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424A -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424A
KR20050096424A KR1020040021624A KR20040021624A KR20050096424A KR 20050096424 A KR20050096424 A KR 20050096424A KR 1020040021624 A KR1020040021624 A KR 1020040021624A KR 20040021624 A KR20040021624 A KR 20040021624A KR 20050096424 A KR20050096424 A KR 20050096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electrode
liquid crystal
backlight unit
electrode
glas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기
황학모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6424A/ko
Publication of KR2005009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4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램프의 외부전극을 공통전극이 캡형식으로 체결시킨후, 체결부를 수축튜브를 감싸서 발광램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되어 액정패널 하측에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는 외부전극과, 상기 유리관 양단부에서 상기 외부전극을 캡형식으로 감싸는 공통전극의 체결부와,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를 지지해주는 공통전극의 지지부와,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가 부착되어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를 일체형으로 연결시켜주는 공통전극의 보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구성요소인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 구조의 변경을 통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평판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그 중에서 각광받고 있는 것으로 액정표시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ED(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ELD(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s) 등이 있다.
이 중, 액정표시소자는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크고, 계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적다는 특징 때문에 노트북 PC, 데스크탑 모니터, 및 액정TV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액정표시소자는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크고, 계조 표시나 동화상 표시에 적합하며 전력소비가 적다는 특징 때문에 노트북 PC, 데스크탑 모니터, 및 액정TV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액정표시소자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구현을 위한 컬러필터층(112)이 형성된 상부기판(101)과, 액정분자의 배열 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는 스위칭 소자가 형성된 하부기판(102)과, 상기 상,하부 기판(101,102)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기판(101)에는 상기 컬러필터층(112) 외에 빛샘을 차단하는 블랙 매트릭스(111)와 액정층(10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1 전극인 공통전극(113)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기판(102)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121) 외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로부터 신호를 인가받고 액정층(10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 2 전극인 화소전극(122)이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기판(101,102) 사이에는 두 기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115)가 삽입되어 있고, 기판의 가장자리에는 액정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런트(sealant)(116)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액정표시소자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별도의 외부광원이 필요하다. 특히, 투과형 액정표시소자의 경우 LCD 패널의 배면에 광을 발산하고 안내하는 별도의 조광장치, 즉 백라이트 유닛이 반드시 요구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투사시키는 방식에 따라, 도광판 방식부터 직하형 방식까지 다양하다.
이 중, 도광판 방식은 액정패널의 측면에 발광램프(열음극, 냉음극) 등의 관형상의 선광원을 설치하고, 투명한 도광판을 이용하여 발광램프로부터의 광을 액정패널 화면 전체에 투사시키는 방식이고, 직하형 방식은 액정패널 하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발광램프에서 나오는 광이 발광램프와 액정패널 사이에 설치된 확신시트에 의해 확산되어 액정패널 화면 전체에 분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도광판 방식은 각종 부품 소싱(sourcing) 및 제조 과정이 복잡하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램프와 램프하우징과의 형합 문제로부터 야기되는 빛샘의 문제점이 있으며, 빛이 도광판을 통과하여야 하므로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액정패널 하부에 발광램프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는 직하형 방식이 제안되어 높은 휘도와 더욱 균일한 광량분포를 제공하고 있다. 표시면적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밝기가 일률적인 광원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런 점에 비추어 볼 때 직하형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직하형 방식일 경우, 고휘도의 백 라이트를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여러개의 발광램프를 표시화면의 하측에 배치하거나, 한 개의 발광램프를 구부려서 배치하는 등 직하형 방식의 백 라이트에 관한 연구,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직하형 방식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일반적인 CCFL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CCFL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일반적인 EEFL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EEFL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Ⅰ-Ⅰ'선상의 절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 램프(51)들과, 상기 발광 램프(51)들을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케이스(53)와, 상기 발광 램프(51)들에서 발생된 광이 액정 패널의 표시부로 집중 조사될 수 있도록 배치된 반사판(54)과, 상기 발광 램프(51)와 액정 패널(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된 확산시트(55), 프리즘 시트(56), 보호시트(57)로 이루어진 광학시트류로 구성된다.
