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711A -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 Google Patents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711A
KR20050093711A KR1020050004096A KR20050004096A KR20050093711A KR 20050093711 A KR20050093711 A KR 20050093711A KR 1020050004096 A KR1020050004096 A KR 1020050004096A KR 20050004096 A KR20050004096 A KR 20050004096A KR 20050093711 A KR20050093711 A KR 2005009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haped member
rehabilitation
spac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미야마타카오
카네타코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9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711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상부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 1 웨지-형 부재 위에 하부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제 2 웨지-형 부재를 겹침으로써 스페이서가 구성된다. 이 스페이서는 기설관의 내부 벽면과 갱생관의 외주 사이의 갭 내에 삽입된다.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를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할때, 삽입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의 경사면에 걸림 이들(latching teeth)이 형성된다. 제 2 웨지-형 부재를 각각의 걸림 위치로 이동시킬때,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는 순차적으로 미세한 피치로 단계적으로 증가되므로,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The spacer is constructed by overlapping a second wedge-shaped member with an inclined bottom surface at an angle over a first wedge-shaped member with an upper surface inclined at an angle. This spacer is inserted in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existing tub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generation tube. When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s urged to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they are caught on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so that they cannot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latching teeth are formed. When moving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to each locking position, the overall height of the spacer is sequentially increased step by step at a fine pitch, so that the adjustment of the rehabilitation pipe relative to the existing pipe can be performed simply.

Description

갱생관의 위치 조정 스페이서 및 이 스페이서를 사용한 갱생관의 위치 조정 방법{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본 발명은 갱생관(rehabilitating pipe)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기설관(exiting pipe)과 갱생관 사이의 갭 내에 삽입된 스페이서 및 이와 같은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inserted in a gap between an exiting pipe and a rehabilitation pip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and a method for adjusting the location of the rehabilitation pipe using such a spacer.

갱생관이 기설관 내부에 부설되고 갱생관의 외주와 기설관의 내부 벽면 사이의 갭을 충전재로 충전하고 나서, 상기 충전재를 경화시킴으로써 복합관(compound pipe)이 구성되는 하수관과 같은 기설관을 갱생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기설관 갱생 공사에는, 통상적으로 기설관 내부의 상하 좌우 방향에서의 갱생관의 위치를 그 외주의 하단부가 기설관 바닥에 접촉하도록 기설관과 동심인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조금 벗어난 위치로 조정함으로써 갱생관을 고정할 필요가 있다.The rehabilitation pipe is placed inside the existing pipe and fills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habilitation pipe and the inner wall of the existing pipe with filler, and then hardens the filler to rebuild the existing pipe, such as a sewer pipe, in which a compound pipe is formed. Methods are known. In this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work, the rehabilitation pipe is normally rebuil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pipe in the up-and-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side the existing pipe to a position slightly off from the position concentric with the existing pip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contacts the bottom of the existing pipe. It is necessary to fix the pipe.

이것은 갱생관의 바닥을 가능한한 기설관 바닥에 접근하도록 갱생관의 바닥을 낮춤으로써 기설관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기설관에 대한 손상의 대부분이 그 상측부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측에 충전재를 두텁게 해서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갱생관이 충전재보다 낮은 비중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게 않게 충전재 위로 뜨기 때문에, 갱생관을 아래로 가압하기 위해서 상술된 위치 조정이 필요하다.This is to ensure fluid flow inside the existing pipe by lowering the bottom of the pipe so that the bottom of the pipe is close to the bottom of the existing pipe as much as possible. Since most of the damage to the existing pipe occurs in the upper part, It is to thicken a filler and to strengthen strength.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generation tube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the filler, it preferably floats over the filler, so that the above-described position adjustment is necessary to press the regeneration tube downward.

종래에는, 이러한 갱생관의 위치는 필요한 높이(두께)로 제조된 정사각형 부재가 스페이서로서 갱생관 외주와 기설관 내부 벽면 사이의 갭 내에 삽입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조정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86742호는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볼트가 갱생관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과 그 역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도록 갱생관을 구성하는 블럭(세그먼트)에 나사결합되며, 볼트가 갱생관 외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나사결합되는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Conventionally, the position of these rehabilitation pipes is adjusted using a method in which a square member manufactured to the required height (thickness) is inserted as a spacer in the gap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rehabilitation pipe and the inner wall of the existing pipe. 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286742 is screwed to a block (segment) constituting the rehabilitation pipe so that the bolt constituting the spacer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habilitation pipe and in the reverse direction. Disclosed is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screwed joint to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protruding from the outer tube.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페이서로서 정사각형 부재를 사용하는 상술된 방법에서는, 갱생관 외주와 기설관 내벽 사이의 갭의 치수에 따른 높이 치수를 갖는 몇 가지 형태의 정사각형 부재를 준비해야만 한다. 또한, 상술된 볼트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의 경우에, 갱생관을 구성하는 블럭 내로 볼트용 나사 구멍이 제작되어야만 하며, 더구나 후공정에서 그 나사 구멍을 메우는 것이 필요하다. 어떻든 간에,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힘이 들고, 그 위치 조정이 간단히 그리고 단시간에 수행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Nevertheless,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using a square member as a spacer, several types of square members have to be prepared having height dimensions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the gap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rehabilitation tube and the inner wall of the existing pip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pacer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bolt, a screw hole for the bolt must be made into the block constituting the rehabilitation pipe,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fill the screw hole in a later step. In any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tube was difficult, and that the positioning could not be performed simply and in a short tim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관 갱생 공사 동안 기설관 내부에 갱생관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위치 조정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와같은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위치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itioning spacer capable of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on pipe inside an existing pipe during an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work, and to provide a position adjustment method using such a spacer.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의 갭에 삽입되어 상기 기설관에 대하여 상기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며,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 1 웨지-형 부재;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며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경사진 각도면을 정렬하여 겹쳐지는 제 2 웨지-형 부재; 및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를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하여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다수의 걸림 위치에서 거는 걸림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는 걸림 위치중 하나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edge-shaped member inserted into a gap between the existing tube and the regenerating tub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generating tube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tube,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second wedge-shaped member inclined at an angle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and overlapping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by aligning an inclined angle surface; And locking means for hanging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n a plurality of locking positions so that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s movable relative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and cannot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s sequentially moved to one of the locking positions to increase the overall height of the upper spacer in steps.

