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064A -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064A
KR20050113064A KR1020040038556A KR20040038556A KR20050113064A KR 20050113064 A KR20050113064 A KR 20050113064A KR 1020040038556 A KR1020040038556 A KR 1020040038556A KR 20040038556 A KR20040038556 A KR 20040038556A KR 20050113064 A KR20050113064 A KR 2005011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ecipients
recent
short messag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702B1 (ko
Inventor
송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70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최근전송목록에는 동보전송 여부와 관계없이 개개의 수신인 명칭 또는 번호로 저장되므로 그 목록에서 일일이 수신인을 선택해야 되어 최근에 동보 전송한 번호를 찾기 힘들고, 재차 동보 전송 시 수신인 선택 과정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등 최근 단문메시지를 전송한 번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이 동보 전송인지 판단하여 동보 전송인 경우 최근전송목록에 수신인을 그룹으로 지정하여 저장하고, 동보 전송이 아닌 경우 수신인 번호 또는 명칭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재차 동일한 수신인들에게 동보 전송할 때 수신인을 단번에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RECENT TRANSMISSION GROUP CREATING METHOD FOR MULTI-TRANSMISSION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보 전송 완료 시 최근전송목록에 동보 전송한 수신번호를 전부 포함하는 최근전송그룹의 항목을 생성하여, 다음 번 동보 전송 시 수신번호를 쉽게 입력할 수 있게 한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방식과, 문자와 기호 등을 이용하는 메시지 통신방식 및 영상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메시지 통신방식의 일종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는,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 유무에 관계없이 짧은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를 말한다. 이 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80바이트(Byte) 정도의 짧은 문장을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게 보내면 공중 전화망,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단문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여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의 동보 전송 기능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선에 힘입어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단문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최근전송목록에 수신인의 번호가 저장되는데, 동보 전송한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근전송목록에 동보 전송받은 수신인의 번호가 모두 저장되어 다시 동일한 수신인에게 동보 전송할 때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최근전송목록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에서 10까지의 수신인에게 단문메시지를 동보전송하면, 전송 화면에 10건의 단문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사실이 표시되고, 이에 따라 최근번호목록에는 상기 1에서 10까지의 수신인 목록이 저장된다. 이 때,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작은 이모'를 수신인으로 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면, 최근전송목록 최상단에 '작은 이모'가 표시되고 그 전에 동보 전송한 수신인의 명단은 한 줄씩 밀려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의 '막내 동생'을 수신인으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동보 전송한 수신인의 명단과 별도의 구분 없이 최근전송목록의 제일 윗단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최근전송목록에 단문메시지를 동보 전송한 수신인의 목록이 저장되는 과정의 흐름도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메시지 새로 보내기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그에 따라 단문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는 단계와, 전송이 완료되면 최근전송목록에 전송한 번호가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단문메시지의 전송이 다수의 수신인을 대상으로 하는 동보전송인지 여부의 판단 없이, 단일 수신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와 차별을 두지 않고 최근전송목록에 단문메시지를 전송한 번호가 모두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최근전송목록에 전송한 번호가 저장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근전송목록을 이용하여 단문메시지를 동보 전송 할 수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전송목록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최근전송목록에 동보 전송하려는 수신인이 모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원하는 수신인이 모두 존재하면 최근전송목록에서 수신인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수신인을 선택하는 단계와, 수신인이 선택되면 단문메시지 새로 보내기 기능을 선택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면 수신인이 다수인지 불문하고 개개의 수신인이 전부 최근전송목록에 저장되기 때문에 다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려 할 때 그 목록에서 수신인을 개별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최근전송목록에서 동일한 다수의 수신인들에게 재차 단문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는 경우, 최근전송목록에는 동보전송 여부와 관계없이 개개의 수신인의 명칭 또는 번호로 저장되므로 그 목록에서 일일이 수신인을 선택해야 한다.
이에 따라, 동보 전송한 번호와 개개인에게 전송한 번호가 혼합되어 최근에 동보 전송한 번호를 찾기 힘들고, 재차 동보 전송 시 수신인 선택 과정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등 최근 단문메시지를 전송한 번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단문메시지의 전송이 동보전송인 경우 최근전송목록에 그룹으로 지정하여 저장함으로써 다시 동일 수신인들에게 동보전송 할 때 쉽고 빠르게 수신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이 동보 전송인지 판단하여 동보 전송인 경우 최근전송목록에 수신인을 그룹으로 지정하여 저장하고, 동보 전송이 아닌 경우 수신인 번호 또는 명칭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근전송목록에 동보 전송할 수신인 그룹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인 그룹이 존재하면 그 그룹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수신인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수신인 그룹 또는 수신인에게 단문 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최근전송목록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로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에서 10에 해당하는 수신인에게 단문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면, 상기 10건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최근전송목록에 '전송그룹1'로 지정되어 저장된다.
그러나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보전송이 아닌 단문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종전 최근전송목록의 생성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부에서 '작은 이모'를 수신인으로 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그룹1'이 아랫단으로 밀리면서 최상단에는 '작은 이모'가 저장되고, 다시 수신인을 '막내 동생'으로 하여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면 최상단에는 '막내 동생', 그 아랫단에는 '작은 이모', '전송 그룹1'의 차례로 수신인 명단이 저장되어 표시된다.
즉, 동보전송인 경우 '전송 그룹1', '전송 그룹2' 등의 명칭을 부여하여 최근전송목록에 저장하고, 동보전송이 아닌 경우 기존의 방식대로 최근전송목록에 수신인의 번호를 저장하거나 그 수신인이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다면 그 명칭으로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최근전송목록이 저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단문메시지 새로 보내기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단문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동보 전송이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동보 전송이면 최근전송목록에 그룹으로 지정하여 저장하고 동보 전송이 아니면 최근전송목록에 수신인의 명칭 또는 번호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최근전송목록을 이용하여 단문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는 과정을 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전송목록을 확인하는 단계와, 그 최근전송목록에 동보 전송하려는 수신인 그룹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인 그룹이 존재하면 이를 선택하여 단문메시지를 동보 전송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화번호부 검색으로 수신인을 선택하여 단문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주 동보전송 하는 수신인 번호를 최근전송목록에서 일일이 선택하거나 전화번호부 검색을 통해 지정된 그룹을 선택할 필요 없이, 최근전송목록에서 최근 동보 전송한 그룹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를 동보 전송한 경우 최근전송목록에 수신인 번호를 그룹으로 지정하여 저장함으로써 다시 동일한 수신인들에게 동보 전송할 때 수신인을 단번에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근전송목록에서 동보 전송한 수신인과 개개인에게 전송한 수신인 명단을 구분하기 쉽기 때문에 최근 동보 전송한 번호를 찾기 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최근전송목록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최근전송목록이 저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최근전송목록을 이용한 동보전송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최근전송목록 생성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최근전송목록이 저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최근전송목록을 이용한 동보전송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Claims (2)

