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161A -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161A
KR20050092161A KR1020040017247A KR20040017247A KR20050092161A KR 20050092161 A KR20050092161 A KR 20050092161A KR 1020040017247 A KR1020040017247 A KR 1020040017247A KR 20040017247 A KR20040017247 A KR 20040017247A KR 20050092161 A KR20050092161 A KR 2005009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communication
data
power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윤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젤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젤라인
Priority to KR102004001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2161A/ko
Publication of KR2005009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06Frames for bullet-proof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더넷이 연결되는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가 연결되는 시리얼 포트(serial port) 및 외부 입출력장치가 연결되는 콘솔 포트(console port)를 포함하는 확장 포트부가 구비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meter gateway)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 시스템을 구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속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하나로 통합하여 수행하고, 이를 통해 각 수용가에 추가로 통신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접속 서비스, VoIP 전화 서비스,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감시 서비스, 전력부하제어 서비스 및 원격검침(Automatic meter reading; AMR)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AN INTELLIGENT METER GATEWAY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BETWEEN MULTI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A HIGH SPEED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meter gateway)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하나로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 이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 VoIP 전화 서비스,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감시 서비스, 전력부하제어 서비스 및 원격검침(Automatic meter reading; AMR)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다중 통신매체(multi communication media)를 통해 독립적으로 인터넷(internet), 보안, 홈네트워킹(homenetworking), 원격검침(AMR), 부하제어 서비스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다중 통신매체를 통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다중 통신매체에 상응하는 접속매체(connection media)가 독립적으로 요구되는데, 이 때문에 각 접속매체마다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통신라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접속매체를 독립적으로 운용 및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는 한편, 다수의 접속매체와 다수의 통신장치를 각각 상호 접속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라인을 독립적으로 설치, 운용 및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하나로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meter gateway)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속 전력선 통신장치 간의 통신과 고속 전력선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하나로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하나로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고속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P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고정 IP 추가 없이 하나로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로 통합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장치의 통신 서비스를 고속 전력선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각 수용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으로부터 전력량을 검출한 후 상기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원격 서버로 검출된 전력량을 전송하는 미터 게이트 웨이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된 외부의 다른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이더넷 포트와, 상기 수용가의 각 계량기의 검침값을 상기 전력선 및 상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 서버로 송신하기 위하여 시리얼(serial)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시리얼 포트를 포함하는 확장 포트부가 구비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으로부터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자식 전력량계와,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전력선으로 아날로그 송신신호를 실어 보내는 전력선 커플러와, 상기 전력선 커플러로부터 전송된 상기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고, 상기 아날로그 송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상기 전력선 커플러로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용 AFE(Analog Front End)부와, 상기 전력선 통신용 AFE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디지털 수신신호로 복조하고, 디지털 송신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송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전력선 통신용 AFE부로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부와, 상기 전자식 전력량으로부터 전송된 전력량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IP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가 연결되는 확장 포트부와,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량과 상기 확장 포트부로부터 전송된 검침량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하고, 상기 전력선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 수신신호를 데이터 형태별로 분리하여 상기 확장 포트부로 전송하며, 상기 확장 포트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 형태별로 분리하여 상기 전력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와, 상기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한 후 IP용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검침용 데이터는 데이터 집중화 장치로 전송하는 마스터와, 상기 마스터로부터 전송된 검침용 데이터를 저장 및 취합하는 데이터 집중화 장치와, 상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로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마스터에 의해 상기 데이터 집중화 장치로부터 인출된 상기 검침용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검침용 데이터에 대한 전력 사용요금을 부과하는 원격 서버를 포함하는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번호들 중 서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전자식 전력량계(11), 전력선 커플러(power line coupler; 12), 전력선 통신용 AFE부(Analog Front End; 13), 전력선 통신부(14), 중앙 처리부(15), 데이터 저장부(16), 데이터 표시부(17), 제어부(18), 확장 포트부(19) 및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자식 전력량계(11)는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량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해당 수용가(도 4의 '20'참조)로 공급되는 공급전원(교류전원)으로부터 전류/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전압을 이용하여 전력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전력량을 시리얼 포트(serial port; 미도시)를 통해 중앙 처리부(15)로 전송한다. 또한, 전자식 전력량계(11)는 산출된 전력량을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digital) 및/또는 아날로그(analog) 형태로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전력선 커플러(12)는 옥외 인입선(40) 또는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송되는 다양한 통신신호, 즉 수신신호를 옥외 인입선(40)으로부터 검출한 후 전력선 통신용 AFE부(13)로 송신하거나, 전력선 통신용 AFE부(13)로부터 전송된 통신신호, 즉 전송신호를 전송받아 옥외 인입선(40)에 실어 보낸다. 이를 위해, 전력선 커플러(12)는 1차측이 옥외 인입선(40)과 접속되고, 2차측이 전력선 통신용 AFE부(13)의 수신 필터부(131a) 및 송신 증폭부(132b)와 각각 접속된 변압기(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력선 커플러(12)에는 퓨즈, 바리스터,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 등이 적절하게 접속된다.
