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830A -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830A
KR20050111830A KR1020040036724A KR20040036724A KR20050111830A KR 20050111830 A KR20050111830 A KR 20050111830A KR 1020040036724 A KR1020040036724 A KR 1020040036724A KR 20040036724 A KR20040036724 A KR 20040036724A KR 20050111830 A KR20050111830 A KR 20050111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unique code
digital broadcast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805B1 (ko
Inventor
전종한
Original Assignee
전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한 filed Critical 전종한
Priority to KR102004003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8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4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receiving rew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방송 중인 디지털 컨텐츠의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분류하여 해당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방송을 시청하는 유저의 마음에 상호 연상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고 데이터를 매치하고,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과 동시에 화면에 출력시킴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각 장면들을 미리 분류한 다음에 각 분류된 장면마다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각 장면에 직접 관련된 것으로 선택된 광고에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실제 방송될 때 고유코드가 부여된 해당장면을 유저의 단말기로 송출하고, 이때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가 부여된 광고정보를 유저의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과 광고정보가 동시에 유저의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A ADVERTISING METHOD WITH ASSOCIATION TECHNIQUE IN DIGITAL BROADCASTING}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광고방법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방송 중인 디지털 컨텐츠의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분류하여 해당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광고 데이터로서, 방송을 시청하는 유저의 마음에 상호 연상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고 데이터를 매치하고,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과 동시에 화면에 출력시킴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하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를 이용한 광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송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라 방송산업은 보다 중요한 정보화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TV의 보급은 멀티미디어 시대의 유저들에게 정보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천으로 활용가능함에 따라 게임을 비롯한 애니메이션, 전자출판, 인터넷 및 영상 컨텐츠 등 디지털화된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향후 21세기의 고부가가치 산업의 핵심을 이루게 될 전망이며, 결국 방송 컨텐츠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핵심요소로서 자리매김 될 것이다.
IT 정보단의 주간기술동향 통권 1092호(2003. 4. 23.)에 의하면,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에 따라 2007년에 이르러 전 세계 디지털 TV 방송 수신가구가 3억 2천만 규모에 달하며, 디지털 TV 수상기 및 셋톱박스 세계시장이 509억 달러와 158억 달러의 시장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위성ㆍ유선방송 가입자 확대, 부가서비스 개발 등으로 방송 서비스 시장은 2006년에 이르러 7조 6천억원으로 증가될 전망이며 디지털 TV는 2007년경 약 375만대가 보급될 전망이라고 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의 매체는, 디지털 지상파 TV 방송, 디지털 유선 방송, 디지털 위성 방송, 지상파 디지털 오디오 방송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오늘날 인터넷 방송, VOD(Video On Demand), 데이터 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방송과 통신이 하나로 융합되어 서비스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방송망을 통신 및 통신과 유사한 서비스에 이용하는 사례로 케이블 TV망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있으며,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 사례로는 인터넷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TV로 시청하는 IP-TV,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모바일 방송 서비스 등이 있다.
광고주는 광고의 효과를 증대시키기를 원하고 광고의 효과는 광고 대상자들과 폭 넓고 밀접하게,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중매체를 통하여서만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난다고 할 때, 위와 같은 디지털 방송의 제반 산업환경과 접목된 광고방법은 매우 유효하다.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광고방법이나 또는 인터넷 방송을 이용한 광고방법으로서, 메인 방송의 전후에 시청되는 독립적인 광고방송이나 메인 방송의 중간에 삽입되는 삽입방송으로서의 광고방법이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시청자가 선택, 시청한 방송의 유형을 분류,통계화하여 시청자의 기호를 분석한 다음에 그 기호에 따라 광고방송 등을 제공하는 광고방법이나, 또는 디지털 TV나 인터넷 방송 등에서 더욱 가능해진 다양한 화면의 배신(Distribution)을 이용한 광고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방송 컨텐츠의 구체적인 영상장면이나 음성과 직접적으로 매치되고 연상되는 기법의 광고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예컨대 방송 중에 음식물에 대한 대사나 대화장면이 방송되고 있다면 그 때 그 음식물과 직접 관련되거나 연상되는 상품을 동시에 광고하는 기법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가는 상기와 같은 광고기법을 "연상기법"이라고 명명하면서, 디지털 방송에서의 새로운 광고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획기적인 광고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와 