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4966A -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4966A
KR20050114966A KR1020040040103A KR20040040103A KR20050114966A KR 20050114966 A KR20050114966 A KR 20050114966A KR 1020040040103 A KR1020040040103 A KR 1020040040103A KR 20040040103 A KR20040040103 A KR 20040040103A KR 20050114966 A KR20050114966 A KR 20050114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ey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4966A/en
Publication of KR2005011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966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인식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한글 입력과 병용하는 숫자 키패드를 여러 번 누름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인식하여 화면에 표시하므로, 이로 인하여 많은 양의 한글을 입력할 때 키패드를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대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하나의 한글 자음 또는 모음 입력을 위한 한글 키패드가 숫자 키패드의 모서리와 빈 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어 한글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 여러 번의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그에 드는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related art, a character is recognized and displayed on a screen by pressing a numeric keypad used in combination with a Hangul input several times, thereby inputting a large amount of Hangul. When the keypad has to be pressed several time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with a Hangul keypad for inputting a Korean consonant or a vowel, respectively, at corners and empty spaces of a numeric keypa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ouble of inputting characters by several operations and to save tim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인식 키패드{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Character recognition keypad for mobile terminal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인식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가 숫자 키패드 면에 별도로 존재하여 각 문자 키패드를 누르면 키패드 위에 적혀있는 문자가 바로 화면에 출력될 수 있게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인식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rticularly, a keypad for inputting a character exists separately on the surface of a numeric keypad so that when a character keypad is pressed, a character written on the keypad can be directly output on a screen. Relates to a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소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특성상 입력 장치가 소형으로 제작되고 입력 버튼이 소수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de small in siz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it, it is common that the input device is made small and the input buttons are made in a small number due to its characteristics.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 장치는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버튼과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그 숫자 버튼은 숫자와 병행하여 한글 및 영문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의 숫자 버튼에는 두 개 이상의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이 해당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의 입력 장치를 통해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면 버튼을 다수 선택해야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버튼을 반복해서 선택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The in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function button for selecting a function and a number button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the number button includes a function for inputting Korean and English in parallel with the number. Since more than one Korean consonant or vowel corresponds to the number button of the Hangul input function, if you want to input Hangul through this type of input device, you must not only select multiple buttons but also select the same button repeatedly. In some cases.

종래 기술의 실시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은 6개의 한글 단자음을 자음키 각각에 할당하고, 한글 단모음 입력을 위해 6개의 한글 단모음을 유사 단모음으로 분류하여 4개의 모음키에 할당하고, 상기 키들에 할당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을 가획키와 상기 자음 및 모음키와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자음 및 모음이 입력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the Korean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ocates six Korean terminal sounds to each of the consonant keys, classifies six Korean short vowels into similar vowels, and assigns four vowel keys to the Korean short vowels. The consonant and the vowel not assigned to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and the vowel are input in successive combinations with the consonant and the vowel.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키 1, 2, 4, 5, 7, 8은 자음키로 하여 6개의 한글 단자음(ㄱ,ㄴ,ㄹ,ㅁ,ㅅ,ㅇ)을 각각 할당하며, 숫자키 3,6,9,0은 한글 단모음 입력을 위해 6개의 단모음을 유사 단모음(ㅏ,ㅓ,ㅗ,ㅜ,ㅣ,ㅡ)으로 분류하여 4개의 모음키에 할당되는 구성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 the numeric keys 1, 2, 4, 5, 7, and 8 are consonant keys and six Korean terminal sounds ( A, b, r, ㅁ, ㅅ, ㅇ), and the numeric keys 3, 6, 9, and 0 are six short vowels (ㅏ, ㅓ, ㅗ, ,, ㅣ, ㅡ) for inputting Korean short vowels. Classified as) and assigned to four vowel keys.

