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309A -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309A
KR20050121309A KR1020040046382A KR20040046382A KR20050121309A KR 20050121309 A KR20050121309 A KR 20050121309A KR 1020040046382 A KR1020040046382 A KR 1020040046382A KR 20040046382 A KR20040046382 A KR 20040046382A KR 20050121309 A KR20050121309 A KR 20050121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diameter portion
low frequency
frequency generator
connec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한
박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월드
Priority to KR102004004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1309A/ko
Publication of KR2005012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4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단련을 겸한 유희용 오락기구의 일종인 훌라후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주파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훌라후프를 이용한 운동시 피부를 진동시킬 저주파를 흘려줌으로써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혈액 순환과 장맛사지 등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져 필요시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전류통전을 위한 체결구조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coupling type Hula-hoop had low frequency generator}
본 발명은 신체 단련을 겸한 유희용 오락기구의 일종인 훌라후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주파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훌라후프를 이용한 운동시 피부를 진동시킬 저주파를 흘려줌으로써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혈액 순환과 장맛사지 등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져 필요시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전류통전을 위한 체결구조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지름 1m 안팎의 플라스틱제(製)의 테[輪]로서, 그 속에 들어가 허리둘레가 테의 내경(內徑) 어느 부분에 닿은 상태로 몸을 흔들어 그 테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계속 돌게 하여 즐기는 놀이에 쓰이며, 남녀노소 구별 없이 신체단련을 겸하여 오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어원을 살펴보면, 훌라는 하와이의 훌라춤, 후프는 테를 뜻하며, 1960년을 전후하여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한 바 있으며, 훌라후프의 운동효과는 통상적으로 신체에 큰 무리를 가하지 않으면서도 전신운동을 할 수 있으며 복부비만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훌라후프의 경우 현대인들의 고민이라 할 수 있는 복부비만의 문제로 인해 근래 들어 다시 각광받고 있는 기구이며, 따라서 현대인들의 구미에 맞추어 매우 다양한 신제품들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제품들 중 가장 각광받고 있는 제품이 일명 매직 후프라는 것으로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순한 도너츠형 테의 형상을 훌라후프(100)와 훌라후프(100)의 내경 즉, 허리에 닿는 부위에 일정 간격으로 원형의 돌기(100a)를 형성시켜 높은 운동효과와 지압효과 및 장맛사지 등의 효과를 부가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매직 후프의 경우 운동초기에 돌기가 피부를 맛사지하는 과정에서 운동의 효과를 기대하기까지 오랜 시간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며 실제적으로 혈액순환이나 장맛사지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운동초기 돌기(100a)에 의한 접촉에 의해 피부에 멍이 들거나, 피부가 당기는 듯한 느낌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꾸준한 운동을 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 제안되어진 기술이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3-0030799호, 20-2003-0032790호)이다.
상술한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의 기술적 개념은 첨부한 도 2와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며, 이 기술은 본 발명의 발명자와 동일한 발명자에 의해 제안되어진 것으로 그 구성 및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로써,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훌라후프(20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4개의 저주파 발생기(220a~220d)를 설치하였다.
이때, 저주파 발생기는 하나만 존재하여도 무방하며, 이런 경우 훌라후프의 균형감을 위하여 다른 곳에는 동일한 무게감을 갖는 임의의 물질을 채워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저주파 발생기(220a~220d)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미도시)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주파의 경우 사용자의 피부로 직접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훌라후프(200)의 내주 면에는 상기 저주파 발생기(220a~220d)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전류를 훌라후프 사용자의 피부에 접속을 통해 흘려주기 위한 복수의 전극(첨부한 도 3의 210a, 210b)이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극(210a, 210b)은 훌라후프(200)의 내주 면에 일정길이 최대 훌라후프의 내주면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극(210a, 210b)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확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전극의 크기와 형상의 변경에 따라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은 매직후프와 같이 돌기가 있는 훌라후프에도 사용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는 그 기능상의 문제점은 없으나 제작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도너츠형으로 이루어진 일체의 전극을 훌라후프의 내주면에 형성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더욱이 근래의 훌라후프는 휴대의 용이성을 강조하여 7~8조각으로 분리되어 있어 필요시 이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므로 상술한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는 근래의 추세에 따라 조각으로 형성하고 이를 체결하여 사용하고자하는 경우 전극을 분리하여 체결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통전시키기 위한 특별한 구조가 필요하다는 기술적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단련을 겸한 유희용 오락기구의 일종인 훌라후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주파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훌라후프를 이용한 운동시 피부를 진동시킬 저주파를 흘려줌으로써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혈액 순환과 장맛사지 등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며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져 필요시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전류통전을 위한 체결구조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특징은, 주기적으로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훌라후프의 내부에 장착(고정 안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저주파 발생기와,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펄스를 사용자에게 흘려주도록 훌라후프 내주면에 부착(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한 훌라후프에 있어서: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연결캡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각 훌라후프 조각은 일 단에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가 단차진 상태로 연장되어 있고, 타 단에 상기 제1직경부의 직경과 동일한 