매치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예컨대 TV 드라마, 쇼 프로그램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면을 분류하여 각 장면을 통해 연상할 수 있는 상품을 설정하고, 방송 중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를 화면에 출력하는 방식의 광고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의 유형과 매체수단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종다양한 디지털 방송의 유형, 매체수단에 유효하게 실시될 수 있는 연상기법에 의한 광고방법을 제공함에 있으며, 또한 유저의 단말기의 종류에도 제한되지 않고 동일하게 활용가능한 광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방송 중인 특정 장면의 영상이나 음성으로부터 연상되는 광고정보를 노출시키고자 함에 있어서, 유저의 편의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유저의 선택(광고주 홈페이지 접속, 광고방송 시청 등)에 의하여 상세내역의 광고정보가 유저 단말기로 출력되는 경우에 소정의 보상을 행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내용 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이며, 본 발명의 특유한 효과에 대응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광고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분류하는 데이터분류단계;
상기 분류된 영상ㆍ음성 데이터마다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고유코드부여단계;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디지털 방송으로 송출할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데이터저장단계;
상기 영상ㆍ음성 데이터의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여하는 대응코드부여단계;
상기 고유코드가 부여된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프로세스에 따라 유저의 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방송단계;
상기 영상ㆍ음성 데이터가 프로그램된 방송이 디지털 방송될 때 상기 고유코드를 검색하는 고유코드검색단계;
검색된 상기 고유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의 대응코드를 검색하는 대응코드검색단계; 및
상기 검색된 대응코드의 광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유저의 단말기로 노출시키는 광고정보송출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은, 지상파 방송망과 위성 방송망을 포괄하는 방송망, 유선통신망, 인터넷, 이동통신망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분류단계 및 상기 고유코드부여단계는, 해당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제작 당시에 수행하는 것이거나, 이미 방송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방송으로 다시 재방송할 때 수행하는 것 중 어느 한쪽이어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응코드부여단계는, 저장된 광고 데이터가, 상기 고유코드가 부여된 영상ㆍ음성 데이터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시청하는 유저에게 연상되는 광고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되도록 미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저의 단말기는, TV 모니터, PC 모니터, 휴대폰, PDA, 차량용 단말기, 정보가전의 모니터 중 어느 것이든 또는 하나 이상이어도 좋다.
한편, 상기 광고정보송출단계는, 유저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화면의 상하좌우 중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된 광고영역에, 검색된 광고 데이터의 광고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고유코드가 부여된 영상ㆍ음성 데이터의 출력 디스플레이와 대응코드가 부여된 광고 데이터의 출력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정보의 표시는, 동영상, 문자 메시지, 광고주의 상호나 상표, 정지장면, 광고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본 발명에, 유저가 상기 광고정보송출단계에서 표시되는 광고정보의 상세내역을 알기 원하는 경우로서, 유저의 리모콘,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상세 광고정보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광고주의 홈페이지나 광고서버에 저장된 광고방송을 출력하여 상세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상세광고정보선택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은, 유저의 인터페이스 수단에 의하여 상세 광고정보가 선택되어 광고주의 홈페이지가 출력되거나 광고방송이 시청될 때 각각 홈페이지 접속 이벤트, 광고방송 시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이벤트발생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를 광고서버의 이벤트기록부에 기록, 저장하는 이벤트기록단계; 및
상기 기록, 저장된 이벤트에 따라 유저에 포인트를 제공하고, 유저의 방송 시청환경에 따라 축적된 포인트를 통하여 경품의 제공, 요금의 경감, 사이버 머니의 제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행하는 유저보상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 예컨대, 디지털 TV의 상세한 동작원리나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프로세서 등 이미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컨텐츠가 유저의 단말기로 방송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이 시스템은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여기에 광범위한 인터넷 네트워크가 연동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서 인터넷에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소리,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 영상압축기술을 응용해 영화 등 각종 비디오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일반 통신망 및 전용망을 통해 가입자가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주문 즉시 제공해 주는 VOD(Video On Demand), 텍스트, 정지화, 그래픽, 문서, 소프트웨어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방송매체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전용 셋톱박스 혹은 해당 처리기능을 보유한 PC를 통하여 시청자가 그 정보를 이용하게 하는 서비스로서, 상향채널(리턴패스)을 이용하여 T-Commerce, 실시간 여론조사, 대화형 교육, T-Banking 등이 가능한 데이터 방송, 기본적으로 CD 수준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이지만, 비디오 방송, 교통정보, 날씨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이동 중에도 시청할 수 있도록 방송, 통신이 융합되어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등이 있다.