그리고 별표키(*, 가획키)에는 상기 자음키 및 모음키에 할당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Asterisk keys (*, capture keys) can be assigned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not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이러한, 자음키 1,2,4,5,7,8번 키와 가획키(*)와 쌍자음키(#)의 조합으로 자음키에 지정되지 않는 변형 및 획 추가가 되는 자음을 입력할 수 있고, 한글 모음은 가획키(*)와 모음키(ㅏ,ㅓ,ㅗ,ㅜ,ㅣ,ㅡ)의 조합으로 상기 모음키에 할당되지 않는 변형 및 획 추가가 되는 단모음 및 복모음이 입력된다. By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keys 1, 2, 4, 5, 7, 8 and the catch key (*) and the double consonant key (#), the consonant to which the consonant key is not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 can be input In Korean vowels, a combination of a stroke key (*) and a vowel key (ㅏ, ㅓ, ㅗ, ,, ㅣ, ㅡ) inputs a short vowel and a vowel vowel which are not assigned to the vowel key and add a strok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입력의 경우, 한글 입력과 병용하는 숫자 키패드를 여러 번 누름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인식하여 화면에 표시하므로, 이로 인하여 많은 양의 한글을 입력할 때 키패드를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대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Korean input using the keypad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s recogniz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by pressing the numeric keypad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Korean input several times, thereby inputting a large amount of Korea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press the keypad multiple times.

예컨대, '키패드'라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키패드에서 1번 키(ㄱ)와 획 추가키(*)를 이용해 자음 'ㅋ'을, 9번 키(ㅣ)로 모음을 선택하여 '키'를 입력할 수 있다. 계속해서 5번 키(ㅁ)와 획 추가키(*)를 두 번 선택하여 자음 'ㅍ'을, 3번(ㅏ)과 9번(ㅣ) 키를 이용하여 모음 'ㅐ'를 조합하여 '패'를 입력하고, 2번 키(ㄴ)와 획 추가키(*)로 'ㄷ'과 0번 키(ㅡ)로 'ㅡ'를 조합하여 '드'를 입력함으로써 '키패드'를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a Hangul, 'keypad', the consonant 'ㅋ' is collected using the No. 1 key and the stroke addition key (*) in the conventional keypad shown in FIG. You can select to enter a 'key'. Go ahead and select the 5th key (ㅁ) and the stroke addition key (*) twice to combine the consonant 'ㅍ' and the vowel 'ㅐ' using the 3rd and 9th (ㅣ) keys. You can enter 'Keypad' by entering ',' and entering 'De' by combining 'ㅡ' with '0' and '0' with '0' and 'Str' (*). .

이와 같이 한글 '키패드'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총 11번의 키패드 선택이 필요하므로,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용도가 음성 통화를 제외하고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고려해 보면, 한글 40글자 정도의 내용으로 이루어진 단문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매우 번거롭다.Thus, 11 times keypad selection is required to input Korean 'keypad'. Considering that m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e short message service except voice call, it is about 40 characters in Korean. If you write a short message consisting of a very cumberso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숫자 키패드의 면에 각각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에 해당하는 한글 키패드를 두어, 각 한글 키패드를 누름으로써 그 키패드 위에 적혀 있는 한글이 화면에 출력될 수 있게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인식 키패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by placing a Hangul keypad corresponding to one consonant or vowel on the surface of the numeric keypad, and by pressing each Hangul keypad, the Hangul written on the keypad is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하나의 한글 자음 또는 모음 입력을 위한 한글 키패드가 숫자 키패드의 모서리와 빈 공간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ul keypad for one Hangul consonant or vowel input are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the corner and the empty space of the numeric keypad, respectively.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쌍자음 입력을 위한 쉬프트 키와, 띄어쓰기를 위한 스패이스 키와, 문장 부호 또는 이모티콘 입력을 위한 심볼 키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hift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a space key for spacing, and a symbol key for inputting a punctuation or emotic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키패드의 각 모서리마다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 입력을 위한 한글 키패드가 위치한다. 숫자 키패드에는 한글 키패드를 추가시킬 수 있는 총 24개의 모서리가 존재하는데,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의 14개의 자음과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ㅔ,ㅖ'의 13개의 모음을 각각 하나의 한글 키패드에 할당하여 상기 24개의 모서리에 위치시킬 때 3개의 모서리의 개수가 부족하므로, 'ㅡ, ㅖ, ㅣ'의 3개의 모음은 숫자 키패드 아래의 빈 공간에 별도로 위치시킨다.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ext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therein, a Korean keypad for consonant or vowel input of Korean characters is located at each corner of the numeric keypad. There are a total of 24 corners on the numeric keypad where you can add a Hangul keypad. Twelve consonants and 13 vowels of 'ㅏ, ㅑ, ㅕ, ㅕ, ㅐ, ㅛ, TT, ㅡ, ㅡ, ㅐ, ㅔ, ㅖ are assigned to one Korean keypad and placed on the 24 corners. When the number of three corners is insufficient, three vowels of 'ㅡ, ㅖ, ㅣ' are separately placed in the empty space below the numeric keypad.