제3직경부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캡은 상기 제2직경부가 다른 훌라후프 조각의 제3직경부에 압입됨에 따라 형성된 안착면에 끼워져 각 훌라후프 조각을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은, 상기 안착면에 대한 상기 연결 캡의 결합력을 높이는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 캡은 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극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전극패드와; 상기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극 패드의 위치 정렬을 하도록 상기 전극패드 대향측에 돌출된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홈이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전극 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끼움턱과; 상기 끼움턱에 대응하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의 사각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사각편은 끼움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이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고정되어지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사각편은 상기 연결 캡과 독립적인 개체인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 주변 외주면 일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여 개방부 주변 외주면 타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걸림턱; 및 상기 힌지부에 안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걸림턱에 끼워져 안착됨에 의해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를 패쇄하는 걸개부로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특징은, 서로 형합되어 대략 도너츠형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소정 크기의 전류를 소정 주기의 펄스 형태로 발생시키는 복수의 저주파 발생기와; 상기 저주파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길이씩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지고, 저주파 전류를 바디 외측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속을 통해 흘려주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각 바디의 조각 일측에는 단계적으로 단차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 1 직경부와 제 2 직경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직경부와 동일하며 제 2 직경부가 압입되어 안착면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제 3 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호 안착면을 이루는 제 2 직경부와 제 3 직경부간의 안착면 상에는 전기적 연결 및 분리 방지를 위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연결 캡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 캡상에는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록킹수단;이 마련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 캡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극의 개수와 상응하는 전극패드가 형성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 2, 3 직경부의 내면에는 상호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전극패드의 위치 정렬을 위한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훌라후프 바디의 제 1 직경부와 제 3 직경부에는 연결 캡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홈이 돌출부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훌라후프 바디의 제 1 직경부와 제 3 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전극 패드에 대향하여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되어 있는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끼움턱과; 상기 끼움턱에 대향하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의 사각편;으로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사각편은 끼움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이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고정되어지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사각편은 상기 연결 캡과 독립적인 개체인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 주변 외경면 일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여 개방부 주변 외경면 타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걸림턱; 및 상기 힌지부에 안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걸림턱에 끼워져 안착됨에 의해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를 패쇄하는 걸개부로 구성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의 특징은, 훌라후프의 내부에 고정 안착되어 있으며 소정 크기의 전류를 소정 주기의 펄스 형태로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저주파 발생기와,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훌라후프의 내주 면을 따라 일정길이 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전류를 훌라후프 사용자의 피부에 접속을 통해 흘려주기 위한 복수의 전극을 구비한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에 있어서: 도너츠형의 훌라후프를 복수개의 동일한 크기의 조각으로 분리 하되; 각 훌라후프 조각의 일 측에는 단계적으로 단차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타 측에는 상기 제1직경부의 직경과 동일한 원통형의 제 3직경부가 형성되어, 임의의 훌라후프 조각의 제 3직경부에 다른 훌라후프 조각의 제2직경부가 압입되어지며; 상기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 압입됨에 따라 상기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가 맞닿아 형성된 안착면에 끼워져 전기적 연결 및 분리 방지를 위한 일측이 개방되어진 원통형의 연결 캡과;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연결 캡은 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극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전극패드와; 두 개의 훌라후프 조각이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 압입됨에 따라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극 패드의 위치 정렬을 위해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은,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홈이 상기 돌출부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전극 패드에 대향하여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되어 있는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끼움턱과; 상기 끼움턱에 대향하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의 사각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사각편은 끼움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이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고정되어지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사각편은 상기 연결 캡과 독립적인 개체인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 주변 외경면 일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여 개방부 주변 외경면 타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걸림턱; 및 상기 힌지부에 안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걸림턱에 끼워져 안착됨에 의해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를 패쇄하는 걸개부로 구성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주파의 배경을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인체에 저주파를 흘려주는 경우 인체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고 알려져 있다.
