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074A -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074A
KR20050112074A KR1020057003739A KR20057003739A KR20050112074A KR 20050112074 A KR20050112074 A KR 20050112074A KR 1020057003739 A KR1020057003739 A KR 1020057003739A KR 20057003739 A KR20057003739 A KR 20057003739A KR 20050112074 A KR20050112074 A KR 20050112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elf
heating
compartme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7454B1 (ko
Inventor
프란체스코 구이다
Original Assignee
구이다 앤 씨.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이다 앤 씨.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구이다 앤 씨.에스.피.에이.
Priority to KR102005700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45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다양한 크기로 생산 가능한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고 제2 저장소(3)에 삽입되는 제1 저장소(2)와, 제1 및 제2 저장소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구획실(11)과, 제2 저장소의 기부 상에 형성되고 파열 가능한 격막(13)에 의해 제1 구획실(11)로부터 분리된 제2 구획실(12)을 포함하다. 이들 구획실(11, 12) 내에는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을 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성분이 개별적으로 그리고 각각 배열되며, 제1 성분은 구획실(11) 내에서 제1 저장소(2) 둘레에 환형으로 배열되며 격막(13)은 이들 구획실의 분리부로서 사실상 제1 저장소의 기부(4)에 대면하여 연장된다.

Description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A SINGLE-USE, SELF-HEATING OR SELF-COOLING CONTAINER, PARTICULARLY FOR BEVERAG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다양한 크기로 생산 가능한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열 또는 흡열 화학 반응의 결과로서 음료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수단이 마련된 용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에서, 이런 화학 반응의 성분들이 음료를 수용하는 제1 저장소와 제1 저장소가 삽입되는 외측의 제2 저장소 사이에 형성된 챔버의 각 구획실에 개별적으로 배열되는 음료용 용기는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액체와 과립형으로 존재하는 식염으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의 화학 반응은 예컨대 제2 저장소의 내향 가요성 기부에 합체되어 있는 파열 장치에 의해 두 개의 구획실을 분리하는 격막을 파열시킴으로써 개시된다.
반응의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식염이 배열되는 챔버의 구획실은 제1 저장소의 모든 이용 가능한 표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액체 성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구획실은 제1 저장소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제2 저장소의 기부 상에 제조된다.
이런 바람직한 성분 배열은 반응이 제1 저장소와 접촉하면서 가능한 멀리 발생해야 하고 동시에 파열된 격막을 통과하는 액체 성분의 더 많은 능력을 이용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한다.
공지된 용기의 첫 번째 한계는 용기가 전반적으로 제1 저장소에 수용되는 음료의 양에 비해 비교적 크다는 점이다.
이런 단점에 대한 이유들 중 하나는 식염 성분이 파열 가능한 격막과 제1 저장소의 기부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격막과 기부를 일정 거리만큼 계속 이격시킨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동시에, 제1 저장소의 측면 자켓 둘레에 환형으로 연장되는 대응하는 구획실의 일부는 채워지지 않는다.
이런 배열은 제1 저장소를 도입하기 전에 식염 성분이 각 구획실 내로 도입되도록 제공하는 용기 제조 과정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따라서, 식염 성분은 격막의 위에 배열되고 제1 저장소는 이미 도입된 식염 성분의 층 상에 놓일 수밖에 없다.
한편, 격막과 제1 저장소의 기부 사이의 공간은 또한 통상적으로 격막을 더 용이하게 파열시키기 위해 강성의 재질로 제조되는 파열 장치가 제1 저장소의 기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식염 성분의 구획실 내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배열은 또한 공지된 용기의 두 번째로 중요한 단점의 요인이다. 이는 이들 용기가 최대 50 ㎖의 비교적 소량의 음료를 수용하는 데에만 적절하며, 이보다 많을 경우 용기의 치수와 전체적인 중량이 실제 음료의 양에 비해 너무 커서 용기는 상업상 실현성이 없게 된다는 것이다.
사실상, 수용되는 음료의 양과 이에 따라 음료를 가열(또는 냉각)하는 데 필요한 시약의 양이 증가할수록 제1 및 제2 용기 사이의 비사용 공간도 비약적으로 증가하며, 그 결과 외부로 발산되고 용기의 성분 요소에 의해 흡수되는 열 에너지의 비율도 증가하게 된다. 음료의 실제 가열에 사용되지 않는 에너지의 큰 소비를 보상하기 위해, 음료의 실제량에 의해 결정되는 증가분보다 훨씬 많은 양의 시약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된다.