본 발명에 따른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를 구비하는 스페이서를 사용한다. 전체 스페이서는 우선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가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와 겹치는 상태로 상기 기설관과 상기 갱생관 사이의 갭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는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해 이동하게 되어서,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기설관에 대해 상기 갱생관의 위치 조정을 위한 소망 높이로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pacer having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The entire spac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existing tube and the rehabilitation tube with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overlapping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Then,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s press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to move relative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so that the entire height of the spacer is sequentially adjusted for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tube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tube. It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step by step.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절차를 사용하여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를 소망 높이로 증가시킴으로서 위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2 웨지-형 부재는 단지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하여 삽입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이로 인해, 위치 조정이 단시간 주기 동안 매우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기설관 갱생 공사시, 갱생관의 위치를 기설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조정하는데 이상적이고, 이와같은 위치 조정이 간단하고 단시간 주기에 수행되며, 후공정에서 임의의 특정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존재하지 않는다. 더구나, 스페이서가 단지 두 가지 형태의 부재, 즉,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position adjustment by increas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spacer to the desired height using a very simple procedure. That is,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moves only in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Due to this, the position adjustment can be performed very simp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during rehabilitation of existing pipes, it is ideal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rehabilitation pip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pipes. Such positioning is simple and is performed in a short time period,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any specific procedure in the post-process. does not exist. Moreover, since the spacer consists of only two types of members, namely,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it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at low cost.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과 특성 및 다양한 장점은 첨부 도면과 다음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feature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기설관 갱생 공사에서 하수관과 같은 기설관 내부에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관한 실시예가 이하에 서술될 것이다. 기설관 및 갱생관 둘 모두가 이 실시예에서 원통관으로서 서술될지라도, 본 발명은 또한 관 길이 방향에 직교인 프로스펙티브 관(prospective pipe)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인 경우에서도 위치 조정에 적용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또한 갱생관의 단면 형상이 문자관(literal pipe)과 같이 폐쇄-형이 아니라, 오히려 한 측면상에서 개방형, 예를 들어, 편자형 또는 반원형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Embodiments relating to adjusting the position of rehabilitation pipes in existing pipes, such as sewer pipes, in the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work will be described below. Although both existing and rehabilitation tubes are described as cylindrical tubes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prospective pipe orthogonal to the tube length direction is non-circular, for example rectangular. It is also applicable to position adjust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habilitation tube is not closed-like, such as a literal pipe, but rather is open on one side, for example horseshoe or semicircular.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기설관 갱생 공사에서, 외경이 하수관과 같은 기설관(4)의 내경이 조금 작은 갱생관(3)이 기설관(4) 내부에 부설된다. 그 부설은 다수의 세그먼트(1)를 둘레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고리-형 관 유닛(2)을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수행된다.As shown in Fig. 11 and Fig. 12, in the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work of the embodiment, a rehabilitation pipe 3 having a smaller inner diameter of the existing pipe 4, such as a sewage pipe, with an outer diameter is placed inside the existing pipe 4. The laying is carried out by sequentially joining the ring-shaped tubular units 2 formed by joining the plurality of segments 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은 이 세그먼트(1)의 전체 상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C)방향에서 본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이다. 도 4는 세그먼트(1)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1 shows the entire top surface of this segment 1. FIG. 2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arrow C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shows the lower surface of the segment 1.

세그먼트(1)는 관 유닛(2)의 둘레 방향의 복수 등분, 예를 들면 5등분중 하나에 대응하고, 투명 플라스틱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세그먼트(1)는 소정 폭을 가지며 소정 각도, 예를 들어, 72도로 아크형으로 구부러진 내부 판(101); 아크의 양측 에지를 따라 외부를 향해 입설된 측판(102 및 103); 아크의 양단부 에지를 따라 외부를 향해 입설된 단부 판(104 및 105); 및 내부 판(1) 상에서 외부를 향하여 각각 입설된 높은 후면을 갖는 보강판(106)과 낮은 후면을 갖는 보강판(107) 각각 두 개를 포함한다.The segment 1 corresponds to one of a plurality of equal parts, for example five equal par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unit 2, and is formed integrally from the transparent plastic. Segment 1 has an inner plate 101 which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bent in an arc, for example at an angle of 72 degrees; Side plates 102 and 103 set outwardly along both edges of the arc; End plates 104 and 105 set outwardly along both end edges of the arc; And two reinforcing plates 106 each having a high rear surface and a reinforcing plate 107 having a low rear surface, each of which is recessed outwardly on the inner plate 1.

두 개의 개구(101a)가 내부 판(101)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이것은 세그먼트(1)를 결합 볼트(6)(도 8 및 도 9 참조)와 상호 고정시키는 공사를 내부측에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Two openings 101a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plate 101. This is to carry out the work of internally fixing the segment 1 with the coupling bolt 6 (see FIGS. 8 and 9).

다수(여기서는 14개)의 볼트 통과공(bolt through hole)(102a 및 103a)이 상술된 아크의 둘레 방향에서 소정 간격으로 측판(102 및 103) 내에 각각 형성된다. 그 직경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유닛(2)을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볼트(9)의 헤드 또는 너트(10)의 직경보다 조금 작다.Multiple (14 here) bolt through holes 102a and 103a are formed in the side plates 102 and 103, respective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rc described above. Its diamete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r nut 10 of the bolt 9 for mutually coupling the tube units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세그먼트(1)를 기설관의 둘레 방향으로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결합 볼트(6)(도8 및 도9 참조)를 삽입하기 위하여, 볼트 통과공(104a 및 105a)이 각각의 단부 판(104 및 105) 내에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형 그루브(104c)가 단부 판(104)의 외측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상측에 그루브 및 하측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감합부(mating part)(104d)가 그 하단부에 폭 방향으로 확장하여 형성된다. 또한, 그루브(104c) 및 감합부(104d)의 반대 형태를 각각 갖는 돌출부(105c)와 감합부(105d)가 단부 판(105)의 외측면상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다.In order to insert the joining bolts 6 (see FIGS. 8 and 9) for mutually joining the segments 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isting pipe, the bolt through holes 104a and 105a are respectively end plates 104 and 105. Is formed withi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 V-shaped groove 104c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plate 104; A mating part 104d including a groove on the upper side and a protrusion on the lower side thereof is forme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lower end thereof. Further, protrusions 105c and fitting portions 105d having opposite shapes of grooves 104c and fitting portions 104d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end plate 105, respectively.

보강판(106 및107)은 전체 세그먼트(1)의 기계적인 강도를 보강하며, 여기서는, 관 유닛(2)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9)(도10참조)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 통과공(106a)과 노치부(notched part)(107a)를 자기들의 위치가 측판(102 및 103)의 볼트 통과공(102a 및 103a)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볼트 통과공(106a)의 직경은 볼트(9)의 축부분의 직경보다 단지 조금 크지만, 볼트(9)의 헤드의 직경 또는 너트(10)의 직경보다 작다.The reinforcement plates 106 and 107 reinforc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entire segment 1, where a number of bolt through holes for inserting bolts 9 (see FIG. 10) for joining the tubing unit 2 are shown. 106a and notched parts 107a are formed such that their positions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bolt through holes 102a and 103a of the side plates 102 and 103, respectively. The diameter of the bolt through hole 106a is only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haft portion of the bolt 9, bu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of the bolt 9 or the diameter of the nut 10.

또한, 측판(102 및 103)의 내부면 및 보강판(106 및 107)의 양측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판(102 및 103)의 내부면과 보강판(106 및 107)의 양측면(보강판(107)중 하나의 단지 일 측면) 상에 다수의 측방으로 돌출한 작은 돌출판(102b, 103b, 106b 및 107b)은 인접한 볼트 통과공(102a, 103a, 106a) 및 노치부(107a)의 사이의 위치에서 각각 교대하도록 형성된다. 도 5(도 1의 화살표(D) 방향의 보조도) 및 도 6(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들은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그 베이스가 내부판(101)에 연속하고 있다. 이것들은 기설관(4), 갱생관(3) 및 충전재로 구성되는 복합관을 강화하기 위하여 레바(rebar)(도시되지 않음)가 기설관(4)의 내부 벽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원형으로 부설되는 경우에 레바를 피하기 위하여 이와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plates 102 and 103 and both sides of the reinforcement plates 106 and 107,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plates 102 and 103 and both sides of the reinforcement plates 106 and 107 (reinforcement plates) A plurality of laterally projecting small protrusions 102b, 103b, 106b and 107b on only one side of one of the 107 are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bolt through holes 102a, 103a, 106a and the notch 107a. It is formed to alternate each at the position of. As shown in Fig. 5 (secondary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in Fig. 1) and Fig. 6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they are formed in a right triangle so that the base is formed of the inner plate 101. In succession. These are provided with a rebar (not show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existing pipe 4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reinforce the composite pipe consisting of the existing pipe 4, the regeneration pipe 3 and the filler material. In this case, it is formed in such a shape to avoid the lever.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판(101)의 측 에지를 따라서 그리고 그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상부측은 그루브이고 하부측은 돌출부인 감합부(102c)가 측판(102)의 외측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감합부(102c)의 반대 형상을 갖는 감합부(103c)는 측판(103)의 외측면의 하단부에 형성된다.6, along the side edges of the inner plate 101 and across its entire length, there is a fitting portion 102c of which the upper side is a groove and the lower side is a projec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side plate 102. Formed at the bottom; The fitting portion 103c having the opposite shape of the fitting portion 102c is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03.

