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015A - A flame sensor of a dryer - Google Patents

A flame sensor of a dr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015A
KR20060004015A KR1020040052834A KR20040052834A KR20060004015A KR 20060004015 A KR20060004015 A KR 20060004015A KR 1020040052834 A KR1020040052834 A KR 1020040052834A KR 20040052834 A KR20040052834 A KR 20040052834A KR 20060004015 A KR20060004015 A KR 20060004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sensor
movable piece
output terminal
input terminal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4015A/en
Publication of KR2006000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0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48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 G01K5/5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constrained so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s a deformation of the solid
    • G01K5/6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constrained so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s a deformation of the solid the solid body being formed of compounded strips or plates, e.g. bimetallic stri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건조기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 연소 장치 점화기에 불꽃이 검지되는 경우, 점화기를 오프(off)상태로 신속하게 전환되도록 하는 플레임 센서(flame sensor)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me sensor that allows a igniter to be quickly switched off when a spark is detected in a gas combustion device igniter for heating circulating air circulating through the dryer. sensor).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 단자; 상기 입력 단자(또는 출력단자)의 일측 끝단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출력단자(또는 입력단자)의 일측 끝단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단락되는 사각형의 띠형상을 이루는 가동편;이 포함된다.Flame sensor structure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 movable piece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and having a rectangular band shape to be selectively contacted or short-circuited with one end of the output terminal (or input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에 의하여, 플레임 센서의 제조에 드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The flame sensor structure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flame sensor.

또한, 플레임 센서의 염 감지능력이 시간이 경과되어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ame detection ability of the flame sensor is kept constant over time.

플레임 센서, 가동편, 입력 단자, 출력단자, 점화기Flame sensor, moving piece, input terminal, output terminal, igniter

Description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A flame sensor of a dryer}Flame sensor structure of the dryer

도 1은 종래의 건조기에 장착되는 플레임 센서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me sensor mounted in a conventional dry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가스밸브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s valve control device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플레임 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ame sens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플레임 센서의 측단면도.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flame sensor;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플레임 센서가 불꽃을 감지하여 단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me sens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flame and is short-circuited.

도 6은 상기 단락 상태의 플레임 센서의 측단면도.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me sensor in the short-circuit stat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마이컴 110 : 스타트 릴레이 120 : 점화기100: microcomputer 110: start relay 120: igniter

130 : 과열방지 서모스탯 140 : 정류부 150 : 제 1 밸브130: overheating thermostat 140: rectifier 150: first valve

160 : 제 2 밸브 170 : 포토 커플러 200 : 플레임 센서160: second valve 170: photo coupler 200: flame sensor

210 : 케이스 220 : 입력단자 230 : 출력단자210: case 220: input terminal 230: output terminal

240 : 가동편 250 : 고정 부재240: movable piece 250: fixed memb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건조기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 연소 장치 점화기에 불꽃이 검지되는 경우, 점화기를 오프(off)상태로 신속하게 전환되도록 하는 플레임 센서(flame sensor)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me sensor that allows a igniter to be quickly switched off when a spark is detected in a gas combustion device igniter for heating circulating air circulating through the dryer. sensor).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코일 등의 열선을 발열시키고, 외부 공기가 상기 열선을 통해 가열되어 건조기 내부를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드럼 내부의 의류가 건조되도록 하는 방식과, 외부 공기를 가스 연소에 의해 가열하여 내부에 순환시킴으로써, 의류 건조를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In general, the dryer generates electricity by heating heat such as a coil by using electricity, and the outside air is heated through the heating wire to circulate the inside of the dryer, thereby drying the clothes inside the drum, and the outside air by gas combustion. There is a method of drying clothes by heating and circulating therein.

종래의 건조기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후측에 장착되어 열풍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덕트와, 상기 열풍 공급 덕트쪽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퍼넬(guide funnel) 및 상기 가이드 퍼넬과 연결된 가스 연소장치가 포함된다.Conventional dryers include a drum in which laundry is accommodated, a hot air supply duct mounted on a rear side of the drum to supply hot air into the drum, a guide funnel and a guide funnel for supplying hot air toward the hot air supply duct. Gas burners connected to the funnel are included.

