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6122A - 피드백 처리 동안 사용자를 돕기 위해 시각적 큐들의디스플레이를 갖는 리커멘더 - Google Patents

피드백 처리 동안 사용자를 돕기 위해 시각적 큐들의디스플레이를 갖는 리커멘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122A
KR20050106122A KR1020057017522A KR20057017522A KR20050106122A KR 20050106122 A KR20050106122 A KR 20050106122A KR 1020057017522 A KR1020057017522 A KR 1020057017522A KR 20057017522 A KR20057017522 A KR 20057017522A KR 20050106122 A KR20050106122 A KR 2005010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ies
selection
displaying
visual cue
gen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리니바스 구타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10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1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gen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추천(recommendation)들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preference)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prompt)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촉구 단계;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visual cu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생 단계는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비디오 콘텐트에 대한 추천을 발생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액션, 드라마, 코메디-액션, 서스펜스-액션, 코메디, 다큐멘터리 또는 로맨스물과 같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이다.

Description

피드백 처리 동안 사용자를 돕기 위해 시각적 큐들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커멘더{Recommender having display of visual cues to aid a user during a feedback proces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커멘더(recommender)들 특히, 피드백 처리 동안 사용자를 돕기 위해 시각적 큐들(visual cues)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커멘더에 관한 것이다.
명시적 기반 TV 리커멘더 시스템들은 TiVo 및 ReplayTV 처럼 각각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다. 그와 같은 리커멘더 시스템들은 명시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preference)들을 모은다. 사용자는 시간, 장르, 언어 등과 같은 미리 규정된 세트의 카테고리들 사이에서 선택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의 선호도들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들을 선택하는 것과 함께, 사용자는 또한, 어떤 명시적 기반 TV 리커멘더 시스템들의 카테고리들에 대해 가중치(weight)들을 지정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리커멘더 시스템들이 갖는 주된 문제점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어떤 카테고리들의 해석이 제공자에 의해 원래 의도된 의미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일부 사람들이 액션 프로그램 특히, "액션물(action)" 같은 빠른 액션에 기초한 프로그램(예컨대, 재키 찬 유형의 영화들 등)을 시청할 수 있는 반면, 동일한 사람들이 액션 프로그램 특히, 드라마 같은 느린 액션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그들은 또한 코메디-액션 또는 서스펜스-액션 영화와 같은 액션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피드백 처리 동안 사용자를 돕기 위해 시각적 큐들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리커멘더를 위한 기술(art)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방법들을 실행하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추천의 발생에 유용한 피드백을 입력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시각적 큐들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선택에서 사용자를 돕기 위해 여러 시각적 큐들 사이에서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은 도 3에서 열거된 시각적 큐들 중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리커멘더 시스템들에 관련된 단점들을 극복하는 사용자의 피드백에 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recommendation)들을 발생시키는 리커멘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명시적 기반 TV 리커멘더 시스템들은 명시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들의 선호도들을 모으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에 의한 콘텐트의 어떤 카테고리들의 해석이 콘텐트의 제공자에 의해 원래 의도된 의미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콘텐트 제공자들의 의도에 따라 정확하게 카테고리들을 선택하게 하도록 사용자에게 시각적 큐들(예컨대, 비디오 클립들/트레일러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추천들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prompt)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촉구 단계;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생 단계는 비디오 콘텐트에 대한 추천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디오 콘텐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가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와 관련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은 액션, 드라마, 코메디-액션, 서스펜스-액션, 코메디, 다큐멘터리 및 로맨스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의 경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는 바람직하게, 각 장르의 비디오 클립, 각 장르로부터의 트레일러, 각 장르를 기술하는 문자 정보(textual information) 및 각 장르의 구체적인 예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바람직하게,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근사한(approximate)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선택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다.
또한, 추천들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발생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리커멘더를 포함한다.
