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883A -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883A
KR20050108883A KR1020040034105A KR20040034105A KR20050108883A KR 20050108883 A KR20050108883 A KR 20050108883A KR 1020040034105 A KR1020040034105 A KR 1020040034105A KR 20040034105 A KR20040034105 A KR 20040034105A KR 20050108883 A KR20050108883 A KR 2005010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polarizing
crystal display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305B1 (ko
Inventor
백상윤
이수웅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305B1/ko
Priority to US11/117,543 priority patent/US7532273B2/en
Publication of KR2005010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0Gr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4Normally black display, i.e. the off state being bl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인 편광판(polariz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필터기판에 부착되는 편광판과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함에 있다.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1, 2 보호층과; 상기 제 2 보호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보호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마찰 저감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컬러필터기판 상부의 편광판에 마찰 저감층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종래에 비해 감소시킴으로써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고, 특히, 블랙 상태에서 빛샘을 선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Polariz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인 편광판(polariz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분자의 광학적 이방성과 복굴절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전계가 인가되면 액정의 배열이 달라지고 달라진 액정의 배열 방향에 따라 빛이 투과되는 특성 또한 달라진다.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전계 생성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컬러 액정표시장치(11)는 적, 녹, 청의 컬러필터층(8)과 컬러필터층(8) 사이에 구성된 블랙매트릭스(6) 및 컬러필터층(8)의 상부에 증착된 공통전극(18)이 형성된 상부기판(5)과, 화소영역(P)이 정의되고 화소영역(P)에는 화소전극(17)과 스위칭소자(T)가 구성되며, 화소영역(P)의 주변으로 어레이배선이 형성된 하부기판(22)을 포함하며, 상부기판(5)과 하부기판(22) 사이에는 액정(14)이 충진되어 있다.
하부기판(22)은 어레이기판(array substrate)이라고도 하며,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가 매트릭스형태(matrix type)로 위치하고, 이러한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TFT)를 교차하여 지나가는 게이트배선(13)과 데이터배선(15)이 형성된다. 이때, 화소영역(P)은 게이트배선(13)과 데이터배선(15)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영역이며, 화소영역(P)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한 화소전극(17)이 형성된다.
화소전극(17)은 ITO(indium-tin-oxide)와 같이 빛의 투과율이 비교적 뛰어난 투명 도전성금속을 사용한다. 화소전극(17)과 병렬로 연결된 스토리지 캐패시터(CST)가 게이트 배선(13)의 상부에 구성되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제 1 전극으로 게이트 배선(13)의 일부를 사용하고, 제 2 전극으로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층 동일물질로 형성된 아일랜드 형상의 소스/드레인 금속층(30)을 사용한다.
이때, 소스/드레인 금속층(30)은 화소전극(17)과 접촉되어 화소전극의 신호를 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및 하부 기판(5, 22)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는 편광판이 위치하게 된다. 편광판은 투과축과 일치하는 편광 성분의 빛을 투과시키게 되는데, 두 개의 편광판의 투과축의 배치와 액정의 배열 특성에 의해 액정표시장치는 온/오프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편광판의 투과축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온/오프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100)은 편광층(130)과, 제 1, 2, 3 보호층(120, 140, 150)과, 접착층(110)과, 마찰 저감층(150)으로 구성된다.
편광층(130)은 일방향으로 투과축이 형성되어 통과하는 빛은 투과축에 평행한 성분이 투과하게 된다. 제 1, 2 보호층(120, 140)은 편광층(130)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편광층(130)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접착층(110)은 제 1 보호층(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액정 셀 공정이 완료되 경우에, 편광판(100)을 어레이기판(도 1의 22 참조) 하부와 컬러필터기판(도 1의 5 참조) 상부에 각각 접착한다.
제 3 보호층(150)은, 편광판(100) 상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편광판(100)을 두 기판 각각에 부착한 후에 제거된다.
편광판(100) 부착 후에, 액정표시장치는 모듈화 공정에 의해 외부 케이스(미도시)에 결합되어 영상 표시를 하게 된다.
외부 케이스는 액정표시장치의 하부 및 측부를 둘러싸게 되고,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즉 컬러필터기판에 접착된 편광판은 외부에 노출된다. 특히, 편광판의 최상층인 제 2 보호층(140)이 외부에 노출된다.
제 2 보호층(140)은 거친 표면으로 인해 마찰 계수가 높기 때문에,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에 높은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외부 물체와 접촉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은 액정층의 액정 분자 배열을 변화시켜 휘도가 불균일하게 되며, 특히 블랙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해 액정 분자 배열이 변화하게 되면 빛샘이 발생하게 된다.
