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670A - 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 - Google Patents

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670A
KR20050108670A KR1020040033662A KR20040033662A KR20050108670A KR 20050108670 A KR20050108670 A KR 20050108670A KR 1020040033662 A KR1020040033662 A KR 1020040033662A KR 20040033662 A KR20040033662 A KR 20040033662A KR 20050108670 A KR20050108670 A KR 2005010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ing
plate
riv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
조영도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4003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670A/en
Publication of KR2005010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67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가 되는 휴대폰의 슬라이딩 기구부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와 버턴부의 두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버턴부위에 합치되어 있다가 디스플레이 부를 상단으로 밀면 슬라이딩하면서 디스플레이부가 위로 밀려나면서 버턴부가 오픈되는 구조로서 디스플레이부를 미는 상태에 있어서 일정 위치까지 힘을 가하여 밀면 그 위치까지 슬라이딩이 된 상태에서는 그 다음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슬라이딩이 되면서 완전히 열리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mechanism part of a mobile phone that is opened and closed while sliding up and down, and is generally composed of two parts of a display part and a button part so that the display part is coincident with the button part, and when the display part is pushed to the top, the display part is pushed upward. In addition, the button part is opened and the display part is pushed up to a certain position in the pushing state, and when it is pushed to a certain position, the sliding part is automatically opened by its elasticity.

이러한 구조와 슬라이딩 메커니즘을 위해 탄성 스프링과 탄성 스프링을 지지하며 슬라이딩 모션에 의해 축과 연결 막대의 회전 운동으로 구성이 된 슬라이딩 휴대폰이다.It is a sliding mobile phone which supports the elastic spring and the elastic spring for this structure and the sliding mechanism, and is composed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aft and the connecting rod by the sliding motion.

Description

스프링 압축으로 제어되는 슬라이드 부가 있는 휴대폰{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

본 발명은 슬라이딩 휴대폰의 기계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개폐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structure of a sliding mobile phone, in particular,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semi-automatically using a spring.

이는 슬라이딩 휴대폰을 밀어서 열 때에 일정 위치까지 힘을 가하여 밀면 그다음 부터는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구조인 것이다.It is a structur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by a spring after pushing by pushing a certain position when pushing the sliding mobile phone.

종래에는 이러한 스프링의 구조를 만들어서 움직이는 메카니즘에 있어서 다수개의 부품을 사용하여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되었다. Conventionally,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parts in the mechanism of making and moving such a spring structure.

또 한 슬라이드 판에 구멍을 길게 뚫어야 하므로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durability because it is necessary to make a long hole in the slide plate.

따라서 금속 소재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Therefore, there was no choice but to use a metal material.

슬라이딩 휴대폰의 일례가 도 1 에 나와 있다.An example of a sliding cellular phone is shown in FIG. 1.

슬라이딩 휴대폰(11)은 디스플레이부(12)와 버튼부(13)가 슬라이딩 하면서 닫히거나 열리는 상태가 된다.The sliding mobile phone 11 is i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2 and the button unit 13 are closed or opened while sliding.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휴대폰 본체를 움직이는 슬라이드부의 움직이는 방향을 스프링이 회전운동을 따라서 하게 되어 슬라이드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spring to follow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lide unit for moving the mobile phone bod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lide.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폰의 두 개로 분리된 본체가 상호간에 슬라이딩 하게 하기 위하여 움직이는 기구부로서 각각의 부품이 도 2 에 나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is shown in FIG. 2 as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main body separated into two parts of the mobile phone.

정확한 기술을 위하여 슬라이딩 휴대폰의 통상적으로 분리가 된 부분을 각각 상부 디스플레이 본체부와 하부 버턴 본체부로 표기 한다.For the sake of accurate technology, the normally separated parts of the sliding cell phones are denoted by the upper display body part and the lower button body part, respectively.

하부 버턴 본체부에는 통신을 위하여 회로부 등이 내장이 된다.The lower button body part has a built-in circuit part for communication.

이는 본 발명의 기술을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구조를 언급한 것이며 실제로 두 부분으로 나눠지는 것은 휴대폰의 구성에 따른다.This refers to a conventional structure as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at is actually divided into two parts depends on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phone.

따라서 휴대폰의 두 개로 이루어진 슬라이더 본체 각각을 지지하며 슬라이딩하는 판을 각각 슬라이드 상판과 슬라이드 하판이라고 지칭 한다.Therefore, the plates that support and slide each of the two slider bodies of the mobile phone are referred to as a slide top plate and a slide bottom plate, respectively.

예를 들어서 슬라이드 상판에는 휴대폰의 상부 디스플레이 본체부가 부착이되며 슬라이드 하판에는 휴대폰의 하부 버턴 본체부가 부착이 되어 상호간에 슬라이딩 하면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upper display body portion of the mobile phone is attached to the slide upper plate and the lower button body portion of the mobile phone is attached to the lower slide of the mobile phone while sliding each other.