전력선 통신용 AFE부(13)는 전력선 커플러(12)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한 후 증폭하여 전력선 통신부(14)로 전송하거나, 전력선 통신부(14)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전송신호를 필터링한 후 증폭하여 전력선 커플러(12)로 전송한다. 즉, 전력선 커플러(12)로부터 전송된 수신신호는 수신 필터부(131a)를 통해 필터링된 후 수신 증폭부(132a)를 통해 소정의 증폭비로 증폭되어 전력선 통신부(14)로 전송된다. 한편, 전력선 통신부(14)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는 송신 필터부(131b)를 통해 필터링된 후 송신 증폭부(132b)를 통해 전력선 커플러(12)로 전송된다.
전력선 통신부(14)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칩(chip)이 내장되어, 전력선 통신용 AFE부(13)로부터 전송된 수신신호, 즉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중앙 처리부(15)로 전송하거나, 중앙 처리부(15)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전력선 통신용 AFE부(13)로 전송한다. 예컨대, 전력선 통신부(14)는 전력선 통신용 AFE부(13)로부터 전송된 수신신호를 이더넷(ethernet) 디지털 신호인 MII(Media Independant Interface)로 복조하여 중앙 처리부(15)로 전송한다.
중앙 처리부(15)는 전력선 통신부(14)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수신신호를 분석하여 확장 포트부(19)의 포트들(191 내지 193) 중 이 디지털 수신신호가 해당되는 포트로 디지털 수신신호를 전송한다. 예컨대, 전력선 통신부(14)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수신신호가 이더넷 포트(191)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미도시)에 해당되는 신호인 경우 중앙 처리부(15)는 이 디지털 수신신호를 이더넷 포트(191)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15)는 확장 포트부(19)의 각 포트들(191 내지 193)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분리한 후 전력선 통신부(14)로 전송한다. 한편, 중앙 처리부(15)는 전자식 전력량계(11)로부터 전력량(값)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하고, 전력선 통신부(14)로부터 전송된 요청신호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된 전력량을 인출하여 전력선 통신부(14)로 전송하는 한편, 요청시 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 표시부(17)를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부(15)로 전송된 송신신호는 프레임(frame)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에 의해 목적지로 안정적으로 전송된다. 참고로, MAC 데이터 프레임 포맷(frame format)은 'PRE 필드', 'Control 필드', 'DA 필드', 'DHC 필드', 'SA 필드', 'SHC 필드', 'DATA 필드', 'FCS 필드'로 이루어진다. ''PRE 필드'는 충돌을 찾기 위해 사용된다. 'Control 필드'는 프레임 형태, 프레임 우선 순위를 포함하고, 필요한 서비스의 송수신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DA 필드'는 목적지 주소를 포함한다. 'DHC 필드'는 목적지 하우스 코드를 포함한다. 'SA 필드'는 송신지 주소를 포함한다. 'SHC 필드'는 송신지 하우스 코드를 포함한다. 'DATA 필드'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FCS 필드'는 에러체크용 프레임 체크섬(frame check sum) 데이터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16)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처리부(15)로부터 전송된 전력량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등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6)에는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송된 가스/수도 검침량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등으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이외에 다양한 통신장치로부터 전송된 IP용 데이터 등도 저장된다.
데이터 표시부(17)는 중앙 처리부(15)로부터 전송된 전력량 및/또는 가스/수도 검침량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ELD(ElectroLuminiscence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표시부(17)는 전력량 및/또는 가스/수도 검침량을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등으로 분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서비스 및 VoIP 폰 서비스 사용시간에 대한 정보, 보안 서비스 제공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 표시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모두 적용가능하다.
확장 포트부(19)는 기타 다양한 외부 통신장치(또는, 통신매체)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포트로서, 일례로 이더넷 포트(ethernet port, 191), 시리얼 포트(192) 및 콘솔 포트(console port, 193)를 포함한다. 이더넷 포트(191)는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이더넷과 통신을 하기 위한 포트이다. 시리얼 포트(192)는 시리얼 통신을 하는 장치, 예컨대 RS-232, RS-422, RS-485 등, 또는 기타 검침용 계량기등과 통신을 하기 위한 포트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더넷 포트(191)와 시리얼 포트(192)에는 부가적으로 시크리트 제어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시크리트 제어장치(200)는 보안 관련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로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이더넷 포트(191)와 시리얼 포트(192)에 연결된다. 반대로, 시크리트 제어장치(200)가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와 원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내 인입선(30)과 연결된다. 이 경우 시크리트 제어장치(200)에는 전력선 통신을 위해 전력선 통신 모듈이 내장되게 된다. 콘솔 포트(193)는 기타 다양한 외부 입출력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포트이다.
