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225A -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225A
KR20060000225A KR1020040048780A KR20040048780A KR20060000225A KR 20060000225 A KR20060000225 A KR 20060000225A KR 1020040048780 A KR1020040048780 A KR 1020040048780A KR 20040048780 A KR20040048780 A KR 20040048780A KR 20060000225 A KR20060000225 A KR 2006000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residual water
ice
water
mach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225A/ko
Publication of KR2006000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2Removal by evaporation using condenser heat or heat of desuper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펜서사용시 바닥에 고이는 잔수를 인위적으로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잔수처리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냉장고에는, 잔수가 집수되도록 일정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면과 집수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이 형성되는 디스펜서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의 배출홈과 연결되어 집수된 잔수를 기계실에 구비된 증발명까지 배출하는 잔수배출관과, 기계실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배출관에 의하여 유입된 잔수를 취수하여 기계실 또는 콘덴서의 열에 의하여 증발시키는 증발명 등이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하우징바닥을 기울기있게 형성하고 기계실의 증발명까지 호스로 연결함으로써 디스펜서사용시 바닥에 고이는 잔수를 인위적으로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
냉장고, 잔수, 디스펜서, 컵, 도어

Description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Water elimination structure in the refrigerator dispenser}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가 장착된 냉장고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하우징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하우징에서 하우징의 바닥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잔수를 처리하기 위한 잔수처리구조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측면단면도이다.
***** 도면 4의 주요부호 설명 ******
10: 본체 11: 냉동실도어
14: 냉수공급레버 15 : 컵지지대
22 : 잔수배출관 25 : 콤프레샤
30: 냉동실 41 : 증발명
42 : 방열팬 43 : 콘덴서
50:제빙기 52: 제빙용기
53: 이빙부 54: 검빙레버
55 : 급수관 61: 얼음 저장통
62: 이송장치 63: 얼음 추출 모터
80: 수평스위치부 90: 만빙스위치부
100: 디스펜서부

본 발명은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의 바닥에 고이는 잔수를 처리하기 위한 잔수처리구조에 대한 것이다.
최근의 대형 냉장고에는 디스펜서가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 급수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디스펜서가 설치된 냉장고의 정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디스펜서(1)는 도어(2)의 전면 일부를 내측으로 함몰시킨 함몰부(5)에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5)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급수구(3)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구(3)는, 연결관(미도시)을 통하여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의 상기 급수구(3)측 단부에는, 급수밸브(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구(3)의 후방에는 상기 급수밸브(미도시)를 개폐시키는 급수스위치(4)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디스펜서(1)는, 사용자가 컵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스위치(4)를 상기 디스펜서(1)의 내측으로 누르면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컵에 급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1)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컵을 잘 사용하지 않으면 물이 넘치거나 흘러내려서 디스펜서(1)의 바닥에 고이게 된다. 이러한 물을 잔수(殘水)라고 하는 데,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걸레나 마른수건으로 바닥을 닦아서 잔수를 처리하곤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착안된 것으로써, 디스펜서사용시 바닥에 고이는 잔수를 인위적으로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잔수처리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소하기 위해, 디스펜서의 하우징바닥면에 일정한 기울기를 주어 잔수가 한곳에 집수되도록 하며, 집수된 잔수를 처리하기 위해 잔수배출관을 하우징과 연결하고 이를 기계실에 있는 증발명에 이르도록 하여 증발명에서 잔수가 증발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잔수처리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냉장고에는, 잔수가 집수되도록 일정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면과 집수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이 형성되는 디스펜서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의 배출홈과 연결되어 집수된 잔수를 기계 실에 구비된 증발명까지 배출하는 잔수배출관과, 기계실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어 배출관에 의하여 유입된 잔수를 취수하여 기계실 또는 콘덴서의 열에 의하여 증발시키는 증발명 등이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발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하우징을 정면에서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하우징에는 얼름이나 냉수를 위한 컵을 디스펜서에 밀어 넣을 경우 스위치장치가 조립될 수 있는 스위치배치부(20)와, 얼름이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홀이 있는 공급구(23)와, 냉수나 얼름을 받을 경우 흘러넘치는 물이 집수되도록 하는 바닥부(21)과, 그리고 이 바닥부(21)에는 잔수배출관(22)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홈(31) 등이 형성된다.
상기 기술된 하우징은 냉장고의 냉동실도어에 안착되어 얼름이나 냉수 등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단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 4를 기술하기에 앞서 상기 도2에서 기술한 디스펜서 하우징의 바닥면구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상기 바닥면구조를 보이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도 3에는 냉수나 얼름의 급수시 발생하는 잔수가 한곳에 모일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은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울기를 따라 잔수가 집수될 수 있도록 하는 집수홈(31)이 디스펜서하우징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 집수홈(31)은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관(22)과 연결된다. 물론 잔수배출관(22)은 기계실에 있는 증발명까지 이어지게 되는데 이를 보이는 도면이 도 4이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양문형냉장고의 냉동실을 측면에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를 설명하면,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냉동실(30)이 마련되고, 냉동실(30)의 전면에는 이를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1)가 설치된다. 이때 냉동실 도어(11)는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본체(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후면 벽체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24)가 설치되고, 본체(10)의 하측 후방에는 기계실(40)이 마련되고 이 기계실(40)에는 콤프레샤(25), 콘덴서(43), 이 콘덴서(42)를 냉각하기 위한 방열팬(42), 그리고 본 발명을 위한 증발명(41) 등이 설치된다. 상기 증발명(41)에는 디스펜서부(100)의 바닥면에 있는 집수홈(31)과 연결되어 잔수를 유입시키는 잔수배출관(22)이 이어진다.
물론 디스펜서부(100)에는 냉수배출을 위한 냉수공급레버(14)와 스위치장치(16)가 설치된다. 또한 컵(A)이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컵지지대(15)도 설치된다. 물론 컵지지대(15)는 필요에 따라서는 설치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냉수나 얼름을 위해서는 냉수공급레버(14)를 컵(A)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밀게 되므로 사용자는 컵을 계속 쥐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디스펜서부(100)는 냉수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부(100)에서 컵으로부터 물이 새거나 넘치게 되면 잔수는 잔수배출관(22)을 따라 증발명(41)에 취수되어 콘덴서(43)의 열에 의하여 증발되게 된다.
상기과정은 냉수에 대한 것을 기술하였으나, 쌍문형 냉장고에는 제빙장치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동실(30)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50)가 마련되고, 이들 제빙기(50)의 하부에는 제빙기(50)에서 제조된 얼음을 보관하는 얼음저장통(61)이 구비된다. 이때 각 제빙기(50)에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관(40)이 연결된다. 그 밖에 냉동실(30) 내부에는 냉동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26)과 다수의 보관상자(27)가 구비된다.
또한, 냉동실 도어(11)에는 냉동실 도어(11)를 열지 않고서도 얼음저장통(61) 내부의 얼음을 꺼낼 수 있도록 냉동실(30) 내부와 연통되는 얼음토출관(70)이 형성되며, 얼음저장통(61)에는 얼음을 얼음토출관(75) 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얼음추출모터(63)를 포함하는 이송장치(62)가 구비된다.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50)는 제빙기(50)를 냉동실(30)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51)가 마련되고, 이 지지부재(51)의 하부에는 물이 담길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다수의 오목한 홈이 형성된 제빙용기(52)가 설치된다. 이때, 제빙용기(52)는 지지부재(51)의 일단에 설치된 이빙부(53)에 의해 그 양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는 이빙부(53)의 회전력으로 제빙용기(52)가 뒤집어질 때 제빙용기(52)의 오목한 홈에 결빙되는 얼음의 이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이빙부(53)의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모터 및 감속기어장치가 마련되고, 또한 제빙기(50)의 동작제어를 위한 각종 감지스위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빙부(53)의 일측에는 얼음저장통(61)에 쌓이는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여 제빙기(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검빙레버(54)가 마련된다.
만빙스위치부(90)와 수평스위치부(90) 및 디스펜서부(100)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라인(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예와 도면을 가지고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통상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수많은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해짐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하우징바닥을 기울기있게 형성하고 기계실의 증발명까지 호스로 연결함으로써 디스펜서사용시 바닥에 고이는 잔수를 인위적으로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