즉, 용기의 치수와 전체 중량의 증가는 가열되거나 냉각되는 음료의 양의 증가에 비례하지 않고 이보다 훨씬 크다.
이런 단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균적인 (50 ㎖보다 큰) 양의 음료를 갖는 용기의 시판에 중요한 제약이 되는 외에도 제조시 기술적 어려움과 생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
도1은 제1 작동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양한 크기로 생산 가능한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의 부분 전방 단면도이다.
도2는 제2 작동 상태에 있고 상하가 뒤집힌 상태인 도1의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a 및 도3b는 각각 도1 및 도2의 작동 위치에서 도1의 용기의 세부를 확대한 부분 개략도이다.
도4a 내지 도4e는 제1 용기 제조 방법에 따라 도1의 용기를 생산할 때 각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5a 내지 도5e는 제2 용기 제조 방법에 따라 도1의 용기를 생산할 때 각 단계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이 기초한 문제점은 상기 종래 기술을 참조해서 상술한 한계들을 극복하도록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설계된 다양한 크기로 생산 가능한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주목적은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이 시작되었을 때 현재 방법에 비해 전체 열 효율이 크게 되는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고 저렴한 용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1차적인 목적은 이런 용기를 제조하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명백하게 되는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청구범위에 따르는 다양한 크기로 생산 가능한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와, 이런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설명된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인용 부호 1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다양한 크기로 생산 가능한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일회용 용기를 지시한다. 용기(1)는 제1 및 제2 저장소(2, 3)를 포함하며, 제1 저장소는 제2 저장소 내측에 동축 삽입되고 각각의 입구에서 제2 저장소에 연결된다.
음료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사실상 원통형 형상인 제1 저장소(2)에는 사실상 편평한 기부(4)와 측면 케이싱(5)이 있다. 마찬가지로, 유사한 회전통 형상을 갖는 제2 저장소(3)에는 외향으로 볼록한 형상(도1)의 기부(6)와 제1 저장소(2)의 케이싱(5)에 사실상 평행한 측면 케이싱(7)이 있다. 용기(1)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기부(6)는 대향하는 측면에서 케이싱(7) 쪽으로 축 방향 연장되는 칼라(8, collar)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부(6)는 외향하는 접시 모양(도1)의 안착 위치에서 내향하는 접시 모양(도2)의 작동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저장소(3)는 제1 저장소(2)에 의해 입구 단부에서 폐쇄되며 제1 저장소는 따개식(pull-off) 덮개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폐쇄된다.
따라서, 챔버(10)는 제1 및 제2 저장소(2, 3) 사이에서 외측에 대해 밀봉된 방식으로 형성되어 폐쇄되며, 그 원주 모서리가 케이싱(7)의 견부(7a)에 고정된 파열식 격막(13)에 의해 제1 및 제2 구획실(11, 12)로 구획된다.
격막(13)은 챔버(10) 내에서 제1 저장소(2)의 기부(4)에 대면하여 사실상 평행하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구획실(11)은 주로 제1 저장소(2)의 케이싱(5) 둘레를 따라 사실상 환형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2 구획실(12)은 제2 저장소(3)의 기부(6) 상에 형성되고 그 상부에서 격막(13)과 접경되어 있다.
제1 및 제2 구획실(11, 12)에는 접촉되었을 때 제1 저장소(2)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해 발열 또는 흡열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성분이 각각 개별적으로 배열된다.
제1 성분은 요구되는 열적 효과에 의존해서 무수 염화 칼슘(가열) 또는 티오황산 나트륨(냉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식염을 포함하고 제2 성분은 어느 경우든 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주어진 원소들이 바람직하지만, 제1 성분은 산화 칼슘(가열) 또는 염화 칼륨, 요소 또는 질산 암모늄(냉각)과 같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그 밖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구획실(11, 12)을 연결하고 따라서 이들 내에 수용되는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기 위해, 작동시 격막(13)을 파열할 수 있는 파열 장치가 용기(1)에 마련된다.