즉, 블랙 상태에서 발생되는 빛샘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러필터기판에 부착되는 편광판과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저감시킴으로써, 마찰력에 의한 액정 분자의 배열 변화를 감소시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1, 2 보호층과; 상기 제 2 보호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보호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마찰 저감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 저감층 상부에 위치하는 제 3 보호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호층 하부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호층과 상기 마찰 저감층 사이에 위치하는 광보상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층은 상기 광보상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층은 PVA(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보호층은 각각, TAC(Tri-Acetate Cellulose), PC(Poly Carbonate), arton, 액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판 하부에 위치하는 컬러필터층과; 기판 상부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1, 2 보호층과, 상기 제 2 보호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보호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마찰 저감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기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2 보호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1 보호층과 상기 마찰 저감층 사이에 위치하는 광보상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층은 상기 광보상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층은 PVA(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보호층은 각각, TAC(Tri-Acetate Cellulose), PC(Poly Carbonate), arton, 액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과; 상기 제 2 기판 상부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1, 2 보호층과, 상기 제 2 보호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보호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마찰 저감층을 포함하는 제 1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2 보호층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1 보호층과 상기 마찰 저감층 사이에 위치하는 광보상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층은 상기 광보상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층은 PVA(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보호층은 각각, TAC(Tri-Acetate Cellulose), PC(Poly Carbonate), arton, 액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 상부에 형성되고, 횡전계를 형성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 하부에 형성된 제 2 편광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편광판은, 제 1 기판 하부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3, 4 보호층과, 상기 제 3 보호층과 상기 제 1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컬러필터기판 상부의 편광판에 마찰 저감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종래에 비해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200)은 편광층(230)과, 제 1, 2, 3 보호층(220, 240, 260)과, 접착층(210)과, 마찰 저감층(250)을 포함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보호층(240)과 마찰 저감층(250) 사이에 광보상 기능을 하는 광보상층이 위치할 수 있다.
편광층(230)은 일방향으로 투과축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편광층(230)을 통과하는 빛은 투과축에 평행한 성분이 투과된다. 편광층은 PVA(Poly Vinyl Alcohol)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 1, 2 보호층(220, 240)은 편광층(230)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위치한다. 제 1, 2 보호층은(220, 240)은 편광층(230)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편광층(230)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 1, 2 보호층(220, 240)은 TAC(Tri-Acetate Cellulose), PC(Poly Carbonate), arton, 액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접착층(210)은 제 1 보호층(220)의 하부, 즉 편광판(220)의 최하층에 위치한다. 액정 셀 공정이 완료되 경우에, 편광판(200)을 액정표시장치, 특히 컬러필터기판 상부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층(210)이 형성된다.
제 3 보호층(260)은 마찰 저감층(250) 상부, 즉 편광판(200)의 최상층에 위치한다. 제 3 보호층(260)은, 편광판(200) 상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제 3 보호층(260)은, 편광판(200)을 컬러필터기판 상부에 부착한 후, 편광판(200)으로부터 제거된다.
마찰 저감층(250)은 제 2 보호층(240)과 제 3 보호층(260) 사이에 위치한다. 마찰 저감층(250)은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게 되는데, 예를 들면 상면을 매끄럽게 형성하여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마찰 저감층(250)은 마찰계수(μ)가 낮은 물질을 사용하여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게 되는데, 마찰 저감층(25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제 3 보호층(260) 하부에 위치하는 층, 예를 들면 제 2 보호층(240)에 비해 마찰계수(μ)가 낮은 물질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제 2 보호층(240) 상에 광보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광보상층에 비해 마찰계수(μ)가 낮은 물질을 사용하게 된다.
편광판(200)이 컬러필터기판에 접착되는 경우에, 제 3 보호층(260)은 제거되어 마찰 저감층(250)이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 저감층(250)은 외부에 직접 노출되어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종래에 비해 저감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액정층에 전달되는 마찰력이 저감되고, 액정층의 이상 배열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휘도 불균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블랙 상태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이 감소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가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액정층이 기판 면에 평행한 횡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층은 기판 면에 평행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기판 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배열 방향이 쉽게 변화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사용한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 1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제 1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는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를 예로 든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300, 400)과, 제 1, 2 기판(300, 400)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3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기판(200)의 하부와 제 2 기판(300)의 상부 각각에는 제 1, 2 편광판(400, 200)이 위치한다.