이 밖에도, 방송망을 통신 및 통신과 유사한 서비스에 이용하는 사례로 케이블 TV망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있으며, 통신망을 통한 서비스 사례로는 인터넷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받아 TV로 시청하는 IP-TV,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휴대폰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모바일 방송 서비스 등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의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방송 프로세스가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화상,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하는 압축기술의 표준화와 패킷으로 다중화하는 다중화기술, 오류정정 기술과 변조과정을 거쳐 전송하는 전송기술 등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영상, 음성, 데이터는 MPEG-2 등의 부화화를 거쳐 패킷으로 다중화되고, 리드-솔로몬 등의 오류정정을 거쳐 변조과정을 통하여 송신된다. 변조방식에 있어 위성에서는 위성의 전력제한과 증폭기(TWT:진행파관)의 비선형성 때문에 QPSK/TC8PSK 방식, 지상방송에서는 고스트(Ghost)가 적고 이동수신시 패스(Path)에 강한 OFDM(유럽방식)/8-VSB(미국방식)가, CATV에서는 회선품질의 우수성에서 다중치 QAM(64QAM)/16-VSB 방식이 제안되어 각각의 특성에 맞게 변조하여 송출하게 된다. 한편, 수신측에서는 송신측과 반대의 프로세서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고방법이 실시되는 방송 시스템의 하나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방송망, 통신망, 인터넷망, 또는 방송ㆍ 통신 통합망을 통하여 유저의 단말기(50)로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송신측에는 방송서버(10)가 구비되고, 이 방송서버(10)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컨텐츠, 영상ㆍ음성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곳으로서 예컨대 RAID(하드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진 저장부(11),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저장 데이터 관리부(12), 영상ㆍ음성 데이터의 고유코드 기록부(13) 및 고유코드 부여 소프트웨어(14), 시스템의 상태관리, 고정 진단 관리, 트래픽 관리, 유지보수 DB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관리부(15), 요금정책이나 메뉴를 관리하고, 가입자별 통계나 프로그램별 통계를 분석하는 가입자 관리부(16)가 포함되며, 그 밖에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라우터 등이 구성된다.
그리고 이 방송서버(10)에는 광고서버(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광고서버(20)는 광고 컨텐츠(22)와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 기록부(23), 대응코드 부여 소프트 웨어(24)를 저장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21), 광고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광고 DB 관리부(25), 광고주의 광고방송이나 홈페이지의 URL 등이 저장되어 있는 상세 광고정보 저장부(26), 유저가 광고주의 광고방송을 시청하거나 광고주 홈페이지의 URL에 접속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이를 기록하는 이벤트 기록부(2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서버(10)는 본 발명에 의하여 실시된 광고에 대한 과금의 처리나 관리를 기록하는 과금서버(30)가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광고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의 일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략적인 시스템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구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과 방식으로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방법의 일 실시예를 플로우차트로 도시하였다.
먼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분류한다(S101). 예컨대 밥을 먹는 장면, 차를 마시는 장면, 운전을 하는 장면, 화장을 하는 장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준이라 함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면을 기준으로 정하거나 또는 인기배우나 출연자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도록 저장된 소프트웨어나 분류테이블을 말한다.
그리고 이렇게 분류된 장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 마다 각각의 고유코드를 부여한다(S102). 단계(S102)는 예컨대 방송 서버내 고유코드 기록부에서 고유코드 부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에 고유코드를 부여할 수 있거나, 또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시에 부여한 후에 상기 방송서버의 고유코드 기록부와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실행될 수 있다.
단계(S101)과 단계(S102)의 구체적인 방법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할 당시에 수행하는 것인지, 아니면 기 방송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방송으로 다시 재방송할 때 수행하는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으나,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분류하고, 각각에 고유코드를 부여함에는 차이가 없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101) 및 상기 단계(S102)와 정확하게 시계열적인 관계를 갖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단계(S101)(S102)보다 선행되거나 그 사이에서 충분히 실행될 수 있는 단계임을 첨언하면서, 그 다음으로 상기 광고 서버의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디지털 방송으로 송출할 다양한 광고 컨텐츠, 즉 광고 데이터를 저장한다(S103).