본 도면에서는 상판과 하판을 도면에 표기하기 위한 구조로서 기술 하였으며 실제로는 사용 방법에 따라 상판과 하판의 위치가 달라진다.In this figu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described as a structure for marking the drawing, and in practice, the position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e.

즉 본 도면 상의 상판에 휴대폰의 버턴부가 부착이 되며 본 도면상의 하판에 휴대폰의 슬라이드부가 부착이 된다.That is, the button portion of the mobile phone is attached to the upper plate in this drawing and the slide portion of the mobile phone is attached to the lower plate in this drawing.

도 2 에 나와 있는 각각의 부품에 대한 기능은 다음 과 같다.The function of each part shown in FIG. 2 is as follows.

상기에 기술 한 슬라이드 하판(21)에는 리벳 형태의 축이 삽입 되는 원형의 구멍(22)이 있으며 양쪽으로는 슬라이드 상판이 삽입이 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가이드(23)가 형성이 되어 있다.The slide lower plate 21 described above has a circular hole 22 into which a riveted shaft is inserted, and a guide 23 on which slide upper plates are inserted i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또한 슬라이드 상판(24)에는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의 다른 쪽이 연결이 되는 리벳이 삽입이 되는 구멍(25)이 있다.In addition, the slide upper plate 24 has a hole 25 into which the rivet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plate-shaped bars is connected is inserted.

또 한 슬라이드 하판에 삽입이 되는 리벳형태의 축(26)은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의 구멍에 삽입이 되며 또 한 하판의 구멍에 삽입이되어 회전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ivet shaft 26 is inserted into the slide lower plate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plate-shaped rod and is also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lower plate is possible to rotate.

또한 상판의 구멍에 삽입이 되며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의 다른 쪽이 연결이 되는 리벳(27)이 있으며 이 리벳의 하부에는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가 통과하는 구멍 지지부(28)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ivet 27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upper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plate-shaped bars is connected,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28 has a hole supporting portion 28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plate-shaped bars pass.

스프링이 삽입이 되며 슬라이드상판과 슬라이드 하판을 연결하게 되는 상하판 연결 막대(29)는 한 쪽 구멍(30)에는 슬라이드 하판에 삽입이 되는 리벳형 축(26)이 끼워진 상태가 되며 다른 쪽 폭이 좁은 부분(31)에 스프링이 삽입이 된 상태이며, 폭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 사이(32)에 스프링(33)이 멈추게 되는 구조이다.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rods 29, into which the spring is inserted and connect the upper and lower slide plates, have a riveted shaft 26 inserted into the lower slide of one hole 30, and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bars 29 is inserted. The spring is inserted into the narrow portion 31, the spring 33 is stopped between the narrow portion and the wide portion (32).

도 3 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품이 조립이 된 구조가 나와 있다.3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slide parts are assembled.

상기에 기술 한 슬라이드 하판(21)에는 형성이 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가이드(23)에 상판(24)이 조립 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하판에 있는 원형의 구멍(22)에는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29)의 한쪽 구멍(30)을 통과하면서 리벳(26)이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In the slide lower plate 21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24 is assembled to the slidable guide 23 formed so that the slide is possible,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connected to the circular hole 22 in the slide lower plate. The rivet 26 is in the state which inserted through the one hole 30 of the plate-shaped rod 29. As shown in FIG.

이 때 리벳에는 구멍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이 되지 않도록 구멍보다 넓게 아래 위가 펀칭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rivet is punched up and down wider than the hole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hole.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의 다른 쪽(31)은 상판의 구멍(25)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진 리벳형 축(27)에 있는 구멍(28) 끼워져 있으며 상판이 움직이면 이 구멍을 따라 상하판 연결 막대가 이동을 한다.The other side 31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rods is fitted with a hole 28 in a riveted shaft 27 tha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hole 25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rods move along the hole when the upper plate moves. Make a move.

상하판 연결 막대에는 스프링(33)이 장착이 되어 슬라이딩에 따라 압축과 풀림이 반복된다.Spring 33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rod is repeated compression and release as the sliding.

도 4 에는 상기 구조의 슬라이드 본체가 움직이는 과정이 서술되어 있다.4 describes a process of moving the slide body of the above structure.

슬라이드를 밀면 상하판 연결 막대의 슬라이드 하판에 회전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고, 따라서 상판 고리를 통과하는 연결 막대에 장착이 된 스프링은 압축이 된다(도 4a).When the slide is pushed, the slide is rotated abou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rods, and thus the spring mounted on the connecting rod passing through the upper ring is compressed (FIG. 4A).

압축이 진행이 되어 연결 막대가 수평이 되면 다시 스프링이 이완 되는 위치가 된다(도 4b). When the compression is in progress and the connecting bar is horizontal, the spring is relaxed again (Fig. 4b).

이 위치를 지나면 압축이 되었던 스프링이 풀리면서 자동으로 상판 슬라이드가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도 4c).After this position, the compressed spring is released and the top plate slides upward automatically (FIG. 4C).

이 상태가 진행 되면 슬라이딩 휴대폰이 열린 상태가 된다.(도 4d)When this state proceeds, the sliding cell phone is opened (Fig. 4D).

