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180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180A
KR20050111180A KR1020040036385A KR20040036385A KR20050111180A KR 20050111180 A KR20050111180 A KR 20050111180A KR 1020040036385 A KR1020040036385 A KR 1020040036385A KR 20040036385 A KR20040036385 A KR 20040036385A KR 20050111180 A KR20050111180 A KR 20050111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electrodes
plasma display
substra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헌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1180A/ko
Publication of KR2005011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18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 전압이 감소되고, 방전 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기판과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기판들과 함께 복수의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과, 상기 각 방전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전극들과, 상기 방전셀에서 상기 제1전극들과 이격되어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방전셀에서 마주보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전극들과, 상기 제1,2전극들을 덮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과,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자석과, 그리고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방전 전압이 감소되고, 방전 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한 장치는 대화면을 가지면서도,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광시야각(廣視野角)의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대형화가 용이하여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인가되는 방전 전압에 따라 직류(DC)형, 교류(AC)형 및, 혼합형(Hybrid)형으로 분류되고, 방전 구조에 따라 대향 방전형 및 면방전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교류형 3전극 면방전 구조를 갖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에는 통상적인 교류형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판(110)과 하판(120)을 구비한다.
상판(110)은 전면기판(111)과, 전면기판(111)의 하면에 형성된 공통전극(112)들과, 공통전극(112)들과 방전 갭을 이루는 주사전극(113)들과, 공통전극(112)들 및 주사전극(113)들을 매립하는 제1유전체층(114)과, 제1유전체층(114)의 하면에 형성된 보호층(115)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판(120)은 배면기판(121)과, 배면기판(121) 상에 배치되며, 공통 전극(112)들 및 주사전극(113)들과 교차하게 형성된 어드레스전극(122)들과, 어드레스전극(122)들을 매립하는 제2유전체층(123)과, 제2유전체층(123)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방전 공간(125)들을 한정하는 격벽(128)들과, 방전셀(125)들에 형성된 형광체층(126)과, 방전셀(125)들에는 채워진 방전 가스(미도시)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3전극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있어서는, 형광체층(126)에서 발산된 가시광선이, 전면기판(111)의 하면에 배치된 주사전극(113), 공통전극(112), 전극들(112, 113)을 덮는 유전체층(114), 및 보호층(115)에 의하여 상당부분(대략 40%) 흡수되고, 따라서 발광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전셀(125) 내의 하전입자가 전계에 의해 전극 방향뿐만 아니라 격벽(128)으로도 확산된다. 이렇게 격벽(128)에 충돌한 하전입자들은 방전에 기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프라이밍(priming) 입자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전 전압이 감소되고, 방전 효율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기판과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기판들과 함께 복수의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과, 상기 각 방전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전극들과, 상기 방전셀에서 상기 제1전극들과 이격되어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방전셀에서 마주보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전극들과, 상기 제1,2전극들을 덮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과,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자석과, 그리고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자석이 영구자석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자석이 상기 각 방전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기판으로부터 상기 제2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2전극들 보다 상기 제1기판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2전극들 보다 상기 제2기판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N극과 S극 중의 어느 하나의 극이 상기 제1기판을 향하고, 다른 하나의 극이 상기 제2기판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제1,2전극들은 상기 격벽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자석은 상기 유전체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방전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3전극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전극들은 상기 형광체층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전극들은 상기 제1전극 또는 제2전극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전극을 덮도록 형성된 하측 유전체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유전체층은 보호막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격벽은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2전극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제1,2전극들은 전극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과,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2기판들(201, 202)과 함께 복수의 방전셀(220)들을 한정하는 격벽(205)과, 각 방전셀(220)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격벽(205)의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전극(206)들과, 방전셀(220)에서 제1전극(206)들과 이격되어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각 방전셀(220)에서 마주보도록 격벽(205)의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전극(207)들과, 제1,2전극들(206, 207)을 덮도록 격벽의 측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208)과, 방전셀(220) 내에 배치되는 자석(230)과, 그리고 방전셀(220)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230)을 구비한다.
