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002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002A
KR20050118002A KR1020040043307A KR20040043307A KR20050118002A KR 20050118002 A KR20050118002 A KR 20050118002A KR 1020040043307 A KR1020040043307 A KR 1020040043307A KR 20040043307 A KR20040043307 A KR 20040043307A KR 20050118002 A KR20050118002 A KR 2005011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aterma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8002A/ko
Priority to CNB200410095595XA priority patent/CN100535915C/zh
Publication of KR2005011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002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의 무단 도용 및 배포를 방지하기 위하여다운로드되는 이미지에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워터마크를 삽입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는 디지털 저작물의 특성 상 쉽게 유포되고 무단으로 도용되기 쉽기 때문에 저작권을 보호하기 어려우며,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단순한 저작권 여부 만을 알 수 있을 뿐, 이동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배포나 복사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으며 인터넷 등을 통한 불특정 다수로의 확산에 대한 책임자를 찾을 수도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생성한 후 이를 원본 이미지에 삽입하도록 하며, 워터마크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자신의 고유코드로 워터마크된 이미지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의 무단 도용이나 배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배포된 이미지의 경우 배포자를 추적할 수 있어 무단 배포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IMAGE MANAG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의 무단 도용 및 배포를 방지하기 위하여다운로드되는 이미지에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워터마크를 삽입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진행됨과 아울러 각종 통신 수단의 발달과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성능 향상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제어기의 성능, 표시부의 성능 및 메모리 크기는 빠른 속도로 개선을 거듭하고 있어, 현재 시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200만 화소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내장 카메라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고,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받아 재생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획일화를 피해 개성있는 화면, 벨소리 등으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차별화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가 점점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에 맞추어 대단히 많은 컨텐츠 제공 업체들이 각종 이미지 정보, 동영상 정보, 벨소리 정보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이러한 디지털 정보의 제공자 또는 컨텐츠의 소유자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이미지나 오디오, 비디오 등의 디지털 저작물 등)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하고, 이를 보호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자신의 저작물을 제공하게 될 경우 이에 합당한 대가를 요구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저작물은 그 특성상 저작권 보호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정보의 저장이나 변환이 용이한 인터넷 등의 개방된 공간에서는 어떤 제약도 없이 다량의 복제가 가능하고, 복제 후에도 원본과 동일한 데이터 정보를 유지할 분만 아니라 저작자의 동의 없이 배포가 가능하므로 저작자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어렵다.
이렇게 발생하는 저작권 침해 문제는 날로 그 심각성이 더하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법적, 제도적, 기술적 해결책이 고안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 작업을 하여 특정 사용자만이 해당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방법과 데이터에 저작권 정보를 은닉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해당 데이터에는 외부적으로 변형을 가하지 않도록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 기술 등이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워터마킹은 디지털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로서, 디지털 컨텐츠를 위한 저작권 표시 및 증명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 정보를 데이터에 은닉하고 숨겨진 저작권 정보를 다시 검출함으로써 데이터의 변조와 위조를 탐지하고, 저작자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워터마크 삽입하는 방법으로 화면의 화소값 등의 데이터에 미세한 변화를 가하여 이를 워터마크로 사용하는 방법인 공간법(spatial method),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같은 변환 방법으로 워터마크를 변환하여 삽입하는 기술로서 이산 코사인 변환(Distance Cosine Transform : DCT), 고속 퓨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 FFT) 또는 웨이브렛 변환(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는 주파수 영역법(frequency domain method) 등 이 있다.
이러한 워터마크는 특히 불법적인 도용과 배포가 심한 이미지 정보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미지 정보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종래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워터마크 여부와 숨겨진 정보를 찾아내는 종래 방법 중 하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이미지를 압축 복원 알고리즘 중 주파수 영역법은 이미지를 DCT 혹은 웨이블렛 기반 방식을 주로 이용하며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는 경우 고주파 대역은 대부분 경계 부분으로 에너지가 낮게 분포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곳에 임의 숫자로 생성된 키를 삽입하여 워터마크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삽입된 워터마크를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 주어진 키값과의 상호연관성(Correlation)을 파악하여 기준값 이상이면 워터마킹이 삽입된 것으로 보고, 상기 키값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로 숨겨진 정보를 파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지 분석부(10)를 통해 원본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를 인지마스크된 이미지로 변환하고, 저작권 관련 정보를 숨김정보로 하여 정보 분산부(20)를 통해 분산하면서 임의 숫자로 생성된 비밀키를 삽입하여 워터 마크 생성부(30)를 통해 워터마크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워터마크 정보를 원본 이미지에 혼합하여 워터마크 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으로 워터마크된 이미지를 다시 인지 분석부(40)를 통해 인지 마스크된 이미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와 워터마크된 이미지 및 워터마크 삽입시 사용했던 비밀키를 이용하여 워터마크 검출부(50)에서는 워터마크 여부를 판단하고, 워터마크 추출부(60)에서는 숨겨진 저작권 관련 정보를 복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워터마크 삽입 방법은 저작권의 정보를 해당 이미지에 삽입하기 때문에 저작권 분쟁 발생 시 원 저작권자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무단 도용이나 배포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되지 못한다. 즉, 누가 해당 이미지를 배포하거나 도용했는지를 알 수 없다면 저작권을 주장할 대상을 알 수 없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에는 미약한 수단이 될수 밖에 없다.
