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814A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 Google Patent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814A
KR20050110814A KR1020040035646A KR20040035646A KR20050110814A KR 20050110814 A KR20050110814 A KR 20050110814A KR 1020040035646 A KR1020040035646 A KR 1020040035646A KR 20040035646 A KR20040035646 A KR 20040035646A KR 20050110814 A KR20050110814 A KR 20050110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cholecalciferol
alendron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이포티스아나스타시아지
덴커앤드류
이케다크라이그
마터스제우스키봉단케이
마젤시드
포라스알투로지
산토라아트
세버그랜달알란
쥬리민
예이츠존
컬쉬존디
Original Assignee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머크 앤드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4003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0814A/en
Publication of KR2005011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81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A63B6/02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for landing, e.g. for pole vaul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포유동물의 비정상적인 골 흡수와 관련된 상태 및 질환, 예를 들면, 골다공증을 예방, 억제, 감소 및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태는 1주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유효량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도중 비타민 D 영양을 제공하여 정상적인 골 형성 및 무기화를 용이하게 하면서, 비타민 D 결핍과 관련된 합병증(예: 저칼슘혈증 및 골연화증)에 대한 잠재성의 유발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당해 조성물의 안정성 및 분해성의 측정 방법 및 비타민 D의 혈장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Compositions and methods are described for preventing, inhibiting, reducing and treating condition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abnormal bone absorption in mammals, such as osteoporosis. Embodiments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lendronate and vitamin D 3 suitable for one week administration.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vitamin D nutrition during bisphosphonate treatment to facilitate normal bone formation and mineralization, while minimizing the induction of potential fo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itamin D deficiency (eg, hypocalcemia and osteomalacia). Also described are methods of making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ethods of measuring stability and degradability of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easuring plasma levels of vitamin D.

Description

골 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본 발명은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면, 포유동물에서 비정상적인 골 흡수를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 bisphosphonate compound and a vitamin D compound.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methods of using the compositions to treat, reduce, inhibit or prevent abnormal bone absorption, for example in mammals.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compositions.

사람 및 포유동물의 각종 질환은 비정상적인 골 흡수를 포함하거나, 이와 관련된다. 이들 질환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골다공증으로, 이는 낮은 골 질량 및 골 조직의 미세구조 저하와, 이에 따른 골 취약성 및 골절에 대한 감수성의 후속적인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전신 골격 질환이다. 골다공증은 세계적인 범유행병으로, 범세계적인 수명 증가와 일치하여 발병이 현저한 증가하였다.Various diseases in humans and mammals include or are associated with abnormal bone absorption. The most common of these diseases is osteoporosis, which is a systemic skeletal disease characterized by low bone mass and a decrease in the microstructure of bone tissue, and thus a subsequent increase in bone fragility and susceptibility to fracture. Osteoporosis is a pandemic pandemic,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incidence in line with global life expectancy.

골 흡수에 관여하는 주요 세포 형태는 파골세포라 불리우는 다핵 세포이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파골세포 골 흡수의 선택적인 억제제로서 잘 공지되어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뼈에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에 결합되어, 이들의 세포내 작용을 통해 파골세포의 골 흡수성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참고문헌: H. Fleisch, Bisphosphonates In Bone Disease, From The Laboratory To The Patient, 4th Edition, Academic Press (2000)].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뼈에 결합된 다음, 흡수 동안 흡수 공간내로 방출된다고 또한 보고되어 있다. 이후에, 이들은 파골세포에 의해 흡수된 다음, 효소 파르네실 디포스페이트 신타제를 억제한다. 이러한 세포내 작용은 또한 GTP아제의 이소프레닐화(파르네실화 및 게라닐게라닐화)를 방지하여, 막 소포에 결합되는 단백질을 시그날링한다. 게라닐게라닐화된 작은 GTP아제 그룹은 장간막 가장자리-활성적인 골 흡수의 세포 기관-의 형성에 관여하는 것 을 포함한다[참고문헌: A.A. Reszka and G.A. Rodan, "Bisphosphonate Mechanism of Action," Curr Rheumatol Rep. 5(1):65-74 (February, 2003)].The major cell types involved in bone resorption are multinuclear cells called osteoclasts. Bisphosphonates are well known as selective inhibitors of osteoclast bone uptake. Bisphosphonates bind to hydroxyapatite in bone and are believed to inhibit bone resorption of osteoclasts through their intracellular action. H. Fleisch, Bisphosphonates In Bone Disease, From The Laboratory To The Patient, 4th Edition, Academic Press (2000)].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bisphosphonates bind to bone and then are released into the absorption space during absorption. Thereafter, they are taken up by osteoclasts and then inhibit the enzyme farnesyl diphosphate synthase. This intracellular action also prevents isoprenylation (parnesylation and geranylgeranylation) of GTPases, signaling proteins that bind to membrane vesicles. Geranylgeranylated small groups of GTPases include those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mesenteric margins-organelles of active bone uptake [Ref. A.A. Reszka and G.A. Rodan, "Bisphosphonate Mechanism of Action," Curr Rheumatol Rep. 5 (1): 65-74 (February, 2003)].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수많은 상태와 관련된 골 손실을 예방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 손실의 예방 및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골다공증, 골감소증, 전이성 골 질환, 다발성 골수종, 치근막 질환, 치아 손실,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파제트 병(Paget's disease), 골괴사, 골관절염, 전립선주위염 골 손실 또는 골 용해, 및 악성 종양의 과칼슘혈증과 같은 질환의 치료시 유용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모든 이들 상태는 골 흡수- 즉, 파괴- 및 골 형성간의 불균형으로부터 야기되는 골 손실을 특징으로 한다.It can be seen that bisphosphonates are useful for preventing bone loss associated with numerous conditions. For example, bisphosphonates prevent, but are not limited to, bone loss, osteoporosis, osteopenia, metastatic bone disease, multiple myeloma, periodontal disease, tooth loss, parathyroidism, rheumatoid arthritis, Paget's disease, It is known to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diseases such as osteonecrosis, osteoarthritis, peritonitis bone loss or osteolysis, and hypercalcemia of malignant tumors. All these conditions are characterized by bone loss resulting from an imbalance between bone uptake—ie destruction—and bone formation.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은 시판중인 가장 효능있는 비스포스포네이트중 하나이며, 골 흡수를 최대한 억제하는 용량으로 골의 무기질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알렌드로네이트의 투여시 관찰되는 골 무기질의 증가는 척추 및 비척추성(힙포함) 골절의 감소, 척수 기형의 감소 및 신장 유지와 포지티브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실질적인 기간 동안 투여하는 경우에, 알렌드로네이트가 강화된 뼈를 생성하기 위하여 포지티브로 작용하는 골 전환을 감소시킴을 의미한다.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은 폐경기후 여성의 골다공증의 치료를 위해 90개국 이상에서 승인되었다.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은 또한 남성의 골다공증,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된 골다공증 및 뼈의 파제트 병의 치료에 대해 승인되었다. 증거는 이반드로네이트, 미노드로네이트, 파미드로네이트, 리세드로네이트, 틸루드로네이트 및 졸레드로네이트와 같은 다른 비스포스포네이트가 파골세포 골 흡수의 억제제로서의 높은 효능을 포함하여, 통상 알렌드로네이트에 의한 많은 특성을 갖는다고 제시하고 있다.Alendronate sodium is one of the most potent bisphosphonates on the market and does not affect bone mineralization at a dose that inhibits bone absorption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increase in bone minerals observed upon administration of alendronate has been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creased spinal and non-vertebral (including hip) fractures, reduced spinal cord malformations, and kidney maintenance. This means that when administered for a substantial period of time, alendronate reduces bone turnover, which acts positively to produce fortified bone. Alendronate sodium has been approved in more than 90 countries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Alendronate sodium has also been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in men and Paget's disease of bone. Evidence shows that other bisphosphonates, such as ibandronate, minodronate, pamidronate, risedronate, tiludronate, and zoledrnate, have high efficacy as inhibitors of osteoclast bone resorption, It has a characteristic.

이들의 치료학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위장관으로부터 빈약하게 흡수된다(약 1%의 수준)[참고문헌: B.J. Gertz et al, Clinical Pharmacology of Alendronate Sodium, Osteoporosis Int., Suppl. 3:S13-16 (1993) 및 B.J. Gertz et al., Studies of the oral bioavailability of alendronate,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vol. 58, number 3, pp. 288-298 (September 1995)]. 동시에 섭취될 수 있는 많은 다른 물질 뿐만 아니라 식품(광천수 등의 음료, 및 심지어 투여 비히클을 제형화하는데 사용되는 일부 부형제를 포함함)은 비스포스포네이트 흡수에 역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맥내 투여를 사용하여 전체 용량이 순환에 이르도록 하였다. 그러나, 정맥내 투여는 특히, 피검자가 반복적으로 수 시간을 지속하는 정맥내 주입을 제공받아야 하는 경우에 경비가 많이 들고 불편하다. 경구 투여와 달리,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정맥내 투여는 너무 신속하게 투여되는 경우에, 급성 신장 손상과 관련이 있게 된다.Despite their therapeutic benefits, bisphosphonates are poorly absorbed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levels of about 1%) [B.J. Gertz et al, Clinical Pharmacology of Alendronate Sodium, Osteoporosis Int., Suppl. 3: S13-16 (1993) and B.J. Gertz et al., Studies of the oral bioavailability of alendronate,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vol. 58, number 3, pp. 288-298 (September 1995)]. It will be appreciated that foods (including beverages, such as mineral water, and even some excipients used to formulate administration vehicles), as well as many other substances that can be ingested, can adversely affect bisphosphonate absorp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was used to bring the entire dose to circul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however, is costly and inconvenient, especially if the subject is to be repeatedly given intravenous infusions lasting several hours. Unlike or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bisphosphonates is associated with acute kidney injury when administered too quickly.

정맥내 투여 대신에,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구 투여를 목적한다면, 위장관으로부터의 낮은 생체이용율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용량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생체이용율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피검자는 비어있는 위에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흡수시킨 다음, 30분 이상을 절식할 것을 추천받고 있다. 그러나, 많은 피검자는 하루 동안의 이러한 절식이 불편함을 발견하였다.Instead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more doses may be administered to compensate for the low bioavailability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if oral administration of bisphosphonates is desired. To compensate for this low bioavailability, it is generally recommended that the subject absorb bisphosphonates in the empty stomach and then fast for at least 30 minutes. However, many subjects found this fasting inconvenient for one day.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법은 저칼슘혈증과 관련이 있어 왔다.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한 치료 도중, 골 흡수의 초기 억제는 치료 시작한 지 수시간, 수일 또는 수주 내에 발생되는 혈청 칼슘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혈청 칼슘 감소는 치료 개시후 수주 내지 수달 동안 지속될 수 있고, 비타민 D 겹핍된 피검자에서 현저할 수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법에 대한 저칼슘혈증 반응은 경우에 따라 특히,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앓고 있는 환자에 있어서 증상적 및 타당한 임상적 개입이 되기에 상당히 충분할 수 있다[참고문헌: Vasikaran, S.D., Ed., Bisphosphonate: An Overview with Special Reference to Alendronate, Ann. Clin. Biochem. (2001) 38:608-623]. 뼈 밖에 칼슘의 실질적인 신체 보관소가 없기 때문에, 알렌드로네이트를 사용한 치료를 시작한 후 형성된 새로운 뼈에 필요한 칼슘은 식이-식품 또는 칼슘 보충제로부터 흡수되어야 한다. 비타민 D는 정상적인 칼슘 흡수에 필요하다. 따라서, 적절한 비타민 D 및 칼슘 흡수가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피검자에게 바람직하다. 효과적인 골다공증 치료 동안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법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칼슘의 뼈내로의 순 유입으로 인하여 칼슘 요구량이 상승되는 경우 적절한 비타민 D 수준이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 결과, 적절한 비타민 D 및 칼슘 섭취가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피검자에게 바람직하다.Bisphosphonate therapy has been associated with hypocalcemia. During treatment with bisphosphonates, initial inhibition of bone resorption can lead to a decrease in serum calcium occurring within hours, days or weeks of initiation of treatment. Serum calcium reduction can last for weeks to months after initiation of treatment and can be significant in vitamin D-overlapped subjects. Hypocalcemia response to bisphosphonate therapy may in some cases be sufficiently sufficient to be symptomatic and valid clinical intervention, especially in patients with parathyroid hyperplasia [Vasikaran, SD, Ed., Bisphosphonate: An Overview with Special Reference to Alendronate, Ann. Clin. Biochem. (2001) 38: 608-623. Since there is no substantial body storage of calcium outside bone, the calcium needed for new bone formed after starting treatment with alendronate must be absorbed from dietary-food or calcium supplements. Vitamin D is necessary for normal calcium absorption. Therefore, adequate vitamin D and calcium uptake are desirable for subjects using bisphosphonates. Appropriate vitamin D leve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when calcium demand is elevated due to the net inflow of calcium into the bone resulting from bisphosphonate therapy during effective osteoporosis treatment. As a result, adequate vitamin D and calcium intake are desirable for subjects using bisphosphonates.

비타민 D 화합물은 매우 소수의 천연 식품에서 발견되는 지방 가용성 세코스테로이드 그룹을 포함하며, 이들은 태양의 UV 방사선의 작용에 의해 척추동물의 피부에서 광합성된다. 비타민 D는 몇몇 형태로 존재할 수 있지만, 가장 생리학적으로 관련있는 형태는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및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이다. 비타민 D2는 효모 및 식물 스테롤, 에르고스테롤이 UV 방사선에 노출되는 경우에 형성되는 반면에, 비타민 D3은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로부터 생성되어 피부에서 합성된다. 비타민 D3 및 비타민 D2에 대한 대사 경로는 유사하며, 사람에서 이들의 생물학적 효능은 유사하고, 이들의 주요 기능은 정상 범위내 혈청 칼슘 및 인 농도의 유지이다. 비타민 D3은 호르몬 칼시트리올(또한,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또는 1,25-디하이드록시비타민 D3이라 불리움)의 필수 전구체이고, 이의 주요 작용은 칼슘을 흡수하는 소장의 능력을 증강시키고, 식이로부터 포스페이트를 유지하는 것이다. 에르고칼시페롤의 호르몬-형 대사물질은 1,25-디하이드록시에르고칼시페롤(1,25-디하이드록시비타민 D2)이다. 식이 칼슘 흡수가 신체 요구를 만족시키기에 불충분한 경우, 부갑상선 호르몬(PTH)은 비타민 D3의 호르몬 대사물질인 칼시트리올과 함께 골수의 단핵 줄기 세포를 가동시켜 파골세포를 성숙시킨다. 이들 파골세포는 그자체가 다양한 사이토킨 및 다른 인자에 의해 자극되어 뼈로부터 칼슘 보관의 가동화를 증가시킨다.Vitamin D compounds contain a group of fat soluble secosteroids found in very few natural foods, which are photosynthesized in the skin of vertebrates by the action of UV radiation from the sun. Vitamin D may exist in several forms, but the most physiologically relevant forms are vitamin D 3 (cholecalciferol) and vitamin D 2 (ergocalciferol). Vitamin D 2 is formed when yeast and plant sterols, ergosterols are exposed to UV radiation, while vitamin D 3 is produced from 7-dehydrocholesterol and synthesized in the skin. Metabolic pathways for vitamin D 3 and vitamin D 2 are similar, their biological potency in humans is similar, and their main function is the maintenance of serum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ithin the normal range. Vitamin D 3 is an essential precursor of the hormone calcitriol (also called 1,25-dihydroxycholecalciferol or 1,25-dihydroxyvitamin D 3 ), the main action of which is the small intestine's ability to absorb calcium To maintain phosphate from the diet. The hormone-type metabolite of ergocalciferol is 1,25-dihydroxyergocalciferol (1,25-dihydroxyvitamin D 2 ). When dietary calcium absorption is insufficient to meet body needs, parathyroid hormone (PTH), along with calcitriol, a hormone metabolite of vitamin D 3 , activates the bone marrow mononuclear stem cells to mature osteoclasts. These osteoclasts themselves are stimulated by various cytokines and other factors to increase the mobilization of calcium storage from bone.

콜레칼시페롤 및 에르고칼시페롤의 천연-형은 비타민 D의 하이드록시화된 생물학적 활성 대사물질의 생물학적으로 불활성 전구체이다. 비타민 D는 지질 가용성이기 때문에, 이는 신체의 지방 조직에 보관되거나, 기본 보관 대사물질인 25-하이드록시비타민 D로 대사되어 다른 기관내에 보관될 수 있다. 25-하이드록시비타민 D는 혈장으로 운반되어, 필요에 따라 신체에 의해 대사된다. 특히, 도 1에서 콜레칼시페롤의 예로 제시된 바와 같이, 피부에서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태양에 노출시 프리-비타민 D3(비타민 D3의 이성체, 도 1에는 제시되지 않음)에 이어서,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으로 전환된다. 이어서, 콜레칼시페롤은 간에서 대사되어 25-하이드록시 비타민 D3으로 또한 공지된 25-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을 형성하고, 이는 또한 신장에서 칼시트리올로 또한 공지된 호르몬 형태인 1,25-디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로 대사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타민 D(D2 또는 D3)의 다른 대사물질은 1α-하이드록시 비타민 D, 24,25-디하이드록시 비타민 D 및 1α,24,25-트리하이드록시 비타민 D를 포함한다. 오직 칼시트리올만 완전히 생물학적으로 활성이며, 콜레칼시페롤 및 상기 확인된 대사물질은 거의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다.The natural-types of cholecalciferol and ergocalciferol are biologically inert precursors of the hydroxylated biologically active metabolites of vitamin D. Because vitamin D is lipid soluble, it can be stored in the body's adipose tissue or metabolized to 25-hydroxyvitamin D, the primary storage metabolite, and stored in other organs. 25-hydroxyvitamin D is transported into the plasma and metabolized by the body as needed. In particular, as shown as an example of cholecalciferol in FIG. 1, 7-dehydrocholesterol in the skin is followed by pre-vitamin D 3 (isomer of vitamin D 3 , not shown in FIG. 1), followed by vitamin Is converted to D 3 (cholecalciferol). The cholecalciferol is then metabolized in the liver to form 25-hydroxycholecalciferol, also known as 25-hydroxy vitamin D 3 , which is also a hormone form known as calcitriol in the kidney 1,25- Metabolized to dihydroxycholecalciferol. Although not shown in FIG. 1, other metabolites of vitamin D (D 2 or D 3 ) include 1α-hydroxy vitamin D, 24,25-dihydroxy vitamin D and 1α, 24,25-trihydroxy vitamin D. Include. Only calcitriol is fully biologically active, and cholecalciferol and the metabolites identified above show little biological activity.

비타민 D(D2 또는 D3 모두)의 주요 생물학적 작용은 식이 칼슘을 흡수하는 장의 효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칼슘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흡수되는 칼슘량이 혈액 칼슘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기에 적합하고, 골격 무기질화를 유지하기에 적합하도록 돕는다. 적절한 비타민 D 섭취는 칼슘의 장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칼슘 대사를 조절 및 골격의 무기질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The main biological action of vitamin D (both D 2 or D 3 ) is to help maintain calcium homeostasis by increasing the efficacy of the gut to absorb dietary calcium. This helps to ensure that the amount of calcium absorbed is suitable for maintaining blood calcium in the normal range and for maintaining skeletal mineralization. Proper vitamin D intake facilitates intestinal absorption of calcium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calcium metabolism and mineralization of the skeleton.

비타민 D 기능부전 및 결핍은 성인의 대사적 골 질환의 원인으로서 인식된다. 비타민 D 기능부전은 칼슘 및 포스페이트 흡수의 장애를 특징으로 하지만, 정상적인 골 무기질화 장애는 없고, 통상 약 9 이하 내지 약 30ng/㎖인 혈청 25-하이드록시 비타민 D 수준과 관련이 있다. 비타민 D 결핍은 중증으로 장애된 칼슘 흡수, 2차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저인산염혈증, 낮거나 정상적인 혈액 칼슘 및 장애된 골 무기질화를 특징으로 한다. 혈청 25-하이드록시 비타민 D 수준은 대개 약 < 9ng/㎖이다. 비타민 D 기능부전 및 결핍은 부갑상선 호르몬(PTH)의 증가를 유발하고, 이는 또한 증가된 파골세포 활성, 뇨의 포스페이트 손실 및 뼈로부터의 칼슘 가동화를 유발한다. 이는 또한 장애된 골 무기질화가 골 강도의 독립적이고 부가적인 감소를 유발함에 따라, 특히 나이많은 성인에서 골다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지속된 비타민 D 기능부전이 점차적인 뼈 손실의 중요한 원인인 것으로 간주된다. 비타민 D 및 칼슘 결핍의 정도에 따라, 조직학적 구도는 골연화증, 골다공증 또는 이들 둘의 조합중 하나일 수 있다.Vitamin D dysfunction and deficiency is recognized as a cause of metabolic bone disease in adults. Vitamin D dysfunction is characterized by disorders of calcium and phosphate uptake, but no normal bone mineralization disorder,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serum 25-hydroxy vitamin D levels of about 9 or less to about 30 ng / ml. Vitamin D deficiency is characterized by severely impaired calcium absorption,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hypophosphatemia, low or normal blood calcium and impaired bone mineralization. Serum 25-hydroxy vitamin D levels are usually about <9 ng / ml. Vitamin D dysfunction and deficiency lead to an increase in parathyroid hormone (PTH), which also results in increased osteoclast activity, phosphate loss in urine and calcium mobilization from bone. It can also exacerbate osteoporosis, especially in older adults, as impaired bone mineralization causes an independent and additional decrease in bone strength. Sustained vitamin D dysfunction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cause of gradual bone loss. Depending on the extent of vitamin D and calcium deficiency, the histological composition may be osteomalacia, osteoporosis or one of the two.

비타민 D 기능부전 및 결핍의 유병력은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과 같은 상태가 되기 쉽거나, 이로 고생하는 환자 그룹, 및 이들 상태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를 수행하는 피검자에서 부가적인 비타민 D 섭취의 필요를 유발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를 수행하는 피검자 및, 특히 부적절한 식이 칼슘 섭취나 부적절한 칼슘 흡수을 갖는 피검자에서, 적절한 비타민 D는 골 형성 및 무기질화를 용이하게 하면서, 비타민 D 기능부전에 대한 잠재성 또는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비타민 D 섭취를 증가시키는 몇몇 형태가 종종 골 흡수 화합물의 임상적 시도에서 사용되고, 생성물 라벨 및 생성물 패키지 순환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미국에서 골다공증 환자의 대략 30%가 어느 정도의 비타민 D 기능부전 및 연령에 따른 유병력 증가를 보인다.The prevalence of vitamin D dysfunction and deficiency causes the need for additional vitamin D intake in groups of patients susceptible to or suffering from conditions such as osteoporosis or osteopenia, and subjects performing bisphosphonate treatment of these conditions. In subjects performing bisphosphonate treatment, and in particular those with improper dietary calcium intake or inadequate calcium uptake, adequate vitamin D is necessary to facilitate bone formation and mineralization while minimizing the potential or occurrence of vitamin D dysfunction. . Several forms of increasing vitamin D uptake are often used in clinical trials of bone absorbing compounds and are presented in product labeling and product package circulation. However, for example, approximately 30% of osteoporosis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show some degree of vitamin D dysfunction and an increase in prevalence with age.

통상적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가 경구 투여되고 비타민 D를 필요로 하는 피검자에게 두 개의 상이한 시간에 두 개의 개별 제품을 투여받도록 권고한다. 비타민 D 제형은 가장 통상적으로 매일 투여받는 반면에,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하루, 주마다, 달마다, 또는 더 긴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 결과,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에 대해 치료중인 많은 환자들이 그렇게 하도록 권고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비타민 D를 섭취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비타민 D는 비스포스포네이트 흡수가 너무 불량하고, 대부분의 비스포스포네이트 경구 투여 섭식이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소화와 다른 물질(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타민 D를 포함함) 사이에 30분 간의 시간 간격을 필요로 한다는 간단한 사실로 인하여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동시에 섭취할 수 없다. 그 결과,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 전 또는 후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비타민 D 화합물의 별도의 투여를 필요로 하는 투여 섭식을 따르는 환자는 많지 않다(일부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은 식품의 소화 전에 투여를 요하며, 따라서 비타민 D는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 후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투여되어야 한다). 환자는 이들의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를 받기 전 또는 후에 비타민 D를 섭취할 수 있지만, 많은 환자들이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 증거가 있다. 1998년 한 마케팅 연구에 따르면, 알렌드로네이트를 처방한 의사의 75 내지 85%가 또한 비타민 D 보충을 권고하고 있지만, 골다공증 환자의 단지 57%만이 실제로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Typically, subjects who are bisphosphonate administered orally and need vitamin D are advised to receive two separate products at two different times. Vitamin D formulations are most commonly administered daily, while bisphosphonates can be administered daily, weekly, monthly, or at longer intervals. As a result, even though many patients being treated for osteoporosis or osteopenia have been advised to do so, they do not take vitamin D. Typically, vitamin D has poor bisphosphonate absorption, and most bisphosphonate oral feeding regimens require a 30 minute time interval between digestion of bisphosphonates and other substanc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vitamin D. The simple fact is that you cannot take it simultaneously with bisphosphonates. As a result, few patients follow a dosage regimen that requires separate administration of vitamin D compounds at regular time intervals before or after bisphosphonate administration (some bisphosphonate compounds require administration prior to digestion of the food, thus vitamin D is bisphosphonate). Should be administer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fter administration). Patients may take vitamin D before or after receiving their bisphosphonates, but there is evidence that many patients do not. A marketing study in 1998 found that 75-85% of physicians who prescribe alendronate also recommend vitamin D supplementation, but only 57% of patients with osteoporosis actually follow.

비타민 D는 또한 미국에서 멀티-비타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많은 점두 거래되는 경구용 비타민 D 제형은 하루보다도 덜 빈번하게 투여되는데 필요한 용량 단위로는 시판되지 않는다. 환자 자신이 이들의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와 동시에 비타민 D를 투여하는 경우에, 투여되는 비타민 D의 형태는 골다공증 환자를 위해 제형화된 많은 비타민 D 화합물이 비스포스포네이트의 흡수를 감소시키는 칼슘을 함유하기 때문에 비스포스포네이트 흡수를 또한 방해하고 감소시킬 수 있다.Vitamin D can also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multi-vitamins in the United States, but, for example, many commercially available oral vitamin D formulations are not marketed in dosage units necessary to be administered less frequently than a day. If the patient himself is taking vitamin D at the same time as their bisphosphonate administration, the form of vitamin D administered will prevent bisphosphonate absorption because many vitamin D compounds formulated for osteoporosis patients contain calcium which reduces the absorption of bisphosphonates. It can also interfere and reduce.

특허 문헌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함께, 비타민 D3 또는 비타민 D2나, 이들의 대사물질 또는 동족체를 기술하고 있는 특허 및 공개된 특허원을 포함한다[참고문헌: 미국 특허 제4,230,700호, 제4,330,537호 및 제4,812,304호; 유럽 특허 제EP 0 381 296호 및 제EP 0 162 510호; 국제 특허공보 제WO 90/01312호, 제WO 92/21355호, 제WO 01/28564호, 제WO 01/97788호 및 제WO 03/086415호; 유럽 특허공보 제EP 1 051 976호; 일본 특허공보 제7-330613호 및 제11-60489호; 미국 특허원 제US 2003/0139378 A1호 및 제US 2003/0225039 A1호]. 그러나, 이들 특허 및 공보는 하루보다는 덜 빈번하고 6개월 또는 그 이상보다는 빈번한, 1주 1회 등의 간격으로 계속해서 경구 투여하기에 유용한,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생성물 또는 제형(및, 가장 특히, 정제)을 기술하거나 가능하게 할 수 없다. 이들 특허 및 공보는 또한 이러한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을 하루보다 덜 빈번하게, 6개월 보다 더 빈번한 간격으로 투여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골 흡수와 관련된 다른 상태 및 골다공증을 치료, 억제, 감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기술하거나, 가능하게 할 수 없다.Patent literature includes patents and published patent applications that describe vitamin D 3 or vitamin D 2 or their metabolites or homologues, together with bisphosphonates. See, for example, US Pat. Nos. 4,230,700, 4,330,537, and Pat. 4,812,304; EP 0 381 296 and EP 0 162 510;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s WO 90/01312, WO 92/21355, WO 01/28564, WO 01/97788 and WO 03/086415; European Patent Publication EP 1 051 976;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s. 7-330613 and 11-60489; US Patent Application Nos. US 2003/0139378 A1 and US 2003/0225039 A1]. However, these patents and publications are compositions, products or formulations comprising bisphosphonate compounds and vitamin D compounds that are useful for continuous oral administration at intervals such as once a week, such as less frequently than one day and more often than six months or more. (And, most particularly, tablets), may not be described or enabled. These patents and publications also describe methods for treating, inhibiting, reducing or preventing other conditions associated with abnormal bone absorption and osteoporosis by administering such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s less frequently than daily, at more frequent intervals than 6 months, or , Can not be enabled.

그 결과, 칼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비타민 D 섭취를 보장하도록 도움으로써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법의 전반적인 효능을 증강시킴을 포함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합 생성물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정상적인 골 형성 및 무기질화를 용이하게 하면서, 비타민 D 기능부전(예: 저칼슘혈증 및 골연화증)과 관련되는 합병증에 대한 잠재력 또는 이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는 비타민 D 및 비스포스포네이트 생성물을 필요로 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피검자에서 정상적인 골 형성 및 무기질화를 용이하게 하는 비타민 D 영양의 일정 양을 제공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생성물을 필요로 한다. 하루 투여보다는 덜 빈번하고, 6개월 또는 그 이상의 간격으로 투여하는 것보다는 더 빈번한 계속적인 투여 일정에 따라 경구 투여하기 위한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배합물을 또한 필요로 한다. 비타민 D 섭취의 용이성을 증가시키고,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동안 제시된 비타민 D 영양에 따르는 환자를 증가시키는 1주 1회 투여에 적합한 비타민 D 및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단일 생성물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하고 투여하는 방법을 필요로 한다. As a result, there is a need for a combination product comprising a bisphosphonate compound and a vitamin D compound, including enhancing the overall efficacy of the bisphosphonate therapy by helping to ensure adequate vitamin D uptake to facilitate calcium absorp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vitamin D and bisphosphonate products that facilitate normal bone formation and mineralization while reducing or minimizing the potential for or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itamin D dysfunction (eg, hypocalcemia and osteomalacia). . There is a need for 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products that provide a certain amount of vitamin D nutrition that facilitates normal bone formation and mineralization in subjects performing bisphosphonate treatment. There is also a need for a bisphosphonate and vitamin D combin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n a continuous dosing schedule that is less frequent than daily administration and more frequent than six month or longer intervals. There is a need for a single product comprising vitamin D and bisphosphonates suitable for weekly administration that increases the ease of vitamin D intake and increases patients following vitamin D nutrition presented during bisphosphonate treatment. Moreover,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making and administering such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s.

