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989A -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989A
KR20050118989A KR1020040044162A KR20040044162A KR20050118989A KR 20050118989 A KR20050118989 A KR 20050118989A KR 1020040044162 A KR1020040044162 A KR 1020040044162A KR 20040044162 A KR20040044162 A KR 20040044162A KR 20050118989 A KR20050118989 A KR 20050118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remote control
home appliance
cod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848B1 (ko
Inventor
이광윤
Original Assignee
(주)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닉스 filed Critical (주)비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4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84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A사의 가전과 B사의 가전이 데이터 연결선으로 연결된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A사의 가전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으로부터 B사의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면, B사의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의 키에 대응하는 유선의 코드를 기설정된 표에 따라 B사의 가전을 제어하는 유선의 코드를 A사의 가전에서 생성하여 유선의 코드를 데이터 연결선을 통해 B사의 가전으로 전송함으로써, A사의 가전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의 키에 대응하는 제어를 B사의 가전에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다른 회사 시스템일지라도 연결 케이블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리모콘의 구성을 변경시키지 않고서도 별도의 특정 코드를 지정하게 되여 타사의 어떤 시스템이라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종래에 사용하던 영상 데이터 연결선, 음성 데이터 연결선 또는 기타의 데이터 연결선을 통해 단순 구조 변경을 통해 연결된 타사의 기타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모든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ING WIRELESS REMOTE CONTROLLER DATA AMONG APPLIANCES OF DIFFERENT ELECTRONICS MAKERS}
본 발명은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를 유선으로 연결된 오디오단 또는 비디오단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타가전사 간에 하나의 무선 리모콘으로 타가전사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각의 시스템 또는 가전마다 각각의 리모콘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 가전 제조사가 틀리거나, 같은 제품에 제품명이 틀리는 경우에도 각각의 리모콘이 따로 제작되어 있는 실정이었다.
이를 보완하여 나온것이 TV 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합 무선 리모콘이다. 이와 같은 통합 무선 리모콘은 적외선을 발사하여 그 정보에 의해 TV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인데, 이 때, 각각의 주파수를 가전 3사의 주파수 및 코드에 맞추어 통합 무선 리모콘의 키 조작에 의해 적외선 주파수 및 코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함으로써, 가전 3사의 적외선 주파수 특성 및 코드에 맞추어 주파수 및 코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합 무선 리모콘은 그 주파수를 키조작에 의해 타사의 가전제품을 사용할 때 마다 일일이 변경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 키조작을 모르는 상태에서 리모콘을 조작하는 경우, A사의 가전제품을 원격조작하려 하는데 통합리모콘이 B사의 가전 주파수에 맞추어져 있는 경우면, 사용자는 리모콘을 고장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동일 가전사간의 제품간 무선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A사 리모콘(120)으로 A사의 가전(102, 104, 106, 108, 110) 모두를 통제할 수 있다. 즉, 동일 회사의 가전들은 동일한 통신용 코드를 지정하고 있어 A사의 한 개의 리모콘(120)을 가지고도 제어할 수 있다. 즉, "POWER" 키로 A사 TV(102) 전원을 ON/OFF 가능하며, "DVD" 키를 누른후 "POWER" 키를 누르면 A사 DVD(104)에 대하여 POWER ON/OFF가 가능하다. 이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DVD" 키를 누르는 것은 TV 주파수에서 DVD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다른 회사 가전간에는 통신용 코드를 지정하고 있지 않아 한 개의 리모콘을 가지고는 제어가 불가능하여 각각의 리모콘을 사용하여야 한다. A사 리모콘(120)을 가지고 "POWER" 키로 A사 TV(102) 전원을 ON/OFF 가능하다. 