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778A -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778A
KR20060004778A KR1020040052966A KR20040052966A KR20060004778A KR 20060004778 A KR20060004778 A KR 20060004778A KR 1020040052966 A KR1020040052966 A KR 1020040052966A KR 20040052966 A KR20040052966 A KR 20040052966A KR 20060004778 A KR20060004778 A KR 20060004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pad
input
hangul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2004005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4778A/en
Publication of KR2006000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7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는 「·」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키를 배치한 키패드; 및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이 할당되고, 한글 모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한 키 배열이 할당되고, 상기 키 배열들이 입력되면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생성하는 문자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small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_" key is arranged above the "*" key, the " ̄" key is arranged below the key, and the "|" key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ey. A keypad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pad; And "a", "b", "c", "r",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 For the Korean consonant phonemes of 」and ㅎ, the above five keys are combin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but a key array ending with a key other than the" · "key is assigned. A character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Hangul character code by combining the recognized phonemes when the key arrays are independently assign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the phonemes, and the key arrays are input; It is configured by.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음 입력을 위한 키들과 모음 입력을 위한 키들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은 5개의 키를 구비한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여 소형의 이동 단말기임에도 불구하여 각 키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장애우나 소아들이 휴대하면서 한글을 입력하기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key is relatively wide in spite of being a small mobile terminal by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keypad having five keys which do not separate keys for consonant input and keys for vowel input separately. It is easy to input Hangul while handicapped people or children with space.

Description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개념적인 구성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small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키패드 20 : 문자 코드 생성부10: keypad 20: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가장 일반적인 한글 입력 장치 중 하나인 키보드는 한글의 기본 자음 자소인「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기본 모음 자소인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에 대하여 각각 별개의 키를 할당하고 입력하도록 하고, 복자음은 쉬프트 키와 해당 자음 키의 조합에 의해 입력하도록 하고, 종성의 겹자음, 중성의 복모음 그리고 한글 문자 조합은 한글 오토메타라는 소프트웨어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One of the most common Hangul input devices is the keyboard, which is the basic consonant phoneme of Hangul: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 ㅋ, ㅋ, ㅌ, ㅍ, ㅎ, basic vowel phoneme ㅏ, ㅑ, ㅓ, ,, ㅗ, ㅛ Separate keys for "TT", "ㅠ", "ㅡ", "ㅣ" are to be assigned and input, and the consonant sound is input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hift key and the corresponding consonant key. Double vowels and Hangul character combinations are supported by software called Hangul Autometa.

