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665A - Deflection yoke - Google Patents

Deflection yo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665A
KR20060000665A KR1020040049598A KR20040049598A KR20060000665A KR 20060000665 A KR20060000665 A KR 20060000665A KR 1020040049598 A KR1020040049598 A KR 1020040049598A KR 20040049598 A KR20040049598 A KR 20040049598A KR 20060000665 A KR20060000665 A KR 20060000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eflection
separator
electron beam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665A/en
Publication of KR2006000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6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3Stat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01J29/762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using saddle coils or 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Abstract

본원 발명은 편향 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의 상단부에 위치한 상측과 하측 코마프리 코일과 프린트 회로기판과의 연결시 상기 배선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상기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separator for deflection yoke, and more particularly, a structure for fixing the wiring when the upper and lower comapri coils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ar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It is to provide.

세퍼레이터, 단자, 코일고정부, 리어커버, 코마프리Separator, Terminal, Coil Fixation, Rear Cover, Comafry

Description

편향 요크{DEFLECTION YOKE} Deflection yoke {DEFLECTION YOKE}

도1은 종래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며,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il separator,

도2는 상기 도1의 코일 세퍼레이터에 리어커버가 장착되어진 도면이며,FIG. 2 is a view in which a rear cover is mounted on the coil separator of FIG.

도3은 배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리어커버에 돌출부가 형성된 종래의 발명을 나타낸 도면이고,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vention in which a protrusion is formed on a rear cover to fix a wire;

도4는 본원발명인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의 정면도이며,4 is a front view of an integrated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 및 도5b는 본원발명인 코일고정부의 실시예이고,5a and 5b is an embodiment of the coil fix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원발명인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의 상면도를 도시한다.Figure 6 shows a top view of an integrated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코일 세퍼레이터 12: 리어커버10: coil separator 12: rear cover

21: 회로기판 22: 코일고정부21: circuit board 22: coil fixing

23: 상부 24: 하부23: upper part 24: lower part

25: 코마프리 25: Comafry

본원 발명은 편향 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의 상단부에 위치한 상측과 하측 코마프리 코일과 프린트 회로기판과의 연결시 상기 배선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상기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separator for deflection yoke, and more particularly, a structure for fixing the wiring when the upper and lower comapri coils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ar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It is to provide.

일반적으로 티브이(TV) 화면에서 인간이 보는 화상은 고정된 화상이 아니고, 대략 초당 30번의 비율로 나타나는 정지화면의 연속체로서 움직이는 영상이고, 화면에 나타나는 색채는 브라운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적색, 청색, 녹색의 형광물질을 통하여 발광되는 전자빔들의 조합이다. In general, an image seen by a human being on a TV screen is not a fixed image, but a moving image as a continuum of still images that appear at a rate of about 30 times per second, and the colors displayed on the screen are red and blue applied to the screen surface of the CRT. , A combination of electron beams emitted through a green phosphor.

즉, 화면의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525 개의 주사선을 1/30초 동안 비월주사하여 전체 화상정보를 담은 한 프레임을 형성하고, 전자빔이 형광물질에 강하게 충돌할수록 더욱 밝게 빛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전자빔의 강도를 조정하고 화면의 밝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영상신호가 시각화되는 것이다. 만일 전자빔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주사되지 않게 되면 화면 중심부에 밝은 점 하나만을 형성하게 되어 영상이 바르게 전달되지 않게 된다.That is, 525 scan lines are interlaced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of the screen for 1/30 second to form a frame containing the entire image information.The stronger the electron beam collides with the fluorescent material, the brighter the light shines. The video signal is visualized by adjusting the intensity and chang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f the electron beam is not scanned in the above manner, only one bright spo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the image is not transmitted correctly.

음극선관(CRT)과 편향요크(Deflection Yoke)는 카메라를 통해 전달되는 비디 오 영상신호가 브라운관과 같은 표시장치를 통해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재현되도록 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Cathode ray tubes (CRTs) and deflection yokes are important means for video signals transmitted through cameras to be reproduced by humans through display devices such as CRTs.

