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176A -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176A
KR20050112176A KR1020040037039A KR20040037039A KR20050112176A KR 20050112176 A KR20050112176 A KR 20050112176A KR 1020040037039 A KR1020040037039 A KR 1020040037039A KR 20040037039 A KR20040037039 A KR 20040037039A KR 20050112176 A KR20050112176 A KR 2005011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quality
call
quality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호
배성수
유재황
박주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2176A/ko
Publication of KR2005011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1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접수받거나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해당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OTA(Over The Air) 호를 설정한 상태에서 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품질 측정을 요청하여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토대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부합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고객 상담 센터측과 이동통신 단말기측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의 OTA(Over The Air)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과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Description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the call quality of mobile terminal using Over The Ai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접수받거나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해당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OTA(Over The Air) 호를 설정한 상태에서 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품질 측정을 요청하여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토대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부합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가입자에게 음성 통화 서비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고객이 이동통신 사업자 신규 가입, 타 이동통신 사업자로의 전환 가입, 로밍 서비스 및 데이터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기 프로그램 탑재 등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OTA(Over The Air)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OTA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사업자(특히 고객 상담 센터)간에 음성 호가 성립된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고객과 사업자간의 등록 절차를 단순화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식별(제조) 번호(ESN; Eletronic Serial Number), 로밍 서비스 관련 정보 등과 같은 각종 파라미터를 변경 및 관리하고,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편의점 등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입한 후에 이동통신 사업자의 대리점을 방문하여 각종 서류를 작성하면서 가입 절차를 밟지 않고, OTA 서비스를 통하여 지정된 고객 상담 센터로 전화를 걸어 상담원과 응대하면서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신규 가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 OTA 서비스는 OTASP(Over-The-Air Service Provisioning) 서비스 및 OTAPA(Over-The-Air Parameter Administration) 서비스로 나뉜다.
상기 OTASP 서비스는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신규 가입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NAM(Number Assigned Module) 파라미터와 PRL(Preferred Roaming List)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퍼레이션(operation) 파라미터를 변경 및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OTAPA 서비스는 이미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유한 고객에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NAM(Number Assigned Module) 파라미터와 PRL(Preferred Roaming List)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퍼레이션 파라미터를 변경 및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OTA 서비스는 TIA/EIA/IS-683-A(Over-the-Air Service Provisioning of Mobile Stations in Spread Spectrum Systems, June 1998), TIA/EIA/IS-95-B(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s, October 1998), TIA/EIA/IS-725-A(Cellular Radiotelecommunications Intersystem Operations, Over-the-Air Service Provisioning(OTASP) & Parameter Administration(OTAPA), July 1999), TIA/EIA/TSB58-B(Administration of Parameter Value Assignments for TIA/EIA Spread Spectrum Standards, November 1999)에 관련 규격이 표준화되어 있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의 대중화에 힘입어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사업자의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 이동통신 번호 이동성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각 이동통신 사업자는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 특히 OTA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신규 가입하거나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를 전환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가입 절차의 편리성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통화 품질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즉, OTA 서비스를 통해 신규 가입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전환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통화 품질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고객 상담 센터와 연계하여 이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정보에 대해 사용자에게 안내(예; 파일롯 채널의 신호대 간섭비, 수신 전력 레벨 등과 같은 용어 설명 및 해당 측정값에 대한 설명 등)하여 보다 편리하고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각 이동통신 사업자는 수 많은 고객들의 다양한 불만 사항(예; 통화 중 호 접속 해제, 통화 중 혼선, 특정 지역에서의 통화 불가와 같은 통화 품질 불만 신고 등)을 접수받아 처리하기 위해 고객 상담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하, 통화 중 호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통화 중 혼선이 발생하는 경우, 통화가 불가한 경우 등과 같이 통화 품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지역을 음영 지역이라 통칭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기타 통신 수단(예; 유선 전화기, 인터넷을 통하여 고객 상담 센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등)을 통하여 고객 상담 센터의 상담원과 응대하면서 통화 상태 등을 설명(예; "어떠한 지역에서 통화가 자주 끊긴다"와 같이 구두로 통화 상태를 설명)하여 해당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접수시킨다.
그러면, 상담원이 고객으로부터 접수받은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참작하여 자신이 해소시켜 줄 수 있는 사항(예;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 실수 등)에 대해서는 고객에게 그 해소 방안에 대해 알려준다.