그러나, "DVD" 키를 누른후 "POWER" 키를 누르면 통신용 코드가 틀리기 때문에 B사의 DVD를 파워 ON/OFF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VIDEO" 키를 누른후 "POWER" 키를 눌러도 통신용 코드가 틀려 B사의 비디오 파워 ON/OFF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의 가전을 통해 그에 연결된 모든 가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타가전사간 제품간의 무선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A사의 가전과 B사의 가전이 데이터 연결선으로 연결된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A사의 가전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으로부터 B사의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면, B사의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의 키에 대응하는 유선의 코드를 기설정된 표에 따라 B사의 가전을 제어하는 유선의 코드를 A사의 가전에서 생성하여 유선의 코드를 데이터 연결선을 통해 B사의 가전으로 전송함으로써, A사의 가전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의 키에 대응하는 제어를 B사의 가전에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그 구성은 도 2의 구성과 유사하지만, 그 동작이 틀리기 때문에 리모콘(120)을 제외하고는 다른 참조부호 번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회사 가전 간에 상이한 통신용 코드를 각 기기 및 A사 및 B사의 코드를 일치시키는 코드를 부여하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구분 세트명 무선 리모콘 코드 유선 통신 코드
A사 B사
POWER ON TV 1111 4444 1212
DVD 2222 5555 1313
비디오 3333 6666 1414
전술한 표 1을 참조하여 보면, 이와 같이 A사 TV 리모콘(120)이 있을 경우, "POWER" 키로 개량된 A사 TV(202) 전원을 ON/OFF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개량된 A사 TV(202) 전원을 ON/OFF시키기 위해서는, A사 리모콘(120)이 표 1에서와 같이 전술한 A사 코드인 "1111"과 적외선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개량된 A사 TV(202) 로 전송함으로써, 개량된 A사 TV(202) 전원을 ON/OFF 가능하게 된다. A사 리모콘(120)으로 B사의 DVD(212)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A사 리모콘(120)의 "DVD" 키를 누른후 "POWER" 키를 누르면 개량된 B사 DVD(212) 와 A사 리모콘(120)은 상호 코드가 상이하므로 상기 코드중 표 1에서와 같이 A사 리모콘(120)에서는 "2222"가 무선으로 전송되나, A사 DVD가 아니므로 유선을 통하여 "1313"이라는 데이터를 개량된 A사 TV(202) 를 통해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내보내게 된다.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B사의 DVD(212)에서는 "1313" 코드가 "DVD POWER"라는 것을 약속해 놓았기 때문에 A사 리모콘(120)에서 출력되는 "2222" 코드를 B사의 DVD(212)는 자기에 해당되는 코드로 인식하여 POWER ON/OFF 기능을 수행한다.
A사 리모콘(120)의 "VIDEO" 키를 누른후 "POWER" 키를 누르면 A사 리모콘(120)이므로 상기 코드중 "3333"이 무선으로 전송되나, 비디오는 A사 비디오가 아니므로 유선, 즉 개량된 A사 TV(202) , 개량된 B사 DVD(212) 및 B사 비디오(214)를 통해 "1414"이라는 데이터를 내보낸다. 그럼 개량된 B사 DVD(212) 는 "1414"라는 코드를 수신하여 이 코드가 자신의 코드가 아니므로 다음단에 있는 B사 비디오(214)로 전송한다.
그럼, B사의 비디오(214)는 "1414" 코드가 "VIDEO POWER"라는 것을 약속해 놓았기 때문에 자기에 해당되는 코드로 인지하여 POWER ON/OFF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연결된 A사 튜너(208)와 A사 앰프(210)는 같은 A사 리모콘으로 제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타사의 전원을 연결하고, TV, DVD 및 비디오를 연결하여 "POWER"를 눌러 각 장치들을 POWER ON/OFF시키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리모콘에 공통으로 기입되어 있는 번호, 음량 증감 등은 물론이고, 각 장치에 독특하게 배치되는 빨리감기 및 되감기(DVD, 또는 비디오), 채널증감(TV), 등의 기능들 또한 각각 코드값을 정하여 해당 코드를 순차적으로 인식하는 장치가 그 코드를 수신하여 자신의 코드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의 가전사, 예컨대 C사의 가전 제품도 해당 코드를 정하여 전술한 단계를 수행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 전술한 코드는 0내지 9999까지의 코드를 활용할 수 있으나, 가전사 및 해당 가전사의 제품의 확장성에 따라 코드의 비트 수를 조정하여 코드의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에서 개량된 A사 TV와 개량된 B사 DVD 간에 무선 리모콘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도 4의 실시예는 크게 A사 리모콘(120), 개량된 A사 TV(202), B사 리모콘(122) 및 개량된 B사 DVD(212)로 구성된다.