Claims (1)

  1.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잔수가 집수되도록 일정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면(21)과 집수된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31)이 형성되는 디스펜서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의 배출홈(31)과 연결되어 집수된 잔수를 기계실에 구비된 증발명(41)까지 배출하는 잔수배출관(22)과,
    기계실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22)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에 의하여 유입된 잔수를 취수하여 기계실(40) 또는 콘덴서(43)의 열에 의하여 증발시키는 증발명(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
KR1020040048780A 2004-06-28 2004-06-28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 KR20060000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780A KR20060000225A (ko) 2004-06-28 2004-06-28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780A KR20060000225A (ko) 2004-06-28 2004-06-28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225A true KR20060000225A (ko) 2006-01-06

Family

ID=3710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780A KR20060000225A (ko) 2004-06-28 2004-06-28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2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3904A1 (es) * 2017-06-14 2018-12-14 Vega 21 S.L. Dispositivo de pegado de contrapesos
WO2022121953A1 (zh) * 2020-12-09 2022-06-16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饮用水供应装置和包括饮用水供应装置的冰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3904A1 (es) * 2017-06-14 2018-12-14 Vega 21 S.L. Dispositivo de pegado de contrapesos
WO2022121953A1 (zh) * 2020-12-09 2022-06-16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饮用水供应装置和包括饮用水供应装置的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9484B1 (en) Refrigerator
US20100257875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084297A (ko) 냉장고의 디스팬서
KR20070113870A (ko) 디스펜서와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214537003U (zh) 冰箱
RU2448311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ледогенератором
KR100758325B1 (ko) 냉장고
KR20060000225A (ko)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처리구조
US10746454B2 (en)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multiple-part external housing of an icemaker
KR20100063692A (ko)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KR101519877B1 (ko) 제빙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0765201B1 (ko) 냉장고
KR100334650B1 (ko) 김치냉장고
EP4273478A1 (en) Refrigerator
KR100951286B1 (ko) 냉장고
KR100366502B1 (ko) 냉장고 디스펜스부
KR200177370Y1 (ko) 김치냉장고
KR200384684Y1 (ko) 식품 냉동냉장장치
KR0170123B1 (ko) 냉장고의 제상수 배출장치
KR20100085265A (ko) 서랍식 김치냉장고
KR100586517B1 (ko) 냉장고
KR10066184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80052206A (ko) 냉장고
KR20040085596A (ko) 일체형 단열구조의 얼음저장고를 가지는 제빙기
KR200161981Y1 (ko) 냉장고용 제상수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