상세히, 상기 가스 연소 장치는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관과, 상기 가스관의 끝단에 장착되어 가스의 공급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와, 상기 가스밸브에 구비되는 가스 노즐과, 상기 가이드 퍼넬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외부 공기를 1차적으로 혼합하는 혼합관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관의 선단에는 혼합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점화장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불꽃을 검지하는 플레임 센서가 장착된다.In detail, the gas combustion apparatus includes a gas pipe to which gas is supplied, a valve mounted at an end of the gas pipe to control supply and supply of gas, a gas nozzle provided to the gas valve, and an inlet side of the guide funnel. And a mixing tube for primarily mixing the gas injected from the gas nozzle and the outside air. An ignition device for igniting the mixed gas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mixing pipe, and a flame sensor for detecting the flame generated by the ignition device is moun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스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점화장치에 의하여 점화가 되며, 점화가 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플레임 센서가 불꽃감지를 통하여 감지하고, 불꽃이 감지되면 상기 플레임 센서가 단락되어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ixture of gas and air injected from the gas nozzle is ignited by the ignition device, and the flame sensor detects whether the igni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flame detection, and when the flame is detected, the flame sensor A short circuit causes the ignition to stop operat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종래의 건조기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공개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08639' 등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Details of the conventional dryer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08639' filed and publish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건조기에 장착되는 플레임 센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me sensor mounted in a conventional dryer.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플레임 센서(flame sensor)(10)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5)과, 상기 하우징(15)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고정편(13)과, 상기 고정편(13)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동편(14)과, 상기 가동편(14)의 끝단과 접촉하는 마그넷(18)과, 상기 마그넷(18)과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15)의 바닥면에 고착되는 도전판(16)이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flame sensor 10 includes a housing 15 forming an appearance, a fixing piece 13 mounted on an inner side of the housing 15, and the fixing piece ( 13 is bent from the end of the movable piece 14, the magnet 18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movable piece 14, the magnet 18 and one end is connected, the other end is the housing The conductive plate 16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15 is included.

또한, 상기 플레임 센서(10)는 전면부에 커버(20)가 덮여지고, 상기 커버(20)의 전면부에는 윈도우(21)가 형성되어, 점화장치의 불꽃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고정편(13)으로 전달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lame sensor 10 is covered with a cover 20 on the front portion, the window 21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ver 20,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park of the ignition device is the fixing piece ( 13).

또한, 상기 고정편(13)의 끝단은 전원이 인가되는 입력단자(11)와 연결되고, 상기 도전판(16)의 타측 끝단은 전원이 인가되는 출력단자(19)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단자(11)와 상기 고정편(13)은 입력단자 연결점(12)에서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출력단자(19)와 상기 도전판(16)또한 출력단자 연결점(17)에서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전기가 잘 흐르는 전 도체이다.In addition, an end of the fixing piece 13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11 to which power is applie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plate 16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19 to which power is applied. In addition, the input terminal 11 and the fixing piece 13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at the input terminal connection point 12, the output terminal 19 and the conductive plate 16 and also the output terminal connection point 17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is a conductor through which electricity flows well.

상세히, 상기 고정편(13)과 가동편(14)은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고정편(13)은 소정의 열팽창 계수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13)에 열이 전달되면 바이메탈 원리에 의하여 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13)이 휘면서 끝단이 중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동편(14)의 끝단은 반대로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넷(18)과 상기 가동편(14)의 결합력보다 상기 가동편(14)이 상측으로 올라가는 힘이 더 크게 되면, 상기 가동편(14)은 어느 순간에 상기 마그넷(18)과 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점화장치의 점화에 의하여 불꽃이 발생되면, 상기 불꽃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고정편(13)으로 전달되고, 상기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가동편(14)이 상기 마그넷(18)으로부터 단락되어, 상기 플레임 센서(10)는 오픈(open)되어 상기 점화장치의 작동이 중단되게 된다.In detail, the fixing piece 13 and the movable piece 14 form a substantially 'C' shape, and the fixing piece 13 has a predetermine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Therefore, when heat is transferred to the fixing piece 13, it is bent by the bimetal principle. Then, the fixing piece 13 is bent and the end is bent downward by gravity. Then, the end of the movable piece 14 is upwardly reversed. Here, when the force of the movable piece 14 to rise upward than the coupling force of the magnet 18 and the movable piece 14, the movable piece 14 is separated from the magnet 18 at any moment. do. In other words, when a spark is generated by ignition of the ignition device, heat generated from the spark is transferred to the fixing piece 13, and the movable piece 14 is short-circuited from the magnet 18 by the transferred heat. Thus, the flame sensor 10 is opene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device.

