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1682A -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또는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또는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1682A
KR20060001682A KR1020040050837A KR20040050837A KR20060001682A KR 20060001682 A KR20060001682 A KR 20060001682A KR 1020040050837 A KR1020040050837 A KR 1020040050837A KR 20040050837 A KR20040050837 A KR 20040050837A KR 20060001682 A KR20060001682 A KR 20060001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ricket
group
hepatotoxicity
tc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460B1 (ko
Inventor
윤치영
Original Assignee
윤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치영 filed Critical 윤치영
Priority to KR102004005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4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3/14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옥신 등과 같은 독성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는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된 성체 귀뚜라미 500g을 증류수 4,000 내지 6,000㎖ 중에서 열수추출하고,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1/50 내지 1/55 비율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서 얻어지는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농도로 적어도 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들을 제공한다.
귀뚜라미, 추출물, 간독성, 다이옥신, TCDD

Description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of cricket against hepatotoxicity and food composition and drug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다이옥신으로 유발되는 간독성에 기인하는 체중감소에 있어서 귀뚜라미 추출물의 투여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이옥신으로 유발되는 간독성에 기인하는 혈액생화학적 변화에 있어서 귀뚜라미 추출물의 투여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다이옥신으로 유발되는 간독성에 기인하는 상대 장기중량의 변화에 있어서 귀뚜라미 추출물의 투여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G1군(TCDD 처리없이 귀뚜라미 추출액이 포함되지 않은 생리식염수만을 쥐에게 경구투여한 군)의 쥐의 간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시약으로 염색하고 100배율로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4(A)는 간세동이를 도 4(B)는 중심동맥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G2군(귀뚜라미 추출액이 포함되지 않은 생리식염수만을 쥐에게 경구투여하였으며, 그후에 TCDD를 주사한 그룹)의 쥐의 간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시약으로 염색하고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5(A)는 100배율의 확대사진이고, 도 5(B)는 200배율의 확대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G4군(귀뚜라미 추출액 100㎎/㎏을 쥐에게 경구투여하였으며, 그후에 TCDD를 주사한 그룹)의 쥐의 간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시약으로 염색하고 100배율로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6(A)는 간세동이를 도 6(B)는 중심동맥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G5군(귀뚜라미 추출액 200㎎/㎏을 쥐에게 경구투여하였으며, 그후에 TCDD를 주사한 그룹)의 쥐의 간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시약으로 염색하고 100배율로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6(A)는 간세동이를 도 6(B)는 중심동맥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이옥신 등과 같은 독성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는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다이옥신이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은 베트남 전쟁에서 고엽제로 알려진 제초제에 다이옥신이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었고, 이에 폭로된 참전군인과 그 후세들에게 여러 가지 건강장애가 나타난 것은 1990년대 초반의 일이다. 최근에는 쓰레기 소각장에서 다이옥신의 과다한 유출로 시민들의 관심을 받기에 이르렀으며, 또한 1997년 4월에는 마산만의 어패류에서 규정치 보다 310배나 높은 다이옥신이 검출되어 문제시 된 독성화합물이다.
다이옥신(dioxin)은 고리가 3개인 방향족 화하물에 여러 개의 염소가 붙어있는 화합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가운데 고리에 산소원자가 2개인 다이옥신계 화합물(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 ; PCDD)과 산소원자가 하나인 퓨란계 화합물(polychlorinated dibenzo furan ; PCDF)을 모두 통칭한다. 치환된 염소의 수 및 위치에 따라 PCDDs는 75개의 동종체, PCDFs는 135개의 동종체가 각각 존재하며 따라서 총 다이옥신류는 210개의 이성체가 있다. PCDDs는 제초제, 살충제 등의 화학제품, 쓰레기 소각장에서 나오는 유독성 매연, 제지공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물 등에 포함되어 우리의 주변 환경에 거의 반영구적으로 존재하며 인간과 동물의 체내에 농축되어 다양한 장애를 유발함으로써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은 PCDDs의 동종체 중의 하나로 현재까지 알려진 다이옥신 중에서는 체내에서 가장 강한 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ohjanvirta R & Tuomisto J(1994) ; Short-term toxicity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 laboratory animals; effects, mechanism, and animal models. Pharmacol. Rev. 46; 483-549). TCDD는 일부는 소변 및 담즙으로 배설되기는 하나, 지용성이 강해 체내 지방조직에 주로 축적되며, 화학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자연계에서 거의 분해되지 않아(체내 반감기 약 11년), 먹이사슬에 의해 농축된 것을 인간이 섭취하기 때문에 더욱 위험하다. TCDD에 의한 독성은 설치류에서 피부, 폐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기에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농도(30㎍/㎏ 이상)에서 지방조직 보다 간에 더 많이 축적된다. 특히 설치류의 간에서 강력한 발암물질로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itot HC, Goldsworthy T, Campbell HA & Poland A(1980) ;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promotion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of hepatocarcinogenesis from diethylnitrosamine. Cancer Res. 40; 3616-3620).