그러나, 상담원이 자신이 해소시켜 줄 수 없는 사항(예; 정확한 원인 파악 불가 등)에 대해서는 망 운용/관리 부서 등으로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통보하여 담당 부서에서 그 해소 방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그러면,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상담원이 접수받은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상응하는 음영 지역으로 이동하여 통화 품질 측정 장비 등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에서의 통화 품질을 측정한다.
그런후,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통화 품질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토대로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대해서 정확히 인지하여 적절한 조치(예; 통화 품질을 높이기 위해 기지국 추가 설치 또는 해당 지역에서의 통화 품질 양호 판정 등)를 취한다. 그에 따라, 고객이 접수시킨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이 해소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상담원이 구두로 응대하여 접수받은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만으로는 현장(음영 지역) 조치에 필요한 통화 품질 정보를 정확히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직접 통화 품질 측정 장비 등을 지참하여 해당 음영 지역으로 직접 방문하여 그 지역에서 직접 통화 품질을 측정해야지만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인지하여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현장 지역에 직접 방문하여 해당 지역의 통화 품질을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해야 되기 때문에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 및 이를 야기시킨 원인을 파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의 종류 및 유형 등에 따라 현장 지역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 지역에 직접 방문해야 되기 때문에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는 비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가입자는 자신이 접수시킨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대해서 적절한 조치가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음영 지역에서 일정 시간동안에는 원활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고객의 설명에 의존한 주관적인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토대로 해당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해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해야 된다.
또한, 망 운용/관리 부서 등과 같이 실질적으로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대해 조치를 취하는 부서에서는 현장 지역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해당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되며,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접수받거나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해당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OTA(Over The Air) 호를 설정한 상태에서 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품질 측정을 요청하여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토대로 고객의 요구 사항에 부합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고객 상담 센터측과 이동통신 단말기측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의 OTA(Over The Air)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과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OTA 서비스 제공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OTA 서비스 제공 통신망은, 사용자측의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부터 OTA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임시 번호(TRN; Temporary Reference Number)를 부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고객 상담 센터(12)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도록 하고, OTA 서버(13)측으로부터 액티베이션 식별 번호(Activation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할당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와 OTA 서버(13)간에 데이터 호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11)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받거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접수받고, OTA 서버(13)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을 요청하기 위한 고객 상담 센터(12)와,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측으로부터의 통화 품질 측정 요청에 상응하는 해당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OTA 서버(13)와, 상기 OTA 서버(13)에서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14)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5)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상기 통신망은 이동통신 기능, 음성통신 기능, 패킷 데이터 통신 기능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 요소(예;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홈 위치 등록기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 등)를 더 포함하며, 다른 여타의 구성 요소가 구비된다는 것은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가입 여부(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통 여부)와 상관없이 이동통신 단말기(10)측의 사용자가 OTA 서비스 번호로 전화를 걸어 고객 상담 센터(12)측의 상담원과 응대하면서 현재 지역에서의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예; 기존에 사용하던 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경험했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상담원에게 토로하여 그에 대한 통화 품질 불만 사항 해소를 요구함)함에 따라 OTA 서버(13)가 이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통화 품질을 측정하며, OTA 서버(13)가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고객 상담 센터(12)측 또는/및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3)측으로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통화 품질 정보를 안내하여 확인시켜 주고,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대한 해소 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에 가입되어 고유 번호(예; "010-999-9999" 등)를 할당받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정식으로 제공(예; 상대방과의 음성 통화 서비스 등)받고 있거나 어떠한 이동통신 사업자에도 가입되어 있지 않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정식으로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고유 번호를 부여받지 않고서도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어떠한 이동통신 사업자에도 가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미개통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통화 품질 측정 기능이 내장된 단말기로서,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의 통화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OTA 서버(13)로부터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기지국 아이디(Base Station ID), 기지국과의 파일롯 의사잡음코드 기준값(Pilot PN Offset), 파일롯 채널의 신호대 간섭비(Pilot Ec/Io), 수신 전력 레벨(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송신 출력 레벨(Tx), 송신 출력 레벨 조정값(Tx Adj), 현재 사용 중인 FA 번호(Current Channel), OTA 서버(13)(또는 이동통신 교환국(11))측으로부터 할당받은 임시 번호(TRN),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Activation MIN) 등을 추출한다. 여기서, 기지국 아이디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에 상응한다.