그러나, 종래의 플레임 센서의 경우, 상기 가동편(14)이 상기 도전판(16)으로부터 순식간에 단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전판(16)과 가동편(14)의 결합지점에서 불꽃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그넷(18)이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플레임 센서를 제작하기 위한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lame sensor, the movable piece 14 is intermittently interrupted from the conductive plate 16, whereby a spark is generated at the coupling point of the conductive plate 16 and the movable piece 14. To prevent the magnet 18 should be moun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f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flame sensor is increased.

또한, 상기 마그넷(18)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플레임 센서(1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agnet 18 has a problem that the flame sensor 10 does not operate normally because the magnetic force is reduced over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제조비 용이 절감되는 플레임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me sensor that is easy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또한, 플레임 센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연한이 길어지더라도 플레임 센서의 단속 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lame sensor, even if the service life is prolonged, it is an object to ensure that the intermittent ability of the flame sensor is maintained.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 단자; 상기 입력 단자(또는 출력단자)의 일측 끝단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출력단자(또는 입력단자)의 일측 끝단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단락되는 사각형의 띠형상을 이루는 가동편;이 포함된다.Flame sensor structure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a movable piece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and having a rectangular band shape to be selectively contacted or short-circuited with one end of the output terminal (or input terminal).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플레임 센서의 염 감지 능력이 일정 수준을 유지할 뿐 아니라,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not only the salt detection capability of the flame sensor maintains a constant level,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ther inventive inventions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I can sugges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가스밸브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as valve control device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가스밸브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동작명령에 따라 건조기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의 연소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0)과, 평상시 오픈(open)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마이컴(100)의 연소 시작신호에 따라 클로스(close)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 단자(N1)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스타트 릴레이(11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gas valve control apparatus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upply the warm air into the dry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command, the microcomputer 100 for outputting the combustion start signal of the gas, and is normally open (open) The start relay 110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nd is switched to a close stat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start signal of the microcomputer 100, and supplies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N1.

또한, 상기 스타트 릴레이(1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및 공기가 혼합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기(120)와, 평상시 클로스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점화기(120)가 점화되었을 때 발생되는 불꽃을 검지할 경우 오픈 상태로 전환되는 플레임 센서(flame sensor)(200)와, 평상시 클로스 상태이고 과열감지시 오픈 상태로 전환되는 과열방지 써모스탯(thermostat)(130)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igniter 120 for igniting a fuel mixed with gas and air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start relay 110 and the flame generated when the igniter 120 is ignited while maintaining a normally closed state The flame sensor 200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when detected, and the thermostat 130 which is normally closed and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when the overheat is detected.

