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023A -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023A
KR20050094023A KR1020040018090A KR20040018090A KR20050094023A KR 20050094023 A KR20050094023 A KR 20050094023A KR 1020040018090 A KR1020040018090 A KR 1020040018090A KR 20040018090 A KR20040018090 A KR 20040018090A KR 20050094023 A KR20050094023 A KR 20050094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mode
asynchronous
mode switching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860B1 (ko
Inventor
김남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8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04B7/2631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for broadband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원활한 모드전환을 수행하기 위한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이 오버레이되는 지역에서 그 경계에 위치하는 셀을 제외하고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셀의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베이스 ID에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모드전환을 위한 모드전환 파라미터를 설정해서 송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기지국이 송출하는 베이스 ID 정보를 검색하여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으면 비동기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각 영역의 오버레이 지역에서 모드전환시 이동통신단말이 위치이동정도에 따른 핑퐁 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잦은 위치등록에 따른 무선자원의 낭비 및 이동통신단말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Method for Mode Switching Parameter Configuration of Base station Transceiver Station and Switch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원활한 모드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1980년대 후반부터 서비스되기 시작한 아날로그 셀룰러 방식의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에서 제공하는 낮은 품질의 음성 통화 위주의 제 1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제 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디지털 셀룰러 방식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에서 제공하는 향상된 음성 통화 및 저속(14.4 Kbps)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였다. 또한, 제 2.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는 GHz대의 주파수 확보와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가 개발되어 향상된 음성 통화 및 저속(144 Kbps)이지만 데이터 서비스도 가능하게 되었다.
제 2.5세대까지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망에는 사용자 단말기, 기지국 전송기, 기지국 제어기, 이동 교환국,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등의 각종 통신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제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3GPP(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주축이 되어 제안한 비동기 방식의 WCDMA 시스템과 3GPP2가 주축이 되어 제안한 동기 방식의 CDMA-2000 시스템으로 분류되어 제공되고 있다. 특히, WCDMA 시스템은 IMT-2000에서 권고하는 무선 프로토콜로서 전세계적으로 많은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거나 서비스 제공을 준비하고 있다.
WCDMA 시스템은 높은 통화 품질을 가지고, 대역 확산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WCDMA 통신 방식은 음성 코딩을 위해서 12.2Kbps~4.75Kbps의 전송율을 가지는 AMR(Adaptive Multi-Rate codec)을 채택하였고, 사용자가 시속 100 Km 정도의 속도로 움직이더라도 통화가 가능할 정도의 높은 이동성을 지원한다. 또한, WCDMA 통신 방식은 가장 많은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고, 우리나라, 유럽, 일본, 미국, 중국 등의 많은 기관들이 구성한 3GPP에서 WCDMA를 위한 기술 스펙(Spec)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한편, 최근 앞에서 설명한 WCDMA 시스템의 장점들로 인해 동기 이동통신망인 CDMA-2000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우리나라, 미국, 중국 등과 같은 나라에서도 비동기 이동통신망인 WCDMA망을 구축하여 WCDMA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을 모두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이 필요로 하였고 멀티모드-멀티밴드(Multimode-Multiband) 이동통신단말이 등장하였다.
멀티모드는 동기식 모드와 비동기식 모드 등을 포함하고, 멀티밴드는 800 MHz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제 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800MHz 또는 1.8 GHz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제 2.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대략 2 GHz의 주파수 밴드를 이용하는 제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및 향후 서비스될 제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이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오버레이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동기 모드와 비동기모드간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에는 모드전환시 이동통신단말이 오버레이 영역에 진입하면 즉시 모드전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이동정도에 따라 동기이동통신망과 비동기 이동통신망 간의 위치등록이 번갈아 일어나는 핑퐁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잦은 위치등록에 따른 무선자원의 낭비 및 이동통신단말의 전력 소모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핑퐁 현상등에 의한 통신단절을 최소화하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모드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은,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위한 비동기 모뎀부와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동기 모뎀부를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동기-비동기간의 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이 오버레이되는 지역에서 그 경계에 위치하는 셀을 제외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셀의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베이스 ID에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모드전환을 위한 모드전환파라미터를 설정해서 송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기지국이 송출하는 베이스 ID 정보를 검색하여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으면 비동기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통신망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인 WCDMA 망(1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101) 및 상기 무선국(101)을 제어하는 무선국 제어기(이하 'RNC'라 칭함)(102)와, 상기 RNC(102)와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4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서빙 지피알에스 서비스 노드(Serving GPRS Service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103)과, GPRS망(105)을 통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 제어 및 패킷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중계장치인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노드(Gateway GPRS Supporting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10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RNC(102)에는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104)가 접속되고, 상기 MSC(104)는 신호교환을 위한 넘버 세븐 신호망(No.7 신호망)(107)과 접속된다. 상기 넘버 세븐 신호망(107)에는 단문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이하 'SMSC'라 칭함)(108)와,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109)가 접속된다.