상기 구조로 구성되는 세그먼트(1)를 사용하는 기설관 갱생 공사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가 우선 기설관(4)에 연통하는 맨홀(5) 내로 반입되지만, 그 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유닛(2)의 결합 볼트(9)가 세그먼트(1)에 고정된다.In the existing tube rehabilitation construction using the segment 1 constituted of the above structure, as shown in FIG. 11, the segment 1 is first brought into the manhole 5 communicating with the existing tube 4, but before As shown in FIG. 10, the fastening bolt 9 of the pipe unit 2 is fixed to the segment 1.

볼트(9)를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9)가 우선 세그먼트(1)의 측판(102 및 103)중 하나, 예를 들면, 측판(102)의 볼트 통과공(102a)에서 삽입되고, 보강판(106 및 107)의 볼트 통과공(106a), 노치부(107a) 및 측판(103)의 볼트 통과공(103a)을 통과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볼트(9)의 헤드가 측판(102) 측의 보강판(106)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더구나, 볼트(9)는 측판(103)에서 외부로 돌출하는 볼트(9)의 선단측에서 너트(10)를 나사결합시키고, 측판(102) 측의 보강판(106)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너트(10)를 조이고, 원통-형 위치결정 부재(19)를 볼트(9)의 선단측에서 삽입시켜, 측판(103) 측상의 보강판(106)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고정된다. 위치결정 부재(19)는 볼트(9)를 볼트 통과공(103a)과 동심에 위치 결정하며 후술된 바와 같이, 결합된 관 유닛(2)의 볼트 통과공(102a 및 103a)의 위치를 상호 정렬시킨다. To fix the bolt 9, the bolt 9 is first inserted in one of the side plates 102 and 103 of the segment 1, for example in the bolt through hole 102a of the side plate 102, and the reinforcing plate It is inserted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 106a of the 106 and 107, the notch part 107a, and the bolt through hole 103a of the side plate 103. Then, the head of the bolt 9 is inserted to the position which contacts the reinforcement board 106 of the side plate 102 side. Moreover, the bolt 9 screws the nut 10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bolt 9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plate 103, and the nut to a position contacting the reinforcing plate 106 on the side plate 102 side. (10) is tightened and fixed by inserting the cylindrical-shaped positioning member 19 at the tip side of the bolt 9 to the position contacting the reinforcing plate 106 on the side plate 103 side. The positioning member 19 positions the bolt 9 concentrically with the bolt through hole 103a and mutually aligns the positions of the bolt through holes 102a and 103a of the combined pipe unit 2 as described below. Let's do it.

더구나, 고정되는 볼트(9)의 수는 볼트 통과공(102a) 등의 수의 반보다 적고, 볼트(9)는 각 볼트 통과공 또는 모든 다수의 볼트 통과공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볼트(9)의 길이는 고정된 볼트(9)의 측판(103)에서 돌출한 부분의 길이가 세그먼트(1)의 폭[측판(102)의 외측면에서 측판(103)의 외측면까지]보다 조금 더 작도록 설정된다.Moreover, the number of bolts 9 to be fixed is less than half of the number of bolt through holes 102a and the like, and the bolts 9 are fixed to each bolt through hole or to all the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The length of the bolt 9 is such that the length of th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plate 103 of the fixed bolt 9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egment 1 (from the outer side of the side plate 102 to the outer side of the side plate 103). Slightly smaller than].

그러므로, 볼트(9)가 고정된 다수의 세그먼트(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도 7 좌측의 세그먼트(1)의 단부 판(105)의 돌출부(105c)와 감합부(105d)가 우선 그 우측의 세그먼트(1)의 단부 판(104)의 그루브(104c)와 감합부(104d)에 감합되므로, 단부 판(104 및 105)을 상호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세그먼트(1 및 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6)를 우측 세그먼트(1)의 내부판(101)의 개구(10la)에서 단부 판(104 및 105)의 볼트 통과공(104a 및 105a)을 통과하여 삽입하고, 좌측의 세그먼트(1)의 개구(10la)에서 너트(7)를 삽입하고, 이를 볼트(6)에 나사결합시켜 단부 판(105)에 조임으로써 상호 결합된다. 결합 이후에, 개구(1Ola)를 메우는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개구(101a)에 끼워 맞춰져서 예를 들어, 결합 메커니즘(engaging mechanism)(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함으로써 고정된다.Therefore, the plurality of segments 1 to which the bolts 9 are fixed are enga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7 to 9. For this purpose, the projection 105c and the fitting portion 105d of the end plate 105 of the segment 1 on the left side of FIG. 7 are first wound with the groove 104c of the end plate 104 of the segment 1 on the right side. Since it fits into the engaging part 104d, the end plates 104 and 105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Next, the segments 1 and 1 are connected to the end plates 104 and 105 at the openings 10la of the inner plate 101 of the right segment 1, as shown in FIGS. 8 and 9. Insert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s 104a and 105a of the screw, insert the nut 7 from the opening 10la of the segment 1 on the left side, and screw it to the bolt 6 to the end plate 105. They are joined together by tightening. After joining, a cover (not shown) filling the opening 10la is fitted in the opening 101a and fixed, for example, by contact with an engagement mechanism (not shown).

그러므로, 다수의 세그먼트(1)가 둘레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므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유닛(2)을 조립한다. 더구나, 순차적으로 조립된 관 유닛(2)이 기설관(4) 내부의 갱생 위치까지 반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므로, 갱생관(3)을 조립하여 부설한다. Therefore, since the plurality of segments 1 are sequentially joi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the tubing unit 2 is assembled. Moreover, the pipe unit 2 assembled in sequence is carried to the regeneration position inside the existing pipe 4, and is sequentially jo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egeneration pipe 3 is assembled and laid.

도 10은 관 유닛(2)이 볼트(9)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좌측 관 유닛(2)을 우측 관 유닛(2)에 결합하기 위하여, 우측 관 유닛(2)의 세그먼트(1)의 측판(103)에서 돌출한 볼트(9)는 우선 좌측 관 유닛(2)의 세그먼트(1)의 볼트(9)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측판(102)을 통과하여 삽입된다. 볼트(9)는 보강판(106 및 107)의 볼트 통과공(102a 및 106a)을 통과하고 노치부(107a)를 통과하여 삽입되어 위치결정 부재(19)가 볼트 통과공(102a) 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좌측 관 유닛(2)의 세그먼트(1)의 측판(102)이 우측 관 유닛(2)의 세그먼트(1)의 측판(103)에 대해 가압된다. 이 상황에서, 도6에 도시된 감합부(102c)는 감합부(103c)에 감합됨으로써, 측판(102 및 103)을 밀착시킨다. 우측 관 유닛(2)의 세그먼트(1)에서 돌출한 볼트(9)의 선단부는 좌측 관 유닛(2)의 세그먼트(1)의 측판(103)의 내측 부근에 도달한다. 그리고 나서, 좌측 관 유닛(2)은 볼트 통과공103a)에서 볼트(9)의 선단부로 너트(10)를 나사결합하고 이를 측판(103)에 인접한 보강판(106)에 고정함으로써 우측 관 유닛(2)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그러므로, 도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유닛(2)은 갱생관(3)을 기설관(4) 내에 부설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순차 결합된다.10 shows the shape in which the tube units 2 are joined together by bolts 9. In order to join the left tube unit 2 to the right tube unit 2, the bolt 9 protruding from the side plate 103 of the segment 1 of the right tube unit 2 is first of The bolt 9 of the segment 1 is inserted through the side plate 102 of the part which is not fixed. The bolt 9 is inserted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s 102a and 106a of the reinforcing plates 106 and 107 and through the notch 107a so that the positioning member 19 is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 hole 102a. . Then, the side plate 102 of the segment 1 of the left tube unit 2 is pressed against the side plate 103 of the segment 1 of the right tube unit 2. In this situation, the fitting portion 102c shown in Fig. 6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03c, thereby bringing the side plates 102 and 103 into close contact. The tip end of the bolt 9 protruding from the segment 1 of the right tube unit 2 reaches the inner vicinity of the side plate 103 of the segment 1 of the left tube unit 2. Then, the left side tube unit 2 screwes the nut 10 from the bolt through hole 103a to the tip of the bolt 9 and fixes it to the reinforcement plate 106 adjacent to the side plate 103. 2) is fixed and combined. Therefore, as shown in Figs. 11 to 12, the pipe unit 2 is sequentially jo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laying the regeneration pipe 3 in the existing pipe 4.