그러나,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 단말기들은 키보드와 같은 정도의 키를 구비할 수 없으므로, 12개의 숫자 키들(기능 키 제외)을 활용하게 한글 입력이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 단말기의 크기가 점점 더 작아지면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의 크기도 작아지고 각 키의 크기도 매우 작아졌다. 일반인은 이와 같이 작은 크기의 키를 가지고도 자유자재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지만, 몸 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장애우의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키를 선택하여 누르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다.However,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cannot be provided with the same level of keys as keyboards, and thus Korean characters can be inputted using 12 numeric keys (except function keys). However, as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becomes smaller and smaller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size of the keypad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is smaller and the size of each key is also very small. The general public can enter characters freely even with such a small sized key, but in the case of a disabled person whose body motion is not smooth, it is very difficult to select and press a small sized key.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해 12개의 숫자 키들을 모두 사용하는 것은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한 일반인을 위한 것으로 문자 입력을 위한 키 스트로크 횟수를 가능한한 줄이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몸 동작이 부자유스러운 장애우나 소아의 경우에는 작은 크기이지만 많은 수의 키가 구비된 키패드보다는 적은 수이지만 큰 크기의 키가 구비된 키패드가 보다 유용하므로, 보다 적은 수의 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입력 장치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The use of all 12 numeric keys for character input in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s intended for a general person who can operate normally and can be said to reduce the number of key strokes for character input as much as possible. However, in the case of a handicapped or disabled child whose physical motion is inconvenient, a keypad with a small size but a large size is more useful than a keypad with a large number of keys. Hangul input device that can input the can be said to be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자음 입력을 위한 키들과 모음 입력을 위한 키들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은 5개의 키를 구비한 키패 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한글 자/모음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의해 할당된 키 배열을 차례로 스트로크 함으로써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user uses a keypad having five keys which do not separately distinguish keys for consonant input and keys for vowel input. And a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small keypad that can input Hangul by sequentially stroked key sequences assigned by stroke order, and a method thereof.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는 「·」키(天 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下地 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上地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키(右人 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키(左人 키)를 배치한 키패드; 및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이 할당되고, 한글 모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한 키 배열이 할당되고, 상기 키 배열들이 입력되면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생성하는 문자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small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_" key (下地 key) disposed above and centered on the "*" key (天 key). A keypad on which a " ̄" key is arranged, a "|" key is arranged on its left side, and a "|" key is arranged on its right side; And "a", "b", "c", "r",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 For the Korean consonant phonemes of 」and ㅎ, the above five keys are combin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but a key array ending with a key other than the" · "key is assigned. A character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Hangul character code by combining the recognized phonemes when the key arrays are independently assign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the phonemes, and the key arrays are input; It is configured by.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은 (a) 키패드에 「·」키(天 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下地 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上地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키(右人 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키(左人 키)를 배치하는 단계; (b)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 「ㅋ」, 「ㅌ」, 「ㅍ」, 「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을 할당하고, 한글 모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한 키 배열을 할당하는 단계; (c) 키 배열들을 입력받고, (b) 단계에서 할당된 키 배열이 형성될 때마다 대응하는 한글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및 (d) 인식된 자소들을 한글 오토메타에 의해 조합함으로써 한글 문자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small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cing the "_" key (下地 key) on the top of the "*" key (天 key) on the keypad. To place the " ̄" key on the lower side, the "|" key to the left side, and the "|" key to the right side. step; (b) "a", "b", "c", "r",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For the Korean consonant phonemes of ',' and 'ㅎ', the five keys are combin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and a key array ending with a key other than the '·' key is assigned. Assigning a key arrangement that independently combines the five keys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c) receiving key arrays and recognizing a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whenever a key array assigned in step (b) is formed; And (d) generating the Hangul character code by combining the recognized phonemes by the Hangul autometa.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small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키패드(10)와 한글 코드 생성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10 and a Hangul code generation unit 20.

키패드(10)에는 5개의 키가 배치되는데, 「·」키(天 키)(12)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下地 키)(11)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上地 키)(13)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키(右人 키)(14)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키(左人 키)(15)를 배치한다. 또한, 「_」키(11), 「·」키(12), 「 ̄」키(13), 「 |」키(14), 「| 」키(15)에는 각각 숫자 「1」, 「2」, 「3」, 「4」, 「5」가 중복하여 할당된다. 키패드(10) 상에 배치된 5개의 키들은 장애우나 소아가 동작하기 용이하도록 충분한 크기와 공간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구체적인 크기와 공간은 본 발명에서의 한정 사항은 아니고 개발자의 선택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키패드(10)는 한글 의 자음/모음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서 5개의 키를 구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기능 확장을 위해 하나 이상의 별도의 기능 키(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ive keys are arranged in the keypad 10, centering on the "*" key (天 key) 12, the "_" key (下地 key) 11 is arranged above, and the "」 "key below. Key 13 is placed, the "|" key 14 is placed on its left side, and the "|" key 15 is placed on its right side. do. In addition, the "11" key 11, the "*" key 12, the " ̄" key 13, the "|" key 14, and the "|" key 15 are the numbers "1" and "2", respectively. "," 3 "," 4 "," 5 "are allocated in duplicate. The five keys disposed on the keypad 10 are preferably arranged to have a sufficient size and space so that the handicapped or a child can easily operate, but the specific size and space thereof are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a choice of the developer. Therefore,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eypad 10 has five keys for inputting a consonant / vowel phoneme of Korean. In principle, the keypad 10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separate function keys (not shown) for function expans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limiting it.