한편, 동기 이동통신망인 CDMA2000 망(2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201)과, 상기 BTS(201)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라 칭함)(202)와, 상기 BSC(202)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를 서비스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이하 'PDSN'이라 칭함)(204)와 상기 PDSN(204)에 접속되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수행하는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Data Core Network, 이하 'DCN'이라 칭함)(208)와, 상기 BSC(202)와 접속되어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SC(203)는 신호교환을 위한 넘버 세븐 신호망(No.7 신호망)(205)과 접속된다. 상기 넘버 세븐 신호망(205)에는 단문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이하 'SMSC'라 칭함)(206)와,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207)가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망(200) 및 비동기망(100)은 각각 가입자 정보와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HLR(109 및 207)을 구비하고 있으나, 하나의 HLR(듀얼 스택 홈위치등록기)를 이용하여 동기망(200) 및 비동기망(100)이 가입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식 이동통신과 비동기식 이동통신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프로토콜 스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400)은 크게 나누어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410)와, 동기식 통신을 위한 동기 무선장치(430)와, 비동기식 통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420)와, 동기식 및 비동식 통신시 공통된 자원을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듈(440)을 포함한다.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는 무선송신을 위한 동기 무선송신부(432)와, 무선수신을 위한 동기 무선 수신부(433)와, 동기 모뎀부(434)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무선송신부(432) 및 동기 무선수신부(433)의 일측은 듀플렉서(43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동기 모뎀부(434)와 접속된다.
또한 비동기 무선장치(420) 역시 무선송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송신부(422)와, 무선수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와, 비동기 모뎀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송신부(422) 및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의 일측은 듀플렉서(42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비동기모뎀부(424)와 접속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공통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공통 모듈(440)은,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 및 비동기 무선장치(420)의 각 모뎀부(424 및 434)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이하 'DPRAM'이라 칭함)(441 및 442)과, 상기 DPRAM(441 및 442)과 접속되며 이동통신단말(400)의 동기 및 비동기 통신의 전반적인 제어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443)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443)에는 데이터 저장을위한 메모리(444)와, 주변장치의 접속을 위한 I/O장치(445) 및 전력제어를 위한 전력제어모듈(이하 'PWM'이라 칭함)(446)이 접속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만 통신을 수행하는 비동기 전용모드(WCDMA only), 우선 비동기이동통신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을 벗어나면 동기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모드전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우선모드(WCDMA preferred), 우선 동기이동통신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으로 진입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모드전환을 수행하는 동기 우선모드(CDMA preferred), 동기 전용모드(CDMA only) 중 어느 하나로 통신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은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내에 위치하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이 오버레이되는 지역에서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무선국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BTS가 공존하게 된다.
이때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무선국과 동일 셀에 공존하는 동기 이동통신망의 BTS는 베이스 ID 정보에 모드전환을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BTS의 베이스 ID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모드전환을 위한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동기모드에서 비동기 모드로 전환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모드전환 파라미터는 상기 베이스 ID의 최상위 비트(MSB)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서(본 실시예에서는 최상위 비트로부터 2번째 비트)의 비트에 설정되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이동통신망의 영역이 오버레이된 지역을 알리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그러나, 동기이동통신망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이 오버레이된 지역의 경계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의 위치이동정도에 따라 동기이동통신망과 비동기 이동통신망 간의 위치등록이 번갈아 일어나는 핑퐁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영역이 오버레이되는 지역의 셀에 위치하는 BTS의 베이스 ID에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모드전환을 위한 모드전환 파라미터를 설정하지 않고, 상기 오버레이되는 지역의 셀보다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한 단계 더 진입한 셀 BTS의 상기 베이스 ID에 상기 모드전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즉,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이 오버레이되는 지역에서 그 경계에 위치하는 셀을 제외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셀의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의 BTS의 베이스 ID에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모드전환을 위한 모드전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모드전환을 위한 망 설정이 이루어 진다.
망 설정 후 모드전환 과정을 살펴보면,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통신망의 BTS로부터 전송되는 베이스 ID 정보를 검색한다.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경계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 ID 정보에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베이스 ID에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이미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이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은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비동기모뎀부를 기동한다.
이때 상기 비동기모뎀부를 기동한 상태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으로 진입하면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모뎀부를 통하여 즉시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접속을 하여 모드전환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 영역의 경계지역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셀들에서는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모드전환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경계지역의 가장 가장자리에서 한 단계 내부의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의 셀에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전환을 허용함으로써 전술한 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이동통신망간의 핑퐁현상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망 설정에 따른 모드전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기모드로부터 비동기모드로의 모드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기이동통신망에서 통신을 수행중인 이동통신단말은 동기망 BTS의 베이스 ID 정보를 검색한다(S110). 그리고 단계 S110에서 검색된 베이스 ID 정보에 미리 설정된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20).