부설된 갱생관(3)은 상술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며 낮은 비중을 가지므로, 충전재 위에 뜨게 된다. 그러므로, 갱생관(3)을 아래로 가압하여, 갱생관 외주의 하단부가 기설관(4)의 바닥에 접하도록 갱생관의 위치를 기설관(4)과 동심인 위치에서 조금 아래로 벗어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The laid reinforcement tube 3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has a low specific gravity, as described above, and thus floats on the filler. Therefore, by pressing down the reinforcement pipe 3, the position of the reinforcement pipe is adjust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reinforcement pipe outer periphery contacts the bottom of the existing pipe 4 so as to deviate a little downward from the position concentric with the existing pipe 4. There is a need.

결과적으로, 갱생관(3)이 소정 길이(예를 들어, 대략 1 m)로 조립될 때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3)를 기설관(4)의 내부 벽면과 갱생관(3)의 상부측 외주 사이의 다수의 위치에 삽입함으로써 위치 조정이 수행된다.As a result, each time the rehabilitation tube 3 is assembl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approximately 1 m), as shown in FIG. 13, the spacer 13 is replaced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isting tube 4 and the regeneration tube. Position adjustment is performed by inserting in multiple positions betwee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3).

스페이서(13)는 상면측이 도 14에 도시되는 제 1 웨지-형 부재(14), 및 하면측이 도 15에 도시되는 제 2 웨지-형 부재(15)를 포함한다. 양 부재(14 및 15)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겹치도록 구성된다. 더구나, 스페이서의 높이가 불충분한 경우, 이것은 상면측이 도 16에 도시된 상승 부재(16)를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아래에서 겹치도록 구성된다. 도 14 내지 도 16, 도 19 및 도 21의 화살표(A)는 스페이서 삽입 방향을 나타내며, 스페이서(13)는 갱생관(3)의 외주와 기설관(4)의 내부 벽면 사이에서 방향(A)으로 삽입된다. 더구나, 이러한 부재들(14, 15 및 16)은 플라스틱 성형 제품 또는 금속 성형 제품으로 형성된다.The spacer 13 includes a first wedge-shaped member 14 whose upper side is shown in FIG. 14, and a second wedge-shaped member 15 whose lower side is shown in FIG. 15. Both members 14 and 15 are configured to overlap vertically, as shown in FIGS. 17 and 18. Moreover, when the height of the spacer is insufficien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pper surface side overlaps the lifting member 16 shown in FIG. 16 below, as shown in FIGS. 20 and 21. Arrows A of FIGS. 14 to 16, 19 and 21 indicate the spacer insertion direction, and the spacer 13 is the direction A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generation tube 3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isting tube 4. Is inserted. Moreover, these members 14, 15 and 16 are formed of plastic molded articles or metal molded articles.

도 14에 도시된 제 1 웨지-형 부재(14)의 전체의 외형은 실질적으로 웨지-형이며, 예를 들어, 상부면이 스페이서 삽입 방향(A)의 가까운 측에서 낮고 먼 측에서 높아지도록 10도보다 조금 적은 완만한 소정 각도로 경사진다. 제 1 웨지형 부재(14)는 중앙부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는 소정폭의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14a)를 가지며 그 하부면에서는 다수의 이(tooth) (14b)가 경사진 방향에 따라 톱니형으로 예를 들어, 대략 수 mm의 짧은 소정 피치로 형성된다. 이(14b)의 단면형상은 삼각형이고, 웨지-형 부재(14)의 삽입 방향의 먼 측에 형성된 삼각형 측면은 삽입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가까운 측 상에 형성된 삼각형 측면은 경사져 있다(도 17 및 도 18 참조).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14 shown in FIG. 14 is substantially wedge-shaped, for example 10 so that the top surface is high on the low and far side near the spacer insertion direction A. FIG. Inclined at a gentle angle slightly less than degrees.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14 has a guide groove 14a of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portion, and at its lower surface a plurality of teeth 14b are serrate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short predetermined pitch of approximately several mm.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ooth 14b is triangular, and the triangular side face formed on the far side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wedge-shaped member 14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the triangular side face formed on the close side is inclined (FIG. 17). And FIG. 18).

또한, 웨지-형 부재(14)는 가이드 그루브(14a)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선형으로 확장된 두 개의 긴 홀(14c)을 가지며, 하단부에서는 중심부에 노치(14f)가 형성된 두 개의 발(feet)(14d 및 14e)을 갖는다[발(14e)의 노치는 도시되지 않음].In addition, the wedge-shaped member 14 has two long holes 14c extending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14a, and at the lower end, two feet having a notch 14f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14d and 14e (notches of foot 14e not shown).

하면측이 도 15에 도시된 제 2 웨지-형 부재(15)의 전체 외형은 실질적으로 제 1 웨지-형 부재(14)와 길이와 폭이 동일한 웨지-형이다. 하부면은 제 1 웨지-형 부재(14)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웨지-형 부재(15)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스페이서 삽입 방향의 가까운 측이 낮고 먼 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다. 그러나, 웨지-형 부재(15)는 도 15에서 하부면이 드러나도록 상부측이 아래로 도시되어, 방향이 도 15에서 반전되어 도시된다.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15 shown on the lower side in FIG. 15 is substantially wedge-shaped with the same length and width as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14. The lower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at an angle substantially equ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14, and is inclined so that the near side in the spacer insertion direction is low and the far side is high. Lose. However,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shown with the top side down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exposed in FIG. 15, with the direction reversed in FIG. 15.

웨지-형 부재(15)는 중심부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선형으로 확장되며, 제 1 웨지-형 부재(14)의 이(14b)의 피치에 정수배로 큰 피치(예를 들어, 대략 10 내지 20 mm)로 다수의 이(15b)가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5a)를 갖는다. 각각의 이(15b)의 단면 형상은 각각의 이(14b)에 대응한 삼각형이지만, 방향은 반대이다. 웨지-형 부재(15)의 삽입 방향의 먼 측에 형성된 삼각형 측은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가까운 측에 형성된 삼각형 측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더구나, 돌출부(15a)의 폭은 제 1 웨지-형 부재(14)의 가이드 그루브(14a)의 폭보다 조금 적다. 또한, 돌출부(15a)의 높이(돌출량)는 가이드 그루브(14a)의 깊이에 대응한다.The wedge-shaped member 15 extends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and has a pitch that is an integral multiple of the pitch of the teeth 14b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14 (eg, approximately 10-20 mm). As a result, a plurality of teeth 15b have protrusions 15a formed there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tooth 15b is a triangle corresponding to each tooth 14b, but the direction is reversed. The triangular side formed on the far side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the triangular side formed on the near side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Moreover,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5a is slightly less than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14a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14. In addition, the height (protrusion amount) of the protrusion 15a corresponds to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14a.