상기 광학시트류는 발광 램프의 형상이 액정 패널의 표시면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 분포를 갖는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광 산란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액정 패널과의 사이에 다수의 시트들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 램프(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음극관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로서, 유리관(61) 내부의 양단에 전극(62,62a)이 각각 배치되고, 발광 램프의 양쪽 전극(62,62a)에는 램프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인입선(69,69a)이 연결되며, 상기 전원 인입선(69,69a)이 하나의 커넥터(68)에 연결되어 구동회로와 접속된다.
즉, 각각의 발광 램프(51)마다 개별적으로 커넥터(68)가 필요하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램프(51)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전원인입선(69,69a)이 연결되고 발광램프 개수만큼의 인버터가 요구된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의 배선 구조가 복잡해지고, 백라이트의 두께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전원 인입선을 구부려서 커넥터와 연결하기 때문에 작업상의 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므로 공정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냉음극관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CCFL 대신에 관(tube) 양단의 외부에 외부전극을 갖는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을 발광램프로 사용하게 되었다.
상기 EEFL(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관(31)의 내주벽에 형광체가 도포되고, 혼합된 불활성 기체나 수은(Hg) 등으로 이루어진 방전 가스(discharge gas)가 주입된 다음에 양 단부가 밀봉되어진다. 상기 유리관(31)의 단면은 원형뿐만 아니라, 납작한 타원형도 가능하다.
그리고, 밀봉된 상기 유리관(31)의 양 끝단부 외주면에는 외부전극(external electrode, 34)이 각각 형성되며, 외부전극(34)에는 전원인입선(36,36a)이 납땜되어 하나의 커넥터(38)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외부전극(34)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데 알루미늄, 은, 구리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EEFL(21)을 복수개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EEFL(21)들과, 상기 EEFL(21)의 외부전극(34)을 일괄적으로 연결시켜 복수개의 EEFL(21)에 외부 전압을 동시에 인가하는 공통전극(35)으로 구성된다.
즉, 병렬 배치된 EEFL(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공통전극(35)에 하나의 전원인입선(36,36a)만 연결하면 하나의 인버터에 의하여 다수의 EEFL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공통전극(35)은 평행하는 두 직선부와 상기 두 직선부를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사다리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병렬로 배치된 EEFL(21,34)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에 각각 배치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형태를 가지는 수직부(35a)가 더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35a) 중간에 EEFL(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상기 수직부(35a)는 상기 EEFL(21)이 저면의 반사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로팅될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 삽입된 EEFL(21)의 중심으로부터 반사판까지의 간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4∼6mm 정도가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EEFL(21) 하측에는 반사판이 배치되고, EEFL(21) 상측에는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등의 광학시트류가 차례대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EEFL을 구성요소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전극(외부전극)이 방전 공간에 노출되어 있지 않고 유리관 외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실전류가 전극으로 흐르지 않게 되고, 또한, 하나의 인버터에 의하여 다수의 램프를 한꺼번에 발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고전압단에 배치된 공통전극 및 외부전극이 대기중에 노출될 경우, 전극이 산화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핀-홀이 형성되어 램프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고전압단에 배치된 공통전극 및 외부전극이 대기중에 노출될 경우, 사용자의 취급시 감전될 염려가 있다.