단계 S120에서 베이스 ID 정보에 상기 미리 설정된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은 현재 단말모드가 비동기 우선모드(WCDMA preferred) 또는 동기 우선모드(CDMA preferred)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비동기 우선모드는 우선 비동기 망으로 접속하고 비동기망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 동기망 접속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상기 동기 우선모드는 우선 동기 망으로 접속하고 동기망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 또는 동기망에서 WCDMA로의 전환을 알려주는 경우(베이스 ID가 설정되어 있는 오버레이 지역) 비동기망 접속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단계 S130에서 단말모드가 비동기 우선모드 또는 동기 우선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은 비동기 모드로의 전환을 판단하고 비동기 모뎀부를 기동한다(S140). 현재 통신모드인 동기 모드를 비동기 모드로 전환한다(S150).
한편, 단계 S130에서 단말모드가 비동기 우선모드 또는 동기 우선모드가 아니고 동기 전용모드(CDMA only)일 경우에는 모드전환을 수행하지 않고 현재 동기모드를 유지한다(S13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에 의하면, 각 영역의 오버레이 지역에서 모드전환시 이동통신단말이 위치이동정도에 따른 핑퐁 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잦은 위치등록에 따른 무선자원의 낭비 및 이동통신단말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통신망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공통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기모드로부터 비동기모드로의 모드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기모드에서 비동기모드로의 모드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비동기 이동통신망 200:동기 이동통신망
400:이동통신단말 410:안테나
420:비동기 무선장치 430:동기 무선장치
440:공통모듈 443:메인 프로세서

Claims (5)

  1.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위한 비동기 모뎀부와 동기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동기 모뎀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의 동기-비동기간의 모드 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이 오버레이되는 지역에서 그 경계에 위치하는 셀을 제외하고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셀의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베이스 ID에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모드전환을 위한 모드전환 파라미터를 설정해서 송출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기지국이 송출하는 베이스 ID 정보를 검색하여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으면 비동기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되는 지역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셀은 상기 경계에 위치하는 셀과 인접하는 셀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단계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베이스 ID 정보를 검색하는 1단계와, 상기 검색된 베이스 ID 정보에 모드전환을 위해 미리 정해진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2단계와, 상기 2단계에서 모드전환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비동기 모뎀부를 기동하는 3단계와, 상기 비동기 모뎀부기동 후 비동기모드로 전환하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 파라미터는 상기 베이스 ID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서의 비트에 설정되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이동통신망의 영역이 오버레이된 지역을 알리기 위한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통신모드 설정 상태를 판단하는 설정모드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모드 판단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통신모드 설정상태가 비동기 우선모드 또는 동기 우선모드일 경우 상기 동기모뎀부를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1020040018090A 2004-03-17 2004-03-17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10060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090A KR100601860B1 (ko) 2004-03-17 2004-03-17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090A KR100601860B1 (ko) 2004-03-17 2004-03-17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023A true KR20050094023A (ko) 2005-09-26
KR100601860B1 KR100601860B1 (ko) 2006-07-19

Family

ID=3727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090A KR100601860B1 (ko) 2004-03-17 2004-03-17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8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69B1 (ko) * 2005-06-1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0655739B1 (ko) * 2005-12-09 2006-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모드 조회 및변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336B1 (ko) * 2004-03-04 2011-06-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69B1 (ko) * 2005-06-17 2006-09-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0655739B1 (ko) * 2005-12-09 2006-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모드 조회 및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860B1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1548B2 (ja) マルチモード−マルチバンド移動通信端末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CN110784896B (zh) 增强通信装置移动性的方法及通信装置
JP4747173B2 (ja) 移動通信環境におけるマルチモード−マルチバンド端末機のターゲットセル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077487B1 (ko)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 타겟 셀을 이용한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6835A (ko) 더미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접속망에서 부호 분할 다중 접속망으로 핸드오버하는 방법및 시스템
CN1981458B (zh) 多模式多频带移动通信终端及其模式切换方法
WO2005065135A2 (en) Cell selection on transitioning from dedicated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7826423B2 (en)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2685B1 (ko)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 및 모드 전환방법
KR100601860B1 (ko) 기지국의 모드 스위칭 파라미터 설정 및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100681898B1 (ko)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이동 통신 단말의 동기-비동기 간 모드 전환 방법
KR100746047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718008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KR101077481B1 (ko) Wcdma 모드와 cdma 모드에서 동시에 mm-mb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그를 위한 mm-mb 단말기
KR101052687B1 (ko)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20060116454A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1076731B1 (ko)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비동기 간모드전환 방법
KR101101041B1 (ko)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동기-비동기 간 모드전환 방법
KR101140149B1 (ko) 이동 통신 환경에서 멀티모드-멀티밴드 단말기의 핸드오버방법 및 시스템
KR100612683B1 (ko)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KR20060060784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핸드오버 방법
KR20050109115A (ko)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이동 통신 단말의비동기-동기 간 모드 전환 방법
KR10072441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셀 탐색 방법
KR20060013012A (ko) Cdma 우선 모드로 동작하는 mm-mb 단말기에서wcdma 모드로 전환시 호 접속 시간을 줄이는 방법 및그를 위한 mm-mb 단말기
KR20060032700A (ko) 멀티 모드 지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오버에 따른통신망 접속 변환 방법 및 단말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