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870A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870A
KR20050103870A KR1020047016641A KR20047016641A KR20050103870A KR 20050103870 A KR20050103870 A KR 20050103870A KR 1020047016641 A KR1020047016641 A KR 1020047016641A KR 20047016641 A KR20047016641 A KR 20047016641A KR 20050103870 A KR20050103870 A KR 2005010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ductor
antenna conductor
antenna device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모리오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8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01Q5/15Resonant antennas for operation of centre-fed antennas comprising one or more collinear, substantially straight or elongated a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4Screened anten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AM 라디오와 FM 라디오를 수신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이다. FM 방송을 수신하는 FM 안테나 도체(2)를 도전성이 좋은 금속 파이프에 의해 형성하고, 이 FM 안테나 도체(2)의 공간부(2a)에 AM의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AM 안테나 도체(5)를 수용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AM 안테나와 FM 안테나와의 일체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FM 안테나 도체(2)가 AM 안테나 도체(5)의 정전 실드 부재로서 기능시키는 것으로, 비용 없이, AM 안테나 도체(5)에 있어서 기기로부터의 전도 고주파 노이즈가 방해 전파로서 수신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본 발명은, FM 방송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AM 방송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통상, AM 및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기능이 갖춰져 있지만, 예를 들면 옥내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한 기기에 있어서는, 별체의 AM/FM 라디오 방송 수신용 안테나를 설치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오디오 기기에 이용되는 AM/FM 라디오 방송 수신용 안테나는 다양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FM 라디오 방송 수신용 안테나로서는, 예를 들면 피더(feeder) 안테나, 혹은 와이어(wire) 안테나로 불리는 간이 안테나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AM 라디오 방송 수신용 안테나로서는, 플라스틱 등에 리드 선을 감아 돌려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상기에서와 같이 FM 간이 안테나는 피더 또는 와이어등의 선상(線狀) 부분의 길이가 1~2m 정도로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FM 간이 안테나를 오디오 기기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는, 선상 부분을 전개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FM 간이 안테나가 장착되는 실내 등의 미관을 손상한다.
또한, AM 안테나와 FM 안테나가 별체로 구성한 경우에는, 기기로의 접속이 복잡해지는 등 취급하기 어려웠다.
그런데, AM/FM 라디오 방송 수신용 안테나로서는, 예를 들면 페라이트(ferrite)로 이루어지는 자성체봉에 안테나 코일을 솔레노이드 형태로 감아 돌려 AM 안테나를 형성함과 동시에, 에나멜선을 4각형 모양으로 감아 돌려 FM용 루프 안테나를 형성한다. 그리고, AM 안테나를 FM 안테나의 한 변에 병렬로 배치하여, AM 안테나와 FM 안테나를 몰드 수지에 의해 고정하여 일체화하도록 한 것 등이 제안 되고 있다(특개소 56-122204호 공보(제 3도)).
그렇지만, 상기 특개소 56-12220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AM/FM 안테나는, 몰드 수지에 의해 AM 안테나와 FM 안테나를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AM/FM 안테나를 제조할 때 , AM 및 FM 안테나를 몰드 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안테나 재료로서 몰드 수지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특개소 56-122204호 공보(제 3도)에 기재되어 있는 AM/FM 안테나를 실현하려면, 제조 능률도 결코 좋은 것이 아니고, 또한 비용도 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제조 비용이나 비용 등의 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AM 안테나와 FM 안테나를 일체화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다른 단면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다른 루프 형상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루프 형상으로 성형한 제 1의 안테나 도체를 구비하고, 제 1의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는 제 1의 안테나와,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구비하고, 제 2의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는 제 2의 안테나로 되어,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제 1의 안테나 도체로서의 부위에 대하여, 루프 형상에 따르도록 하여 설치하도록 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제 1의 안테나 도체로서의 부위에 대하여 루프 형상으로 따르고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의 안테나 도체의 부위를 토대로 하도록 하여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안테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그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b에 나타내는 안테나 장치(1)는, 제 1의 주파수대인 VHF(Very High Frequency) 대의 전파를 이용한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FM 안테나와 제 2의 주파수대인 중파대(MF대)의 전파를 이용한 A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AM 안테나로 된다.