파열 장치는 제2 구획실(12) 내에서 격막(13) 쪽으로 축 방향 연장되고 각 블레이드의 제1 단부가 제2 저장소(3)의 기부(6)에 단단히 부착된 네 개의 블레이드(14)를 포함한다. 각각의 블레이드(14)는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절곡에 의해 축 방향 변형 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블레이드(14)들은 사각형의 측면들을 따라 기부(6) 상에서 동심을 이루며 배열되며 또한 기부(6)가 외향하는 접시 모양의 안착 위치에 있을 때(도3a 및 도3b의 점선 참조) 축(X)에 사실상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기부(6)가 내측으로 향하는 접시 모양을 이룰 때, 블레이드(14)들은 (도3b에서 연속선인) 축(X)에서 발산하는 방향으로 격막(13) 쪽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두 위치에서 기부(6) 및 블레이드(14)의 기하학적 구조의 매개 변수는, 특히 제1 저장소(2)의 기부(4)에 대해 가능한 멀리 격막(13)을 유지할 필요성을 감안하여 블레이드의 치수와 상대적 배치를 최적화하고, 격막(13)을 파열하는 축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충분히 이동시키고, 기부(4)에 가능한 충돌하지 않도록 블레이드의 측방 이동 및 발산 정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상세히 연구되었다.
이런 연구에서 나온 최적의 구성에 따르면, 기부가 75 mm의 곡률(R1)과 25 mm의 반경(R2)을 갖는 상태에서 블레이드(14)는 중심(R3)에서 12 내지 13 mm 사이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된다. 격막(13)의 파열을 돕기 위해, 블레이드(14)의 자유 단부(15)는 점으로 형성되거나 그리고/또는 톱니 모양(첨부 도면에 도시 안 됨)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록 상술한 배열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지만 블레이드의 수는 상술한 내용과 다를 수 있다(예컨대, 중심으로 위치되는 하나의 블레이드). 본 실시예는 기부(6)를 과도하게 경화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격막이 완전히 파열되도록 하고 결국 반응 성분이 신속하게 혼합되어 외측으로의 열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제한된 수의 블레이드로 작동된다.
제1 저장소(2)에 수용된 음료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해서는 단지 용기(1)를 상면이 하면이 되도록 회전시키고 제2 저장소(3)의 기부(6)를 가압함으로써 블레이드(14)가 격막(13) 쪽으로 이동되어 격막을 파열하도록 변형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도2).
격막(13)과 제1 저장소(2)를 가깝게 근접시킨 결과, 각각의 블레이드(14)는 단지 격막(13)을 넘어 통과한 그 자유 단부(15)가 기부(4)와 만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는 그 가요성 때문에 용이하게 변형되고 챔버(10)의 형상을 따라 블레이드(4)의 면을 따라 활주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4)는 방해받지않고 제1 구획실(11) 내로 더욱 통과하게 된다.
격막(13)이 파열되고 용기(1)가 상하로 뒤집힌 결과, 물은 제2 구획실(12)에서 제1 구획실(11)로 통과해서 주변 영역으로 열을 전달(또는 주변 영역에서 열을 흡수)하는 제1 성분과 반응한다.
블레이드(14)의 수와 휨으로 인해 격막(13)이 광범위하게 파열되며, 따라서 제1 구획실(11) 내로 물이 신속하게 유동하는 것을 돕는다.
용기(1)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거쳐 생산된다.
도4a 내지 도4e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저장소(2, 3)가 개별적으로 마련된다. 제2 저장소는 바람직하게는 기부(6)와 일체로 제조되는 블레이드(14)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물인 제2 성분은 제2 저장소(3)로 도입되어서 이 저장소의 기부(6) 상으로 중력에 의해 유동한다. 물의 자유면 위에서 격막(13)은 견부(7a)에서 고정되어서 제2 구획실(12)을 형성하고 폐쇄한다.
격막(13)의 위로 과립형의 제1 성분을 도입한 후, 제2 저장소(3)는 제2 저장소의 주축(X)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원심력이 생성되기 때문에 환형 형상을 가정할 때 제1 성분은 케이싱(7)의 벽에 대해 가압된다.
케이싱(7)의 벽에 식염 성분을 정확히 배열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저장소가 그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단계 동안 저장소(3) 내로 디플렉터 장치(20, deflector device)가 삽입되어 제공된다. 디플렉터는 처음에 격막(13)에서 최소 거리만큼 이격되게 회전 축에서 하향 삽입되고(도4b), 그 후, 케이싱으로부터 사실상 제1 구획실(11)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케이싱(7) 쪽으로 방사상 이동된다(도4c).