또한, 이 명세서에서의 키패드(10)는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 일체로 구비된 형태의 키패드 뿐만 아니라, 아동용 기기의 입력 장치로서 사용되는 독립된 형태의 키패드 및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 장치로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he keypad 10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only a keypad integrally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etc., but also a user of an independent type keypad and a touch screen type input device used as an input device of a children's device. It is us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interfaces.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키패드(10)로부터 키 스트로크에 따른 키 배열들을 입력받고, 입력된 키 배열들을 해석하여 대응하는 한글 자음/모음 자소들을 인식하고,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receives key arrays according to key strokes from the keypad 10, interprets the input key arrays, recognizes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s / vowels, and combines the recognized phonemes. Generate a character code.

기본 자음 자소Basic consonant 키 배열Key array 기본 자음 자소Basic consonant 키 배열Key array A 1,51,5 1,4,3,51,4,3,5 N 4,34,3 4,5,34,5,3 C 1,4,31,4,3 H 2,4,5,32,4,5,3 D 1,5,4,31,5,4,3 Lol 2,1,52,1,5 M 4,1,5,34,1,5,3 2,1,4,3 또는 1,4,2,32,1,4,3 or 1,4,2,3 4,5,1,34,5,1,3 1,4,5,3 또는 1,31,4,5,3 or 1,3 S 1,4,51,4,5 2,1 또는 2,1,4,3,52,1 or 2,1,4,3,5

입력된 키 배열에 의해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들을 인식하기 위하여,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표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관리한다. 표 1의 키 배열에서의 숫자는 각 키에 표시된 숫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응하는 키를 의미한다.In order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 phonemes by the input key arrangement,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manages a table as illustrated in Table 1. The numbers in the key arrangement of Table 1 represent the numbers displayed on each key, and mean the corresponding keys.

표 1에 표시된 한글 자음 자소의 키 배열은 기본적으로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상호 독립적으로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ㄱ」은 획순에 따라 「_」키(11)가 스트로크 된 다음 「| 」키(15)가 스트로크 됨으로써 형성되고, 「ㄴ」은 획순에 따라 「 |」키(14)가 스트로크 된 다음 「 ̄ 」키(13)가 스트로크 됨으로써 형성되고, 「ㄷ」은 획순에 따라 「_」키(11)가 스트로크 되고 「 |」키(14)가 스트로크 된 다음 「 ̄ 」키(13)가 스트로크 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표 1의 키 배열은 한글 자음 자소 쓰기에 대응하는 조합으로 구성되므로 초보자들도 조금만 연습하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The key arrangement of the Hangul consonant phonemes shown in Table 1 is basically a combination of the five keys independent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For example, "a" is formed by the stroke of the "key" key 11 in the stroke order, followed by the stroke of the "|" key 15, and "b" is the stroke of the "|" key 14 in the stroke order. After being stroked, the " ̄" key 13 is formed by the stroke, and "c" is formed by the stroke order of the "_" key 11 and the "|" key 14 is stroked, followed by the " ̄" key 13 ) Is formed by stroke. Thus, the key arrangement of Table 1 is composed of combinations corresponding to Hangul consonant writing, so even beginners can easily recognize it with a little practice.

표 1에 의하면 한글 자음 자소의 키 배열들이 모두 「2」키(또는 「·」키)(12) 이외의 키로 끝나는데, 이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한글 모음 자소의 키 배열과 더불어 사용될 때 혼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According to Table 1, all the key constellations of Hangul consonants are terminated with keys other than the "2" key (or "·" key) 12, which is confusing when used with the key constellations of Hangul vowel letters described below. It is configured not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문자 코드 생성부(20)가 한글 자음 자소들 중 「ㄱ」, 「ㄷ」, 「ㅂ」, 「ㅅ」, 「ㅈ」에 해당하는 키 배열에서 마지막 키 입력이 길게 누름(예를 들어, 0.5초 이상)임을 감지한 경우, 입력된 자음을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키패드가 쌍자음 입력을 위한 기능 키를 별도로 구비하고, 문자 코드 생성부가 한글 자음 자소들 중 「ㄱ」, 「ㄷ」, 「ㅂ」, 「ㅅ」, 「ㅈ」에 해당하는 키 배열이 입력된 직후에 쌍자음 기능 키가 입력되면, 먼저 입력된 자음을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is the last key input in the key array corresponding to "a", "c", "ㅂ", "ㅅ", "ㅈ" of the Hangul consonant phone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long press (for example, 0.5 seconds or more), the input consonants are recognized as twin consonants "ㄲ", "ㄸ", "ㅃ", "ㅆ", and "ㅉ".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keypad is provided with a function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and the character code generator corresponds to "a", "c", "ㅂ", "ㅅ", and "ㅈ" among Korean consonants. If the consonant function key is input immediately after the key arrangement is input, the consonant inputted first may be recognized as the twin consonants "ㄲ", "ㄸ", "ㅃ", "ㅆ", and "ㅉ".