상기 리커멘더는 바람직하게, 비디오 콘텐트에 대한 추천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디오 콘텐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가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와 관련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은 액션, 코메디-액션, 서스펜스-액션, 드라마, 코메디, 다큐멘터리 및 로맨스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의 경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는 바람직하게, 각 장르의 비디오 클립, 각 장르로부터의 트레일러, 각 장르를 기술하는 문자 정보 및 각 장르의 구체적인 예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바람직하게,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및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은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근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현된, 추천들을 발생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 제품은,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및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추천들을 발생시키는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기계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상기 기계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기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추천 발생 방법은,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촉구 단계;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들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 측면들, 이점들은 다음의 기술들, 첨부된 청구항들 및 참조된 도면들에 관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추천이 행해지는 많고 다양한 콘텐트의 유형들에 적용가능하지만 특히, 비디오 콘텐트의 환경 그 중에서도, 텔레비전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비디오 콘텐트 및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에 대한 추천을 발생시키는 것에 대해 본 발명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환경에서 기술될 것이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추천(recommendation)들을 발생시키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며, 상기 장치는 참조 번호 "100"으로서 일반적으로 언급된다. 상기 장치(100)는 바람직하게, 비디오 출력(106)에 의해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104)에 효과적으로 접속된 셋-톱 박스(102)로 구성된다. 하지만, 당업자들은 상기 장치(100)가 디스플레이(104)로 온전히 형성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셋-톱 박스(102)는 리커멘더(110), 기억 장치(112), 및 수신기(114)에 효과적으로 접속된 중앙 처리기(108)를 포함한다.
리커멘더 엔진(110)으로 언급되기도 하는, 리커멘더(110)는 사용자 피드백 및/또는 사용자의 시청 습관들에 응답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비디오 콘텐트 또는 다른 콘텐트에 대한 추천들을 발생시킨다. 그와 같은 리커멘더들(110)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 2000년 10월 20일에 출원되어 공동 계류중인 미국 출원 일련 번호 09/666,401, "함축 및 명시적 시청 선호도들을 사용하여 추천 점수들을 발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commendation Scores Using Implicit and Explicit Viewing Preferences}"에 개시된 것처럼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다.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기억 장치(112)는 사용자에 의해 나중에 시청하는 비디오 콘텐트 및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기억한다. 리커멘더(110)는 분리된 장치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지만, 기억 장치(112) 상의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세트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억 장치(112)는 단일 장치로서 도시되지만, 2개 이상의 기억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고, 기억 장치의 각각은 상기 처리기(108)에 효과적으로 접속된다.
수신기(114)는 상기 장치의 원격 동작 및 디스플레이(104)의 스크린상에 재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상기 장치에 입력을 위해 제어 신호들을 지시하는 원격 제어로부터(116) 무선 신호들을 수신한다. 상기 처리기(108)는 상기 원격 제어(116)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고, 다른 신호들 또는 잡음들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들을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하며 필요하다면, 상기 장치(100)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선 신호들을 변환하는 수단을 갖는다. 상기 처리기(108)는 리커멘더(110) 및 기억 장치(112)를 또한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키고, 스크린(118) 상에서 시청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104)에 출력한다.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것으로, 사용자는 원격 제어로 단순 버튼들(120)을 누르거나 및/또는 조이스틱 버튼(122)을 조종함으로써 원격 제어(118)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입력하거나 선회(traverse)한다.
또한 도면들(2, 3, 4A, 4B)를 참조하면, 추천들을 발생시키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논의될 것이다. 상기에서 논의된 것처럼, 추천들의 일부 유형들은 비디오 또는 다른 콘텐트에 대한 추천을 발생시키는 것을 도와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을 사용한다. 추천은 피드백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그와 같은 추천들로 지시된다.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200)에 의해 도 2에서 언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처리기(108)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104)의 스크린(118) 상에서 발생되고 관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에 대한 피드백을 위해 사용자를 상기시킨다. 선호도들의 예들(examples)은 바람직한 시간 슬롯(202)(예컨대, 프라임 타임, 한밤, 주말 등), 영어(204a) 또는 스페인어(204b)와 같은 바람직한 언어(204), 바람직한 배우(206), 액션(208a), 코메디(208b), 드라마(208c), 다큐멘터리(208d), 로맨스물(208e)과 같은 바람직한 장르(208)를 포함한다. "액션"은 코메디-액션, 서스펜스-액션, 느린-액션, 빠른-액션처럼 더욱 하위분할될 수 있다.
