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771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771A
KR20050115771A KR1020040041179A KR20040041179A KR20050115771A KR 20050115771 A KR20050115771 A KR 20050115771A KR 1020040041179 A KR1020040041179 A KR 1020040041179A KR 20040041179 A KR20040041179 A KR 20040041179A KR 20050115771 A KR20050115771 A KR 20050115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erminal
socket
receiving groov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305B1 (ko
Inventor
노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305B1/ko
Priority to CNA2004101029253A priority patent/CN1708061A/zh
Publication of KR2005011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inserted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UIM카드나 SIM카드 등의 카드를 카드의 소켓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UIM카드나 SIM카드 등의 카드를 단말기의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소켓이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에 있어서, 카드의 삽입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상기 소켓의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카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카드의 단자와 상기 소켓의 단자가 밀착되도록 하는 상태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카드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는 상태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카드 로킹부재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카드에 대해 홈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수용홈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UIM/SIM Card Connect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UIM카드나 SIM카드 등의 카드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된 카드를 카드의 소켓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방식 중에서 현재 유럽 쪽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이용방식은 시분할 다중접속방식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하 GSM이라 약칭) 방식이다. 그리고, GSM 방식에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심(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심 카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칩이 자체적으로 장착되어 단말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거의 모든 정보를 내장하고 있으며, 특히 암호 등 사용자의 개인정보 뿐만아니라 전화번호, 네트워크번호 등의 관련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다.
더욱이 최근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이나 모바일 신용카드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SIM 카드나 UIM 카드를 접속할 수 있는 방식의 단말기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UIM카드나 SIM카드 등의 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로기판에 카드 소켓이 실장된다.
단말기의 카드 소켓에 카드가 접속되는 종래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단말기의 케이스에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삽입홈과 마주하도록 카드 소켓이 단말기의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카드 소켓의 단자와 접속되어 단말기의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드를 고정하기 위한 기구부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말기에 카드를 접속하는 종래의 방식은, 카드 소켓에 접속된 카드를 카드 소켓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치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카드가 그 크기에 맞추어 형성된 케이스의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카드 소켓에 접속되는 것이므로, 카드 소켓에 접속된 상태의 심 카드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카드와 카드 소켓이 지면을 향하도록 단말기를 뒤집어 카드를 분리하게 되며, 이렇게 단말기를 뒤집는 방식의 분리 과정에서 카드를 떨어뜨릴 위험이 발생된다.
또한, 일부 사용자는 손톱을 이용하여 카드를 분리하는 것이지만, 케이스의 삽입홈과 카드 사이에 틈새가 거의 없는 것이므로 여의치 못하다.
그리고, 상기 이유로 케이스의 삽입홈을 카드보다 크게 하는 경우, 카드의 소켓에 대한 접속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UIM카드나 SIM카드 등의 카드를 카드 소켓에 안정감있게 접속시킨 상태에서 용이한 조작을 통해 카드를 카드 소켓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IM카드나 SIM카드 등의 카드를 단말기의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소켓이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에 있어서, 카드의 삽입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상기 소켓의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카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카드의 단자와 상기 소켓의 단자가 밀착되도록 하는 상태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카드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는 상태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카드 로킹부재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카드에 대해 홈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수용홈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결합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도 1에 따른 카드 결합장치에 의한 카드의 결합과 분리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는 단말기 케이스(10), 카드 로킹부재(20), 탄성부재(30) 및 카드 접속용 소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 케이스(10)는 UIM카드나 SIM 카드 등의 카드(50)를 삽입하기 위한 수용홈(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단말기 케이스(10)의 카드 수용홈(12)에는 단말기의 내부와 통하여 카드 접속용 소켓(40)의 단자(42)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14)이 형성된다.
카드(50)를 단말기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소켓(40)은 단말기의 회로기판(60)에 실장된 상태에서 그 단자(42)를 단말기 케이스(10)의 관통홀(14)을 통해 카드 수용홈(12)으로 노출하게 된다.
카드 로킹부재(2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홈(12)에 삽입되는 카드(50)를 로킹하는 동시에 카드(50)의 단자(52)와 소켓(40)의 단자(52)가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위한 용도이다. 즉, 카드 로킹부재(2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홈(12)에 삽입되는 카드(5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카드(50)의 단자(52)가 소켓(40)의 단자(42)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상태와,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홈(12)에 삽입된 카드(50)로부터 완전하게 이격되는 상태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탄성부재(3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홈(12) 내측에 설치되며, 이와 같은 탄성부재(30)는 수용홈(12)에 삽입되는 카드(50)를 홈(12)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탄성부재(3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드 로킹부재(20)는 단말기 케이스(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와 같이 카드(50)의 단자(52)가 소켓(40)의 단자(42)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상태와 카드(50)로부터 완전하게 이격되는 상태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드 로킹부재(2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홈(12)에 삽입되는 카드(50)의 일부를 덮어 지지하는 위치와 카드(50)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설치하고, 탄성부재(30)는 카드(50)를 덮어 지지하는 상태로 이동된 카드 로킹부재(20)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홈(12)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카드가 소켓에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소켓(40)에 카드(50)가 접속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카드(50)가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홈(12)에 삽입되며, 이와 같이 수용홈(12)에 삽입되는 카드(50)의 단자(52)는 수용홈(12) 바닥면의 관통홀(14)을 통해 수용홈(12)으로 노출되는 소켓(40)의 단자(42)와 접속된다.
이렇게 카드(50)의 단자(52)와 소켓(40)의 단자(42)가 접속된 상태에서 카드 로킹부재(20)는 슬라이드 이동시켜 카드의 일측을 지지토록 한다. 이와 같이 카드 로킹부재(20)가 카드(50)를 지지하게 되므로써, 카드(50)가 수용홈(12)으로부터 들리는 등의 유동이 억제되면서 카드(50)의 단자(52)와 소켓(40)의 단자(42)는 안정감있는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0)는 카드 로킹부재(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도 3은 상기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홈(12)으로 삽입되어 소켓(40)에 접속된 카드(50)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로킹부재(20)를 수용홈(12)에 삽입된 카드(50)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카드(50)는 카드 로킹부재(20)에 의한 규제로부터 벗어나면서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높이 튀어오르게 되고, 이같이 수용홈(12)의 높이 이상으로 이탈되는 카드(50)를 파지하여 수용홈(12)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에 의해서, 단말기의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소켓과 접속하여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드를 단말기에 안정감있게 접속시킬 수 있는 동시에 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결합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도 1에 따른 카드 결합장치에 의한 카드의 결합과 분리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케이스 12 : 수용홈
14 : 관통홀 20 : 카드 로킹부재
30 : 탄성부재 40 : 소켓
42 : 단자 50 : 카드
52 : 단자 60 : 회로기판