투명한 제1기판(201)은 유리와 같이 광투과성이 좋은 재료로 제조된다. 제1기판(201)에는,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에 존재하던 전극들(112, 113)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시광선의 전방 투과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종래 수준의 휘도로 화상을 구현한다면, 전극들(112, 113)을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게 되고, 따라서 발광효율이 향상된다.
제2기판(202)도 유리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1,2기판(201, 202) 사이에는 양 기판들과 함께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는 방전셀(220)들을 한정하는 격벽(205)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205)은 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격벽부(205a)들과,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격벽부(205b)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1격벽부(205a)와 제2격벽부(205b)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205)은 전체적으로 매트릭스형 구조를 이루어 서로 독립된 방전공간을 갖는 복수의 방전셀(220)들을 한정한다.
도 2에는 격벽(205)이 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방전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 격벽(205)의 측면에는 쌍을 이루는 제1,2전극들(206, 207)이 각 방전셀(220)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전극들(206a, 206b)이 일 방전셀(220)을 한정하는 제1격벽부(205a)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각 방전셀(220)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제2전극(207a, 207b)이 제2격벽부재(205b)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각 방전셀(220)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206)들과 제2전극(207)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전극(206)을 격벽(205)의 측면 중에서 제1기판(201)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하고, 제2전극(207)을 격벽(205)의 측면 중에서 제2기판(202)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제1,2전극들(206, 207)의 위치를 서로 바꿔서 배치할 수 있다.
도 7은 각 전극들(206, 207)의 배열구조를 한 평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만, 여기에서 교차하는 부분이 겹치게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의 경우 교차하는 부분에서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있다.
제1전극(206)들은 제1격벽부(205a)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제2전극(207)들은 상기 제1전극(206)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2격벽부(205b)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이렇게 이어지는 각 전극들(206, 207)의 방전셀(220) 내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확장부(206c, 207c)가 형성된다.
확장부(206c, 207c)에 의하여 방전셀(220) 내부에서 보다 넓은 면적에 벽전하를 형성할 수 있고, 방전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전셀(220) 전체공간에서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제1전극(206)들 및 제2전극(207)들은,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는, 어드레스전극의 기능을 갖는 제3전극(20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206)들은 주사전극의 기능을 하고, 제2전극(207)들은 공통전극의 기능을 한다.
제2전극(207)들이 공통적극의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제2격벽부(205b)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전극들끼리 상기 제2격벽부재(205b)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전극(207)들에는 전체에 공통된 유지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1전극(206)들과 함께 작용하여 유지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만일, 제3전극(203)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제1전극(206)은 스캔 및 유지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2전극(207)은 어드레싱 및 유지전극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방전셀(220)을 이루는 각 격벽면 상에는 상기 전극들(206, 207)을 덮도록 유전층(208)이 형성된다. 즉, 제1전극(206)들을 덮도록 상기 제1격벽부(205a)의 측면에 유전체층(208)이 도포되고, 제2전극(206)들을 덮도록 상기 제2격벽부(205b)의 측면에 유전층(208)이 도포된다. 유전체층(208)은 제1,2전극들(206, 207)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만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방전셀(220)을 둘레를 따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층(208)의 내부에는 자석(230)이 방전셀(2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자석(230)은 제1기판(201)으로부터 제2기판(202)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석(230)은, N극과 S극 중의 어느 하나의 극이 제1기판(201)을 향하고, 다른 하나의 극이 제2기판(20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극이 제1기판(201)을 향하고 S극이 제2기판(202)을 향하도록 자석(230)이 배치되거나, S극이 제1기판(201)을 향하고 N극이 제2기판(202)을 향하도록 자석(2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230)은 제1,2전극들(206, 207) 보다 제2기판(202)에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전극들(206, 207) 보다 제1기판(201)에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석이 영구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층(208)을 덮도록 보호막(209)으로서 MgO 막이 형성될 수 있다. MgO 막(209)은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이는 하전 입자가 유전체층(208)에 충돌하여 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방전 시 2차전자를 많이 방출한다.