따라서 기존에는 하나의 키패드에 하나 이상의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이 해당되어, 소정 시간 내에 선택되는 키패드의 횟수에 따라 상기 키패드 위에 적혀있는 모음 또는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었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키패드에 하나의 모음 또는 자음만이 해당되어 동일한 키를 반복하여 선택할 필요가 없다.Therefore, one or more Korean consonants or vowels correspond to one keypad, and any one of the vowels or consonants written on the keypad is in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keypad is sel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nly the vowels or consonants of do not have to be selected repeatedly by the same key.

또한, 한글 모음과 자음 외에도 단문메시지 작성에 필요한 띄어쓰기 기능을 하는 space키(SP키)와, 영문 모드에서는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키로 동작하고 한글 모드에서는 쌍자음 입력에 사용되는 쉬프트키(윗방향 화살표키)와, 문장 부호 내지 이모티콘 입력에 사용되는 심볼키(SYM키)를 추가로 구비하여, 한글 작성에 있어 편의를 도모한다. In addition to the Korean vowels and consonants, the space key (SP key) functions as a spacing function for writing short messages, and the shift key (up arrow) used for inputting a consonant in Korean mode. Key) and a symbol key (SYM key) used for punctuation or emoticon input are further provided for convenience in Korean writing.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인식하는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는 각각의 키패드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GPIO 핀이 있다. R0에서 R6에 해당하는 스캐닝 GPIO와, C0~C7에 해당하는 드라이버 GPIO로 구성되어 왼쪽 최상단은 R0C0, R1C0, R2C0, R3C0, R4C0, R5C0, R6C0의 핀으로 이루어진다. 그 아랫단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R0C1에서 R6C1까지, 마찬가지로 마지막단은 R0C7에서 R6C7까지 배열되어 총 56개의 GPIO핀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할당된다. 3A is a circuit diagram of recogniz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therein, a microprocessor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GPIO pin for accepting an input of each keypad. . It consists of scanning GPIOs corresponding to R0 to R6 and driver GPIOs corresponding to C0 to C7, and the top left is composed of pins of R0C0, R1C0, R2C0, R3C0, R4C0, R5C0, and R6C0. The bottom end is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from R0C1 to R6C1, and the last end from R0C7 to R6C7, so that a total of 56 GPIO pins are allocated to the microprocessor.

이동통신 단말기가 부팅되면 드라이버 GPIO 핀과 스캐닝 GPIO 핀을 초기화시키는데, 드라이버 GPIO 핀은 풀 다운(Pull down) 방식을 사용하고 스캐닝 GPIO 핀은 풀 업(Pull up) 방식을 사용하여 초기화 한다. 키패드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GPIO 핀을 일정 시간마다 순차적으로 점검한다. 이 때, 소정 키패드가 선택되면, 드라이버 GPIO 핀을 점검하여 하이(High) 상태로 전환된 해당 핀의 값을 레지스터(Register)에 저장하고,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핀은 로우(Low)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스캐닝 GPIO 핀들을 순차적으로 점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로우(Low) 상태로 전환된 소정의 핀만을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나머지 핀은 풀 업으로 초기화된 상태인 하이(High)로 유지시킨다. When the mobile terminal is booted, the driver GPIO pin and the scanning GPIO pin are initialized. The driver GPIO pin is pulled down and the scanning GPIO pin is pulled up using the pull up method. Once the keypad has been initialized, the microprocessor checks the GPIO pins sequentially over time. At this time, if a predetermined keypad is selected, the driver GPIO pin is checked and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pin which has been changed to the high state is stored in the register, and the remaining unselected pins remain low. . In this state, the microprocessor sequentially checks the scanning GPIO pins and stores only those pins in the register that have been turned low by the user's choice, and the remaining pins are initialized to pull-up high. Keep it at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선택된 드라이버 GPIO 핀과 스캐닝 GPIO 핀의 값이 저장된 레지스터에서 그 값을 읽어와 상기 할당표의 값과 일치하는 키코드(Keycode)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알려줘 문자 또는 기호를 화면에 표시한다.The microprocessor reads the values of the selected driver GPIO pins and the scanning GPIO pins from the stored registers and informs the microprocessor of a keycode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assignment table to display characters or symbols on the screen.