선호도들(202 내지 208)은, 적합한 선호도(202-208)가 강조될 때 원격 제어로 조이스틱 버튼(122)으로 목록을 선회하거나 입력 버튼을 누름으로써 또는 하나 이상의 참조들(202 내지 208)에 대응하는 텍스트 박스(210) 내의 영숫자(alphanumeric)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대안으로, 테스트 박스들(210)은 상기 언급된 것으로 선회하거나 선택될 수 있는 대안들의 드롭-다운(drop-down) 목록을 가질 수 있다. 선호도들(202 내지 208) 중 일부에 대해 유용한 선택들은 카테고리들로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것이다. 따라서, 장르에 대한 다른 선택들은 카테고리들(208a 내지 208e)로서 언급될 것이다. 물론, 카테고리들(204a, 204b, 208a 내지 208e)과 마찬가지로 선호도들(202 내지 208)은 배타적인 목록이 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단지 예로써만 주어지며, 상기 기술(description)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을 제한하지 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른 선호도들은 기지국 호 신호(station call signal), 등급들 및 주중의 날(day of week)을 포함한다. "종료(EXIT)"(212) 선택은 또한, 피드백 처리를 종료하고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104)의 다른 동작을 다시 시작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상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비디오 콘텐트의 제공자에 의해 의도된 카테고리에 대해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또한, 의미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는 카테고리들(208a 내지 208e)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들(visual cues)을 디스플레이한다. 시각적 큐들은 적합한 카테고리에, 그 후 상기 카테고리(208a 내지 208e)에 대응하는 버튼(214a 내지 214b)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회하고 그 후, 원격 제어(116)에 대해 입력 키를 누르는 것처럼 버튼의 선택을 입력함으로써 특별한 카테고리에 대해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제한하지 않고 개시의 목적으로, 장르 선호도(208) 및 액션 카테고리(208a)에 관련된 예로서 논의될 것이다. 액션 카테고리는 2개의 선택들인 빠른-액션 및 느린-액션의 예로서 도시되지만, 코메디-액션 및/또는 서스팬션-액션과 같은 액션 장르들의 다른 유형들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특히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300)에 의해 언급된, 장르 선호도(208)의 액션 카테고리(208a)에 대응하는 버튼(214a)의 선택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04)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액션 또는 드라마인지 그리고 선택할 카테고리들에 대해 사용자가 설명을 원하는지가 확실치 않으면, 사용자는 버튼(214a)을 선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처리기(108)에 의해 발생되고 스크린(118)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선택될 수 있는 개별 시각적 큐들의 목록(304)에 따라 "액션: 시간적 큐들"과 같은 헤드(302)를 포함한다. 개별 시각적 큐들(302)의 목록은 문자 및/또는 구두 기술(textual and/or oral description; 306), 액션 카테고리로부터 비디오 콘텐트를 나타내는 비디오 클립(video clip; 308), 액션 카테고리로부터 비디오 콘텐트를 나타내는 비디오 트레일러(video trailer; 310), 및 액션 카테고리 내의 비디오 콘텐트의 구체적 예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로 다시 리턴하는 "백(Back)" 선택(314)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시각적 큐들의 목록(304) 또는 "백" 선택(314)을 선회하고, 상기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즉, 선택을 강조하기 위해 원격 제어(116)의 조이스틱 버튼을 사용하고 입력 버튼을 눌러 강조된 선택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한다. 선택은 또한, 원격 제어(116)에서 눌러질 때, 선택을 선택하려 입력하는 대응하는 번호를 가질 수 있다.
도 4A를 특히 참조하면, "기술" 시각적 큐(306)가 선택되면, 처리기는 디스플레이(104)의 스크린(118)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액션: 기술"과 같은 헤드(402) 및 액션 카테고리(208a)의 문자 기술(404)을 갖는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하여, 처리기는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04) 중 하나에 효과적으로 접속된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기술의 구두 판독을 발생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로 리턴하도록 "백" 선택(406)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로 하기 위해 "선호도들" 선택(408)을 가질 수 있다. "비디오 클립" 시각적 큐(308)의 선택은 기억 장치(112)에 기억된 표본 액션 비디오 콘텐트의 비디오 클립을 출력하도록 처리기(108)에 지시한다. 유사하게, "비디오 트레일러" 시각적 큐(310)의 선택은 기억 장치(112)에 기억된 표본 액션 비디오 콘텐트로부터 비디오 트레일러를 선택하도록 처리기(108)에 지시한다.