제2기판(202)과 형광체층(210) 사이에는 제3전극(203)들이 방전셀(220)들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3전극(203)들은 제2격벽부(205b)들 사이를 지나도록 배열되므로, 제2전극(207)들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지만, 제3전극(203)은 제1전극(206)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3전극(203)들은 제1격벽부(205a)들 사이를 지나도록 배열된다.
제3전극(203)들이 매립되어 있는 하측 유전체층(204)은, 방전 시 양이온 또는 전자가 제3전극(203)에 충돌하여 제3전극(203)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하를 유도할 수 있는 유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 SiO2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3전극(203)은 어드레스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압이 인가된다.
격벽(205)의 하측면과, 격벽(205)들 사이의 유전체층(208) 상에는 형광체층(210)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층(210)은 자외선을 받아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성분을 가지는데, 적색발광 서브픽셀에 형성된 형광체층은 Y(V,P)O4: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고, 녹색발광 서브픽셀에 형성된 형광체층은 Zn2SiO4:Mn, YBO3:Tb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며, 청색발광 서브픽셀에 형성된 형광체층은 BAM: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한다.
방전셀(220)에는 Ne, Xe 등 및 이들의 혼합기체와 같은 방전가스가 봉입된다. 본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경우, 방전면적이 증가하고 방전영역이 확대될 수 있어, 형성되는 플라즈마의 양이 증가하므로,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고농도 Xe 가스를 방전가스로 사용하더라도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발광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고농도 Xe 가스를 방전가스로 사용할 경우 저 전압 구동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있어서는, 제3전극(203)과 제1전극(206) 간에 어드레스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과로 유지방전이 일어날 방전셀(220)이 선택된다.
그 후 상기 선택된 방전셀(220)의 제1전극(206)과 제2전극(207) 사이에 교류인 유지방전전압이 인가되면, 제1전극(206)과 제2전극(207) 간에 유지방전이 일어난다. 이 유지방전에 의하여 여기된 방전가스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이 방전셀(220) 내에 도포된 형광체층(210)을 여기시키는데, 이 여기된 형광체층(210)의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이 방출되며, 이 방출된 가시광이 화상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유지방전 시의 방전셀(220) 내에서의 방전현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방전셀(220)에는 한 쌍 제1전극(206a, 206b)과 한 쌍의 제2전극(207a, 207b)이 배치되며, 이들 제1전극(206a, 206b)들에는 동일한 파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전극(207a, 207b)들에도 동일한 파형의 전압이 인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들(206a, 206b, 207a, 207b)에 각각 인가되는 방전유지 펄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Ⅰ구간에서의 방전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Ⅰ구간에서는 제2전극에 유지전압(Vs)이 인가되고, 제1전극(206)에는 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인 접지전압(VG)가 인가된다. 이 때 상대적으로 전압이 높은 제2전극이 (+)전압이 되고, 상대적으로 전압이 낮은 제1전극(206)이 (-)전극이 되고, 방전셀(220) 내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 때 제1전극(205a, 205b)과 제2전극(206a, 206b) 간에 방전이 발생하기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간 거리가 가까운 부분인 모서리 부분에서 방전이 개시된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에는 두 전극간의 방전전압은 점차로 낮아지면서, 방전은 전극 간 거리가 먼 쪽으로 확산하게 된다. 만일 두 전극(206, 207)간의 전압차이가 방전전압보다 낮아지면 방전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으며, 공간전하 및 벽전하가 방전셀(220) 내에 형성되게 된다.
그 후에 제1전극(205a, 205b)과 제2전극(206a, 206b)의 극성을 전환시키는 펄스 구간(도 8의 Ⅱ구간)이 되면, 다시 방전이 발생된다.
