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644A -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644A
KR20060002644A KR1020040051775A KR20040051775A KR20060002644A KR 20060002644 A KR20060002644 A KR 20060002644A KR 1020040051775 A KR1020040051775 A KR 1020040051775A KR 20040051775 A KR20040051775 A KR 20040051775A KR 20060002644 A KR20060002644 A KR 20060002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trash
opening
lid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288B1 (ko
Inventor
채현기
채희중
정민
Original Assignee
채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현기 filed Critical 채현기
Priority to KR102004005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2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removal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몸체를 포함하여 쓰레기가 가득찬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캐스터에 의해 다른 곳으로 쓰레기통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몸체, 뚜껑, 받침판, 투명창, 캐스터

Description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a garbage-bucket}
도1은 종래의 쓰레기통을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투입구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몸체 130...투명창
150...클램프 170...고정부재
250...투입구 260...스프링
270...개폐판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봉투를 내부에 삽 입하여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된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방된 몸체를 포함하여 내부에 삽입된 쓰레기 봉투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가나 학교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종래의 쓰레기통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통체의 상면에 개폐가능한 커버를 구비하며, 내측에 쓰레기봉투를 삽입하여 이 봉투에 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특히 쓰레기 종량제의 도입과 분리수거가 생활화됨에 따라 쓰레기통에 쓰레기 봉투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 된지 이미 오래다.
도 1에는 종래 사용되는 쓰레기통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통몸체부(10)가 몸체(12)와 그 상부에 밀착되는 밀폐판(20)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12)는 상부를 향하여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상단부가 개방되는 형상이며, 상기 밀폐판(20)은 몸체(12)의 상부에 지지되면 상기 몸체(12)에 투입되는 쓰레기봉투(2)를 개방시켜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지판(14)에 클램프(3)가 구비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쓰레기통은, 몸체(12)로부터 쓰레기봉투(2)를 상부로 들어 올려 꺼내야 하는바, 쓰레기가 가득 차서 무거워진 봉투(2)를 몸체(12)의 높이만큼 들어 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보통 비닐로 제작되는 봉투(2)의 상부를 손으로 잡아 들어 올리게 되어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봉투(2)가 찢어지는 문제점도 있으며, 무거워진 쓰레기통을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쓰레기통으로부터 쓰레기봉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쓰레기통의 이동이 용이한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쓰레기통에서 쓰레기가 가득채워져서 무거워진 쓰레기봉투를 꺼내는 것이 아니고, 쓰레기봉투를 둘러싸고 있는 몸체를 들어올리면 가볍고 또한 용이하게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에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서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이를 위해 쓰레기통의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몸체를 상협하광의 통상체로 하여, 쓰레기가 가득차서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으로부터 분리 배출하고자 할 때, 몸체를 들어 올리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는 통상의 몸체내부에 봉투를 삽입하여 상기 봉투에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된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으로서, 상기 봉투의 개방된 원주부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통상으로 상협하광의 형태이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는 몸체의 상단을 덮도록 되는 뚜껑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받침판이 마련되되,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는 상기 몸체의 이동을 위해 복수의 캐스터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으로 표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쓰레기가 가득차서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으로부터 분리 배출하고자 할 때, 쓰레기가 가득채워져서 무거워진 쓰레기봉투를 꺼내는 대신 몸체를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된다. 