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955A -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955A
KR20050113955A KR1020040039120A KR20040039120A KR20050113955A KR 20050113955 A KR20050113955 A KR 20050113955A KR 1020040039120 A KR1020040039120 A KR 1020040039120A KR 20040039120 A KR20040039120 A KR 20040039120A KR 20050113955 A KR20050113955 A KR 20050113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shing
drum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봉
이득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3955A/ko
Publication of KR2005011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건조기 등의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스팀을 이용한 세탁의 진행이 가능하되, 상기 스팀의 역류로 인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의 세탁수 유입단에 구비된 급수 밸브; 상기 급수유로의 세탁수 유동 경로상에 구비된 세제 박스;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장치; 상기 급수유로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스팀 생성장치로 세탁수의 일부를 공급하는 분지유로; 상기 분지유로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상기 분지유로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 밸브; 그리고, 상기 스팀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드럼 내부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건조기 등의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세탁 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개선을 통해 스팀을 이용한 각종 세탁 과정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 및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는 세탁기 및 건조기 등이 포함되며, 상기 세탁기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펄세이터 세탁기와, 상기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세탁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있기 때문에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낙하 방식으로써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한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드럼 세탁기의 종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드럼 세탁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장착된 아웃터브(20)와, 상기 아웃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럼(30)과, 상기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의 주변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40)가 장착된다.
이와 함께, 상기 투입구(11)의 내측 둘레에는 도어(40)와 상기 투입구(11) 간의 밀폐를 위한 림부(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20)는 그 외측 둘레면의 양측 저부에 댐퍼(21)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 내에서 지지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구동 수단은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력을 상기 드럼(30)으로 전달하도록 연결된 벨트(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상기 드럼 세탁기에는 세탁수의 급수를 위한 급수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급수 장치는 수도관에 연결되는 세탁수 급수관(81)과, 상기 세탁수 급수관(81)의 관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세탁수 급수관(81)은 세제 박스(D/B;Detergent Box)(83)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 급수관(81)을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세제 박스(83)를 경유하여 드럼(30)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후술하는 각종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세탁을 수행하기 전에는 불림 과정을 수행함이 세탁 성능에 보다 효과적이나 상기 불림 과정을 위한 세탁수의 소모량이 상당히 컸기 때문에 통상적인 세탁 행정에서는 불림 과정이 생략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상의 세탁 성능을 얻을 수는 없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둘째,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물의 살균을 위한 별도의 구조가 제공되지 않았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최근에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별도의 세탁수용 히터가 세탁기 내에 구비되어 삶는 세탁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도 있으나, 단순히 삶는 행정에 의해서만 세탁물의 살균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삶는 행정을 위해 소요되는 세탁수 및 전력 소모량의 증가로 인해 선호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전술한 종래의 드럼 세탁기는 세탁 과정에서 발생된 많은 구김으로 인해 다림질 등의 별도 수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세탁물에 대한 리프레쉬를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소비자의 만족도 저하가 야기되었던 문제점 역시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을 이용한 세탁의 진행이 가능하되, 상기 스팀의 역류로 인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 아웃터브; 상기 아웃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장치; 상기 스팀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드럼 내부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 상기 스팀 공급관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전자적 제어에 의해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밸브; 상기 스팀 공급관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관로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 그리고, 상기 스팀 생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압력을 토대로 상기 개폐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 방법은 스팀 생성장치를 동작시켜 고온의 스팀을 생성하는 제1단계;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스팀 공급관 내의 압력을 확인하는 제2단계; 그리고, 상기 확인된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개폐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여 스팀 공급관의 관로를 개방하는 제3단계:가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운전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세탁기로의 적용 상태를 그 실시예로 하며, 도 3 및 도 4와 같이 크게 본체(110)와, 드럼(130)과, 급수유로(181)와, 급수밸브와, 세제 박스와, 스팀 생성장치와, 분지유로와, 제1개폐 밸브와, 스팀 공급관 그리고,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세탁기의 외관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드럼(130)은 상기 본체(1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를 향하여 개구된 측이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이 때,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40)가 장착되며, 상기 투입구(111)의 내측 둘레면으로는 상기 도어(140)와 상기 투입구(111) 간의 밀폐를 위한 림부(15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와 상기 드럼(130) 사이에는 아웃터브(120)가 상기 본체(110) 내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유로(181)는 상기 본체(110) 내부를 따라 구비되며, 수도관 등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급수유로(181)에는 급수 밸브(182)가 구비되어, 상기 세탁수의 공급에 따른 전자적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제 박스(183)는 상기 급수유로(181)의 세탁수 유동 경로상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유로(181)를 통해 드럼(130) 내로 공급되는 세탁수에 세제를 함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팀 생성장치는 스팀의 생성이 가능하게 형성된 장치로써, 상기 본체(110) 내의 적소에 구비된다.