또한, 연료가스 공급을 위한 제 1 밸브(150) 및 제 2 밸브(160)와, 상기 스타트 릴레이(110)와 상기 점화기(120)의 중간 노드와 상기 플레임 센서(200)와 과열방지 써모스탯(130)의 중간 노드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제 1 밸브(150) 및 제 2 밸브(160)로 공급하는 정류부(140)와, 상기 플레임 센서(200)의 출력을 상기 마이컴(100)과 제 2 밸브(160)로 전기적 잡음 없이 각각 전송하기 위한 포토 커플러(170)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first valve 150 and the second valve 160 for supplying fuel gas, the intermediate node of the start relay 110 and the igniter 120, the flame sensor 200 and the overheat prevention thermostat ( Rectify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termediate node of 130, the rectifier 140 for supplying to the first valve 150 and the second valve 160 and the output of the flame sensor 200, the microcomputer 100 And a photo coupler 170 for transmitting to the second valve 160 without electrical noise, respectively.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밸브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gas valv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건조기 동작을 명령하면, 상기 마이컴(100)이 이를 인식하여 상기 스타트 릴레이(110)를 클로스 상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상기 점화기(12)는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밸브(150)가 상기 정류부(14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온 되어 연료를 공급한다.First, when the user commands the dryer operation, the microcomputer 100 recognizes this and switches the start relay 110 to the cloth state. Accordingly, the igniter 12 is heated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valve 150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rectifier 140 to supply fuel.

이 때, 상기 플레임 센서(200) 및 상기 과열방지 써모스탯(130)은 클로스 상 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상기 점화기(120)가 가열을 시작한지 수 초가 경과된 뒤에, 상기 플레임 센서(200)가 염을 검지하여 오픈 상태로 전환되므로 상기 점화기(120)로 인가되는 전류가 중단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lame sensor 200 and the overheat prevention thermostat 130 is maintained in a cloth state. Subsequently, after several seconds have elapsed since the igniter 120 starts heating, the flame sensor 200 detects a salt and switches to an open state, thereby stopping the current applied to the igniter 120.

또한, 상기 점화기(120)가 오프(off)됨에 따라, 상기 플레임 센서(200)로부터 발생되는 염 검지신호가 상기 포토 커플러(170)를 통해 상기 마이컴(100) 및 상기 제 2 밸브(160)로 공급된다. 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밸브(160)가 온(on)되어 연료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본격적인 연소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the igniter 120 is turned off, the salt detec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flame sensor 200 is transferred to the microcomputer 100 and the second valve 160 through the photo coupler 170. Supplied. And, accordingly, the second valve 160 is turned on to supply fuel, thereby causing full-scale combustion.

이어서, 소정 시간 동안 계속되는 연소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과열방지 써모스탯(130)의 특성에 따른 온도치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과열방지 써모스탯(130)이 오픈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전원공급이 차단되므로 제 1 밸브(150) 및 제 2 밸브(160)가 오프 되어 연소가 중단된다. 그리고, 연소가 중단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온도가 하강하여 상기 과열방지 써모스탯(130)이 다시 클로스 상태로 전환된다.Subsequently, when the temperature rises as the combustion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exceeds the temperature val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heating thermostat 130, the overheating thermostat 130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Therefore, since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he first valve 150 and the second valve 160 are turned off to stop the combustion. Then, as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mbustion is stopped, the temperature decreases, and the overheating thermostat 130 is switched to the cloth state again.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플레임 센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플레임 센서의 측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lame sens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me senso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임 센서(flame sensor)(2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면을 관통하며, 일측 끝단이 전원 단자와 연결되는 입력 단자(220) 및 출력 단자(23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수용되고, 점화기(120)에 의해 발생되는 불꽃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가동편(240)이 포함된다. 3 and 4, the flame sens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a case 210 forming an appearanc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case 210,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power terminal. An input terminal 220 and an output terminal 23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movable piece 240 accommodated in the case 210 and expanded by heat transmitted from a flame generated by the igniter 120 are included.                     