이것은 TCDD가 간의 대사과정에 중요한 씨토크롬 피-450(cytochrome P-450) 효소계 및 간세포의 증식과 산화적인 DNA의 손상 등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곤충은 주로 해충으로 인식되어 이들을 방제하는데 주력하였을 뿐, 유용성 곤충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최근에 들어 곤충의 다양성과 특성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곤충의 생리활성물질을 산업적으로 이용하거나 의약품을 개발하는데 일부 곤충이 이용되고 있다.
안 등은 귀뚜라미 추출물이 오메가-3 계열 지방산을 포함한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며 단백질과 키틴/키토산을 높은 농도로 함유하고 있어 귀뚜라미 추출물을 축산물 사료에 첨가 시 계육에서 다가불포화 지방산 증가, 소량의 EPA 증가 및 육질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Ahn MY, Ryu KS, Park BY, Kim DW, Kim I & Kim SH(2000) ; Effect of cricket on the chicken and its egg. Korean J. Poult. Sci. 27; 197-202), 또한 사염화탄소로 급성 간장해를 유발한 마우스에서 귀뚜라미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및 수영능 증강 등의 효과를 보고하였다(Ahn MY, Lee YW, Ryu KS, Lee HS, Kim I, Kim JW, Lee YK, Kim ES & Kim YS(2002) ; Protective effects of water/methanol extracts of cricket on the acute hepatic damages in the ICR-mice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CCl4.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684-687).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옥신 등과 같은 독성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는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은, 건조된 성체 귀뚜라미 500g을 증류수 4,000 내지 6,000㎖ 중에서 열수추출하고,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1/50 내지 1/55의 비율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서 얻어지는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농도로 적어도 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농도로 적어도 200㎎/㎏ 그리고 기타 약제학적으로 공지된 부형제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은, 건조된 성체 귀뚜라미 500g을 증류수 4,000 내지 6,000㎖ 중에서 열수추출하고,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1/50 내지 1/55의 비율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서 얻어지는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귀뚜라미는 우리의 생활환경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귀뚜라미과(Gryll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학명이 그릴러스 비마큘라투스(Gryllus bimaculatus)인 아열대산 귀뚜라미를 사용한다.
여름철 밤에 날개를 마찰하여 내는 울음소리로 정서곤충으로 알려져 있으나, 왕귀뚜라미는 과수나 각종 묘목을 갉아먹는 해충이지만 구워서 어린아이의 경기에 사용하면 효과가 있고, 해열제로도 사용한다고 한다. 일본 애히매겐과 오이따 등지에서는 성충을 설사와 이질병에 사용하였고, 또 장티프스에는 성충을 눌러서 짠 즙액을 술에 타 마셨으며, 또 꾸지마에서는 엑기스를 해열제로 사용하는 습속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용화되지는 못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에서 주메드사(Zoomed)에서 파충류, 물고기 사료로 귀뚜라미가 판매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귀뚜라미의 열수추출물이 독성물질에 의한 간독성을 예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생화학적 실험을 통해 특히 간독성에 유효한 유효농도를 결정하여 완성된 용도발명으로서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 건조된 성체 귀뚜라미 500g에 대해 열수추출을 위한 증류수가 4,000㎖ 미만인 경우, 유효물질의 추출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6,000㎖을 초과하는 경우, 가열 등을 위한 열수추출에 시간과 노력 및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관, 취급 등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1/50 내지 1/55의 비율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농도로 적어도 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농도로 적어도 200㎎/㎏ 그리고 기타 약제학적으로 공지된 부형제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들에서 귀뚜라미 추출물의 유효농도는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실험적으로 확정된 것으로서, 특히 복용대상체의 체중 당 독성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는 간독성을 예방하기에 적절하고 효과가 있는 농도로서, 이 농도 미만인 경우, 목적하는 바의 간독성의 예방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건조된 성체 귀뚜라미 500g을 증류수 5,000㎖ 중에서 열수추출하고,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1/50의 비율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서 귀뚜라미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시험물질의 보관 및 취급
시험물질(상기 실시예의 귀뚜라미 추출물)은 기밀용기에 담아 보관하였다.