첫 번째로 신경조직과 세포 혈관 등이 저주파에 의해 수축운동을 함에 따라 말초혈관에 콜레스테롤, 노폐물 등 혈류장애 요소가 제거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증상 부위의 근육 및 혈관 등에 자극하여 운동시켜 줌으로써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성인병과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혈액순환장애 및 통증의 완화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지방의 분해를 통해 비만의 원인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훌라후프에 저주파를 통전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가 원형의 전극을 형성시키는 것이며, 훌라후프를 7~8조각으로 분해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립시 전극의 통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조립된 훌라후프가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설계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와 저주파 발생기의 구성 등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훌라후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저주파 훌라후프(3000)는 7~8개의 동일한 크기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첨부한 도 4에서는 참조번호 300a 내지 300h로 지칭되는 8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참조번호 300a로 지칭되는 훌라후프 조각을 제외한 300b 내지 300h로 지칭되는 7개의 조각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며 세부적인 표현을 생략하였다.
상기 참조번호 300a 내지 300h로 지칭되는 8개의 조각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하에서 설명할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저주파 발생장치가 장착되는 부분의 훌라후프 조각은 조금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참조번호 300a로 지칭되는 훌라후프 조각의 구성을 살펴보면, 미설명한 저주파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전류를 전달시키기 위한 전극이 참조번호 310a, 311a로 지칭되는 두개의 전극으로 형성되며, 훌라후프 조각 내주면에 형성되어지는데 이는 +전류와 -전류의 도통 경로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훌라후프 조각의 일 측에는 단계적으로 단차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1직경부(301a)와 제2직경부(302a)가 형성되며,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타 측에는 상기 제1직경부(301a)의 직경과 동일한 원통형의 제 3직경부(303a)가 형성된다.
상기 제3직경부(303a)의 형상인 원통의 내부 지름은 상기 제2직경부(302a)의 형상인 원통의 외부 지름과 동일하여, 체결 혹은 조립시 예로써 참조번호 300a로 지칭되는 훌라후프 조각의 상기 제2직경부가 참조번호 300b로 지칭되는 훌라후프 조각의 제 3직경부에 압입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 압입되는 과정에 의해 전체적으로 하나의 도너츠형을 갖는 훌라후프를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 압입됨에 따라 상기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가 맞닿게 되며 상기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가 함께 도시하지 않은 연결 고정 캡이 씌워지게 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훌라후프의 조립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체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제1훌라후프 조각(300a)의 제2직경부(302a)가 제2훌라후프 조각(300b)의 제3직경부(303b)에 압입되어 정렬되면 참조번호 320으로 지칭되는 캡이 씌워진다.
이때, 상기 캡(320)은 약간의 텐션이 있는 재질(예를 들어, PVC 등)로 구성되며 일 측으로 개방구가 있는 원통형 부재이다.
상기 캡(320)의 내부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두개의 돌기가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캡(320)의 내부면에 돌기(321)가 형성되는 이유는 각 훌라후프 조각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캡(320)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패드(미도시)의 정확한 위치 매칭을 위한 것으로, 돌기(321)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각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 형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첨부한 도 5에서는 제3직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304a, 304b)만이 도시되어져 있다.
따라서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훌라후프 조각(300a)의 제2직경부(302a)가 제2훌라후프 조각(300b)의 제3직경부(303b)에 압입되어 정렬되고 캡(320)이 씌워져, 돌기(321)가 안착홈(304b)에 안착되어 미 도시되어 있는 전극패드에 의해 제1전극(310a, 310b)간의 전기적 연결이 완성되고, 제2전극(311a, 311b)간의 전기적 연결이 완성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캡(320)이 씌워진 이후, 상기 캡(320)에는 개방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분해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록킹(Looking)수단이 존재한다.
상기 록킹(Looking)수단은 상기 캡(320)의 외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끼움턱(322)과 참조번호 331로 지칭되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예를 들어, PVC 등)의 사각편(3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320)과 사각편(330)의 결합을 단면으로 살펴보면, 첨부한 도 6과 같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훌라후프의 체결시 록킹(Look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로서, 첨부한 도 6의 참조번호는 각 구성의 대표번호(예를 들어, 참조번호 300a~300h로 지칭되는 구성을 참조번호 300으로 지칭 혼용 함)를 사용한다.