상기 광고 데이터들은, 광고 문자, 광고주의 상표나 상호, 특별하게 디자인된 아이콘, 유명배우나 가수와 같은 해당 광고상품의 전속모델, 광고상품에 관한 정지화면이나 동영상 또는 광고음 등으로 제작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에 부여된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를 부여한다(S104).
본 발명의 상기 단계들의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영상,음성 데이터 분류 고유코드 광고상품 대응코드 광고내용
밥을 먹는 장면 A001 햇반 B001B1 햅쌀로 만든 햇반, 엄마가 해준 그 맛
차를 마시는 장면 A002 맥심 B002B1 가슴이 따뜻한 사람과 만나고 싶다!
술을 마시는 장면 A003 진로소주 B003B1 진로가 있어 즐겁다
잠을 자는 장면 A004 에이스 침대 B004B1 침대는 과학입니다. 에이스침대
계산을 하는 장면 A005 삼성카드 B005B1 지갑속에 딱 한장~ 삼성카드
물을 마시는 장면 A006 청호나이스 B006B1 깨끗한 물~ 청호나이스
운전을 하는 장면 A007 삼성화재 B007B1 찾아가는 서비스 삼성화재
휴대폰 통화 장면 A008 011(SKT) B008B1 스피드 011
키스를 하는 장면 A009 가그린 B009B1 키스하기 전에, 가그린~
컴퓨터 사용 장면 A010 한국통신 B010B1 메가패스
교통사고 나는 장면 A011 현대해상화재 B011B1 자동차 보험의 신바람
비행기를 타는 장면 A012 대한항공 B012B1 대한한공
영화상영장면 A013 B013B1 인터파크에서 예매하세요
화장하는 장면 A014 엘지생활건강 B014B1 하얀 자신감 클라렌
즉,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분류된 장면이 밥을 먹는 장면이거나, 또는 밥을 먹는 장면에서 나오는 배우나 프로그램 진행자가 식사에 관한 대화를 하는 경우를 생각하자. 그 때 상기 방송 서버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에 고유코드 "A001"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광고 서버에는 "밥"에서 연상되는 다양한 상품 중에서 "햇반"에 대한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고, "햇반"이라는 상품광고에 "B001B1"라는 대응코드를 부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응코드의 부여는,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광고 데이터가 상기 고유코드가 부여된 방송 프로그램의 해당 장면, 해당 영상ㆍ음성 데이터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방송되는 상기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시청하는 유저에게 상호 관련성으로 인하여 그 상품이나 상품광고의 이미지가 연상되도록 미리 결정된다.
다음으로, 고유코드가 부여된 영상ㆍ음성 데이터가 들어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프로세스에 따라 유저의 단말기로 방송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디지털 방송 프로세스는 인터넷 방송, VOD(Video On Demand), 데이터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IP-TV, 모바일 방송 서비스 등 다양한 방송 유형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디지털 컨텐츠가 유저의 단말기로 방송되는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방송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된다(S105).
디지털 방송이 개시되면, 디지털 컨텐츠에 구성되어 있는 영상ㆍ음성 데이터의 고유코드를 검색한다(S106). 그리고 방송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고유코드가 하나도 부여되어 있지 않다면 실행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S106)에서 고유코드가 검색되면, 검색된 상기 고유코드를 인식하고 이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의 대응코드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107). 검색된 영상ㆍ음성 데이터의 고유코드를 이용하여 광고 데이터의 대응코드를 검색하는 데 있어서, 그 대응관계는 소정의 비교부에 의하여 실행되며,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 데이터의 대응코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광고방법의 프로세스는 종료되게 되지만, 개개의 고유코드에 대한 개개의 대응코드 존재여부인 경우에, 고유코드가 N개라면, 이에 대응하는 대응코드의 검색단계는 N회 반복될 것이다.
위 표 1을 가지고 설명하자면, "밥 먹는 장면"이 방송될 때, 해당 영상ㆍ음성 데이터에 부여된(S102) 고유코드 "A001"이 검색되면(S106),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광고 데이터 중에서 "밥"에서 연상되는 상품인 "햇반"의 대응코드 "BOO1B1"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S107).