간독성 유발물질
간독성 유발물질로는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을 사용하였다. 이 간독성 유발물질은 갈색시약병에 담아 냉장보관하였다.
시험계는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 SD) 랫드(대한민국 소재 (주)샘타코바이오코리아 공급) 6주령(190 내지 200g) 40마리를 구입하여 7일간의 순화기간을 두어 사육한 후, 7주령(209 내지 223g) 35마리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SD 랫드는 일반독성 및 약효약리 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참고할 많은 기초자료가 축적되어 있어 시험계로 선택하였다.
시험군 구성
시험군은 하기 표 1과 같이 구성하였다.
구분 TCDD 투여용량 (㎍/㎏) 추출물 투여용량 (㎎/㎏) 개체수
G1 음성대조군 0 0 7
G2 TCDD 단독투여군 60 0 7
G3 TCDD+ 추출물저용량군 60 50 7
G4 TCDD+ 추출물중용량군 60 100 7
G5 TCDD+ 추출물고용량군 60 200 7
투여경로
귀뚜라미 추출물(실시예)의 임상예상적용경로가 경구이므로 투여경로를 경구로 하였으며, TCDD는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투여방법
귀뚜라미 추출물(실시예)은 군분리 다음날부터 1회/1일 경구로 존데(sonde)를 이용해서 위내로 14일간 투여하였으며, TCDD는 귀뚜라미 추출물의 투여가 끝난 다음날에 23게이지의 주사기를 이용하여 복강 내로 투여하였다.
시험방법
시험기간 : 28일(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기간 14일 + TCDD 투여 후 관찰기간 14일)
투여는 군분리 다음날부터 14일간 음성대조군(G1) 및 양성대조군(G2)에는 생리식염수를, 투여군(G3 내지 G5)에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각 용량별로 경구투여 하였다.
TCDD는 14일간 생리식염수 및 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한 후, TCDD(2㎎)를 미량의 디메틸설폭사이드(DMSO)(50㎕)와 소량의 아세톤(450㎕)에 녹인 다음 옥수수유(corn oil)(4.5㎖)에 희석한 것을 스톡솔루션(stock solution ; 400㎍/㎖)으로 하였으며, 워킹솔루션(working solution)은 TCDD의 최종농도가 60㎍/㎖가 되도록 옥수수유로 희석한 다음 복강투여하였다. TCDD를 투여한 후, 14일간은 귀뚜라미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았으며 관찰만을 하였다.
일반증상 관찰
일반증상은 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기간 중 1일 1회 매일 관찰하고, 관찰기간 중 1일 2회 사망개체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체중측정
시험에 사용된 시험동물의 체중은 예비 군분리시, 귀뚜라미 추출물 투여 개시 후, 주 2회 및 부검직전에 측정하였다. 부검직전에 약 18시간 동안 절식을 시켰다.
혈액생화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는 부검시에 18시간 절식시킨 동물을 에테르 마취하에 복대동맥에서 전채혈해서 얻은 혈액을 실온에 30분간 방치하여 응고시킨 다음 원심분리(3,000rpm, 15분)해서 얻은 혈청에 대하여 alanine transaminase(ALT), aspartate transaminase(AST), alkaline phosphatase(ALP), triglyceride,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HDL), low-density lipoprotein(LDL), glucose, creatinine, total protein, albumin, uric acid, blood urea nitrogen(BUN), calcium, inorganic phosphate치를 자동분석기(히다치-747(Hitachi-747), 일본국 소재 히다치 메디칼 사(Hitachi Medical Co., LT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장기중량 측정
시험종료 후 모든 시험동물에 대하여 간장, 심장, 비장, 신장(좌, 우), 고환(좌, 우), 부고환(좌, 우), 전립샘, 폐, 흉선, 부신(좌, 우), 갑상샘(좌, 우), 악하샘(좌, 우), 뇌의 장기중량을 측정하였다.