음극선관은 표시품질과 가격성능비가 우수하여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등의 새로운 표시장치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상표시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3 색의 전자빔을 편향시켜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하는 편향요크를 구비한다.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자기장치 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 시간계열로 전송된 전기신호가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Cathode ray tube is the most widely used image display device today despite the emergence of new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plasma display device (PDP) due to its excellent display quality and cost performance ratio. In general, a cathode ray tube includes a deflection yoke for deflecting an electron beam of three colors emitted from an electron gun so as to be accurately irradiated with a fluorescent film applied to a screen surface of the cathode ray tube. The deflection yok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magnetic tube of the cathode ray tube, and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in time series plays a role in reproducing the image on the screen of the cathode ray tube.

즉, 편향요크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이 고전압에 의해 스크린상으로 직진함에 따라 단순히 화면의 중앙 형광체(형광물질)만을 발광시키게 되므로, 외부에서 전자빔을 주사의 순서대로 스크린상에 도달하도록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러한 편향요크는 자계를 형성하여 전자빔이 자계를 통과할 때 전자기력을 받아서 그 진행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deflection yoke simply emits only the central phosphor (phosphorescent material) of the screen as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goes straight onto the screen by the high voltage, and thus deflects the electron beam from the outside to reach the screen in the order of scanning. The deflection yoke forms a magnetic field so that the electron beam is precisely deflected to the fluorescent film coated on the screen of the cathode ray tube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when the electron beam passes through the magnetic field and changing its traveling direction.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4)는 음극선관(1)의 RGB 전자총부(3)에서 위치되어 전자총(3a)으로부터 주사되는 전자빔을 스크린면(2)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형광막의 형광물질(Phosphor)은 전자빔의 충돌로 전자에너지가 빛으로 변화되도록 하며, 적당한 색상과 그 지속성 그리고 양호한 수명 등을 위해서는 형광물질의 선택과 도포기술이 고려되어야 한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typical cathode ray tube, and as shown, the deflection yoke 4 is positioned at the RGB electron gun portion 3 of the cathode ray tube 1 and scans an electron beam scanned from the electron gun 3a. The film is deflected by the fluorescent film applied to the film. Phosphor of the fluorescent film (Phosphor) is to change the electron energy to light due to the collision of the electron beam, and the selection and coating technology of the fluorescent material should be considered for proper color, its persistence and good life.

편향요크(4)는 전체적으로 상, 하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하나로 결합되는 한쌍의 코일 세퍼레이터(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수평 편향코일(15)와 수직 편향코일(16)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이들의 위치를 정도있게 조립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2)측에 결합되는 스크린부(11)와 리어커버(12) 및 상기 리어커버(12)의 중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3)에 결합되는 네크부(13)로 구성된다.The deflection yoke 4 is composed of a pair of coil separators 10 which are configured in an up-and-down symmetry as a whole and are combined into one, and the coil separator 10 includes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15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16. Is provided to insulate the components and to assemble them to a sufficient degree. The screen unit 11 and the rear cover 12 and the rear cover 12 are coupled to the screen surface 2 side of the cathode ray tube 1. It consists of a neck portion 13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center surface of the c) is coupled to the electron gun portion 3 of the cathode ray tube 1.

상기와 같은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 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평 편향자계와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 편향코일(15), 수직 편향코일(1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편향코일(16)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수직 편향코일(16)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강화하도록 자성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페라이트코어(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리어커버부(12) 일측에는 프린트 회로기판(21)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 수직 편향코일(15, 16)에 전원을 공급하는 등 장착된 여러 회로소자를 통해 편향요크에 대한 전기신호를 제어한다.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15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16 are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oil separator 10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and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A pair of ferrite cores 14 are installed to surrou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16 and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o reinforc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16. 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2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ear cover part 12 of the coil separator 10 to supply power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15 and 16. Control the electrical signal for.