상기한 스팀 생성장치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박스체(210)와, 발열부(2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박스체(210)는 상기 급수유로(181) 및 상기 스팀 공급관(230)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팀 생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박스체(210)는 상기 급수유로(181)와 곧장 연통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급수유로(181)를 통해 유동하는 세탁수가 세제 박스(183)를 통과한 후 상기 박스체(210) 내로 유입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부(220)는 통상의 시스 히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발열에 의해 상기 박스체(210) 내부로 공급된 물을 증기화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유로(184)는 상기 급수유로(181)로부터 분지되며, 상기 스팀 생성장치로 세탁수의 일부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 밸브(310)는 상기 분지유로(184)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상기 분지유로(184)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1개폐 밸브(310)는 제어부에 의해 전자적인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한 제1개폐 밸브(310)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스팀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은 상기 분지유로(184)의 관로를 따라 역류하면서 외부로 누출되기 때문에 드럼(130) 내로 원하는 양만큼의 스팀 공급이 곤란하며, 이로 인해 상기 스팀으로 인한 각종 작용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개폐 밸브(310)가 존재함이 스팀에 의한 세탁 성능의 향상에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관(230)은 그 일단이 상기 박스체(21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스팀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의 유동을 드럼(130) 내로 안내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스팀 공급관(230)의 끝단인 스팀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부위에는 분사 노즐(240)이 구비되어 상기 유출되는 스팀이 보다 큰 분사력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 노즐(240)은 스팀의 원활한 발산이 가능하도록 노즐(nozzle)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스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끝단은 아웃터브(120)를 관통하여 드럼(130)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스팀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은 세탁 행정 전에 세탁물로 분무될 경우 상기 세탁물에 대한 불림 작용이 가능하게 되어, 세탁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은 고온의 상태 특히, 살균이 가능할 정도의 고온이기 때문에 세탁물로 분사될 경우 상기 세탁물에 대한 살균 작용이 가능함과 더불어 세탁 완료된 세탁물에 대한 리프레쉬(Refresh)가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리프레쉬는 세탁물이 드라이크리닝을 수행한 것과 같이 고온의 스팀에 의해 주름 등이 펴지는 현상이며, 젖지는 않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생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제1개폐 밸브(3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이다.
이하, 전술한 구조의 세탁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과정 중의 스팀 제공 과정을 첨부된 도 6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세탁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스팀 공급 행정의 진행 순서가 되면 제어부는 제1개폐 밸브(310)를 제어하여 분지유로(184)의 관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는 급수 밸브(182)를 제어하여 상기 분지유로(184)를 통해 스팀 생성장치의 박스체(210) 내로 소정량의 세탁수를 공급(S110)한다.
이 때, 상기 소정량의 세탁수라 함은 필요시되는 양의 스팀이 생성될 수 있을 정도의 세탁수량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양의 세탁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제1개폐 밸브(310)를 재차적으로 제어하여 분지유로(184)의 관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급수 밸브(182)를 제어하여 세탁수의 공급을 중단(S120)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는 발열부(220)로의 전원 공급을 수행(S130)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박스체(210) 내에는 상기 세탁수의 증발로 인한 고온의 스팀 생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생성된 스팀은 상기 박스체(210)와 연통된 스팀 공급관(230)의 안내를 받아 유동되면서 드럼(130) 내부로 분사(S140)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30) 내부로 분사된 고온의 스팀은 세탁물로 분사되면서 상기 세탁물에 대한 살균 및 리프레쉬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세탁물의 살균이 가능함은 상기 스팀의 온도가 살균이 가능할 정도의 고온이기 때문이며, 상기 세탁물의 리프레쉬가 가능함은 상기 스팀이 고온의 스프레이 상태이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드럼(130) 내부로 공급된 고온의 스팀은 상기 드럼(130)과 연통된 급수유로(184)를 통해 세제 박스(183)로 역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 때, 상기 세제 박스(183) 내에는 분말 상태의 세제가 잔존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고온의 스팀이 상기 세제 박스(183) 내로 역류된다면 상기 세제가 굳어짐에 따른 관로 즉, 급수유로(181)의 막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상기 급수유로(181) 중 상기 세제 박스(183)와 상기 드럼(130)간의 사이에 연결된 관로상에 제2개폐 밸브(32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개폐 밸브(320)는 제어부에 의해 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세탁을 위한 세탁수의 급수시에는 상기 급수유로(181)의 관로가 개방되어야 하고, 스팀 공급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상기 관로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상기 스팀 공급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제2개폐 밸브(3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세제 박스(183)와 드럼(130)간을 연결하는 급수유로(181)의 관로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드럼(130) 내의 스팀이 상기 세제 박스(183)로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제2개폐 밸브(320)는 스팀 공급 행정시에만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세탁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 세제로 인해 드럼(130) 내에 생성되는 거품이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세탁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개폐 밸브(320)가 급수유로(181)의 관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거품의 역류에 따른 관로 