본 발명은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또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예: 약제학적 등급의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양태에서, 비타민 D 화합물은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한다. 양태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예를 들면,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예: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또는 암모늄 염이나, 이들 염중 어느 하나의 수화물)[예: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일수화물 또는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삼수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로, 약제학적 조성물은 콜레칼시페롤 및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삼수화물(도 2 참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압착되거나, 피복되거나, 피복되지 않은 정제, 캡슐제, 엘릭서제, 에멀젼제의 형태이거나, 다른 허용되는 제형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isphosphonate compound and a vitamin D compou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pharmaceuticals comprising bisphosphonate compound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of bisphosphonates, or mixtures thereof and vitamin D compounds (e.g., pharmaceutical grade vitamin D compounds). Composition. In an embodiment, the vitamin D compound comprises cholecalciferol. In an embodiment, the bisphosphonate is, for example, an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e.g., a sodium, potassium, calcium, magnesium or ammonium salt or a hydrate of any one of these salts) [e.g. alendronate monosodium, alendronate yl Sodium monohydrate or alendronate monosodium trihydrate].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es cholecalciferol and alendronate monosodium trihydrate (see FIG. 2).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compressed, coated or uncoated tablets, capsules, elixirs, emulsions, or other acceptable formulations.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태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는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예를 들면, 약 0.05 내지 약 1120㎎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동일하거나 다른 양태에서, 비타민 D 화합물은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예를 들면, 약 100 내지 약 60,000IU의 비타민 D 화합물(40IU의 비타민 D는 대략 1㎍의 질량을 갖는다)로 존재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00 내지 36,0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비스포스폰산 활성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560㎎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00 내지 28,0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비스포스폰산 활성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280㎎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약 100 내지 8,4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비스포스폰산 활성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280㎎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00 내지 5,6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비스포스폰산 활성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280㎎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약 100 내지 4,2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비스포스폰산 활성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280㎎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약 2,8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비스포스폰산 활성 기준으로, 약 70㎎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약 2,800IU의 콜레칼시페롤 및 알렌드론산 활성 기준으로,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로, 콜레칼시페롤은 약제학적 등급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sphosphonates (or pharmaceutically effectiv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thereof, or mixtures thereof) are present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eg, from about 0.05 to about 1120 mg. In the same or other embodiments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tamin D compound is present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for example, from about 100 to about 60,000 IU of vitamin D compound (vitamin D of 40 IU has a mass of approximately 1 μg). do.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bout 5 to about 560 mg of bisphosphona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thereof, or mixtures thereof, based on about 100 to 36,000 IU of vitamin D compounds and bisphosphonic acid activity.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bout 5 to about 280 mg of bisphosphona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thereof, or mixtures thereof, based on about 100 to 28,000 IU of vitamin D compounds and bisphosphonic acid activity.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invention provides about 5 to about 280 mg of bisphosphona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thereof, or mixtures thereof, based on about 100 to 8,400 IU of vitamin D compound and bisphosphonic acid activity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bout 5 to about 280 mg of bisphosphona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thereof, or mixtures thereof, based on about 100 to 5600 IU of vitamin D compounds and bisphosphonic acid activity.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bout 5 to about 280 mg of bisphosphona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thereof, or mixtures thereof, based on about 100 to 4,200 IU of vitamin D compound and bisphosphonic acid activity.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In another aspect, one aspect of the invention comprises about 70 mg of a bisphosph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mixtures thereof, based on about 2,800 IU of vitamin D compound and bisphosphonic acid activity criteria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bout 70 mg of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mixtures thereof, on the basis of about 2,800 IU of cholecalciferol and alendronic acid activity It is about. In another embodiment, cholecalciferol is of pharmaceutical grade.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한 예는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콜레칼시페롤 또는 적절한 동량의 콜레칼시페롤을 함유하는 콜레칼시페롤 과립 및, 부가의 부형제(예: 적절한 충전제, 희석제, 결합제, 윤활제, 활주제 또는 붕해제 등)를 포함하는 정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다른 예로는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콜레칼시페롤 또는 적절한 동량의 콜레칼시페롤을 함유하는 콜레칼시페롤 과립, 락토즈, 무수 락토즈, 미세결정 셀룰로즈,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정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순도 및 안정성 기준에 부합되도록, 예를 들면, 약 30℃ 미만 및 약 30% 미만의 상대습도에서 24개월 동안 보관한 후, 콜레칼시페롤의 각각의 이성체를 1중량% 미만(총 콜레칼시페롤에 대해)으로 포함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약 30℃ 미만 및 약 30% 미만의 상대습도에서 24개월 동안 보관한 후, 총 분해물의 약 5% 미만으로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보관을 위해, 주위 습도가 조성물의 순도 및 안정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건조제를 함유한 알루미늄 호일 발포 팩 또는 HDPE 병 등의 적절한 패키지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One example of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is cholecalciferol granules containing alendronate sodium, cholecalciferol or an appropriate amount of cholecalciferol, and additional excipients (e.g. suitable fillers, diluents, binders, lubricants, glidants) Or a disintegrant). Other examples of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holecalciferol granules, lactose, anhydrous lact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colloidal silicon dioxide, croscarmell, containing allendronate sodium, cholecalciferol or an appropriate amount of cholecalciferol There are tablets containing rose sodium and magnesium stearate.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ored in an amount of 1% by weight of each isomer of cholecalciferol, for example, after storage for 24 months at a relative humidity of less than about 30 ° C. and less than about 30% to meet various purity and stability criteria Formulated to contain less than (total cholecalciferol).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formulated to contain cholecalciferol with less than about 5% of total degradation after storage for 24 months at less than about 30 ° C. and less than about 30% relative humidity. For storage, the effect that ambient humidity can have on the purity and stability of the composition can be removed using a suitable package, such as an aluminum foil foam pack containing a desiccant or HDPE bottles.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제형 뿐만 아니라, 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양태는 비스포스포네이트(예: 알렌드로네이트)를 포함하는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고, 분말 혼합물을 치밀화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며, 분쇄하고, 혼합물과 비타민 D 화합물을 혼합하여 최종 과립 혼합물을 형성한 다음, 최종 과립 혼합물을 압착시켜, 예를 들면, 정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양태에서, 최종 과립 혼합물은 압착시키기 전에 윤활되게 할 수 있다. 한 양태로, 분말 혼합물은 알렌드로네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락토즈 무수물, 미세결정 셀룰로즈,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로, 분말 혼합물을 치밀화하는 로울러는 치밀화된 리본을 형성하며, 이는 분쇄하고, 콜레칼시페롤 과립과 혼합하여, 매끄럽게 하고, 고체 제형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이점은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중 비타민 D 화합물의 안정성의 증가 및,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개개 화합물의 입자 크기의 증가된 균일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thods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s and formulations described herein, as well as products made according to the methods. Embodiments of this method include preparing a powder mixture comprising bisphosphonates (e.g. alendronate), densifying the powder mixture to form a mixture, milling, mixing the mixture with the vitamin D compound to form a final granule mixture, and then Compacting the granule mixture, for example, to form a tablet. In a further embodiment, the final granule mixture can be lubricated before compacting. In one embodiment, the powder mixture comprises alendronate, colloidal silicon dioxide, lactose anhydride, microcrystalline cellulose, croscarmellose sodium and magnesium stearate. In another embodiment, the roller densifying the powder mixture forms a densified ribbon, which can be ground, mixed with cholecalciferol granules, smoothed, and pressed into a solid formulation. Advantages of the preparation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increased stability of vitamin D compounds in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s, and increased uniformity of the particle size of the individual compounds us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알렌드로네이트 분말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먼저 예비 혼합하고, 나머지 부형제와 혼합한 다음, 로울러로 치밀화할 수 있다.The alendronate powder mixture may also be premixed with one or more excipients first, followed by mixing with the remaining excipients, and then compacted with a roller.

비스포스포네이트 과립(예: 알렌드로네이트 과립)의 다른 제조 방법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습윤 과립법 뿐만 아니라, 슬러징(slugging)을 포함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 과립을 슬러징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비스포스포네이트(예: 알렌드로네이트) 분말 혼합물을 비-리본형 압분체로 압착시킨 다음, 과립으로 분쇄할 수 있고, 이어서 이를 비타민 D 화합물과 혼합하여 과립 혼합물을 형성시킨 다음, 고체 제형(예: 정제)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모든 부형제는 과립화 액체(예: 물)로 습윤 과립화한 다음, 건조시키고 분쇄시켜, 비타민 D 화합물과 혼합하고, 최종 제형(예: 정제)으로 가공할 수 있다.Other methods of making bisphosphonate granules (such as alendronate gran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wet granulation methods, as well as slugging. When bisphosphonate granules are prepared using sludge, the bisphosphonate (e.g. alendronate) powder mixture can be pressed into a non-ribbon green compact and then ground into granules which are then mixed with the vitamin D compound to mix the granule mixture Can be formed and then compressed into a solid formulation, such as a tablet. Alternatively, bisphosphonates and all excipients may be wet granulated with a granulation liquid (eg water), then dried and ground to mix with the vitamin D compound and processed into a final formulation (eg tablet).

상기 언급한 방법 이외에, 비스포스포네이트, 모든 부형제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함께 혼합한 다음, 정제로 압착하거나, 캡슐제 또는 다른 고체 제형으로 캡슐화하는 직접 혼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과립의 가능한 제조 방법의 추가 기술이 미국 특허 제5,358,941호 및 제5,882,656호와, PCT 공보 제WO 95/29679호에 기술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methods, direct mixing methods can also be used in which bisphosphonates, all excipients and vitamin D compounds are mixed together and then compressed into tablets or encapsulated into capsules or other solid dosage forms. Further techniques of possible methods of making bisphosphonate granules are described in US Pat. Nos. 5,358,941 and 5,882,656 and PCT Publication WO 95/29679.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건조 단계를 수행하여 조성물의 수분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분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건조제와 함께 조성물을 패키지할 수 있다.A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 can be prepared as described above, followed by a drying step to reduce the moisture level of the composition. In addition, the composition can be packaged with a desiccant to reduce the moisture level.

본 발명은 또한 대사적 골 질환을 예방, 감소, 억제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대사적 골 질환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골다공증, 폐경후 골다공증, 스테로이드-유도된 골다공증, 남성 골다공증, 다른 질환-유도된 골다공증, 특발성 골다공증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유도된 골다공증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골다공증, 골다공증과 관련된 상태 및 비정상적인 골 흡수와 관련되는 다른 질환과 상태를 예방, 감소, 억제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질환 및 상태에는 추가 예로서, 대사적 골 질환, 악성 종양의 과칼슘혈증, 전립선주위염 골 용해, 염증성 관절염 및 사람이나 다른 포유동물에서 확인된 본원의 다른 질환 및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관절염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개질시키는 질환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포유동물에게 치료학적 유효량의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아연골 골 괴사에 미치는 효과를 개질시키는 질환을 유도하고, 골증식체 형성 또는 진행을 예방하고, 관절 파괴를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단위 용량의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골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The invention also includes methods for preventing, reducing, inhibiting or treating metabolic bone diseases. Metabolic bone diseas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steoporosis, postmenopausal osteoporosis, steroid-induced osteoporosis, male osteoporosis, other disease-induced osteoporosis, idiopathic osteoporosis and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The invention also includes methods for preventing, reducing, inhibi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condition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and other diseases and conditions associated with abnormal bone absorption. Such other diseases and conditions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metabolic bone disease, hypercalcemia of malignant tumors, peritonitis osteolysis, inflammatory arthritis, and other diseases and conditions herein as identified in humans or other mammals. Alternat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ducing a disease that modifies the effect on the arthritis state of a mammal,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duces a disease that modifies the effect on zinc bone bone necrosis in a mammal,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 and prevents bone formation or progression. And to prevent joint destruction. The invention also includes a method of reducing the risk of bone fracture in a mammal, comprising administering a unit dose of the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

이러한 방법의 양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주-1회, 2주마다, 월 1회, 월 2회 및 2개월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비타민 D는 비타민 D 기능부전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한 발생 또는 잠재력은 감소시키면서,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비타민 D 기능부전 또는 결핍을 갖거나 그러기 쉬운 것으로 확인된 또는, 적절량의 비타민 D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확인된 포유동물에서 유용할 수 있다. 한 양태로, 골다공증 또는 비정상적인 골 흡수와 관련된 다른 질환이나 상태를 치료하고, 비타민 D 기능부전으로부터의 위험 또는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주-1회 투여는 목적하는 치료 효과가 성취될 때까지 연속적인 일정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한 양태는 골다공증으로 고생하는 포유동물에게 약 2,800IU의 콜레칼시페롤 및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유도체나 수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정제를 주 1회 투여함을 포함한다. 한 양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중 비타민 D 화합물의 주 1회 투여의 치료학적 효과는 실질적으로 제시되는 비타민 D의 1일 용량, 예를 들면, 1일 400IU, 600IU 또는 800IU의 비타민 D의 치료 효과와 유사하다.Aspects of this method include administering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to a mammal, including a human. Such compositions can be administered weekly, biweekly, monthly, bimonthly and bimonthly. In this method, vitamin D is provided by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bisphosphonate treatment while reducing the incidence or potential fo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itamin D dysfunction. Thus,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ful in mammals that have been found to have or are prone to vitamin D dysfunction or deficiency or that require an appropriate amount of vitamin D. In one embodiment, weekly administration to treat osteoporosis or other diseases or conditions associated with abnormal bone resorption and to minimize the risk or complications from vitamin D dysfunction is a continuous schedule until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is achieved. Is maintained. One aspect of the method of the invention is a tablet comprising about 2,800 IU cholecalciferol and about 70 mg of alendronat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mixtures thereof, in a mammal suffering from osteoporosis. Administering once a week. In one embodiment, the therapeutic effect of a weekly administration of a vitamin D compound in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therapeutic effect of a daily dose of vitamin D, for example 400 IU, 600 IU or 800 IU per day. Similar to

본 발명은 또한 콜레칼시페롤 및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중 콜레칼시페롤의 측정 방법(예: 안정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양태는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콜레칼시페롤을 제1 용액내로 추출하여 제2 용액을 형성하고, 제2 용액으로부터 콜레칼시페롤을 함유하는 샘플을 분리하고, 예를 들면,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샘플중 콜레칼시페롤의 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양태는 증가된 측정 감도를 제공하며, 콜레칼시페롤과 프리-콜레칼시페롤 사이, 또는 콜레칼시페롤 및 프리-콜레칼시페롤의 이성체간을 구별하기 위하여, 또는 콜레칼시페롤과 프리-콜레칼시페롤 에스테르 부가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methods of measuring cholecalciferol (eg, stability)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holecalciferol and bisphosphonates. An aspect of this method involves extracting cholecalciferol from such a composition into a first solution to form a second solution, separating the sample containing cholecalciferol from the second solution, eg,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etecting the amount of cholecalciferol in the sample using photography. Embodiments of this method provide increased measurement sensitivity and to distinguish between cholecalciferol and pre-cholecalciferol, or between isomers of cholecalciferol and pre-cholecalciferol, or It can be usefully used with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ct ferrol and pre-cholecalciferol ester adducts.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콜레칼시페롤 조성물의 투여후 혈장내 콜레칼시페롤의 측정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양태는 포유동물에게 알렌드로네이트 및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고, 포유동물로부터 혈장 샘플을 수득한 다음, 혈장 샘플로부터 콜레칼시페롤을 추출하여 제1 용액을 형성하고, 제1 용액의 콜레칼시페롤과 디에노필을 반응시켜 콜레칼시페롤의 하나 이상의 디엘-알더 부가 생성물을 형성하며,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리법을 사용하여 콜레칼시페롤의 디엘-알더 부가 생성물을 분리하고, 질량 분광학을 사용하여 샘플내 콜레칼시페롤의 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양태는 증가된 측정 감도를 제공하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의 약동학적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과 함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holecalciferol in plasma after administration of the bisphosphonate / cholecalcifero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of this method include administering to a mammal a composition comprising alendronate and cholecalciferol, obtaining a plasma sample from the mammal, and then extracting the cholecalciferol from the plasma sample to form a first solution, 1 solution of cholecalciferol and dienophil react to form one or more die-alder addition products of cholecalciferol, and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eparation method of die-alder addition product of cholecalciferol And separating the amount of cholecalciferol in the sample using mass spectroscopy. Aspects of this method provide increased measurement sensitivity and can be usefully used with the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to measure the pharmacokinetic effects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면,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2,800IU의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는 정제의 총 배뇨, 혈청-농도 대 시간 곡선(AUC) 아래의 면적,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 Cmax의 시간(Tmax) 및 혈장 농도 중간 겉보기 반감기(tl/2)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시간에 걸친 약동학적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otal urine, an area under the serum-concentration vs. time curve (AUC), a steady 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of a tablet comprising, for example, about 7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2800 IU of cholecalciferol. , including by C max), time of the C max (T max)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intermediate the apparent half-lives (t l / 2) that are affected, a method of measuring the pharmacodynamic effects over time of administering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To provide.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되거나 청구된 임의 성분들(ingredients and components), 단계 및 방법 뿐만 아니라, 필수 사항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지거나, 필수적으로 이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이점 및 양태, 이의 특성과 다양한 이점이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행으로부터 보다 더 명확해질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nsist of, or consist essentially of the essentials and components, steps, and methods described or claimed herein, as well as essentials. Further features, advantages an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and various advantages thereof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정상적인 골 흡수"는 국부적으로 또는, 골격 전체로 골 형성 정도를 초과하는 골 흡수 정도를 의미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구조를 갖는 골 형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bnormal bone resorption” may mean a degree of bone resorption that exceeds the degree of bone formation locally or throughout the skeleton, or may be related to bone formation with an abnormal structure.

"관절염 상태" 또는 "관절염 상태들"은 이의 일부가 염증성이거나, 관절 또는 관절의 특정 염증성 상태로 한정되는 병변이 있는 질환, 가장 현저하게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병변이 있는 질환을 의미한다[참고문헌: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Technology; Academic Press; 1st edition, January 15, 1992]. 관절염 상태는 염증, 종양 또는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단독 또는 배합되어, 아밀로이드증, 강직성 척추염, 세균성 관절염, 기본 인산칼슘 결정 침착 질환, 베체트 병(Behcet's disease), 활액낭염 및 건염, CPPD 침착 질환, 석회성 건염, 수근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엘러스-단로스 증후군(Ehlers-Danlos syndrome), 장질환성 관절염, 펠티 증후군(Felty's syndrome), 근육통, 통풍, 진균성 관절염, 혈색소병증, 호혈성 관절병, 비대성 골관절증, 감염성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연소성 관절염, 연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홍반성 루프스, 라임 질환, 마르팡 증후군(marfan syndrome), 혼합 관절 조직 질환, 다중심성 망내조직구증, 근증, 근염, 골관절염, 골괴사, 골괴사 연골이영양증, 다발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건선 관절염, 레이노드 현상, 반사 교감신경계 이영양증 증후군, 레이터 증후군(Reiter's syndrome), 재발성 다발성연골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 열, 사르코이드 증, 패혈성 관절염, 공피증, 조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척추골단이형성, 전신 홍반성 루프스 및 바이러스성 관절염 등의 관절염을 포함하는 관절염 상태 또는 증상/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달리, 골관절염은 결합 조직 질환으로, 역학적 발작 유도된 관절성 연골 변성, 아연골 골 리모델링 및 제한된 활막염 염증 반응으로부터 유도되는 병리학을 갖는다. 이들 활성의 순 결과는 관절 연골의 침식, 관절주위 연골내 골화/골 세균증, 아연골 골 괴사 및 낭포 형성에 대해 이차적인 관절 변형이다[참고문헌: Oettmeier, R., and K. Abendroth, 1989, "Osteoarthritis and bone: osteologic types of osteoarthritis of the hip," Skeletal Radiol. 18:165-74; Cutolo M, Seriolo B, Villaggio B, Pizzorni C, Craviotto C, Sulli A. Ann. N.Y. Acad. Sci. 2002 Jun;966:131-42; Cutolo, M. Rheum Dis Clin North Am2000 Nov;26(4):881-95; Bijlsma JW, Van den Brink HR. Am J Reprod Immunol 1992 Oct-Dec;28(3-4):231-4; Jansson L, Holmdahl R.; Arthritis Rheum 2001 Sep;44(9):2168-756; and Purdie DW. Br Med Bull 2000; 56(3):809-23; Merck Manual, 17th edition, pp.449-451]. 본 발명의 양태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관절염 상태의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법에 관한 것이다."Arthritis condition" or "arthritis conditions"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a part thereof is inflammatory or that has a lesion defined by a particular inflammatory state of a joint or joint, most notably a disease of rheumatoid arthritis.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Technology; Academic Press; 1st edition, January 15, 1992]. Arthritis conditions can be caused by inflammation, tumors or infections.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myloidosis, ankylosing spondylitis, bacterial arthritis, basic calcium phosphate crystal deposition disease, Behcet's disease, bursitis and tendonitis, CPPD deposition disease, calcifying tendinitis, carpal tunnel syndrome tunnel syndrome, Ehlers-Danlos syndrome, enteropathic arthritis, Felty's syndrome, myalgia, gout, fungal arthritis, hemochromatosis, hemoptymic disease, hypertrophic osteoarthritis, infectious arthr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juvenile arthritis,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lupus erythematosus, Lyme disease, marfan syndrome, mixed joint tissue disease, multiple myocardial histiocytosis, myopathy, myositis, osteoarthritis, bone necrosis, osteonecrosis chondrotrophy Multiple arthritis, rheumatoid polymyalgia, psoriatic arthritis, Raynaud's phenomenon,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Radar syndrome Arthritis such as Reiter's syndrome, recurrent polychondritis, rheumatoid arthritis, rheumatic fever, sarcoidosis, septic arthritis, scleroderma, Sjogren's syndrome, vertebral dysplasia,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viral arthritis It is useful for treating or preventing arthritis conditions or symptoms / diseases comprising. In contrast to rheumatoid arthritis, osteoarthritis is a connective tissue disease, with pathology induced from epileptic seizure-induced articular cartilage degeneration, zinc bone bone remodeling and limited synovitis inflammatory response. The net result of these activities is secondary joint deformation for erosion of articular cartilage, periarticular cartilage / osteobacterialness, zinc bone necrosis and cyst formation [Oettmeier, R., and K. Abendroth, 1989] , "Osteoarthritis and bone: osteologic types of osteoarthritis of the hip," Skeletal Radiol. 18: 165-74; Cutolo M, Seriolo B, Villaggio B, Pizzorni C, Craviotto C, Sulli A. Ann. N.Y. Acad. Sci. 2002 Jun; 966: 131-42; Cutolo, M. Rheum Dis Clin North Am 2000 Nov; 26 (4): 881-95; Bijlsma JW, Van den Brink HR. Am J Reprod Immunol 1992 Oct-Dec; 28 (3-4): 231-4; Jansson L, Holmdahl R .; Arthritis Rheum 2001 Sep; 44 (9): 2168-756; and Purdie DW. Br Med Bull 2000; 56 (3): 809-23; Merck Manual, 17th edition, pp. 449-451]. Aspects of the invention include methods of treating, reducing, inhibiting or preventing arthritis conditions,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Another aspect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reducing, inhibiting or preventing osteoarthritis,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1에 상응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bisphosphonate” corresponds to formula 1 below.

상기식에서,In the above formula,

R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R 1 i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 OH and Cl,

R2는 독립적으로, CH3, Cl, CH2CH2NH2, (CH2 )3NH2, CH2-3-피리딜, CH2-S-페닐-Cl, CH2CH2N(CH3)(펜틸), CH2-이미다졸, CH2-2-이미다조-피리디닐, N-(사이클로헵틸), CH2CH(CH3)2, (CH2)5NH2 및 CH2-1-피롤리디닐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R1은 OH이고, R2는 3-아미노프로필 잔기여서, 수득한 화합물은 4-아미노-1-하이드록시부틸리덴-1,1-비스포스포네이트, 즉 알렌드로네이트이다.R 2 is independently CH 3 , Cl, CH 2 CH 2 NH 2 , (CH 2 ) 3 NH 2 , CH 2-3 -pyridyl, CH 2 -S-phenyl-Cl, CH 2 CH 2 N (CH 3) (cyclopentyl), CH 2 - imidazole, CH 2 -2- imidazo-pyridinyl, N- (cycloheptyl), CH 2 CH (CH 3 ) 2, (CH 2) 5 NH 2 and CH 2 - 1-pyrrolidinyl and mixtures thereof.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R 1 is OH and R 2 is a 3-aminopropyl moiety such that the compound obtained is 4-amino-1-hydroxybutylidene-1,1-bisphosphonate, ie alendronate.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및 수화물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에 의해 포함된다. 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암모늄 염을 포함하여, 알칼리 금속, 알칼리성 금속, 암모늄 및 모노-, 디-, 트리- 또는 테트라-C1-C30-알킬 치환된 암모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포함된다. 유도체의 비제한적 예로는 에스테르 및 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다양한 수화물 및 다른 용매화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함수량이 약 1 내지 12%인 수화물을 포함하는, 알렌드로네이트의 수화물 및 이들의 결정 형태가 포함된다. 알렌드로네이트 및 다른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비제한적 예로는 일수화물, 이수화물, 삼수화물, 반수화물, 1/4 수화물, 1/3 수화물, 2/3 수화물, 3/4 수화물, 5/4 수화물, 4/3 수화물 및 3/2 수화물이 포함된다.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and hydrates of bisphosphonates are also encompassed by the compound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Non-limiting examples of salts include alkali, alkaline metal, ammonium and mono-, di-, tri- or tetra-C 1 -C 30 -alkyl substituted ammonium, including sodium, potassium, calcium, magnesium and ammonium sal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n-limiting examples of derivatives include th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sters and amide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is invention are various hydrates and other solvates of bisphosphonates,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Hydrates of alendronate and their crystalline forms are include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ydrates having a water content of about 1-12%. Non-limiting examples of alendronate and other bisphosphonates include monohydrate, dihydrate, trihydrate, hemihydrate, quarter hydrate, 1/3 hydrate, 2/3 hydrate, 3/4 hydrate, 5/4 hydrate, 4/3 hydrate And 3/2 hydrates.

본 발명에 유용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비제한적 예로는 다음이 포함된다:Non-limiting examples of bisphosphonate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following:

알렌드론산, 4-아미노-1-하이드록시부틸리덴-1,1-비스포스폰산.Allendronic acid, 4-amino-1-hydroxybutylidene-1,1-bisphosphonic acid.

알렌드로네이트(또한,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또는 일나트륨 삼수화물로 공지됨, 상표명: FOSAMAX), 4-아미노-1-하이드록시부틸리덴-1,1-비스포스폰산 일나트륨 삼수화물. (알렌드론산 및 알렌드로네이트는, 예를 들면, 1990년 5월 1일자로 Kieczykowski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22,007호 및 1991년 5월 28일자로 Kieczykowski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019,651호에 기술되어 있다).Alendronate (also known as Alendronate sodium or monosodium trihydrate, trade name: FOSAMAX ), 4-amino-1-hydroxybutylidene-1,1-bisphosphonic acid monosodium trihydrate. (Alendronic acid and alendronate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S Pat. No. 4,922,007 to Kieczykowski et al., May 1, 1990 and US Pat. No. 5,019,651 to Kieczykowski et al., May 28, 1991). .

사이클로헵틸아미노메틸렌-1,1-비스포스폰산, YM 175, Yamanouchi(인카드로네이트 또는 시마드로네이트)(예를 들면, 1990년 11월 13일자로 Isomura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70,335호에 기술됨).Cycloheptylaminomethylene-1,1-bisphosphonic acid, YM 175, Yamanouchi (Incadronate or Shimadronate) (e.g., described in US Pat. No. 4,970,335 to Isomura et al. On November 13, 1990) ).

1,1-디클로로메틸렌-1,1-디포스폰산(클로드론산) 및 이나트륨 염(클로드로네이트, Procter and Gamble)은, 예를 들면, 문헌[참고문헌: 벨기에 특허 제672,205호 (1966) 및 J. Org. Chem 32, 4111(1967)]에 기술되어 있다.1,1-dichloromethylene-1,1-diphosphonic acid (clodonic acid) and disodium salts (chlorodenate, Procter and Gamble)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Belgian Patent No. 672,205 (1966). And J. Org. Chem 32, 4111 (1967).

1-하이드록시-3-(1-피롤리디닐)-프로필리덴-1,1-비스포스폰산(EB-1053).1-hydroxy-3- (1-pyrrolidinyl) -propylidene-1,1-bisphosphonic acid (EB-1053).

1-하이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에티드론산).1-hydroxyethane-1,1-diphosphonic acid (ethidronic acid).

1-하이드록시-3-(N-메틸-N-펜틸아미노)프로필리덴-1,1-비스포스폰산(또한, BM-210955로 공지됨, Boehringer-Mannheim(이반드로네이트); 예를 들면, 1990년 5월 22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27,814호에 기술되어 있음).1-hydroxy-3- (N-methyl-N-pentylamino) propylidene-1,1-bisphosphonic acid (also known as BM-210955, Boehringer-Mannheim (ibandronate); for example US Patent No. 4,927,814, issued May 22, 1990).

[1-하이드록시-2-이미다조피리딘-(1,2-a)-3-일에틸리덴]-비스-포스포네이트(미노드로네이트).[1-hydroxy-2-imidazopyridine- (1,2-a) -3-ylethylidene] -bis-phosphonate (minodronate).

6-아미노-1-하이드록시헥실리덴-1,1-비스포스폰산(네리드로네이트).6-amino-1-hydroxyhexylidene-1,1-bisphosphonic acid (neridronate).

3-(디메틸아미노)-1-하이드록시프로필리덴-1,1-비스포스폰산(올파드로네이트).3- (dimethylamino) -1-hydroxypropylidene-1,1-bisphosphonic acid (olpadronate).

3-아미노-1-하이드록시프로필리덴-1,1-비스포스폰산(파미드로네이트).3-Amino-1-hydroxypropylidene-1,1-bisphosphonic acid (pamideronate).

[2-(2-피리디닐)에틸리덴]-1,1-비스포스폰산(피리드로네이트)(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761,406호에 기술되어 있음).[2- (2-pyridinyl) ethylidene] -1,1-bisphosphonic acid (pyridronate) (see, eg, US Pat. No. 4,761,406).

1-하이드록시-2-(3-피리디닐)-에틸리덴-1,1-비스포스폰산(리세드로네이트).1-hydroxy-2- (3-pyridinyl) -ethylidene-1,1-bisphosphonic acid (risdronate).

(4-클로로페닐)티오메탄-1,1-디스포스폰산(틸루드로네이트)(예를 들면, 1989년 10월 24일자로 Breliere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76,248호에 기술되어 있음).(4-Chlorophenyl) thiomethane-1,1-disphosphonic acid (tylideronate) (e.g., described in US Pat. No. 4,876,248 to Breliere et al. On October 24, 1989).