또한, 웨지-형 부재(15)의 하면에는, 두 개의 짧은 원통형 돌기(15c)가 돌출부(15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긴 홀(15d 및 15e)이 이 돌기(15c)의 전후에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다. 또한, 웨지-형 부재(15)는 그 선단부(15f)에서 원형이 된다.Fur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two short cylindrical protrusions 15c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5a, respectively. The long holes 15d and 15e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this projection 15c. Further,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circular at its tip portion 15f.

도 16에 도시된 부피 상승 부재(16)의 전체 외형은 웨지-형 부재(14 및 15)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이며, 그 상부면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이다. 더구나, 길이 방향은 폭 방향에 대칭이며, 길이 방향중 하나는 스페이서 삽입 방향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소정 높이(H3)(도 20 참조)를 갖는 벽(16g)이 길이 방향에 따라 상승 부재(16)의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큰 직사각형 홀(16a)이 길이 방향으로 확장하여 상승 부재(16)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그 사이에 격벽(partition wall)(16b)이 양측의 벽(16g)과 동일한 높이(H3)로 형성된다. 또한, 길이 방향의 상부면의 양단부에서는, 폭방향의 양측에 단차부(step)(16c)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돌출부(16d)가 형성된다. 또한, 상승 부재(16)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하단부에 발(16e)이 형성되며, 그 폭방향의 중앙부에 노치부(16f)가 형성된다.The overall contour of the volume raising member 16 shown in FIG. 16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having the same length and width as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reov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ymmetrical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s may serve as the spacer insertion direction. Walls 16g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3 (see FIG. 2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member 1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wo large rectangular holes 16a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16, with partition walls 16b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walls 16g on both sides ( H3). 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teps 16c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protrusions 16d are formed therebetween. Moreover, the foot 16e is form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sing member 16, and the notch part 16f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스페이서가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14 및 15)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 2 웨지-형 부재(15)의 돌출부(15a)는 제 1 웨지-형 부재(14)의 가이드 그루브(14a)에 끼워 맞춰지고, 각각의 돌기(15c)는 각각의 긴 홀(14c) 내로 삽입되며,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형 부재(15)의 하부면이 웨지-형 부재(14)의 상부면에 겹쳐진다. 돌출부(15a)는 길이 방향으로 그루브(1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이 끼워 맞춤에 의해, 웨지-형 부재(14 및 15)는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폭 방향에서 그들의 위치가 또한 정렬됨으로써, 웨지-형 부재(15)가 폭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If the spacer comprises only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the protrusion 15a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15 is the guide groove 14a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14. ), Each projection 15c is inserted into each elongated hole 14c, and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low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a wedge-shaped member. Overlap on the upper surface of (14). The protruding portion 15a is slidably fitted to the groove 14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is fitting,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ir posi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re also aligned, thereby preventing the wedge-shaped members 15 from slipping or falling in the width direction. .

웨지-형 부재(14)와 웨지-형 부재(15)가 이와같은 방식으로 상호 겹쳐지는 경우, 이(15b)는 웨지-형 부재(14)의 다수의 이(14b)중 어느 하나와 각각 결합된다. 그러나, 도 18b의 화살표(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형 부재(15)가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호 결합되는 이(14b 및 15b)의 형상으로 인하여, 이(15b)가 이(14b) 위로 올라간다. 이로 인해, 웨지-형 부재(15)는 웨지-형 부재(14)에 대하여 결합하지 않고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웨지-형 부재(15)의 삽입 방향의 이동은 가이드 그루브(14a)와 돌출부(15a)를 통하여 안내된다. 또한, 그 이동 범위는 웨지-형 부재(15)의 돌기(15c)가 웨지-형 부재(14)의 긴 홀(14c)의 삽입 방향의 가까운 측의 단부 에지와 접촉하는 위치(이하, 최소 위치라고 함)로부터 삽입 방향의 먼 측의 단부 에지에 접촉하는 위치(이하, 최대 위치라고 함)까지의 범위로 제한된다.When the wedge-shaped member 14 and the wedge-shaped member 15 overlap each other in this manner, the teeth 15b respectively engage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teeth 14b of the wedge-shaped member 14. do. However, as shown by arrow A in FIG. 18B, when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pressed in the inserting direction, due to the shape of the teeth 14b and 15b that are mutually engaged, the teeth 15b are depressed. 14b) go up.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wedge-shaped member 15 to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without engaging the wedge-shaped member 14. Moreover, the movement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guided through the guide groove 14a and the protrusion 15a. Moreover, the movement range is a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15c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contacts the end edge of the side clos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long hole 14c of the wedge-shaped member 14 (hereinafter, the minimum position). To a posi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ximum position) in contact with an end edge on the far side in the insertion direction.

상술된 바와 같이, 웨지-형 부재(15)는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이(14b 및 15b)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웨지-형 부재(15)가 삽입 방향의 역방향으로 끌어당길지라도, 이(14b 및 15b)의 형상으로 인하여 이(15b)가 이(14b)에 잡혀서 걸리고, 결과적으로 웨지-형 부재(14)에 대하여 삽입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movab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however, with the teeth 14b and 15b engaged,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Due to the shape of the teeth 14b and 15b, the teeth 15b are caught by the teeth 14b and as a result cannot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edge-shaped member 14.

상기 구조에 근거하여, 웨지-형 부재(15)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웨지-형 부재(15)를 웨지-형 부재(14)에 대하여, 최소 위치에게 최대 위치까지 이(14b)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웨지-형 부재(15)를 삽입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걸림 위치에서 걸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의 이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를 다수의 걸림 위치에서 걸게 하는 걸림 수단이 얻어지므로, 각각의 걸림 위치에서 스페이서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structure, by pressing the wedge-shaped member 15 in the inserting direction,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pitched with respect to the wedge-shaped member 14 to the minimum position from the maximum position to the maximum position 14b. The wedge-shaped member 15 can be moved in a sequential position in order to be unable to move in the inserting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Therefore, by engag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with each other, a locking means for hanging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in a plurality of locking positions is obtain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vary the spacer height at each locking position. Can be.

도 18a는 웨지-형 부재(15)의 최소 위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18b는 최대 위치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최소 위치 상태에서, 웨지-형 부재(14 및 15)의 총 높이(한 쌍으로 구성되는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는 부호(H1)로 나타낸 최소의 높이이다; 더구나, 웨지-형 부재(15)가 삽입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하면 이동할수록, 웨지-형 부재(15)는 웨지-형 부재(14)의 경사진 상부면을 따라 더 높이 오르며, 결과적으로 총 높이가 더 높아지게 되며; 이것은 최대 위치에서 부호(H2)로 나타낸 최대 높이에 도달한다. 웨지-형 부재(15)를 최소 위치에서 최대 위치까지 이(14b)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웨지-형 부재(14 및 15)의 총높이가 최소 높이(H1)에서 최대 높이(H2)까지의 소망 높이로 작은-높이 피치(예를 들어, 1 mm보다 적은 피치)에서 단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FIG. 18A shows the minimum position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and FIG. 18B shows the state of the maximum position. In the minimum position state, the total height of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total height of a pair of spacers) is the minimum height indicated by the sign H1; Moreover, the more the wedge-shaped member 15 mov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higher the wedge-shaped member 15 rises along the inclined top surface of the wedge-shaped member 14, and consequently the total height. Becomes higher; This reaches the maximum height indicated by the sign H2 at the maximum position. By sequentially moving the wedge-shaped member 15 to the pitch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the teeth 14b from the minimum position to the maximum position, the total height of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is maximum at the minimum height H1. It can be set in stages at small-height pitches (eg pitch less than 1 mm) to the desired height up to height H2.