상기 수평, 수직 편향코일(15, 16)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톱니파 전류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수평 편향코일(15)은 수직방향의 자력선이 발생되어 전자빔이 수평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수직 편향코일(16)은 수평방향의 자력선에 의해 전자빔이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전자총(3a)에서 방출되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3 색 전자빔들은 각각 소정각도 편향되어 화면상에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When sawtooth wave currents of different frequencies are appli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15 and 16,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15 generates vertical magnetic lines of force by the left-hand law of Fleming, and the electron beam is for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16, the electron beam is for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agnetic lin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three-color electron beam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3a are deflec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determine dice on the screen.

한편, 도 1에 도시된 편향요크는 코일의 권선구조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새들-새들(Saddle-Saddle)형과 이와 권선구조가 다소 다른 새들-토로이달 (Saddle-Toroidal)형( 도면 미도시)으로 대별된다. 도 2에 도시된 새들-새들형 편향요크는 대략 원추형의 코일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의 내주면 상/하측에 새들형의 수평 편향코일이 설치되고 외주면의 좌/우측에 새들형의 수직 편향코일이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 편향코일의 자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코일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1)의 외주면에는 대략 원통형의 페라이트코어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eflection yoke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the winding structure of the coil saddle-saddle (Saddle-Saddle) type shown in Figure 2 and Saddle-Toroidal type (Saddle-Toroidal) typ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winding structure (not shown) It is roughly divided into. In the saddle-saddle deflection yoke shown in FIG. Is installed. In order to reinforce the magnetic field of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 substantially cylindrical ferrite core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portion 11 of the coil separator 10.

또한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3)의 외주연 주변에는 수직 편향코일(16)에 의해 발생되는 코마(COMA)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프리 코일(도면 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리어커버부(12) 일측에는 프린트 회로기판(21)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 수직 편향코일(15, 16)에 전원을 공급하는 등 장착된 여러 회로소자를 통해 편향요크에 대한 전기신호를 제어한다.In addition, a coma-free coil (not shown) is install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eck portion 13 of the coil separator 10 to correct a coma generated by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16. 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2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ear cover part 12 of the coil separator 10 to supply power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coils 15 and 16. Control the electrical signal for.

상술한 바와 같은 코마프리(Coma Free)는 편향요크의 VCR(Ver. Center Raster) 특성, 즉 음극선관의 수직축 상의 측정점에 있어서의 적색 빔(R)/청색 빔(B)의 중심과 녹색 빔(G)의 수직방향의 미스컨버전스 감도가 양호하도록 만들어준다. 코마프리에서 발생되는 핀 자계가 수직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배럴(Barrel)자계를 상쇄시켜 녹색 빔(G)이 적색 빔(R)과 청색 빔(B)에 매칭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리어커버(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었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4부분의 코마프리에서 나오는 코마프리 코일은 리어커버의 일측에 연결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21)에 연결되게 된다. Coma Free as described above has the VCR (Ver. Center Raster) characteristics of the deflection yoke, i.e. the center of the red beam (R) / blue beam (B) and the green beam (at the measurement point on the vertical axis of the cathode ray tube). This makes good misconvergence sensitiv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G). The pin magnetic field generated by Comafree cancels the barrel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so that the green beam G is matched to the red beam R and the blue beam B. Conventionally, the rear cover It wa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12). As shown in FIG. 2, the comapri coils coming from the four part comapr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cover ar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1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ar cover.