유지방전 시에, 제1전극(207) 및 제2전극(206)에 교대로 전압이 인가되어 방전 공간(220) 내부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플라즈마가 중앙부로 모이는 경향을 띠게 된다. 한편, 자기장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이동하는 하전 입자는 자기장의 자기력선을 따라 나선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라즈마의 하전 입자들이 자석(230)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의 자기력선을 따라 나선 운동을 하게 되고, 방전 가스와 충돌할 확률이 커지게 되고, 방전 가스의 여기종의 생성량이 많아진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의 발생량이 많아져, 플라즈마 밀도가 증가되어 진공 자외선의 발생량이 많아져 휘도가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발광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자기장에 의한 플라즈마의 집속은 플라즈마에서 생성된 이온이 형광체층에 충격을 가하는 정도를 약화시켜 주어, 형광체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명이 향상된다. 그리고, 플라즈마가 격벽과 충돌하여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해 주기 때문에, 플라즈마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는, 전극들(206, 207)이 격벽 측면에 배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방전이 발생되므로, 격벽(205)과의 부딪힘에 의하여 소멸됨으로써 방전에 기여하지 못하는 프라이밍(priming) 입자들이 감소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유지방전은 방전셀(220)의 네 모서리에서 방전이 시작되어 점차적으로 방전셀(220)의 중앙부로 확산된다. 이로 인하여, 유지방전이 일어나는 영역의 부피가 증가되고, 또한 종래에는 잘 사용되지 않았던 방전셀(220) 내의 공간전하도 발광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항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효율 향상이라는 결과로 귀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자기장에 의하여 하전입자들의 운동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플라즈마 발생량이 증가되어, 방전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자기장에 의한 플라즈마의 집속은 플라즈마에서 생성된 이온이 형광체층에 충격을 가하는 정도를 약화시켜 주어, 형광체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명이 향상된다.
둘째, 제1기판에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에 존재하던 전극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시광선의 전방 투과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셋째, 격벽에 충돌하여 손실되는 입자가 감소되므로 방전효율이 향상된다.
넷째, 면 방전이 방전공간을 형성하는 모든 측면에서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방전면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 즉, 방전이 방전셀의 네 모서리부에서 먼저 발생하여 방전셀의 중앙부로 확산되므로, 방전영역이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됨으로써 방전셀 전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전압으로도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발광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고농도 Xe 가스를 방전가스로 사용하더라도 저 전압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 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인접하는 방전셀들을 포함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인접하는 방전셀들을 포함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인접하는 방전셀들을 포함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전극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유지방전 시에 도 2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Ⅰ구간에 의한 방전 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예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01 : 제1기판
202 : 제2기판 203 : 제3전극
204 : 하측 유전체층 205 : 격벽
206 : 제1전극 207 : 제2전극
208 : 유전체층 209 : 보호막
210 : 형광체층 220 : 방전셀
230 : 자석

Claims (18)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기판과 제2기판;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기판들과 함께 복수의 방전셀들을 한정하는 격벽;
    상기 각 방전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전극들;
    상기 방전셀에서 상기 제1전극들과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방전셀에서 마주보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전극들;
    상기 제1,2전극들을 덮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자석; 및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층;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각 방전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기판으로부터 상기 제2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2전극들 보다 상기 제1기판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2전극들 보다 상기 제2기판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N극과 S극 중의 어느 하나의 극이 상기 제1기판을 향하고, 다른 하나의 극이 상기 제2기판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자석은 상기 유전체층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전극들은 상기 격벽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3전극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들은 상기 형광체층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들은 상기 제1전극 또는 제2전극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을 덮도록 형성된 하측 유전체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보호막에 의하여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2전극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전극들은 전극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36385A 2004-05-21 2004-05-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1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385A KR20050111180A (ko) 2004-05-21 2004-05-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385A KR20050111180A (ko) 2004-05-21 2004-05-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180A true KR20050111180A (ko) 2005-11-24

Family

ID=3728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385A KR20050111180A (ko) 2004-05-21 2004-05-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1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480B1 (ko) * 2004-12-02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480B1 (ko) * 2004-12-02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9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64188B2 (en)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dielectric layer with a convex portion
KR1009184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118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184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241B1 (ko) 방전 전극의 구조가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5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1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60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20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9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3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090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872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