이 경우, FM 안테나는, FM 안테나 도체(2)와 동조회로(3)로 된다. 또한 AM 안테나는, AM 안테나 도체(5)로 된다.
FM 안테나 도체(2)는, 높은 도전성을 갖는 안테나 부재로, 그 내부에 빈 공간형태의 공간부(2a)가 형성된 대략 기둥형상의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 파이프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금속 파이프를 예를 들면 루프 모양으로 성형한 다음, 그 일부를 절단 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FM 안테나 도체(2)의 절단부에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용의 동조회로(3)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의 FM 안테나 도체(2)의 루프 길이는, 예를 들면 타겟 주파수 f의 1/4 파장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타겟 주파수(f)가 100MHz이면, FM 안테나 도체(2)의 루프 길이는, 약 0.75m(c/f:단 c는 광속)로 되어, 루프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는 FM 안테나 도체(2)의 직경은 약 0.25 m로 된다.
동조 회로(3)는, FM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에 동조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동조회로(3)의 전기적인 회로구성에 대해 후술 한다.
동축 케이블(4)은, 상기에서와 같이 FM 안테나 도체(2)와 동조회로(3)로 이루어지는 FM 안테나로 수신된 FM대역의 방송 전파를, 도시하고 있지 않는 오디오 기기의 라디오 방송 수신기의 FM 입력단까지 전송하는 케이블로 된다. 이와 같이, FM 안테나와 오디오 기기의 라디오 방송 수신기의 FM 입력단과의 사이를 동축 케이블 등의 실드선을 이용하여 접속하면, FM 안테나와 오디오 기기의 라디오 방송 수신기의 FM 입력단과의 전송로간에 복사되는 노이즈를 저감 할 수 있다.
한편, AM 안테나 도체(5)는, 예를 들면 선 모양 도체에 의해서 형성되어, FM 안테나 도체(2)의 공간부(2a)에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AM 안테나 도체(5)는, FM 안테나 도체(2)의 부위인 루프 모양의 금속 파이프의 공간부(2a)에 복수 주회, 예를 들면 3회 정도 주회 시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AM 안테나 도체(5)도 또한, 예를 들면, 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은 동축 케이블 등을 개입시켜 오디오 기기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도, AM 안테나 도체(5)와 오디오 기기의 라디오 방송 수신기의 AM 입력단과의 사이를 동축 케이블 등의 실드선에 의해 접속하면, AM 안테나 도체(5)와 오디오 기기의 라디오 방송 수신기의 AM 입력단과의 전송로간에 복사되는 노이즈를 저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1)에 있어서는, FM 안테나 도체(2)를 루프 모양으로 성형한 금속 파이프에 의해 형성하여, 그 내부의 공간부(2a)에 AM 안테나 도체(5)를 수용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몰드 수지 등을 이용하지 않고, AM 안테나와 FM 안테나와의 일체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장치(1)를 구성하면, 안테나 장치를 제조하는데에 있어서, 몰드 수지에 의해 AM 및 FM 안테나를 몰드 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제조 공정이 간략하게 되어, 그 만큼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재료로서도 몰드 수지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그 점에서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 결과, AM 안테나와 FM 안테나를 일체화한 안테나 장치의 비용을 큰폭으로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안테나 장치(1)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 3a도에는 FM 안테나의 구성이, 제 3b도에는 AM 안테나의 구성이 각각 나타내어지고 있다.
이 도 3a에 나타내는 FM 안테나(10)는, FM 안테나 도체(2)와 동조회로(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동조회로(3)는, 예를 들면 임피던스 매칭용의 코일(Ll)과 FM 동조용의 가변 콘덴서(VCl)와의 직렬 회로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가변 콘덴서(VCl)의 캐패시턴스를 가변하는 것으로, 가변 콘덴서(VCl)의 캐패시턴스와 코일(Ll)의 인덕턴스 및 FM 안테나 도체(2)의 인덕턴스에 의해서 결정되는 FM 안테나(10)의 공진 주파수를 원하는 주파수로 동조시키도록 하고 있다.
