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475A -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475A
KR20050096475A KR1020040021855A KR20040021855A KR20050096475A KR 20050096475 A KR20050096475 A KR 20050096475A KR 1020040021855 A KR1020040021855 A KR 1020040021855A KR 20040021855 A KR20040021855 A KR 20040021855A KR 20050096475 A KR20050096475 A KR 20050096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main support
lower cover
guide plat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1282B1 (ko
Inventor
이상묵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2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06B1/18Metal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제 1,2기판이 일정한 셀-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액정패널과; 램프의 빛을 집광하여, 일면(一面)으로 조사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서 공급된 빛을 집광 및 확산시켜 상기 액정패널로 조사하는 광학시트와; 상기 도광판 및 광학시트를 외곽에서 지지하는 메인 지지대와; 상기 메인 지지대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를 관통하여 메인 지지대까지 형성된 제 1홈과; 상기 제 1홈에 삽입되어 메인 지지대 및 하부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STRUCTURE OF COMBIND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메인 지지대(Support Maim)과 하부 커버(Bottom Cover)의 체결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화질저하를 방지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 기판과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이 일정한 이격으로 합착되고, 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된 일정한 공간에 구비된 액정층으로 구성된 액정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과, 상기 액정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는 종으로 일정한 이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과, 횡으로 일정한 이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이 서로 교차하고, 그 교차하여 구획되는 영역에는 화소가 정의되는데, 상기 화소는 매트릭스(Matrix)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필터 기판에는 상기 화소들이 대응하는 위치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층이 형성되며, 상기 컬러필터층 사이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화소를 통과하는 빛의 색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컬러필터층 사이에 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가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대향하는 내측 면에는 각각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다. 이때, 화소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에 화소별로 형성되는 반면에 공통전극은 컬러필터 기판의 전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공통전극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액정층의 액정분자들의 배열상태를 변화시켜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는 액정표시장치에 빛을 공급하는데,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액정층을 통과할때, 액정들의 배열상태에 의해 광투과율이 결정되어 화상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액정 표시장치는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패널(10)과; 상기 액정패널(10)의 측면에 각각 접속된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와; 상기 액정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10)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과, 그 컬러필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이격 간격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된 액정 액정패널에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되면, 상기 액정층의 액정은 상기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전계에 따라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소별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화소별로 제어하기 위해서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소자가 화소들에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와 데이터 구동부(30)는 상기 액정패널(10)과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어 액정패널(10)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에 주사신호와 화상정보를 공급함으로써, 액정패널(10)의 화소들을 구동시킨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은 상기 액정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된 도광판(41)과; 상기 도광판(41)의 양측면에 배치된 램프(42) 및 램프 하우징(43)과; 상기 도광판(41)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판(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액정패널(10)과 도광판(41)의 사이에 광학시트(45)가 배치된다.
상기 램프(42)에서 발생된 빛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도광판(41)의 측면으로 입사된다.
상기 도광판(41)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판(44)은 도광판(41)의 배면으로 투과되는 빛을 도광판(41)의 상면으로 반사시켜 빛의 손실을 줄이고, 도광판(41)의 상면으로 투과되는 빛의 균일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41)은 반사판(44)과 함께 램프(42)에서 발생된 빛을 상면으로 투과시킨다.
상기 액정패널(10)과 도광판(41)의 사이에 배치된 광학시트(45)는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보호시트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도광판(41)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킴으로써, 빛이 부분적으로 밀집되어 액정패널(10)에 표시되는 화상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광판(41)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각도를 수직하게 굴절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시트는 상기 확산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액정패널(10)의 전면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시트는 먼지나 긁힘에 민감한 광학시트(45)를 보호하고, 백라이트 유닛(40)을 운반하는 경우에 광학시트(45)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프리즘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하여 빛이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닛(40)은 도광판(41)의 양측면에 두개의 램프(42)가 구비된 에지 방식이 적용되었으나, 상기 도광판(41)의 일측면에만 램프가 구비된 에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램프(42)가 액정패널(10)의 배면 전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직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동부(30)에는 인쇄회로기판(31)이 구비되며, 그 인쇄회로기판(31)에는 상기 액정패널(10)의 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전기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집적회로 칩들과, 그 전기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배선들이 실장되기 때문에 일정한 면적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커버(52)의 바닥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31)은 하부 커버(52)와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커버 실드(53)에 의해 보호된다.