첨부한 도 6에는 첨부한 도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데, 해당 구성은 참조번호 323과 305인데, 참조번호 323으로 지칭되는 구성은 전극패드로서 상기 캡(320) 내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참조번호 305로 지칭되는 구성은 각 훌라후프 조각(300)의 제1직경부(301)의 외면에 형성되는 전극단자로써 상기 전극(310, 311)과 일대일로 매칭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캡(320) 내부면에 형성되는 전극패드(323)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과정에 의해 조립되어 체결되어진 상태의 단면은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지는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및 그 체결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주파 발생기는 선행기술을 설명하도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훌라후프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저주파 발생기(220a~220d)를 설치할 수 있으나, 저주파 발생기는 하나만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저주파 발생기(500)의 구성 및 저주파 발생 원리를 첨부한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사용자는 참조번호 540으로 지칭되는 조절부를 통해 우선적으로 전원을 온동작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참조번호 510으로 지칭되는 고압 발생용 발진부에서 수㎑ ~ 수십㎑로 발진을 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의 서지 전압으로 참조번호 520으로 지칭되는 충전부내에 구비되어 있는 콘덴서에 100~200볼트의 전압을 충전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조절부(540)를 통해 "약", "중", "강"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작모드 중 임의의 모드를 선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540)에서는 동작모드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모드에 설정되어진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조절부(540)에서 출력되는 동작모드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저주파 발생부(530)는 상기 충전부(520)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을 저주파 발생부(530) 자신이 발생시키는 저주파에 실어 보내며, 이에 따라 저주파 출력부(550)를 통해 상술한 도면상의 전극(310, 311)측으로 저주파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체결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첨부한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훌라후프의 체결시 록킹(Looking) 방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참조번호 320A로 지칭되는 캡과, 상기 캡(320A)의 개방부 주변 외경면 일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힌지부(330B)와, 상기 힌지부(330B)에 대향하여 개방부 주변 외경면 타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걸림턱(322A), 및 상기 힌지부(330B)에 안착되어 상기 힌지부(330B)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걸림턱(322A)에 안착되어 상기 캡(320A)의 개방부를 패쇄하는 걸개식 록킹수단(330A)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캡(320A)의 내부 구성은 첨부한 도 5와 도 6에서 참조번호 320으로 지칭되는 캡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를 제공하면, 저주파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훌라후프를 이용한 운동시 피부 접속을 통해 저주파를 흘려줌으로써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혈액 순환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훌라후프 중 매직 후프의 예시도
도 2는 근래 제안되어진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훌라후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훌라후프의 조립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훌라후프의 체결시 록킹(Look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과정에 따라 체결 완료되어진 상태의 단면 예시도
도 8은 저주파 발생기의 블록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형 훌라후프의 체결시 록킹(Looking) 방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Claims (28)

  1. 주기적으로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훌라후프의 내부에 장착(고정 안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저주파 발생기와,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펄스를 사용자에게 흘려주도록 훌라후프 내주면에 부착(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한 훌라후프에 있어서: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연결캡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훌라후프 조각은 일 단에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가 단차진 상태로 연장되어 있고, 타 단에 상기 제1직경부의 직경과 동일한 제3직경부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캡은 상기 제2직경부가 다른 훌라후프 조각의 제3직경부에 압입됨에 따라 형성된 안착면에 끼워져 각 훌라후프 조각을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 대한 상기 연결 캡의 결합력을 높이는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조립식 훌라후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은 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극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전극패드와;
    상기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극 패드의 위치 정렬을 하도록 상기 전극패드 대향측에 돌출된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홈이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전극 패드에 대응하여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된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끼움턱과;
    상기 끼움턱에 대응하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의 사각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편은 끼움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이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편은 상기 연결 캡과 독립적인 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 주변 외주면 일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여 개방부 주변 외주면 타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걸림턱; 및
    상기 힌지부에 안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걸림턱에 끼워져 안착됨에 의해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를 패쇄하는 걸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11. 서로 형합되어 대략 도너츠형의 단면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소정 크기의 전류를 소정 주기의 펄스 형태로 발생시키는 복수의 저주파 발생기와;
    상기 저주파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길이씩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지고, 저주파 전류를 바디 외측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속을 통해 흘려주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바디의 조각 일측에는 단계적으로 단차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 1 직경부와 제 2 직경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직경부와 동일하며 제 2 직경부가 압입되어 안착면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제 3 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호 안착면을 이루는 제 2 직경부와 제 3 직경부간의 안착면 상에는 전기적 연결 및 분리 방지를 위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연결 캡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 캡상에는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록킹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의 내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극의 개수와 상응하는 전극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직경부의 내면에는 상호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전극패드의 위치 정렬을 위한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 바디의 제 1 직경부와 제 3 직경부에는 연결 캡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홈이 돌출부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 바디의 제 1 직경부와 제 3 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전극 패드에 대향하여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되어 있는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끼움턱과;