동조회로(3)는, 나타낸 바와 같이, FM 안테나 도체(2)의 양단부에 대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코일(Ll)과 가변 콘덴서(VCl)의 접속 라인이 동축 케이블(4)을 개입시키고,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라디오 방송 수신기(11)의 FM입력 단자로 접속된다. 또한 가변 콘덴서(VCl)와 FM 안테나 도체(2)의 접속 라인이 동축 케이블(4)을 개입시켜 라디오 방송 수신기(11)의 어스(E)에 접속된다. 이 경우, 코일(Ll)의 인덕턴스 값은, FM 안테나 도체(2)의 인덕턴스의 몇 분의 1의 값으로 설정되어, 코일(Ll)의 인덕턴스와 비교하여 FM 안테나 도체(2)의 인덕턴스가 지배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FM 안테나(10)는, 동조회로(3)의 코일(Ll)과 가변 콘덴서(VCl)에 의해서 동조 주파수가 결정되는 동조형 안테나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동조형 안테나는, 자계 안테나의 일종인, 이른바 마그네틱 루프 안테나라고도 불려, 소형이지만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와 거의 동등의 안테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FM 안테나 도체(2)의 루프장을 1/4 파장, FM 루프 안테나의 직경을 약 1/4π(약 0.08) 파장까지 소형화한 경우에도, FM 안테나를 반파장 다이폴과 동등의 안테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제 3b도에 나타낸 AM 안테나(12)는, AM 안테나 도체(5)가 동축 케이블(13)을 개입시켜 라디오 방송 수신기(11)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AM 안테나 도체(5)의 양단에는, 라디오 방송 수신기(1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임피던스 매칭용의 코일(L2)과 AM 동조용의 가변 콘덴서(VC2)로 이루어지는 직렬 회로가 접속되어, 가변 콘덴서(VC2)의 용량을 가변하는 것으로, AM 안테나(12)의 동조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AM 안테나 도체(5)의 인덕턴스 값은 18μH, 코일(L2)의 인덕턴스 값은 450μH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AM 안테나 도체(5)의 인덕턴스 값을 코일(L2)의 몇 분의 1의 인덕턴스 값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AM 안테나(12)에서는, AM 안테나 도체(5)의 인덕턴스와 비교하여 코일(L2)의 인덕턴스가 지배적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1)에서는, 상기 제 3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 안테나(10)의 어스를 오디오 기기의 라디오 방송 수신기(11)의 어스에 접속하는 것으로써, FM 안테나(10)의 FM 안테나 도체(2)가 중파대를 이용한 AM 방송의 전파에 대해서 거의 어스 전위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FM 안테나 도체(2)인 금속 파이프내의 공간에 AM 안테나 도체(5)를 수용하고, AM 안테나 도체(5)의 주위를 FM 안테나 도체(2)로 덮도록 하면, AM 안테나 도체(5)는 FM 안테나 도체(2)에 의해 정전 실드가 된다.
이 결과, 안테나 장치(1)가 접속되는 오디오 기기나 그 주변기기의 디지털화에 수반하여, 이러한 기기로부터의 전도 고주파 노이즈가 AM 안테나로 복사되었어도, 이 노이즈가 방해 전파로서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AM 안테나에 있어서의 노이즈 방해는, 종래로부터 일반적인 구조의 AM 안테나를 오디오 기기 등에 접속했을 경우, 예를 들면 비실드 구조에서 1m 정도의 길이의 AM 안테나를 오디오 기기의 라디오 방송 수신기의 AM 입력단에 접속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AM 안테나를 정전 실드 하면 좋은 것도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AM 안테나를 정전 실드하기 위한 실드 부품을 별도로 설치한다면 대폭적인 비용의 오름을 초래하는데 비해서 전도 고주파 노이즈에 의한 방해 전파의 저감 효과가 작고, 일부 오디오 기기만으로 채용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상태였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FM 안테나 도체(2)의 공간부(2a)에 AM 안테나 도체(5)를 수용하고, AM 안테나 도체(5)를 FM 안테나 도체(2)에 의해 정전 실드 하는 구조로 된다. 즉, FM 안테나 도체(2)를 AM 안테나의 정전 실드 부품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1)에서는, 비용의 오름 없이 AM 안테나로부터의 노이즈 방해를 저감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와 같이, FM 안테나 도체(2)의 공간부(2a)에 AM 안테나 도체(5)를 수용했다고 하여도, AM 안테나 도체(5)의 임피던스는, FM 방송법의 주파수대(VHF대)로는 충분히 높고, AM 안테나 도체(5)가 FM 안테나 도체(2)를 갖추는 FM 안테나로서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은 없다.