1-하이드록시-2-(1H-이미다졸-1-일)에틸리덴-1,1-비스포스폰산(졸레드로네이트).1-hydroxy-2- (1H-imidazol-1-yl) ethylidene-1,1-bisphosphonic acid (zoledronate).

본 발명의 양태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및 수화물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알렌드로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알렌드로네이트의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및 암모늄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또는, 예를 들면,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일수화물 또는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삼수화물을 포함하는 이의 수화물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isphosphonat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endrona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and hydrates thereof and mixtures there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alendronat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odium, potassium, calcium, magnesium and ammonium salts of allendronate and include allandronate monosodium or, for example, allandronate sodium monohydrate or allandronate sodium trihydrate. May be its hydrate.

한 양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의 질소 함유 비스포스포네이트 그룹의 일원인,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4-아미노-1-하이드록시부틸리덴-1,1-비스포스페이트의 일나트륨 염)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llendronate sodium (monosodium salt of 4-amino-1-hydroxybutylidene-1,1-bisphosphate), which is a member of the nitrogen-containing bisphosphonate group of the medicament.

본 발명의 치료학적 제제를 언급함에 있어서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스포스포네이트(들)"은 디포스포네이트, 비스포스폰산 및 디포스폰산 뿐만 아니라, 이들 물질의 염, 유도체 및 수화물을 또한 포함함을 의미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들)을 언급함에 있어서 특정 명명법의 사용은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가 통상 사용하는 혼합 명명법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의 특정 중량 또는 %는 본원에서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산 활성 중량 기준이다. 이들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 형태를 기준으로 계산된 비스포스포네이트 용량은 이들의 비스포스폰산 활성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용량 범위내에 포함된다. 또한, 알렌드로네이트의 모든 수화물 형태의 용량은 알렌드론산 활성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다. 예를 들면, 알렌드로네이트 및 이의 염의 일수화물, 삼수화물, 반수화물 및 모든 다른 수화물 형태는 이들의 알렌드론산 활성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다. 다른 예로서, 문장 "알렌드론산 활성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및 수화물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골 흡수 억제 비스포스포네이트 약 70㎎"은 선택된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의 양이 알렌드론산 70㎎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된 것임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in referring to a therapeutic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bisphosphonate (s)” includes diphosphonates, bisphosphonic acids and diphosphonic acids, as well as salts, derivatives and hydrates of these materials. it means. The use of specific nomenclature in referring to bisphosphonate (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Because of the mixed nomenclature common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pecific weight or percentage of bisphosphonate comp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cid active weight, 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Bisphosphonate dose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ir salt, derivative or hydrate forms are included within the dose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ir bisphosphonic acid active weight. In addition, the doses of all hydrate forms of the alendronate are calculated based on the active weight of the allandronic acid. For example, the monohydrate, trihydrate, hemihydrate, and all other hydrate forms of the alendronate and salts thereof are calculated based on their weight of the active action of alendronic acid. As another example, the sentence "about 70 mg of bone absorption inhibiting bisphosphonat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endronat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and hydrates thereof, and mixtures thereof, based on the active weight of alendronic acid" is selected. It is meant that the amount of bisphosphonate compound is calculated based on 70 mg of alendronic acid.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사용된, 용어 "비스포스폰산" 및 "알렌드론산"은 관련된 비스포스폰산 형태,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 및 이들의 대등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용어는 알렌드론산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의 결정, 수화 결정 및 무정형 형태를 포함한다. 용어 "알렌드론산"은 특히,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수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반수화물,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일수화물,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삼수화물, 무수 알렌드로네이트 이칼륨 및 알렌드로네이트 이칼륨 오수화물을 포함한다.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일수화물 및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의 다른 결정 형태는 미국 특허 제6,281,381호에 기술되어 있다. 알렌드론산의 칼륨 염 및 이의 수화물이 국제 특허공보 제WO 99/20635호에 기술되어 있다.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terms “bisphosphonic acid” and “alendronic acid” include the related bisphosphonic acid forms,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forms, and equivalent mixtures thereof. The term includes crystals, hydrated crystals, and amorphous forms of alendronic acid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The term “alendronic acid” in particular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nhydrous alendronate monosodium, alendronate monosodium hemihydrate, alendronate monosodium monohydrate, alendronate monosodium trihydrate, anhydronate allandronate dipotassium and alendronate dipotassium pentahydrate do. Alendronate monosodium monohydrate and other crystalline forms of alendronate sodium are described in US Pat. No. 6,281,381. Potassium salts of alendronic acid and their hydrates are described in WO 99/20635.

비스포스폰산 활성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비스포스포네이트의 투여 용량을 정하고 계산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 용량은 다른 염 또는 수화물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고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 리세드로네이트의 투여 용량은 무수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 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다. 문헌[참고문헌: Physician's Desk Reference(55th Edition, page 2654 (2001)]에 따라, 예를 들면, 각각의 리세드로네이트 정제는 소량의 일수화물과 함께 반-오수화물의 형태인 무수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 5 내지 30㎎을 함유한다.While it is common to determine and calculate the dose of bisphosphonate based on the bisphosphonic acid active weight, the bisphosphonate dose can be calculated and administered based on other salt or hydrate forms. For example, the dosage of bisphosphonate risedronate is calculated based on the weight of anhydrous risedronate sodium salt. According to Physician's Desk Reference (55 th Edition, page 2654 (2001)), for example, each risedronate tablet is anhydrous risedronate in the form of a semi-pentahydrate with a small amount of monohydrate. It contains 5 to 30 mg of sodium.

본원에 사용된, 용어 "콜레칼시페롤 과립"은 콜레칼시페롤을 함유하는 과립을 의미하며, 또한 비타민 D3 전구체, 비타민 D3의 이성체, 트랜스에스테르화 비타민 D3 또는 이의 이성체 및/또는 부가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cholecalciferol granules" as used in the collation means granules containing the knife during Ferrol and also vitamin D 3 precursor, isomers of vitamin D 3, transesterification vitamin D 3 or its isomers and / or It may contain additional excipients.

본원에 사용된, 용어 "계속적인 일정" 또는 "계속적인 투여 일정"은 투여 섭식이 목적하는 치료 효과가 성취될 때까지 반복됨을 의미한다. 계속적인 일정 또는 계속적인 투여 일정은 주기적 또는 간헐적 투여와 구별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continuous schedule” or “continuous schedule of administration” means that the dosage regimen is repeated until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is achieved. Continuous or continuous dosing schedules are distinguished from periodic or intermittent dosing.

본원에 사용된, 용어 "무수 비타민 D3 100 과립"은 BASF에서 시판중인 젤라틴 피복된 약제학적 등급의 과립인 무수 비타민 D3 100임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dry vitamin D 3 100 granules" as used means that the commercially available gelatin-coated granules of the pharmaceutical grade dry vitamin D 3 100 from BASF.

본원에 사용된, 용어 "보편적 골 손실"은 다발성 골격 부위 또는 골격 시스템을 통한 골 손실을 의미한다. 용어 "국부 골 손실"은 하나 이상의 특이적 한정된 골격 부위의 골 손실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universal bone loss" refers to bone loss through multiple skeletal sites or skeletal systems. The term "local bone loss" refers to bone loss of one or more specific defined skeletal sites.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할 필요가 있는 사람", "예방이 필요한 사람", "이의 필요성이 있는 사람" 및 "이의 위험이 있는 사람"은 임상학자 또는 연구가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질환 상태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고, 질환 상태의 예방, 경감, 억제 또는 감소가 필요하거나, 질환 상태의 발병 위험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person in need of treatment”, “person in need of prevention”, “person in need of it” and “person at risk” refer to a disease state, as determined by a clinician or researcher. Means a person in need of treatment, prevention, alleviation, inhibition or reduction of a disease state, or at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state.

본원에 사용된, 용어 "IU"은 국제 단위(International Units)를 의미한다. 비타민 D의 효능 및 용량을 언급함에 있어서, 국제 단위(IU)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1 국제 단위(IU)는 결정성 국제 표준 또는 순수 비타민 D 0.025㎍의 특이적 생물학적 활성으로서 정의된다. 다른 방식으로 언급하면, 비타민 D 1㎍은 대략 40IU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IU" refers to International Units. In referring to the efficacy and dosage of vitamin D, it is customary to use international units (IU). One international unit (IU) is defined as the specific biological activity of crystalline international standard or 0.025 μg pure vitamin D. Stated another way, 1 μg of vitamin D is approximately 40 IU.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가 필요한 포유동물", "예방이 필요한 포유동물", "이의 필요성이 있는 포유동물" 및 "이의 위험이 있는 포유동물"은 임상학자 또는 연구가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질환 상태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고, 질환 상태의 예방, 경감, 억제 또는 감소가 필요하거나, 질환 상태의 발병 위험이 있는 포유동물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mammal in need of treatment", "mammal in need of prevention", "mammal in need thereof" and "mammal at risk", as determined by a clinician or researcher, Means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for a disease state, prevention, alleviation, inhibition or reduction of a disease state, or at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state.

본원에 사용된, 용어 "주-1회 투여"는 단위 용량,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화합물의 단위 용량이 주 1회로, 즉 7일 주기 동안 1회, 바람직하게는 각 주에 동일한 날에 투여됨을 의미한다. 주-1회 투여 섭식에서, 단위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7일마다 투여된다. 주-1회 투여 섭식의 비제한적 예는 매주 일요일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화합물의 단위 용량을 투여하는 것이다. 주-1회 투여를 위한 단위 용량은 연속적인 날에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주-1회 투여 섭식은 단위 용량을 상이한 2주 기간내에 이틀 연속으로 투여하는 투여 섭식을 포함할 수 있다고 통상적으로 제시되고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weekly administration” refers to a unit dose of bisphosphonate and a vitamin D compound once a week, ie once during a 7 day cycle, preferably on the same day each week. It means to administer to. In a weekly dosing regimen, the unit dose is generally administered about every seven days. A non-limiting example of a weekly dosing regimen is the administration of unit doses of 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compounds every Sunday. It is commonly suggested that unit doses for weekly administration are not administered on consecutive days, but weekly dosage regimens may include dosage regimens in which the unit dose is administered two consecutive days within a different two week period. have.

본원에 사용된, 용어 "골증식체"는 관절 주변에 위치한 새로이 형성된 골 구조를 의미하며, 이들의 발생은 골관절염 진행의 후기 단계와 상당히 관련이 있다. 현재의 가설은 골증식체가 새로운 연골 성장을 유도하는 활성화된 골막으로부터 생성되며, 이는 실제로 연골내 골 형성의 과정에 의해 골로 전환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osteoproliferator" refers to newly formed bone structures located around the joints, the occurrence of which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ater stages of osteoarthritis progression. The current hypothesis is that osteoblasts are produced from activated periosteum that induces new cartilage growth, which is actually converted into bone by the process of intrachondral bone formation.

비스포스포네이트(예: 알렌드로네이트)의 염, 에스테르, 수화물 및 유도체와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 이들로부터 유도되는 유리 산 형태와 동일한 일반적인 약리학적 특성을 가지며, 독성면에서 허용됨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with reference to salts, esters, hydrates, and derivatives of bisphosphonates (such as alendronates),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the same general pharmacology as the free acid form from which th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of bisphosphonates are derived. Has the properties of a chemical and is acceptable in terms of toxicity.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치료 섭식에 따라 투여하는 경우에 목적하는 치료학적 효과 또는 반응을 나타내는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또는 비타민 D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 유효량은, 예를 들면, 비정상적인 골 흡수의 예방, 감소, 억제 또는 치료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치료 섭식에 따라 투여되는 양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the amount of a compound, such as a bisphosphonate compound or vitamin D compound, that exhibits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or response when administered according to a therapeutic diet.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s of bisphosphonates are, for example, amounts administered in accordance with a therapeutic regimen sufficient to induce the prevention, reduction, inhibition or treatment of abnormal bone absorption.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 등급"은 적용 가능한 미국 약전(USP) 및 유럽 약전(Ph Eur)의 개론적인 요건에 부합되도록 하는 충분한 품질 및 효능을 의미한다. 요즘, 제형화된 비타민 D3 제품에 대한 USP 연구논문은 없지만, 적용 가능한 Ph. Eur. 연구논문이 출판되었다. "약제학적 등급"의 콜레칼시페롤은,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영양 보충제로 통상 사용되는 비타민 D보다 우수한 등급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pharmaceutical grade" means sufficient quality and efficacy to meet the introductory requirements of the applicable US Pharmacopoeia (USP) and the European Pharmacopoeia (Ph Eur). Nowadays, there are no USP studies on formulated vitamin D 3 products, but the Ph. Eur. A research paper has been published. Cholecalciferol of "pharmaceutical grade" is, for example, a grade that is superior to vitamin D, which is generally used as a nutritional supplement.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 억제, 감소 또는 치료함"은 파골세포 형성 또는 작용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변화를 통해 비정상적인 골 흡수(및 생성된 생리학적 상태 - 예를 들면, 골다공증)를 나타냄을 포함하며, 골 손실의 예방, 억제, 감소 또는 치료, 특히 파골세포 형성 또는 작용의 직접 또는 간접 변화를 통해 무기질 상 및/또는 유기 매트릭스 상으로부터 존재하는 골의 제거 억제를 포함한다. 이들 용어는 또한 질환 또는 상태로부터 완화를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다른 질환 상태 또는 조건을 나타냄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reventing, inhibiting, reducing or treating" refers to abnormal bone uptake (and resulting physiological conditions such as osteoporosis) through direct or indirect changes in osteoclast formation or action. Prevention, inhibition, reduction or treatment of bone loss, in particular inhibition of removal of bone present from the mineral phase and / or organic matrix phase through direct or indirect changes in osteoclast formation or action. These terms are also meant to refer to other disease states or conditions in a manner that promotes alleviation from the disease or condition.

본원에 사용된, 용어 "목적하는 치료학적 효과가 성취될 때까지"는 조성물,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콜레칼시페롤 조성물을 선택된 투여 일정에 따라 투여하거나, 치료 과정이 질환 또는 상태에 대해 요구되는 임상적 또는 의학적 효과가 임상학자 또는 연구가에 의해 관찰되는 시점까지 반복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있어서,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은 골 질량 또는 구조에서 목적하는 변화가 관찰될 때까지 계속해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골 질량의 증가를 성취하고, 골 질량의 추가 감소를 예방하거나, 비정상적인 골 구조를 보다 정상적인 골 구조로 대체하는 것이 목적하는 목적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은 목적하지 않은 상태를 예방하기에 필요한 만큼 동안만 계속해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골 질량 밀도의 유지가 종종 목적이 된다. 투여 기간의 비제한적 예는 약 2주 내지 포유동물의 잔존 수명의 범위일 수 있다. 사람의 경우, 투여 기간은 약 2주 내지 사람의 나머지 수명, 바람직하게는, 약 2주 내지 약 40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개월 내지 약 35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개월 내지 약 30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년 내지 약 20년의 범위일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until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is achieved” refers to the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such as a bisphosphonate and cholecalciferol composition, according to a selected dosing schedule, or where the course of treatment requires a disease or condition. Mean that the clinical or medical effect is repeated until the point at which it is observed by the clinician or researcher. In the method of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sphosphonate compound can be administered continuously until the desired change in bone mass or structure is observed. In this case, one of the objectives is to achieve an increase in bone mass, to prevent further reduction in bone mass, or to replace abnormal bone structures with more normal bone structures.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sphosphonate compound can be administered continuously only as long as necessary to prevent an undesired condition. In such cases, maintenance of bone mass density is often a goal. Non-limiting examples of administration periods can range from about 2 weeks to the remaining lifespan of the mammal. For humans, the administration period is from about 2 weeks to the rest of the human life, preferably from about 2 weeks to about 40 years, more preferably from about 1 month to about 35 years, more preferably from about 6 months to about 30 Years and most preferably about 1 year to about 20 years.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타민 D"는 비타민 D2 및 비타민 D3을 모두 의미하며, 이는 도 3에 제시된 화학식을 갖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타민 D의 대사물질" 및 "비타민 D의 유도체"는 비타민 D2 및 비타민 D3의 대사물질 및 유도체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타민 D 화합물"은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 및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비타민 D2 전구체와 비타민 D3 전구체 뿐만 아니라,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D2 전구체 또는 비타민 D3 전구체의 이성체나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관련 생리학적 온도에서, 비타민 D2 및 비타민 D3은 평형이 비타민 D2 및 비타민 D3 쪽으로 이동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각각의 비타민 전구체의 이성체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타민 D 화합물"은 비타민 D의 대사물질(예: 25-하이드록시콜레칼시페롤 또는 칼시트리올이나, 이들의 동족체)은 포함하지 않으며, 용어는 활성 호르몬 칼시트리올 또는 이의 동족체도 포함하지 않는다. 용어 비타민 D3 및 콜레칼시페롤은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vitamin D” refers to both vitamin D 2 and vitamin D 3 , which have the formula shown in FIG. 3. As used herein, the terms "metabolites of vitamin D" and "derivatives of vitamin D" refer to vitamin D 2 and metabolites and derivatives of vitamin D 3 . As used herein, the term “vitamin D compound” refers to vitamin D 2 (ergocalciferol) and vitamin D 3 (cholecalciferol), 7-dehydrocholesterol and vitamin D 2 precursor and vitamin D 3 precursor, 7-dehydrocholesterol, vitamin D 2 , vitamin D 3 , vitamin D 2 precursor or isomer or ester of vitamin D 3 precursor, or mixtures thereof. At the relevant physiological temperature, vitamin D 2 and vitamin D 3 are identical to the isomers of their respective vitamin precursors, although the equilibrium shifts towards vitamin D 2 and vitamin D 3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vitamin D compound" does not include metabolites of vitamin D (such as 25-hydroxycholecalciferol or calcitriol, or their analogs), and the term also includes the active hormone calcitriol or its analogs. I never do that. The terms vitamin D 3 and cholecalciferol are used interchangeably unless otherwise indicated.

본 발명은 비스포스포네이트, 또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 양태로,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은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일수화물 및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삼수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비타민 D 화합물은 콜레칼시페롤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bisphosphonate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of bisphosphonates, or mixtures thereof and vitamin D compounds.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isphosphonate compoun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endronate Sodium, Alendronate Sodium Monohydrate, and Alendronate Sodium Trihydrate, and the vitamin D compound is cholecalciferol.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화합물의 정확한 용량은 투여 일정, 선택된 특정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구 효능, 포유동물 또는 사람의 연령, 크기,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환의 특성 및 중증도와, 다른 관련 의학적 및 물리적 인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약제학적 유효량은 미리 한정할 수 없지만, 캐어기버(caregiver) 또는 임상학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적절한 양은 동물 모델 및 사람의 임상 연구로부터 통상의 실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 유효량은 목적하는 치료학적 효과가 성취될 때까지 계속되는 투여 일정에 따라 선택된다. 사람의 경우,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구 투여 유효량은 전형적으로 체중이 75㎏인 피검자에 대해, 약 0.0001 내지 약 100㎎/체중㎏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0005 내지 약 20㎎/체중㎏이다.The exact dose of bisphosphonate and vitamin D compound will depend on the schedule of administration, the oral efficacy of the particular bisphosphonate chosen, the age, size, sex and condition of the mammal or human, the natur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to be treated, and other related medical and physical factors. . Thus, the exact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cannot be defined in advance, but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caregiver or clinician. Appropriate amounts can be determined by routine experimentation from animal models and clinical studies in humans. In general,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bisphosphonat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osing schedule that continues until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is achieved. In humans, an oral dose effective amount of bisphosphonate is typically from about 0.0001 to about 100 mg / kg body weight, preferably from about 0.0005 to about 20 mg / kg body weight for a subject weighing 75 kg.

본 발명의 양태에서, 비타민 D 화합물의 적절한 양은 골 흡수 억제 효과를 수득하기 위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능력을 방해하지 않고, 투여 간격 도중 적절한 비타민 D 영양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 및 비타민 D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경구용 조성물의 경우, 비타민 D 화합물의 양은 약 100 내지 약 60,000IU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비타민 D 화합물의 경구 투여 용량의 비제한적인 예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타민 D 화합물 700IU, 1,400IU, 2,800IU, 4,200IU, 5,600IU, 7,000IU, 8,400IU, 14,000IU, 28,000IU, 36,000IU 및 60,000IU의 용량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amount of vitamin D compound is selected to provide adequate vitamin D nutrition during the interval of administra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bility of bisphosphonates to achieve a bone resorption inhibitory effect. For or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comprising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and vitamin D, the amount of vitamin D compound comprises from about 100 to about 60,000 IU.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n-limiting examples of oral doses of vitamin D compound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vitamin D compounds 700 IU, 1,400 IU, 2,800 IU, 4,200 IU, 5,600 IU, 7,000 IU, 8,400 IU, 14,000 Capacities of IU, 28,000 IU, 36,000 IU and 60,000 IU.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제학적 유효량의 알렌드로네이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의 경우에, 알렌드로네이트의 경구용 약제학적 유효량은 전형적으로 알렌드론산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1120㎎의 알렌드로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알렌드로네이트의 경구용 약제학적 유효량의 비제한적 예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알렌드론산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5㎎, 5㎎, 8.75㎎, 10㎎, 17.5㎎, 35㎎, 40㎎, 70㎎, 140㎎, 280㎎, 560㎎ 및 1120㎎의 알렌드로네이트 용량을 포함한다.In the case of an oral composition comprising a vitamin D compound and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lendronat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mixtures thereof, the oral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alendronate is typically the weight of alendronic acid. Based on about 0.05 to about 1120 mg of the alendronate compound. Non-limiting examples of oral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s of alendronate 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but are about 2.5 mg, 5 mg, 8.75 mg, 10 mg, 17.5 mg, 35, based on the weight of the alendronic acid, respectively. Alendronate doses of mg, 40 mg, 70 mg, 140 mg, 280 mg, 560 mg and 1120 mg.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경구 투여를 위한 투여 형태에 있어서 적절히 선택된 적절한 약제학적 희석제, 부형제 또는 담체와 함께 투여된다. 경구 투여 형태의 예로는 정제(압착, 피복 또는 비피복 포함), 캡슐제(이들 각각은 서방출 제형 또는 지정 시간의 방출 제형을 포함한다),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제, 펠릿, 환제, 산제, 과립제, 엘릭서제, 팅크제, 슬러리, 발포 조성물, 필름,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 시럽제 및 에멀젼제 등이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이는 또한 약제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익히 공지된 형태를 모두 사용하는 정맥내(일시주사제 또는 주입제), 복강내, 국소(예: 안구용 점안액), 비내, 흡입, 피하, 근육내 또는 경피(예: 패치) 형태, 계량 에어로졸 또는 액체 스프레이, 점적제, 앰풀, 자가 주사 장치 또는 좌제로 투여될 수 있다. 목적하는 조성물의 비독성 유효량이 사용될 수 있다. 당해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비내,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나, 흡입제(inhalation, insufflation)에 의한 투여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 제형은, 예를 들면, 문헌[참고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 1995)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re typically administered with a suitable pharmaceutical diluent, excipient or carrier appropriately selected for the dosage form for oral administration. Examples of oral dosage forms include tablets (including compressed, coated or uncoated), capsules (each of which include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or timed release formulations), hard or soft gelatin capsules, pellets, pills, powders, Granules, elixirs, tinctures, slurries, foaming compositions, films, sterile solutions or suspensions, syrups and emulsions and the like. Similarly, it is also an intravenous (temporary injection or infusion), intraperitoneal, topical (eg ophthalmic eye drops), nasal, inhalation, subcutaneous, intramuscular or transdermal use of all form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pharmaceutical arts. (Eg, in a patch) form, metered aerosol or liquid spray, drop, ampoule, self-injecting device or suppository. Non-toxic effective amounts of the desired compositions can be used. The composition is suitable for oral, parenteral, nasal, sublingual or rectal administration, or administration by inhalation, insufflation. Compositional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 th ed. It may conveniently be carried out by methods known in the art as described in 1995).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펠릿 또는 산제의 형태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에, 활성 성분은 경구용의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예: 락토즈, 전분, 슈크로즈, 글루코즈, 메틸 셀룰로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만니톨, 소르비톨,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등)와 혼합할 수 있고, 액체 형태로 경구 투여(예: 엘릭서제, 시럽제, 슬러리, 에멀젼제, 현탁제, 용액제 및 발포성 조성물)하는 경우에는, 경구용 약제 성분은 경구용의 비독성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담체(예: 에탄올, 글리세롤 및 물 등)와 혼합할 수 있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 적절한 결합제, 충전제, 희석제, 윤활제, 압착 보조제, 붕해제, 완충제, 피복제 및 착색제를 또한 혼입할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분, 젤라틴, 천연 당(예: 글루코즈, 무수 락토즈, 유리 유동 락토즈, 베타-락토즈 및 옥수수 감미료), 천연 및 합성 고무(예: 아카시아, 구아, 트라가칸트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왁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투여 형태에 사용되는 윤활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트륨 올레에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벤조에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및 염화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붕해제는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을 포함하여, 몇몇 개질된 전분 또는 개질된 셀룰로즈 중합체중 하나일 수 있다. 압착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즈, 인산이칼슘, 셀룰로즈, 미세결정 셀룰로즈 등이 포함된다. 분말 혼합물의 유동 특성을 개선하는 활주제가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활주제의 예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활석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또한 목적하는 약제 담체로서 가용성 중합체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비닐피롤리돈, 피란 공중합체 및 폴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358,941호, 제5,882,656호 및 PCT 공보 제WO 95/2967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부가의 부형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dministered orally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pellets or powders, the active ingredient is an oral,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ert carrier such as lactose, starch, sucrose, glucose, methyl Cellulose, magnesium stearate, mannitol, sorbitol, croscarmellose sodium, etc.) and orally administered in liquid form (e.g., elixirs, syrups, slurries, emulsions, suspensions, solutions and foaming compositions) In this case, the oral pharmaceutical ingredient may be mixed with an oral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ert carrier such as ethanol, glycerol and water. Moreover, if desired, suitable binders, fillers, diluents, lubricants, compression aids, disintegrants, buffers, coatings and coloring agents may also be incorporated. Suitable bind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arch, gelatin, natural sugars such as glucose, anhydrous lactose, free flowing lactose, beta-lactose and corn sweeteners, natural and synthetic rubbers such as acacia, guar, trad. Gancant or sodium alginate), carboxymethyl cellulose, polyethylene glycol and wax, and the like. Lubricants used in these dosage forms ca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odium oleate, sodium stearate, magnesium stearate, sodium benzoate, sodium acetate, sodium chloride, and the like. Suitable disintegrants may be one of several modified starch or modified cellulose polymers, including croscarmellose sodium. Diluents that can be used as compression aid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actose, dicalcium phosphate,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the like. Glidants that improv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 mixture can als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glid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olloidal silicon dioxide and talc. The compositions used in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may also be combined with soluble polymers as the desired pharmaceutical carrier. Such polymer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vinylpyrrolidone, pyran copolymers, polyhydroxypropyl-methacrylamide, and the like. Additional excipients as described in US Pat. Nos. 5,358,941, 5,882,656 and PCT Publication WO 95/29679 may also be used.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예를 들면, 약 0.5 내지 약 90 중량%의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약 1 내지 약 70중량%의 콜레칼시페롤 과립(약 0.0005 내지 약 20중량%의 콜레칼시페롤에 상당), 약 10 내지 약 80중량%의 무수 락토즈, 약 5 내지 약 50중량%의 미세결정 셀룰로즈, 약 0.1 내지 약 5중량%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약 0.5 내지 약 10중량%의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및 약 0.5 내지 약 5중량%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80 내지 1500㎎의 정제이다.One aspect of the invention corresponds to, for example, about 0.5 to about 90 weight percent of alendronate sodium, about 1 to about 70 weight percent of cholecalciferol granules (about 0.0005 to about 20 weight percent of cholecalciferol) ), About 10 to about 80 weight percent anhydrous lactose, about 5 to about 50 weight percent microcrystalline cellulose, about 0.1 to about 5 weight percent colloidal silicon dioxide, about 0.5 to about 10 weight percent croscarmellose 80 to 1500 mg tablets comprising sodium and about 0.5 to about 5 weight percent magnesium stearate.

무수 비타민 D3 100 과립의 중량 범위는 각 정제에서 2800IU의 효능을 보장하는 것인데, 이는 과립이 g당 비타민 D3을 100,000 내지 110,000IU의 효능 범위로 함유하기 때문이다. 무수 락토즈의 양은 정제에 부가되는 무수 비타민 D3 100 과립의 양에 따라 조절하여 최종 총 중량이 325㎎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예: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경구용 조성물의 다른 비제한적 예는 하기의 예를 포함하여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무수 비타민 D3 100 과립은 과립 중량 1g 당 약 100,000IU의 비타민 D3을 함유한다. 따라서, 28㎎의 무수 비타민 D3 100 과립은 약 2800IU의 비타민 D3을 함유하며, 이는 약 70㎍의 비타민 D3와 동일하다.The weight range of 100 g of anhydrous vitamin D 3 granules is to guarantee the efficacy of 2800 IU in each tablet, since the granules contain an effective range of 100,000 to 110,000 IU of vitamin D 3 per gram. The amount of anhydrous lactose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anhydrous vitamin D 3 100 granules added to the tablet so that the final total weight is maintained at 325 mg. Other non-limiting examples of or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comprising bisphosphonate compounds (such as alendronate) and vitamin D compounds are described herein, including the following examples. Anhydrous Vitamin D 3 100 granules contain about 100,000 IU of vitamin D 3 per gram of granule weight. Thus, 28 mg of anhydrous vitamin D 3 100 granules contain about 2800 IU of vitamin D 3 , which is equivalent to about 70 μg of vitamin D 3 .

본원에 기술된 양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은 주-1회, 2주, 1개월, 1개월 2회 및 2개월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주-1회 투여의 경우, 알렌드로네이트의 경구용 약제학적 유효량은 알렌드론산 활성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1120㎎의 알렌드로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1주 경구용 약제학적 유효량의 알렌드로네이트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양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 35 내지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에 유용한 단위 용량;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치료에 유용한 단위 용량;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 280㎎의 알렌드로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파제트 병 치료에 유용한 단위 용량; 및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 280㎎의 알렌드로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이성 골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단위 용량을 포함한다.Includ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weekly, two weeks, one month, two times a month, and two month intervals. For week-to-week administration with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al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alendronate comprises from about 0.05 to about 1120 mg of the alendronate compound, based on the weight of the alendronic acid activ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at provide a weekly oral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lendronat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unit doses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comprising a vitamin D compound and about 35 to about 70 mg of alendronate compound; Unit dos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including vitamin D compounds and about 70 mg of alendronate compounds; Unit dose useful for treating Paget's disease, including a vitamin D compound and about 280 mg of an alendronate compound; And unit dos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bone disease, including vitamin D compounds and about 280 mg of alendronate compounds.