기본 모음 자소Basic vowel 키 배열Key array 기본 모음 자소Basic vowel 키 배열Key array 4,24,2 2,2,32,2,3 4,2,24,2,2 TT 1,21,2 2,52,5 1,2,21,2,2 2,2,52,2,5 33 2,32,3 55

입력된 키 배열에 의해 대응하는 한글 모음 자소들을 인식하기 위하여,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관리한다.In order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Hangul vowel characters by the input key arrangement,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manages a table as illustrated in Table 2.

본 실시예에서의 모음 입력 방식은 천지인 입력 방식과 유사하나, 종래 기술에 의한 地 키를 「_」키(下地 키)(11)와 「 ̄」키(上地 키)(13)로 구분하고, 종래기술에 의한 人 키를 「 |」키(右人 키)(14)와 「| 」키(左人 키)(15)로 구분하였으며, 자음 자소 입력을 위한 키들을 그대로 모음 입력을 위한 키들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같은 복모음 또한 표 2의 키 배열을 확장함으로써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ㅖ」의 키 배열은 2,2,5,5라 할 수 있습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wel input method is similar to the celestial input method, but the land key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vided into a "key" key 11 and a "kkey" key 13. In the related art, the human key is divided into "|" key (右 人 key) 14 and "|" key (左 人 key) (15), and keys for vowel input as they are. It is to use as. Double vowels such as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Can be combined by extending the key array. For example, the key sequence for "ㅖ" is 2,2,5,5.

한편,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문자 입력 모드와 더불어 숫자 입력 모드를 관리할 수 있다.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별도의 기능 키의 스트로크를 감지하거나, 「 |」키(右人 키)(14)의 길게 누름을 감지함으로써 문자 입력 모드와 숫자 입력 모드를 상호 전환할 수 있다. 문자 입력 모드와 숫자 입력 모드의 토글에 「 |」키(14)를 활용하는 것은 표 1 및 표 2의 자음/모음 자소들에 대응하는 키 배열들 중에 「 |」키(14)(즉, 숫자 표시로는 「 4」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은 없기 때문에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may manage the numeric input mode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may switch between the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numeric input mode by detecting a stroke of a separate function key or by detecting a long press of the "|" key (右 人 key) 14. Utilizing the "|" key 14 to toggle between the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number input mode is that the "|" key 14 (i.e., numbers) among the key arrangement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 vowel consonants of Table 1 and Table 2. This is possible because there is no key sequence ending with "4" ke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숫자 입력 모드에서 「1 」, 「2」, 「3」, 「4」, 「5」가 표기된 키가 짧게 한번 입력되면 각각 「1」, 「2」, 「3」, 「4」, 「5」 문자 코드를 생성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1」, 「2」, 「3」, 「4」, 「5」가 표기된 키가 짧게 두 번 입력되면 각각 「6」, 「7」, 「8」, 「9」, 「0」 문자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현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may enter “1” when the keys marked “1”, “2”, “3”, “4”, and “5” are shortly input in the numeric input mode. , '2', '3', '4', '5' character codes are generated, and in the numeric input mode, the keys marked '1', '2', '3', '4', '5' are short. If input twice, it is implemented to generate "6", "7", "8", "9", and "0" character codes, respectively.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0」~ 「9」의 숫자에 각각 1 또는 2개의 동시에 눌려진 키 조합을 할당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된 숫자 키 또는 동시에 눌려진 숫자 키의 조합에 대응하는 숫자 코드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 3에 예시된 키 조합이 가능하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assigns one or two simultaneously pressed key combinations to the numbers "0" to "9", respectively, and the numeric keys input in the numeric input mode or the simultaneously pressed numeric keys. It may be implemented to generate a numeric code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For example, the key combinations illustrated in Table 3 are possible.