개량된 A사 TV(202) 는 무선 리모콘신호 수신부(302), 제1 제어부(304), 믹서(306), 음성신호 외부 출력부(308) 및 영상신호 외부 출력부(310)로 구성된다.
또한, 개량된 B사 DVD(212)는 외부 음성신호 입력부(312), 음성신호 및 통신용 데이터 분리부(314), 음성신호 처리부(316), 제2 제어부(318), 외부 영상신호 입력부(320) 및 영상신호 처리부(322)로 구성된다.
먼저, B사 리모콘(122)으로 개량된 A사 TV(202) 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B사의 리모콘(122)에 구성된 "POWER" 키를 누르면 B사 리모콘(122)은 자사의 제품에 맞도록 코딩되어 있으므로 표 1에서와 같이 B사 리모콘(120)에서는 "4444"가 무선으로 B사의 DVD(212)로 전송되며, 개량된 A사 TV(202) 로도 전송된다. 하지만, 개량된 A사 TV(202) 의 코드는 "1111"이므로 반응하지 않게된다.
전술한 코드 "4444"는 개량된 B사 DVD(212) 내의 무선 리모콘 신호 수신부(302)로 전송된다. 무선 리모콘 신호 수신부(302)는 적외선 신호에 포함된 코드인 "4444"를 제1 제어부(304)로 전송한다.
제1 제어부(304)는 코드 "4444"를 타단의 TV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코드임을 인지하고, 이를 "4444"와 함께 "1212"의 신호를 생성하여 함께 전송한다. 이는 제1 제어부(304)에 기저장된 표 1과 같은 코드 정보를 판독하여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믹서(306)는 음성신호와 코드 "4444" 및 "1212"를 포함하는 통신용 데이터와 혼합하여 음성신호 및 통신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음성신호 외부 출력부(308)로 전송한다.
한편, 음성신호 외부 출력부(308)는 음성신호 및 통신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음성신호 외부 입력부(312)로 전송하되, 개량된 A사 TV(202)와 개량된 B사 DVD(212)의 음성 데이터 연결선(309)을 통해 전송한다.
음성신호 및 통신용 데이터 분리부(314)는 음성신호 및 통신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신호와 통신용 데이터를 믹싱과는 반대 과정을 통해 각각의 음성신호와 통신용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316)로 전송하고, 통신용 데이터는 제2 제어부(318)로 전송한다.