또한, 해당 지역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일정 시간(예; 10초, 20초 등)동안에 각종 파라미터를 다수회 추출하고, 상기 일정 시간동안 다수회 추출한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해당 지역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상기 추출한 각종 파리미터와 함께 이 파라미터를 추출한 시간(통화 품질 측정 시간) 등을 OTA 서버(13)로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 GPS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도/경도로 표현되는 위치좌표를 통화 품질 측정 정보에 더 포함시켜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를 OTA 서버(13)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현재 음영 지역에 위치하여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OTA 서버(13)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등에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통화 가능 지역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OTA 서버(13)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OTA 서비스 번호의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게 임시 번호를 부여한 후에 이 임시 번호를 고객 상담 센터(12)로 전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고객 상담 센터(12)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에게 부여하는 임시 번호는 OTA 서버(13)로부터 사전에 할당받은 번호이거나 이동통신 교환기(11)에서 자체 할당한 번호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1)는 OTA 서버(13)로부터 할당받은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와 이동통신 단말기(10)에게 기 부여한 임시 번호를 정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와 OTA 서버(13)간에 데이터 호가 설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교환기(11)에게 할당하는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는 고객 상담 센터(12)측으로부터의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 할당 요청에 따라 OTA 서버(13)에서 생성한 번호이다. 즉,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는 이동통신 교환기(11)로부터 수신한 임시 번호를 OTA 서버(13)로 전송하여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 할당을 요청하며, 그에 따라 OTA 서버(13)가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1)로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OTA 서버(13)에서 이동통신 교환기(11)가 생성하는 임시 번호를 사전에 공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OTA 서버(13)에서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와 임시 번호를 정합하여 이를 이동통신 교환기(11)에 통보하여 데이터 호가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는 음성 호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측 사용자로부터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받거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접수받는다. 여기서, 고객 상담 센터(12)에는 상담원이 OTA 서비스 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받아 고객을 응대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측 사용자로부터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받거나 ARS를 통하여 자동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측 사용자에게 질의를 하여 그에 따른 응답에 상응하는 요구 사항을 접수받을 수도 있다.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음성 호를 유지하면서 해당 고객과의 음성 통화를 통하여 고객의 요구 사항을 접수받는 동안에 OTA 서버(13)로 이 이동통신 단말기(10)측의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 할당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측의 상담원(또는 ARS)은 질의/응답을 통하여 고객으로부터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받으면 OTA 서버(13)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을 요청한다.
한편,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는 OTA 서버(13)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열람하는 기능, 고객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 상담 내역을 관리하는 기능,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5)와의 통화 품질 정보 공유/통보 기능 등이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OTA 서버(13)가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면 통화 품질 측정 완료 사실을 고객 상담 센터(12)로 통보하며, 그에 따라 고객 상담 센터(12)측의 상담원이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열람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측 사용자에게 해당 통화 품질 정보를 구두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하여 통보하거나 해당 통화 품질 정보를 분석하여 적절한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대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OTA 서버(13)는 고객 상담 센터(12)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을 요청받으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 여기서, OTA 서버(13)와 이동통신 단말기(10)간의 통화 품질 측정 관련 제어 요청 명령은 SMDPP(SMS Delivery Point To Point), Data Burst Message 전송 방식, TCP/IP 기반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으며, 데이터 호를 통한 TCP/IP 기반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식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OTA 서버(13)는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한 후에 통화 품질 측정 완료 사실을 고객 상담 센터(12)측 또는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5)에 통보하여 해당 관계자가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OTA 서버(13)는 통화 품질 측정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OTA 기능 및 통화 품질 측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부가적으로, OTA 서버(13)는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부터 수신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TA 서버(13)는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파라미터를 분석(예; 전파 수신 세기 미약, 채널 혼선 발생 등)하여 이 분석한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상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OTA 서버(13)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상태를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해소 방안(예; 기지국 추가 설치, 송신 주파수 세기 강화, 채널 재할당 등)을 결정하여 저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4)에는 임시 번호,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 통화 품질 측정 프로그램, 고객 상담 내역(사용자로부터 접수받은 요구 사항, 고객 정보 등)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5)는 OTA 서버(13)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열람하는 기능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담당자가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5)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이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결정한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통화 품질 불만 해소 방안 등을 참고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해소시킬 수 있는 의사 결정을 내린다.