도 4B를 특히 참조하면, "예들" 시각적 큐(312)가 선택되면, 처리기는 디스플레이(104)의 스크린(118)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액션: 예들"과 같은 헤드와 액션 카테고리(208a)의 문자 예들(454)을 갖는다. 예들(454)은 또한, 빠른 액션(456) 및 느린 액션(458)과 같은 예들로 하위 분할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 예(454)는 선택적 예(454)로부터 상기 선택적 예(454)로부터 비디오 트레일러를 플레이하도록 처리기(108)에 지시하는 비디오 트레일러와 같은 대응하는 시각적 큐(460) 선택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로 리턴하도록 "백" 선택(462)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5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로 리턴하도록 "선호도들" 선택(464)을 가질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각적 큐들(304)은 상기의 목록이 배타적이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제한하지 않으며 단지 예로서만 주어짐을 인식할 것이다. 더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른 디스플레이들을 갖는 것으로 기술되지만, 당업자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대신에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로 변하는 것을 인식할 것이며, 윈도우는 배경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를 갖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들(400 및 450)은 배경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200 및/또는 300)을 갖는 윈도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성에서, "종료" 선택은 "윈도우 종결(Close Window)" 선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은 특히, 방법들의 개별적인 단계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바람직하게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같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도록 적응된다. 그와 같은 소프트웨어는 물론, 집적된 칩과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기억 장치(112)와 같은 주변 장치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고려되도록 도시되고 기술되는 동안, 형식 또는 세부사항에서 여러 변형들 및 변화들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행해지는 것이 물론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술되고 예시된 정확한 형식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변형들을 커버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20)

  1. 추천(recommendation)들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preference)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prompt)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촉구 단계;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visual cu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 발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계는 비디오 콘텐트에 대한 추천을 발생시키는, 추천 발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트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추천 발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인, 추천 발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와 관련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은 액션, 코메디-액션, 서스펜스-액션, 드라마, 코메디, 다큐멘터리 및 로맨스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천 발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는 각 장르의 비디오 클립, 각 장르로부터의 트레일러, 각 장르를 기술하는 문자 정보(textual information) 및 각 장르의 구체적인 예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천 발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천 발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근사한(approximate) 디스플레이된 버튼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선택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되는, 추천 발생 방법.
  9. 추천들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발생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리커멘더(recommender)를 포함하는, 추천 발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커멘더는 비디오 콘텐트에 대한 추천을 발생시키는, 추천 발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트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추천 발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인, 추천 발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장르와 관련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은 액션, 코메디-액션, 서스펜스-액션, 드라마, 코메디, 다큐멘터리 및 로맨스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천 발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는 각 장르의 비디오 클립, 각 장르로부터의 트레일러, 각 장르를 기술하는 문자 정보 및 각 장르의 구체적인 예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천 발생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및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추천 발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은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근사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추천 발생 장치.
  17.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구현된, 추천들을 발생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 및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9. 추천들을 발생시키는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기계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상기 기계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천 발생 방법은:
    추천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호도는 관련된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갖는, 상기 촉구 단계;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추천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기억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선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시 상기 2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기억 장치.
