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739A -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지정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지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739A
KR20050095739A KR1020040021024A KR20040021024A KR20050095739A KR 20050095739 A KR20050095739 A KR 20050095739A KR 1020040021024 A KR1020040021024 A KR 1020040021024A KR 20040021024 A KR20040021024 A KR 20040021024A KR 20050095739 A KR20050095739 A KR 20050095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mobile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1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739A/ko
Priority to CNA2004100915083A priority patent/CN1674661A/zh
Publication of KR2005009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7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으로 촬영한 사진 혹은 동영상을 저장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이름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사진의 이름을 수정하려면 매번 사용자가 편집 기능을 호출하여 이름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불편하게 여겨 기본적으로 부여되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이름으로 영상(사진, 동영상)을 구별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영상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촬영 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대표적인 지역명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저장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자동적으로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 속도 및 편의를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점차 많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메모리의 크기가 증가되는 추세에 비추어 이름을 통한 검색 기능이 부가되는 경우 검색 및 감상을 위한 사용자 편의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STORED IMAGE NAME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내/외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저장할때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촬영지 정보를 얻어 이를 저장되는 영상의 이름으로 사용하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 되면서 보다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 및 보급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능은 화려한 화면의 제공, 대용량 메모리의 적용 그리고 카메라 기능의 적용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카메라 기능은 총 천연색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의 보급과 함께 급속도로 확산되기 시작했는데, 현재에 이르러서는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 카메라가 부착되거나 적어도 외장 카메라를 지원하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게 되었다. 또한, 내장되는 카메라의 해상도 역시 빠르게 개선되어 이미 130만 화소급이 시판되었으며 200만 화소급이 시판을 앞두고 있을 정도로 급속한 기술적 성장을 이루게 되었다.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초기에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단순한 정지 화면 만을 저장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내장된 음성 통화용 마이크와 연동하여 음성/음향이 포함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그 촬영 가능 시간 및 품질은 나날이 개선되고 있다. 이미 1시간 혹은 2시간 정도의 장시간 촬영이 가능한 캠코더 기능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었으며 점차 이러한 동영상 촬영이 일반화 될 예정이다.
따라서,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의 크기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내부 메모리의 증가와 더불어 외부 메모리의 착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백장의 사진과 수~시간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면서 고유한 이름으로 관리되는데, 현재까지는 임의의 이름("사진", "동영상")에 번호를 붙인 것이 저장되는 영상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초기에 부여되는 이름은 사용자에 의해 편집될 수 있다.
도 1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고 이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저장 버튼을 눌러 사진을 저장하면, 자동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지정된 이름인 "사진"에 사진의 번호를 붙인 "사진00", "사진01"..., "사진99"로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편집 기능을 통해 상기 사진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동영상을 촬영한 후 저장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이름("동영상" 등)을 기본으로 저장된 영상에 대한 이름이 자동적으로 부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는 횟수가 많아지는 경우 저장된 사진의 이름을 하나씩 편집하여 다른 이름을 부여하는 것은 키 조작이 어려운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 상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이름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저장할 수 있는 사진의 숫자가 작은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점차 사진의 숫자가 많아져 검색이 필요할 정도가 되는 경우 원하는 사진을 이름으로 검색하기 어렵게 하며, 사진의 종류를 이름으로 구별하기도 어렵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으로 촬영한 사진 혹은 동영상을 저장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이름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사진의 이름을 수정하려면 매번 사용자가 편집 기능을 호출하여 이름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불편하게 여겨 기본적으로 부여되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이름으로 영상(사진, 동영상)을 구별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영상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는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촬영 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대표적인 지역명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저장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자동적으로 부여하도록 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후 소정의 버튼을 눌러 그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대표지역 명칭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대표지역 명칭을 기본으로 하여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접한 복수의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 전력 차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인공위성과 통신하여 자신의 절대 위치를 획득하도록 하여, 얻어진 위치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서비스를 총징하는 것으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적으로 GPS(Global Posirioning System) 칩을 내장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혹은, 이러한 전용 칩이 없는 경우라도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의 대략적인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현재 자신의 위치 및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를 이용한 지도 서비스, 길 안내 서비스, 친구의 위치를 알아내는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제, 도시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기본적인 동작을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사용자가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후, 저장을 위해 "저장" 버튼을 눌러 상기 영상을 저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대표적인 지역명을 획득하고 이를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으로 부여하도록 하는데, 이렇게 지역명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GPS 칩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역명이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기지국에 자신이 위치한 지역의 대표 명칭을 요청하여 기지국이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촬영이 실시된 지역의 대표적인 지역명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그 위치의 대표적인 지역명을 획득하면, 그 지역명을 기본으로 하면서 그 뒷 부분에 저장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번호(동일 지역에서 촬영 및 저장된 순서)를 붙인 저장 이름을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부여한다.