이로써 식염은 벽(7)에 대해 균일하게 분포되며, 1과 2 mm 사이의 과립 크기를 갖는 식염 성분에 대해 일반적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대략 500 rpm의 비교적 낮은 회전 속도로 작동할 때에도 기부와 상부 사이에서 사실상 균일한 두께를 유지한다. 낮은 회전 속도는 유리하게는 과립형 물질이 제2 저장소(3)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단계가 완료된 후, 디플렉터 장치(20)는 여전히 적절히 회전하는 제2 저장소(3)로부터 후퇴되고 이와 동시에 제1 저장소(2)가 축 방향으로 삽입된다(도4d). 제1 성분이 케이싱(7)에 대해 압박됨으로써, 제1 저장소는 격막(13)에 대한 최종 연결 위치가 도달될 때까지 어느 것과도 충돌되지 않고 제1 구획실(11)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제1 및 제2 저장소(2, 3)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각 입구에서 서로 부착된다.
도5a 내지 도5e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용기 제조 방법의 제1 변형예에 따르면, 제1 성분이 격막(13) 위의 제2 저장소(3) 내로 도입된 후 제1 저장소(2)가 제1 구획실(11)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제1 및 제2 저장소(2, 3)의 입구 사이에는 여전히 두 개의 저장소(2, 3)(도5b)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에서 외측에 대해 챔버(10)를 폐쇄하기 위해 밀봉부(30)가 환형으로 배열된다.
그 후, 용기(1)는 수평 축을 중심으로 180°로 회전됨으로서, 저장소(2, 3)의 입구는 아래로 향하게 된다.
중력의 효과에 의해서, 과립형 물질의 제1 성분은 저장소(2, 3)의 케이싱(5, 7) 사이로 하향 이동되어서 제1 저장소(2) 둘레의 환형 위치에 배열되고 제1 저장소의 기부(4)와 격막(13) 사이에 비어 있는 공간을 남긴다(도5c). 과립형 물질은 밀봉부(30)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연속되는 케이싱(7)의 벽 내에서 용기(1)에 대해 적절히 위치되고 제1 저장소(2)의 입구의 모서리에 접한다.
이때, 제1 저장소(2)는 제1 구획실(11) 내로 삽입되고, 그 후 용기(1)는 두 개의 저장소(2, 3) 사이의 후속 용접 단계를 준비하기 위한 시작 위치로 복귀하도록 다시 180 °로 회전된다.
상기 방법은 용기(1)의 축(X)에 평행하게 작동하는 램(53)에 의해 적소로 이동되는 제2 저장소(3)를 파지하고 해제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교호하며 가까워지고 멀어지게 축(Y)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반원 형상의 한 쌍의 조(51, 52)를 포함하는 기계(50)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식염 성분이 미리 도입된 제2 저장소(3)는 이들 조(51, 52)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그 입구는 이들 조의 상부 모서리(51a, 52a)와 사실상 같은 높이로 된다. 밀봉부(30)의 두 개의 반부 링(30a, 30b)도 모서리(51a, 52a) 상에 미리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30)의 두 개의 반부 링 각각은 그 사이에 연질의 탄성 중합체 재질이 위치된 밀봉부(30)의 대향하는 양면 상에 배열되는 한 쌍의 박형 강재 스트립을 포함한다.
그 후, 제1 저장소(2)는 진공 장치(54)에 의해 구획실(11)의 위에서 그 내부로 삽입되고 축(Y)을 따라 활주하는 지지체(56) 상에 끼워진 한 쌍의 플런저(55)에 의해 제2 저장소(3)의 내측에 적소에 유지된다.
그 후, 기계(50)는 Y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되며, 식염 성분이 중력에 의해 구획실(11)의 환형부 내로 이동될 때 제1 저장소(2)는 한 쌍의 플런저(55)에 의해 구획실 내로 삽입된다.
밀봉부(30)의 변형능으로 인해 밀봉부는 표면 금속 스트립의 두께보다 조금 큰 두께까지 플런저(55)에 의해 적절히 가압될 수 있다. 그 후, 기계(50)는 용기(1)가 램(53) 상에서 지탱되고 조(51, 52)가 한 쌍의 플런저(55)로부터 밀봉부(30)를 회수하도록 조금 개방되는 시작 위치로 재이동됨으로써, 이들이 제1 저장소(2)의 삽입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한다. 플런저(55)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작용에 의한 반부 링(30a, 30b)의 용이한 회수는 금속 스트립 때문에 밀봉부(30)의 대향하는 양 표면 상에 존재하는 낮은 마찰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조(51, 52)가 개방되고 용기를 공정의 후속 단계로 전송하는 램(53) 상으로 용기(1)가 투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고 상술한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용기는 다양한 용량의 다양한 모델로 생산된다.