단지 웨지-형 부재(14 및 15)만의 스페이서가 갱생관(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때,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형 부재(14)는 자기의 발(14d 및 14e)이 세그먼트(1)의 두 개의 보강판(106)에 결합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나서, 웨지-형 부재(15)는 웨지-형 부재(14 및 15)를 갱생관의 위주 위에 설정하도록 기설관(4)의 내부 벽면과 갱생관(3)의 외주 사이의 갭 내에 최소 위치에서 삽입된다. 더구나, 웨지-형 부재(15)를 웨지-형 부재(14)에 대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화살표(A)로 나타낸 삽입 방향으로 가압해서, 웨지-형 부재(14 및 15)의 총 높이, 즉,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가 순차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매우 작은 피치로 단계적으로 증가됨으로써, 높이가 소망 갭의 크기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소망 높이가 되는 위치로 웨지-형 부재(15)를 이동시킴으로써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When spacers of only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are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tube 3, as shown in Fig. 19, the wedge-shaped member 14 has its own feet 14d and 14e. ) Is set to engage the two reinforcement plates 106 of the segment 1.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then placed in a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existing pipe 4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generating tube 3 to set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above the perimeter of the regenerating tube. Is inserted from Moreover,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press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A to move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edge-shaped member 14, so that the total height of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That is, the total height of the spacers is sequentially increased step by step to a very small pitch as described above, such that the wedge-shaped member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height corresponds to the desired gap size, for example a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by moving (15).

더구나, 웨지-형 부재(15)의 선단(15f)의 상부측이 원형이 되기 때문에, 선단(15f)은 기설관(4)의 내부 벽면에 잡히지 않으므로, 웨지-형 부재(15)는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웨지-형 부재(14)의 상부면과 웨지-형 부재(15)의 하부면은 동일 각도로 경사지며 웨지-형 부재(15)의 상부면은 수평이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는 기설관(4)의 내부 벽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기설관(4)의 내부 벽면과 갱생관(3)의 외주 사이의 갭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더구나, 웨지-형 부재(14)의 발(14d 및 14e)의 치수 관계는 두 개의 보강판(106)이 임의의 행위없이 이 발과 결합되도록 미리 설정된다.Moreover, since the upper side of the tip 15f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circular, the tip 15f is not caught b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isting pipe 4, so that the wedge-shaped member 15 moves smoothly. Can b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member 1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member 15 is horizontal. As a result, the spacer can stably contact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isting pipe 4, and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isting pipe 4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habilitation pipe 3. Moreover, the dimensional relationship of the feet 14d and 14e of the wedge-shaped member 14 is preset so that the two reinforcement plates 106 engage with this foot without any action.

그러므로, 갱생관(3)의 위치는 웨지-형 부재(14 및 15)로 구성된 스페이서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에 의해 설정될 상술된 갭의 치수가 웨지-형 부재(14 및 15)의 최대 위치에서의 전체 높이 치수(H2)보다 큰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상승 부재(16) 또는 또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승 부재(16)가 부족한 부분의 치수에 따라서 웨지-형 부재(14) 하부에 겹쳐진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tube 3 can be adjusted by the spacer composed of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However, if the dimension of the above-described gap to be set by the spacer is larger than the overall height dimension H2 at the maximum position of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one lifting member 16 as shown in FIG. Or as shown in 21, a plurality of lifting members 16 overlap the bottom of the wedge-shaped member 14 depending on the dimensions of the lacking portion.

이 때, 웨지-형 부재(14)의 양단부의 발(14d 및 14e)과 노치부(14f)를 상승 부재(16)의 양단부의 단차부(16c) 및 돌출부(16d)와 각각 결합함으로써 웨지-형 부재(14)는 상승 부재(16) 위에 겹쳐지게 된다. 그러므로, 웨지-형 부재(14)는 상승 부재(16)로부터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feet 14d and 14e and the notch 14f at both ends of the wedge-shaped member 14 are engaged with the stepped portions 16c and the protrusions 16d at both ends of the lifting member 16, respectively. The mold member 14 is superimposed on the lifting member 16. Therefore, the wedge-shaped member 14 does not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lifting member 16.

또한, 다수의 상승 부재(16)가 겹치는 경우, 상부 상승 부재(16)의 양단부의 발(16e)과 노치부(16f)를 하부 상승 부재(16)의 양단부의 단차부(16c)와 돌출부(16d)에 결합하여 겹침으로써, 상부 상승 부재(16)가 하부 상승 부재(16)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lifting members 16 overlap, the feet 16e and the notches 16f at both ends of the upper lifting member 16 are provided with the stepped portions 16c and the protrusions at both ends of the lower lifting member 16. By joining and overlapping with 16d), the upper lifting member 16 does not slip from the lower lifting member 16.

또한, 상부 상승 부재(16)의 양측의 벽(16g)과 격벽(16b)의 하부면이 하부 상승 부재(16)의 양측의 벽(16g)과 격벽(16b)의 상부면에 접촉하며, 하부 상승 부재(16) 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다수의 상승 부재(16)를 겹칠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H4)는 상승 부재(16)를 겹칠 때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6b)과 양측의 벽(16g)의 높이(H3)만큼 더 높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s of the walls 16g and the partitions 16b on both sides of the upper lifting member 16 contact the upper surfaces of the walls 16g and the partitions 16b on both sides of the lower climbing member 16, It is supported on the lifting member 16. Therefore, when the plurality of lifting members 16 are overlapped, as shown in FIG. 21, the total height H4 of the spacer is overlapped with the partition 16b as shown in FIG. 20 every time the overlapping members 16 are overlapped. It can be as high as the height H3 of the walls 16g on both sides.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는 순차적으로 소망 높이로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고 갱생관(3)의 위치는 갱생관(3)의 외주 위에 겹처진 웨지-형 부재(14 및 15) 및 상승 부재(16)로 구성된 스페이서를 설정하며; 상술된 웨지-형 부재(14 및 15)만으로 구성된 스페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웨지-형 부재(15)를 웨지-형 부재(14)에 대해여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The overall height of the spacer can be sequentially increased step by step to a desired height and the position of the regeneration tube 3 consists of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and a lifting member 16 superim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generation tube 3. Setting a spacer; As in the case of the spacer composed of only the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described above, it can be adjusted by pressing the wedge-shaped member 15 to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edge-shaped member 14.

갱생관(3)을 부설하는 동안, 상기 형태의 스페이서에 의한 위치 조정은 다수의 관 유닛(2)에 대해 대략 1m 마다 수행된다. 갱생관(3)의 전체 길이의 부설과 위치 조정이 완료될때, 충전재를 충전하는 동안 갱생관(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주(support)(도시되지 않음)가 갱생관(3)의 내부에 대략 수 m의 간격으로 상하 수직으로 그리고 좌우 수평으로 설치된다. 그 후에,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12)가 기설관(4) 내부 벽면과 갱생관(3)의 외주 사이의 갭의 스페이스와 갱생관(3)의 세그먼트(1)의 내부판(101) 외측의 스페이스 내로 충전된다.While laying the rehabilitation pipe 3, the position adjustment by the spacer of this type is performed about every 1 m for the plurality of pipe units 2. When laying and positioning of the full length of the reinforcement tube 3 is completed, a support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reinforcement tube 3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reinforcement tube 3 while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It is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horizontally at intervals of about several m. After that, as shown in FIG. 13, the filler material 12 includes a space in the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existing pipe 4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habilitation pipe 3 and the inner plate of the segment 1 of the rehabilitation pipe 3. 101 is filled into the outer space.

