)을 포함한다. 이 스프링(62)은 인장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여 이렇게 기능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프링이 제1레버와 제2레버에 결합되는 위치를 레버와 지지바를 결합하는 핀(58, 69) 외측으로 하느냐 또는 내측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두 개의 레버를 당겨 주는 힘을 발생하느냐 아니면 밀어주는 힘을 발생하느냐가 결정된다.
두 개의 레버를 서로 밀고 당기는 기능을 임의로 쉽게 조절하게 하기 위하여, 제1레버(56)의 일단에 축(58)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60)은 스프링(62)의 일단에 결합된 제1조절레버(59)와, 제2레버(71)의 일단에 축(69)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67)은 스프링(62)의 타단에 결합된 제2조절레버(66)를 설치한다. 그래서 제1 및 제2 조절레버를 회동하여 각각 제1위치(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고정하면 당기는 힘을 발생하는 스프링(62)이 제1 및 제2레버의 타 단을 끌어당기게 되고, 제1 및 제2 조절레버를 회동하여 각각 제2위치(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고정하면 당기는 힘을 발하는 스프링(62)이 제1 및 제2레버의 타단을 서로 멀어지게 된다.
제1 및 제2 레버의 타단에는 손잡이(53)들이 형성되고, 각각 길이를 연장하기 귀한 길이가변연장부(52, 75)를 추가로 구비한다. 길이가변연장부(52, 75)는 "T"형상으로 만들어 레버와 결합된 부분에 길이 조절용 구멍들을 다수개 형성한 것이다. 그래서 레버에 형성된 구멍(72)과 길이가변연장부(52, 75)에 형성된 구멍을 맞추어서 핀(54, 74)을 꽂으면 길이가 고정 결합된다. 이렇게 길이가 연장되면 레버의 벌어지는 거리가 멀어 짐으로 제1조절레버(52) 단부(51)를 발로 걸거나 잡고 제2조절레버(75)는 손으로 잡고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결합수단은 또한 지지바(61)를 고정체(도시 안 함)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시키는 걸이부(63)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걸이부는 하나의 고리로 된 것이어도 되고, 전후좌우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유니버설 조인트나 볼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만능 근육운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운동기구를 걸이부(63)를 이용하여 적당한 높이로 걸거나, 아니면 제1레버와 제2레버의 손잡이(53)를 잡아들고서 두 레버 사이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면 운동이 된다.
이때 제동기의 저항력을 조절하면서 운동하는 사람의 힘에 맞게 적당하게 조절한다. 저항력의 조절은 제어밸브(24, 27)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면 된다.
제어밸브를 조절하면 벌리거나 오므리는 힘의 정도를 같이하거나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가 있다.
또 오므리는 방향으로만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조절레버와 제2조절레버를 도면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제2위치)에 위치시키고 제어밸브(27)를 충분히 열어 주게 되면 레버를 오므린 후에 스프링(62)의 인장력에 의하여 두 레버가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벌어지는 속도를 제어밸브(27)를 조절하여 정한다. 제어밸브(27)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양을 줄이면 스프링 힘에 의하여 벌어지는 힘이 크게 저항을 받으므로 서서히 열리게 되고, 반대로 많이 열어 놓으면 유체가 많이 흐르므로 쉽게 열리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벌리는 방향으로만 운동하고자 하면 스프링 힘에 의하여 레버가 자동적으로 오므려 들게 하면 된다. 즉 제1조절레버와 제2조절레버를 도면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제1위치)에 위치시키고, 제어밸브(27)를 조절하여 힘의 세기를 조절한 다음, 제어밸브(24)를 충분히 열어 주게 되면, 레버를 벌어진 후에 스프링(62)의 인장력에 의하여 두 레버가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벌어지는 속도를 제어밸브(24)를 조절하여 정한다. 제어밸브(24)를 잠그면 오므려지는 스프링 힘이 크게 저항을 받으므로 서서히 오므려지게 되고, 반대로 많이 열어 놓으면 유체가 많이 흐르므로 쉽게 오므려 진다.
지금 스프링 힘에 의하여 자동으로 오므려 지거나 벌어지는 동작을 중지시키려고 하면 두 개의 조절레버의 위치를 중립위치(서로 엇갈리게 된 위치)에 위치시키면 된다. 즉 제1조절레버는 제1위치에 두고 제2조절레버는 제2위치에 두면 된다. 또는 제1조절레버는 제2위치에 두고 제2조절레버는 제1위치에 두면 된다. 이러한 위치에 조절레버가 위치하게 되면 오므리는 힘과 벌리는 힘이 서로 상쇄되어(정확하게는 벡터로 계산된 값만큼 비틀어지게 되겠지만) 거의 없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다리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길이가변연장부를 이용하여 레버의 길이를 길게 하고 발과 손으로 T형 손잡이를 밟고 잡은 후 밀고 당기면 운동이 되고 그 힘의 조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된다. 이때 발과 손 허리근육에 의한 힘이 강력하므로 제동기의 저항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제어밸브를 더 잠가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만능 근육 운동 기구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운동을 하다가 힘을 중지하면 그 위치에서 정지함으로 운동자와 기구 자체에 위해를 주기 아니하고 안전하다(스프링이 없는 구조로 하거나 조절레버를 중립위치에 놓은 경우).
팔, 다리, 허리 운동 운동에 이용할 수 있다.
팔 운동시 벌리거나 오므리는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고, 팔다리 운동시 밀고 당기는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팔 운동시 벌리거나 오므리는 운동의 세기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고, 팔다리 운동시 밀고 당기는 운동의 세기를 조절 할 수 있다.
본 운동기구를 손으로 들고 할 수도 있고 고정 구조물에 걸어 놓고 무게를 느끼지 않고 운동할 수 있다.
운동하는데 소음이 거의 없다.
어린이에서부터 어른 노인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가 있다.
근육 운동으로 인한 인체의 건강상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Claims (7)