셋째, 공통전극이 외부전극의 길이보다 커야 하므로 넓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데, 공통전극이 배치되는 공간은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에 해당되므로 액정표시소자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광램프에 전기를 공급하는 공통전극에서 램프의 외부전극과 결합되는 부분이 램프의 외부 전극을 캡 형식으로 감싸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계를 최적화시키고자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전극과 공통전극이 결합시킨 후, 그 외부에 수축 튜브를 감싸서 외부전극과 공통전극이 대기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광램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은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되어 액정패널 하측에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는 외부전극과, 상기 유리관 양단부에서 상기 외부전극을 캡형식으로 감싸는 공통전극의 체결부와,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를 지지해주는 공통전극의 지지부와,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가 부착되어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를 일체형으로 연결시켜주는 공통전극의 보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외부전극과 공통전극의 체결부를 수축 튜브로 감싸서 상기 전극의 대기 노출을 방지한다.
즉, 유리관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전극을 공통전극으로 감싸서 공통전극과 외부전극의 접촉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공통전극을 통과하는 전원이 외부전극에 잘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공통전극의 보텀부의 크기를 줄여 화상 비표시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소자의 크기 및 중량이 줄어든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EEFL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통전극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공통전극 및 외부전극의 체결 전,후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EEFL의 평면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도시하지 않음) 하측에 일정 간격을 갖고 배열되는 복수개의 발광 램프(521, 534)와, 상기 다수개의 발광 램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발광램프를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공통전극(535, 535a, 535b)과, 상기 발광 램프 상부에 배치되는 광학시트류(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발광램프 하부에 배치되어 발광 램프에서 하측으로 새어나오는 빛을 액정패널 측으로 평행하게 반사시키는 반사판(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발광램프(531, 534)는 네온(Ne), 아르곤(Ar), 수은(Hg) 등의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되어 액정패널 하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리관(521)과, 상기 유리관(521)의 양단부를 감싸는 외부전극(534)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유리관(521)은 관(tub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전극(534)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데, 상기 유리관(521)의 끝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이며, 외부전극에 대응되는 유리관 내부에는 형광체를 도포하지 않는다. 이러한 외부전극(534)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금속재로 된 캡 형태 또는 금속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식이나, 상기 유리관(521)의 양 단부를 금속용액에 딥핑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전극(534)은 전기저항이 적은 도전성 재료인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등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통전극(535, 535a, 535b)은 병렬로 배치된 다수개의 발광램프의 고전압단과 저전압단을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해주는데,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전극(534)을 캡형으로 감싸는 공통전극의 체결부(535)와,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535)를 지지해주는 공통전극의 지지부(535a)와,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535a)가 부착되어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535a)를 일체형으로 연결시켜주는 공통전극의 보텀부(535b)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535)는 상기 외부전극(534) 전부분 또는 일부분을 감싸서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접촉면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램프의 양단부가 쉽게 삽입된 후 체결될 수 있도록 신축성을 위한 절개부(540)를 포함하도록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535a)는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535)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535)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유리관(521)이 반사판으로부터 대략 4∼6mm의 간격으로 플로팅되어 유리관(521) 전면으로부터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통전극의 보텀부(535b)는 화상 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종래보다 그 크기를 충분히 작게할 수 있으므로 비표시영역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535), 공통전극의 지지부(535a) 및 공통전극의 보텀부(535b)는 일체형으로 도전성 물질로 제작되어 전기를 전달한다.
한편,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535)와 외부전극(534)을 체결한 후에는, 체결부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대기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전극(534)과 공통전극의 체결부(535)에 수축튜브(550)를 더 결합시킨다. 여기서, 도 9a는 외부전극(534), 공통전극의 체결부(535) 및 수축튜브(550)를 결합시키 전의 분해 사시도이다.