"밥 먹는 장면"이나 "밥"이나 "식사"에서 연상되는 상품이나 상품광고는 다양하게 존재하고, 또한 복수로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연상 광고 데이터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검색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B001"은 이에 대응되는 고유코드 "A1001"과 매치되는 것이고, 뒤 부분 "B1"은 선택적으로 검색되는 광고 데이터의 순서를 부호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광고주에게는 여러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동일 장면(상황)에 대해 독점 광고권을 주어 광고효과를 보다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색된 대응코드가 부여된 광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다양한 유저의 단말기로 노출시켜 본 발명의 광고를 실현한다(S108). 이때의 유저의 단말기는, TV 모니터, PC 모니터, 휴대폰, PDA, 차량용 단말기, 정보가전의 모니터 중 어느 것이어도 동일한 광고방법이 실현되며, 방송 시청자는 단수가 아니라 무수히 많은 복수이므로 유저의 단말기는 다종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의 조합으로 상정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각 단계들이 수행되어 유저의 단말기로 소정의 광고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이후, 유저가 상기 광고정보에 능동적인 행위를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이 디지털 방송되고 영상ㆍ음성 데이터의 고유코드 및 광고 데이터의 대응코드가 검색되면(S201), 상기 대응코드에 해당하는 소정의 광고정보가 유저의 단말기로 출력되게 된다(S202).
유저가 단말기에 출력된 광고정보를 시청할 때, 본 발명의 광고방법이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해당 영상ㆍ음성 데이터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상"되는 상품에 대한 광고정보를 출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저는 해당 광고정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마련이다.
따라서, 방송 서버는 유저 단말기로부터 해당 광고정보에 대한 상세 광고정보 요청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3).
그리고 상기 상세 광고정보 요청신호가 유저의 리모콘,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버튼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면, 광고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세 광고정보를 출력하여 유저는 광고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주의 광고방송을 선택하여 이를 시청하거나, 광고주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S204).
이때 광고 서버는 광고방송 시청 이벤트, 홈페이지 접속 이벤트를 발생시키고(S205), 이 이벤트를 상기 광고서버의 이벤트 기록부(27)에 기록, 저장한다(S206).
상기 기록, 저장된 이벤트에 따라 유저에 포인트를 제공하고, 유저의 방송 시청환경에 따라 축적된 포인트를 통하여 소정의 경품을 제공하거나, 디지털 방송 가입자 요금을 경감시켜주거나 또는 사이버 머니를 제공함으로써 유저에게 보상을 행한다(S207).
이러한 보상단계를 통하여, 유저는 통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다양한 장면에서 직접적으로 연상되는 상품의 광고를 동시에 시청하게 되므로 방송시청의 흥미가 높아질 것이며, 이때 연상된 상품의 광고에 대한 상세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상에 대한 광고대행주(방송사업자 등)의 이익은 이와 관련된 과금을 광고주에게 행함으로써 얻어질 것이다.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가 구체적으로 유저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광고방법에 따라 유저 단말기로 광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인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화면의 상하좌우 중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된 광고영역에 검색된 광고 데이터의 광고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도 6(a)는 영상ㆍ음성 데이터가 현재 방송되는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창(51)의 하측에 설정된 광고영역(52)에 문자 메시지, 광고주의 상호나 상표 등을 표시하고 있으며, 도 6(b)는 상기 디스플레이창(51)의 상측에 설정된 광고영역(53)에 광고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6(c)는 상기 디스플레이창(51)의 한 측면의 광고영역(54)에 광고정보가 동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그 밖의 여러가지 정지화면, 유명가수나 배우와 같은 상품의 전속모델의 사진이나 영상,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간단한 광고음을 출력함으로써 해당 광고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광고상품과 관하여 특별하게 디자인된 아이콘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51)의 광고영역에 표시한 다음에, 이 아이콘이 유저에 의하여 선택되면 보다 상세한 광고정보가 송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광고방법인 본 발명을 다시 한 번 정리하자면,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각 장면들을 미리 분류한 다음에 각 분류된 장면마다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각 장면에 직접 관련된 것으로 선택된 광고에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실제 방송될 때 고유코드가 부여된 해당장면을 유저의 단말기로 송출하고, 이때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가 부여된 광고정보를 유저의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과 광고정보가 동시에 유저의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유저의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에는 메인 방송의 화면과 이 메인 방송의 화면에 부대하여 동시에 출력되고 있는 광고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메인 방송의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이에 대응하는 광고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대응코드가 부여된 광고정보는 유저의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V 드라마, 쇼 프로그램에 자주 등장하는 장면을 분류하여 각 장면을 통해 시청자가 자연스럽게 연상할 수 있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해당 프로그램과 함께 동시에 시청자의 단말기로 출력하는 광고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와 매치되어 연상되는 광고를 통하여, 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의욕이나 호감이 가장 높을 때 광고를 행함으로써 광고효과의 증대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고효과는 일정한 학습효과를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예컨대, 방송을 통한 광고 학습을 통해서 자주 방송되는 특정한 장면과 유사한 환경에서는 자연스럽게 방송 중 광고되었던 상품을 연상하도록 하게 한다.