병리조직 검사
간을 채취하여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시켰다. 충분한 고정을 거친 간 조직은 파라핀 포매기(Leica EG 116, 독일)에 포매하여 로타리 마이크로톰(Leica 820, 스웨덴)으로 4㎕ 절편을 만들어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 Eosin)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
대조군과 실험군의 체중변화, 장기중량 및 혈청생화학적 검사에 대한 실험결과는 평균치±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스튜던츠 티-테스트(Student's t-test)법을 이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결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일반증상 관찰
실험 전기간 동안 모든 군에서 폐사한 동물은 없었다. 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기간 동안 모든 군에서 아무런 임상증상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TCDD를 투여하고 관찰기간 동안은 TCDD 투여한 모든 군에서 피모의 거칠어짐과 체중의 손실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TCDD 단독투여군에서 이러한 외관상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체중변화
귀뚜라미 추출물 투여기간 동안 모든 군의 체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TCDD를 투여하고 14일의 관찰기간 동안에는 음성대조군(G1)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TCDD 투여 후 7일째부터 체중의 지속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TCDD 투여 후 14일째에는 음성대조군의 체중(361.74±23.92g)에 비해 TCDD 단독투여군(G2 ; 317.78±21.53g)에서 유의적인 체중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P<0.01), 귀뚜라미 추출물 50㎎(G3 ; 저용량군) 또는 100㎎(G4 ; 중용량군)에서도 유의적인 감소(저용량군 ; 321.42±35.59g 및 중용량군 ; 325.30±25.20g)가 관찰되었다(P<0.05). 그러나 귀뚜라미 추출물 200㎎(G5 ; 고용량군)에서는 이러한 체중의 감소가 다소 억제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도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G1 G2 G3 G4 G5
일수 1 214.99 ± 4.53 214.39 ± 3.80 215.42 ± 4.68 214.25 ± 5.12 214.00 ± 4.98
3 230.79 ± 6.30 231.82 ± 6.69 235.38 ± 9.01 230.78 ± 8.80 231.95 ± 6.25
7 261.73 ± 9.08 263.35 ± 8.52 269.76 ± 10.85 260.40 ± 10.25 261.96 ± 12.09
10 283.12 ± 11.47 281.01 ± 7.90 286.81 ± 12.58 283.11 ± 6.77 280.94 ± 13.07
14 305.24 ± 15.68 319.85 ± 36.22 316.31 ± 15.11 306.38 ± 16.20 323.35 ± 33.41
17 321.24 ± 15.86 324.39 ± 12.23 336.56 ± 17.77 324.25 ± 19.34 328.38 ± 14.97
21 333.48 ± 18.54 330.82 ± 11.14 225.12 ± 21.77 327.92 ± 16.42 338.91 ± 20.88
24 347.52 ± 22.7 322.95 ± 14.26* 326.11 ± 28.97 323.18 ± 17.78* 337.42 ± 27.10
28 361.74 ± 23.92 317.78 ± 21.53** 321.42 ± 35.59* 325.30 ± 25.20* 339.28 ± 34.76
* 대조군과 명백하게 다름(p<0.05) ** 대조군과 명백하게 다름(p<0.01)
혈액생화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에 있어 G2군(744.46± 314.83IU/L)의 AST 활성도는 G1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P<0.01), G3군(257.74± 145.23IU/L), G4군(195.84± 145.23IU/L) 및 G5군(289.60± 110.72IU/L)에서는 G2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1). 또한 ALT 활성도에 있어서도 귀뚜라미 추출물 투여로 G3군(46.55± 13.73IU/L), G4군(37.93± 6.24IU/L) 및 G5군(39.75± 6.35IU/L)에서 G2군(75.63± 26.59IU/L)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G3 및 G5군 ; P < 0.05, G4군 ; P < 0.01). 이를 도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G1군 G2군 G3군 G4군 G5군
효소 AST(IU/L) 168.77 ± 15.01 744.46 ± 314.83** 257.74 ± 145.23## 195.84 ± 44.15## 289.6 ± 110.72*##
ALT(IU/L) 57.63 ± 10.13 75.63 ± 26.59 46.55 ± 13.73# 37.93 ± 6.24**## 39.75 ± 6.35**#
ALP(IU/L) 116.86 ± 15.77 104.43 ± 21.35 106.86 ± 36.05 94.43 ± 29.31 81.57 ± 13.94**#
글루코스 (㎎/㎗) 143.29 ± 27.45 123.71 ± 18.76 123.00 ± 12.69 128.86 ± 18.62 120.86 ± 8.801
콜레스테롤 (㎎/㎗) 64.57 ± 8.00 93.86 ± 20.75** 110.86 ± 32.78** 81.86 ± 16.15* 89.43 ± 33.93
트리글리세리드 (㎎/㎗) 45.14 ± 16.38 50.29 ± 7.32 83.14 ± 10.95**## 58.86 ± 10.01 74.57 ± 40.94
HDL(㎎/㎗) 44.83 ± 2.88 150.31 ± 248.68 66.63 ± 15.46* 54.73 ± 8.98* 54.11 ± 15.64
LDL(㎎/㎗) 10.11 ± 3.77 17.14 ± 5.19* 19.81 ± 11.20 11.23 ± 2.83# 12.20 ± 9.36