숫자number 키 조합Key combination 숫자number 키 조합Key combination 1One 1One 66 4 + 34 + 3 22 22 77 5 + 15 + 1 33 33 88 5 + 25 + 2 44 4 + 14 + 1 99 5 + 35 + 3 55 4 + 24 + 2 00 2 + ANY KEY2 + ANY KEY

또한, 표 1에 의하면 한글 자음 자소 「ㅇ」에 대하여 1,4,3,5의 키 배열을 할당하고 있는데, 한글 문자 입력시 초성에 「ㅇ」의 출현 빈도수가 많음을 감안하면 「ㅇ」에 대하여 4번의 키 스트로크는 매우 부담스럽다. 이를 위해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한글 문자 입력시 각 단어별로 첫문자의 초성에 「ㅇ」에 대응하는 키 배열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초성 자음 자소 대신 중성 모음 자소의 입력이 먼저 인식되면 해당 문자의 초성이 「ㅇ」임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according to Table 1, 1,4,3,5 key arrays are assigned to the Korean consonant phoneme "ㅇ". 4 key strokes is very burdensome. To this end,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does not input a key array corresponding to "ㅇ" in the initial letter of the first letter for each word when the Hangul character is input.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that the initial property of is "o".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small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먼저, 키패드(10)에 「·」키(天 키)(12)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下地 키)(11)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上地 키)(13)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키(右人 키)(14)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키(左人 키)(15)를 배치한다(S10). 또한, 「_」키(11), 「·」키(12), 「 ̄」키(13), 「 |」키(14), 「| 」키(15)에는 각각 숫자 「1」, 「2」, 「3」, 「4」, 「5」가 중복하여 할당된다. 또한, 키패드(10)에는 한글의 자음/모음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서 상기한 5개의 키들을 설치하지만, 기능 확장을 위해 하나 이상의 별도의 기능 키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First, the "10" key is placed on the keypad 10 with the "*" key (天 key) 12 as the center, and the " ̄" key (上 地) below it. Key) 13, the "|" key 14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the "|" key 15 is arranged on the right side (S10). In addition, the "11" key 11, the "*" key 12, the " ̄" key 13, the "|" key 14, and the "|" key 15 are the numbers "1" and "2", respectively. "," 3 "," 4 "," 5 "are allocated in duplicate. In addition, the keypad 10 is provided with the above five keys for inputting the Korean consonant / vowel phoneme, but one or more separate function keys may be installed to expand the function.

문자 코드 생성부(20)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한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을 할당하고, 한글 모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한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한 키 배열을 할당한다(S20).In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a", "b", "c", "r", "ㅁ", "ㅂ", "ㅅ", "o", "ㅈ", "ㅊ", "ㅋ" For the Korean consonant phonemes of ,, ㅌ, ㅍ, and ㅎ, the above five keys are combin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For the Korean vowel phoneme, a key arrangement in which the above five keys are independently combi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is allocated (S20).

이후, 문자 코드 생성부(20)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 배열들을 감지하고(S30), 미리 할당된 키 배열이 형성될 때마다 대응하는 한글 자소를 인식한다(S40). 이후, 인식된 자소들을 한글 오토메타에 의해 조합함으로써 한글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S50). 이때, 한글 자음 자소들 중 「ㄱ」, 「ㄷ」, 「ㅂ」, 「ㅅ」, 「ㅈ」에 해당하는 키 배열에서 마지막 키 입력이 길게 누름(예를 들어, 0.5초 이상)임을 감지한 경우, 입력된 자음을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으로 인 식하도록 한다. Thereafter,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detects key arrangements input by the user (S30), and recognizes a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whenever a pre-assigned key arrangement is formed (S40). Thereafter, the Hangul character code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recognized phonemes by the Hangul autometa (S50). At this time, it is detected that the last key input is pressed for a long time (for example, 0.5 seconds or longer) in a key array corresponding to "a", "c", "ㅂ", "ㅅ", and "ㅈ" among Hangul consonants. In this case, the input consonants are recognized as double consonants "ㄲ", "ㄸ", "ㅃ", "ㅆ", and "ㅉ".