충전재(12)는 시멘트 모르타르,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주재료로 하는 레진 모르타르(resin mortar)로 구성된다. 충전은 갱생관(3)의 길이의 대략 수 m마다 상부측 세그먼트(1)의 적당한 위치에 홀(1a)을 형성하고, 이에 충전 호스(11)를 접속하고, 그 호스(11)로부터 충전재(12)를 주입함으로써 수행된다. 더구나, 이 충전 이전에, 조립된 갱생관(3)의 전체 길이 양단의 외주와 기설관(4)의 내부 벽면 사이의 갭은 레진 퍼티(resin putty)나 모르타르(mortar) 등(도시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 밀봉재로 메워진다.The filler 12 is composed of a resin mortar mainly composed of cement mortar, epoxy resin, polyester resin, or the like. Filling forms a hole 1a at an appropriate position of the upper side segment 1 every approximately several m of the length of the rehabilitation pipe 3, connects the filling hose 11 to it, and fills the filling material (from the hose 11). 12) by injection. Moreover, prior to this filling, the gap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tire length of the assembled reinforcement tube 3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xisting tube 4 may be a resin putty or mortar or the like (not shown). It is filled with a sealing material consisting of.

더구나, 충전재(12)가 또한 스페이서의 홀(14c,15d,15e,16a)등으로 유입되므로, 스페이서 내에 공동(cavity)이 형성되지 않는다.Moreover, since the filler 12 also flows into the holes 14c, 15d, 15e, 16a, etc. of the spacer, no cavity is formed in the spacer.

충전재(12)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 충전재(12)가 응고되어 경화되고, 그 후에 홀(1a)이 밀봉재로 메워지고, 지주(도시되지 않음)가 제거되므로, 기설관 갱생 공사가 완료된다.After the filling of the filling material 12 is completed, the filling material 12 is solidified and cured, after which the hole 1a is filled with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support post (not shown) is removed, so that the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work is completed. .

상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를 소망 높이로 증가시킴으로써 위치 조정이 수행될 수 있고, 갱생관(3)의 위치는 매우 간단한 절차에 의해 매우 간단하고 단시간에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페이서의 경우에서와 같이 볼트용 나사 홀을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후공정시 나사 홀을 메우는 것과 같은 특정 절차가 필요하지 않다. 더구나, 종래의 스페이서와 같이 상이한 높이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스페이서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위치 조정은 단지 세 가지 형태의 부재만을 준비하여 상이한 갭 치수에 대해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adjustment can be performed by increas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spacer to the desired height, and the position of the regeneration tube 3 can be adjusted very simply and in a short time by a very simple procedure.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the screw holes for bolts as in the case of conventional spacers, and therefore no specific procedure is necessary, such as filling the screw holes in a later process.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types of spacers having different heights as in the conventional spacers, and the position adjustment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for different gap dimensions by preparing only three types of members.

더구나, 상술한 실시예의 스페이서의 구조에서,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14 및 15)를 수직적으로 뒤집어서, 부재(14)의 발(14d, 14e)을 제거하여 제 2 웨지-형 부재를 만들고 발을 부재(15)에 붙여서 제 1 웨지-형 부재를 만들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r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14 and 15 are vertically inverted to remove the feet 14d and 14e of the member 14 to remove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And the foot to the member 15 to make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또한, 기설관과 마주하는 제 2 웨지-형 부재(15)의 표면은 평면이고 경사지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의 갭 내에 삽입될때, 기설관의 내주면과 표면 접촉을 하지 않으므로, 기설관에 대향하는 면을 둘레 방향으로 만곡시키고, 그 곡면이 기설관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하여 면접촉을 더 향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웨지-형 부재(14)의 이(14b)의 경사 방향의 피치는 제 2 웨지-형 부재(15)의 이(15b)의 경사 방향의 피치와 상이하지만, 동일한 피치로 만들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15 facing the existing pipe is flat and not inclined; Specifically, when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existing pipe and the rehabilitation pipe, since the surface does not mak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isting pipe, the surface facing the existing pipe is cur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urved surface is the same curvature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isting pipe. The surface contact can be further improved. Also, the pitch of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teeth 14b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14 is different from the pitch of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teeth 15b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15, but to be made of the same pitch. Can be.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조정 스페이서 및 이를 사용한 위치 조정 방법은 기설관 갱생 공사에서 갱생관의 위치 조정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 대상과 위치가 조정될 대상 사이의 갭 내에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위치 조정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Moreover, the positioning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sition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pipe in the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work, but rather to the position adjustment in which the spacer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fixed object and the object to be adjusted. It can be used extens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설관 갱생 작업에서 기설관 내부에 조립된 갱생관을 구성하는 세그먼트의 구조를 도시한 상면도.1 is a top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gment constituting the rehabilitation pipe assembled inside the existing pipe in the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화살표(C) 방향에서 본 측면도.FIG. 2 is a side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f arrow C in FIG. 1. FIG.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세그먼트의 하면도.4 is a bottom view of the segment;

도 5는 도 1의 화살표(D) 방향에서 본 보조도.5 is an auxiliary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of FIG.

도 6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7은 세그먼트를 상호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종단측면도.7 is a longitudinal sid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utually joining segments.

도 8은 세그먼트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측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egments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9는 세그먼트가 상호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평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egments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10은 세그먼트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관 유닛을 상호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 파단면도.Fig. 10 is a partial cutaway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utually joining tube units constituted by joining segments.

도 11은 결합관 유닛 및 기설관 내로 세그먼트를 반입함으로써 갱생관을 부설하는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habilitation pipe is laid by bringing a segment into a coupling pipe unit and an existing pipe. FIG.

도 12는 갱생관의 전체 길이가 부설되는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entire length of the rehabilitation pipe is laid.

도 13은 부설된 갱생관의 외주와 기설관의 내부 벽면 사이의 갭의 스페이스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모양을 도시한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ller is injected into a space of a gap betwee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laid reinforcement pipe and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existing pipe; FIG.

도 14는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제 1 웨지-형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wedge-shaped member constituting a spac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on tube;

도 15는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제 2 웨지-형 부재 하면측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constituting the spacer;

도 16은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상승 부재의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member constituting a spacer;

도 17은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가 겹치는 모양을 도시한 설명도.FIG. 1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how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overlap each other; FIG.

도 18a는 겹쳐진 상태에서의 스페이서의 최소 위치를 도시한 설명도.18A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inimum position of a spacer in an overlapping state;

도 18b는 겹쳐진 상태에서의 스페이서의 최대 위치를 도시한 설명도.18B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aximum position of a spacer in an overlapping state;

도 19는 갱생관의 위치가 스페이서에 의해 조정되는 모양을 도시한 설명도.1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pipe is adjusted by the spacer;

도 20은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와 상승 부재가 겹쳐진 모양을 도시한 설명도.Fig. 20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how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and the lifting members overlap.