이러한 연결을 위해, 상기 코마프리 코일로부터 나온 코일을 상기 회로기판(21)에 연결시 상기 코일배선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 바, 이와 같은 회로고정구조가 도2에서 부호(30)로 도시되어 있다. 즉, 회로기판 방향으로 리어커버(12)의 상단의 한측에 형성된 상기 회로고정구조(30)에 의해 상기 코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코일 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막아 고정될 수 있도록 하게 되었다. 도3은 상술한 바와 같은 회로고정구조(30)가 형성된 리어커버(12)를 도시하고 있다.For this connection, a structure for fixing the coil wiring when connecting the coil from the comma-free coil to the circuit board 21 is required. Such a circuit fixing structure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30 in FIG. Is shown. That is, by allowing the circuit fixing structure 3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cover 12 in the direction of the circuit board, the coils can be fixed by preventing the coils from contacting each other. 3 shows a rear cover 12 in which the circuit fixing structure 3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그러나, 편향요크의 형태가 점점 단순하게 변화하고 있고, 그 일례로서, 리어커버와 코일 세퍼레이터를 분리하고 있었던 종래의 형태에서 코일 세퍼레이터와 리어커버를 결합한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의 형상을 가진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즉, 리어커버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에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부품을 단순화시켜, 조립공정에 있어 공정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리어커버에 형성되었던 구조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에 형성되어질 필요가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the shape of the deflection yoke is gradually changing, and as an example, the shape of the deflection yoke has been changed from the conventional form in which the rear cover and the coil separator are separated to have the shape of an integrated coil separator in which the coil separator and the rear cover are combined. . That is, by forming the rear cover integrally with the coil separator, the parts are simplified to increase the process efficiency in the assembling proces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formed in the rear cover to be formed in the coil separator.

상술한 리어커버가 코일 세퍼레이터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 형상의 경우, 상기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는 종래에 리어커버가 행하였던 역할을 행할 수 있어야 하므로, 종래에 문제가 되었던 코마프리 코일의 배선구조 역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리어커버(12)에 형성되었던 회로코일고정구조(30)는 리어커버(12)의 사출방향과 상기 고정구조(21)의 나열방향이 다름으로 인하여 상기 고정구조(30)를 형성하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구조(30)를 상기 일체형 코일세퍼레이터에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려 한다면, 코일세퍼레이터의 사출방향과 상기 고정구조의 나열방향이 같음으로 인하여 상기 리드와이어선의 배선구조가 형성되기 어렵도록 되어있었다. In the case of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shape in which the rear cov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il separator,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should be able to play a role that the rear cover has conventionally performed. It must be formed. 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circuit coil fixing structure 30,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formed in the rear cover 12, is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rear cover 12 an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fixing structure 21. It wa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easy to form the fixing structure (30). However, if the conventional fixing structure 30 is to be formed in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in the same shape, it is difficult to form the wiring structure of the lead wire line due to the same ejection direction of the coil separator an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fixing structure. It was supposed to.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코마프리코일의 배선구조를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사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re is a need to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wiring structure of the coma precoil to be formed in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coil separato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편향요크에 코마프리 코일과 회로기판의 연결시 요구되는 배선구조가 마련된 일체형 코일세퍼레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coil separator having a wiring structure required for connecting a comma-free coil and a circuit board to a deflection yok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코마프리 코일을 상기 편향요크에 손쉽게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키려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by allowing the comma free coil to be easily fixed and detachable to the deflection yok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에 수직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여 상기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전자빔에 수평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여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며, 상단부에는 코마프리 코일과 회로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배선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고정부가 마련된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와; 및 상기 수직 편향코일을 통한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eflection yok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deflection coil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a vertical direction by applying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of the cathode ray tube;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for applying the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n beam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discriminate the positions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to electrically insulate each other, and an integrated coil provided with a coil fixing part for fixing a wire connecting the coma-free coil and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at the upper end thereof. A separator; And a ferrite core for enhancing the magnetic field through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 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4는 본원 발명에 따른 코일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일체형 코일세퍼레이터의 정면도이고, 도5는 상기 코일고정부의 실시예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고정부가 마련된 코일 세퍼레이터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is provided with a coil fi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coil fixing, Figure 6 shows a top view of a coil separator provided with a coil fi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or convenie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는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에 수직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여 상기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미도시)과, 상기 전자빔에 수평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여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상기 수직 편향코일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10')와, 수직 편향코일을 통한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편향코일은 전용 권선기를 이용하여 마그네트 와이어를 감아 제작하는 것으로,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내측 둘레에 밀착되게 조립된다.As shown in FIG. 4, the deflection yo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tical deflection coil (not shown)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a vertical direction by applying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an electron beam emitted from an electron gun of a cathode ray tube, and the electron beam. A coil separator which applies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recisely discriminates the positions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electrically insulates each other. 10 ') and a ferrite core (not shown) for enhancing the magnetic field through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magnet wire by using a dedicated winding machine, and is composed of two pair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il separator 10 '.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두부분으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어, 양 부분 을 결합하도록 하여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10')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0')는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그 중 한 부분을 형성하는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상단부(26)의 한 측면에는 코마프리 코일과 회로기판(21)을 연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배선구조를 일정하게 고정하도록 하기위한 코일고정부가 요구되어 진다. The coil separator 10 'is formed by being separated into two parts so as to couple both parts to form an integrated coil separator 10'. The coil separator 10 'is symmetrically formed, and one side of the upper end 26 of the coil separator 10' forming one portion thereof connects the comma-free coil and the circuit board 21 to each other. Coil fixation is required to fix the required wiring structure constantly.