상기에 기술이 된 대로 본 구조에 의해 만들어진 슬라이드 모듈은 스프링과 축이 하나로서 양 단의 축에 의해 움직이는 구조로 단순화 하여 제작이 용이한 구조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e module made by this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manufacture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spring and the shaft are moved by the shafts at both ends as on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판 연결 막대와 하판에는 회전축에 회전이 같이 일어나게 고정이 되어 있는 연결막대와 연결 막대의 다른 쪽은 상판의 홈에 삽입이 된 회전축에 있는 홈으로 관통을 하게 삽입이 되어 슬라이드를 밀면 양 쪽으로 회전을 하면서 스프링이 압축을 하게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rods and the lowe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rod to be penetrated by the groove in the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upper plate. When the slide is inserted, the spring is compressed while rotating to both sides.

따라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슬라이드의 탄성운동을 지지하게 되어 원가절감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Therefore, while supporting the elastic movement of the slide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cost reduction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 은 슬라이딩 휴대폰1 is a sliding cell phone

도 2 는 각 부품의 구조2 is the structure of each component

도 3 은 체결이 된 구조3 is a fastened structure

도 4 는 슬라이딩이 되는 구조 (도4는 [도4a]∼[도4d]까지)4 is a sliding structure (FIG. 4 is [Fig. 4A] to [Fig. 4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 슬라이드 하판 24 :슬라이드 상판21: slide bottom plate 24: slide top plate

Claims (1)

슬라이딩을 통하여 개폐가 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디스플레이 부와 버튼부를 각각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부품으로서,Sliding parts for allowing the display portion and the button portion to slide, respectively, 슬라이드 하판에는 리벳 형태의 축이 삽입 되는 원형의 구멍이 있으며 슬라이드 상판이 삽입이 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가이드가 형성이 되어 있으며The bottom of the slide has a circular hole into which the rivet-shaped shaft is inserted, and the top of the slide is inserted to form a guide that can slide. 슬라이드 하판에 삽입이 되는 리벳형태의 축과 이 축과 한 쪽 끝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이 되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나머지 다른 쪽은 슬라이드 상판의 리벳 축이 삽입이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이 된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가 있으며,Rivet-shaped shaft inserted into the slide bottom plate and a hole for connecting the shaft and one end to be rotated, and the other side is the top and bottom plat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inserting the rivet shaft of the slide top plate There is a connecting plate rod, 상판에는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의 다른 쪽이 연결이 되는 리벳이 삽입이 되는 구멍이 있으며 이 리벳의 하부에는 상하판 연결 판형 막대가 통과하는 구멍 지지부가 있으며,The upper plate has a hole into which the rivet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connecting rods are connected is inserted, and the lower part of the rivet has a hole support portion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late bars pass. 상하판 연결 지지부에는 스프링이 일정 위치의 거리까지 장착이 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 휴대폰용 슬라이드 부품.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arts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obile phone slide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mounted to a distance of a predetermined position.
KR1020040033662A 2004-05-12 2004-05-12 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 KR200501086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662A KR20050108670A (en) 2004-05-12 2004-05-12 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662A KR20050108670A (en) 2004-05-12 2004-05-12 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670A true KR20050108670A (en) 2005-11-17

Family

ID=3728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662A KR20050108670A (en) 2004-05-12 2004-05-12 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67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45B1 (en) * 2008-01-08 2008-11-05 (주)모비테크 Hing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143830B1 (en) * 2006-08-21 2012-05-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830B1 (en) * 2006-08-21 2012-05-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866945B1 (en) * 2008-01-08 2008-11-05 (주)모비테크 Hing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527B1 (en) Apparatus sliding of cellular phone
KR100716446B1 (en) Slide open/close device of slide typ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as
KR20050108670A (en) Sliding cellular phone with radial spring
KR20050108671A (en) Sliding cellular phone
KR200425749Y1 (en) a slide type cellular phone
KR200450178Y1 (en) Elastic link module for mobile terminal, and slide hinge device using same
KR100866391B1 (en)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KR20060031729A (en) Slid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108170A (en) Cellular phone with sliding display panel using spring
KR100721178B1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1038930B1 (en) Slide type hinge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47579B1 (en) Slide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105146A (en) Cover Apparatus and Pellular phone Including
KR100967232B1 (en) Swing type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408305Y1 (en) Structure of torsion spring
KR200403708Y1 (en) a spring for sliding of the cellular phone mobile
KR20100098150A (en) Slide actuators with magnets for use in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s
KR20110016336A (en) Spring device for sliding module
KR100622373B1 (en) Sliding unit with springy Apparatus installed
KR200385491Y1 (en) Slide assembly for portable telphone
KR20070037972A (en) Tortion spring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KR100959253B1 (en) A open and shut unit for hand phone
KR20100026521A (en) Slide actuator assemblies with circle springs and band spring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KR101089336B1 (en) Sliding Module installed in the Cellphone
KR20120045577A (en) Slim type slide hing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