또한, FM 안테나를 구성하고 있는 FM 안테나 도체(2)는, 그 일부가 절단 되고 있는 것 및 그 절단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동조회로(3)의 가변 콘덴서(VCl)의 용량이 수십 pF정도인 것 등으로, FM 안테나 도체(2)가 AM 안테나 도체(5)를 갖추는 AM 안테나로서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1)는, 전기적으로는 AM 방송의 주파수대와 FM 방송의 주파수대의 차이를 이용하고, 한편의 안테나가 다른편의 안테나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AM 안테나와 FM 안테나와의 일체화가 실현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특개소 56-122204호 공보에는, FM 안테나와 AM 안테나를 동심상(同心狀)으로도 구성 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기술은 없다. 이 때문에, 특개소 56-122204호 공보의 개시 내용으로 하는, FM 안테나와 AM 안테나가 동심상으로 배치했다고 하여도, 구조적으로는, FM 안테나와 AM 안테나를 몰드 수지에 의해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AM/FM 복합 안테나를 제조할 경우에 비용이 드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전기적으로는, FM 안테나가 AM 주파수대에서 저임피던스라고 생각되므로 FM 안테나와 AM 안테나를 동심상으로 배치하면, FM 안테나에 의해 AM 안테나가 단락되어 버려, AM 안테나로서의 성능이 크게 떨어져서 실용성이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특개소 56-122204호 공보의 FM 안테나의 구조는, 본 실시의 형태의 FM 안테나의 구조와는 분명하게 다른 것으로 여겨진다.
즉, 다이폴 안테나와 거의 동등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마그네틱 루프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는 본 실시의 형태의 FM 안테나와는 분명하게 다른 것으로 여겨진다.
제 4a도 내지 제 4d도는,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 4a도에는, 안테나 장치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낸 FM 안테나 도체의 측면도가, 제 4b도에는, 제 4a도에 나타낸 1점 쇄선 부분의 단면을 실시 A-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FM 안테나 도체 이외의 구조는 동일한 것이므로, 도시는 생략한다.
제 4a도 내지 제 4 b도에 나타내는 구조의 FM 안테나 도체(21)는, 대략 기둥형상의 도전성 부재로 되는 금속 파이프의 루프에 따라서 절결부(切缺部)(21a)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FM 안테나 도체(21)에서는, FM 안테나 도체(21)의 공간부(21b)에, 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은 AM 안테나 도체(5)를 수용할 때는, FM 안테나 도체(21)의 절결부(21a)를 이용하고, FM 안테나 도체(21)의 공간부(21b)에 따라서 AM 안테나 도체(5)를 휘감을 수 있다. 즉, AM 안테나 도체(5)를 FM 안테나 도체(21)의 주위에 용이하게 휘감을 수 있다.