상기 사진이나 동영상의 저장 시점과 이름의 부여 시점은 동일하거나 다룰 수 있다는데 주의한다. 즉,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저장하고 그 이름의 부여를 위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후 이름만 다시 저장할 수 있으며,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해 부여할 이름을 먼저 얻은 후 사진이나 동영상을 해당 이름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주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장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자동적으로 부여할 것인지, 기존의 고정된 명칭("사진",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이름을 부여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경우이다. 이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과금이 필요할 수 있거나 위치 검색 및 대표 지명 추출을 위해 지연시간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된 경우는 사진 혹은 동영상을 촬영한 후 "저장" 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진이나 동영상을 먼저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의 이름을 정하기 전에 이름을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문의하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이름을 이용할 것인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표 지명을 획득한 후 이를 이름으로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혹은, 단순히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만일,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기 지정된 기본 이름을 기반으로 뒷 부분에 번호를 붙인 영상의 이름을 자동 생성하여 이를 저장된 사진 혹은 동영상의 이름으로 사용(이름만 다시 저장)한다.
만일,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시작하여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표적인 지역명을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동일 지역에서 촬영된 다수의 사진이나 동영상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문자(숫자 등)를 부가한 이름을 자동 생성하여 이를 저장된 사진 혹은 동영상의 이름으로 사용(이름만 다시 저장)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 외에도 사진을 저장하기 전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를 문의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카메라 모드 설정을 위한 환경 메뉴에서 저장할 이름을 어떻게 생성할 것인지를 설정하도록 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이름을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지정을 해당 내용을 변경하기 전까지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어린이대공원01", "어린이대공원a", "시청앞01", "서울역04", "노원전철역02", "수유3동05" 등의 보다 구체적인 이름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저장된 동영상이나 사진의 이름만으로도 이들을 관리할 수 있고, 하나씩 슬라이드 방식으로 확인하면서 검색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사진이나 동영상들이 저장되는 경우 이름을 통한 검색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쉽게 원하는 사진/동영상을 찾을 수 있으며, 사진/동영상을 검색하는 시간 역시 크게 줄일 수 있다(기존의 검색 방법은 사진이나 동영상의 대표 사진을 화면상에 표시해야 하므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 전환의 속도가 빠르지 못하다). 또한, 이름으로 검색할 수 있다면 원하는 지역에서 촬영한 사진/동영상들 만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선별된 사진/동영상들 만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확인하면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촬영 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대표적인 지역명을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저장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자동적으로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 속도 및 편의를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점차 많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메모리의 크기가 증가되는 추세에 비추어 이름을 통한 검색 기능이 부가되는 경우 검색 및 감상을 위한 사용자 편의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이름 지정 방법.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름 지정 방법을 보인 개념적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후 소정의 버튼을 눌러 그 내용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대표지역 명칭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대표지역 명칭을 기본으로 하여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저장시키는 단계 이후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부여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이름을 기본으로 상기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자동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름을 부여하는 기능의 사용 유무는 별도의 환경 설정 메뉴에서 지정하며,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의 사용을 금지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이름이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 지정 방법.