또한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캐스터에 의해 다른 곳으로 쓰레기통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쓰레기통의 몸체의 상단부를 덮도록 되는 뚜껑은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뚜껑이 몸체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고 뚜껑의 상부면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뚜껑은, 그 일부가 개방되도록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은, 뚜껑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가 연결되는 것일 수 있으며, 그 일부가 개방되도록 투입구가 관통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은, 투입구의 내측면에 스프링이 개재되는 경첩을 통하여 탄성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봉투의 개방부는 고정수단에 의해 몸체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뚜껑이 구비되는 경우, 뚜껑의 외주부에 밀폐판을 굴곡지게 형성하고, 이 밀폐판을 몸체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도로 하여 봉투의 개방된 원주부가 상기 밀폐판 및 상기 몸체의 상단부 테두리에 개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수단은 몸체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는 고정링으로서 상기 봉투 의 개방된 원주부가 상기 몸체의 상단부 테두리 및 상기 고정링에 개재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쓰레기통(300)은, 쓰레기봉투(400)가 수납되는 몸체(100)와 그 상하측에 각각 장착되는 뚜껑(200) 및 받침판(3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봉투(400)의 개방된 투입구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통상으로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110)가 일체로 부착되고, 그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투명창(130)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저면에 소정의 위치에는 몸체와 이에 고정되어 소정위치에서 걸리도록 되는 걸이로서 이루어진 통상(通常)의 클램프(150)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저부에 복수의 공기홈(370)이 관통 형성되어 쓰레기봉투(400)를 꺼낼 때 용이하게 몸체(100)로부터 들여 올려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에는 몸체의 상단을 덮도록 되는 뚜껑(200)이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뚜껑(200)은, 그 일부가 개방되도록 투입구(250)가 관통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도록 개폐판(270)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270)은, 뚜껑(27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80)을 통하여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230)가 연결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0) 은, 그 일부가 개방되도록 투입구(250)가 관통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개폐판(270)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판(270)은, 투입구(250)의 내측면에 스프링(260)이 개재되는 경첩(265)을 통하여 탄성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받침판(330)이 마련되되, 상기 받침판(300)의 하면에는 상기 몸체(100)의 이동을 위해 복수의 캐스터(330)가 부착된다. 상기 받침판(300)은, 저부 일측에 케이블등을 연결하여 이동시키도록 고리(350)가 더 설치된다.
한편, 봉투(400)를 몸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몸체(100)의 상단부 테두리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뚜껑(200)의 외주부에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 밀폐판(21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는 고정링(170)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쓰레기통(300)은, 먼저 쓰레기봉투(400)를 몸체(100)에 펼쳐 놓은 후 고정수단 중 하나인 고정링(170)을 통하여 그 상단을 몸체(100)에 밀착 고정시킨다. 쓰레기봉투(400)는 고정링(170)으로 본체에 고정할 필요 없이 뚜껑(200)을 닫을 때 몸체(100)의 상단부에 밀착되는 다른 하나의 고정수단인 밀폐판(210)을 통하여 밀착 고정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밀폐판(210)은, 뚜껑(200)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몸체에 뚜껑을 닫는 동작으로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100)에 연결되는 클램프(150)를 각각 분리한 후 몸체(100)를 받침판(300)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클램프(150)를 체결하여 몸체(100)와 받침판(300)을 상호 연결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별도의 클램프(150)로서 몸체(100)와 받침판(300)을 연결하지 않아도 상기 받침판(300)에 의해 몸체(100)에 이탈이 방지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0)은 선택적인 사항으로 반드시 몸체(100)에 장착하지 않아도 좋으나, 냄새 등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뚜껑(200)은, 그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개폐판(270)에 의해 뚜껑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쓰레기의 투입이 가능토록 되어 뚜껑의 개폐 시 발생되는 냄새의 누출을 최소화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270)은, 투입구(250)가 형성되는 뚜껑(200)의 저면에서 가이드레일(280)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토록 되고, 상기 개폐판(270)의 회전은 그 중앙부에 연결되는 손잡이(230)를 통하여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개폐판(270)은, 투입구(250)가 형성되는 뚜껑(200)의 저면에서 스프링(260)이 개재되는 경첩(265)을 통하여 연결되어 쓰레기의 투입 시 회전되는 개폐판(270)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복원되어 투입구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는 그 일측에 손잡이(110)가 설치되어 설치되어 운반이 용이하며, 일측으로 형성되는 투명창(130)을 통하여 쓰레기봉투(400)에 수거되는 쓰레기의 수거된 량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몸체(200)에 지지되는 쓰레기봉투(400)에 쓰레기가 가득차게 되어도 받침판(300)의 저면에 설치되는 캐스터(330)를 통하여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300) 의 저부 일측에는 고리(35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케이블 등을 걸어 손쉽게 견인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쓰레기통은, 몸체(100)에 수납되면서 무게가 많이 나가는 쓰레기봉투(400)를 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타잎이 아니라 쓰레기봉투(400)는 몸체(100)의 내측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몸체(100)와 뚜껑(200)을 분리한 후 쓰레기봉투(400)가 올려지는 받침판(300)을 운반시켜 쓰레기 봉투를 수거하는 방식으로 쓰레기봉투의 수거가 한결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하부를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쓰레기봉투에 담겨지는 쓰레기를 압축한 상태에서도 몸체(100)가 용이하게 분리토록 