주-1회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중 약제학적 유효량의 비타민 D 화합물은 약 100 내지 약 60,000IU의 비타민 D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에서, 조성물은 약 100 내지 약 5,6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제학적 유효량의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렌드로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은 알렌드론산 활성 기준으로,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약 0.05 내지 약 1120㎎으로 포함한다.For weekly administration,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vitamin D compound in the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comprises about 100 to about 60,000 IU of vitamin D. Thus, in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es about 100 to about 5600 IU of vitamin D compound and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mixtures thereof. In another embodiment,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mount of the alendronate comprises from about 0.05 to about 1120 mg of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based on the alendronic acid activity.

2주 또는 2개월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중 약제학적 유효량의 비타민 D 화합물은 약 100 내지 약 60,000IU의 비타민 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서, 조성물은 약 100 내지 약 8,4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제학적 유효량의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렌드로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은 알렌드론산 활성 기준으로,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약 0.05 내지 약 1120㎎으로 포함한다.For two weeks or two months of administration,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vitamin D compound in the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comprises about 100 to about 60,000 IU of vitamin D.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es about 100 to about 8,400 IU of vitamin D compound and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mixtures thereof. In another embodiment,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mount of the alendronate comprises from about 0.05 to about 1120 mg of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based on the alendronic acid activity.

매달 투여의 경우에,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중 약제학적 유효량의 비타민 D 화합물은 약 100 내지 약 36,000IU의 비타민 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조성물은 약 100 내지 약 11,200IU의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제학적 유효량의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렌드로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은 알렌드론산 활성 기준으로, 알렌드로네이트,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약 0.05 내지 약 1120㎎으로 포함한다.For monthly administration, 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vitamin D compound in the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bout 100 to about 36,000 IU of vitamin D.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es about 100 to about 11,200 IU of vitamin D compound and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mixtures thereof. In another embodiment,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mount of the alendronate comprises from about 0.05 to about 1120 mg of alendronat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based on the alendronic acid activity.

본 발명은 또한 비정상적인 골 흡수와 관련되는 질환 및 상태(예: 골다공증)의 예방, 감소, 억제 및 치료법을 포함한다. 골다공증으로 고생하는, 즉 골 무기질 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가 폐경후 여성의 표준 미만으로 약 2 또는 2 1/2 이상인 표준 편차를 갖는 사람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지원하였다. 1일 기준으로 제공되는 양의 7배 이상까지로 주-1회 투여되는 비타민 D3은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생체이용율에 역영향을 주지않고, 동시에 비스포스포네이트(예: 알렌드로네이트)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실시예 7 참조). 본 발명의 방법은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동안 적절한 비타민 D를 제공하기 위하여 귀찮고 불규칙하거나, 복잡한 투여 섭식을 필요로 하는 현 치료법의 단점을 갖지 않는다.The invention also includes the prevention, reduction, inhibi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and conditions (eg osteoporosis) associated with abnormal bone absorption.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erson suffering from osteoporosis, i.e., having a standard dev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BMD) of less than or equal to about 2 or 2 1/2 or more below the norm of postmenopausal women. Supported. Vitamin D 3 administered once a week up to 7 times or more of the amount provided on a daily basis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bioavailability of bisphosphonates and may be administered simultaneously with bisphosphonates (eg, alendronate) (Examples 7).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suffer from the disadvantages of current therapies which require annoying, irregular or complex dosage regimens to provide adequate vitamin D during bisphosphonate treatment.

그 결과,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예: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타민 D 화합물 없이 알렌드로네이트 또는 다른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효과적인 모든 지침에 대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골 흡수를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고, 비정상적인 골 흡수 및 이와 관련된 상태를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 질량을 증가시키고, 다음의 상태 및 질환 상태를 예방하고, 억제하고, 감소시키며, 치료하기 위하여 사람 및 다른 동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골 손실;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폐경후 골다공증, 스테로이드 유도된 골다공증, 남성 골다공증, 질환 유도된 골다공증, 특발성 골다공증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도된 골다공증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골 괴사, 파제트 병;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다른 관절염 상태,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골 전환; 전립선 주위 골 손실과 관련되는 국부 골 손실 또는 골 용해; 골 골절; 전이성 골 질환; 가우처 병(Gaucher's disease); 무혈관 괴사; 다골 섬유성 이형성증; 샤르코 관절(Charcot's joint); 기생충성 질환; 골형성 부전증; 호모시스틴뇨증; 탄수화물 대사 이상; 터너 증후군(Turner's syndrome); 부동화; 진행성 골화성 섬유성 이형성증; 골성 불완전 섬유생성증; 치근막 질환; 치아 손실; 악성 종양의 과칼슘혈증; 다발성 골수종;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부동화 유도된 골감소증 및 골 전이로 인한 골감소증을 포함하는 골감소증 및 비정상적인 골 흡수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다른 골 질환과 상태.As a result,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composition comprising a bisphosphonate compound (such as alendronate) and a vitamin D compound, is effective for all guidelines in which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lendronate or other bisphosphonates without a vitamin D compound is effective. The methods and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ful for reducing or inhibiting bone absorption and for treating, reducing, inhibiting or preventing abnormal bone absorption and conditions associated therewith. Accordingly,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humans and other animals to increase bone mass, prevent, inhibit, reduce and treat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disease states: bone loss; Osteoporosi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ostmenopausal osteoporosis, steroid induced osteoporosis, male osteoporosis, disease induced osteoporosis, idiopathic osteoporosis and glucocorticoid induced osteoporosis; Bone necrosis, Paget's disease;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other arthritic conditions, abnormally increased bone turnover; Local bone loss or osteolysis associated with periprostate bone loss; Bone fractures; Metastatic bone disease; Gaucher's disease; Avascular necrosis; Polyfibrous dysplasia; Charcot's joint; Parasitic diseases; Osteopenic insufficiency; Homocystinuria; carbohydrate Metabolic abnormalities; Turner's syndrome; dissimilation; Advanced osteoplastic fibrous dysplasia; Osteoincomplete fibrosis; Periodontal disease; Tooth loss; Hypercalcemia of malignant tumors; Multiple myeloma; Thereby, but not limited to, osteopenia, including immobilized induced osteopenia and osteopenia due to bone metastasis and other bone diseases and conditions that may be associated with abnormal bone resorption.

본 발명은 관절염 상태의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관절염 상태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인자, 파골세포 양성자 ATP아제의 억제제; HMG-CoA 리덕타제의 억제제; 파골세포 동화 제제; 칼시토닌; 비타민 K2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useful for the treatment, reduction, inhibition or prevention of arthritis conditions.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nd inhibitors of androgen receptor modulators, osteoclast proton ATPases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ment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conditions; Inhibitors of HMG-CoA reductase; Osteoclast assimilation agents; Calcitonin; The use of an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tamin K 2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mixtures thereof.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관절염 상태는 아밀로이드증, 강직성 척추염, 세균성 관절염, 기본 인산칼슘 결정 침착성 질환; 베체트 병, 활액낭염 및 건염, CPPD 침착 질환, 석회성 건염, 수근 터널 증후군,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장질환성 관절염, 펠티 증후군, 근육통, 통풍, 진균성 관절염, 혈색소병증, 호혈성 관절병, 비대성 골관절증, 감염성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연소성 관절염, 연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홍반성 루프스, 라임 질환, 마르팡 증후군, 혼합 연결 조직 질환, 다중심성 망내조직구증, 근증, 근염, 골관절염, 골괴사, 골괴사 연골이영양증, 다발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건선 관절염, 레이노드 현상, 반사 교감신경계 이영양증 증후군, 레이터 증후군, 재발성 다발성연골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 열, 사르코이드 증, 패혈성 관절염, 공피증, 조그렌 증후군, 척추골단이형성, 전신 홍반성 루프스 및 바이러스성 관절염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hritis condition includes amyloidosis, ankylosing spondylitis, bacterial arthritis, basic calcium phosphate crystal deposition disease; Behcet's disease, bursitis and tendonitis, CPPD deposition disease, calcific tendinitis, carpal tunnel syndrome, Elus-danlos syndrome, enteropathic arthritis, Pelti syndrome, myalgia, gout, fungal arthritis, hemochromatosis, hematopoietic arthritis, hypertrophic Osteoarthritis, Infectious Arthr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bustible Arthritis, Combustive Rheumatoid Arthritis, Lupus Erythematosus, Lyme Disease, Marfan's Syndrome, 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Multiple Cardiomyopathy, Myopathy, Myositis, Osteoarthritis, Bone Necrosis, Bone Necrosis Chondroitinosis , Polyarthritis, rheumatoid polymyalgia, psoriatic arthritis, Raynaud's phenomenon,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Radar syndrome, recurrent polychondritis, rheumatoid arthritis, rheumatic fever, sarcoidosis, septic arthritis, scleroderma, jogren Syndrome, vertebral dysplasia,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viral arthritis.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서의 골관절염의 진행을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에는, 골관절염이 관절 연골 표면의 침식, 관절주위 연골내 골화/골 세균증, 아연골 골 괴사 및 낭포 형성을 포함하는 관절의 잘 한정된 변화를 수반한다고 공지되어 있다[참고문헌: Oettmeier, R. Abendroth, K, "Osteoarthritis and bone: osteologic types of osteoarthritis of the hip", Skeletal Radiol. 1989; 18:165-74]. 최근에는, 골관절염의 개시 및 진행에 대한 아연골 골 괴사의 잠재적인 기여가 제시되었다. 반복적인 발작 하중에 대해 반응하는 관절과 같은 강직된 아연골은 관절을 통해 힘을 잘 약화시키고 분산시킬 수 없으므로, 관절 연골 표면을 통해 보다 큰 역학적 응력이 적용되게 된다. 이는 결국 연골 마모 및 피브릴화를 촉진한다[참고문헌: Radin, EL and Rose RM", Role of subchondral bone in the initiation and progression of cartilage damage", Clin. Orthop. 1986; 213:34-40].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지나친 아관절 골 흡수의 억제는 아연골 골 전환의 억제를 유도하게 되어, 골관절염 진행에 유용한 영향을 줄 수 있다.One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reducing, inhibiting or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in a mammal in need thereof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It is known in the literature that osteoarthritis involves well defined changes in joints, including erosion of articular cartilage surfaces, periarticular cartilage / osteobacteria, zinc bone osteonecrosis, and cyst formation [Oettmeier, R. Abendroth, K, "Osteoarthritis and bone: osteologic types of osteoarthritis of the hip", Skeletal Radiol. 1989; 18: 165-74. Recently,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zinc bone bone necrosis to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has been suggested. Rigid zinc bone, such as joints that respond to repeated seizure loads, cannot weaken and disperse forces through the joints, resulting in greater mechanical stress applied through the articular cartilage surface. This in turn promotes cartilage wear and fibrillation [Radin, EL and Rose RM ", Role of subchondral bone in the initiation and progression of cartilage damage", Clin. Orthop. 1986; 213: 34-40. Excessive suppression of osteoarticular bone uptake by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lead to inhibition of zinc bone turnover, which may have a useful effect on osteoarthritis progression.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서의 류마티스성 관절염 상태의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에는, 관절 주위 골의 진행성 파괴가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관절 이상 및 무력증의 주요 원인이라고 공지하고 있다[참고문헌: Goldring SR, "Pathogenesis of bone erosions in rheumatoid arthritis", Curr. Opin. Rheumatol, 2002;14:406-10]. 또한, 보편적인 골 손실이 중증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관련이 있는 이동성의 주요 원인이다. 힙 및 척수 골절의 빈도는 실질적으로 만성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 증가된다[참고문헌: Gould A, Sambrook, P, Devlin J et al., "Osteoclastic activation is the principal mechanism leading to secondary osteoporosis in rheumatoid arthritis", J. Rheumatol. 1998; 25:1282-9]. 아관절 골의 흡수 및 보편적인 골 손실의 치료 또는 예방에 항-흡수제의 사용은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진행에 대한 약리학적 개입의 합리적인 접근을 나타낸다. 따라서,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다른 골관절염 상태와 관련된 골 손실을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reducing, inhibiting or preventing a rheumatoid arthritis condition in a mammal in need thereof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The literature discloses that progressive destruction of periarticular bone is a major cause of joint dysfunction and asthenia in patients suffering from rheumatoid arthritis [Ref. Goldring SR, "Pathogenesis of bone erosions in rheumatoid arthritis", Curr. Opin. Rheumatol, 2002; 14: 406-10. In addition, universal bone loss is a major cause of mobility associated with severe rheumatoid arthritis. The frequency of hip and spinal cord fractures is substantial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chronic rheumatoid arthritis [Refer to Gould A, Sambrook, P, Devlin J et al., "Osteoclastic activation is the principal mechanism leading to secondary osteoporosis in rheumatoid arthritis ", J. Rheumatol. 1998; 25: 1282-9]. The use of anti-absorbents in the absorption of osteoarticular bone and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universal bone loss represents a rational approach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the progression of rheumatoid arthritis. Thus,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bisphosphonate compounds and vitamin D compounds can be used to treat, reduce, inhibit or prevent bone loss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other osteoarthritis conditions.

보다 일반적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생체이용율에 역영향을 주지않고, 비타민 D와 함께 동일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보다 저용량의 비타민 D 및 고용량의 비타민 D가 이들의 생체이용율에 역영향을 주지않고, 동일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다. 한 예로서, 2800IU 비타민 D의 주-1회 투여는 본 발명의 조성물중 비스포스포네이트와 함께 투여되는 경우에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비타민 D2가 비타민 D3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비타민 D3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갖는다. 따라서,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과 함께 동일한 제형으로 비타민 D 화합물의 투여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도중 비타민 D의 별도의 투여 요건을 제거하고,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생체이용율 및 효능에 역영향을 주지않고 비타민 D 영양을 제공한다.More generally, it is believed that bisphosphonates can be provided in the same formulation with vitamin 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bioavailability of bisphosphonates. Moreover, it is believed that lower doses of vitamin D and higher doses of vitamin D can be provided in the same formulation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ir bioavailability. As an example, weekly administration of 2800 IU vitamin D is considered effective when administered with bisphosphonates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re is a vitamin D 2 may be used instead of vitamin D 3, which has a similar result as that found in vitamin D 3. Thus, administration of a vitamin D compound in the same formulation with a bisphosphonate compound eliminates the separate dosing requirement of vitamin D during bisphosphonate treatment and provides vitamin D nutrition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bioavailability and efficacy of the bisphosphonate.

환자는 비타민 D 및 비스포스포네이트 혼합물로부터 이로움을 얻는데, 이는 부가의 비타민 D 영양을 제공하여 골 형성 및 무기질화를 용이하게 하고,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의 효능을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환자의 라이프 스타일 및 실행의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부가로 매일 비타민 D 투여와 함께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위한 하루 또는 주기적 투여 섭식보다 더욱 편리하다. 본 발명의 결과로, 본 발명은 비타민 D의 주-1회 투여를 제공하기 때문에, 환자는 또한 부가의 비타민 D 영양이 유용하도록 매일 비타민 D를 별도로 더 이상 섭취할 필요가 없다. 환자는 별도의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투여의 복잡한 투여 섭식을 지킬 필요가 없다. 마침내, 환자는 빈 위장에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을 섭취하고, 투여 전 또는 후에, 30분 이상 동안 금식을 해야하는 불편함을 덜 빈번하게 감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보다 양호한 환자 실행을 촉진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용한 치료학적 효능으로 나타낼 수 있다.Patients benefit from a mixture of vitamin D and bisphosphonates because they provide additional vitamin D nutrition to facilitate bone formation and mineralization and improve the efficacy of bisphosphonate treatment. In terms of the patient's lifestyle and practice,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more convenient than daily or periodic dosing regimens for bisphosphonates in addition to daily vitamin D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eekly administration of vitamin D, the patient also no longer needs to take vitamin D separately each day so that additional vitamin D nutrition is useful. Patients do not have to follow the complex dosing regimen of separate 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administrations. Finally, patients will be less likely to take the bisphosphonate compound in the empty stomach and to fast for 30 minutes or more, either before or after administration. Thu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better patient performance and thus can be represented as useful therapeutic efficacy.

또한,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은 식도 및 위장 시스템에 자극이 덜 된다고 여겨진다. 알렌드로네이트는 잠재적으로 중층 편평 상피의 층 기저로 침투될 수 있으므로(예: 그 자신의 침투를 통해 또는, 마멸성 식품이나 다른 제제에 의해 유발되는 국부 손상 부위로 침투를 통해), 시험관내에서 각질세포 성장에 대한 이의 효과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이, 각질세포 성장의 억제를 유발할 수 있다[참고문헌: A.A. Reszka et al., Mol. Pharmacol., 2001; 59(2):193-202]. 성장 억제는 상피 회복 과정을 느리게 하여, 국부 자극 또는 궤양화를 유도할 수 있다. 방사성 1,25(OH)2 비타민 D3을 공급한 래트의 자가방사선상(autoradiogram)은 식도의 상피에서 비타민 D 수용체의 발현의 증거를 나타낸다[참고문헌: Stumpf, WE, et al., Histochemistry, 1987;87(1):53-8]. 수준은 부갑상샘에서 보여진 것 미만이다.It is also believed that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s are less irritating to the esophagus and gastrointestinal system. Alendronate can potentially penetrate into the basal layer of the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e.g., through its own infiltration or through infiltration into localized damage sites caused by wearable foods or other agents). As suggested by its effect on growth, it can lead to inhibition of keratinocyte growth. See AA Reszka et al., Mol. Pharmacol., 2001; 59 (2): 193-202. Growth inhibition can slow the epithelial repair process, leading to local irritation or ulceration. Autoradiograms of rats fed with radioactive 1,25 (OH) 2 vitamin D 3 show evidence of the expression of vitamin D receptors in the epithelium of the esophagus (see Stumpf, WE, et al., Histochemistry, 1987; 87 (1): 53-8]. The level is less than that seen in the parathyroid glands.

따라서, 활성 비타민 D3 대사물질(예: 1,25(OH)2-콜레칼시페롤 또는 칼시트리올)과 알렌드로네이트의 동시-투여는 각질세포에 대한 이의 미분화 효과를 통해 식도 자극을 나타낼 수 있다로 여겨진다. 칼시트리올 및 25-OH-콜레칼시페롤은 모두 성장을 억제하고, 미분화를 유도함으로써 각질세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참고문헌: K. Matsumoto et al., Biochem. Biophys. Acta., 1991; 1092(3):311-8]. 각질세포 미분화는 세포 주기 정지(성장 정지)와 관련이 있으므로, 알렌드로네이트와 활성 비타민 D 대사물질의 혼합물은 층 기저에서 성장을 억제하는데 상승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는 결국 더 큰 자극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경구용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이 간에 이은 신장에서의 활성화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활성 대사물질과 동일한 국부 자극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고 여겨진다.Thus, co-administration of active vitamin D 3 metabolites (eg, 1,25 (OH) 2 -cholecalciferol or calcitriol) with alendronate is believed to exhibit esophageal irritation through its undifferentiated effect on keratinocytes. . Both calcitriol and 25-OH-cholecalciferol have been observed to affect keratinocytes by inhibiting growth and inducing differentiation. K. Matsumoto et al., Biochem. Biophys. Acta., 1991; 1092 (3): 311-8]. Because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is associated with cell cycle arrest (growth arrest), a mixture of allendronate and active vitamin D metabolites can have a synergistic effect on inhibiting growth at the bed base. This may eventually lead to greater stimulant effects. It is believed that oral vitamin D 3 (cholecalciferol) does not have the same local stimulant effect as the active metabolite because it requires activation in the liver followed by kidney.

또한, 활성 비타민 D3 호르몬의 정상적인 생리학적 수준은 알렌드로네이트에 대한 급성 노출에 의해 유도되는 국부 자극 부위를 회복하려는 이의 시도에서 신체를 도울 수 있다. 경구용 비타민 D3은 알렌드로네이트와 함께 투여되고, 나이많은 집단의 다수가 비타민 D3 결핍이기 때문에, 이는 몸을 치유하는 과정에서 보다 양호하게 빨라질 수 있다.In addition, normal physiological levels of the active vitamin D 3 hormone can assist the body in its attempts to repair local irritant sites induced by acute exposure to the alendronate. Oral vitamin D 3 is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lendronate, and since the majority of the older population are vitamin D 3 deficient, it can be better faster in the process of healing the body.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은 또한 스웨이(sway)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은 폴(fall)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은 근육 강도를 증가시키고, 신경근육 기능을 개선하며, 신체 스웨이를 감소시키고, 성인들의 신체적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폴의 감소된 위험을 유도하므로, 골 골절의 감소된 위험에 기여한다. 역학적 연구로 미국의 성인에게 비타민 D 결핍의 큰 유병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참고문헌: A.N. Exton-Smith et al., Lancet 1966;2:999-1001; RP Heaney et al., Osteoporos Int 2000;11:553-5; MJ McKenna, Am J Med 1992;93:69-77; ST Haden et al., Calcif Tissue Int 1999;64:275-9]. 골격-외 조직에 대한 비타민 D의 효과에 관한 증거가 있다[참고문헌: Latham et al, 2003;51:1219-1226]. 또한, 비타민 D 수용체가 근육 조직에서 확인되었고, 근육 약화, 사지 통증 및 손상된 신체적 기능은 심한 비타민 D 결핍의 표시로 잘 인식된다.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s are also considered useful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way. In addition,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s are believed to be useful for reducing falls.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s are believed to increase muscle strength, improve neuromuscular function, reduce body sway, and improve physical function in adults. This leads to a reduced risk of poles, thus contributing to a reduced risk of bone fractures. Epidemiologic studies have shown a large prevalence of vitamin D deficiency in US adults [Ref. A.N. Exton-Smith et al., Lancet 1966; 2: 999-1001; RP Heaney et al., Osteoporos Int 2000; 11: 553-5; MJ McKenna, Am J Med 1992; 93: 69-77; ST Haden et al., Calcif Tissue Int 1999; 64: 275-9. There is evidence of the effects of vitamin D on extra-skeletal tissues (Latham et al, 2003; 51: 1219-1226). In addition, vitamin D receptors have been identified in muscle tissue, and muscle weakness, limb pain and impaired physical function are well recognized as signs of severe vitamin D deficiency.

수많은 예상되는 랜덤화된 중재 연구로 근골격 기능을 개선하고 폴 위험을 감소시키는 비타민 D의 효능을 알 수 있다. 비타민 D 및 칼슘에 의한 처리로 비-척추성 골절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자세 스웨이 및 가능하게는 폴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참고문헌: J.K. Dhesi et al., Age and Aging 2002;31:267-271]. 또한, 성인 단체-거주 환자의 폴 수는 알파칼시돌(1-알파-하이드록시비타민 D3)에 의한 처리 및 최소 칼슘 섭취에 의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참고문헌: L. Dukas et al., JAGS 2004;52:230-236].Numerous prospective randomized intervention studies have shown the efficacy of vitamin D in improving musculoskeletal function and reducing the risk of poles. Treatment with vitamin D and calcium has been sh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non-vertebral fractures and reduce the incidence of posture sway and possibly poles. JK Dhesi et al., Age and Aging 2002; 31 : 267-271]. In addition, the number of poles in adult group-resident patients has been foun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alphacalcidol (1-alpha-hydroxyvitamin D 3 ) and minimal calcium intake [L. Dukas et. al., JAGS 2004; 52: 230-236.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은 칼슘의 흡수를 개선하는 것으로 또한 여겨진다. 비타민 D의 활성 대사물질을 사용하여 폐경후 여성의 부분적인 칼슘 흡수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관찰한 연구가 있었다[참고문헌: M.L. Holzherr et al., Osteoporosis Int 2000; 11:43-51; J.C. Gallagher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1980; 51(5):1359-64].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또한 래트 모델에서 장의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참고문헌: P. Ammann et al., J Bone Miner Res 1993;8(12):1491-8; H. Fleisch Osteoporos Int 1996;6:166-70; J.P. Bonjour Endocrinol Metab 1988;17:E260-E264]. 그러나, 비타민 D 화합물 및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조성물은 각각 단독으로 투여된 비타민 D 또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부가 효과보다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콜레칼시페롤 및 알렌드로네이트 조성물은 활성 형태의 비타민 D 및 상이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배합물보다 칼슘 흡수를 더욱 개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칼슘 흡수에 있어서의 이러한 증가는 골절 위험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다.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s are also believed to improve absorption of calcium. There has been a study using the active metabolite of vitamin D to observe the positive effects on partial calcium absorption in postmenopausal women [Ref. M.L. Holzherr et al., Osteoporosis Int 2000; 11: 43-51; J.C. Gallagher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1980; 51 (5): 1359-64]. Bisphosphonates have also been found to increase intestinal calcium uptake in rat models [P. Ammann et al., J Bone Miner Res 1993; 8 (12): 1491-8; H. Fleisch Osteoporos Int 1996; 6: 166-70; J.P. Bonjour Endocrinol Metab 1988; 17: E260-E264]. However, compositions of vitamin D compounds and bisphosphonates are believed to increase calcium uptake over the additive effects of vitamin D or bisphosphonates administered alone, respectively. In addition, cholecalciferol and alendronate compositions are believed to improve calcium absorption more than combinations of vitamin D in the active form and different bisphosphonates. This increase in calcium absorption correlates with a reduction in fracture risk.

본 발명은 또한 포유동물(예: 사람)에서 상기 언급한 상태 및 질환을 치료, 감소, 억제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제조용 비타민 D 화합물 및, 약제학적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비스포스포네이트 또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으로 구성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form of a vitamin D compound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reduction, inhibition or prevention of the above mentioned conditions and diseases in a mammal (eg a human) and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t least one bisphosphonate or bisphosphonate. Provided are bisphosphonate compounds comprising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or mixtures thereof, and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또한 히스타민 H2 수용체 차단제(즉, 길항제) 및/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위의 pH를 증가시키는 치료학적 제제로 익히 공지되어 있다[참고문헌: L.J. Hixson et al., Current Trends in the Pharmacotherapy for Peptic Ulcer Disease, Arch. Intern. Med., vol. 152, pp. 726-732 (April 1992)]. 히스타민 H2 수용체 차단제 및/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에 이은,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조성물의 순차적인 경구 투여로 위장의 역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고 본 발명에서 밝혀 내었다. 본 발명의 한 양태로, 히스타민 H2 수용체 차단제 및/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는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조성물을 투여하기 약 30분 내지 약 24시간 전에, 또는 약 30분 내지 약 12시간 전에 투여한다. 히스타민 H2 수용체 차단제 및/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용량은 선택되는 특정 화합물 및 치료할 포유동물과 관련이 있는 인자, 즉 크기, 건강 등에 따라 좌우된다. 히스타민 H2 수용체 차단제 및/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비제한적 예는 시메티딘, 파모티딘, 니자티딘, 라니티딘, 옴프라졸 및 란소프라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s and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include histamine H2 receptor blockers (ie antagonists) and / or proton pump inhibitors, which are well known as therapeutic agents that increase the pH of the stomach [ References: LJ Hixson et al., Current Trends in the Pharmacotherapy for Peptic Ulcer Disease, Arch. Intern. Med., Vol. 152, pp. 726-732 (April 1992). It has been f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sequential oral administration of 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compositions, followed by histamine H2 receptor blockers and / or proton pump inhibitors, may help to minimize gastrointestinal adverse effects.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histamine H2 receptor blocker and / or proton pump inhibitor is administered from about 30 minutes to about 24 hours, or from about 30 minutes to about 12 hours before the bisphosphonate and vitamin D composition. The dose of the histamine H2 receptor blocker and / or the proton pump inhibitor depends on the particular compound selected and the factors relevant to the mammal to be treated, i.e. size, health and the like. Non-limiting examples of histamine H2 receptor blockers and / or proton pump inhibitors include th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imetidine, pamotidine, nizatidine, ranitidine, ohmprazole and lansoprazole.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면,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한 양태로, 알렌드로네이트-콜레칼시페롤 제형의 제조 방법은 알렌드로네이트를 포함하는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고, 분말 혼합물을 치밀화하여 알렌드로네이트 혼합물을 형성하고, 알렌드로네이트 혼합물과 콜레칼시페롤 과립을 분쇄 및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혼합물을 매끄럽게 하고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렌드로네이트-콜레칼시페롤 고체 제형의 제조 방법은 알렌드로네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무수 락토즈, 미세결정 셀룰로즈 및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을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을 형성하고, 예비 혼합물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여 제1 윤활성 혼합물을 형성하며, 제1 윤활성 혼합물을 로울러 치밀화하여 치밀화된 리본을 형성하고, 치밀화된 리본을 분쇄하여 윤활성 혼합물을 형성하며, 윤활성 혼합물과 콜레칼시페롤 과립을 혼합하여 제2 윤활성 혼합물을 형성한 다음, 제2 윤활성 혼합물을 고체 제형으로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encompasses a method of making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for exampl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isphosphonate compound and a vitamin D compound. In one embodiment, a process for preparing an alendronate-cholecalciferol formulation comprises preparing a powder mixture comprising an alendronate, densifying the powder mixture to form an alendronate mixture, pulverizing and mixing the alendronate mixture and cholecalciferol granules Forming, and smoothing and compacting the mixture.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 for preparing the alendronate-cholecalciferol solid dosage form comprises mixing alendronate, colloidal silicon dioxide, anhydrous lact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croscarmellose sodium to form a preliminary mixture, and the premix and magnesium stearate To form a first lubricity mixture, compacting the first lubricity mixture to form a densified ribbon, pulverizing the densified ribbon to form a lubricity mixture, and mixing the lubricity mixture and cholecalciferol granules Forming a lubricity mixture, and then compressing the second lubricity mixture into a solid dosage form.