KR1020040021024A 2004-03-27 2004-03-27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지정 방법 KR20050095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024A KR20050095739A (ko) 2004-03-27 2004-03-27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지정 방법
CNA2004100915083A CN1674661A (zh) 2004-03-27 2004-11-18 置有内外相机的移动通信终端对其存储影像命名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024A KR20050095739A (ko) 2004-03-27 2004-03-27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지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739A true KR20050095739A (ko) 2005-09-30

Family

ID=3504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024A KR20050095739A (ko) 2004-03-27 2004-03-27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지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95739A (ko)
CN (1) CN167466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15B1 (ko) * 2006-06-01 2008-02-14 (주) 엘지텔레콤 태그기반 사진파일 관리방법
KR20100118887A (ko) * 2009-04-29 2010-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파일 전송 방법
CN102970653A (zh) * 2012-11-13 2013-03-13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户终端拍照方法及用户终端
US9245042B2 (en) 2009-09-10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storing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WO2020171299A1 (ko) * 2019-02-20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115597B2 (en) 2019-02-20 2021-09-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first and second AI agents interworking with a specific application on the mobile terminal to return search resul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2173B (zh) * 2010-03-23 2013-01-1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照片自动命名方法及其装置
CN102231772B (zh) * 2011-05-23 2014-09-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自动记录拍照位置的移动终端
CN103259915A (zh) * 2012-02-20 2013-08-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照片命名方法及移动终端
CN105574167B (zh) * 2015-12-17 2020-01-1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照片自动命名处理方法及系统
CN110753184A (zh) * 2019-10-17 2020-02-04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位置状态的拍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15B1 (ko) * 2006-06-01 2008-02-14 (주) 엘지텔레콤 태그기반 사진파일 관리방법
KR20100118887A (ko) * 2009-04-29 2010-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파일 전송 방법
US9245042B2 (en) 2009-09-10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nd storing contents in portable terminal
CN102970653A (zh) * 2012-11-13 2013-03-13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户终端拍照方法及用户终端
WO2020171299A1 (ko) * 2019-02-20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837377A (zh) * 2019-02-20 2020-10-27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制造方法
US11115597B2 (en) 2019-02-20 2021-09-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first and second AI agents interworking with a specific application on the mobile terminal to return search results
CN111837377B (zh) * 2019-02-20 2023-11-24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4661A (zh)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3016A (zh) 相机系统和基于相机视角的照片分享方法
US8665340B2 (en) Indoor/outdoor scene detection using GPS
US8725712B2 (en) Context based media content presentation
US9013589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obtaining sensibility-based image
JP2006109437A (ja) 移動通信端末機の画像ファイル保存方法及び装置
JP2001292394A (ja) 画像記録の組を強化する方法
CN105516592A (zh) 拍摄方法及装置
KR20050095739A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영상 이름지정 방법
JP5152045B2 (ja) 電話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処理プログラム
KR100774053B1 (ko) 영상 픽업장치, 영상 기록장치, 영상 픽업장치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기록장치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영상 픽업방법 및 영상 기록방법
JP200633855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6098796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110889B (zh) 在输出文件内自动记载文件形成地信息的方法及装置
JP2012084052A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21136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7148832A (ja) 画像保存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60878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경 이미지 다운로드 방법 및 상기 배경 이미지를 이용한 합성사진 촬영 방법
CN102075685A (zh) 数字摄影设备以及控制该数字摄影设备的方法
JP3630104B2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見本画像表示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50082593A (ko) Gps를 이용한 영상데이터 파일명 설정방법 및 장치
JP2007156729A (ja) 検索装置及び検索方法並びに検索装置を有するカメラ
US20110205396A1 (e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reproducing, or storing image file including map data
CN113807995A (zh)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及存储介质
JP2012090190A (ja) 携帯通信端末、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301151B2 (ja) カメラ装置及び撮影シーン登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