막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살균 및 리프레쉬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 중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제1개폐 밸브에 의해 드럼 내로 공급되어야 할 스팀이 분지유로 및 급수유로를 통해 외부로 역류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으로 인한 살균 및 리프레쉬 성능이 최대한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개폐 밸브의 구성에 의해 드럼 내부의 스팀 혹은, 거품이 세제 박스로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세제 박스 내의 세제가 굳게 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급수유로의 막힘에 따른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 는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본 개략적인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본 개략적인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각 구성 요소 중 스팀 생성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 방법에 의해 진행되는 스팀 생성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본 개략적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20. 아웃터브
130. 드럼 181. 급수유로
183. 세제 박스 184. 분지유로
210. 박스체 220. 발열부
230. 스팀 공급관 240. 분사 노즐
310. 제1개폐 밸브 320. 제2개폐 밸브

Claims (6)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의 세탁수 유입단에 구비된 급수 밸브;
    상기 급수유로의 세탁수 유동 경로상에 구비된 세제 박스;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장치;
    상기 급수유로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스팀 생성장치로 세탁수의 일부를 공급하는 분지유로;
    상기 분지유로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상기 분지유로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개폐 밸브; 그리고,
    상기 스팀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드럼 내부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생성장치는
    상기 급수유로 및 상기 스팀 공급관과 연통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 내에 구비되며,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여 물을 증기화하는 발열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 밸브는
    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 중 상기 세제 박스와 상기 드럼간의 사이에는
    드럼 내에 존재하는 거품 및 스팀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급수유로의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개폐 밸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 밸브는
    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6. 스팀을 생성하여 드럼 내부로 제공하는 스팀 생성장치를 가지는 세탁 장치에 있어서,
    제1개폐 밸브의 제어를 통해 분지유로의 관로를 개방하여 스팀 생성장치로 설정된 양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단계;
    상기 설정된 양의 세탁수 공급이 완료될 경우 상기 제1개폐 밸브를 제어하여 분지유로의 관로를 차단하는 제2단계; 그리고,
    스팀 생성장치를 동작시켜 스팀을 생성하여 드럼내로 상기 스팀을 공급하는 제3단계:가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스팀 공급 방법.
KR1020040039120A 2004-05-31 2004-05-31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KR20050113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120A KR20050113955A (ko) 2004-05-31 2004-05-31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120A KR20050113955A (ko) 2004-05-31 2004-05-31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55A true KR20050113955A (ko) 2005-12-05

Family

ID=3728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120A KR20050113955A (ko) 2004-05-31 2004-05-31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39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469B1 (ko) * 2006-11-16 2008-02-20 서동진 수증기를 이용한 물수건 세탁기
KR101397059B1 (ko) * 2009-05-2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US9828715B2 (en) 2009-05-28 2017-11-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g having a drying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469B1 (ko) * 2006-11-16 2008-02-20 서동진 수증기를 이용한 물수건 세탁기
KR101397059B1 (ko) * 2009-05-2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US9828715B2 (en) 2009-05-28 2017-11-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g having a dry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5339A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37335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US9982380B2 (en) Laundry machine
KR20040088884A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US8046854B2 (en) Washing machine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KR20090079560A (ko) 스팀발생기를 구비한 세탁장치
KR100606801B1 (ko) 세탁 장치의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제어 방법
KR20050113955A (ko)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KR100774167B1 (ko)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KR101521916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1820B1 (ko)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US8347437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31331B1 (ko) 듀얼분사식 세탁기
KR20070078584A (ko) 드럼 세탁기 및 이를 이용하는 세탁수의 공급 방법
KR101176071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KR101137334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101033588B1 (ko) 세탁기의 운전 방법
KR101053588B1 (ko)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KR100891661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101199362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KR20190131000A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23440B1 (ko)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23607A (ko) 다림질 기능이 구비된 세탁기
KR101071824B1 (ko) 세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