도 21은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와 2 개의 상승 부재가 겹쳐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Fig. 2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and the two lifting members overlap.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세그먼트 . 2. 관 유닛1. Segment 2. Tubular unit

3. 갱생관 4. 기설관3. Rehabilitation Hall

5. 맨홀 6.세그먼트 연결용 볼트5. Manhole 6.Segment connection bolt

7. 세그먼트 연결용 너트 9. 관 유닛 연결용 볼트 7. Nut for connecting segments 9. Bolt for connecting tubing unit

10. 관 유닛 연결용 너트 11.충전용 호스10. Nut for connecting the tubing unit 11.Hose for filling

12. 충전재 13.스페이서12. Filling material 13. Spacer

14. 제 1 웨지형 부재 14a. 가이드 홈14. First wedge-shaped member 14a. Guide home

14b. 이 14c. 긴 홀14b. This 14c. Long hall

14d, 14e. 발 15. 제 2 웨지-형 부재14d, 14e. Foot 15. second wedge-shaped member

15a. 돌출부 15b. 이15a. Protrusion 15b. this

15c. 돌기 16. 상승 부재15c. 16. Protrusion

Claims (10)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의 갭에 삽입되어 상기 기설관에 대하여 상기 갱생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페이서로서,A spacer inserted into a gap between an existing pipe and a rehabilitation pipe to adjust a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pipe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pipe,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 1 웨지-형 부재;A first wedge-shaped member inclined at an angle;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며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경사진 각도면을 정렬하여 겹쳐지는 제 2 웨지-형 부재; 및A second wedge-shaped member inclined at an angle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and overlapping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by aligning an inclined angle surface; And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를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하여 삽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다수의 걸림 위치에서 거는 걸림 수단을 구비하며:And engaging means for engaging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n a plurality of locking positions such that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s movable relative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and cannot be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는 상기 걸림 위치중 하나로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스페이서.And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sequentially moves to one of the locking positions to incrementally increase the overall height of the spac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의 경사면에서 소정 피치로 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의 경사면에서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의 이와 결합하는 이가 상기 소정 피치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피치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의 이를 상호 맞물리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스페이서.2. The teeth of claim 1 wherein teeth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and teeth engaging with the teeth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are equal to the predetermined pitch. Or formed with a different pitch, and the locking means is achieved by engaging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의 경사면 또는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의 경사면중 한 편에는 선형 그루브가 형성되고, 다른 편에는 상기 그루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선형 돌출부가 경사선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를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스페이서.2. The linear groove of claim 1, wherein a linear groove is formed on one of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o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and on the other side, a linear protrusion slidably engaged with the groove is inclined. A rehabilitation tube positioning spac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line to enable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to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웨지-형 부재의 이는 상기 선형의 그루브 또는 상기 선형 돌출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스페이서.4. The rehabilitation tube positioning spac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edge-shaped members are formed in the linear groove or the linear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의 경사면과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의 경사면의 한 편에는 선형의 긴 홀이 형성되고, 다른 편에는 상기 긴 홀 내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한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의 상기 삽입 방향의 이동 범위는 상기 긴 홀 및 상기 돌기를 통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스페이서.2. A linear long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and a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on the other side. And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relative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is controlled through the elongated hole and the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생관과 결합하는 발은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의 양단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스페이서.2. The rehabilitation tube positioning spac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t engaging with the rehabilitation tube is formed at lower ends of both ends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의 바닥에 상기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를 상승시키는 상승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스페이서.2. The rehabilitation tube positioning spac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member at the bottom of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for rais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spac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부재 상에는, 그 상부측에 겹치는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 또는 상승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부 및 그 하부측에 겹치는 상승 부재와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스페이서.8. The engagement memb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on the lifting member, an engagemen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or lift member overlapping the upper side and an engagement portion is engaged with the lift member overlapping the lower side. Rehabilitation Pipe Positioning Spacer. 갱생관을 기설관 내부에 부설하는 기설관 갱생 공사에서 제 1 항에 따른 스페이서를 사용한 갱생관 위치 조정 방법으로서,As a rehabilitation pipe position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pacer according to claim 1 in an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work in which a rehabilitation pipe is installed inside the existing pipe,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가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겹치는 상태로 상기 기설관과 상기 갱생관 사이의 갭 내에 전체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 및Inserting an entire spacer into a gap between the existing tube and the reinforcement tube with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overlapping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And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하여 이동하여서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기설관에 대해 상기 갱생관의 위치 조정을 위한 소망 높이로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방법.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s urg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to move relative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spacer is sequentially increased to a desired height for position adjustment of the rehabilitation tube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tube position adjust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aking. 갱생관을 기설관 내부에 부설하는 기설관 갱생 공사에서 제 7 항에 따른 스페이서를 사용한 갱생관 위치 조정 방법으로서,As the rehabilitation pipe position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pacer according to claim 7, in the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work for installing the rehabilitation pipe inside the existing pipe,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가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겹치는 상태로 상기 기설관과 상기 갱생관 사이의 갭 내에 전체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단계; 및Inserting an entire spacer into a gap between the existing tube and the reinforcement tube with 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overlapping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And 상기 제 2 웨지-형 부재를 삽입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1 웨지-형 부재에 대하여 이동하여서 스페이서의 전체 높이를 순차적으로 상기 기설관에 대해 상기 갱생관의 위치 조정을 위한 소망 높이로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 방법.The second wedge-shaped member is urg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to move relative to the first wedge-shaped member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spacer is sequentially increased to a desired height for position adjustment of the rehabilitation tube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tube position adjust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aking.
KR1020050004096A 2004-03-19 2005-01-17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KR200500937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79387 2004-03-19
JP2004079387A JP4392275B2 (en) 2004-03-19 2004-03-19 Repositioned pipe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position adjust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711A true KR20050093711A (en) 2005-09-23

Family

ID=3504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096A KR20050093711A (en) 2004-03-19 2005-01-17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92275B2 (en)
KR (1) KR20050093711A (en)
CN (1) CN100491661C (en)
TW (1) TWI336383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766A (en) * 2015-07-17 2017-01-25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ipe rehabilitation method
KR102551488B1 (en) * 2022-09-30 2023-07-05 한복규 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a gap maintaining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7254B2 (en) 2012-10-10 2016-10-26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Rehabilitation pipe segment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6497957B2 (en) * 2015-02-12 2019-04-10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Rehabilitation pipe position adjustment spacer
JP6529298B2 (en) 2015-03-20 2019-06-1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Spac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rehabilitating pip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using the same
JP6622476B2 (en) * 2015-03-30 2019-12-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Rehabilitation pipe support member and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2017062046A (en) * 2016-12-16 2017-03-30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Segment for regeneration pipe and pipe regeneration method
JP2018109433A (en) * 2017-01-05 2018-07-12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Pipe regeneration method
CN107715512A (en) * 2017-11-27 2018-02-23 山东赛恩环保设备有限公司 A kind of precipitation inclined plate component
JP7260185B2 (en) * 2018-03-05 2023-04-18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Spac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rehabilitating pipes and pipe rehabilitat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63701B1 (en) 2018-04-02 2019-03-29 주식회사 비츠로씨앤씨 Pipe rehabilita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766A (en) * 2015-07-17 2017-01-25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Pipe rehabilitation method
KR102551488B1 (en) * 2022-09-30 2023-07-05 한복규 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a gap maintain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65070A (en) 2005-09-29
TW200535363A (en) 2005-11-01
TWI336383B (en) 2011-01-21
JP4392275B2 (en) 2009-12-24
CN1670321A (en) 2005-09-21
CN100491661C (en)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3711A (en)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US7451783B2 (en)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TWI324665B (en) Segment for a rehabilitating pipe assembly
US10190721B2 (en)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on pipe using such
EP3118506B1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a pipe
US20050238437A1 (en) Method for rehabilitating an existing pipe
KR20140044271A (en) Segment for rehabilitation pipe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EP3056785A1 (en)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JP2006265933A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KR20140046373A (en) Segment for rehabilitation pipe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TW201910672A (en) Better life method
KR101963701B1 (en) Pipe rehabilitation method
KR102673457B1 (en) Adjustemet spacer for rehabilitation pipe position and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CN215406037U (en) Pre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pipe pile
JP2018109433A (en) Pipe regeneration method
KR20220121700A (en) Adjustemet spacer for rehabilitation pipe position and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