한편, 상기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40)은 메인 지지대(Support Main, 50)에 적층되며, 그 적층된 액정패널(10)과 백라이트 유닛(40)의 측면이 메인 지지대(5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액정패널(10)의 상면 가장자리는 상부 케이스(51)에 의해 압착되며, 그 상부 케이스(51)는 상기 메인 지지대(50)와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액정패널(10) 및 백라이트 유닛(40)는 백라이트 유닛(40)의 배면에 배치된 하부 커버(52)에 의해 지지되며, 그 하부 커버(52)는 상기 상부 케이스(51)와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52)는 메인 지지대(50)와 스크류(screw)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액정표시장치에서 하부커버 및 메인 지지대가 체결된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는 메인 지지대(미도시)를 감싸서 지지하는 상부케이스(151)와, 상기 상부케이스(151)의 측면을 압착하고, 메인지지대의 하면을 지지 및 보호하는 하부커버(152)와, 상기 하부커버(152) 및 메인지지대를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스크큐(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메인 지지대는 내부공간에 삽입된 도광판 및 광학시트를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며, 그 메인 지지대의 외곽 측면과 하부에는 하부커버(152)가 메인 지지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152)의 측면과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는 상부케이스(151)가 최종적으로 덮힌다.
상기 하부커버(152)는 상기 메인지지대와 보통, 스크류(160)에 의해 결합되는데, 그 결합형태를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3은 액정표시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램프(미도시)에서 발산되는 빛을 액정패널 전면으로 발산시키는 도광판(241)과, 상기 도광판(241)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분산시키고, 집광하는 광학시트(245)와, 상기 광학시트(245) 상에 적층되며, 상기 램프, 도광판(241) 및 광학시트(245)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메인 지지대(250)와, 상기 도광판(241) 및 메인 지지대(250)의 하부를 보호하며, 지지하는 하부 커버(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정표시장치에서 램프가 액정패널(21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액정패널(210)의 전면에 빛을 직접 조사하는 방식을 직하형 방식이라 하고, 상기 액정패널(210)의 측면에 구비되어 도광판(241)에 의해 간접적으로 액정패널(210) 전면에 조사되는 방식을 엣지형 방식이라 한다. 상기 도3에서는 엣지형 방식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상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램프는 상기 도광판(241)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도광판(241)으로 빛을 조사한다.
도3은 메인 지지대(250)와 하부 커버(252)의 결합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므로, 불필요한 부분들은 생략하였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액정표시장치에는 상기 메인 지지대(25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으로 표시하는 액정패널(210)과, 상기 액정패널(210) 상면의 가장자리를 압착하며, 상기 하부 커버(252)의 측면과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미도시)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부커버(252)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메인 지지대(250)는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가 강하게 결합되어 내부구성물들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지지대(250)와 하부 커버(252)는 정확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 메인 지지대(250)와 하부 커버(252)는 보통, 스크류(260) 등으로 체결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260)는 상기 하부 커버(252)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지지대(250)까지 뚫고 들어간다. 상기 스크류(260)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하부 커버(252) 및 메인 지지대(250) 내에 나사선형태의 홈을 형성하면서 파고들어간다.
그런데, 상기 메인 지지대(25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보통 금속재질인 스크류(260)가 강제로 나사선형태의 홈을 만들면서 들어오게 되면, 상기 스크류(260)와의 마찰에 의해 메인 지지대(250)가 마모되어 이물질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물질들은 액정표시장치 내부에 흩어져 화질불량이나 구동불량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260) 체결시 상기 하부 커버(252)와 메인 지지대(250)를 정확하게 수직으로 관통하여 뚫고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상의 오류로 인하여 상기 메인 지지대(250)가 비스듬한 상태로 체결이 될 경우, 상기 메인 지지대(250)의 모서리 일측이 광학시트(245)를 강제로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액정표시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도광판(241)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광학시트(245)는 상기 메인 지지대(250)의 압착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광학시트(245)의 중앙 영역에 주름이 발생한다. 즉, 상기 광학시트(245)는 램프로부터 공급된 빛을 정확하게 집광하고,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되므로, 액정패널 상에 정확한 화상을 표시할 수 없게된다.