크레아티닌 (㎎/㎗) 0.52 ± 0.01 0.59 ± 0.05* 0.55 ± 0.04 0.56 ± 0.03** 0.52 ± 0.03#
총단백(g/㎗) 6.32 ± 0.31 6.79 ± 0.42* 6.78 ± 0.41* 6.99 ± 0.20** 6.67 ± 0.21*
알부민(g/㎗) 3.94 ± 0.13 4.29 ± 0.15** 4.22 ± 0.23* 4.38 ± 0.16** 4.19 ± 0.12**
뇨산(㎎/㎗) 0.55 ± 0.22 0.32 ± 0.33 0.35 ± 0.33 0.16 ± 0.12** 0.28 ± 0.33
BUN(㎎/㎗) 16.00 ± 1.73 25.014 ± 3.34** 24.29 ± 3.55** 23.29 ± 3.90** 22.43 ± 3.41**
칼슘(㎎/㎗) 10.96 ± 0.32 13.73 ± 1.11** 13.53 ± 2.05* 12.50 ± 0.77**# 13.44 ± 0.84**
무기인(㎎/㎗) 7.53 ± 0.52 8.22 ± 0.83 7.57 ± 1.17 7.33 ± 0.42# 7.12 ± 0.81#
* 대조군과 명백하게 다름(p<0.05) ** 대조군과 명백하게 다름(p<0.01) # G2군과 명백하게 다름(p<0.05) ## G2군과 명백하게 다름(p<0.01)
상대 장기중량의 변화
간장의 상대 장기중량의 변화에 있어 G2군(4.56± 0.37%) 및 G3군(5.01± 0.36%), G4군4.74± 0.17%) 및 G5군(4.36± 0.76%) 모두에서 음성대조군(2.75± 0.14%)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 < 0.01). 그러나 이러한 장기중량의 증가는 G5군에서 다소 감소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를 도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G1군 G2군 G3군 G4군 G5군
기관 2.75± 0.14 4.56± 0.37** 5.01± 0.36** 4.74± 0.17** 4.36± 0.76**
비장 0.23± 0.03 0.25± 0.03 0.25± 0.05 0.25± 0.05 0.26± 0.04
신장(좌) 0.37± 0.03 0.38± 0.03 0.41± 0.05 0.40± 0.04 0.40± 0.03
신장(우) 0.36± 0.04 0.39± 0.05 0.43± 0.05* 0.39± 0.03 0.40± 0.03*
고환(좌) 0.47± 0.08 0.59± 0.08* 0.56± 0.04* 0.57± 0.06* 0.53± 0.05
고환(우) 0.49± 0.07 0.57± 0.07 0.55± 0.04 0.59± 0.07* 0.53± 0.04
부고환(좌) 0.14± 0.04 0.16± 0.03 0.16± 0.04 0.16± 0.02 0.15± 0.02
부고환(우) 0.16± 0.03 0.17± 0.04 0.16± 0.02 0.15± 0.02 0.16± 0.02
전립선 0.17± 0.06 0.15± 0.06 0.09± 0.04*# 0.12± 0.07 0.12± 0.04
심장 0.34± 0.03 0.35± 0.03 0.38± 0.06 0.37± 0.10 0.34± 0.01
0.49± 0.08 0.51± 0.06 0.57± 0.07* 0.45± 0.09 0.52± 0.04
흉선 0.19± 0.02 0.07± 0.05** 0.04± 0.01** 0.04± 0.01** 0.06± 0.05**
부신(좌) 0.008± 0 0.010± 0 0.012± 0.01 0.008± 0 0.008± 0
부신(우) 0.008± 0 0.009± 0 0.011± 0.01 0.009± 0 0.009± 0
갑상선(좌) 0.003± 0 0.007± 0.01 0.004± 0 0.003± 0 0.004± 0
갑상선(우) 0.002± 0 0.002± 0 0.004± 0 0.003± 0 0.004± 0*#
하악샘 0.22± 0.05 0.18± 0.03 0.18± 0.03 0.17± 0.03 0.17± 0.03
0.60± 0.04 0.70± 0.08* 0.69± 0.07* 0.65± 0.06 0.64± 0.06
* 대조군과 명백하게 다름(p<0.05) ** 대조군과 명백하게 다름(p<0.01) # G2군과 명백하게 다름(p<0.05)
병리조직 검사
간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에 있어 G2군은 간세동이(portal triad) 주변을 위주로 해서 염증세포의 침윤(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염증세포는 간세동이 주변뿐만 아니라 간소엽 전반에 걸쳐 소상(focal)으로 침윤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소엽 전반에 걸쳐 심한 공포화(severe vacuolations)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병변은 귀뚜라미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귀뚜라미 추출물을 고농도로 투여한 G5군에서 염증세포의 침윤 및 공포화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CDD는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모든 동물종에서 간장의 비대를 일으키는데 이는 TCDD가 씨토크롬 피-450(cytochrome P-450) 효소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발되는 무과립형질내세망(SER)의 비대로 인한 간실질세포의 과형성과 비대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TCDD로 인해 간장이 손상을 받으면 간세포의 파괴 내지 염증에 기인한 세포막의 투과성이 항진되어 ALT, AST 등의 효소를 포함한 세포내 물질이 혈중으로 유출되어 효소들의 혈중농도와 활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도 역시 TCDD의 투여로 인해 이러한 간장의 비대와 그로 인한 상대 장기중량의 증가, 그리고 혈중 효소 활성도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본 발명에 따른 귀뚜라미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병리조직학적 검사에 있어서도 G2군에 비해 G3군 내지 G5군에서 귀뚜라미 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간세포의 손상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G5군에서 현저히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G1군(TCDD 처리없이 귀뚜라미 추출액이 포함되지 않은 생리식염수만을 쥐에게 경구투여한 군)의 쥐의 간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시약으로 염색하고 100배율로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4(A)는 간세동이를 도 4(B)는 중심동맥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어떠한 손상도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G2군(귀뚜라미 추출액이 포함되지 않은 생리식염수만을 쥐에게 경구투여하였으며, 그후에 TCDD를 주사한 그룹)의 쥐의 간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시약으로 염색하고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5(A)는 100배율의 확대사진이고, 도 5(B)는 200배율의 확대사진이다. 