사용자가 입력한 키 배열이 다음과 같다고 가정한다.Assume that the key array entered by the user is as follows.

"1, 5, 4, 2, 4, 1, 5, 3, 1, 4, 5, 4, 2, 2, 1, 4, 2, 4, 5, 1, 3, 4, 3, 5, 1, 4, 3, 4, 2""1, 5, 4, 2, 4, 1, 5, 3, 1, 4, 5, 4, 2, 2, 1, 4, 2, 4, 5, 1, 3, 4, 3, 5, 1 , 4, 3, 4, 2 "

먼저, "1, 5"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ㄱ」을 인식하고, "4, 2"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ㅏ」를 인식하고, "4, 1, 5, 3"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ㅁ」을 인식함으로써, 문자 코드 생성부(20)의 한글 오토메타는 「감」이란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First, a key array of "1, 5" is inputted to recognize "AB", a key array of "4, 2" is inputted to recognize "ㅏ", and a key array of "4, 1, 5, 3" By inputting this and recognizing "wh", the Hangul autometa of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generates a character code of "sensation".

이후, "1, 4, 5"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ㅅ」을 인식하고, "4, 2"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ㅏ」를 인식하고, "2, 1"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ㅎ」을 인식함으로써, 문자 코드 생성부(20)의 한글 오토메타는 「

Figure 112004030170346-PAT00001
」이란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Subsequently, a key array of "1, 4, 5" is input to recognize "S", a key array of "4, 2" is input, to recognize "ㅏ", and a key array of "2, 1" is input. By recognizing "ㅎ", the Hangul autometa of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is "
Figure 112004030170346-PAT00001
Generates a character code.

그런데, 이후에 입력되는 키 배열이 "4, 2"의 중성 「ㅏ」이므로, 한글 오토메타는 「

Figure 112004030170346-PAT00002
」 대신에 「사」란 문자 코드를 생성하고, 그 다음으로 입력된 키 배열 "4, 5, 1, 3"를 「ㅂ」으로 인식함으로써, 「합」이란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By the way, since the key array input afterwards is the neutral "ㅏ" of "4, 2", the Hangul autometa "
Figure 112004030170346-PAT00002
Instead of "," 4 "is generated, and the next input key array" 4, 5, 1, 3 "is recognized as" ㅂ ", thereby generating a character code of" sum ".

계속하여, "4, 3"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ㄴ」을 인식하고, "5"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ㅣ」를 인식하고, "1, 4, 3"의 키 배열이 입력되어 「ㄷ」을 인식함으로써, 문자 코드 생성부(20)의 한글 오토메타는 「

Figure 112004030170346-PAT00003
」이란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 Subsequently, a key array of "4, 3" is input to recognize "b", a key array of "5" is input to recognize "ㅣ", and a key array of "1, 4, 3" is inputted. By recognizing "c", the Hangul autometa of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20 is "
Figure 112004030170346-PAT00003
Generates a character code.

이후에 입력되는 키 배열이 "4, 2"의 중성 「ㅏ」이므로, 한글 오토메타는 「

Figure 112004030170346-PAT00004
」 대신에 「니」와 「다」란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Afterwards, the input key array is the neutral "ㅏ" of "4, 2".
Figure 112004030170346-PAT00004
Instead of ", generate the" y "and" da "character codes.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감사합니다"라는 문자 코드가 입력된다.Therefore, the character code "Thank you" is input as a whol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자음 입력을 위한 키들과 모음 입력을 위한 키들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은 5개의 키를 구비한 키패드를 사용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여 소형의 이동 단말기임에도 불구하여 각 키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장애우나 소아들이 휴대하면서 한글을 입력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는 농아자들이 한글 문자 입력과 디스플레이 확인을 통해 상호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에도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key is relatively wide in spite of being a small mobile terminal by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keypad having five keys which do not separate keys for consonant input and keys for vowel input separately. It is easy to input Hangul while handicapped people or children with space. Therefore, the Hangu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information terminals that deaf peopl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put of Hangul characters and display confirmation.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한글 자/모음 자소에 각각 할당된 키 배열들이 대응하는 자소를 필기하는 모양 및 획순에 근거하므로,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익힐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한글의 우수성이 자연스럽게 홍보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key arrangements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Hangul alphabet / vowel phoneme are based on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writing the corresponding phoneme, even beginners can easily learn. Therefore, as the Hangu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read, the superiority of Hangul can be promoted naturally.