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300)의 저부에 형성되는 공기홈(370)을 통하여 쓰레기봉투(400)의 압축에 의한 진공형성을 방지하여 봉투의 용이한 배출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쓰레기봉투가 아닌 몸체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무거운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의 상부로 들어올려 배출할 필요가 없어 힘이 들지 않으며, 이동이 용이한 받침판에 의해 쓰레기봉투의 운반이 용이하고, 투명창에 의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여 쓰레기의 투입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배출시기를 알 수 있으며, 공기홈에 의해 쓰레기봉투와 쓰레기통 사이의 마찰력 발생을 최소화하여 몸체의 분리가 손쉽게 되고, 분리되는 몸체와 뚜껑 및 받침판에 의해 세척및 건조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쓰레기통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통상의 몸체내부에 봉투를 삽입하여 상기 봉투에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된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봉투(400)의 개방된 원주부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10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는 통상으로 상협하광의 형태이고,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에는 몸체의 상단을 덮도록 되는 뚜껑(200)이 선택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받침판(330)이 마련되되, 상기 받침판(300)의 하면에는 상기 몸체(100)의 이동을 위해 복수의 캐스터(330)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는 상기 뚜껑(200)의 외주부에 굴곡지게 형성된 밀폐판(210)으로서 상기 봉투(400)의 개방된 원주부가 상기 밀폐판(21) 및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 테두리에 개재되어진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지는 고정링(170)으로서 상기 봉투(400)의 개방된 원주부가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 테두리 및 상기 고정링(170)에 개재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그 일부가 개방되도록 투입구(250)가 관통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개폐판(27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270)은, 뚜껑(27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80)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부에 손잡이(2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그 일부가 개방되도록 투입구(250)가 관통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개폐판(27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270)은, 투입구(250)의 내측면에 스프링(260)이 개재되는 경첩(265)을 통하여 탄성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KR1020040051775A 2004-07-03 2004-07-03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KR10064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775A KR100644288B1 (ko) 2004-07-03 2004-07-03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775A KR100644288B1 (ko) 2004-07-03 2004-07-03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932U Division KR200362262Y1 (ko) 2004-07-03 2004-07-03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644A true KR20060002644A (ko) 2006-01-09
KR100644288B1 KR100644288B1 (ko) 2006-11-15

Family

ID=3710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775A KR100644288B1 (ko) 2004-07-03 2004-07-03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500B1 (ko) * 2011-12-09 2013-12-10 안소미 쓰레기통
CN107857037A (zh) * 2017-10-27 2018-03-30 叶思平 一种垃圾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500B1 (ko) * 2011-12-09 2013-12-10 안소미 쓰레기통
CN107857037A (zh) * 2017-10-27 2018-03-30 叶思平 一种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288B1 (ko)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134A (en) Trash container
US5662235A (en) Receptacle for recyclable materials
US4917263A (en) Household container assembly with adaptable lid for a plurality of bags
US8544673B1 (en) Dual bin waste receptacle
US5275490A (en) Waste disposal bag with a bag collar and lid
US20080006638A1 (en) Trash can assembly with liner for securing trash bag
US20100096389A1 (en) Sanitary trash receptacl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80265286A1 (en) Bin
JP2009507741A (ja) 廃棄物モジュール
KR100644288B1 (ko)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US3949663A (en) Mounting means for compactor refuse receptacle
KR200362262Y1 (ko)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US20030183633A1 (en) Container lid lifting device
KR20120016391A (ko) 재활용 분리 수거용 이동 퍼즐식 쓰레기통
KR102015461B1 (ko)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NL1023109C2 (nl) Samenstel, frame en houder.
CN212075203U (zh) 一种分类抽屉式垃圾箱
US119703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 process
US20050056650A1 (en) Device for holding a collection bag
US20080264949A1 (en) Trash receptacle and collection system
KR101955400B1 (ko) 쓰레기통
KR200439446Y1 (ko) 벽걸이용 쓰레기통
EP1481923B1 (en) A container and a cover
CN216637668U (zh) 悬挂式垃圾桶
CN209618052U (zh) 一种环保防渗漏垃圾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