제 1 기판(300)은 어레이기판으로서, 제 1 기판(300)에는 서로 직교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310, 320)과,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310, 320)이 교차하는 부분에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층(도 4의 350 참조)에 횡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된 화소 전극(350) 및 화소 전극(250)과 평행하게 이격된 공통 전극(360)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는 데이터 배선(320)과 연결된 소스 전극(321) 및 소스 전극(321)과 일정 간격 이격된 드레인 전극(323)과, 게이트 전극(311)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350)은 드레인 전극(323)과 연결되고, 공통 전극(360)은 화소 전극(350)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횡전계를 형성하게 된다.
제 2 기판(400)은 컬러필터기판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기판(300)의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310, 320), 박막트랜지스터(T) 등의 금속 패턴에 대응하여 광차단 수단인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 1, 2 기판(300, 400)에 대해 합착 공정과, 액정층을 제 1, 2 기판(300, 400) 사이에 주입하는 셀 주입 공정이 진행된다. 셀 주입 공정에 의해 액정 셀이 완성되면, 제 1, 2 기판(300, 400) 하부 및 상부에 제 1, 2 편광판(300, 400)을 부착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여기서, 제 2 편광판(200)은 도 3에 도시한 구성을 갖게 된다. 제 2 편광판(200)은 하부의 접착층(도 3의 210 참조)에 의해 제 2 기판(400)과 접착하게 되고, 접착 후에 상부의 제 3 보호층(도 3의 260 참조)은 제거된다.
그리고, 제 1 편광판(500)은 제 2 편광판(200)과 유사한 구성을 갖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편광판(500)은 편광층(530), 제 4, 5, 6 보호층(520, 540, 560), 접착층(510)으로 구성된다. 제 1, 2 편광판의 편광층, 보호층, 접착층은 서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편광판과 같이, 제 5, 6 보호층 사이에 광보상 기능을 하는 광보상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 1 편광판(500)은 제 2 편광판의 마찰 저감층(도 3의 250 참조)을 갖지 않게 되는데, 제 1, 2 편광판(500, 200) 부착 후에 제 1 편광판(500)은 액정표시장치 모듈화 공정에 의해 외부 케이스(미도시)로 감싸지게 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편광판과 같이 마찰 저감층을 갖지 않아도 된다.
제 1 편광판(500)은 접착층(510)을 통해 제 1 기판(300)에 접착되고, 이후에 제 6 보호층(560)은 제거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기판(300)과 제 1 편광층(500) 사이, 그리고 제 2 기판(400)과 제 2 편광층(200) 사이에 각각 광보상 기능을 하는 일축성 또는 이축성 광보상판이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 편광판과 액정층의 광축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편광판(도 4의 500, 200 참조)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하고, 액정층(도 4의 350 참조) 내의 액정 분자(351)의 초기 배열 상태, 즉 배향막(미도시)의 러빙 방향이 제 1, 2 편광판 중 하나의 투과축과 평행한 경우에,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는 노멀리 블랙(nomally black)으로 구동된다. 노멀리 블랙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액정층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게 되면 블랙 상태가 되고, 액정층에 전계가 인가되는 경우에 화이트 상태가 된다.
도 8은 모듈화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외부 케이스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600)는 액정표시장치의 하부와 측부를 둘러싸게 되고, 액정표시장치의 상부, 제 2 편광판의 마찰 저감층(250)은 외부에 노출된다. 외부 케이스(600)와 모듈화된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층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블랙 상태에서 외부 물체가 제 2 편광판의 상면, 즉 마찰 저감층(250)에 접촉하는 경우에, 마찰 저감층(250)은 마찰계수(μ)가 낮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외부 물체와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층에 전달되는 마찰력이 종래에 비해 감소하여, 휘도 불균일은 감소하게 되고, 특히 블랙 상태에서 빛샘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횡전계 방식 뿐만 아니라, 제 1, 2 기판 각각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액정층에 수직 전계를 형성하는 수직 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외부 접촉에 취약한 40인치 이상의 대형 모델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마찰 저감층을 구비하여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종래에 비해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찰력에 의한 액정 분자의 이상 배열을 감소시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게 되고, 특히 블랙 상태에서 빛샘이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컬러필터기판 상부의 편광판에 마찰 저감층을 형성하여 외부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종래에 비해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찰력에 의한 액정 분자의 이상 배열을 감소시켜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게 되고, 특히 블랙 상태에서 빛샘이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횡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횡전계 방식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 표시 품위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제 1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제 1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편광판과 액정층의 광축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모듈화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외부 케이스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200 : 편광판 210 : 접착층
220 : 제 1 보호층 230 : 편광층
240 : 제 2 보호층 250 : 마찰 저감층
260 : 제 3 보호층

Claims (19)

  1.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1, 2 보호층과;
    상기 제 2 보호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보호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마찰 저감층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저감층 상부에 위치하는 제 3 보호층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호층 하부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층과 상기 마찰 저감층 사이에 위치하는 광보상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층은 상기 광보상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PVA(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편광물질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보호층은 각각, TAC(Tri-Acetate Cellulose), PC(Poly Carbonate), arton, 액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7. 기판 하부에 위치하는 컬러필터층과;
    기판 상부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1, 2 보호층과, 상기 제 2 보호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보호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마찰 저감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2 보호층과 상기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1 보호층과 상기 마찰 저감층 사이에 위치하는 광보상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층은 상기 광보상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PVA(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편광물질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보호층은 각각, TAC(Tri-Acetate Cellulose), PC(Poly Carbonate), arton, 액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12. 서로 마주보는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충진된 액정층과;