도 3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와 대응되는 GPIO 핀 할당표로서, 상기 할당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R0C0에는 'ㄱ', R0C1에는 'SEND', R0C2에는 'ㄴ', R0C3에는 'BACK'으로 GPIO 핀이 할당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56개의 키패드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56개의 GPIO핀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Figure 3 (b) is a GPIO pin assignment table corresponding to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ssignment table '0' in R0C0, 'SEND' in R0C1, 'b' in R0C2 In addition, R0C3 is configured so that 56 keypad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rrespond to 56 GPIO pins of the microprocessor.

예컨대, 상기 할당표의 R0C0에 해당하는 'ㄱ'을 선택하면, 드라이버 GPIO 핀인 C0을 하이 상태로 만들고 스캐닝 GPIO 핀인 R0을 로우 상태로 만들어 레지스터에 저장하게 된다. 이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읽어와 그에 해당하는 'ㄱ'가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다. For example, if 'a' corresponding to R0C0 of the allocation table is selected, the driver GPIO pin C0 is made high and the scanning GPIO pin R0 is made low and stored in a register. This is read by the microprocessor and the corresponding 'ㄱ'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보내는 경우나, 메모장 기능을 활용하는 등의 한글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 여러 번의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그에 드는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hassle of inputting characters in a number of operations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sends a short message or when a Korean input such as utilizing a notepad function is required. This will save you time.

특히,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음성 통화를 제외하면 단문메시지를 보내는데 많은 시간을 할여하므로, 좀더 빠르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인식 키패드를 제안한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ept for a voice call to spend a lot of time to send a short message, we propose a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for entering text more quickly and easi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한글 입력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보여주는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입력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보여주는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Korean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인식하는 회로도.Figure 3 (a) is a circuit diagram for recognizing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와 대응되는 GPIO 핀 할당표.Figure 3 (b) is a GPIO pin assignment table corresponding to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C0~C7 : 드라이버 GPIO 핀 R0~R6 : 스캐닝 GPIO 핀C0 ~ C7: Driver GPIO pin R0 ~ R6: Scanning GPIO pin

S1: 상향 사이드 버튼 S2 : 하향 사이드 버튼S1: Upward Side Button S2: Downward Side Button

UP: 상향 네비게이션키 DN : 하향 네비게이션키UP: Up Navigation Key DN: Down Navigation Key

LT : 좌측 네비게이션키 RT : 우측 네비게이션키 LT: left navigation key RT: right navigation key

SK1 : 제 1 소프트 키 SK2 : 제 2 소프트 키SK1: first soft key SK2: second soft key

SP : 스패이스 키 VD : 음성 녹음용 사이드 버튼SP: Space key VD: Side button for voice recording

SYM : 심볼 키SYM: Symbol Key

Claims (2)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I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하나의 한글 자음 또는 모음 입력을 위한 한글 키패드가 숫자 키패드의 모서리와 빈 공간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인식 키패드.Character recognition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ul keypad for inputting one Hangul consonant or vowel,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corner and the empty space of the numeric keypa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쌍자음 입력을 위한 쉬프트 키와, 띄어쓰기를 위한 스패이스 키와, 문장 부호 또는 이모티콘 입력을 위한 심볼 키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인식 키패드.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hift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a space key for spacing, and a symbol key for punctuation or emoticon input.
KR1020040040103A 2004-06-02 2004-06-02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1149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103A KR20050114966A (en) 2004-06-02 2004-06-02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103A KR20050114966A (en) 2004-06-02 2004-06-02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966A true KR20050114966A (en) 2005-12-07

Family

ID=3728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103A KR20050114966A (en) 2004-06-02 2004-06-02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496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852A2 (en) * 2007-12-06 2009-06-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852A2 (en) * 2007-12-06 2009-06-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WO2009072852A3 (en) * 2007-12-06 2009-09-11 Seung Hwan Kim Keypad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864076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KR20060101367A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number key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KR101808774B1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0638333B1 (en)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Small Keypad And Method Thereof
KR20050114966A (en) Character recognition keypa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48630B1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06777B1 (en) Alphabet inpu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451206B1 (en) Hangul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15728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100852946B1 (en) A keypad array of mobile phone for Japanese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US20050225537A1 (en)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KR100377416B1 (en) Telephone and Hangul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06215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s by means of a keypad
KR1006230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KR1006354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fficient korean vowel character input
KR100409278B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10106987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put character equipment and operating method
KR100422379B1 (en) Hangul input device for info-communications apparatus
KR20030094811A (en) Multi language input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94986B1 (en) Input device having extended key in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thereof
KR100844934B1 (en) Charactor inputting device
KR100638404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79656B1 (en) A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and a method thereof by using th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