도 5에서는 심각한 정도의 공포화 현상(검은색 화살표)과 염증세포 침윤현상(청색 화살표)이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G4군(귀뚜라미 추출액 100㎎/㎏을 쥐에게 경구투여하였으며, 그후에 TCDD를 주사한 그룹)의 쥐의 간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시약으로 염색하고 100배율로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6(A)는 간세동이를 도 6(B)는 중심동맥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약한 정도의 공포화 현상과 염증세포 침윤현상이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G5군(귀뚜라미 추출액 200㎎/㎏을 쥐에게 경구투여하였으며, 그후에 TCDD를 주사한 그룹)의 쥐의 간조직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시약으로 염색하고 100배율로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으로, 도 7(A)는 간세동이를 도 7(B)는 중심동맥 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심각한 공포화 현상과 염증세포 침윤현상이 귀뚜라미 추출액에 의하여 정상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귀뚜라미 추출물은 체중 감소의 억제, 혈중 효소치의 개선, 간의 비대 억제와 그로 인한 간세포 보호 등 다양한 작용을 통하여 대표적 환경독성물질인 TCDD의 간독성에 효과적으로 예방작용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그 유효농도는 200㎎/㎏ 이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옥신 등과 같은 독성화합물에 의해 유발되는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건조된 성체 귀뚜라미 500g을 증류수 4,000 내지 6,000㎖ 중에서 열수추출하고, 수득된 열수추출액을 1/50 내지 1/55의 비율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서 얻어지는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
  2. 청구항 1항의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농도로 적어도 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3. 청구항 1항의 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농도로 적어도 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40050837A 2004-06-30 2004-06-30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KR100599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837A KR100599460B1 (ko) 2004-06-30 2004-06-30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837A KR100599460B1 (ko) 2004-06-30 2004-06-30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682A true KR20060001682A (ko) 2006-01-06
KR100599460B1 KR100599460B1 (ko) 2006-07-12

Family

ID=3710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837A KR100599460B1 (ko) 2004-06-30 2004-06-30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4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811A (ko) * 2015-05-13 2016-11-23 이삼구 진세노사이드계 사포닌과 인삼다당체를 함유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과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의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JP2017105772A (ja) * 2015-12-09 2017-06-15 グー リー、サム 発毛促進、脱毛予防、及び毛嚢改善用の食用コオロギ組成物
KR20190013544A (ko) * 2017-07-28 2019-02-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76B1 (ko) 2014-11-06 2016-09-29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용 귀뚜라미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품용 귀뚜라미 원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811A (ko) * 2015-05-13 2016-11-23 이삼구 진세노사이드계 사포닌과 인삼다당체를 함유하는 귀뚜라미의 사육방법과 그 사육방법으로 사육된 귀뚜라미의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JP2017105772A (ja) * 2015-12-09 2017-06-15 グー リー、サム 発毛促進、脱毛予防、及び毛嚢改善用の食用コオロギ組成物