도면에 의하면, 상기 코일고정부(22)는 코마프리 코일에서 나오는 코일들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회로기판(21)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일을 고정하는 역할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figure, the coil fixing part 22 may serve to fix the coil so that the coils coming out of the comapre coil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circuit board 21.

상술한 역할을 행하기 위한 상기 코일고정부(22)의 형상은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5a는 본원발명의 코마프리 코일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고정부(22)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5b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의하면, 코마프리 코일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고정부(22)는 상부(23) 및 하부(24)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24)는 상기 코마프리 코일을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부(23)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코마프리 코일이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역삼각형 형상의 상부(23)는 상기 코마프리 코일이 상기 코일고정부(22)의 좌, 우측 어느 방향으로 권선 고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에 어느 한 방향으로 상부가 형성되어 있었던 것에 비해 효율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다. 도5b는 종래에 리어 커버에 형성되었던 고정구조의 기능과 동일하도록 어느 한 방향으로 구부러진 코일고정부(22')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The shape of the coil fixing part 22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role is shown in Fig. 5, which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il fixing part 22 for fixing the comafree coil of the present invention. 5B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figure, the coil fixing part 22 for fixing a comafree coil consists of the upper part 23 and the lower part 24. As shown in FIG. The lower part 24 is used to fix the coma free coil, and the upper part 23 is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and is formed to prevent the coma free coil from being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triangular shape 23 of the inverted triangle shape allows the Comafree coil to be fixed in windings i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il fixing part 22, and thus the upper part in any one of the prior arts. Increasing the efficiency was compared to that formed. Fig. 5B shows the shape of the coil fixing portion 22 'bent in either direction to be identical to the function of the fixing structure conventionally formed in the rear cover.

도6은 상기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상기 코일고정부(22)는 소정의 간격을 구비하여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계단형상으로 상기 코일고정부(22)를 배열하는 것은 사출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Fig. 6 shows a top view of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10 '. In the drawing, the coil fixing part 22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coil fixing part 22 in such a step shape is to overcome the problem of inj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코마프리 코일을 회로기판의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배선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코일고정부(22)의 형상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를 사출하는 경우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형성한다면, 상술한 실시예 외에도 어떤 다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마프리 코일의 고정을 행하기 위한 배선구조를 도시하는 코일고정부의 형상도 상술한 바와 같은 역삼각형 또는 ㄱ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oil fixing part 22 of the coil separator 10 ', which shows the wir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Comafree coi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is the same when the coil separator is ejected. If formed to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that can be formed, any other method can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oreover, the shape of the coil fixing part which shows the wiring structure for fixing the said comafree coil is not limited to the inverted triangle or L-shape as mention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shapes.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리어커버에 형성되었던 코마프리 코일의 고정구조가 상기 일체형 코일세퍼레이터(10')에 마련되어짐으로 인하여 부품수의 감소 및 제품의 조립상에서의 조립공정의 효율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ed structure of the Comafree coil conventionally formed on the rear cover is provided in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10 ',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and an increase in the efficiency of the assembly process in assembling the product. Came.