    상기 제 2 기판 상부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1, 2 보호층과, 상기 제 2 보호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보호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마찰 저감층을 포함하는 제 1 편광판
    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2 보호층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1 보호층과 상기 마찰 저감층 사이에 위치하는 광보상층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저감층은 상기 광보상층 보다 마찰 계수가 작은 액정표시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PVA(Poly Vinyl Alcohol)을 포함하는 편광물질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보호층은 각각, TAC(Tri-Acetate Cellulose), PC(Poly Carbonate), arton, 액정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액정표시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상부에 형성되고, 횡전계를 형성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하부에 형성된 제 2 편광판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편광판은,
    제 1 기판 하부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에 평행한 빛을 투과시키는 편광층과, 상기 편광층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편광층을 보호하는 제 3, 4 보호층과, 상기 제 3 보호층과 상기 제 1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을 더욱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34105A 2004-05-14 2004-05-14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KR10063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105A KR100635305B1 (ko) 2004-05-14 2004-05-14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US11/117,543 US7532273B2 (en) 2004-05-14 2005-04-29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105A KR100635305B1 (ko) 2004-05-14 2004-05-14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83A true KR20050108883A (ko) 2005-11-17
KR100635305B1 KR100635305B1 (ko) 2006-10-17

Family

ID=3530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105A KR100635305B1 (ko) 2004-05-14 2004-05-14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32273B2 (ko)
KR (1) KR1006353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76B1 (ko) * 2008-07-31 2010-09-20 오디하이텍(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101026666B1 (ko) * 2004-06-24 2011-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80051701A (ko) * 2016-11-07 2018-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57B1 (ko) * 2007-01-15 2013-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35977A (ko) * 2007-10-08 2009-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US20110096914A1 (en) * 2009-10-22 2011-04-28 Eng Kai Y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Sensitive Calling
KR102573780B1 (ko) * 2018-09-28 2023-08-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303184A (zh) * 2019-08-30 2022-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屏和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688B1 (ko) * 1999-04-19 2001-07-12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US6791649B1 (en) * 1999-09-28 2004-09-14 Fuji Photo Film Co., Ltd.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anti-reflection film or the polarizing plate
JP4265887B2 (ja) * 2002-05-08 2009-05-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膜、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504139B2 (en) * 2003-12-26 2009-03-17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cellulose acylat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66B1 (ko) * 2004-06-24 2011-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982776B1 (ko) * 2008-07-31 2010-09-20 오디하이텍(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20180051701A (ko) * 2016-11-07 2018-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32273B2 (en) 2009-05-12
KR100635305B1 (ko) 2006-10-17
US20050253982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564B2 (en) Liquid crystal device having a band-shaped retardation film extending outwardly to a parting area outside of a dummy pixel area
WO2017193442A1 (zh) Lcd显示器
KR20170002149A (ko) 액정표시장치
KR100811640B1 (ko) 액정 표시 장치
US75322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085508A1 (en)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20160252788A1 (en) Display device
US20050190320A1 (en) In-plane switch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xtraordinary polarizers
KR20170133734A (ko) 액정캡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960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34399A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369197B2 (en) Polarizer, panel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 scattering layer
KR10100772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19685B1 (ko) 액정표시장치
US757681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09700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2193A (ko) 액정캡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09700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4263A (ko) 편광판 및 이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026666B1 (ko)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113782B1 (ko) 액정표시장치용 광보상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841625B1 (ko) 플라스틱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0731A (ko)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28374A (ko)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0878279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