즉, 종래의 워터마크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배포나 복사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으며, 인터넷 등을 통한 불특정 다수로의 확산에 대한 책임자를 찾을 수도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는 디지털 저작물의 특성 상 쉽게 유포되고 무단으로 도용되기 쉽기 때문에 저작권을 보호하기 어려우며,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경우에도 단순한 저작권 여부 만을 알 수 있을 뿐, 이동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배포나 복사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으며 인터넷 등을 통한 불특정 다수로의 확산에 대한 책임자를 찾을 수도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미지 다운로드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워터마크를 다운로드할 이미지에 삽입하도록 하여 해당 고유코드가 워터마크로 삽입된 이미지가 배포되는 경우 배포자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운로드 받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로 워터마크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이미지를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이미지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더라도 저장이 불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 하는 경우, 이미지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키 값으로 하여 생성한 워터마크를 삽입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자신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워터마크 여부를 검출하여 워터마크 된 이미지인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고, 그렇지 않다면 저장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이미지의 워터마크를 자신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워터마크된 이미지인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미지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저장된 이미지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이용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숨김 정보를 포함하는 워터마크를 생성함에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여기서는 PN 코드)를 비밀키 대신 사용하도록 한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임의 숫자를 이용하여 비밀키를 생성하고, 상기 숨김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비밀키 대신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효율성이 낮아지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키 대신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 자체를 비밀키로 이용한다면 별도의 숨김 정보 삽입이나 추출과정 없이도 워터마크된 이미지에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워터마크를 원본 이미지에 삽입하는 과정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실시될 수 있는데, 간단한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 경우,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는 접속되어 이미지를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 제공 전에 해당 이미지에 다운로드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정보로 생성한 워터마크를 삽입한 후 워터마크된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한다. 즉, 이렇게 다운로드 받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이용한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이미지가 된다.
도 4는 소정의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코드를 이용한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마크를 삽입할때 사용했던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마크된 이미지의 워터마크 여부를 판별하고 숨김 정보를 추출하여 이들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된 이미지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는 워터마크된 이미지의 워터마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정보값과의 상호연관성(Correlation)을 취하는 것 만으로 상기 워터마크된 이미지가 저장을 실시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값을 키로 하여 생성된 워터마크를 가진 것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마크된 이미지가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 용으로 처리(즉,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워터마크가 삽입)된 경우에만 저장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이미지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경우처럼, 숨김 정보 역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추출하도록 할 수 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담이 커지고, 키로 사용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 정보 만으로도 충분한 이미지 도용 방지 및 배포자 추적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수적이지는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될 이미지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으로 만들고, 전용 이미지만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용으로 만들어진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할 수 없게 된다.
즉,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다운로드 되는 이미지를 저장하기 전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키 값으로 하여 해당 이미지의 워터마크 여부를 판단한 후, 워터마크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즉, 해당 고유정보 키로 워터마크가 삽입된 경우)에만 이미지 저장을 실시하도록 하면, 단말기들 끼리의 연결 및, 컴퓨터 등을 매개로한 단말기간 이미지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마크된 이미지를 단말기로부터 복사하여 이를 인터넷 등으로 배포하게 되면, 상기 배포되는 이미지로부터 배포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불법 유포자를 찾아 처벌할 수 있어 불법적인 유포를 차단할 수 있는 억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를 보이는 신호 흐름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기지국을 통해 컨텐츠 제공자에게 이미지를 요청하면서 자신의 고유 정보(전화번호 혹은 PN 코드 등)를 제공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자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키 값으로 생성한 워터마크를 요청 이미지에 삽입한 후 워터마크된 이미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워터마킹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자신의 고유코드값과 수신된 이미지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한 후 그 결과가 소정의 제한값 이상이면 자신의 고유코드값으로 워터마킹된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메모리에 저장을 실시하게 된다.