특히, 발광램프의 고전압단에서의 외부전극 및 공통전극의 대기 노출이 문제되므로, 고전압단의 공통전극(535)의 체결부 및 외부전극(534)에는 상기 수축튜브(550)를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즉,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극(534)이 양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발광램프를 공통전극의 체결부(535)에 동시에 삽입한 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전극의 체결부(535) 및 외부전극(534)을 감싸도록 수축튜브(550)를 씌운다. 이후, 상기 수축튜브(550)의 수축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을 가하여, 상기 외부전극(534) 및 공통전극의 체결부(535)에 완전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발광 램프와 액정 패널(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된 확산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시트 등의 광학시트류는 발광 램프의 형상이 액정 패널의 표시면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 분포를 갖는 광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광 산란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수개가 배치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시트는 상기 발광 램프에서 나온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프리즘 시트는 상기 확산시트에서 확산시킨 빛을 집광시켜 액정패널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프리즘 시트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발광 램프에 전원을 전달하여 램프를 구동하기 위해서, 상기 발광램프의 양단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통전극의 보텀부(535b)에 전원인입선(536, 536a)을 납땜하여 하나의 커넥터(538)에 연결시킨 후 인버터에 접속시킨다.(도 7참고)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전극의 외주면을 공통전극이 캡형식으로 감싸는 것에 의해, 공통전극과 외부전극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공통전극을 통과하는 전원이 외부전극에 잘 전달된다.
따라서, 동일 전극 크기에 대비하여 램프의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둘째, 공통전극과 외부전극의 외측면을 수축튜브가 감싸는 것에 의해, 고전압부가 대기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램프 불량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되고, 사용자 취급시 고전압부의 접촉 위험이 방지된다.
셋째, 공통전극의 보텀부의 크기를 줄여 화상 비표시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소자의 크기 및 중량이 줄어든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CCFL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CCFL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EEFL의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EEFL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Ⅰ-Ⅰ'선상의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EEFL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통전극의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공통전극 및 외부전극의 체결 전,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EEFL의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21 : 유리관 534 : 외부전극
535 : 공통전극의 체결부 535a : 공통전극의 지지부
535b : 공통전극의 보텀부 536,536a : 전원인입선
538 : 커넥터 550 : 수축 튜브

Claims (8)

  1. 방전기체가 주입되고 내주벽에 형광체층이 도포되며 양단이 봉입되어 액정패널 하측에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유리관;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를 감싸는 외부전극;
    상기 유리관 양단부에서 상기 외부전극을 캡형식으로 감싸는 공통전극의 체결부;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를 지지해주는 공통전극의 지지부;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가 부착되어 상기 공통전극의 지지부를 일체형으로 연결시켜주는 공통전극의 보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 공통전극의 지지부 및 공통전극의 보텀부는 도전성 물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 하측에 배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유리관 상측에 배치되는 광학시트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의 보텀부 일측에 전원 인입선이 납땜되어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의 체결부에 신축성을 위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외부전극의 체결부에 수축튜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튜브는 고전압단의 공통전극 및 외부전극 체결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은 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KR1020040021624A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KR20050096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624A KR20050096424A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624A KR20050096424A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424A true KR20050096424A (ko) 2005-10-06

Family

ID=3727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624A KR20050096424A (ko) 2004-03-30 2004-03-30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64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669B1 (ko) * 2006-05-09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669B1 (ko) * 2006-05-09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3192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62384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EP1622189B1 (en) Flat fluorescent la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463610B1 (ko) 백 라이트용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이의 외부전극 형성방법
JP2007048731A (ja) バックライト組立体及びそ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7768186B2 (en)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backlight unit
KR101002312B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외부전극 형성방법
KR101041054B1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6420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121837B1 (ko) 백라이트용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제조방법
KR20050096424A (ko)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유닛
KR100736668B1 (ko) 냉음극형광램프 및 이를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US20060152130A1 (en) Flat fluorescent lamp,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530724B2 (en) Light emitting lamp,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an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60170321A1 (en) Flat-type fluorescent la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70072662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114853B1 (ko) 액정표시장치용 외부전극형광램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113460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50117029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909050B1 (ko) 외부전극 형광램프
KR20070079175A (ko) 평판 형광 램프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08818A (ko) 램프,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 표시 장치
KR20060035050A (ko) 평판 형광 램프를 이용한 백라이트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KR20050071742A (ko) 면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40051005A (ko) 외부전극 형광램프 및 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