또한, 기존의 이동 단말기 키패드에 본원 발명이 활동됨에 따라, 여분의 키들을 인터넷, 전자결재 등과 같은 부가적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유아용 놀이 기구에 활용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한글 문자를 익힐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ated on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keypad, it is possible to use the extra keys for additional purposes such as the Internet, electronic payment, etc., and when using them for children's play equipment, it becomes possible to learn Korean characters naturally. .

Claims (8)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keypad, 「·」키(天 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下地 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上地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키(右人 키)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키(左人 키)를 배치한 키패드; 및Centering on the key `` · '' (天 key), place the "상위" key above it, place the " ̄" key below it, and the "|" key on the left side. A keypad arranged with a key (右 人 key) and a key on the right side thereof; And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이 할당되고, 한글 모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한 키 배열이 할당되고, 상기 키 배열들이 입력되면 인식된 자소들을 조합하여 대응하는 한글 문자 코드를 생성하는 문자 코드 생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ㄱ, 「, ㄷ, ㄹ,」, ㅁ, ㅅ, ㅇ, ㅂ, ㅊ, ㅋ, ㅌ, ㅍ For the Korean consonant phonemes of "," and "ㅎ", the five keys are combin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and a key array ending with a key other than the "·" key is assigned. A character code generator for independently combining the five keys in response to the shape and the stroke order of the character code,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Hangul character code by combining the recognized characters when the key arrangements are input. Hangul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코드 생성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한글 자음 자소들 중 「ㄱ」, 「ㄷ」, 「ㅂ」, 「ㅅ」, 「ㅈ」에 해당하는 키 배열에서 마지막 키 입력이 길게 누름임을 감지한 경우, 입력된 자음을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If it is detected that the last key input is long pressed in the key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 a '', `` c '', ㅂ, ㅅ, and ㅈ among Korean consonant phonemes, the input consonant `` ㄲ '' Korean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as "ㄸ", "ㅃ", "ㅆ", "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The keypad of claim 1, wherein the keypad is 기능 키를 더 구비하고,Further equipped with function keys, 상기 문자 코드 생성부는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한글 자음 자소들 중 「ㄱ」, 「ㄷ」, 「ㅂ」, 「ㅅ」, 「ㅈ」에 해당하는 키 배열이 입력된 직후에 상기 기능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자음을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If the function key is input immediately after the key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a", "c", "ㅂ", "ㅅ", and "ㅈ" among Hangul consonants, the input consonant "ㄲ" Korean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as "ㄸ", "ㅃ", "ㅆ", "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키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key of the keypad 「1」, 「2」, 「3」, 「4」, 「5」가 부가 할당되고,"1", "2", "3", "4", "5" are additionally assigned, 상기 문자 코드 생성부는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문자 입력 모드와 숫자 입력 모드를 관리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1」, 「2」, 「3」, 「4」, 「5」가 표기된 키가 짧게 한번 입력되면 각각 「1」, 「2」, 「3」, 「4」, 「5」 문자 코드를 생성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1」, 「2」, 「3」, 「4」, 「5」가 표기된 키가 짧게 두 번 입력되면 각각 「6」, 「7」, 「8」, 「9」, 「0」 문자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Manages the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numeric input mode, and if the keys marked with "1", "2", "3", "4", and "5" are entered briefly once, "1" and "2" respectively. , '3', '4', '5' character codes are generated, and the keys marked '1', '2', '3', '4', '5' are entered twice in the numeric input mode.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characterized by generating character codes "6", "7", "8", "9", and "0"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키에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key of the keypad 「1」, 「2」, 「3」, 「4」, 「5」가 부가 할당되고,"1", "2", "3", "4", "5" are additionally assigned, 상기 문자 코드 생성부는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문자 입력 모드와 숫자 입력 모드를 관리하고, 「0」~ 「9」의 숫자에 각각 1 또는 2개의 동시에 눌려진 키 조합을 할당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된 숫자 키 또는 동시에 눌려진 숫자 키의 조합에 대응하는 숫자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Manage the character input mode and the numeric input mode, assign one or two simultaneously pressed key combinations to the numbers "0" to "9", and assign the numeric keys entered in the numeric input mode or the combination of numeric keys pressed simultaneously. Hangul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numeric code.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와 숫자 입력 모드6. A character input mode and a numeric input mode according to claim 4 or 5. 