여기서, 의사 결정이란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업무를 행하는데 필요한 업무 방침으로서, 이러한 정보를 통하여 담당자는 해당 음영 지역에 기지국을 추가 설치하거나 망 운용/관리 장비 등의 설정 등을 변경(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채널 재할당, 송신 전파 신호 세기 강화 등)하는 업무를 행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OTA 서버(13)간에 데이터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5)가 OTA 서버(13)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OTA 호 연결을 요청한다(200).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0)측의 사용자가 OTA 서비스 번호로 전화를 걸어 OTA 호 연결을 요청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교환기(11)가 임시 번호를 생성하여(20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게 부여하고(202), 이 임시 번호를 고객 상담 센터(12)측으로 전송하여(203),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고객 상담 센터(12)간의 음성 호가 설정되도록 한다(204).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고객 상담 센터(12)간에 음성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측의 사용자와 고객 상담 센터(12)측의 상담원이 통화를 하면서 고객의 각종 요구 사항(통화 품질 정보 제공 요청, 통화 품질 불만 사항 접수 등)을 접수받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고객 상담 센터(12)간에 음성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고객 상담 센터(12)측의 ARS의 질의에 대해 이동통신 단말기(10)측의 사용자가 응답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가 이동통신 교환기(11)로부터 수신한 임시 번호를 OTA 서버(13)로 전달한다(205).
그러면, 상기 OTA 서버(13)가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를 생성하여(206),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1)에게 할당한다(207).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1)가 "201" 과정에서 생성한 임시 번호와 "206" 과정에서 할당받은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를 정합하여(208),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OTA 서버(13)간의 데이터 호가 설정되도록 한다(209). 이 때,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1)는 "208" 과정에서 정합한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게 할당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이동통신 사업자가 지정한 번호(예; "010-999-9999" 등)에 가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이동통신 서비스(특히 OTA 서버(13)간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다가,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음성 호 및 데이터 호가 설정된 상태(OTA 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가 이동통신 단말기(10)측의 사용자로부터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접수받거나 또는 통화 품질 정보 제공을 요청받는다(210).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고객 상담 센터(12)의 상담원과 응대하면서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음영 지역 및 통화가 떨어지는 시간 등) 등을 알린다.
그러면, 상기 고객 상담 센터(12)가 OTA 서버(13)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을 요청한다(211). 부가적으로, 상담원이 고객 신상정보, 이동통신 단말기 임시 번호 및 고객의 요구 사항 및 그 유형 등을 파악하여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OTA 서버(13)가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212).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 품질을 측정한다(213).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 아이디(Base Station ID), 기지국과의 파일롯 의사잡음코드 기준값(Pilot PN Offset), 파일롯 채널의 신호대 간섭비(Pilot Ec/Io), 수신 전력 레벨(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송신 출력 레벨(Tx), 송신 출력 레벨 조정값(Tx Adj), 현재 사용 중인 FA 번호(Current Channel), 임시 번호(TRN),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Activation MIN) 등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일정 시간동안 다수회 추출된 인근 기지국과의 각종 호 접속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통화 품질 측정 정보로 설정한다.
그런후, 이동통신 단말기(10)가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OTA 서버(13)측으로 전송한다(214).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OTA 서버(13)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SMDPP(SMS Delivery Point To Point), Data Burst Message 전송 방식, TCP/IP 기반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으며, 데이터 호를 통한 TCP/IP 기반의 패킷 데이터 전송 방식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OTA 서버(13)가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시킨다(215). 부가적으로, OTA 서버(13)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 완료 사실을 고객 상담 센터(12)측 또는/및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5)측으로 통보할 수도 있다.
이후, 해당 관계자가 저장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열람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측 사용자에게 해당 통화 품질 정보를 구두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하여 통보하여 확인시켜 주거나 해당 통화 품질 정보를 분석하여 적절한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대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OTA 서버(13)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상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상태를 확인하며,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의 해소 방안을 출력할 수도 있다.
즉, OTA 서버(13)는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분석하여(예; 전파 수신 세기 미약, 채널 혼선 발생 등), 이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상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시킬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상태를 토대로 상기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 해소 방안을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TA 서버(13)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통화 품질 상태를 재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해소 방안(예; 기지국 추가 설치, 송신 주파수 세기 강화, 채널 재할당 등)을 결정하여 출력한다.