상세히, 상기 가동편(240)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띠를 이루고, 단측 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입력 단자(220)와 결합되고, 상기 입력 단자(220)와 결합된 지점과 대향되는 위치의 단측변은 상기 출력 단자(230)와 단락 또는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단자(230)와 접촉하는 상기 단측변의 상부면에는 가동 접점(242)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단자(230)의 저면에는 상기 가동 접점(242)과 접촉하는 고정 접점(2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임 센서(200)가 불꽃을 감지하면, 상기 불꽃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가동접점(242)과 상기 고정접점(231)은 단락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편(240)의 온도가 감소되면서 상기 고정 접점(231)과 상기 가동 접점(242)은 다시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편(240)의 가동 접점(242)과 단락 및 접촉하는 단자는 출력단자(23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입력단자(220)가 상기 가동편(240)과 접촉 및 단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임 센서(200)가 불꽃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편(240)의 동작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In detail, the movable piece 240 forms a band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one of the short sides is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220, and the short side of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point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220. Is shorted or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230. In addition, a movable contact 242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hort side in contact with the output terminal 230, and a fixed contact 231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242 on a bottom surface of the output terminal 230.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flame sensor 200 detects the flame, the movable contact 242 and the fixed contact 231 is short-circuit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flame. In addition, as the temperature of the movable piece 240 decreases, the fixed contact 231 and the movable contact 242 come into contact again. Here, the terminal which is short-circuited and in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242 of the movable piece 240 is not limited to the output terminal 230, the input terminal 220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and the short-circuit with the movable piece 240. It may be. Details of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piece 240 in a state where the flame sensor 200 detects a flame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가동편(240)의 장측 변 중 어느 하나는 대략 중앙부에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만곡되는 만곡부(2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24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만곡부(241)와 대향되는 위치의 장측변은 약간 만큼 하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On the other hand, any one of the long sides of the movable piece 240 is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241 that is curved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nd, since the curved portion 241 is formed, the long side of the position facing the curved portion 241 is kept bent downward by a little.

여기서, 상기 가동편(240)과 체결부재(250)에 의하여 고정 체결되는 단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입력 단자(220)에만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출력단자(230)가 상기 가동편(240)의 일측변과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 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편(240)은 소정 값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금속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terminals fixedly fastened by the movable piece 240 and the fastening member 250 are not limited to the input terminal 220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output terminal 230 may be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piece 240 by a fastening member. In addition, the movable piece 24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a predetermined value.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플레임 센서가 불꽃을 감지하여 단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단락 상태의 플레임 센서의 측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ort circuit state in which the flame sens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flame and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me sensor in the short stat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임 센서(200)는 상기 가동편(240)이 상기 점화기(120)의 점화에 의해 형성되는 불꽃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받으면 휘게 되는 바이메탈의 성질을 이용하여 단락이 결정된다. 5 and 6, the flame sens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bimetal bent when the movable piece 240 receives heat transmitted from the flame formed by the ignition of the igniter 120. The short is determined by using.

상세히, 상기 가동편(240)의 일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241)가 형성되므로, 상기 만곡부(241)가 형성된 부분의 길이가 그러하지 않은 쪽의 길이보다 짧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만곡부(241)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은 약간 하측으로 쳐지게 된다. In detail, since the curved portion 24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ovable piece 240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curved portion 241 is formed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non-sided portion. Therefore, the portion where the curved portion 241 is not formed is slightly lowered.

한편, 상기 점화기(120)에 의하여 점화 장치가 점화되어 불꽃이 발생되면, 상기 가동편(240)으로 열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만곡부(241)가 형성된 측의 가동편의 길이가 증가되고, 상기 만곡부(241)의 곡률반경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241)가 형성되지 아니한 쪽의 가동편은 하측으로 약간 쳐져 있는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상측부로 볼록하게 휘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동편(24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심부가 볼록하게 되고, 양 끝단이 하측으로 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편(240)의 끝단에 형성된 가동 접점(242)이 상기 고정 접점(231)으로부터 단락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gnition device is ignited by the igniter 120 to generate a spark, heat is transferred to the movable piece 240. The length of the movable piece on the side where the curved portion 241 is formed is increased by the transferred heat,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241 is increased. Then, the movable piece on which the curved portion 241 is not formed is bent convexly to the upper portion in an instant while being slightly struck downward. At the same time, the overall shape of the movable piece 240 is convex in the center, and both ends are bent downward. Therefore, the movable contact 242 formed at the end of the movable piece 240 is short-circuited from the fixed contact 231.