도 4는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조성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양태 플루우-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 양태에서, 조성물은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제형을 로울러 치밀화하여 리본을 형성하고, 로울러 치밀화 단계로부터 제조한 리본을 분쇄한 다음, 비타민 D3 제형의 과립외 부가와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에 제시된 활성 성분 및 부형제를 사용하여, 이 제형 및 공정으로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3 모두의 제품 방출 및 안정성에 대한 조절 요건을 만족하는 제품을 생성한다.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 양태에서, 단계 301에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무수 락토즈 및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의 예비 혼합물을 제조한다. 단계 30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혼합물은 이어서 미세결정 셀룰로즈 및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과 혼합한다. 단계 303에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가하여 윤활성 혼합물을 형성한다. 윤활성 혼합물은 단계 30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로울러 컴팩터를 통해 통과시키고, 치밀화된 리본은 분쇄한다. 도 4에 도시된 양태에서, 단계 305에서, 약 2800IU(또는 약 70㎍과 동일)의 비타민 D3을 함유하는 비타민 D3 과립을 가하고, 분쇄된 과립과 혼합하며, 비타민 D3 과립 충전량은 로울러 치밀화/분쇄 단계로부터의 도입된 과립 분석 및 수율을 모두 기준으로 하여 조절한다. 그 다음에, 생성된 혼합물은 단계 306에서 압착시켜 정제를 형성하고, 압착 정제는 먼지를 제거한다. 생성된 정제는, 예를 들면, 방습 및 차광 발포 팩 또는 병을 포함하는 적절한 포장으로 패키지할 수 있다.4 shows an embodiment flu-char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eparing the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mposition is prepared by a process comprising roller compacting the Alendronate sodium formulation to form a ribbon, pulverizing the ribbon prepared from the roller compaction step, and then mixing with extragranular addition of the vitamin D 3 formulation. do. For example, using the active ingredients and excipients set forth in Example 1, this formulation and process produce a product that meets the regulatory requirements for product release and stability of both alendronate and vitamin D 3 . As shown in FIG. 4, in this embodiment, in step 301, a premix of colloidal silicon dioxide, lactose anhydrous and alendronate sodium is prepared. As shown by step 302, the preliminary mixture is then mixed with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croscarmellose sodium. In step 303, magnesium stearate is added to form a lubricity mixture. The lubricious mixture is passed through a roller compactor as shown in step 304 and the densified ribbon is mill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in step 305, about 2800IU (or the same as about 70㎍) it was added to Vitamin D 3 Granule containing vitamin D 3, and mix the milled granules, and vitamin D 3 are granular charge roller Adjustments are made based on both granulation analysis and yield introduced from the densification / grinding step. The resulting mixture is then compressed in step 306 to form tablets, and the compressed tablets remove dust. The resulting tablets may be packaged in suitable packaging including, for example, moisture-proof and shading foam packs or bottles.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및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은 융점이 각각 약 84℃ 및 약 115℃인 수불용성의 소수성 화합물이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상당히 산화되기 쉽고, 빛에 의해 변화되기 쉬어 다양한 분해 생성물로 분해된다. 비타민 D 과립은 또한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비타민 D의 안정성은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의 보관 조건(예: 빛, 고온 및 높은 상대습도에 대한 노출) 뿐만 아니라, 가공 정도 및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에 비타민 D를 포함하고자 하는 목적은 제조 방법의 개발 및 비타민 D-함유 조성물의 보관에 관계되는 한 특별한 도전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공 동안 및 보관 동안 모두에 있어서, 비타민 D의 분해를 감소시키도록 제형화된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안정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도 필요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은 비타민 D 함유 조성물에서 비타민 D의 분해를 검출 또는 측정하는 방법의 개발도 필요로 한다. 또한, 특정 비타민 D 분해제의 수준이 매우 적을 수 있으므로(나노그램 정도로), 비타민 D 분해제의 양을 검출하기에 충분한 정량화 한계(LOQ; limit of quantitation)를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은, 비타민 D 함유 조성물중 비타민 D의 분해를 측정하거나 검출하는 방법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Vitamin D 3 (cholecalciferol) and vitamin D 2 (ergocalciferol) are water insoluble hydrophobic compounds having a melting point of about 84 ° C. and about 115 ° C.,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are also very susceptible to oxidation and are prone to change by light, resulting in decomposition into various degradation products. Vitamin D granules are also easy to separate. Thus, the stability of vitamin D is influenced by the storage conditions (eg exposure to light, high temperatures and high relative humidity) of the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 as well as the degree and nature of processing. As a result, the purpose of including vitamin 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particular challenge as far as it rela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preparation method and the storage of the vitamin D-containing composition. Thus, there is a need for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s formulated to reduce degradation of vitamin D, both during processing and during storage. There is also a need for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table composition. There is also a need for development of method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degradation of vitamin D in vitamin D containing compositions such as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ince the level of a particular vitamin D breakdown agent may be very low (by nanograms), such as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limit of quantitation (LOQ) sufficient to detect the amount of vitamin D breakdown agent,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methods for measuring or detecting the degradation of vitamin D in vitamin D containing composi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제조 도중 비타민 D 화합물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화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조 도중 습도, 온도 및 비타민 D 제형에 존재하는 빛을 조절하거나, 적절한 가공된 투여 형태 패키징을 제공함으로써, 이의 효능을 완전히 유지하면서 비타민 D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제조 공정 도중의 온도는 약 35℃ 이하이다. 다른 양태에서, 온도는 약 20 내지 약 30℃이다. 한 양태로, 제조 공정 도중 상대 습도는 약 60% RH 이하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대 습도는 약 20 내지 약 40%이다. 또한, 제형의 비타민 D 성분의 출발 습기 수준 뿐만 아니라, 존재할 수 있는 부형제에 대해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상대 습도는 약 25 내지 약 35%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 bisphosphonate compound and a vitamin D compound that minimizes the loss of the vitamin D compound during manufacture. By adjusting the humidity, temperature and light present in the vitamin D formulation during manufacture, or by providing appropriate processed dosage form packaging, the loss of vitamin D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its efficacy completely.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emperatur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bout 35 ° C or less. In another embodiment, the temperature is about 20 to about 30 ° C. In one embodiment, the relative humidity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bout 60% RH or less. In another embodiment, the relative humidity is about 20 to about 40%. In addition, the starting moisture level of the vitamin D component of the formulation can be adjusted, as well as excipients that may be present. In another embodiment, the relative humidity is about 25 to about 35%.

본 발명은 또한 부가의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조건하에(온도 및/또는 상대습도)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된 조성물의 수분 함수량은 조성물을 건조시켜 감소시킬 수 있다. 한 양태로, 건조는 고체 제형이 생성된 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조(예를 들면, 열을 사용하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건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고체 제형(예: 정제)을 필름 피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건조는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절한 양의 건조제 또는 다른 잔기와 함께 포장하여 수분 함수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건조는 수분 및/또는 빛을 감소시키는 보관 형태(예: 알루미늄 발포 팩, 방습용 병)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encompasses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n additional drying step. Thus, in another aspect,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temperature and / or relative humidity) as described above,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prepared composition can be reduced by drying the composition. In an aspect, drying may comprise drying (eg, using heat)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after the solid dosage form has been produced. In another embodiment, drying may comprise film coating a solid formulation (eg, a table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embodiments, drying may also include packag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desiccant or other moiety to reduce the water content. In another aspect, drying may comprise sto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orage form (eg, aluminum foam pack, moisture proof bottle) that reduces moisture and / or light.

본 발명의 양태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비타민 D 화합물은 비타민 D의 유리 유동성인 안정화된 과립을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비타민 D 과립은 약제학적 등급의 젤라틴 피복된 무수 비타민 D3 100이다(제조원: BASF). 비타민 D 입자는 젤라틴 및 슈크로즈의 전분 피복된 매트릭스로 혼입된 1 내지 2㎛의 방울인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에 용해시킨다. 그 다음에, 용해된 비타민 D는 3급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비타민 D 과립은 나트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유동 보조제로서 함유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는 조성물에 부가되는 비타민 D의 양이 비타민 D 공급원 및/또는 부가되는 비타민 D의 효능을 기준으로 하여 조절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약제학적 등급의 젤라틴 피복된 무수 비타민 D3 100 과립(BASF)이 사용되는 경우에, 숙련가는 과립이 상이한 효능을 가질 수 있고(예: 100,000IU/g 또는 105,000IU/g 또는 110,000IU/g), 이는 조성물중 2800IU 또는 5600IU의 비타민 D를 성취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부가되는 과립의 양을 조절해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itamin D compound used as starting material may comprise stabilized granules that are free flow of vitamin D. In an embodiment, the vitamin D granules used as starting materials in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invention are pharmaceutical grade gelatin coated anhydrous vitamin D 3 100 from BASF. Vitamin D particles are dissolved in heavy chain triglycerides, which are droplets of 1-2 μm incorporated into a starch coated matrix of gelatin and sucrose. The dissolved vitamin D can then be stabilized with tertiary butylhydroxytoluene (BHT). Vitamin D granules contain sodium aluminum silicate as flow ai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amount of vitamin D added to the composition needs to be adjusted based on the vitamin D source and / or the efficacy of the added vitamin D. For example, if pharmaceutical grade gelatin coated anhydrous vitamin D 3 100 granules (BASF) are used, the skilled person may have different efficacy of the granules (e.g. 100,000 IU / g or 105,000 IU / g or 110,000). IU / 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mount of granules added to the composition must be adjusted to achieve vitamin D of 2800 IU or 5600 IU in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양태에 함유되는 비타민 D는 Ph. Eur. 콜레칼시페롤 농축물(분말 형태) 연구 논문의 허용되는 범위에 따른다. 이때, 제형화된 비타민 D3 제품에 대한 USP 연구 논문은 존재하지 않지만, 적용 가능한 Ph. Eur. 연구 논문은 출판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양태에 사용되는 비타민 D 화합물의 조성물중 비활성 성분(예: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슈크로즈, 젤라틴, 개질된 전분 및 나트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은 요약되어 있거나, 식품 등급 물질이다.Vitamin D contain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h. Eur. Cholecalciferol concentrate (powder form) Follow the permissible range of the research paper. At this time, there is no USP research paper for formulated vitamin D 3 products, but the applicable Ph. Eur. The research paper was published. Inactive ingredients (such as medium chain triglycerides, butylated hydroxytoluene, sucrose, gelatin, modified starch and sodium aluminum silicate) in the compositions of the vitamin D compounds used in the compositio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ummarized or food grade materials to be.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의 양태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는 알렌드로네이트는 요약된 등급의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일수화물이거나, 요약된 등급의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삼수화물이다(제조원: Merck & Co., Inc.).In an embodiment of the methods and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endronate used as the starting material is the outlined grade of alendronate sodium monohydrate or the summarized grade of alendronate sodium trihydrate (Merk & Co., Inc.).

또한, Roche, BASF 또는 Solvay에서 시판중인 것과 같은, 시판중인 비타민 D 과립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commercially available vitamin D granules, such as those sold by Roche, BASF or Solvay, can be us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키트는 특히, 정제 또는 캡슐제와 같은 경구용 고체 형태의 전달에 적합하며, 이 양태에서는 수많은 단위 용량, 이들의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생성되는 용량을 갖는 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키트의 예는 "발포 팩"이다. 발포 팩은 포장 산업에 잘 알려져 있으며, 약제학적 단위 용량 형태를 포장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기억 보조제가, 예를 들면, 숫자, 문자 또는 다른 표시물의 형태로 또는, 용량이 투여될 수 있는 치료 일정에 날짜를 표시한 캘린더 삽입물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단위 용량과 유사하거나 이와 구별되는 형태인, 위약 용량 또는 칼슘이나 식이 보충물이 용량이 매일 투여되는 키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히스타민 H2 수용체 및/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이들 제제는 키트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kits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delivery of oral solid forms such as tablets or capsules, in which embodiments include cards having a number of unit doses, doses produced according to their intended use. An example of such a kit is a "foam pack." Foam packs are well known in the packaging industry and are widely used for packaging pharmaceutical unit dose forms. If desired, memory aids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or other indications, or with calendar inserts dated to the treatment schedule in which the dose may be administered. Alternatively, placebo doses or calcium or dietary supplements, in forms similar or distinct from 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unit doses, may be included to provide a kit in which the dose is administered daily. In embodiments comprising histamine H2 receptors and / or proton pump inhibitors, these agents may be included as part of a kit.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비타민 D3 화합물의 분해 생성물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검출법을 제공한다. 특히, 약제학적 조성물의 분해를 측정하는 방법은 조성물로부터 제1 용액으로 콜레칼시페롤을 추출하여 제2 용액을 형성하고, 제2 용액으로부터 콜레칼시페롤을 함유하는 샘플을 분리한 다음, 샘플을 역상 HPLC 분리법에 적용시켜 샘플중 콜레칼시페롤의 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출법은 약제학적 조성물당 약 2800 내지 약 5600IU의 콜레칼시페롤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또한, 검출법은 콜레칼시페롤의 정량화 한계(LOQ)가 약 9ng/㎖ 콜레칼시페롤 미만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tection method developed for measuring the degradation products of the vitamin D 3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method of measuring degrad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es extracting cholecalciferol from the composition into a first solution to form a second solution, separating the sample containing cholecalciferol from the second solution, and then May be subjected to reverse phase HPLC separation to detect the amount of cholecalciferol in the sample. The det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o detect from about 2800 to about 5600 IU of cholecalciferol p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ddition, the detection method has a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cholecalciferol of less than about 9 ng / ml cholecalciferol.

한 양태에 있어서, 당해 방법은 물, 알콜,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사용한다. 특이적 양태에 있어서, 제1 용액은 약 5%의 물 및 약 95%의 메탄올을 함유한다. 예시적인 샘플 제제는 2800IU의 비타민 D를 함유하는 15개의 정제로부터 각각 약 5%의 물 및 약 95%의 메탄올 약 50㎖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한 양태에서, 생성된 용액은 약 10분 동안 교반하고, 약 30분 동안 초음파처리 한 다음, 다시 3시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한 양태로, 샘플의 분리는 약 5,000 내지 약 15,000rpm일 수 있는 원심분리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한 양태로, 칼럼은 Phenomenex Phenosphere 80Å ODS(1) 칼럼(150 x 4.6㎜, 3㎛)이고, 주입 용적은 100㎕이다. 샘플은 칼럼 아래로 클러트(clut)한 다음, 검출한다. 본 방법의 양태에서, 65분 구배가 사용될 수 있다. 약 260 내지 약 265 ㎚의 검출 파장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방법의 한 양태에서, 검출 단계는 약 25℃의 역상 HPLC 칼럼 온도에서 수행한다. 약 5℃의 샘플 트레이 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 한 양태로, 검출 단계는 약 99% 아세토니트릴 및 약 1%의 0.025% 인산의 용출제를 사용하는 역상 HPLC 분리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uses a first solution comprising water, alcohol, acetonitrile or mixtures thereof.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first solution contains about 5% water and about 95% methanol. An exemplary sample formulation can be extracted from 15 tablets containing 2800 IU of vitamin D with about 5% water and about 95% methanol about 50 ml, respectively.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resulting solution can be stirred for about 10 minutes, sonicated for about 30 minutes, and then again for 3 hours. In one embodiment, separation of the sample may be performed by centrifugation, which may be between about 5,000 and about 15,000 rpm. In one embodiment, the column is a Phenomenex Phenosphere 80 mm ODS (1) column (150 × 4.6 mm, 3 μm) and the injection volume is 100 μl. Samples are cleated down the column and then detected. In an embodiment of the method, a 65 minute gradient can be used. Detection wavelengths of about 260 to about 265 nm can also b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the detecting step is performed at a reverse phase HPLC column temperature of about 25 ° C. A sample tray temperature of about 5 ° C. may be used. In one embodiment, the detecting step comprises reverse phase HPLC separation using an eluent of about 99% acetonitrile and about 1% 0.025% phosphoric acid.

한 양태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역상 HPLC 칼럼은 단지 부분적으로 말단 캡핑되거나 말단 캡핑되지 않은 칼럼을 포함한다. 말단 캡핑된 공정은 정지상 위에 유리 실란올 그룹을 감소시키므로, 비타민 D 전구체 및 비타민 D 피크 사이에 분리를 수행한다. 말단 캡핑된 칼럼을 사용하는 시도는 본 발명의 검정법에 대해 충분한 피크 분해를 제공함에 있어서 성공적이지 못한데, 이는 두 활성체 사이에 용출되는 특정 분해물이 분리되어 정량화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칼럼을 확인함에 있어서, 비타민 D3 이성체(0.96RRT)는 제형에서 발견되는 두 활성체 사이에 용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른 말단 캡핑된 칼럼을 사용하는 방법의 더 큰 개발은 모두 비타민 D3 전구체와 비타민 D3 피크 사이에 한정된 분해를 나타낸다.In one embodiment, reversed phase HPLC columns that may be used in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only partially or non-end capped columns. The end capped process reduces the free silanol groups on the stationary phase, thus performing separation between the vitamin D precursor and the vitamin D peak. Attempts to use end capped columns have not been successful in providing sufficient peak degradation for the assays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specific degradation products eluted between the two actives are not separated and quantified. Indeed, in identifying the columns for using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vitamin D 3 isomers (0.96 RRT) were observed to elute between the two active agents found in the formulation. Larger developments of methods using other end capped columns all exhibit limited degradation between the vitamin D 3 precursor and the vitamin D 3 peak.

칼럼 탄소 하중은 비타민 D3 전구체 또는 비타민 D3과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C8 및 C10 지방산 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BASF 비타민 D 과립으로 존재한다) 사이의 트랜스에스테르화의 생성물인 4개의 비타민 D3 에스테르 부가물의 용출에 대해 영향을 준다. 이들 에스테르는 트랜스에스테르화 기작을 통해 비타민 D3의 하이드록시 그룹과 반응하여 C8-D3 및 C10 -D3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다. 장쇄 지방산으로 인하여, 이들 에스테르는 매우 소수성이고, C18 정지상과 상호반응한다. 보다 높은 탄소 하중을 갖는 칼럼은 더욱 C18 정지상을 가지므로, 에스테르와 보다 강력히 상호작용하고, 보다 오랫동안 칼럼 상에 에스테르를 보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한 양태에서, 탄소 하중이 약 10% 미만인 HPLC 칼럼이 사용될 수 있다. 탄소 하중이 보다 낮은 칼럼을 사용하면 정지상과 에스테르 사이에 상호작용이 감소되어, 이들 피크의 보다 이른 용출을 유도한다. 결과로부터, 예를 들면, 탄소 하중이 낮은(5%) Platinum EPS C18 칼럼을 사용하면, 모든 에스테르는 95% 아세토니트릴/5% 물을 함유하는 이동상이 사용되는 경우에 10분 전에 용출된다. 유사하게, 4개의 모든 에스테르는 다른 칼럼인, Phenosphere ODS(1) 칼럼(7% 탄소 하중)이 사용되는 경우에 26분 이내에 용출되었다.Column carbon loading is the product of transesterification between vitamin D 3 precursors or vitamin D 3 and medium chain triglycerides (C 8 and C 10 fatty acid esters are present as BASF vitamin D granules that can be used in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Affects the dissolution of the four vitamin D 3 ester adducts. These esters can react with the hydroxy groups of vitamin D 3 through transesterification mechanisms to form C 8 -D 3 and C 10 -D 3 esters. Due to the long chain fatty acids, these esters are very hydrophobic and interact with the C 18 stationary phase. Columns with higher carbon loadings have more C 18 stationary phases, thus interacting more strongly with esters and retaining esters on the columns for longer. Thus, in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of the invention, an HPLC column with a carbon load of less than about 10% can be used. The use of a lower carbon loading column reduc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ationary phase and the ester, leading to earlier elution of these peaks. From the results, for example, using a low carbon loading (5%) Platinum EPS C 18 column, all esters are eluted 10 minutes before a mobile phase containing 95% acetonitrile / 5% water is used. Similarly, all four esters eluted within 26 minutes when a different column, Phenosphere ODS (1) column (7% carbon loading) was used.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이 하기에 제시되어 있다. Exemplary chromatography conditions that can be used in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elow.

본 발명의 검출법을 사용하여, 프리-비타민 D 및 비타민 D 피크를 모두 정량화하여 샘플중 비타민 D의 총량을 계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약 2800IU의 콜레칼시페롤 샘플을 사용하는 경우에, 콜레칼시페롤, 프리-콜레칼시페롤 및 이들의 이성체간에 구별하고, 하나 이상의 콜레칼시페롤 에스테르 부가물을 검출하거나, 하나 이상의 프리-콜레칼시페롤 에스테르 부가물을 검출하기에 충분히 민감하고 선택적이다. Using the det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pre-vitamin D and vitamin D peaks can be quantified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vitamin D in the sample. In particular,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between cholecalciferol, pre-cholecalciferol and isomers thereof when using a sample of cholecalciferol of about 2800 IU and distinguishes one or more cholecalciferol ester adducts. It is sufficiently sensitive and selective to detect or to detect one or more pre-cholecalciferol ester adducts.

잠재적인 비타민 D3 분해 생성물의 세 형태가 하기에 기술되는(실시예 6을 포함함)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연구에서 관찰되었다. 하기에 기술되는 안정성 연구에서, 연구된 정제 조성물은 약 91.4㎎의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약 26.7㎎의 콜레칼시페롤 과립, 약 131.0㎎의 미세결정 셀룰로즈, 약 62.4㎎의 무수 락토즈, 약 9.7㎎의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약 0.8㎎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및 약 3.1㎎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Three forms of potential vitamin D3 degradation products were observed in the stability studies fo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cluding Example 6). In the stability studies described below, the tablet compositions studied were about 91.4 mg of alendronate sodium, about 26.7 mg cholecalciferol granules, about 131.0 mg microcrystalline cellulose, about 62.4 mg anhydrous lactose, about 9.7 mg Croscarmellose sodium, about 0.8 mg colloidal silicon dioxide and about 3.1 mg magnesium stearat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타민 D3의 구조는 콘쥬게이트된 트리엔을 포함하며, 이는 다양한 열적 및 광화학적 이성체화를 수행한다. 5개의 비타민 D3 이성체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확인되었다(이 예에서,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을 사용함): 프리-비타민 D3, 트랜스-비타민 D3과, 0.78RRT, 0.96RRT 및 1.09RRT(이는 하기 기술되는 바와 같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한 화합물의 보유 시간의 척도임)의 세 개의 부가 이성체. 이들 비타민 D3 이성체에 대한 구조는 도 5에 제시되어 있다. 구조적 결론은 UV, MS 및, 일부 경우에, NMR 분광학을 근거로 한다.As shown in FIG. 5, the structure of vitamin D 3 comprises conjugated trienes, which perform various thermal and photochemical isomerizations. Five vitamin D 3 isomers have been identified in exemplary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in this example, using vitamin D 3 (cholecalciferol)): pre-vitamin D 3 , trans-vitamin D 3 , and 0.78 Three additional isomers of RRT, 0.96RRT and 1.09RRT, which is a measure of the retention time of compoun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s described below. The structure for these vitamin D 3 isomers is shown in FIG. 5. Structural conclusions are based on UV, MS and, in some cases, NMR spectroscopy.

비타민 D 및 이의 이성체인 프리-비타민 D는 시그마 결합된 1,7-수소 이동에 의해 열적으로 상호전환되는 것으로 공지되고 있다. 생체내에서, 프리-비타민 D는 비타민 D에 대한 중간체 전구체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두 그룹은 평형이 비타민 D 쪽으로 상당히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생리학적 온도에서 평형 농도로 확인된다. 비타민 D 및 프리-비타민 D가 모두 동일한 생리학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통상 보고되는 경우에 비타민 D 검정은 두 그룹의 합을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면, 비타민 D3 함유 제품의 USP 및 Ph.Eur. 연구 논문과 모두 일치한다. 유용한 안정성 데이터는 ICH 정성화 임계가 24개월에서 1.0중량%에 이르는 다른 이성체중 어떠한 것도 적절한 패키지로 25℃/60% RH에서 보관되지 않음을 나타낸다.Vitamin D and its isomer pre-vitamin D are known to be thermally interconverted by sigma bound 1,7-hydrogen migration. In vivo, pre-vitamin D has been found to be an intermediate precursor to vitamin D, and both groups are identified at equilibrium concentrations at physiological temperatures, although the equilibrium appears to be significantly towards vitamin D. Since both vitamin D and pre-vitamin D are believed to have the same physiological function, the vitamin D assay usually includes the sum of the two groups when reported. This is described, for example, in USP and Ph. Eur. Consistent with the research paper. Useful stability data indicate that none of the other isomers, with ICH qualification thresholds ranging from 24 months to 1.0% by weight, are stored at 25 ° C./60% RH in a suitable package.

가장 압도적인 분해 생성물은 비타민 D3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타민 D3 과립중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MCT)와의 트랜스에스테르화에 의해 형성되는 비타민 D3 에스테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비타민 D3 에스테르 부가물의 구조가 도 5에 또한 제시되어 있다. 우세한 그룹은 비타민 D3의 n-옥타노에이트(C8) 및 n-데카노에이트(C10) 에스테르에 상응한다. 프리-비타민 D3 에스테르 부가물은 프리-비타민 D3과 비타민 D3 화합물중 트리글리세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또는 비타민 D 3 에스테르로부터의 열적 전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정량화 가능한 분해 생성물중, 단지 C8 및 C10 비타민 D3 에스테르 부가물이 안정성 연구 도중 상당한 정도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overwhelming degradation product appeared to be a vitamin D 3 ester formed by transesterification with the vitamin D 3 heavy chain triglyceride (MCT) of the granules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vitamin D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se vitamin D 3 ester adducts is also shown in FIG. 5. The dominant group corresponds to the n-octanoate (C 8 ) and n-decanoate (C 10 ) esters of vitamin D 3 . Pre-vitamin D 3 ester adducts may be produced by reaction of pre-vitamin D 3 with triglycerides in vitamin D 3 compounds or by thermal conversion from vitamin D 3 esters. Among the quantifiable degradation products, only C 8 and C 10 vitamin D 3 ester adducts were shown to increase to a significant degree during stability studies.

유용한 안정성 데이터는 이들 그룹이 ICH 정성화 임계가 24개월에서 1.0 중량%에 이르러서는 안되며, 약 30℃ 미만 및 약 30% 미만인 상대습도(RH)에서 보관해야 하고,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양태에 있어서 안전성 측면을 생성하리라 예상할 수 없다고 제시하고 있다. 연구로부터, 약 30℃ 미만 및 약 30% 미만인 RH에서 보관하는 경우에 24개월 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전체 분해물은 약 5% 미만임을 또한 알 수 있다.Useful stability data should be stored in these groups at relative humidity (RH) where the ICH Qualification Threshold should not reach 1.0 wt% at 24 months, but less than about 30 ° C. and less than about 30%, and these are aspects of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not be expected to generate a safety aspect. It is also seen from the study that after 24 months when stored at RH of less than about 30 ° C. and less than about 30%, the total degrad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han about 5%.

비타민 D는 유리 라디칼 개시제에 의한 유도를 통해 또는 자발적으로 고상 또는 액상에서 자가산화를 수행하여 다양한 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음을 또한 알 수 있으며, 이들중 일부는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태에서 비타민 D 분해(및, 특히 이 경우에 비타민 D3)의 대표적인 특성은 비타민 D3의 자가산화 불안정성을 확인하며, 이때 비타민 D3은 오일 또는 무정형 고체로 전환되고, 20 내지 40℃의 온도로 노출된다. 시간내에, HPLC 분석으로 비타민 D3의 상당한 파괴 및 매우 낮은 자외선 흡수를 나타내는 분해되지 않은 많은 분해 생성물의 출현을 알 수 있다. 노출 시간이 더욱 길어지면, 이들 흡수는 추가 반응이 일어날 때 계속해서 감소된다.It can also be seen that vitamin D can undergo autooxidation in solid or liquid phase through induction by free radical initiators or spontaneously to form various products, some of which have been identified. Typical properties of (vitamin D 3 on and, in particular, in this case) of vitamin D degradation in aspects of the present composition, and vitamin D 3 self-check oxidation instability, wherein the vitamin D 3 is converted to an oil or amorphous solid, 20 To a temperature of from 40 ° C. In time, HPLC analysis reveals the appearance of many undecomposed degradation products that exhibit significant destruction of vitamin D 3 and very low ultraviolet absorption. With longer exposure times, these absorptions continue to decrease as further reactions occur.

비타민 D3의 자가산화의 보다 상세한 분석은 유리 라디칼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 실험에서, AIBN은 용액중 비타민 D3의 자가산화를 개시하는데 사용된다. 생성된 생성물 프로필은 UV, 질량 분석계(MS) 및 증발식 광산란(ELS;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검출법을 사용하여 HPLC에 의해 특성화하였다. 결과로부터, (a) 액상 자가산화는 또한 다중 분해 생성물을 유도할 수 있고, (b) 자가산화는 UV 발색단의 점차적인 파괴를 유도하여 겉보기 물질 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반면에, ELS 검출법은 상당히 보다 양호한 질량 회수를 제공하고, (c) 질량 분석계 m/z 비 및 일부 경우에, 관찰된 UV/vis 스펙트라는 이들 반응 생성물의 산화적 특성을 확인함을 알 수 있었다.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autooxidation of vitamin D 3 is carried out using azo-bis-isobutyronitrile (AIBN), a free radical initiator. In this experiment, AIBN is used to initiate the autooxidation of vitamin D 3 in solution. The resulting product profile was characterized by HPLC using UV, mass spectrometry (MS) and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ELS) detection. From the results, (a) liquid phase autooxidation can also lead to multiple decomposition products, and (b) autooxidation can lead to gradual destruction of UV chromophores, leading to apparent material loss, while ELS detection is significantly more It was found that it provides good mass recovery and (c) the mass spectrometer m / z ratio and in some cases, the observed UV / vis spectra confirm the oxidative properties of these reaction products.

방사능 표지 연구는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2,800IU(70㎍)의 비타민 D3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태에서 사용되는 과립 제형중 비타민 D3 분해를 특성화하기 위한 시도로 수행되었다. 트리튬 표지된 비타민 D3은 UV 흡수 특성의 변화와 무관하게, 분해된 비타민 D3의 추적 수단으로서 사용되었다. 방사능 표지된 비타민 D3은 본 발명의 조성물 양태에 사용되는 비타민 D 과립을 모델로 한 제형으로 혼입시킨 다음, 안정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모델 제형중 산화 방지제 수준은 시판중인 제형에 대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는 산화 방지제 수준으로부터 감소된 수준으로 존재하여 합리적인 시간 프레임 속에서 분해가 일어나도록 보장하였다. 샘플은 UV 및 온라인 방사선 검출과 동시에 액체 섬광 계수기(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및 역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RP-HPLC)를 사용하여 40℃/75% RH 및 70℃에서 14주 후에 분석하였다. 대략 40%의 비타민 D3 손실이 40℃/75% RH 조건에서 보관한 샘플에 대해 관찰되는 반면에, 저온 조절은 양호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 분석의 결과는 도 6의 분해된 샘플에 대한 래디오크로마토그램으로 나타내며, 이는 분해되지 않은 분해물의 넓은 영역을 나타내고, 이들중 어떠한 것도 주요 생성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들 결과는 적절히 안정화되지 않은 경우에, 비타민 D3은 UV 흡수가 감소된 다중 생성물로 산화적으로 분해되고, 이들 생성물은 비타민 D3 손실의 주요한 요인이 되는 추가의 증거를 제공한다. 이들 안정성 분석을 근거로 하여, 개개 자가산화 분해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정제 양태에서 안전성 관련되는 수준으로 접근하리라 예상되지 않는다.Radiolabeling studies were conducted in an attempt to characterize vitamin D 3 degradation in granule formulations used in embodiments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bout 7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2,800 IU (70 μg) of vitamin D 3 . Tritium labeled vitamin D 3 was used as a tracer of degraded vitamin D 3 irrespective of changes in UV absorbing properties. Radiolabeled vitamin D 3 was incorporated into formulations modeled after the vitamin D granules used in the compos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analyzed for stability. Antioxidant levels in the model formulations were present at reduced levels from antioxidant levels deemed desirable for commercial formulations to ensure degradation occurred in a reasonable time frame. Samples were analyzed after 14 weeks at 40 ° C./75% RH and 70 ° C. using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LSC) and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simultaneously with UV and online radiation detection. Approximately 40% loss of vitamin D 3 is observed for samples stored at 40 ° C./75% RH, whereas low temperature control shows good stabilit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hown in the radiochromatograms for the degraded samples of FIG. 6, which represent a large area of undegraded degradation, none of which appear as major products. These results provide additional evidence that, if not adequately stabilized, vitamin D 3 oxidatively decomposes into multiple products with reduced UV absorption, and these products are a major source of vitamin D 3 loss. Based on these stability analyzes, individual autooxidative degradation products are not expected to approach safety-related levels in the purification aspect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시 포유동물의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측정할 수 있는 약동학적 매개변수에는, 예를 들면,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2,800IU의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는 정제와 같은, 정제의 총 배뇨량, 배뇨량, 혈청 농도 대 시간 곡선 아래의 면적(AUC),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 Cmax의 시간(Tmax) 및 혈장 농도 중간 겉보기 반감기(t l/2)가 포함된다. 이들 측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양태가 몸에서 약제학적으로 효과적인 수준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콜레칼시페롤을 생성함을 확인하였다(후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 비타민 D 화합물의 1일 권고량과 비교하여 기술한 것임).The invention also includes a method of measuring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a mammal upon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that can be measured include the area under the total urine volume, urination volume, serum concentration versus time curve of the tablet, such as, for example, a tablet comprising about 7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2,800 IU of cholecalciferol. (AUC), steady 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 max ), time of C max (T max ), and plasma concentration intermediate apparent half-life (t l / 2 ). These measurements confirm that embodiments of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 pharmaceutically effective levels of alendronate and cholecalciferol in the body (the latter recommended daily dose of vitamin D compounds in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to).