KR20190013544A (ko) * 2017-07-28 2019-02-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460B1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zeja et al. Acute and sub-chronic toxicity profile of methanol leaf extract of Gouania longipetala in rats
Ogutcu et al. Dichlorvos-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and the protective effects of vitamins C and E
Kalender et al. Methyl parathion induced nephrotoxicity in male rats and protective role of vitamins C and E
Sagor et al. Supplementation of fresh ucche (Momordica charantia L. var. muricata Willd) prevented oxidative stress, fibrosis and hepatic damage in CCl 4 treated rats
Han et al. Deltamethrin induces liver fibrosis in quails via activation of the TGF-β1/Smad signaling pathway
Ito et al.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of microcystin-LR, and its distribution
Hamid Histopathological effects of pesticide-cholopyrifos on kidney in albino rats
Smida et al. Immunoprotective activ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actus (Opuntia ficus indica) extract against chlorpyrifos toxicity in rats
Ekweogu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aqueous leaf extract of Solanum aethiopicum on phenylhydrazine-induced anaemia and toxicity in rats
Kutlu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hepatotoxic and nephrotoxic effects of aroclors 1221 and 1254 in female rats
Aukkanimart et al. Anthelmintic,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Garcinia mangostana extract in hamster opisthorchiasis
Tchamgoue et al. Costus afer protects cardio-, hepato-, and reno-antioxidant status in streptozotocin-intoxicated wistar rats
Mazzanti et al. Chelidonium majus is not hepatotoxic in Wistar rats, in a 4 weeks feeding experiment
KR100599460B1 (ko) 간독성에 대한 예방효과를 갖는 귀뚜라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Ortiz-Delgado et al. Cellular distribution and induction of CYP1A following exposure of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to waterborne and dietary benzo (a) pyrene and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an immunohistochemical approach
Mandal et al. Targeting of liposomal flavonoid to liver in combating hepatocellular oxidative damage
Terao et al. Histopathological studies of experimental marine toxin poisoning. II. The acute effects of maitotoxin on the stomach, heart and lymphoid tissues in mice and rats
Majeed et al. Assessment of safety profile of activated curcumin C3 complex (AC3®), enriched extract of bisdemethoxycurcumin from the rhizomes of Curcuma longa
Akinloye et al. Dose-dependent effects of paraquat on c-reactive protein, some lipid profile parameters and histology of tissues in male albino rats.
Nur et al. The effect of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on hepatic histopathology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treated with malathion
Khatab et al. samar. zag1234@ gmail. com
Ahmad Polygonum amplexicaule extract: an effective herbal cure to CCl4 induced liver damage in vivo
Serges et al.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Commelina diffusa Burm extracts on gentamicin-induced liver damage in rats
Nitha et al. Antiproliferative effect of Woodfordia fruticosa Kurz flowers on experimentally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rats and in human hepatoma cell line
Kanife et 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Healthy and Infected Panicum maximum (Jacq.) Floret on liver and kidney function profile and histopathology in Sprague-dawley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