이는 무선망으로 다운로드 받을때 워터마킹된 이미지를 수신하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워터마킹된 이미지가 자신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워터마킹되었는지만을 파악하면 되므로 시스템 부하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저장전의 워터마킹 여부 분석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모든 이미지의 저장 전에 실시될 수 있으며, 단말기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와 무선망으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이미지에 워터마킹을 실시하는 과정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을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자는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이를 다운로드 받은 단말기는 이를 저장하기 전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키 값으로 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 후 저장을 실시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다운로드된 이미지의 무단 배포를 방지하기 위해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사용자의 정보를 남겨둔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이미지가 무단 배포되는 경우 삽입된 워터마크를 분석하여 최초 배포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워터마크 삽입 과정을 실시하는 경우라도 통신망이 아닌 직접 연결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저장하기 전에 워터마크 분석을 실시하여 자신의 고유코드가 삽입된 워터마크가 없다면 저장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더 부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비밀키 대신 사용하여 워터마크를 생성한 후 이를 이미지에 삽입하도록 하고, 복원 시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이용하도록 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무단 도용이나 배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배포된 이미지의 경우 배포자를 추적할 수 있어 무단 배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생성한 후 이를 원본 이미지에 삽입하도록 하며, 워터마크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자신의 고유코드로 워터마크된 이미지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의 무단 도용이나 배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배포된 이미지의 경우 배포자를 추적할 수 있어 무단 배포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종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로부터 워터마크 여부와 숨김정보를 추출하는 종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워터마크 삽입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워터마크 삽입 이미지를 저장하는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워터마크 삽입 이미지 수신 및 저장 과정을 보이는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이미지 수신 및 워터마크 삽입 과정을 보이는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지 분석부 20: 정보 분산부
30: 워터마크 생성부 40: 인지 분석부
50: 워터마크 검출부 60: 워터마크 추출부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 하는 경우, 이미지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키 값으로 하여 생성한 워터마크를 삽입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자신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의 워터마크 여부를 검출하여 워터마크 된 이미지인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고, 그렇지 않다면 저장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고유 PN(Pseudo Noise)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이미지의 워터마크를 자신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워터마크된 이미지인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되는 이미지와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결된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 이미지의 워터마크를 자신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워터마크된 이미지인 경우에만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5. 이미지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이미지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임시 저장된 이미지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이용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워터마크가 삽입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KR1020040043307A 2004-06-12 2004-06-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KR20050118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307A KR20050118002A (ko) 2004-06-12 2004-06-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CNB200410095595XA CN100535915C (zh) 2004-06-12 2004-12-02 一种基于移动通信终端的图像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307A KR20050118002A (ko) 2004-06-12 2004-06-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002A true KR20050118002A (ko) 2005-12-15

Family

ID=3558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307A KR20050118002A (ko) 2004-06-12 2004-06-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118002A (ko)
CN (1) CN10053591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78B1 (ko) * 2012-02-22 2013-10-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5020451A1 (ko) * 2013-08-09 2015-02-12 디에스글로벌(주)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3733B (zh) * 2010-08-16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子门票处理方法及装置
CN102025966A (zh) * 2010-12-15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可视电话通信方法及终端
CN108133382A (zh) * 2017-12-24 2018-06-08 苏州云葫芦信息科技有限公司 商标盗用预警系统及方法
CN108650491B (zh) * 2018-05-15 2020-07-07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面向监控系统的视频水印检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78B1 (ko) * 2012-02-22 2013-10-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5020451A1 (ko) * 2013-08-09 2015-02-12 디에스글로벌(주)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US9652704B2 (en) 2013-08-09 2017-05-16 Ds Global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ransmission service by using printed ma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5915C (zh) 2009-09-02
CN1708157A (zh)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yatzis et al. The use of watermarks in the protection of digital multimedia products
US5949885A (en) Method for protecting content using watermarking
Tao et al. Robust image watermarking theories and techniques: A review
Barni et al. Data hiding for fighting piracy
US7639834B2 (en) Software anti-piracy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certificates with digital content
US6430301B1 (en) Formation and analysis of signals with common and transaction watermarks
Zhao Applying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to online multimedia commerce
Rawat et al. Digital watermarking schemes for authorization against copying or piracy of color images
WO2006096428A2 (en)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Sridhar et al. A wavelet based image watermarking technique using image sharing method
Yu Digital multimedia at home and content rights management
Rao et al. R,“Digital watermarking: applications, techniques and attacks”
KR2005011800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관리 방법
Voloshynovskiy et al. Stegowall: Blind statistical detection of hidden data
JP2000156781A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不正検知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Rawat et al. Review of methodologies and techniques for digital watermarking
KR100611312B1 (ko) 초상권 침해방지가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단말기, 및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초상권 침해방지용 정보 삽입방법
Johnson et al. A role for digital watermarking in electronic commerce
KR20030041501A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및 인증 방법
Piva et al. A watermarking technique for the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IPR
Rani et al. Literature review on digital image Watermarking
CN111640051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其装置
Tagare et al. Digital image watermarking–an overview
KR100751389B1 (ko) 디지털 영상의 워터마킹 방법
Abate Digital image waterm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