  1. 원통과 이 원통 내에 설치된 피스톤, 및 이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로드를 가지고 이 원통과 피스톤로드의 상대 운동에 대하여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왕복 운동 제동기와,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레버와,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원통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레버와, 그리고
    상기 제1레버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레버의 일측 단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레버와 상기 제2레버에 가하여 지는 힘에 대하여 상기 제동기에 의한 저항력이 가하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근육 운동 기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레버 및 제2레버의 일단을 지지바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근육 운동 기구.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레버 및 제2레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의 각 타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하거나 멀어 지게 하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근육 운동 기구.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레버 및 제2레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와,
    상기 제1레버와 제2레버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당기나 멀어 지도록 미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레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결합된 제1조절레버와,
    상기 제2레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된 제2조절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조절레버를 이동하여 각각 제1위치에 고정하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1 및 제2레버의 타단을 끌어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조절레버를 이동하여 각각 제2위치에 고정하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제1 및 제2레버의 타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힘을 가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근육 운동 기구.
  5. 청구항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바를 고정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시키는 걸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근육 운동 기구.
  6. 청구항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는,
    원통형 원통과,
    상기 원통 내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구분되는 원통 내의 제1공간과 제2공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와,
    상기 연결통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만능 근육 운동 기구
  7. 청구항6에 있어서,
    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연통되는 외부연결통로를 상기 연결통로 중에 연결하여, 부족하게 되는 유체를 보충하고, 유체 내의 기체를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근육 운동 기구.
KR1020040055601A 2004-07-16 2004-07-16 만능 근육 운동 기구 KR20060006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601A KR20060006525A (ko) 2004-07-16 2004-07-16 만능 근육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601A KR20060006525A (ko) 2004-07-16 2004-07-16 만능 근육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525A true KR20060006525A (ko) 2006-01-19

Family

ID=3711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601A KR20060006525A (ko) 2004-07-16 2004-07-16 만능 근육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65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02B1 (ko) * 2013-07-19 2015-03-18 (주)젬텍 유공압식 운동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02B1 (ko) * 2013-07-19 2015-03-18 (주)젬텍 유공압식 운동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9004B2 (en) Weight lifting simulator apparatus
US20170001064A1 (en) Adjustable angle weight lifting bench
US7762934B1 (en) Exercise apparatus based on a variable mode hydraulic cylinder and method for same
US4448412A (en) Exercising device with double acting hydraulic cylinder
US10071276B2 (en) Weight lifting bench
US5527251A (en) Compressible fluid-based, adjustable resistance hydraulic system for exercise equipment
US4291787A (en) Exercising device with double acting hydraulic cylinder
US20070129223A1 (en) Weight lifting simulator apparatus
TWI351365B (en) Bicycle suspension having stroke and damper adjust
US9017233B2 (en) Water resistance lower body reciprocating exerciser
US2009027773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 sensitive suspension dampening
WO1996011724A9 (en) Compressible fluid-based, adjustable resistance hydraulic system for exercise equipment
US3912265A (en) Fluid flow resistance exerciser having selectively reversible fluid flow control means
US3861677A (en) Exercisers
US20070129222A1 (en) Weight lifting simulator apparatus
EP0521037A4 (ko)
KR20060006525A (ko) 만능 근육 운동 기구
US9017234B2 (en) Water resistance upper body reciprocating exerciser
KR20070000547U (ko) 가정용 실내 운동기구
CN106481178A (zh) 阻尼铰链
US7387594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resistance mechanism
KR200419835Y1 (ko) 수동식 공압 헬스기구
KR200304625Y1 (ko) 유체를이용한왕복운동제동기
KR200322687Y1 (ko) 왕복 운동 제동기
KR20040099124A (ko) 왕복 운동 제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