한 양태로, 본 발명은 알렌드로네이트 및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후 사람의 혈청중 콜레칼시페롤을 측정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본 방법은 (1) 사람에게 알렌드로네이트 및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고, (2) 사람으로부터 혈장 샘플을 수득하고, (3) 혈장 샘플로부터 콜레칼시페롤을 추출하여 제1 용액을 형성하고, (4) 제1 용액의 콜레칼시페롤과 디에노필을 반응시켜 콜레칼시페롤의 하나 이상의 디엘-알더 부가 생성물을 형성하고, (5)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리법을 사용하여 콜레칼시페롤의 디엘-알더 부가 생성물을 분리한 다음, (6) 질량 분광학을 사용하여 샘플중 콜레칼시페롤의 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한 양태로, 디에노필은 4-페닐-1,2,4-트리아졸린-3,5-디온(P-TADO 또는 PTAD)을 포함한다. 또한, 검출 단계는 가열된 분무기 프로브를 사용하여 포지티브 이온화 형태로 수행할 수 있고, 중수소화 내부 표준 콜레칼시페롤을 각각의 사람 혈장 샘플에 가하고, 샘플 콜레칼시페롤과 함께 중수소화된 내부 표준 콜레칼시페롤을 추출하고, 반응시키고, 분리 및 검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혈장 1㎖를 측정하는 경우에, 콜레칼시페롤의 정량화 한계(LOQ)가 약 0.5ng/㎖ 콜레칼시페롤 미만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비타민 D/비스포스포네이트 조성물이며, 이때 조성물을 투여한 지 120시간 후에 포유동물의 혈청 농도 플롯은 다음중 하나 이상을 수득한다: 약 296.4ng.h/㎖의 콜레칼시페롤의 최소 제곱(LS; least-square) 평균 AUC(0-120시간)(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했다); 약 297.5ng.h/㎖의 최소 제곱(LS) 평균 AUC(0-120시간)(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조변수로서 투여전 0시간 혈청 콜레칼시페롤 농도를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했다) 및 약 143.1ng.h/㎖의 최소 제곱(LS) 평균 AUC(0-120시간)(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120시간 동안 측정된 기준 콜레칼시페롤의 감법을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했다). 다른 양태로, 조성물은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며, 이때 조성물을 투여한 지 120시간 후에 포유동물의 혈청 농도 플롯은 다음중 하나 이상을 수득한다: 약 5.9ng/㎖의 120시간 동안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에 대한 최소 제곱(LS) 평균(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했다); 약 5.9ng/㎖의 120시간 동안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에 대한 최소 제곱(LS) 평균(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조변수로서 투여전 0시간 혈청 콜레칼시페롤 농도를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했다) 및 약 4.0ng/㎖의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에 대한 최소 제곱(LS) 평균(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120시간 동안 측정된 기준 콜레칼시페롤의 감법을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했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for measuring cholecalciferol in human serum after administra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lendronate and cholecalciferol, the method comprising: (1) alendronate and cholecal to a human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ciferol, (2) obtaining a plasma sample from a human, (3) extracting cholecalciferol from the plasma sample to form a first solution, and (4) cholecal of the first solution Reaction of ciperol with dienofil to form one or more die-alder adducts of cholecalciferol, and (5) separating the dieel-adder adduct of cholecalciferol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eparation. And (6) detecting the amount of cholecalciferol in the sample using mass spectroscopy. In one embodiment of this method, the dienophile comprises 4-phenyl-1,2,4-triazolin-3,5-dione (P-TADO or PTAD). In addition, the detection step can be performed in positive ionized form using a heated nebulizer probe, adding deuterated internal standard cholecalciferol to each human plasma sample, and deuterated internal standard with sample cholecalciferol. Extracting, reacting, separating and detecting cholecalciferol may be further included. When this method measures 1 ml of plasma,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cholecalciferol is less than about 0.5 ng / ml cholecalciferol. One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vitamin D / bisphosphonate composition, wherein 120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the serum concentration plot of the mammal yields one or more of about 296.4 ng.h / ml of cholecalciferol Least-square average AUC (0-120 hours) , wher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out considering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Least squared (LS) mean AUC (0-120 hours) of about 297.5 ng.h / ml, where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are reference variables using baseline pre-dose serum cholecalciferol concentrations as 0 hour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serum concentrations) and a minimum squared (LS) mean AUC (0-120 hours) of about 143.1 ng.h / ml (wher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subtracted from baseline cholecalciferol measured for 120 hours). Was measured taking into account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comprises bisphosphonate and cholecalciferol, wherein 120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the serum concentration plot of the mammal yield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normal for 120 hours at about 5.9 ng / ml Least squares (LS) mean for 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 max ), wher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out considering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Least-squared (LS) mean of steady-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 max ) for 120 hours of about 5.9 ng / ml (wherei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are used as pre-administration 0 hour serum cholecalciferol concentrations). Was determined taking into account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and the mean squared (LS) mean for steady 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 max ) of about 4.0 ng / ml (wher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measured for 120 hours). Measurement was performed taking into account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using the subtraction of baseline cholecalciferol).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을 투여한 지 120시간 후에 포유동물의 콜레칼시페롤의 혈장 농도 플롯으로 약 12시간의 Cmax 발생의 산술평균 시간(Tmax)에서 콜레칼시페롤의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를 수득하고,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은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조성물은 포유동물에서 조성물의 콜레칼시페롤의 혈장 농도 중간 겉보기 반감기(t1/2)가 약 23.8시간이며,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측정된 기준 콜레칼시페롤 과정의 감법을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teady-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of cholecalciferol at the arithmetic mean time (T max ) of C max development of about 12 hours in a plasma concentration plot of cholecalciferol in mammals 120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C max ) is obtained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include composition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has a plasma concentration median half-life (t 1/2 ) of the composition's cholecalciferol in the mammal in about 23.8 hours,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 uses the subtraction of the measured standard cholecalciferol process. It is measured taking into account the standard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동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령이 18 내지 65세인 236명의 건강한 임신하지 않은 여성 및 남성에서 오픈-라벨의 랜덤화된 2-부분, 2-기간의 교차 연구로부터 샘플 연구를 수행한다. 이 연구에서, 하기 실시예 7에 상세히 기술되는, 2800IU의 비타민 D3 정제에 대해 70㎎의 알렌드로네이트/2800IU의 비타민 D3 혼합 정제로서 투여되는 비타민 D3의 약동학적 매개변수(AUC(0-120시간) , Cmax, Tmax 및 혈청 농도 중간 겉보기 반감기(t1/2))를 연구한다. 또한, 알렌드로네이트의 뇨 분비는 FOSAMAX의 주-1회 70㎎ 정제와 관련되는 혼합 정제에서 연구한다. 요약해 보면, (1) 본 발명에 따른 70㎎의 알렌드로네이트/2800IU의 비타민 D3 혼합 정제는 알렌드로네이트 생체이용율 면에서 70㎎의 알렌드로네이트 정제에 대해 생체등가물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2) 70㎎의 알렌드로네이트/2800IU의 비타민 D3 혼합 정제 및 2800IU의 비타민 D3(알렌드로네이트 함유하지 않음)을 함유하는 정제에서 비타민 D3의 생체이용율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3) 본 발명에 따른 70㎎의 알렌드로네이트/2800IU의 비타민 D3 혼합 정제는 일반적으로 내성이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화합물에 의한 1주-1회 투여는 비스포스포네이트/비타민 D 화합물의 1주-1회 투여와 동일한 기간에 대해, 권고되는 비타민 D의 하루 용량(예: 하루 400IU의 비타민 D)으로부터 발생되는 비타민 D 혈액 수준 및/또는 치료학적 효과와 견줄만한 비타민 D3 혈액 수준 및/또는 치료학적 효과를 제공한다.To determine the pharmacokinetic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mple study was conducted from a randomized two-part, two-period cross-over study of open-labels in 236 healthy non-pregnant women and men ages 18-65 To perform. In this study, the following Examples 7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vitamin D 3 is administered as described in detail in 70㎎ alendronate / 2800IU of vitamin D 3 for the purification of vitamin D 3 2800IU mixing purified, that the variable (AUC (0-120 Time) , C max , T max and serum concentration median apparent half-life (t 1/2 )). In addition, urinary secretion of alendronate is FOSAMAX Study in mixed tablets associated with 70 mg tablets once weekly. In summary, (1) the 70 mg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mixed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have bioequivalent to 70 mg Alendronate tablets in terms of Alendronate bioavailability, and (2) 70 mg of of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and mix purified 2800IU of vitamin D 3 in the tablet containing the (alendronate does not contain) the bioavailability of vitamin D 3 has been found to be similar, 3 of 70㎎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endronate / Vitamin D 3 blend tablets of 2800 IU have been found to be generally well tolerated. Thus, for example, weekly-once administration with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mmended for the same period of time as weekly-once administration of bisphosphonate / vitamin D compounds, eg : Provides vitamin D 3 blood levels and / or therapeutic effects comparable to vitamin D blood levels and / or therapeutic effects resulting from 400 IU of vitamin D) per day.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는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다시 설명된다. These and other aspects of the invention are again described in the following non-limit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양태를 추가로 기술하고 예시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므로, 실시예는 예시할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함은 아니다.The following examples further describe and illustrate aspect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many variations of the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examples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정제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Tablets

완성된 약물 생성물은 알렌트로네이트 나트륨(약 70mg 당량의 무수 유리산) 및 비타민 D3(약 2800I.U.(약 70μg))를 함유하는 배합 정제이며, 성분은 표 1에서 확인된다. 부형제는 모두 개략적이며, 최대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달성하도록 선택되었다.The finished drug product is a combination tablet containing allenetronate sodium (about 70 mg equivalent of free acid anhydride) and vitamin D 3 (about 2800 I.U. (about 70 μg)), the components of which are identified in Table 1. Excipients are both schematic and were chosen to achieve maximum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수득한 정제를 예를 들어, 골다공증을 예방, 억제, 감소 또는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사용한다. 유사하게, 알렌드론산 활성 기제에 대해, 다른 상대 중량의 알렌드로네이트를 포함하는 정제가 제조되며, 이는 정제당 약 2.5mg, 5mg, 8.75mg, 17.5mg, 70mg, 140mg, 280mg, 560mg 또는 1120mg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단위 용량당 다른 상대 중량의 비타민 D3를 포함하는 정제가 제조되며, 이는 정제당 약 1,400, 2,800, 5,600, 7,000IU, 8,400IU, 14,000IU, 28,000IU 또는 36,000IU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정제는 주-1회 내지 2개월-1회 범위의 간격으로 투여될 수 있다.The tablets obtained are us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for the prevention, inhibition, reduction or treatment of osteoporosis. Similarly, for an alendronic acid active base, tablets are prepared that include other relative weights of alendronate, including about 2.5 mg, 5 mg, 8.75 mg, 17.5 mg, 70 mg, 140 mg, 280 mg, 560 mg or 1120 mg per tabl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milarly, tablets are prepared comprising different relative weights of vitamin D 3 per unit do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bout 1,400, 2,800, 5,600, 7,000 IU, 8,400 IU, 14,000 IU, 28,000 IU or 36,000 IU per tablet. It doesn't happen. Such tablets may be administered at intervals ranging from weekly to 2 months-1 times.

실시예 2Example 2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 조성물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Compositions

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타민 D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혼합 및 제형화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알렌드론산 활성 기제에 대해, 약 35mg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5,600IU의 비타민 D3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하기 상대 중량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Compositions comprising bisphosphonates and vitamin D can be prepared using the mixing and formulation techniques described herein. For the alendronic acid active base, a composition containing about 35 mg of alendronate and about 5,600 IU of vitamin D 3 can be prepared using the following relative weight components.

수득한 제형을 예를 들어, 골다공증을 예방, 억제, 감소 또는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사용한다. 유사하게, 알렌드론산 활성 기제에 대해, 다른 상대 중량의 알렌드로네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이 제조되며, 이는 정제당 약 2.5mg, 5mg, 8.75mg, 17.5mg, 70mg, 140mg, 280mg, 560mg 또는 1120mg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단위 용량당 다른 상대 중량의 비타민 D3를 포함하는 제형이 제조되며, 이는 제형당 약 1,400, 2,800, 5,600, 7,000IU, 8,400IU, 14,000IU, 28,000IU 또는 36,000IU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형은 주-1회 내지 2개월-1회 범위의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일 수 있다.The formulations obtained are us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to prevent, inhibit, reduce or treat osteoporosis. Similarly, for alendronic acid active bases, formulations containing other relative weights of alendronate are prepared, which include about 2.5 mg, 5 mg, 8.75 mg, 17.5 mg, 70 mg, 140 mg, 280 mg, 560 mg or 1120 mg per tabl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milarly, formulations are prepared comprising different relative weights of vitamin D 3 per unit do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bout 1,400, 2,800, 5,600, 7,000 IU, 8,400 IU, 14,000 IU, 28,000 IU, or 36,000 IU per formulation. It is not limited. Such formulations may be administered at intervals ranging from weekly to 2 months-1 times. These formulations can be, for example, tablets or capsules.

실시예 3Example 3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정제Alendronate and Vitamin D Tablets

알렌드론산 활성 기제에 대해, 약 70mg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2800IU의 비타민 D3를 함유하는 정제는 다음 상대 중량의 성분을 사용하여 본원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한다:For Alendronic acid active bases, tablets containing about 70 mg of alendronate, and 2800 IU of vitamin D 3 are prepared by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using the following relative weights of components:

수득한 정제는 예를 들어, 골다공증을 예방, 억제, 감소 또는 치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사용한다. 유사하게, 알렌드론산 활성 기제에 대해, 다른 상대 중량의 알렌드로네이트를 포함하는 정제가 제조되며, 이는 정제당 약 2.5mg, 5mg, 8.75mg, 17.5mg, 70mg, 140mg, 280mg, 560mg 또는 1120mg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 단위 용량당 다른 상대 중량의 비타민 D3를 포함하는 정제가 제조되며, 이는 정제당 약 1,400, 2,800, 5,600, 7,000IU, 8,400IU, 14,000IU, 28,000IU 또는 36,000IU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정제는 주-1회 내지 2개월-1회 범위의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The tablets obtained are us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to prevent, inhibit, reduce or treat osteoporosis. Similarly, for an alendronic acid active base, tablets are prepared that include other relative weights of alendronate, including about 2.5 mg, 5 mg, 8.75 mg, 17.5 mg, 70 mg, 140 mg, 280 mg, 560 mg or 1120 mg per tabl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milarly, tablets are prepared comprising different relative weights of vitamin D 3 per unit do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bout 1,400, 2,800, 5,600, 7,000 IU, 8,400 IU, 14,000 IU, 28,000 IU or 36,000 IU per tablet. It doesn't happen. Such tablets may be administered at intervals ranging from 1 week to 2 months-1 times.

실시예 4Example 4

알렌드로네이트 흡수에 대한 비타민 DVitamin D for Alendronate Absorption 33 (분말 형태)의 효과Effect of (powder form)

알렌드로네이트에 대한 분말 형태의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의 상호작용을 검사하기 위해서 단일 용량으로 투여하는 경우, 14명의 건강한, 18 내지 85세의, 비임신 여성 및 남성에 대한 2-기간 교차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검자에게 알렌드로네이트 70mg 정제 1개를 각 기간에 제공하였다. 단일 용량의 비타민 D3 5600IU를 컴퓨터-생성된 피검자 배분 일정을 기본으로 하여, 2 기간 중의 하나에서 알렌드로네이트 정제와 동시 투여하였다. 비타민 D3를 알렌드로네이트와 함께 투여하는 경우, 비타민 D3 분말을 60ml의 순수한 수돗물 중에 재구성하고, 피검자에게 알렌드로네이트 정제와 함께 투여하였다(치료 A). 비타민 D3 병을 세척하고, 60ml의 순수한 수돗물로 3회 충전시킨 다음에, 각각 피검자에게 투여하였다. 따라서, 총 240ml 용적의 순수한 수돗물을 비타민 D3와 함께 투여한 것이다. 알렌드로네이트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경우, 240ml 용적의 순수한 수돗물을 상기 용량과 함께 투여하였다(치료 B). 14일 이상의 세척물이 각 기간에 분리되었다. 치료 개략 및 배분이 표 4에 있다.Two-term crossover for 14 healthy, 18-85 year old, non-pregnant women and men when administered in a single dose to test the interaction of vitamin D 3 (cholecalciferol) in powder form with alendronate The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 was given one Alendronate 70 mg tablet in each period. A single dose of Vitamin D 3 5600 IU was co-administered with the Alendronate tablet in one of two periods, based on the computer-generated subject distribution schedule. When vitamin D 3 was administered with alendronate, the vitamin D 3 powder was reconstituted in 60 ml of pure tap water and administered to the subject together with the alendronate tablet (treatment A). The bottle of vitamin D 3 was washed, filled three times with 60 ml of pure tap water, and then administered to each subject. Thus, a total of 240 ml volume of pure tap water was administered with vitamin D 3 . When Alendronate was administered alone, 240 ml volume of pure tap water was administered with this dose (treatment B). More than 14 days washes were separated in each period. Treatment outlines and allocations are in Table 4.

피검자를 각각의 치료 전 저녁에 연구 단위로 격리시켰다. (물을 제외하고는) 밤새 금식시킨 후에, 피검자에게 개별적 치료를 투여하였다. 피검자를 약물 투여후, 제한된 식사가 투여 2시간 후 투여될 때까지, 계속 금식시켰다.Subjects were segregated into study units in the evening before each treatment. After fasting overnight (except water), subjects were administered individual treatment. Subjects continued to fast after drug administration until a limited meal was administered 2 hours after administration.

임상 공급 정보는 표 5에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알렌드로네이트 정제 및 비타민 D3에 대한 조성 및 분석학적 결과는 표 6 및 7에 기재하고 있다.Clinical supply information is in Table 5. Compositions and analytical results for the Alendronate tablets and vitamin D 3 used in this study are listed in Tables 6 and 7.

모든 용량을 (물을 제외하고는) 밤새 금식시킨 후 투여하였다. 피검자에게 단일 알렌드로네이트 70mg 정제를 240ml의 순수한 수돗물과 함께 투여하였다. 피검자에게 5600IU의 비타민 D3 용량을 알렌드로네이트와 함께 투여하는 경우, 피검자에게 재중지를 지시하고, 알렌드로네이트 70mg 정제를 비타민 D3 용량(연구 부문에서 과립 형태로 제공되어 물에 재구성된다)과 함께 동시투여하였다. 각각의 알렌드로네이트 용량과 함께 투여된 액체의 총 용적은 240ml였다. 피검자는 연구 약물 투여 후 2시간 동안 더 금식 상태를 유지하고, 이어서 제한된 식사가 제공되었다. 피검자를 약물 투여 및 제한된 식사 사이에 2시간 동안 똑바로 유지시켰다. 각각의 용량 기간을 14일 이상의 간격으로 분리하였다.All doses were administered after fasting overnight (except water). Subjects received a single Alendronate 70 mg tablet with 240 ml of pure tap water. When subjects were given a dose of 5600 IU of vitamin D 3 with alendronate, the subject was instructed to re-suspend and co-administered an allandronate 70 mg tablet with vitamin D 3 doses (reformed in the study and reconstituted in water). . The total volume of liquid administered with each alendronate dose was 240 ml. The subject stayed more fast for 2 hours after study drug administration, and then provided a limited meal. Subjects were kept straight for 2 hours between drug administration and limited meals. Each dose period was separated at least 14 days apart.

알렌드로네이트 검정용 뇨 표본을 다음 간격에 걸친 약동학적 분석을 위해 수거하였다: 투여 전 -2 내지 0시간, 투여 후 0 내지 8시간, 투여 후 8 내지 24시간 및 투여 후 24 내지 36시간. 연구 약물 투여 직전 2-시간 기간에 걸쳐 수득된 뇨 수거물을 기저선 알렌드로네이트 측정에 제공하였다. 뇨 표본을 모두 예비 측량된 폴리프로필렌 용기에 수거하였다. 투여후 0- 내지 8-, 8- 내지 24- 및 24- 내지 36-시간의 뇨 수거물에 대해, 일정 시간 간격의 개시시 방부제로서 12.5g의 붕산을 용기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일정 시간 수거 간격의 끝에, 총 뇨 수거물 무게를 측정하고, 비중 및 순수 용적을 측정하였다. 뇨 표본을 동일 반응계내에서 산성화시켰다. 5ml의 6.0N 염산(HCl)을 뇨 200ml당 첨가하여 뇨 표본의 pH를 2.0 이하로 하였다. 산성화후, 뇨 표본을 교반하고, 샘플을 폴리프로필렌 용기로 분취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검정이 완결될 때까지 동결 보관하였다(-20℃). 붕산 및 HCl의 용적을 포함하여, 각 기간에 대한 총 뇨 용적을 사용하여 주어진 간격에 대한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을 측정하였다.Urine samples for the Alendronate assay were collected for pharmacokinetic analysis over the following intervals: -2 to 0 hours before dosing, 0 to 8 hours after dosing, 8 to 24 hours after dosing and 24 to 36 hours after dosing. Urine harvests obtained over a 2-hour period immediately prior to study drug administration were used for baseline alendronate measurements. All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in pre- weighed polypropylene containers. For 0--8-, 8-- 24- and 24--36-hour urine collections after administration, 12.5 g of boric acid was added to the vessel as a preservative at the start of the time interval. At the end of each fixed time collection interval, the total urine harvest weight was measured and specific gravity and pure volume were measured. Urine samples were acidified in situ. 5 ml of 6.0N hydrochloric acid (HCl) was added per 200 ml of urine to bring the pH of the urine specimen to 2.0 or less. After acidification, the urine specimen was stirred and the sample was aliquoted into a polypropylene container and frozen (-20 ° C.) until completion of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ssay. The total urine volume for each period was measured using the total urine volume for each period, including the volume of boric acid and HCl.

사람 뇨에서 알렌드로네이트를 측정하기 위한 분석적 방법은 3가지 상이한 조작을 포함한다: (1) 뇨로부터 분석물 및 내부 표준(팔미드로네이트)의 분리, (2) 강한 형광 유도체의 생성 및 (3) 수득한 유도체의 HPLC 분리 및 형광 검출. 알렌드로네이트 및 내부 표준은 천연으로 존재하는 포스페이트를 사용하여 염화칼슘 및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뇨로부터 동시-침전시켰다.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펠릿을 1M 염산 중에 재구성시키고, pH 4에서 아세테이트-완충액 중의 음이온-교환 디에틸아민(DEA) 카트리지에 적용시켰다. 알렌드로네이트를 DEA 카트리지로부터 (pH 9로 조절된) 0.20M 시트르산나트륨 및 0.20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의 용액에 의해 용출시켰다. 알렌드로네이트는 2,3-나트탈렌디카복시알데하이드를 사용하여 N-아세틸-D-페니실라민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유도되었다. 다음에, 상기 유도체를 스티렌 및 디비닐 벤젠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비-실리카성 중합체 칼럼에 적용시켰다. 이동상은 처음에 1ml/분의 유속에서 85% 0.025M 시트르산나트륨, 0.025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pH 6.95) 및 15%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져 있다. 그다음 용출시킨 뇨의 내인성 성분을 아세토니트릴을 50%로 증가시킴으로써 제거하였다. 사람 뇨에서, 5ng/ml 내지 125ng/ml 사이에서 10% 이하의 변화 계수로 유효하게 검정하였다. 1ng/ml의 검출 한계를 수득하도록 5ml 뇨 샘플을 필요로 하였다.Analytical methods for measuring alendronate in human urine include three different manipulations: (1) separation of analyte and internal standard (palmidronate) from urine, (2) production of strong fluorescent derivatives, and (3) obtaining HPLC separation and fluorescence detection of one derivative. Alendronate and internal standards were co-precipitated from urine by the addition of calcium chloride and sodium hydroxide using naturally occurring phosphates. The pellet separated by centrifugation was reconstituted in 1M hydrochloric acid and applied to an anion-exchange diethylamine (DEA) cartridge in acetate-buffer at pH 4. Alendronate was eluted from a DEA cartridge with a solution of 0.20 M sodium citrate and 0.20 M dibasic sodium phosphate (adjusted to pH 9). Alendronate was derived at room temperature in the presence of N-acetyl-D-penicillamine using 2,3-naphthalenedicarboxyaldehyde. The derivative was then applied to a non-silica polymer column consisting of a copolymer of styrene and divinyl benzene. The mobile phase initially consists of 85% 0.025M sodium citrate, 0.025M dibasic sodium phosphate (pH 6.95) and 15% acetonitrile at a flow rate of 1 ml / min. The endogenous components of the eluted urine were then removed by increasing the acetonitrile to 50%. In human urine, assays were validated with a coefficient of change of up to 10% between 5 ng / ml and 125 ng / ml. 5 ml urine samples were needed to obtain a detection limit of 1 ng / ml.

주어진 간격(-2 내지 0, 0 내지 8, 8 내지 24, 24 내지 36시간)에 대한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을 상기 간격에 대한 (붕산 및 염산을 포함하는) 뇨의 총용적에 의해 분석된 분취량 중의 알렌드로네이트의 농도를 배가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Aliquots analyzed by the total volume of urine (including boric acid and hydrochloric acid) for the interval at which the total urine volume of the alendronate for a given interval (-2 to 0, 0 to 8, 8 to 24, 24 to 36 hours) It was measured by doubling the concentration of allendronate in water.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 + 5600IU 비타민 D3 및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 단독에 대한 총 배뇨량을 2-기간 교차 디자인에 적합한 변수(ANOVA) 모델의 분석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ANOVA 모델은 순서, 피검자(순서), 기간 및 치료에 대한 인자를 함유하였다. 총 배뇨량을 길게 변형하였다. 정상에 대한 샤피로-윌크(Shapiro-Wilk) 시험으로부터의 결과는, 모델로부터 잔류량의 플롯과 함께 ANOVA 모델의 가정으로부터의 이탈을 제안하지 않았다.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 + 비타민 D3 대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 단독의 상대 생체이용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t-분포를 기준으로 한 95% CI를 총 배뇨량에 대한 GMR에 대해 산정하였다. 추가로, 사실상의 GMR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계 0.50 이상인 이후 가능성이 또한 계산되었다.Total urination for 70 mg Alendronate tablets + 5600 IU Vitamin D 3 and 70 mg Alendronate tablets alone was compared using analysis of a variable (ANOVA) model suitable for a two-term crossover design. The ANOVA model contained factors for order, subject (order), duration and treatment. Total urination volume was modified long. The results from the Shapiro-Wilk test on the normal did not suggest a departure from the assumption of the ANOVA model with a plot of the residual amount from the model. To assess the relative bioavailability of the 70 mg Alendronate tablet plus Vitamin D 3 vs. 70 mg Alendronate tablet alone, 95% CI based on the t-distribution was estimated for GMR for total urination. In addition, the likelihood was also calculated after the de facto GMR was above the clinically important boundary of 0.50.

상기 분석으로부터 한 피검자가 탈락하였고, 이는 이러한 특정 피검자가 3개의 수거 간격 모두(0 내지 8, 8 내지 24 및 24 내지 36시간)에 있어서 두가지 치료에 대한 정량화 한계 이하의 뇨 알렌드로네이트 농도를 갖기 때문이었다. 치료 순서의 지시에 있어서 약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총 배뇨량에 대한 최소 제곱 방법이 보고어 있다. 상기 피검자로부터의 데이터는 분석에서 배제하였다.One subject was dropped from the assay because this particular subject had a urinary alendronate concentration below the quantification limit for both treatments in all three collection intervals (0-8, 8-24 and 24-36 hours). . Due to some imbalance in the indication of the order of treatment, the least square method for total urination is reported. Data from the subject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최소 제곱 방법은 ANOVA 모델로부터 역 변형에 의해 수득되었다. 모든 p 값은 보고하기 전 3개의 소수 자리로 완성하였다. p≤0.050이 보고된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것으로 고려된다.Least squares method was obtained by inverse transformation from the ANOVA model. All p values were completed with three decimal places before reporting. Results reported with p ≦ 0.050 are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표 8은 각각의 피검자에 대해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 + 비타민 D3 및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로서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을 나타낸다.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에 대해, GMR과 함께, 상응하는 95% CI를 갖는 기초 통계치가 표 9에 있다.Table 8 shows the total urine output of the alendronate as 70 mg allenronate tablets plus vitamin D 3 and 70 mg allenronate tablets for each subject. For total urination volume of alendronate, together with GMR, the basic statistics with the corresponding 95% CI are in Table 9.

총 배뇨량에 대한 최소 제곱 기하학적 방법은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 + 5600IU 비타민 D3에 대해 183.61 및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 단독에 대해 157.97μg이었다. 알렌드로네이트 단독과 비교하여 70mg 알렌드로네이트 + 비타민 D3에 대한 GMR 및 이에 상응하는 95% CI는 1.16(0.74, 1.83)이었다. GMR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계 0.50 이상일 수 있는 이후 가능성은 0.999이다.The least squares geometrical method for total urination was 183.61 for 70 mg Alendronate tablets + 5600 IU Vitamin D 3 and 157.97 μg for 70 mg Alendronate tablets alone. The GMR and corresponding 95% CI for 70 mg Alendronate + Vitamin D 3 compared to Alendronate alone was 1.16 (0.74, 1.83). The later possibility that the GMR may be above the clinically important boundary of 0.50 is 0.999.