또한, 상기 점화기(120)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가동편(240)으로 열이 전도 되지 아니하면,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가동편(240)은 원상태로 복귀된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igniter 120 is stopped and heat is not conducted to the movable piece 240, the movable piece 240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더욱 상세히, 상기 만곡부(241)가 형성된 측의 가동편의 길이가 감소되면서, 상기 만곡부(241)의 곡률반경도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만곡부(241)가 형성된 측의 가동편의 양 끝단은 중심방향으로 오므라 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편(240)의 전체 형상은 최초의 상태로 회귀된다.More specifically, while the length of the movable piece on the side where the curved portion 241 is formed is reduce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241 is also reduced. Therefore, both ends of the movable piece on the side where the curved portion 241 is formed are lifted in the center direction. Therefore, the overall shape of the movable piece 240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242)과 상기 고정 접점(231)간의 접촉 및 단락이 반복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플레임 센서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잇을 뿐 아니라, 사용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작동과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By repeating the above operation, the contact and short circuit between the movable contact 242 and the fixed contact 231 is repeated. And,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bimetal,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lame sens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ways shows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regardless of the use tim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에 의하여, 플레임 센서의 제조에 드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flame sensor structure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flame sensor is reduced.

또한, 플레임 센서의 염 감지능력이 시간이 경과되어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ame detection ability of the flame sensor is kept constant over time.

Claims (4)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An outer case;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 단자;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상기 입력 단자(또는 출력단자)의 일측 끝단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출력단자(또는 입력단자)의 일측 끝단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단락되는 사각형의 띠형상을 이루는 가동편;이 포함되는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Flame sensor of the dryer including; a movable piece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and forming a rectangular band shape that selectively contacts or shorts with one end of the output terminal (or input terminal). rescu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가동편의 일측에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형성되는 함몰부가 포함되는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 Flame sensor structure of the dryer including a depres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동편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가동 접점과,A movable contact formed at one end of the movable piece; 상기 출력단자(또는 입력단자)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 접점과 단락 또는 접촉되는 고정 접점이 포함되는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Flame sensor structure of the dryer is formed on one end of the output terminal (or input terminal), the fixed contact is short-circuited or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동편은 소정의 선팽창 계수를 갖는 금속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플레임 센서 구조.And the movable piece is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KR1020040052834A 2004-07-08 2004-07-08 A flame sensor of a dryer KR200600040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834A KR20060004015A (en) 2004-07-08 2004-07-08 A flame sensor of a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834A KR20060004015A (en) 2004-07-08 2004-07-08 A flame sensor of a dr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015A true KR20060004015A (en) 2006-01-12

Family

ID=3711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834A KR20060004015A (en) 2004-07-08 2004-07-08 A flame sensor of a dr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401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6714A3 (en) * 2008-05-06 2010-02-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ontrol method for a gas-type clothes dr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6714A3 (en) * 2008-05-06 2010-02-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Control method for a gas-type clothes dr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9846A (en) Burner control system
KR20060004015A (en) A flame sensor of a dryer
KR101099158B1 (en) A flame sensor of a dryer
KR20060004016A (en) A flame sensor of a dryer
KR20060004017A (en) A flame sensor of a dryer
KR101090898B1 (en) Patable wireless dryer
JP4181674B2 (en) Combustion device
KR10045743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gas valve of dryer
JP3244949B2 (en) Gas burner with safety device
JP6832084B2 (en) Clothes dryer
US5761828A (en) Ignition and gas flow control for clothes drying machine
KR101063584B1 (en) Ignition time re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gas dryer
US2080070A (en) Thermostatic switch
JP4684116B2 (en) Portable hair dryer
KR100987436B1 (en) dryer having belt breakage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35805B1 (en) Apparatus for driving valve of gas type dryer
KR20010035035A (en) Safety device of heater for an aquarium
EP1154066A3 (en) Clothes dryer with a PTC resistance heater
JPH01244215A (en) Combustion device
JPH0317171Y2 (en)
JP3708171B2 (en) Gas control device
KR100467908B1 (en) Electric iron with safety device
KR20230122416A (en) A gas cooktop overheating prevention device with battery saving function based on switch
JPS599183Y2 (en) Automatic ignition circuit for gas equipment
JP2021132687A (en) i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