  1.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이 동보 전송인지 판단하여 동보 전송인 경우 최근전송목록에 수신인을 그룹으로 지정하여 저장하고, 동보 전송이 아닌 경우 수신인 번호 또는 명칭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근전송목록에 동보 전송할 수신인 그룹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인 그룹이 존재하면 그 그룹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여 수신인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수신인 그룹 또는 수신인에게 단문 메시지를 동보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KR1020040038556A 2004-05-28 2004-05-28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KR10063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56A KR100631702B1 (ko) 2004-05-28 2004-05-28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56A KR100631702B1 (ko) 2004-05-28 2004-05-28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64A true KR20050113064A (ko) 2005-12-01
KR100631702B1 KR100631702B1 (ko) 2006-10-09

Family

ID=3728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556A KR100631702B1 (ko) 2004-05-28 2004-05-28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7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702B1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804B2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EP1705881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transmitting idle screen display message
JP4166698B2 (ja) 連結されたエンハンストショートメッセージの管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使用した通信端末
KR1004694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KR20020060489A (ko) 이동 전화기에서 이미지 파일 송신 및 수신방법
KR20010016442A (ko) 문자메세지를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
KR20040048086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00474865C (zh) 用于一次按键消息发送的移动通信终端和方法
US20080293442A1 (en) Broadcast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1702B1 (ko) 휴대 단말기의 동보 전송을 위한 최근전송그룹 생성 방법
KR2009011626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신저 정보 보관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과 메신저 정보 보관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72464B1 (ko) 통합 메시징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방법
JP2006504295A (ja) 情報符号化および復号化方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20040046258A (ko)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85729B1 (ko) 동보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00086A (ko) 배경화면이 있는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방법
KR20040089237A (ko) 동보전송 주소록을 이용한 단문 메시지 발송방법
KR20070046427A (ko) 메시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40110218A (ko) 폰북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200158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연속수신방법
KR100640812B1 (ko) 동보 전송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0475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100566991B1 (ko) 메시지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KR100639078B1 (ko) 모바일 컨텐츠를 이용한 광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