예시와 비교를 위해, 하기의 표는 종래 기술에 따라 생산된 동일 용량의 유사한 용기와(표에서 각각 B40 및 B100으로 확인됨) 비교해서 각각 40 mm 및 100 ml를 수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표에서 각각 A40 및 A100으로 확인됨)의 (순 음료) 중량 및 전체 체적의 값을 보여준다.
A40 A100 B40 B100
중량(g) 75 200 100 320
체적(ml) 150 310 230 670
상기 표에 나타난 값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의 구성 요소의 배열은 용기의 중량 및 전체 치수를 제한적으로 증가시키고도 대용량 모델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공지된 구조적 구성에 의하면, 음료 용량이 증가한 결과로서 얻어지는 중량 및 체적의 증가는 본 발명의 구조적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중량 및 체적의 증가보다 각각 약 20% 및 40%가 크다. 소량의 음료로도 본 발명의 용기가 더 가볍고 콤팩트하다는 사실과 함께 이러한 특징은 용기가 공지된 용기에 비해 훨씬 가볍고 작은 체적을 가지면서도 더 큰 용량을 갖도록 생산될 수 있게 한다. 상기의 표는 100 ml의 용량을 가질 때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의 중량이 공지된 용기보다 약 40 % 가볍고 체적은 약 55 % 작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한 목표를 달성함과 동시에, 제2 저장소를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가소성 재료의 양을 사실상 줄임으로써 생산비를 절감(출원자의 계산에 의할 때 40 ml 용기에 대하여는 약 30 %의 100 ml 용기에 대하여는 약 70 %의 가소성 재료 절감)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 요소의 배열로 인해, 용기의 열량이 감소됨으로써 음료를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반응에 의해 전개되는 열의 비율이 커지기 때문에 반응의 전체적 열 효율은 개선된다.

Claims (21)

  1. 음료를 수용하고 제2 저장소(3)에 삽입되는 제1 저장소(2)와, 제1 및 제2 저장소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구획실(11)과, 제2 저장소(3)의 기부 상에 형성되고 파열 가능한 격막(13)에 의해 제1 구획실(11)로부터 분리되는 제2 구획실(12)을 포함하며,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을 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성분이 상기 구획실 내에 개별적으로 그리고 각각 배열되는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상기 제1 구획실(11) 내에서 상기 제1 저장소(2) 둘레에 환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격막(13)은 상기 구획실들을 분리하기 위해 사실상 상기 제1 저장소(2)의 기부(4)에 대면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소(2)의 기부는 평면 형상이고 상기 격막(13)에 사실상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소는 각각의 측면 케이싱(5, 7)이 서로에 대해 사시상 평행한 상태인 사실상 원통 형상인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실(12) 내에는 작동시 상기 파열 가능한 격막(13)을 파열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는 파열 장치(14)가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파열 장치는 상기 저장소(2, 3)들 중 하나와 만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 가능한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장치는 상기 제2 저장소(3)의 내향 가요성 기부(6)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구획실(12)에서 상기 제1 저장소(2) 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를 포함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는 휨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 장치는 상기 내향 가요성 기부(6)로부터 상기 격막(13) 쪽으로 동심되게 직립하는 네 개의 블레이드(14)를 포함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6)가 외향하는 접시 모향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블레이드(14)는 상기 저장소의 축(X)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내향 가요성 기부(6)는 약 25 mm의 반경과 약 75 mm의 곡률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14)는 상기 기부의 중심에서 12 내지 13 mm 사이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상기 기부 상에 위치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13)에 인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의 자유 단부는 점 형상인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4)는 그 자유 단부에 톱니형 모서리를 포함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과립형 고체이고 상기 제2 성분은 액체인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무수 염화 칼슘, 염화 칼슘, 요소 및 티오황산 나트륨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2 성분은 물인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14. 제1 저장소가 제2 저장소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저장소(2, 3)를 배열함으로써 상기 저장소 사이에 폐쇄된 챔버(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저장소의 기부(4)와 제2 저장소의 기부(6) 사이에 상기 챔버(10)를 제1 및 제2 저장소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구획실(11)과 제2 저장소(3)의 기부 상에 형성되는 제2 구획실(12)로 분리하는 파열 가능한 격막(13)을 배열하는 단계와,