또한, 제 4b도에 나타낸 FM 안테나 도체(21)의 절결부(21a)의 절결되는 폭 등은, FM 안테나 도체(21)의 AM 안테나 도체(5)에 대한 실드 효과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의 안테나 장치(1)에서는, FM 안테나 도체(2)(21)의 기둥 모양 형상의 단면에 대해서 원통형인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FM 안테나 도체로서는, 그 이외의 단면 형상에 의한 기둥 모양으로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4c도에 나타내는 단면이 삼각형 모양의 FM 안테나 도체(22), 혹은 제 4d도에 나타내는 단면이 사각형 모양의 FM 안테나 도체(23)을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FM 안테나 도체의 단면 형상이 원통 형상 이외, 예를 들면 제 4c도 내지 제 4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의 경우에 대해서도, FM 안테나 도체의 루프에 따라서 절결부를 형성하면, 그 공간부(22b, 23b)에 AM 안테나 도체(5)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FM 안테나 도체는, 금속 파이프를 루프 모양에 성형하여 형성하고, 또는 루프 모양으로 성형한 금속 파이프의 루프에 따라서 절결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예를 들면 가늘고 긴 평판 모양의 금속 도체를 0자형, C자형, 또는 U자형으로 절곡하여 공간부를 가지는 안테나 부재를 형성하여, 이와 같은 도선성 부재를 루프 모양으로 성형하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본 실시의 형태의 FM 안테나 도체(2)의 루프 형상은, 대략 링 모양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FM 안테나 도체의 루프 길이가 타겟 주파수의 1/4 파장이면, 안테나 장치(1)에 이용하는 FM 안테나 도체(31)(32)의 루프 형상은, 예를 들면 제 5a도에 나타내는 구형 모양으로, 또는 제 5b도에 나타내는 삼각형 모양이라도 좋다. 즉, FM 안테나 도체의 루프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는,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제 1의 안테나 도체로서의 부위에 대하여 루프 형상으로 따라 설치하기 위해서, 제 1의 안테나 도체의 부위를 토대로 하여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의 안테나와 제 2의 안테나와의 일체화 구조이면, 안테나 장치를 제조할 때에, 예를 들면 몰드수지 등에 의해 제 1 및 제 2의 안테나를 몰드 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정이 간략되는 만큼,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테나 재료로서 몰드 수지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 비용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제 1 및 제 2의 안테나를 일체화한 안테나 장치의 비용을 큰폭으로 삭감하게 되어, 비용이 큰폭으로 삭감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체화 안테나를 제조하는데의 효율이 큰폭으로 향상한다.
또한, 제 1의 안테나 도체의 공간부에 대하여,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수용하도록 하여 설치한 것으로, 제 1의 안테나 도체가, 제 2의 안테나 도체에 대한 정전 실드 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제 1의 안테나와 제 2의 안테나를 일체화한 것으로, 제 1의 안테나 도체에 의하여 제 2의 안테나의 노이즈 대책을 실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의 안테나의 노이즈 대책이라고 하는 점에서도 비용의 오름 없이 실현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루프 형상으로 성형한 제 1의 안테나 도체를 구비하고, 제 1의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는 제 1의 안테나와,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구비하고, 제 2의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는 제 2의 안테나로 되고,
    상기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상기 제 1의 안테나 도체로서의 부위에 대하여, 상기 루프 형상에 따르도록 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안테나 도체는, 공간부가 형성된 대략 기둥형상의 도전성을 가지는 안테나 부재를 상기 루프 형상으로 성형하고 있고, 이 공간부에 대하여 상기 제 2의 안테나 도체를 수용하도록 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안테나 도체는, 통형상으로 되는 상기 안테나 부재에 대하여, 상기 루프 형상으로 따르도록 하여 절결(切缺)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안테나는, 마그네틱 루프 안테나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047016641A 2003-02-28 2004-02-18 안테나 장치 KR20050103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3541A JP3783689B2 (ja) 2003-02-28 2003-02-28 アンテナ装置
JPJP-P-2003-00053541 2003-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70A true KR20050103870A (ko) 2005-11-01

Family

ID=3292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641A KR20050103870A (ko) 2003-02-28 2004-02-18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29905B2 (ko)
EP (1) EP1494314B1 (ko)
JP (1) JP3783689B2 (ko)
KR (1) KR20050103870A (ko)
CN (1) CN100508282C (ko)
DE (1) DE602004006924T2 (ko)
WO (1) WO20040776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42B1 (ko) 2017-10-27 2019-03-26 (주)파트론 안테나 장치