또한, 방송 사업가의 입장에서도 각 프로그램을 방송할 때, 위와 같이 구성의 광고방법으로서, 실시간으로 광고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주를 많이 확보할 수 있게되고, 따라서 디지털 방송 운영에 재정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하여 시청자가 방송과 함께 송출되는 광고에 대하여 광고방송을 시청하거나 광고주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등 상세한 광고정보를 얻고자 하는 행위를 하였을 때에는 소정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에게도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특유한 구성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특유한 효과는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한 범위에서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컨텐츠가 유저의 단말기로 방송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의 송수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이루어지는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광고 데이터가 유저의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송서버
11 : 저장부
12 : 저장 데이터 관리부
13 : 고유코드 기록부
14 : 고유코드 부여 소프트웨어
15 : 시스템 관리부
16 : 가입자 관리부
20 : 광고서버
21 : 광고 DB
22 : 광고 컨텐츠
23 : 대응코드 기록부
24 : 대응코드 부여 소프트웨어
25 : 광고 DB 관리부
26 : 상세 광고정보 저장부
27 : 이벤트 기록부
30 : 과금서버
40 : 비교부
50 : 유저 단말기
51 : 유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
52, 53, 54 : 광고 데이터 표시위치부

Claims (11)

  1.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광고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하여 분류하는 데이터분류단계;
    상기 분류된 영상ㆍ음성 데이터마다 고유코드를 부여하는 고유코드부여단계;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디지털 방송으로 송출할 광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데이터저장단계;
    상기 영상ㆍ음성 데이터의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여하는 대응코드부여단계;
    상기 고유코드가 부여된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프로세스에 따라 유저의 단말기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방송단계;
    상기 영상ㆍ음성 데이터가 프로그램된 방송이 디지털 방송될 때 상기 고유코드를 검색하는 고유코드검색단계;
    검색된 상기 고유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저장된 광고 데이터의 대응코드를 검색하는 대응코드검색단계; 및
    상기 검색된 대응코드의 광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유저의 단말기로 노출시키는 광고정보송출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은, 지상파 방송망과 위성 방송망을 포괄하는 방송망, 유선통신망, 인터넷, 이동통신망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디지털 방송되는 것인,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류단계 및 상기 고유코드부여단계는, 해당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제작 당시에 수행하는 것인,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류단계 및 상기 고유코드부여단계는, 이미 방송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방송으로 다시 재방송할 때 수행하는 것인,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코드부여단계는, 저장된 광고 데이터가, 상기 고유코드가 부여된 영상ㆍ음성 데이터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영상ㆍ음성 데이터를 시청하는 유저에게 연상되는 광고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되도록 미리 결정되는 것인,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단말기는, TV 모니터, PC 모니터, 휴대폰, PDA, 차량용 단말기, 정보가전의 모니터 중 하나 이상인,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송출단계는, 유저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송화면의 상하좌우 중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된 광고영역에, 검색된 광고 데이터의 광고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상기 고유코드가 부여된 영상ㆍ음성 데이터의 출력 디스플레이와 대응코드가 부여된 광고 데이터의 출력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의 광고정보의 표시는, 동영상, 문자 메시지, 광고주의 상호나 상표, 정지장면, 광고음, 특별하게 디자인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것인,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유저가 상기 광고정보송출단계에서 표시되는 광고정보의 상세내역을 알기 원하는 경우로서, 유저의 리모콘,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버튼 등의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상세 광고정보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광고정보의 광고주의 홈페이지나 광고서버에 저장된 광고방송을 출력하여 상세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상세광고정보선택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유저의 인터페이스 수단에 의하여 상세 광고정보가 선택되어 광고주의 홈페이지가 출력되거나 광고방송이 시청될 때 각각 홈페이지 접속 이벤트, 광고방송 시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이벤트발생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를 광고서버의 이벤트기록부에 기록하는 이벤트기록단계; 및