    서로 접촉되게 위치될 때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을 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성분을 상기 구획실(11, 12) 내에 개별적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히 음료용의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상기 제1 구획실(11) 내에서 상기 제1 저장소(2) 둘레에 환형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격막(13)은 상기 제1 저장소의 기부(4)에 대면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저장소의 주축(X)을 중심으로 제2 저장소(3)가 신속하게 회전한 결과 상기 환형 위치에 배열됨으로써 제1 성분이 제2 저장소의 측면 케이싱(7)에 대해 상기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효과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제1 저장소(2)는 상기 회전 동안에 제2 저장소(3)에 대한 연결 위치로 삽입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회전 단계 동안에, 제2 저장소(3)의 측면 케이싱(7)에 대한 상기 제1 성분의 배치를 돕기 위해 디플렉터 장치(20)가 상기 제2 저장소(3) 내로 삽입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 장치(20)는 상기 제2 저장소(3) 내로 축 방향으로 삽입되고, 그 후, 상기 제1 저장소(2) 둘레의 상기 환형 위치에 상기 제1 성분을 배열하기 위해 요구되는 두께와 동일한 거리까지 상기 케이싱(7) 쪽으로 방사상 이동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제조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1 mm와 2 mm 사이의 과립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 저장소는 약 500 rpm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제조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입구가 상향한 상태로 제2 저장소(3)를 배치하고 제1 구획실(11) 내에 제1 성분을 배열하는 단계와,
    제2 저장소(3) 내로 제1 저장소(2)를 부분적으로 삽입하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챔버(10)를 외측에 대해 폐쇄하도록 상기 저장소들 사이에 밀봉부(30)를 배열하는 단계와,
    제1 성분이 상기 환형 위치에서 제1 저장소(2)의 케이싱(5) 둘레에 중력에 의해 하향 유동하도록 각각의 입구가 하향하는 상태로 상기 저장소(2, 3)들을 동시에 뒤집어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소들이 선행 단계에서 한정되는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제2 저장소(3) 내로 상기 제1 저장소(2)를 삽입하는 단계들의 결과로서,
    상기 환형 위치에 배열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30)는 밀봉부가 제1 저장소(2)의 입구의 모서리에 접하고 제2 저장소의 연속되는 케이싱(7) 내에서 제2 저장소(3)에 인접되도록 상기 저장소들에 대해 위치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30)는 탄성재로 제조되고 제2 저장소 내로 제1 저장소를 삽입하는 상기 단계에 있는 동안 가압되는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제조 방법.
KR1020057003739A 2005-03-04 2002-09-05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3739A KR100877454B1 (ko) 2005-03-04 2002-09-05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3739A KR100877454B1 (ko) 2005-03-04 2002-09-05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074A true KR20050112074A (ko) 2005-11-29
KR100877454B1 KR100877454B1 (ko) 2009-01-07

Family

ID=3728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739A KR100877454B1 (ko) 2005-03-04 2002-09-05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5841B2 (en) 2009-04-07 2015-06-16 Heatgenie, Inc. Package heating apparatus
US8864924B2 (en) 2009-04-07 2014-10-21 Heatgenie, Inc. Solid-state thermite composition based heating device
WO2012006374A2 (en) 2010-07-06 2012-01-12 Heatgenie, Inc. Package heating device and chemical compositions for use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11133B (it) * 1979-03-02 1986-01-13 Grosso Vincenzo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il confezionamento di contenitori autoscaldanti per cibi precotti
IT1189434B (it) * 1982-12-07 1988-02-04 Grog Srl Dispositivo a perdere per autoriscaldamento od autoraffreddamento di bevande ed alimenti mediante una reazione esotermica o endotermica
IT1218770B (it) * 1986-07-16 1990-04-19 Blusei Spa Contenitore autoriscaldante per liquidi e/o solidi mediante energia chimica
US5628304A (en) * 1995-06-22 1997-05-13 G & S Regal Trading Corporation Self-heat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454B1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4607B1 (en) A single-use, self-heating or self-cooling container, particularly for beverag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75876B2 (en)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US8556108B2 (en)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CA2700303C (en) Self-heating apparatuses using solid chemical reactants
EP1956950B1 (en) Improved self-heating container
EP2091845B1 (en) Cup for preparation of a liquid product
US20170253356A1 (en) Self-he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rapidly heating a comestible substance
EP1481921A1 (en) Autothermic packaging
KR100877454B1 (ko) 자기 가열식 또는 자기 냉각식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10308416B2 (en) Apparatus for thermal conditioning a product
CN101804887B (zh) 一种可制冷或制热的能量套筒及具有该能量套筒的食品罐
RU2291825C2 (ru) Одноразовый самонагревающий или самоохлаждающий контейнер,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напитков,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5206463U (zh) 一种多段调温的饮品容器
CN105668014A (zh) 食品包装自加热或制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