일반적으로, 메인 지지대(250)와 도광판(241) 및 광학시트(245)의 체결시, 상기 메인 지지대(250)와 상기 도광판(241), 상기 광학시트(245) 사이에 미세한 공간의 이격을 갖도록 체결하는데, 이는 액정표시장치 내부에서 램프, 구동회로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도광판(241) 및 광학시트(245)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여유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부 커버(252)에는 상기 메인 지지대(250)와의 체결을 위하여 4개 이상의 스크류(260)가 사용된다. 상기 스크류(260)는 작업자가 회전력을 가하여 각각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 따라서, 다수의 액정표시장치의 생산시에는 전체 생산성을 낮추는 요인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에 의한 체결시 나오는 이물질이나 잘못된 체결에 의해 발생하는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는 서로 대향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을 일정한 셀-갭을 갖도록 합착된 합착한 액정패널과; 램프의 빛을 집광하여, 일면(一面)으로 조사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서 공급된 빛을 집광 및 확산시켜 상기 액정패널로 조사하는 광학시트와; 상기 도광판 및 광학시트를 외곽에서 지지하는 메인 지지대와; 상기 메인 지지대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를 관통하여 메인 지지대까지 형성된 제 1홈과; 상기 제 1홈에 삽입되어 메인 지지대 및 하부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와 같이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나사선형태의 홈을 형성함에 따라, 메인 지지대 내에 마찰에 의한 이물질이 발생하고, 체결하는 스크류마다 개별적으로 회전력을 가해 하부 커버 및 메인 지지대에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한번에 끼워넣을 수 있는 체결수단을 적용함에 따라, 체결이 용이하고, 생산시간이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체결시 이물질이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화질저하나 구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지지대와 하부 커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는 광학시트, 도광판과 같은 광학부재를 내부에 구비하여 지지하는 메인 지지대(251)와, 상기 메인 지지대(251)의 하부와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고, 보호하는 하부 커버(352)와, 상기 하부 커버(352)의 측면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 지지대(251)의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 커버(352) 및 메인 지지대(350)를 체결하는 스토퍼(stopper, 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370)는 인위적인 회전력을 가해줄 필요없이 간단한 수작업으로 밀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온다. 상기 스토퍼(370) 및 삽입홈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어도 하나가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370)가 삽입된 액정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도5a는 스토퍼가 삽입된 액정표시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b는 도5a에 도시된 스토퍼의 또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램프(미도시)에서 발산되는 빛을 액정패널 전면으로 발산시키는 도광판(441)과, 상기 도광판(441) 상에 적층되어 상기 도광판(441)으로부터 공급된 빛을 분산시키고, 집광하는 광학시트(445)와, 상기 광학시트(445) 상에 적층되며, 상기 램프, 도광판(441) 및 광학시트(445)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메인 지지대(450)와, 상기 도광판(441) 및 메인 지지대(450)의 하부를 보호하며, 지지하는 하부 커버(452)와, 상기 하부 커버(452)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커버(452)를 관통하고, 상기 메인 지지대(450)의 일부까지 형성된 삽입홈(471)과, 상기 삽입홈(471)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지지대(450) 및 하부 커버(452)를 체결시키는 스토퍼(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5a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인 메인 지지대(450) 및 하부 커버(452)의 체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상부케이스, 액정패널 등 불필요한 부분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5a는 램프가 액정패널(4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이 도광판(441)에 의해 간접적으로 액정패널(410) 전면에 조사되는 엣지형 방식을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메인 지지대(450)와 하부 커버(452)를 체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므로, 램프의 배열방식인 엣지형 방식 또는 직하형 방식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액정표시장치에는 상기 메인 지지대(45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으로 표시하는 액정패널(410)과, 상기 액정패널(410) 상면의 가장자리를 압착하며, 상기 하부 커버(452)의 측면과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미도시)가 포함된다.
종래에는 스크류 등으로 하부 커버(452)의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력에 의해 메인 지지대(450)까지 나사선형태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커버(452) 및 메인 지지대(450)를 체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커버(452)의 측면에 삽입홈(471)을 형성하며, 그 삽입홈(471)에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상기 하부 커버(452) 및 메인 지지대(450)를 체결시킨다.
상기 삽입홈(471)은 상기 하부 커버(452)를 관통하고, 상기 메인 지지대(450)의 일부까지 형성되며, 체결수단인 스토퍼(470)는 상기 삽입홈(471)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홈(471) 내부에 체결된다. 즉, 상기 삽입홈(471)의 폭보다 큰 스토퍼(470)를 상기 삽입홈(471)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470)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기 위하여 상기 삽입홈(471) 내부의 양측을 강하게 밀어내며 압착된다.