음성신호 처리부(316)는 수신된 음성신호를 가청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앰프, 스피커 또는 헤드셋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DVD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제어부(318)는 통신용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4444" 및 "1212"를 인지하고, 인지된 "4444" 및 "1212"코드가 개량된 A사 TV(202)의 POWER임을 인지하여 개량된 A사 TV(202)를 POWER ON/OFF시킨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4444" 및 "1212"를 음성 신호와 믹싱하여 음성 데이터 연결선(309)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4444" 및 "1212"를 영상과 믹싱하여 영상 데이터 연결선(309)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는 기타의 데이터선을 통해서 데이터와 코드를 믹싱하여 처리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전송되는 코드 "4444" 및 "1212"는 음성 데이터 연결선(309)을 통해 전송한다. 실시예에서는 음성 데이터 연결선(309)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영상 데이터 연결선(311)을 통해서도 전송할 수 있수 있으며, 기타의 데이터선을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부(304)는 통신용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4444" 및 "1212"를 인지하고, 인지된 "4444" 및 "1212"코드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량된 A사 TV(202) 의 POWER임을 인지하여 개량된 A사 TV(202)를 POWER ON/OFF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타사 시스템일지라도 연결 케이블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한 개의 리모콘의 구성을 변경시키지 않고서도 별도의 특정 코드를 지정하여 타사의 어떤 시스템, 예컨대 DVD, 비디오, 튜너, 앰프 등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하던 영상 데이터 연결선, 음성 데이터 연결선 또는 기타의 데이터 연결선을 통해 단순 구조 변경을 통해 연결된 타사의 기타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모든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리모콘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에서 개량된 A사 TV와 개량된 B사 DVD 간에 무선 리모콘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상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20 : A사 리모콘 122 : B사 리모콘
202 : 개량된 A사 TV 208 : A사 튜너
210 : A사 앰프 212 : 개량된 B사 DVD
214 : B사 비디오

Claims (2)

  1. A사의 가전과 B사의 가전이 데이터 연결선으로 연결된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A사의 가전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B사의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면, 상기 B사의 가전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리모콘의 키에 대응하는 유선의 코드를 기설정된 표에 따라 A사의 가전에서 생성하여 상기 유선의 코드를 상기 데이터 연결선을 통해 상기 B사의 가전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A사의 가전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상기 리모콘의 키에 대응하는 제어를 상기 B사의 가전에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사의 가전에서 상기 B사의 가전으로 데이터를 전송시에 상기 유선의 코드를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또는 통신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와 믹싱하여 대응하는 각각의 음성 데이터 연결선, 영상 데이터 연결선 또는 통신 데이터 연결선 중 어느 하나의 유선 경로를 통해 상기 B사의 가전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040044162A 2004-06-15 2004-06-15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59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162A KR100595848B1 (ko) 2004-06-15 2004-06-15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162A KR100595848B1 (ko) 2004-06-15 2004-06-15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989A true KR20050118989A (ko) 2005-12-20
KR100595848B1 KR100595848B1 (ko) 2006-07-03

Family

ID=3729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162A KR100595848B1 (ko) 2004-06-15 2004-06-15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8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848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024B1 (ko)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영상기기 및 이 영상기기를 통해주변 기기들을 조작하는 방법
US20170048577A1 (en) Remote control method related to hdmi-cec specification and system thereof
US20080028430A1 (en) Control gateways that control consumer electronic devices responsive to RF command signals
KR20060112531A (ko)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2871625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remote control device
US6239718B1 (en) Learning-by-example programmable remote control system
US20190289243A1 (en) Signal command translation
JP5609010B2 (ja) Av機器制御装置
KR100991315B1 (ko) 복합 통신 방식의 리모컨
US7584494B2 (en) Cable to wireless conversion system for in-home video distribution
US20120263477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Products
KR100595848B1 (ko)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US2010021741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KR20040082819A (ko) 일괄처리 기능을 갖는 통합 리모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02226A (ko) 잠금 기능을 구비한 리모컨, 및 이를 구비한 영상 시스템
KR100713279B1 (ko)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멀티 전송장치 및 방법
US20050174494A1 (en) Electronic device
KR100546673B1 (ko) 통합 리모컨의 제어방법
KR100839888B1 (ko) 원격제어유닛 및 원격제어방법
KR1014088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단자를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장치
KR101175364B1 (ko) 텔레비젼의 리모콘 학습 제어방법과 학습 제어장치
KR101079596B1 (ko) 원격조정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원격제어방법
KR20060095211A (ko) 전원 제어 장치
KR100651283B1 (ko) 원격제어시스템
JP200601356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制御方法、映像出力装置、映像出力方法、映像出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