상기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의 각각의 상단부의 어느 한면에 코일고정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코마프리 코일을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에 안정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에 리어커버의 필요성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부품수의 감소를 가져오게 됨에 따라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By forming a coil fixing part on either side of each upper end of the integrated coil separator to stably fix the Comafree coil to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eliminating the need for a rear cover in the coil separa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As a result,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productivit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서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자유로운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유스러운 변경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이하 서술되는 특허청구범위를 넘지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can be freely changed and modified. The free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free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claims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5)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에 수직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여 상기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과;A vertical deflection coil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a vertical direction by applying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of the cathode ray tube; 상기 전자빔에 수평방향의 편향자계를 가하여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코일과;A horizontal deflection coil for applying the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n beam to deflect the electron beam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며, 상단부에는 코마프리 코일과 회로기판의 단자를 연결하는 배선을 고정하기 위한 코일고정부가 마련된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와; 및It is possible to precisely discriminate the positions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and to electrically insulate each other, and an integrated coil provided with a coil fixing part for fixing a wire connecting the coma-free coil and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at the upper end thereof. A separator; And 상기 수직 편향코일을 통한 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Deflection yok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errite core for strengthening the magnetic field through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코일고정부는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상단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구비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The coil fixing portion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upper end of the coil separator, the deflection yok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the inclined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코일고정부는 상부 및 하부로 구성되며, 하부는 코마프리 코일을 고정하도록 소정두께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역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 기 코마프리 코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The coil fixing part is composed of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nd a lower par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ix the coma free coil, and an upper part is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to prevent departure of the coma free coil. Deflection yok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코일고정부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상단부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여 계단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The coil fixing portion is a deflection yok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tepped manner with a predetermined slo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upper end of the coil separator.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정부는 코일 세퍼레이터에 일체형으로 사출되는 방향으로 배선구조의 나열방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The fixing part is a deflection yok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wiring structure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il separator is integrally injected.
KR1020040049598A 2004-06-29 2004-06-29 Deflection yoke KR200600006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598A KR20060000665A (en) 2004-06-29 2004-06-29 Deflection y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598A KR20060000665A (en) 2004-06-29 2004-06-29 Deflection yo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665A true KR20060000665A (en) 2006-01-06

Family

ID=3710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598A KR20060000665A (en) 2004-06-29 2004-06-29 Deflection yo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66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102B1 (en) Deflection yoke
KR20060000665A (en) Deflection yoke
US6825602B2 (en)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KR20060000666A (en) Deflection yoke
KR100465295B1 (en) Deflection Yoke for compensating Mis-convergence
KR100479448B1 (en) Deflection yoke
KR200158849Y1 (en) Fixation device of coma free compensation plate of deflection yoke
KR100422042B1 (en) Deflection yoke
KR100400836B1 (en) Deflection Yoke of CRT of Transposed scan
KR100396501B1 (en) Deflection yoke
KR200376864Y1 (en) contact point coca coil Structure for deflection yoke
JP2831708B2 (en) Deflection device for color picture tube
KR100410965B1 (en) Deflection yoke
KR100431264B1 (en) Deflection yoke
KR200266525Y1 (en) Electron gun of color cathode ray tube_
KR20040057282A (en) Deflection yoke
US20020041141A1 (en) Deflection yoke
KR20040057285A (en) Deflection yoke
KR20040057284A (en) Deflection yoke
KR20010109417A (en) Core clamp structure of ferrite-core
KR20040013775A (en) Deflection yoke
KR20050080310A (en) Ferrite core and deflection yoke comprising the same
KR20030013536A (en) Deflection york
KR20030034865A (en) Deflection yoke
KR20040044662A (en) Deflection y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