상기 삽입홈(471)은 상기 하부 커버(452)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70)를 상기 삽입홈(471) 내부에 간단하게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메인 지지대(450)와 하부 커버(45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470)를 종래의 스크류와 동일한 수를 체결한다해도 상대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메인 지지대(450)와 하부 커버(452)에 미리 삽입홈(471)을 형성하고, 그 삽입홈(471) 내부에 스토퍼(470)을 삽입함으로써, 체결이 완료되므로 종래의 나사선형태의 홈을 형성하면서 생성되는 이물질이 발생할 소지를 제거하였다. 상기 스토퍼(470)는 상기 메인 지지대(450)의 재질과 동일한 폴리 카보네이트로 제작한다.
그리고, 미리 형성된 삽입홈(471)을 통해 스토퍼(470)가 체결되어 메인 지지대(450) 및 하부 커버(452)가 결합되므로, 잘못된 체결에 의한 메인 지지대(450)의 광학시트(445) 압착현상 등을 방지하여, 상기 메인 지지대(450)와 상기 광학시트(445), 도광판(441)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 내부 또는 외부의 열에 의해 광학시트(445) 면적이 확장될 경우에도 주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지지대(450) 및 하부 커버(452)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70)의 탄성력이 약화되어 체결력이 떨어질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체결력 약화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5b와 같은 형태를 가진 스토퍼(470)를 제안하게 되었다.
도5a와 다른 형태의 스토퍼(470)는 상기 삽입홈(471)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돌기(475)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이 돌기(475)에 의해 추가적인 체결력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삽입홈(471) 내부에는 상기 스토퍼(470)의 돌기(475)가 삽입될 홈을 추가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470)가 상기 삽입홈(471) 내부에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스토퍼(470)의 탄성력 외에도 삽입홈(471) 내부의 홈에 돌기(475)가 결합됨에 따라 추가적인 결합력을 얻는다. 상기 돌기(475)는 적어도 하나가 스토퍼(47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471)을 메인 지지대(450)의 일부가 아닌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470)가 더 강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 지지대(450) 및 하부 커버(452)가 더 강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는 탄성력을 갖는 스토퍼에 의해 메인 지지대 및 하부 커버의 체결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됨에 따라, 잘못된 체결에 의해 발생되는 이물질이나 광학시트 주름 등으로 인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불량 및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2는 액정표시장치에서 하부커버 및 메인 지지대가 체결된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액정표시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지지대와 하부 커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5a는 스토퍼가 삽입된 액정표시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5b는 도5a에 도시된 스토퍼의 또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1: 도광판 445: 광학시트
450: 메인 지지대 452: 하부 커버
470: 스토퍼(stopper) 471: 삽입홈

Claims (8)

  1. 서로 대향하는 두 기판이 일정한 셀-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액정패널;
    램프의 빛을 집광 및 확산시켜 상기 액정패널로 조사하는 광학부재;
    상기 도광판 및 광학시트를 외곽에서 지지하는 메인 지지대;
    상기 메인 지지대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는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를 관통하여 메인 지지대까지 형성된 제 1홈;
    상기 제 1홈에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메인 지지대 및 하부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 표시장치의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홈은 메인 지지대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의 체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홈은 메인 지지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의 체결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의 체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 내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될 제 2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체결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의 재질은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체결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스토퍼(stopp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체결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하부 커버의 측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1020040021855A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101131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855A KR101131282B1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855A KR101131282B1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475A true KR20050096475A (ko) 2005-10-06
KR101131282B1 KR101131282B1 (ko) 2012-03-30

Family

ID=3727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855A KR101131282B1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2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62B1 (ko) * 2006-11-01 2008-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외장 판넬 체결구조
KR100981947B1 (ko) * 2006-12-19 2010-09-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1244689B1 (ko) * 2006-06-07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269258B1 (ko) * 2005-10-07 2013-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258B1 (ko) * 2005-10-07 2013-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KR101244689B1 (ko) * 2006-06-07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838562B1 (ko) * 2006-11-01 2008-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외장 판넬 체결구조
KR100981947B1 (ko) * 2006-12-19 2010-09-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282B1 (ko) 201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28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rotecting unit for enclosing a fastener and holding lamp wires
KR10133707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36367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250781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1203520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US930434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59047B1 (ko) 터치패널 부착형 액정표시장치
US670063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realizing a large surface display screen
KR2013002968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3683A (ko) 액정표시장치
US20230384635A1 (en) Display device
KR101131282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20120136879A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72652A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71925A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98158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49705A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25765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59718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972491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101175563B1 (ko) 액정표시장치의 체결구조
KR20130036440A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11985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109471A (ko) 액정 표시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