KR1020057017522A 2003-03-17 2004-03-02 피드백 처리 동안 사용자를 돕기 위해 시각적 큐들의디스플레이를 갖는 리커멘더 KR200501061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514503P 2003-03-17 2003-03-17
US60/455,145 2003-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122A true KR20050106122A (ko) 2005-11-08

Family

ID=3302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522A KR20050106122A (ko) 2003-03-17 2004-03-02 피드백 처리 동안 사용자를 돕기 위해 시각적 큐들의디스플레이를 갖는 리커멘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74260A1 (ko)
EP (1) EP1606936A1 (ko)
JP (1) JP2006521735A (ko)
KR (1) KR20050106122A (ko)
CN (1) CN1762153A (ko)
WO (1) WO2004084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3655A1 (en) * 2002-06-18 2003-1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aptive stereotypical profile for recommending items representing a user's interests
EP1692646A2 (en) * 2003-12-03 2006-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laborative sampling for implicit recommenders
US11259059B2 (en) * 2004-07-30 2022-02-22 Broadband Itv, Inc. System for addressing on-demand TV program content on TV services platform of a digital TV services provider
US9344765B2 (en) 2004-07-30 2016-05-17 Broadband Itv, Inc. Dynamic adjustment of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s based on viewer preferences for minimizing navigation in VOD program selection
US7631336B2 (en) 2004-07-30 2009-12-08 Broadband Itv, Inc. Method for converting, navigating and displaying video content uploaded from the internet to a digital TV video-on-demand platform
US7590997B2 (en) 2004-07-30 2009-09-15 Broadband Itv,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verting and displaying video content on a video-on-demand platform, including ads used for drill-down navigation and consumer-generated classified ads
US9635429B2 (en) 2004-07-30 2017-04-25 Broadband Itv, Inc. Dynamic adjustment of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s based on viewer preferences for minimizing navigation in VOD program selection
US9584868B2 (en) 2004-07-30 2017-02-28 Broadband Itv, Inc. Dynamic adjustment of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s based on viewer preferences for minimizing navigation in VOD program selection
KR100664142B1 (ko) * 2004-09-1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티브이 프로그램 추천 방법
KR101366805B1 (ko) * 2006-05-30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관심 사항에 기초한 이동 통신 장치의애플리케이션의 런칭 패드 장치 및 구동 방법
US11570521B2 (en) 2007-06-26 2023-01-31 Broadband Itv, Inc. Dynamic adjustment of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s based on viewer preferences for minimizing navigation in VOD program selection
CN102142984A (zh) * 2010-11-25 2011-08-03 中国移动(深圳)有限公司 安全测试平台
US8667529B2 (en) * 2012-07-09 2014-03-04 EchoStar Technologies, L.L.C. Presentation of audiovisual exercise segments between segments of primary audiovisual content
US11386301B2 (en) 2019-09-06 2022-07-12 The Yes Platform Cluster and image-based feedbac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3485A (en) * 1992-02-07 1999-09-14 Abecassis; Max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udio during video control
US5798785A (en) * 1992-12-09 1998-08-25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Terminal for suggesting programs offered on a television program delivery system
JP3572595B2 (ja) * 1995-07-21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AU3294997A (en) * 1996-06-13 1998-01-07 Starsight Telecast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 guide using program characteristics
US6452611B1 (en) * 1998-02-04 2002-09-17 Corporate Media Partner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ynamically changing programming categories
WO1999053688A2 (en) * 1998-04-08 1999-10-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television receiver with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US7209942B1 (en) * 1998-12-28 2007-04-24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eption apparatus
US6445306B1 (en) * 1999-03-31 2002-09-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program selection by genre
US6934964B1 (en) * 2000-02-08 2005-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program guide viewing history generator method and system
US8843965B1 (en) * 2000-09-20 2014-09-23 Kaushal Kurapati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commendation scores using implicit and explicit viewing preferences
US20020092022A1 (en) * 2000-11-16 2002-07-11 Dudkicwicz Gil Gavrie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rogramming event timing data in a recording device
US20030051240A1 (en) * 2001-09-10 2003-03-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our-way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including collaborative fil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2153A (zh) 2006-04-19
WO2004084546A1 (en) 2004-09-30
EP1606936A1 (en) 2005-12-21
US20060174260A1 (en) 2006-08-03
JP2006521735A (ja)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299B2 (en) Television system with aided user program searching
KR102354652B1 (ko) 자연어 질의를 위한 근사적인 템플릿 매칭
KR102428911B1 (ko) 자동 음성 인식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입력을 음성에 기초하여 정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7761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television viewing
CN111433845A (zh) 在会话的上下文中推荐内容的方法和系统
KR102574333B1 (ko) 헤테로그래프의 존재에서 자동 음성 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42665A1 (e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s with initial channel tuning
US20030106058A1 (en) Media recommender which presents the user with rationale for the recommendation
KR20030004447A (ko) 사용자 행동에 기초하여 교체 아이템을 자동적으로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106122A (ko) 피드백 처리 동안 사용자를 돕기 위해 시각적 큐들의디스플레이를 갖는 리커멘더
KR20040047976A (ko) 자동 시청 이력 기반 텔레비전 제어 시스템
US8122469B2 (en) Assisted user control in recommenders
US20060174275A1 (en) Generation of television recommendations via non-categorical information
US20070022440A1 (en) Program recommendation via dynamic category creation
US8151300B2 (en) Smart audio guide system and method
KR102287134B1 (ko)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정보 기반 채널형 콘텐츠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