실시예 5Example 5

알렌드로네이트 흡수에 대한 (알렌드로네이트/비타민 D 정제에 함유된) 비타민 DVitamin D (in Alendronate / Vitamin D Tablets) for Alendronate Absorption 33 의 효과Effect

알렌드로네이트 및 경구 투여된 비타민 D3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14명의 건강한 성인 피검자(33 내지 61세의, 6명의 남성 및 8명의 여성)에게 알렌드로네이트의 단일 70mg 정제를, 비타민 D3의 부재하에, 및 물 240ml에 현탁된 비타민 D3(5600IU)의 분말 용량과 함께 투여하였다. 본 연구는 개방되고 무작위 교차 2-웨이 디자인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비타민 D3의 부재하에 투여된 알렌드로네이트에 비하여, 비타민 D3와 함께 70mg 정제를 투여한 후에 알렌드로네이트의 상대적 생체이용율의 예비 평가를 수득하는 것이었다.To test the efficacy of the interaction between alendronate and orally administered vitamin D 3 , 14 healthy adult subjects (6 males and 8 females, aged 33-61) received a single 70 mg tablet of alendronate, a vitamin D In the absence of 3 and with a powder dose of vitamin D 3 (5600 IU) suspended in 240 ml of water. The study was designed to be open and randomly cross two-wa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compar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alendronate in the absence of vitamin D 3, it was to obtain a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relative bioavailability of alendronate after administration of 70mg tablets with the Vitamin D 3.

알렌드로네이트를 2-기간 각각에서 70mg 정제로서 경구 투여하였다. 한 기간에서, 정제는 순수한 수돗물에 재구성된 비타민 D3와 함께 투여되며, 다른 기간에서 정제는 순수한 수돗물 단독으로 용해되었다. 분비된 알렌드로네이트의 분석적 측정을 위해 각각의 알렌드로네이트를 투여하기 2시간 전 및 투여 36시간 후에 뇨를 수거하였다. 상대적 생체이용율은 투여후 36시간에 걸친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뇨 회수량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였다.Alendronate was administered orally as 70 mg tablets in each of the 2-periods. In one period, the tablets were administered with reconstituted vitamin D 3 in pure tap water, and in another period the tablets were dissolved in pure tap water alone. Urine was collected 2 hours before and 36 hours after each alendronate administration for analytical determination of secreted alendronate. Relative bioavailability was assessed based on the total urine recovery of Alendronate over 36 hours post dose.

비타민 D3의 부재하에 70mg 알렌드로네이트를 투여한 후의 알렌드로네이트의 뇨 회수량은 (126μg, 279μg)의 90% CI를 갖는 202μg이었고, 비타민 D3와 함께 투여된 70mg 용량 다음에 회수한 경우는, (159μg, 316μg)의 90% CI를 갖는 평균 238μg이었다. 기하학적 평균 비(90% CI)는 1.18(0.80, 1.74)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조사로 알렌드로네이트의 경구 투여와 함께 비타민 D3를 경구 투여하는 것이 알렌드로네이트의 생체이용율에 최소의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낸다.The urine recovery of alendronate after administration of 70 mg alendronate in the absence of vitamin D 3 was 202 μg with 90% CI of (126 μg, 279 μg), and when recovered following the 70 mg dose administered with vitamin D 3 , (159 μg , 316 μg) with an average of 238 μg. The geometric mean ratio (90% CI) was estimated to be 1.18 (0.80, 1.74). This investigation indicates that oral administration of vitamin D 3 with oral administration of alendronate does not have any minimal effect on the bioavailability of alendronate.

실시예 6Example 6

비타민 DVitamin D 33 및 알렌드로네이트의 안정성 연구 And stability studies of alendronate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70mg 무수 유리산 당량) 및 비타민 D3(2800IU/70μg)를 함유하는 배합 정제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표 10은 알렌드로네이트/비타민 D 배합 정제 양태의 정제 조성물을 함유한다. 모든 부형제는 개략이며, 최대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달성하도록 선택되었다.The stability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combination tablets containing alendronate sodium (70 mg free acid equivalent) and vitamin D 3 (2800 IU / 70 μg) was studied. Table 10 contains the tablet compositions of the Alendronate / Vitamin D combined tablet embodiments. All excipients are schematic and were chosen to achieve maximum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알렌드로네이트 검정 및 용해 방법은 FOSAMAX 정제에 대해 이미 보고된 방법과 유사한, 역상 HPLC와 함께 예비-컬럼 9-플루오레닐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FMOC) 유도체화를 사용할 수 있다. 비타민 D3 및 분해물 방법은 또한, 비타민 D3 및 비타민 D3의 다수의 유효한 분해 생성물을 해리 및 정량할 수 있는 역상, 구배 HPLC 방법(RP-HPLC)일 수 있다. 비타민 D3의 함량 균일도 및 용해 검정은 또한, 역상 HPLC를 사용할 수 있다. 용해 방법은 비타민 D3의 불량한 수성 안정성으로 인하여 계면활성제 배지(1% SDS)을 사용할 수 있다. 배합 정제의 낮은 비타민 D3의 효능(70μg)으로 인하여, 500ml의 배지에 3개의 정제를 사용하여 적합한 시그날을 수득할 수 있다.Alendronate assays and dissolution methods are FOSAMAX Pre-column 9-fluorenylmethyl chloroformate (FMOC) derivatization can be used with reversed phase HPLC, similar to the methods already reported for purification. The vitamin D 3 and degradation products method may also be a reverse phase, gradient HPLC method (RP-HPLC) capable of dissociating and quantifying a number of effective degradation products of vitamin D 3 and vitamin D 3 . Content uniformity and dissolution assays of vitamin D 3 may also use reverse phase HPLC. The dissolution method may use surfactant medium (1% SDS) due to the poor aqueous stability of vitamin D 3 . Due to the low vitamin D 3 potency (70 μg) of the combined tablets, three tablets in 500 ml of medium can be used to obtain a suitable signal.

52주 검정 및 분해 데이터는 30℃/65% RH 및 40℃/75% RH에서 보관된 배합 정제의 뱃치에 대해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표 11 및 12 참고). 이들 데이터는 본 발명의 조성물 양태의 허용되는 안정성을 나타내지만, 생성된 데이터는 비타민 D3의 약한 분해가 있음을 실제로 지시한다. 온도가 높을수록 보다 많은 분해물이 건조제의 부재하에 알루미늄 발포 및 HDPE 병에서 발견되었다.52-week assay and degradation data are provided below for batches of combination tablets stored at 30 ° C./65% RH and 40 ° C./75% RH (see Tables 11 and 12). These data show the acceptable stability of the compos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data generated actually indicate that there is a mild degradation of vitamin D 3 .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more decomposition was found in the aluminum foam and HDPE bottles in the absence of desiccant.

실시예 7Example 7

비타민 DVitamin D 3 3 및 알렌드로네이트의 약동학And Pharmacokinetics of Alendronate

개방된 표지, 무작위, 2부, 2기간, 교차 연구는 236명의 건강한, 18 내지 65세의 비임신 여성 및 남성에 대해 수행하였다. 연구는 2부(I부 및 II부)로 수행하며, 각각 2기간 교차 디자인으로 이루어졌다. 각각의 피검자는 연구의 한 부에만 참여하였다(즉, 각각의 피검자는 I부 또는 II부에만 참여하였다). 피검자는 연구의 각 부내로 순차적으로 연구에 들어가며, 워시아웃 기간은 연구의 각 부내의 치료 기간 사이에서 12일 이상이었다. I부는 치료 A 및 B를 포함하며, II부는 치료 A 및 C를 포함하였다. 치료는 다음으로 이루어졌다: 치료 A-아래 표 7-3에 따르는,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의 단일 용량; 치료 B-아래 표 7-2에 따르는,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의 단일 용량; 치료 C-아래 표 7-4에 따르는, (알렌드로네이트를 대체하는 위약 부형제를 함유하는) 2800IU 비타민 D3 정제의 단일 용량.Open marker, randomized, two-part, two-period, crossover studies were performed on 236 healthy, 18-65 year old, non-pregnant women and me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parts (Parts I and II), each consisting of two periods of crossover design.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only one part of the study (ie, each subject participated only in Part I or II). Subjects entered the study sequentially into each part of the study, with washout periods of 12 days or more between treatment periods within each part of the study. Part I included Treatments A and B and Part II included Treatments A and C. Treatment consisted of: Treatment A—Single dose of 70 mg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 according to Table 7-3 below; Treatment B—Single dose of 70 mg Alendronate tablet, according to Table 7-2 below; Treatment C—Single dose of 2800 IU Vitamin D 3 tablets (containing placebo excipients replacing alendronate) according to Tables 7-4 below.

I부에서,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각 기간에 용량 투여 2시간 전 및 투여 36시간 후에 걸쳐 뇨를 수거하였다. II부에서, 각 기간에서 투여 -24, -18, -12 및 -6시간 전에, 0시간에(약물 투여하기 직전에), 및 용량 투여 120시간 후에 걸쳐 선택된 시간에 혈청 비타민 D3 측정을 위해 혈액 샘플을 수거하였다.In Part I, urine was collected over 2 hours prior to dose administration and 36 hours after dosing in each period to determine the total urinary volume of alendronate. In Part II, for serum vitamin D 3 measurements at selected times over -24, -18, -12 and -6 hours prior to dosing at each period, at 0 hours (immediately prior to drug administration), and 120 hours after dose administra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연구의 I부는 아래 표 16에 따른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아래 표 15에 따른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에서 알렌드로네이트의 생체등가물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II부는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를 투여한 후에 수득된 비타민 D3의 혈청 약동학(AUC0-120시간, Cmax)을 평가하였다. 2800IU 비타민 D3 정제는 알렌드로네이트/비타민 D3 배합 정제에서 2800IU 비타민 D3 및 불활성 부형제를 함유하였다.Part I of the study evaluated the bioequivalents of Alendronate in 70 mg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according to Table 16 below and 70 mg Alendronate tablets according to Table 15 below. Part II of the study evaluated the serum pharmacokinetics (AUC 0-120 hours , C max ) of vitamin D 3 obtained after administration of 70 mg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 and 2800IU Vitamin D 3 tablet. The 2800 IU Vitamin D 3 tablet contained 2800 IU Vitamin D 3 and an inert excipient in the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

I부에서 1차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경구 용량 투여 0 내지 36시간 후에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이었다.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의 측정은 배뇨를 통한 알렌드로네이트의 경구 생체이용율을 특징화하는 이전의 연구와 일치하며, 이는 경구 투여 후 혈장 농도가 낮고 검출하기에 곤란하기 때문이다.The primary pharmacokinetic parameter in Part I was the total urination volume of alendronate 0-36 hours after oral dose administration. Determination of the total urination volume of alendronate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characterizing the oral bioavailability of alendronate via urination, as the plasma concentrations are low and difficult to detect after oral administration.

II부에서 1차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비타민 D3의 AUC0-120시간 및 Cmax이었다. 각 기간에서 하기 시점에서 혈청 비타민 D3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채혈하였다: 투여 -24, -18, -12, -6시간 전, 0시간(약물 투여하기 직전), 및 투여 2, 3, 5, 7, 16, 24, 36, 48, 72, 96 및 120시간 후.The primary pharmacokinetic parameters in Part II were AUC 0-120 hours and C max of vitamin D 3 . Blood was collected to determine serum vitamin D 3 concentrations at the following time points in each period: -24, -18, -12, -6 hours before dosing, 0 hours (immediately before drug administration), and dosing 2, 3, 5, After 7, 16, 24, 36, 48, 72, 96 and 120 hours.

약물 투여를 연구하기 전 24시간 동안 혈청 비타민 D3 농도를 수거하여 조절된 환경에서 24시간에 걸쳐 비타민 D3 내인성 수준의 거동의 지표로 제공하였다. 비타민 D3는 피부에서 자외선으로의 노출을 통해 합성되므로, 피검자를 연구 단위에서 살게 하고, 약동학적-샘플링 기간 동안에 직사광선에 노출시키지 않는다(예, 투여 24시간 전 내지 투여 120시간 후까지 144시간 동안). 피검자는 자외선차단제(SPF 45)를 바르는 것이 필요하며, 워시아웃 기간을 포함하여 전체 연구에 걸쳐서 일광 노출을 제한하였다. 피검자는 또한, 비타민 D3에 높다고 공지된 식품(예: 연어, 청어, 고등어, 대구, 참치, 황새치 굴 및 정어리) 뿐만 아니라 비타민 D3를 보충하는 것으로 공지된 식품(예: 특정 곡류, 강화유 및 특정 요구르트)을 먹는 것이 제한되었다.In the study medication before adjustment by the return of serum vitamin D 3 concentration for 24 hours over 24 hours in the environment of vitamin D 3 It served as an indicator of the behavior of endogenous levels. Since vitamin D 3 is synthesized through skin-to-ultraviolet exposure, subjects live in study units and are not exposed to direct sunlight during the pharmacokinetic-sampling period (e.g., for 144 hours from 24 hours before to 120 hours after administration). ). Subjects need to apply sunscreen (SPF 45) and limit sun exposure throughout the study, including the washout period. The subject may also have foods known to be high in vitamin D 3 (eg salmon, herring, mackerel, cod, tuna, swordfish oysters and sardines). In addition, eating foods known to supplement vitamin D 3 (eg, certain grains, fortified milk, and certain yogurts) have been restricted.

I부에서 각각의 피검자는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의 단일 경구 용량 및 70mg 알렌드로네이트의 단일 경구 용량을 무작위, 교차 방식으로 제공받았다. II부에서 피검자는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의 단일 경구 용량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의 단일 경구 용량을 무작위 교차 방식으로 제공받았다. 용량은 투여 전 저녁에 2100시간에 시작하여 (물을 제외하고는) 밤새 금식시킨 후에 순수한 수돗물 240ml와 함께 투여하였다. 피검자는 약물 투여 및 제한된 식사 사이에 눕지 말고 똑바로 유지하도록(적어도 45°각도에서 앉거나 서있는다) 지시받았다. 피검자는 2시간 후 용량으로 투여되는 표준 식사 때까지 금식하였다. 알렌드로네이트/비타민 D3 배합 정제를 투여하기 위한 방법은 알렌드로네이트에 대한 것과 동일하다.In Part I each subject received a single oral dose of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 and a single oral dose of 70 mg Alendronate in a randomized, crossover fashion. In Part II, subjects received a single oral dose of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 and a single oral dose of 2800 IU vitamin D 3 tablet in a randomized crossover fashion. Doses were administered with 240 ml of pure tap water starting overnight at 2100 hours prior to dosing and fasting overnight (except water). The subject was instructed to stay upright (sit or stand at least 45 °) between the medication and the restricted meal. Subjects fasted until a standard meal administered at a dose after 2 hours. The method for administering the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 is the same as for Alendronate.

연구에서 투여된 조성물은 아래 표 14 내지 17에 기재되어 있다.The compositions administered in the study are described in Tables 14-17 below.

투여 0 내지 120시간 후에 혈청 농도 대 시간 곡선 아래의 면적(AUC0-120시간)은 최종 샘플 수거에 대한 사다리꼴 방법에 의해 비타민 D3(Ct)의 비조절된 농도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정량화의 검정 한계(LOQ)보다 낮은 농도를 갖는 샘플은 계산하기 위해서 0의 값에 배당되었다. 관찰된 최대 농도(Cmax) 및 Cmax의 시간(Tmax )은 혈청 중의 비타민 D3의 측정된 농도 및 샘플 수거의 실제 기록 시간을 검사하여 수득하였다. 혈청 중의 비타민 D3의 농도 프로필은 또한, 3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측정하며, 이들 중의 두가지는 아래에 논의된 방식으로 기초 비타민 D3 혈청 농도를 고려하였다. AUC0-120시간, Cmax 및 Tmax는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하였다.The area under the serum concentration versus time curve (AUC 0-120 hours ) after 0-120 hours of administr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unregulated concentration of vitamin D 3 (C t ) by the trapezoidal method for final sample collection. Samples with concentrations below the limit of assay (LOQ) of quantification were assigned a value of zero for calculation. The maximum concentration observed (C max ) and the time of C max (T max ) were obtained by examin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vitamin D 3 in serum and the actual recording time of sample collection. The concentration profile of vitamin D 3 in the serum was also measured in three different ways, two of which considered the basal vitamin D 3 serum concentration in the manner discussed below. AUC 0-120 hours , C max and T max were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70mg 알렌드로네이트 단독 정제에 비하여 70mg 알렌드로네이트 정제/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의 생체이용율은 알렌드로네이트/비타민 D3 배합 정제 대 70mg 알렌드로네이트 단독 정제로부터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에 대한 GMR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2800IU 비타민 D3 정제 단독에 대한,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의 상대적 생체이용율은 AUC0-120시간 및 Cmax에 대한 GMR(알렌드로네이트 + 비타민 D3/비타민 D3 단독)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The bioavailability of the 70 mg Alendronate tablets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compared to the 70 mg Alendronate alone tablets was evaluated using GMR for the total urination volume of the Alendronate from the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versus the 70 mg Alendronate alone tablets. Relative bioavailability of 70 mg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for 2800 IU Vitamin D 3 tablets alone was assessed using GMR (Alendronate + Vitamin D 3 / Vitamin D 3 alone) for AUC 0-120 hours and C max It was.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를 투여한 후에 비타민 D3 단일 용량 약동학은 3가지 상이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제1 접근법에서, 내인성 비타민 D3 혈청 농도에 대한 비타민 D3 약동학은 두가지 치료의 투여 후 비교하였다.After administration of the 70 mg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 and the 2800IU Vitamin D 3 tablet, vitamin D 3 single dose pharmacokinetics were compared using three different approaches. In a first approach, vitamin D 3 pharmacokinetics to endogenous vitamin D 3 serum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fter administration of the two treatments.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를 투여한 후에 내인성 비타민 D3 혈청 농도에 대한 비타민 D3 단일 용량 약동학은 2기간, 교차 디자인에 적합한 ANOVA 모델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적합한 변형은 약동학적 매개변수에 대해 사용되었다(즉, AUC0-120시간 및 Cmax에 대한 긴 변형은 Tmax의 등급을 매기고 겉보기 t1/2에 대해 역전되었다). 역 변형 기초 통계치 및 추정 결과를 보고하였다. ANOVA 모델의 가정은 정상에 대해 시험하였다. 정상 가정은 일반적으로 AUC0-120시간 및 Cmax에 대해 충족되었다.Using this approach, the vitamin D 3 single dose pharmacokinetics to endogenous vitamin D 3 serum concentration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 and the 2800 IU Vitamin D 3 tablet were developed using a two-term, crossover design suitable ANOVA model. Compared using. Suitable strains were used for pharmacokinetic parameters (ie, long strains for AUC 0-120 hours and C max were graded T max and reversed for apparent t 1/2 ). Inverse strain base statistics and estimation results were reported. Assumptions of the ANOVA model were tested for normal. Normal assumptions were generally met for AUC 0-120 hours and C max .

2800IU 비타민 D3 정제와 비교한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에서 비타민 D3의 생체이용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t-분포를 기본으로 하는 90% CI는 AUC0-120시간 및 Cmax의 GMR(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2800IU 비타민 D3 정제)에 대해 계산한 다음에, (0.80, 1.25)의 미리 명시된 생체등가 경계와 비교하였다. 기초 통계치 및 치료 사이의 비교는 또한, 비타민 D3의 Tmax를 제공하였다.Alendronate 70mg / 2800IU compared to vitamin D 3 from vitamin D 3 tablets 2800IU tablet formulation in order to assess the bioavailability of vitamin D 3, 90% CI of the t- distribution with underlying AUC 0-120 of time and C max GMR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 2800 IU Vitamin D 3 Tablets) were then calculated and compared to the predefined bioequivalent boundaries of (0.80, 1.25). The comparison between basal statistics and treatment also provided the T max of vitamin D 3 .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측정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혈장 중의 투여 전 비타민 D3의 중요성은 특히 실험 기간 동안에 비타민 D3 농도에서 관찰되는 변화에 대한 모델의 개발을 유도하였다. 본 모델은 기저선 비타민 D3 혈청 농도로부터 분포의 공제를 허용하며, 이 화합물의 경구 투여로부터 배타적으로 일어나는 약동학적 매개변수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모델은 다음 가정에 의거하였다: (1) 어떠한 외인성 비타민 D3도 투여하지 않는 경우, 배경 농도는 대략 선형 방식으로 시간의 함수로서 변한다(Ct = Ci + Cm·t, 여기에서 Ci 및 Cm은 직선의 절편 및 기울기이며, t는 용량 투여에 비례하는 시간의 수이다); (2) 내인성 및 섭취된 비타민 D3의 약동학적 거동은 서로 무관하며, 즉 신체는 내인성으로 유용한 비타민 D3를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용량이 섭취되거나 섭취되지 않으면서(본 연구에서 치료 및 비치료) 취급하고, 섭취된 비타민 D3는 또한 용량 투여 전에 신체에서 본 발명 화합물의 변화량의 존재하에 유사하게 취급한다; (3) 투여 후에 기저선으로 농도 프로필의 복귀는 외인성 화합물(대부분의 약물 생성물)이 투여되는 경우에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약동학적 방법으로 일어난다(즉, 기저선으로의 복귀 말단 상은 선형 로그일 것이다).As another method of measuring pharmacokinetic parameters, the importance of vitamin D 3 prior to administration in plasma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changes observed in vitamin D 3 concentrations, particular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model allows subtraction of the distribution from baseline vitamin D 3 serum concentrations and allows the evaluation of pharmacokinetic parameters that arise exclusively from oral administration of this compound. The model is based on the following assumptions: (1) If no exogenous vitamin D 3 is administered,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changes as a function of time in a substantially linear fashion (C t = C i + C m · t, where C i And C m is the intercept and slope of the straight line and t is the number of times proportional to dose administration); (2) The endogenous and pharmacokinetic behavior of ingested vitamin D 3 is independent of one another, ie the body is endogenous and useful in the same way, with or without additional doses of vitamin D 3 (therapeutic and non-dose treatments in this study). ) And consumed vitamin D 3 similarly in the presence of varying amounts of the compounds of the invention in the body prior to administration of the dose; (3) Return of the concentration profile to baseline after administration occurs in a pharmacokinetic method similar to that observed when exogenous compounds (most drug products) are administered (ie, the return phase to baseline will be a linear log).

이들 가정을 근거로 하여, 양식 Ct = Ci + Cm·t의 기초 및 2 구획 모델의 합을 기술하는 함수(아래 방정식 참고)는 최소-제곱 최소화 방법에 의해 마이크로소프트 EXCEL(Solver Routine)로 수행되는 일반화 환원 구배 비선형 최적화 방법을 사용하여 개별적 Ct 대 t 프로필(투여 후에 -24 내지 120시간)에 적합하였다. 적합하게는 선형 로그 거동에 근접하는 기저선으로의 접근법의 말단 상을 생성하는 것이 억제되었다. 다음에, 각각의 프로필에 최상의 적합 계수를 사용하여 투여 후에 0 내지 120시간의 범위에서 기저선의 값을 내삽하고, 내삽된 기저선은 각각의 프로필로부터 공제되었다.Based on these assumptions, the function describing the basis of the form C t = C i + C m t and the sum of the two-compartment models (see equation below) is based on the Microsoft Solver Routine (EXCEL) method by the least-squares minimization method. The generalized reduction gradient nonlinear optimization method performed with was used to fit the individual C t to t profiles (-24 to 120 hours after administration). Suitably it was suppressed to produce an end phase of the approach to the baseline approaching linear log behavior. Next, the best fit factor was used to interpolate baseline values in the range of 0 to 120 hours after administration, and the interpolated baseline was subtracted from each profile.

상기식에서,In the above formula,

t는 용량 투여에 대한 시간이고,t is the time for dose administration,

Ct는 혈청 중의 비타민 D3의 예상 농도이고,C t is the expected concentration of vitamin D 3 in the serum,

Ci는 t=0에서 기저선의 예상 값이고,C i is the expected value of the baseline at t = 0,

Cm은 예상 기저선의 기울기이고,C m is the slope of the expected baseline,

A, B, kd, kel 및 ka는 제1차 흡수도를 갖는 2 구획 모델의 매개변수이고, tlag는 비타민 D3의 경구 투여 후에 흡수도에서 개별적 지연이다.A, B, k d , k el and k a are parameters of a two compartment model with primary absorbance and t lag is the individual delay in absorbanc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vitamin D 3 .

이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된 약동학적 매개변수(AUC0-120시간, Cmax, Tmax)는 제1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되었다. 36시간에 걸친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에 대한 기초 통계치는 아래 표 18에 나타나 있다. 단일 용량 후, 알렌드로네이트의 총 배뇨량에 대한 LS 평균은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70mg 알렌드로네이트 단독 정제는 각각 197.5 및 191.9μg이었다. 알렌드로네이트(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대 70mg 알렌드로네이트 단독 정제)의 총 배뇨량에 대한 GMR 및 상응하는 90% CI는 1.03(0.91, 1.17)이었다. 90% CI는 (0.80, 1.25)의 미리 명시된 생체등가 경계에 해당하였다.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AUC 0-120 h , C max , T max ) measured using this method were calculated in the same way as described using the first measurement method. Basic statistics on the total urination volume of alendronate over 36 hours are shown in Table 18 below. After a single dose, the LS mean for the total urination volume of the alendronate was 197.5 and 191.9 μg for the 70 mg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combined tablet and the 70 mg allendronate alone tablet, respectively. The GMR and corresponding 90% CI for the total urine volume of the alendronate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ed tablets versus 70 mg Alendronate alone tablet) was 1.03 (0.91, 1.17). The 90% CI corresponded to the predefined bioequivalence boundaries of (0.80, 1.25).

혈장 측정에 대해, 비타민 D3 AUC0-120시간에 대한 LS 평균(내인성 비타민 D3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음)은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에 대해 각각 296.4 및 337.9ng·h/ml이었다(표 19). AUC0-120시간 GMR(알렌드로네이트 + 비타민 D3 배합 정제/비타민 D3 정제)은 0.88이며, 90% CI는 (0.81, 0.95)이었다.For plasma measurements, the LS mean for vitamin D 3 AUC 0-120 hour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endogenous vitamin D 3 serum concentrations) was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and The 29800 and 337.9 ng h / ml for 2800 IU vitamin D 3 tablets, respectively (Table 19). AUC 0-120 hours GMR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 Vitamin D 3 Tablets) was 0.88 and 90% CI was (0.81, 0.95).

내인성 비타민 D3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는, 비타민 D3 AUC0-120시간에 대한 LS 평균은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에 대해 각각 5.9 및 6.6ng/ml이었다(표 20). Cmax에 대한 GMR(알렌드로네이트 + 비타민 D3 배합 정제/비타민 D3 정제)은 0.89이며, 90% CI는 (0.84, 0.95)이었다. 비타민 D3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은 AUC0-120시간 및 Cmax GMR은 (0.80, 1.25)의 미리 명시된 생체등가 한계에 해당하였다.Without considering endogenous vitamin D 3 serum concentrations, the LS mean for vitamin D 3 AUC 0-120 hours was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and 5.9 and 6.6 ng / ml for 2800 IU Vitamin D 3 tablets, respectively (Table 20). For C max GMR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 Vitamin D 3 Tablets) was 0.89 and 90% CI was (0.84, 0.95). AUC 0-120 hours and C max GMR without taking vitamin D 3 serum concentrations corresponded to the predefined bioequivalence limits of (0.80, 1.25).

표 21은 내인성 비타민 D3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은 혈청 프로필로부터 수득된, 비타민 D3 Tmax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알렌드로네이트의 존재하에 및 부재하에 비타민 D3에 대한 중간 Tmax는 각각 12.0 및 9.0시간이었다. 치료 차이 사이의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 값>0.200).Table 21 show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vitamin D 3 T max , obtained from the serum profile without considering endogenous vitamin D 3 serum concentrations. The median T max for vitamin D 3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lendronate was 12.0 and 9.0 hours, respectively. No significance between treatment differences was observed (p value> 0.200).

비타민 D3 AUC0-120시간에 대한 LS 평균은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에 대해 각각 297.5 및 336.7ng·h/ml이었다(표 22). AUC0-120시간 GMR(알렌드로네이트 + 비타민 D3 배합 정제/비타민 D3 정제)은 0.88이며, 90% CI는 (0.82, 0.95)이었다.LS mean for vitamin D 3 AUC 0-120 hours is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and The 29800 and 336.7 ng h / ml for 2800 IU vitamin D 3 tablets, respectively (Table 22). AUC 0-120 hours GMR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 Vitamin D 3 Tablets) was 0.88 and 90% CI was (0.82, 0.95).

비타민 D3의 LS 평균 Cmax는 아래 표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에 대해 각각 5.9 및 6.6ng/ml이었다. Cmax GMR(알렌드로네이트 + 비타민 D3 배합 정제/비타민 D3 정제)은 0.90이며, 90% CI는 (0.85, 0.95)이었다. 조변수로서 시간=0에서 투여 전 비타민 D3 농도를 사용하는 AUC0-120시간 및 Cmax GMR에 대한 90% CI는 (0.80, 1.25)의 미리 명시된 생체등가 한계에 해당하였다.LS mean C max of vitamin D 3 is shown in Table 23 below,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and 5.9 and 6.6 ng / ml for 2800 IU Vitamin D 3 tablets, respectively. C max GMR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 Vitamin D 3 Tablets) was 0.90 and 90% CI was (0.85, 0.95). AUC 0-120 hours using pre-dose vitamin D 3 concentration and 90% CI for C max GMR as time variables corresponded to the predefined bioequivalence limit of (0.80, 1.25).

모델-기본 비타민 D3 기저선 농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비타민 D3 AUC 0-120시간의 데이터 분석 결과는 표 24에 요약되어 있다. 모델-기본 비타민 D3 기저선 농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비타민 D3 AUC0-120시간에 대한 LS 평균은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에 대해 각각 143.1 및 169.1ng·h/ml이었다. AUC0-120시간 GMR(알렌드로네이트 + 비타민 D3 배합 정제/비타민 D3 정제)은 0.85이며, 90% CI는 (0.76, 0.94)이었다. 90% CI의 하한은 0.80의 미리 명시된 하한 바로 아래에 해당한다.Model of the basic baseline vitamin D 3 concentration of the vitamin D 3 was measured using a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for AUC 0-120 hours are summarized in Table 24. The LS mean for vitamin D 3 AUC 0-120 hours , measured using model-base vitamin D 3 baseline concentrations, was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combined tablets and 143.1 and 169.1 ng h / ml for 2800 IU vitamin D 3 tablets, respectively. AUC 0-120 hours GMR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 Vitamin D 3 Tablets) was 0.85 and 90% CI was (0.76, 0.94). The lower 90% CI falls directly below the predefined lower limit of 0.80.