    상기 끼움턱에 대향하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의 사각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편은 끼움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이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편은 상기 연결 캡과 독립적인 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 주변 외경면 일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여 개방부 주변 외경면 타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걸림턱; 및
    상기 힌지부에 안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걸림턱에 끼워져 안착됨에 의해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를 패쇄하는 걸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21. 훌라후프의 내부에 고정 안착되어 있으며 소정 크기의 전류를 소정 주기의 펄스 형태로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저주파 발생기와,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훌라후프의 내주 면을 따라 일정길이 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전류를 훌라후프 사용자의 피부에 접속을 통해 흘려주기 위한 복수의 전극을 구비한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에 있어서:
    도너츠형의 훌라후프를 복수개의 동일한 크기의 조각으로 분리 하되;
    각 훌라후프 조각의 일 측에는 단계적으로 단차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타 측에는 상기 제1직경부의 직경과 동일한 원통형의 제 3직경부가 형성되어, 임의의 훌라후프 조각의 제 3직경부에 다른 훌라후프 조각의 제2직경부가 압입되어지며;
    상기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 압입됨에 따라 상기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가 맞닿아 형성된 안착면에 끼워져 전기적 연결 및 분리 방지를 위한 일측이 개방되어진 원통형의 연결 캡과;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은 그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전극의 개수만큼 형성되어 있는 전극패드와;
    두 개의 훌라후프 조각이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 압입됨에 따라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직경부가 제3직경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극 패드의 위치 정렬을 위해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돌출부가 안착되는 홈이 상기 돌출부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24.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훌라후프 조각의 제1직경부와 제3직경부에는 상기 연결 캡의 전극 패드에 대향하여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되어 있는 전극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끼움턱과;
    상기 끼움턱에 대향하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있는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의 사각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편은 끼움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이 상기 연결 캡의 외부면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편은 상기 연결 캡과 독립적인 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 주변 외경면 일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대향하여 개방부 주변 외경면 타 측에 돌출되어져 있는 걸림턱; 및
    상기 힌지부에 안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걸림턱에 끼워져 안착됨에 의해 상기 연결 캡의 개방부를 패쇄하는 걸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KR1020040046382A 2004-06-22 2004-06-22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KR20050121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382A KR20050121309A (ko) 2004-06-22 2004-06-22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382A KR20050121309A (ko) 2004-06-22 2004-06-22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309A true KR20050121309A (ko) 2005-12-27

Family

ID=3729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382A KR20050121309A (ko) 2004-06-22 2004-06-22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13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125B1 (ko) * 2005-11-15 2006-11-23 주식회사 맥스월드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형 훌라후프
CN110831673A (zh) * 2017-04-25 2020-02-21 凯斯勒股份有限公司 锻炼和游戏圈状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125B1 (ko) * 2005-11-15 2006-11-23 주식회사 맥스월드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형 훌라후프
WO2007058406A1 (en) * 2005-11-15 2007-05-24 Maxworld Co., Ltd. Prefabricated hula-hoop with low frequency generator
CN110831673A (zh) * 2017-04-25 2020-02-21 凯斯勒股份有限公司 锻炼和游戏圈状物
CN110831673B (zh) * 2017-04-25 2021-07-02 凯斯勒股份有限公司 锻炼和游戏圈状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3388B2 (en) Electronic low-frequency pulse patch of a one-piec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517790B2 (en) Urinary incontinence device and method and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TW564174B (en) Male function assisting ring
US8545392B2 (en) Sexual stimulation device
US20070232967A1 (en) Vibratory Stimulation Apparatus
KR20220002575U (ko) 괄사 마사지 기구
US20210137775A1 (en) Massager
KR20190132298A (ko) 웨어러블 장치
KR20050121309A (ko)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 형 훌라후프
KR20110102581A (ko) 복부강화벨트
KR100795826B1 (ko) 미세전류 자극기
CN211326706U (zh) 一种智能眼部按摩仪
JP2005288079A (ja) 性感帯開発鍛練具
US20050187497A1 (en) Electrical impulse apparatus for facial massage
KR200337639Y1 (ko)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
GB2478787A (en) Electronic low frequency pulse patch
WO2021031558A1 (zh) 一种拍打抖动机构
CN105999737B (zh) 一种玩具
KR102025131B1 (ko) 미세전류 및 진동 마스크
KR200340348Y1 (ko)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훌라후프
CN218900582U (zh) 一种多功能智能颈椎按摩器
US6547700B2 (en) Neuro-fuzzy exerciser instrument panel
CN2263516Y (zh) 女性快乐器
KR100647125B1 (ko)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형 훌라후프
CN213724621U (zh) 一种新型呼啦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