그에 따라,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15)를 통하여 해소 방안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해소시킬 수 있는 의사 결정을 내린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의 통화 품질을 측정하는 지역 및 시간 등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부합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OTA 서버(13)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거나 USB 저장 기기 등으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메모리 등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OTA 서버(13)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 통화 품질 측정 프로그램을 탑재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TA 서버(13)는 데이터 베이스(14)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품질 측정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 전송되도록 하거나 통화 품질 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웹(또는 왑) 페이지의 URL 주소 등을 단문 메시지에 삽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측으로 전송되도록 하여 해당 가입자가 통화 품질 측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도록 유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탑재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OTA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한 지역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통화 품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TA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 상담 센터와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품질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통화 품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가입 유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OTA 서비스를 통하여 망 운용/관리 부서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에 상응하는 통화 품질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담당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제대로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통하여 통화 품질 상태를 확인하기 때문에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고객의 불만 사항에 상응하는 음영 지역으로 직접 이동하여 별도의 장비를 통하여 통화 품질을 측정하지 않아도 되며, 객관적인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통하여 고객의 불만 사항을 정확히 인지하여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으로부터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접수받으면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품질을 측정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수신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통하여 해당 고객의 불만 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망 운용/관리 부서의 담당자가 고객의 통화 품질 불만 사항을 빠른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OTA 서비스 제공 통신망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이동통신 교환기
12 : 고객 상담 센터 13 : OTA 서버
14 : 데이터 베이스 15 : 망 운용/관리 부서 단말기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고객 상담 센터측과 이동통신 단말기측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의 OTA(Over The Air)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과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의 OTA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과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 상기 음성 호가 설정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측에 기 부여된 임시 번호(Temporary Reference Numbe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임시 번호에 상응하는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Activatio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는,
    기지국 아이디(Base Station ID), 기지국과의 파일롯 의사잡음코드 기준값(Pilot PN Offset), 파일롯 채널의 신호대 간섭비(Pilot Ec/Io), 수신 전력 레벨(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송신 출력 레벨(Tx), 송신 출력 레벨 조정값(Tx Adj), 현재 사용 중인 FA 번호(Current Channel), 임시 번호(TRN), 액티베이션 고유 번호(Activation MIN) 및 통화 품질 측정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는, 일정 시간동안 다수회 추출된 인근 기지국과의 각종 호 접속 파라미터의 평균값으로 설정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5. IP 망에 연결된 OTA 서버에,
    고객 상담 센터측과 이동통신 단말기측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의 OTA(Over The Air)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과 데이터 호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고객 상담 센터측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요청을 받으면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단계에서 설정한 데이터 호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부터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3 단계
    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37039A 2004-05-24 2004-05-24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KR20050112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039A KR20050112176A (ko) 2004-05-24 2004-05-24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039A KR20050112176A (ko) 2004-05-24 2004-05-24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176A true KR20050112176A (ko) 2005-11-30

Family

ID=3728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039A KR20050112176A (ko) 2004-05-24 2004-05-24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21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00B1 (ko) * 2012-09-21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자동 테스트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89698B1 (ko) * 2012-09-21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분석을 위한 서비스 정보 자동 추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389699B1 (ko) * 2012-09-21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안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454169B1 (ko) * 2012-09-21 2014-11-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분석을 위한 명령어 자동 추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00B1 (ko) * 2012-09-21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자동 테스트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389698B1 (ko) * 2012-09-21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분석을 위한 서비스 정보 자동 추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389699B1 (ko) * 2012-09-21 2014-04-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안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454169B1 (ko) * 2012-09-21 2014-11-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서비스 품질 분석을 위한 명령어 자동 추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238B2 (en) Providing easy access to radio networks
FI111775B (fi) Tietoliikennepalvelun tarjoaminen useita verkkoja käsittävässä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CN105359562B (zh) 控制装置、控制方法、通信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549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roximity-based service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66042B2 (en) Automatic setup system and method of ubicell base station
EP3614654B1 (en) Ims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RU2442295C2 (ru) Аппаратура и способы для сетев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беспроводных устройств открытого рынка
US20020178241A1 (en) Framework for a dynamic management system
US201002904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nection to a network
US8538427B2 (en) Method for obtain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through a telecommunications terminal
EP3657762B1 (en) Network service system and network service method
CN101185355A (zh) 用于确定无线装置的网络存取性能的设备及方法
KR100920644B1 (ko) Usim 카드 이동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업데이트를 위한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9713176B2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76518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접근 등급 제한 리스트를 이용한 패킷서비스 상태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1217570A (zh) 一种第三方定位业务实现方法及实现系统
US202103856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Registering and Deploying Base Stations/Access Points in a Private Network
KR20050112176A (ko) Ota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CN114268970A (zh) 网络能力开放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070008919A1 (en) Value added services system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101910737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통신 품질 확인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7068A (ko) 와이파이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968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정보를 이용한 고객불만 처리 방법
KR101806439B1 (ko)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86593A (ko) 무선 네트워크 전용망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