Claims (3)

  1. UIM카드나 SIM카드 등의 카드를 단말기의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소켓이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에 있어서,
    카드의 삽입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상기 소켓의 단자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단말기 케이스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카드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카드의 단자와 상기 소켓의 단자가 밀착되도록 하는 상태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카드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는 상태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카드 로킹부재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카드에 대해 홈을 이탈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수용홈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로킹부재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카드의 일부를 덮어 지지하거나 카드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왕복이동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카드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의 상기 카드 로킹부재 저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KR1020040041179A 2004-06-05 2004-06-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KR10058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179A KR100587305B1 (ko) 2004-06-05 2004-06-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CNA2004101029253A CN1708061A (zh) 2004-06-05 2004-12-30 移动通信终端的卡连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179A KR100587305B1 (ko) 2004-06-05 2004-06-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771A true KR20050115771A (ko) 2005-12-08
KR100587305B1 KR100587305B1 (ko) 2006-06-08

Family

ID=3558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179A KR100587305B1 (ko) 2004-06-05 2004-06-05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7305B1 (ko)
CN (1) CN1708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4271A (zh) * 2016-03-24 2016-06-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6305A1 (de) * 2012-06-20 2013-12-2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ragbares Endgerät
KR20140049681A (ko) 2012-10-18 201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카드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4271A (zh) * 2016-03-24 2016-06-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305B1 (ko) 2006-06-08
CN1708061A (zh)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510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101520315B1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심카드 장착 장치
AU2014200114B2 (en) SIM card socket and termin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20028786A (ko) 카드커넥터
US20020014528A1 (en) Drawab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holder
KR1005873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 접속장치
KR10060883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소켓
KR101476301B1 (ko) 카드 커넥터
KR100315674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1006281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기능 카드 접속용 소켓
KR20070021374A (ko) 외장형 카드기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34351Y1 (ko) 휴대폰의 심카드 접속장치
KR200416857Y1 (ko) 전자카드 삽입형 단말기
KR100949154B1 (ko) 휴대폰의 심 카드 접속용 단자
KR100497402B1 (ko) 소형화를 구현한 uim 카드가 장착된 셀룰러 폰
KR101044095B1 (ko) 카드 커넥터를 통해 접지된 하부 케이스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163685Y1 (ko) 휴대용단말기의심카드고정장치
KR2007009831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듀얼카드용 커넥터의 접지구조
KR20130010289A (ko) 양방향 삽입이 가능한 심커넥터 접속단자
KR101009789B1 (ko) 휴대 단말기의 심카드 체결 장치
KR10038357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20050089577A (ko) 외장메모리카드와 sim 카드의 동시 장착 소켓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N108075267B (zh) 具备容易去除异物的开关部件的连接器装置
KR20037931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KR1010535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