    상기 기록된 이벤트에 따라 유저에 포인트를 제공하고, 유저의 방송 시청환경에 따라 축적된 포인트를 통하여 경품의 제공, 요금의 경감, 사이버 머니의 제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보상을 행하는 유저보상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11. 디지털 방송을 이용한 광고방법에 있어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각 장면들을 미리 분류한 다음에 각 분류된 장면마다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각 장면에 직접 관련된 것으로 선택된 광고에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실제 방송될 때 고유코드가 부여된 해당장면을 유저의 단말기로 송출하고, 이때 상기 고유코드에 대응하는 대응코드가 부여된 광고정보를 유저의 단말기로 송출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과 광고정보가 동시에 유저의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20040036724A 2004-05-24 2004-05-24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KR100616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24A KR100616805B1 (ko) 2004-05-24 2004-05-24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24A KR100616805B1 (ko) 2004-05-24 2004-05-24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30A true KR20050111830A (ko) 2005-11-29
KR100616805B1 KR100616805B1 (ko) 2006-08-29

Family

ID=3728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724A KR100616805B1 (ko) 2004-05-24 2004-05-24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80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28B1 (ko) * 2004-07-29 2007-05-11 (주) 엘지텔레콤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에서의 사이버 머니 제공 방법
KR100744286B1 (ko) * 2005-07-1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광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WO2008114994A1 (en) 2007-03-19 200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871158B1 (ko) * 2007-08-21 2008-12-05 서진호 통신단말을 이용한 양방향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0978225B1 (ko) * 2008-03-21 2010-08-26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의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19976B1 (ko) * 2007-09-28 2014-07-21 야후! 인크. 분산형 라이브 멀티미디어 머니타이제이션 메커니즘 및 네트워크
US8872337B2 (en) 2012-12-18 2014-10-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9043860B2 (en) 2009-02-23 201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dvertisement keywords in association with situations of video sce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0479B2 (en) 2008-02-01 2012-05-29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ontextual advertisements using speech recogni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28B1 (ko) * 2004-07-29 2007-05-11 (주) 엘지텔레콤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에서의 사이버 머니 제공 방법
KR100744286B1 (ko) * 2005-07-1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광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WO2008114994A1 (en) 2007-03-19 200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871158B1 (ko) * 2007-08-21 2008-12-05 서진호 통신단말을 이용한 양방향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419976B1 (ko) * 2007-09-28 2014-07-21 야후! 인크. 분산형 라이브 멀티미디어 머니타이제이션 메커니즘 및 네트워크
KR100978225B1 (ko) * 2008-03-21 2010-08-26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의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043860B2 (en) 2009-02-23 201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dvertisement keywords in association with situations of video scenes
US8872337B2 (en) 2012-12-18 2014-10-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805B1 (ko) 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2321B2 (en) Receiver and system using an electronic questionnaire for advanced broadcast services
CN102098537B (zh) 用于交互式媒体环境内的剧集跟踪的系统和方法
CN101390390B (zh) 用于交互式媒体环境内的剧集跟踪的系统和方法
JP4044965B2 (ja) セットトップ装置および選択された映像を映像放送に挿入する方法
US7996862B2 (en) Metadata mapping to support targeted advertising
CN103229513B (zh) 视频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01578863B (zh) 可创作的内容等级系统
US20030226141A1 (en) Advertisement data store
US201100786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iewership to enhance a media listing display in a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100146042A1 (en) Interactive customizable broadcast
EP1657930A1 (en) Promoted listings
CN101390387A (zh) 具有多个设备的交互式媒体向导系统
US109046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user-generated advertisements in a video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KR100616805B1 (ko) 디지털 방송에서의 연상기법을 이용한 광고방법
US8782682B2 (en) Detecting periodic activity patterns
KR100684030B1 (ko) 네트워크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1117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JP6510470B2 (ja) 的を絞った広告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538146B1 (ko) 데이터 방송의 프로토콜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ause Enhanced TV–A Bridge Between Broadcast and Inter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