KR20190047355A (ko) 2017-10-27 2019-05-08 (주)파트론 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6463A1 (de) * 2006-08-04 2007-08-02 Mahesh Chandra Dwivedi Vorrichtung zur Sammlung, zum Speichern und zur Abgabe von Energie
JP4762960B2 (ja) * 2007-09-03 2011-08-3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ループアンテナ及びループアンテナの製造方法
TW201027844A (en) * 2009-01-06 2010-07-16 Ralink Technology Corp Loop antenna for wireless network
WO2012088632A1 (en) 2010-12-30 2012-07-05 Silicon Laboratories Inc. Air loop antenna for shared am/fm
WO2012158709A1 (en) 2011-05-16 2012-11-2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Thermally managed led arrays assembled by print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99548A (en) 1932-04-07 1933-10-09 Marconi Internat Marine Comm 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ame aerials for wireless reception
JPS56122204A (en) 1980-02-29 1981-09-25 Toko Inc Fm and am composite antenna
JPS6146601A (ja) * 1984-08-10 1986-03-06 Nippon Denso Co Ltd 自動車用アンテナ
US4839594A (en) * 1987-08-17 1989-06-13 Picker International, Inc. Faraday shield localized coil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S6455720A (en) 1987-08-26 1989-03-02 Toshiba Corp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6455720U (ko) * 1987-10-01 1989-04-06
US5248989A (en) * 1988-02-04 1993-09-28 Unisan Ltd. Magnetic field concentrator
US5564082A (en) 1994-05-06 1996-10-08 At&T Corp. Diversity antenna for a wrist telephone
US5485165A (en) * 1994-08-15 1996-01-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Broadband high efficiency full wave open coaxial stub loop antenna
DE69613167T2 (de) * 1995-03-22 2001-10-11 Mazda Motor Scheibenantenne fü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m Entwerfen einer derartigen Antenne
US6218998B1 (en) * 1998-08-19 2001-04-17 Vortekx, Inc. Toroidal helical antenna
GB9718311D0 (en) * 1997-08-30 1997-11-05 Hately Maurice C Dual loop radio antenna
US6252550B1 (en) * 1998-06-17 2001-06-26 Peter Joseph Vernon Planar antenna device
KR100338057B1 (ko) * 1999-08-26 2002-05-24 황 철 주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발생용 안테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42B1 (ko) 2017-10-27 2019-03-26 (주)파트론 안테나 장치
KR20190047355A (ko) 2017-10-27 2019-05-08 (주)파트론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4314B1 (en) 2007-06-13
JP3783689B2 (ja) 2006-06-07
CN100508282C (zh) 2009-07-01
US7129905B2 (en) 2006-10-31
WO2004077612A1 (ja) 2004-09-10
EP1494314A4 (en) 2005-08-17
CN1698236A (zh) 2005-11-16
DE602004006924D1 (de) 2007-07-26
JP2004266482A (ja) 2004-09-24
DE602004006924T2 (de) 2008-02-14
EP1494314A1 (en) 2005-01-05
US20050243003A1 (en)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6535B2 (en) Coaxial inductor and dipole EH antenna
US20130050042A1 (en) Cobra antenna
US8860618B2 (en) Internal FM antenna
US9837708B2 (en) Cobra antenna
US7034767B2 (en) Helical coil, Magnetic core antenna
CN102576938B (zh) 天线
AU2002215265A1 (en) An antenna device
US20210257725A1 (en) Coaxial helix antennas
US4128840A (en) Resonant re-entrant cavity whip antenna
US20150097754A1 (en) Multiband frequency antenna
KR20050103870A (ko) 안테나 장치
KR20050113620A (ko)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장치의 제조 방법
US4626862A (en) Antenna having coaxial driven element with grounded center conductor
US2991355A (en) Power cord type antenna system for a wave-signal receiver
US3267478A (en) Tunable ferromagnetic rod loop antenna
WO2008117898A1 (en) Broad band antenna
US20210199735A1 (en) Cable mantle for shield current suppression in a shielded cable
JP3434219B2 (ja) アンテナ
CA1097756A (en) Multiport cable choke
EP1298796A2 (en) Antenna matching transformer and wide-band VHF- antenna
CS198672B1 (cs) Anténa pře příjem elektromagnetických vln vo frekvenčnom pásme VK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