「 |」키를 길게 누름에 의해 토글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Hangul input device using a small keypad, characterized in that toggled by pressing and holding the "|"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코드 생성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code generation unit 한글 문자 입력시 각 단어별로 첫문자의 초성에 「ㅇ」에 대응하는 키 배열이 입력되지 않고 바로 모음 자소에 대응하는 키 배열이 입력되더라도 해당 문자의 초성이 「ㅇ」임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장치.When entering a Korean character, even if the key array corresponding to "ㅇ" is not input to the first letter of each word for each word, the initial letter of the corresponding letter is recognized as "ㅇ" Hangul input device using small keypad.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the keypad, (a) 키패드에 「·」키(天 키)를 중심으로, 그 상위에 「_」키(下地 키)를 배치하고, 그 하위에 「 ̄」키(上地 키)를 배치하고, 그 좌측에 「 |」키(右人 키 )를 배치하고, 그 우측에 「| 」키(左人 키)를 배치하는 단계;(a) Place the "_" key on the keypad, the "상위" key on the upper part of the keypad, and the "上" key on the lower part of the keypad, and the left side of the key. Arranging a "|" key on the right side and a "|" key on the right side thereof; (b)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한글 자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하되 「·」키 이외의 키로 끝나는 키 배열을 할당하고, 한글 모음 자소에 대해서는 각 자소의 모양 및 획순에 대응하여 상기 5개 키들을 독립적으로 조합한 키 배열을 할당하는 단계;(b) "a", "b", "c", "r",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For the Korean consonant phonemes of ',' and 'ㅎ', the five keys are combin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and a key array ending with a key other than the '·' key is assigned. Assigning a key arrangement that independently combines the five keys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stroke order of each phoneme; (c) 키 배열들을 입력받고, (b) 단계에서 할당된 키 배열이 형성될 때마다 대응하는 한글 자소를 인식하는 단계; 및(c) receiving key arrays and recognizing a corresponding Hangul alphabet whenever a key array assigned in step (b) is formed; And (d) 인식된 자소들을 한글 오토메타에 의해 조합함으로써 한글 문자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키패드를 사용한 한글 입력 방법.and (d) generating a Hangul character code by combining the recognized phonemes by a Hangul autometa.
KR1020040052966A 2004-07-08 2004-07-08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 KR200600047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966A KR20060004778A (en) 2004-07-08 2004-07-08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966A KR20060004778A (en) 2004-07-08 2004-07-08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778A true KR20060004778A (en) 2006-01-16

Family

ID=3711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966A KR20060004778A (en) 2004-07-08 2004-07-08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477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97B1 (en) * 2005-01-25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input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97B1 (en) * 2005-01-25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racter input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en) The letter input device which uses a morse code and input method
KR200000493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s of HUNMINJUNGEUM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423637Y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a keypad having 5 keys
WO200300318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KR20060004778A (e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
CN102422621A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apparatus
KR100336493B1 (en)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101368770B1 (en)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ducation device
KR20010054288A (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combining basic sentence patterns and inputting hangul and english
GB2407679A (en) Character input using a five-button keypad
KR100436426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0852020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KR20110088311A (en) Character input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the same
KR100457191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20020001129A (en) a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letters with limited number of key means, and a input unit in a computer
KR10061622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200247427Y1 (en) Hangul inputting device with minimizing key button
KR200500421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order of handwriting
KR20020093727A (en)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664535B1 (en) Korean Language Input Apparatus Using A Reduced Keypad
KR20040029599A (en)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13921A (en) Method of inputting a hangeul of mobile terminal and keyboard used for it
KR200289449Y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JP2002229721A (en) Simplified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japanese syllable n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