모델-기본 비타민 D3 기저선 농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비타민 D3의 LS 평균 Cmax는 표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 배합 정제 및 2800IU 비타민 D3 정제에 대해 각각 4.0 및 4.6ng/ml이었다. Cmax GMR(알렌드로네이트 + 비타민 D3 배합 정제/비타민 D3 정제)은 0.88이며, 90% CI는 (0.83, 0.93)이었다. 모델-기본 비타민 D3 기저선 농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Cmax GMR에 대한 90% CI는 (0.80, 1.25)의 미리 명시된 생체등가 한계에 해당하였다.The LS mean C max of vitamin D 3 , measured using model-base vitamin D 3 baseline concentrations, is shown in Table 25, with 70 mg Alendronate / 2800IU vitamin D 3 combined tablets and 4.0 and 4.6 ng / ml for 2800 IU Vitamin D 3 tablets, respectively. C max GMR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 Vitamin D 3 Tablets) was 0.88 and 90% CI was (0.83, 0.93). The 90% CI for C max GMR measured using model-base vitamin D 3 baseline concentrations corresponded to the predefined bioequivalence limit of (0.80, 1.25).

표 26은 모델-기본 기저선 비타민 D3 농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프로필로부터 수득된, 비타민 D3 Tmax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의 결과를 나타낸다. 알렌드로네이트의 존재하에 및 부재하에 비타민 D3에 대한 중간 Tmax는 각각 12.0 및 9.0시간이었다. 치료 차이 사이에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는다(p 값>0.200).Table 26 show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vitamin D 3 T max , obtained from the profile measured using the model-based baseline vitamin D 3 concentration. The median T max for vitamin D 3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lendronate was 12.0 and 9.0 hours, respectively. No significance was observed between treatment differences (p value> 0.200).

모델-기본 비타민 D3 배경 농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비타민 D3의 t1/2의 데이터 분석 결과는 표 27에 요약되어 있다. 알렌드로네이트의 존재하에 및 부재하에 비타민 D3에 대한 조화 평균 겉보기 t1/2은 각각 24.0 및 25.5이었다. 치료 차이 사이에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 값>0.200).The data analysis of t 1/2 of vitamin D 3 , measured using the model-base vitamin D 3 background concentration, is summarized in Table 27. The harmonic mean apparent t 1/2 for vitamin D 3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lendronate was 24.0 and 25.5,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reatment differences (p value> 0.200).

실시예 8Example 8

분해 검출 방법Decomposition detection method

알렌드로네이트/비타민 D3 배합 정제(70mg 알렌드로네이트/2800IU 비타민 D3)를 복합 검정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비타민 D3는 약 50ml의 5% 물/95% 메탄올 희석제 중의 정제 15개로부터 추출한다. 용액은 10분 동안 교반시키고, 30분 동안 초음파처리하고, 3시간 더 교반한다. 샘플은 원심분리시키고, 100μL의 상등액을 역상 HPLC 분석하기 위한 Phenomenex Phenosphere 80Å ODS(1) 칼럼(150 x 4.6mm, 3μm)으로 주입한다. 방법은 265nm의 검출 파장을 사용하는 65분 구배 방법이다. 비타민 D3 전구체 및 비타민 D3 피이크는 둘다 정량화하고 합쳐서 샘플 중의 비타민 D3의 총량을 계산한다. 이 방법은 만족스러운 특이성, 선형성, 회수, 정밀도, 재생성, 용액 안정성, 감수성 및 강성에 대해 유효하다.A method for the combination assay of Alendronate / Vitamin D 3 combination tablets (70 mg Alendronate / 2800 IU Vitamin D 3 ) has been developed. Vitamin D 3 is extracted from 15 tablets in about 50 ml of 5% water / 95% methanol diluent. The solution is stirred for 10 minutes, sonicated for 30 minutes and stirred for another 3 hours. Samples are centrifuged and 100 μL of supernatant is injected into a Phenomenex Phenosphere 80 μs ODS (1) column (150 × 4.6 mm, 3 μm) for reverse phase HPLC analysis. The method is a 65 minute gradient method using a detection wavelength of 265 nm. The vitamin D 3 precursor and the vitamin D 3 peak are both quantified and combined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vitamin D 3 in the sample. This method is effective for satisfactory specificity, linearity, recovery, precision, reproducibility, solution stability, sensitivity and stiffness.

예시적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을 아래에 기재한다:Exemplary chromatography conditions are described below:

비타민 D3에 대한 대표적 보유 시간 및 상대적 보유 시간(RRT)을 갖는 부형제 피이크 및 분해가 표 28에 나타나 있다. 비타민 D3의 주요 분해 경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성체화, 열 이성체화 및 트랜스에스테르화이다.Excipient peaks and degradation with representative retention time and relative retention time (RRT) for vitamin D 3 are shown in Table 28. The major degradation pathways of vitamin D 3 are photoisomerization, thermoisomerization and transesterification, as shown in FIG. 5.

정량화의 한계(LOQ)는 상이한 농도의 비타민 D3 용액을 주입하고 10 이상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갖는 최저 농도를 선택함으로써 측정하였다. LOQ는 약 9ng/ml로서(주입 용량 100μL) 측정되며, 이는 10회의 반복 측정에 대해 11.1의 평균 신호 대 잡음비를 갖는 방법 농도의 0.04%이다.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determined by inject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itamin D 3 solution and selecting the lowest concentration with a signal-to-noise ratio of 10 or greater. The LOQ is measured as about 9 ng / ml (injection capacity 100 μL), which is 0.04% of the method concentration with an average signal to noise ratio of 11.1 for 10 replicate measurements.

실시예 9Example 9

주-1회 투여 섭식Once-weekly diet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정제, 또는 알렌드로산 활성 기제로 대해, 약 70mg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5,600IU의 비타민 D를 함유하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실시예 1, 2 및 3 참고). 정제 또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은 피검자에게 주 1회, 즉 바람직하게는 7일마다 약 1회(예를 들어, 일요일마다), 적어도 1년의 기간 동안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방법은 골다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면서 비타민 D 영양을 공급하기에 유용하고 편리한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방법은 또한, 피검자의 수용 및 승낙을 개선시키고,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취하는 모든 피검자가 적당한 비타민 D 영양을 확실히 수용하기에 유용한 것으로 기대된다.Alendronate and Vitamin D tablets, or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containing about 7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5,600 IU of vitamin D, can be prepared for the Alendroic acid active base (see Examples 1, 2, and 3). Tablets or other solid dosage forms may be administered orally to a subject once a week, preferably about once every seven days (eg, every Sunday) for a period of at least one year. Such a method of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be useful and convenient to provide vitamin D nutrition while treating or preventing osteoporosis. This method is also expected to improve the acceptance and acceptance of subjects and to be useful for ensuring that all subjects taking bisphosphonates receive adequate vitamin D nutrition.

대안으로,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정제 또는 알렌드로산 활성 기제에 대해, 약 70mg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2,800IU의 비타민 D를 함유하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실시예 1 및 3 참고). 정제 또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은 피검자에게 주 1회, 즉 바람직하게는 7일마다 약 1회(예를 들어, 일요일마다), 적어도 1년의 기간 동안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방법은 골다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면서 비타민 D 영양을 공급하기에 유용하고 편리한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방법은 또한, 피검자의 수용 및 승낙을 개선시키고,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취하는 모든 피검자가 적당한 비타민 D 영양을 확실히 수용하기에 유용한 것으로 기대된다.Alternatively,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containing about 7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2,800 IU of vitamin D may be prepared for the alendronate and vitamin D tablets or allandroic acid active bases (eg, Example 1 and See 3). Tablets or other solid dosage forms may be administered orally to a subject once a week, preferably about once every seven days (eg, every Sunday) for a period of at least one year. Such a method of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be useful and convenient to provide vitamin D nutrition while treating or preventing osteoporosis. This method is also expected to improve the acceptance and acceptance of subjects and to be useful for ensuring that all subjects taking bisphosphonates receive adequate vitamin D nutrition.

또는,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정제 또는 알렌드로산 활성 기제에 대해, 약 35mg 내지 약 70mg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2,800IU의 비타민 D를 함유하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실시예 3 참고). 정제 또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은 피검자에게 주 1회, 즉 바람직하게는 7일마다 약 1회(예를 들어, 일요일마다), 적어도 1년의 기간 동안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방법은 골다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면서 비타민 D 영양을 공급하기에 유용하고 편리한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방법은 또한, 피검자의 수용 및 승낙을 개선시키고,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취하는 모든 피검자가 적당한 비타민 D 영양을 확실히 수용하기에 유용한 것으로 기대된다.Alternatively,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containing about 35 mg to about 7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2,800 IU of vitamin D, may be prepared for the alendronate and vitamin D tablets or allandronic active bases (eg, Examples See 3). Tablets or other solid dosage forms may be administered orally to a subject once a week, preferably about once every seven days (eg, every Sunday) for a period of at least one year. Such a method of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be useful and convenient to provide vitamin D nutrition while treating or preventing osteoporosis. This method is also expected to improve the acceptance and acceptance of subjects and to be useful for ensuring that all subjects taking bisphosphonates receive adequate vitamin D nutrition.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정제 또는 알렌드로산 활성 기제에 대해, 약 280mg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5,600IU의 비타민 D를 함유하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실시예 2 및 3 참고). 정제 또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은 피검자에게 주 1회, 즉 바람직하게는 7일마다 약 1회(예를 들어, 일요일마다), 적어도 1 내지 6개월의 기간 동안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방법은 파게트(Paget) 병을 치료하면서 비타민 D 영양을 공급하기에 유용하고 편리한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방법은 또한, 피검자의 수용 및 승낙을 개선시키고,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취하는 모든 피검자가 적당한 비타민 D 영양을 확실히 수용하기에 유용한 것으로 기대된다.For Alendronate and Vitamin D tablets or Alendroic acid active bases,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containing about 28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5,600 IU of Vitamin D can be prepared (see, eg, Examples 2 and 3). . Tablets or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may be administered orally to a subject once a week, preferably about once every seven days (eg, every Sunday) for a period of at least 1 to 6 months. This method of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be useful and convenient to provide vitamin D nutrition while treating Paget's disease. This method is also expected to improve the acceptance and acceptance of subjects and to be useful for ensuring that all subjects taking bisphosphonates receive adequate vitamin D nutrition.

또는,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정제 또는 알렌드로산 활성 기제에 대해, 약 280mg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2,800IU의 비타민 D를 함유하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실시예 3 참고). 정제 또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은 피검자에게 주 1회, 즉 바람직하게는 7일마다 약 1회(예를 들어, 일요일마다), 적어도 1 내지 6개월의 기간 동안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방법은 파게트 병을 치료하면서 비타민 D 영양을 공급하기에 유용하고 편리한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방법은 또한, 피검자의 수용 및 승낙을 개선시키고,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취하는 모든 피검자가 적당한 비타민 D 영양을 확실히 수용하기에 유용한 것으로 기대된다.Alternatively,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containing about 28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2,800 IU of vitamin D can be prepared for the alendronate and vitamin D tablets or allandronic active bases (see, eg, Example 3). . Tablets or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may be administered orally to a subject once a week, preferably about once every seven days (eg, every Sunday) for a period of at least 1 to 6 months. This method of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be useful and convenient to provide vitamin D nutrition while treating Paguet's disease. This method is also expected to improve the acceptance and acceptance of subjects and to be useful for ensuring that all subjects taking bisphosphonates receive adequate vitamin D nutrition.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 정제 또는 알렌드로산 활성 기제에 대해, 약 280mg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약 5,600IU 또는 2800IU의 비타민 D를 함유하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실시예 1, 2 및 3 참고). 정제 또는 다른 고체 용량 제형은 피검자에게 주 1회, 즉 바람직하게는 7일마다 약 1회(예를 들어, 일요일마다)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방법은 전이성 골 질환을 치료하면서 비타민 D 영양을 공급하기에 유용하고 편리한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방법은 또한, 피검자의 수용 및 승낙을 개선시키고,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취하는 모든 피검자가 적당한 비타민 D 영양을 확실히 수용하기에 유용한 것으로 기대된다.Alendronate and Vitamin D For tablets or allandronic active bases,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containing about 280 mg of alendronate and about 5,600 IU or 2800 IU of vitamin D can be prepared (eg, Examples 1, 2). And 3). Tablets or other solid dose formulations may be administered orally to a subject once a week, preferably about once every seven days (eg, every Sunday). This method of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be useful and convenient to provide vitamin D nutrition while treating metastatic bone disease. This method is also expected to improve the acceptance and acceptance of subjects and to be useful for ensuring that all subjects taking bisphosphonates receive adequate vitamin D nutrition.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골 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인 본 발명에서 본 발명 또는 청구의 범위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 및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골 흡수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의 변형, 변화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bone absorp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or clai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include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equivalents of th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bone absor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포유동물의 비정상적인 골 흡수와 관련된 상태 및 질환, 예를 들면, 골다공증을 예방, 억제, 감소 및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태는 1주-1회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유효량의 알렌드로네이트 및 비타민 D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 도중 비타민 D 영양을 제공하여 정상적인 골 형성 및 무기화를 용이하게 하면서, 비타민 D 결핍과 관련된 합병증(예: 저칼슘혈증 및 골연화증)에 대한 잠재성의 유발을 최소화한다.Compositions and methods are described for preventing, inhibiting, reducing and treating conditions and diseases associated with abnormal bone absorption in mammals, such as osteoporosis. Embodiments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lendronate and vitamin D 3 suitable for weekly to weekly administration. Th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vitamin D nutrition during bisphosphonate treatment to facilitate normal bone formation and mineralization, while minimizing the induction of potential fo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itamin D deficiency (eg, hypocalcemia and osteomalacia).

도 1은 비타민 D3의 대사작용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the metabolism of vitamin D 3 .

도 2는 콜레칼시페롤 및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삼수화물의 화학식을 도시한 것이다.2 shows the chemical formulas of cholecalciferol and alendronate monosodium trihydrate.

도 3은 비타민 D2 및 비타민 D3의 화학식을 도시한 것이다.3 shows the chemical formulas of vitamin D 2 and vitamin D 3 .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 방법 양태를 요약하는 도식을 나타낸 것이다.4 shows a schematic summariz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making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비타민 D3의 열적 및 광화학적 이성체화 및 트랜스에스테르화을 도시한 것이다.5 depicts the thermal and photochemical isomerization and transesterification of vitamin D 3 .

도 6은 비타민 D3 분해의 방사성 표지 연구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the results of radiolabeled studies of vitamin D 3 degradation.

Claims (26)

비스포스포네이트, 당해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 및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bisphosphona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of the bisphosphonates, mixtures thereof and vitamin D compounds. 제1항에 있어서, 비스포스포네이트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bisphosphonate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상기식에서,In the above formula, R1은 독립적으로, H, OH 및 Cl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R 1 is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 OH and Cl, R2는 독립적으로, CH3, Cl, CH2CH2NH2, (CH2 )3NH2, CH2-3-피리딜, CH2-S-페닐-Cl, CH2CH2N(CH3)(펜틸), CH2-이미다졸, CH2-2-이미다조-피리디닐, N-(사이클로헵틸), CH2CH(CH3)2, (CH2)5NH2 및 CH2-1-피롤리디닐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R 2 is independently CH 3 , Cl, CH 2 CH 2 NH 2 , (CH 2 ) 3 NH 2 , CH 2-3 -pyridyl, CH 2 -S-phenyl-Cl, CH 2 CH 2 N (CH 3) (cyclopentyl), CH 2 - imidazole, CH 2 -2- imidazo-pyridinyl, N- (cycloheptyl), CH 2 CH (CH 3 ) 2, (CH 2) 5 NH 2 and CH 2 - 1-pyrrolidinyl and mixtur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비스포스포네이트가 알렌드로네이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bisphosphonate comprises alendronat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제3항에 있어서, 알렌드로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일수화물 및 알렌드로네이트 일나트륨 삼수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4.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3, wherein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f the alendronat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endronate monosodium, alendronate monosodium monohydrate, and alendronate monosodium trihydrate. 제1항에 있어서, 약 100 내지 약 36,000IU의 비타민 D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comprising about 100 to about 36,000 IU of vitamin D compound. 제1항에 있어서, 약 0.5 내지 약 1120㎎의 비스포스포네이트 또는 당해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comprising from about 0.5 to about 1120 mg of bisphosphonate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of the bisphosphonates, or mixtur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약 2,800IU의 콜레칼시페롤 및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또는 알렌드로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comprising about 2,800 IU of cholecalciferol and about 70 mg of alendronat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derivative, or hydrate thereof, or a mixtur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약 5,600IU의 콜레칼시페롤 및 약 70㎎의 알렌드로네이트 또는 알렌드로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comprising about 5,600 IU of cholecalciferol and about 70 mg of alendronate or aldehyde accep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thereof, or mixtur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충전제, 희석제, 결합제, 윤활제, 활주제 및 붕해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excip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illers, diluents, binders, lubricants, glidants, and disintegrants. 제1항에 있어서, 무수 락토즈, 미세결정 셀룰로즈,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excip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hydrous lact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colloidal silicon dioxide, croscarmellose sodium and magnesium stearate. 제10항에 있어서, 약 0.5 내지 약 90중량%의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약 1 내지 약 70중량%의 콜레칼시페롤 과립(약 0.0005 내지 약 20중량%의 콜레칼시페롤에 상당), 약 10 내지 약 80중량%의 무수 락토즈, 약 5 내지 약 50중량%의 미세결정 셀룰로즈, 약 0.1 내지 약 5중량%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약 0.5 내지 약 10중량%의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및 약 0.5 내지 약 5중량%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bout 0.5 to about 90 weight percent sodium alendronate sodium, about 1 to about 70 weight percent cholecalciferol granules (equivalent to about 0.0005 to about 20 weight percent cholecalciferol), about 10 to about About 80% by weight of anhydrous lactose, about 5 to about 50% by weight of microcrystalline cellulose, about 0.1 to about 5% by weight of colloidal silicon dioxide, about 0.5 to about 10% by weight of croscarmellose sodium and about 0.5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bout 5% magnesium stearate. 제7항에 있어서, 콜레칼시페롤이 약제학적 등급의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8.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7, wherein the cholecalciferol comprises pharmaceutical grade cholecalciferol. 제12항에 있어서, 주-1회, 2주, 1개월, 1개월-2회 및 2개월 간격으로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2, which is suitable for administration at weekly, two-week, one-month, one-month-two and two month intervals. 알렌드로네이트를 포함하는 분말 혼합물을 제조하고, 분말 혼합물을 치밀화하여 알렌드로네이트 혼합물을 형성하고, 알렌드로네이트 혼합물과 콜레칼시페롤 과립을 분쇄 및 혼합하여 최종 혼합물을 형성하고, 최종 혼합물을 매끄럽게 하고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렌드로네이트-콜레칼시페롤 조성물의 제조 방법.Preparing a powder mixture comprising the alendronate, densifying the powder mixture to form the alendronate mixture, pulverizing and mixing the alendronate mixture and cholecalciferol granules to form the final mixture, and smoothing and compressing the final mixture. A method for producing an alendronate-cholecalciferol composition. 알렌드로네이트,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무수 락토즈, 미세결정 셀룰로즈 및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을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을 형성하고, 예비 혼합물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여 제1 윤활성 혼합물을 형성하며, 제1 윤활성 혼합물을 로울러 치밀화하여 치밀화된 리본을 형성하고, 치밀화된 리본을 분쇄하여 윤활성 혼합물을 형성하며, 윤활성 혼합물과 콜레칼시페롤 과립을 혼합하여 제2 윤활성 혼합물을 형성한 다음, 제2 윤활성 혼합물을 고체 제형으로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렌드로네이트-콜레칼시페롤 고체 제형의 제조 방법. Alendronate, colloidal silicon dioxide, anhydrous lact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croscarmellose sodium are mixed to form a preliminary mixture, the premix and magnesium stearate are mixed to form a first lubricious mixture, and the first lubricious mixture is formed. The roller is densified to form a densified ribbon, the densified ribbon is pulverized to form a lubricious mixture, the lubricious mixture and cholecalciferol granules are mixed to form a second lubricious mixture, and the second lubricious mixture is then converted into a solid A method of making an alendronate-cholecalciferol solid dosage form, comprising the step of compacting. 제1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pared by the method of claim 15. 제1항에 있어서, 약 0.5 내지 약 90중량%의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 약 0.1 내지 약 5중량%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약 10 내지 약 80중량%의 무수 락토즈, 약 5 내지 약 50중량%의 미세결정 셀룰로즈, 약 0.5 내지 약 10중량%의 크로스카멜로즈 나트륨 및 약 0.5 내지 약 5중량%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형성하고, 제1 혼합물을 로울러 치밀화하여 치밀화된 리본을 형성하고, 치밀화된 리본을 분쇄하여 윤활성 혼합물을 형성하며, 윤활성 혼합물과 약 1 내지 약 70중량%의 콜레칼시페롤 과립(약 0.0005 내지 약 20중량%의 콜레칼시페롤에 상당)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형성한 다음, 제2 혼합물을 고체 투여 형태로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제1항에 따르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bout 0.5 to about 90 weight percent of alendronate sodium, about 0.1 to about 5 weight percent colloidal silicon dioxide, about 10 to about 80 weight percent anhydrous lactose, about 5 to about 50 weight percent Ingredients comprising microcrystalline cellulose, about 0.5 to about 10 weight percent croscarmellose sodium and about 0.5 to about 5 weight percent magnesium stearate are mixed to form a first mixture, and the first mixture is compacted by roller compaction. Formed ribbons, milled densified ribbons to form a lubricating mixture, and about 1 to about 70 weight percent of cholecalciferol granules (equivalent to about 0.0005 to about 20 weight percent of cholecalciferol)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mixing to form a second mixture and then pressing the second mixture into a solid dosage form. 제7항에 있어서, 약 30℃ 미만 및 약 30% 미만의 상대습도에서 24개월 동안 보관한 후에 콜레칼시페롤의 각각의 이성체 약 1중량% 미만을 포함하도록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7 formulated to contain less than about 1% by weight of each isomer of cholecalciferol after storage for 24 months at less than about 30 ° C. and less than about 30% relative humidity. 제7항에 있어서, 약 30℃ 미만 및 약 30% 미만의 상대습도에서 24개월 동안 보관한 후에 콜레칼시페롤의 분해물 약 5중량% 미만을 포함하도록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7 formulated to comprise less than about 5% by weight of a degradation product of cholecalciferol after storage for 24 months at a relative humidity of less than about 30 ° C. and less than about 30%. 비스포스포네이트, 당해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유도체 또는 수화물이나, 이들의 혼합물 및 콜레칼시페롤을 포함하고, 이때 콜레칼시페롤의 치료학적 효과는 1주 동안 투여하는 경우에 하루에 약 400IU의 콜레칼시페롤의 치료학적 효과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주-1회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Bisphosphonat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derivatives or hydrates of the bisphosphonates, or mixtures thereof and cholecalciferol, wherein the therapeutic effect of cholecalciferol is about 400 IU per day when administered for 1 week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itable for once-weekly administration,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therapeutic effect of cholecalciferol of. 제1항에 있어서, 비스포스포네이트가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이고, 조성물의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을 포유동물에 투여한 후의 혈장 농도 플롯이 콜레칼시페롤의 부재하에 70㎎의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을 포유동물에 투여한 후의 혈장 농도 플롯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약제학적 조성물.2. The plasma concentration plot of claim 1 wherein the bisphosphonate is an alendronate sodium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plot after administration of the alendronate sodium of the composition to the mammal is a plasma concentration plot after administration of 70 mg of alendronate sodium to the mammal in the absence of cholecalciferol. Substantially simila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제1항에 있어서, 비스포스포네이트가 알렌드로네이트 나트륨이고, 조성물의 콜레칼시페롤을 포유동물에 투여한 후의 혈장 농도 플롯이 알렌드로네이트의 부재하에 2800IU의 콜레칼시페롤을 포유동물에 투여한 후의 혈장 농도 플롯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약제학적 조성물.2. The plasma concentration plot of claim 1 wherein the bisphosphonate is sodium alendronate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plot after administration of the cholecalciferol of the composition to the mammal comprises a plasma concentration plot after administration of 2800 IU cholecalciferol to the mammal in the absence of allendronate. Substantially simila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투여한 지 120시간 후에 포유동물의 혈청 농도 플롯이, 약 296.4ng.h/㎖의 콜레칼시페롤의 최소 제곱(LS) 평균 AUC(0-120시간)(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했다); 약 297.5ng.h/㎖의 최소 제곱(LS) 평균 AUC(0-120시간)(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조변수로서 투여후 0시간 혈청 콜레칼시페롤 농도를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했다) 및 약 143.1ng.h/㎖의 최소 제곱(LS) 평균 AUC(0-120시간)(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120시간 동안 측정된 기준 콜레칼시페롤의 감법을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했다)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mammalian serum concentration plot of claim 1, wherein the serum concentration plot of the mammal is 120 min after the least squares (LS) mean AUC (0-120 h) of cholecalciferol of about 296.4 ng.h / ml. ,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out considering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Least squared (LS) mean AUC (0-120 hours) of about 297.5 ng.h / ml (where pharmacokinetic parameters are the cohort and baseline cholecalciferol using serum cholecalciferol concentration 0 hours after administration).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serum concentrations) and a minimum squared (LS) mean AUC (0-120 hours) of about 143.1 ng.h / ml (wher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subtracted from baseline cholecalciferol measured for 120 hours).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provi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투여한 지 120시간 후에 포유동물의 혈장 농도 플롯이, 약 5.9ng/㎖의 120시간 동안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에 대한 최소 제곱(LS) 평균(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했다); 약 5.9ng/㎖의 120시간 동안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에 대한 최소 제곱(LS) 평균(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조변수로서 투여전 0시간 혈청 콜레칼시페롤 농도를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했다) 및 약 4.0ng/㎖의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에 대한 최소 제곱(LS) 평균(이때,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120시간 동안 측정된 기준 콜레칼시페롤의 감법을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했다)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lasma concentration plot of the mammal of claim 1, wherein the plasma concentration plot of the mammal is 120 min after the least squares (LS) mean of the steady 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 max ) for 120 hours of about 5.9 ng / ml. ,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measured without considering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Least-squared (LS) mean of steady-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 max ) for 120 hours of about 5.9 ng / ml (wherei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are used as pre-administration 0 hour serum cholecalciferol concentrations). Was determined taking into account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and the mean squared (LS) mean for steady stat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 max ) of about 4.0 ng / ml (wher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measured for 120 hour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oviding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을 투여한 지 120시간 후에 포유동물의 콜레칼시페롤의 혈장 농도 플롯으로 약 12시간의 Cmax 발생의 산술평균 시간(Tmax)에서 콜레칼시페롤의 정상 상태 최대 혈장 농도(Cmax)를 수득하고,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steady state maximum of cholecalciferol at the arithmetic mean time (T max ) of C max development of about 12 hours in a plasma concentration plot of cholecalciferol in mammals 120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herein plasma concentrations (C max ) are obtained and pharmacokinetic parameters are measured without considering baselin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s. 제1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서 조성물중 콜레칼시페롤의 혈장 농도 중간 겉보기 반감기(t1/2)가 약 23.8시간이며, 약동학적 매개변수는 측정된 기준 콜레칼시페롤 과정의 감법을 사용하여 기준 콜레칼시페롤 혈청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mmal has a median half-life (t 1/2 ) of the plasma concentration of cholecalciferol in the composition of about 23.8 hours, and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 is determined using a subtracted measure of the reference cholecalciferol proces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asur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erence cholecalciferol serum concentration.
KR1020040035646A 2004-05-19 2004-05-19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KR200501108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646A KR20050110814A (en) 2004-05-19 2004-05-19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646A KR20050110814A (en) 2004-05-19 2004-05-19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814A true KR20050110814A (en) 2005-11-24

Family

ID=3728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646A KR20050110814A (en) 2004-05-19 2004-05-19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0814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6926A1 (en) * 2006-11-06 2008-05-15 Hanmi Pharm. Co., Ltd. Complex formul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which comprises solid dispersion of vitamin d or its derivative and bisphosphonate
WO2011034274A2 (en) 2009-09-18 2011-03-24 한림제약(주)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bisphosphonate derivatives and high-dose cholecalciferol
WO2011155728A3 (en) * 2010-06-10 2012-05-03 주식회사 네비팜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60012768A (en) 2014-07-25 2016-02-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ovel 1-(3,4,5-trialkoxyphenyl)-1H-1,2,3-triazole derivative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00046676A (en) * 2018-10-25 2020-05-0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Complex liquid fomulation comprising vitamin D emulsion and bisphosphonate and use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6926A1 (en) * 2006-11-06 2008-05-15 Hanmi Pharm. Co., Ltd. Complex formul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which comprises solid dispersion of vitamin d or its derivative and bisphosphonate
WO2011034274A2 (en) 2009-09-18 2011-03-24 한림제약(주)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bisphosphonate derivatives and high-dose cholecalciferol
WO2011155728A3 (en) * 2010-06-10 2012-05-03 주식회사 네비팜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230178B1 (en) * 2010-06-10 2013-02-06 주식회사 네비팜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osteoporosis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9044401B2 (en) 2010-06-10 2015-06-02 Navipharm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60012768A (en) 2014-07-25 2016-02-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ovel 1-(3,4,5-trialkoxyphenyl)-1H-1,2,3-triazole derivative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00046676A (en) * 2018-10-25 2020-05-0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Complex liquid fomulation comprising vitamin D emulsion and bisphosphonate and use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125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US7576053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egenerative bone disorders
US20040097468A1 (en) Method of treating osteoporosis and other bone disorders with upfront loading of bisphosphonates, and kits for such treatment
WO2005117906A1 (en) Combination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comprising a bisphosponate (alendrona) and a vitamin d (cholecalciferol)
US20030195171A1 (en) Method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with an alendronate and vitamin D formulation
HADDAD Jr et al. Acute administration of 25-hydroxycholecalciferol in man
Henriksen et al. Four-month treatment with GLP-2 significantly increases hip BMD: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se-ranging stud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BMD
Nuti et al. Superiority of alfacalcidol compared to vitamin D plus calcium in lumbar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O1987004618A1 (en) Treatment of bone loss
JP2002506030A (en) How to inhibit bone resorption
GLASS et al. Ketoconazole-induced reduction in serum 1, 25-dihydroxyvitamin D and total serum calcium in hypercalcemic patients
Finch et al. Differential effects of 1, 25-(OH) 2D3 and 22-oxacalcitriol on phosphate and calcium metabolism
IL93896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vitamin d3 derivatives for suppression of parathyroid hormone synthesis and secretion
EP1148877A1 (en)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KR20050110814A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Cressman et al. Absorption and excretion of tolmetin in man
US20110039804A1 (en) Composition of Risedronate and Vitamin D3
CA246771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GB2414181A (en) compositions containing a bisphosphonate and a Vitamin D derivative
Itoh et al. Effects of clodronate and alendronate on local and systemic changes in bone metabolism in rats with adjuvant arthritis
AU200420214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US20020004218A1 (en) Methods for identifying compounds useful for inhibiting geranylgeranyl diphosphate synthase
Binderup Bone changes in rats with adjuvant arthritis: Treatment with 1α‐hydroxycholecalciferol
US20230256052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ducing or preventing bone resorption
AU775239B2 (en) Methods for identifying compounds useful for inhibiting farnesyl diphosphate synt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