제어부(18)는 중앙 처리부(15)를 제어하여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8)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사용자는 제어부(18)를 통해 확장 포트부(19)에 연결된 통신장치들과 옥내 인입선(30)에 각각 연결된 에어콘(25b), 전등 및 가전제품(26b)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옥내 인입선(30)에 연결된 전등 및 가전제품(도 3의 '26b'참조)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18)를 조작하여 중앙 처리부(15)로 하여금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력선 제어장치(26a)로 전송하게 된다. 이로써, 전력선 제어장치(도 3의 '26a'참조)는 이 제어신호에 따라 전등 및 가전제품(26b)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도 1에 도시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와 다르게 데이터 표시부(17)와 제어부(18)의 기능을 통합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178)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software)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78)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 판넬(touch pannel)을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 판넬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치 판넬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중앙 처리부(15)를 통해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78)을 통해 다양한 정보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데, 그 정보로는 예컨대 수용가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총 전력량에 관련한 정보, 각 포트별(191 내지 193) 데이터 송수신 정보, 가스/수도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검침량, 각 가전기기(22b 내지 26b)의 전력 사용량 및 전력상태 정보, 시크리트 제어장치(200)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와 각 수용가(도 4의 '20'참조) 내에 구비된 전력선 통신모듈(21a), 전력선 통신모뎀(22a 내지 24a), 전력부하 제어장치(25a) 및 전력선 제어장치(26a) 간의 전력선 통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수용가(20) 내에 구비된 전력선 통신모듈(21a), 전력선 통신모뎀(22a 내지 24a), 전력부하 제어장치(25a) 및 전력선 제어장치(26a)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력선 통신모듈(21a)로부터 제공되는 가스 및/또는 수도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한다. 수용가(40)의 가스 및/또는 수도 검침 데이터는 가스/수도 계량기(21b)로부터 검침되어 전력선 통신모듈(21a)을 통해 옥내 인입선(30)으로 실어 전송되게 된다. 이렇게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송된 검침 데이터(아날로그)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의 전력선 커플러(12)로 수신되어 전력선 AFE(13), 전력선 통신부(14), 중앙 처리부(15)를 경유하여 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되게 된다. 한편, 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된 검침 데이터는 요청시 데이터 집중화 장치(도 4의 '60' 참조)로 전송된다.
또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전력선 통신모뎀(22a 내지 24a)을 통해 컴퓨터(22b), VoIP 폰(23b), 감시용 카메라(IP 카메라, 2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가 데이터 통신망(도 4의 '80'참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사설 IP를 해당 전력선 통신모뎀(22a 내지 24a)에 할당한다. 한편, 사설 IP를 기초로 각 전력선 통신모뎀(22a 내지 24a)은 데이터 통신망(80)을 통해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원격 서버(도 4의 '90'참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과다 제품인 에어컨(25b)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전력부하 제어장치(25a)를 통해 에어컨(25b)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킹(checking)하고 있다가 전력과다시 원격 서버(90)로부터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부하 제어장치(25a)를 통해 에어컨(25b)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에어컨(25b) 이외에 기타 가전제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전력부하 제어장치가 설치된 경우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원격 서버(9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가전제품과 연결된 전력부하 제어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대상 가전제품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원격 서버(90)의 제어신호 이외에 제어부(18) 또는 터치 스크린(178)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컨(25b)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전력선 제어장치(26a)를 통해 전등 및 가전제품(26b)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전력선 제어장치(26a)를 통해 전등 및 가전제품(26b)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킹하고 있다가 불필요 동작시 또는 전력과다시 원격 서버(9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선 제어장치(26a)를 통해 전등 및 가전제품(26b)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에어컨(25b)과 마찬가지로 원격 서버(90)의 제어신호 이외에 제어부(18) 또는 터치 스크린(178)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등 및 가전제품(26b)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보안 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크리트 제어장치(200)가 수용가(20) 내부에 설치되어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 시크리트 제어장치(200) 내에 내장된 전력선 통신모듈과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시크리트 제어장치(200)로부터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송받고, 전송된 데이터를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원격 서버(90)로 전송한다. 그리고,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원격 서버(9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시크리트 제어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서비스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원격 서버(90)와, 테이터 통신망(80)을 통해 원격 서버(90)와 고속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마스터(master, 50)와, 마스터(50)를 통해 원격 서버(9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집중화 장치(60)와, 각 수용가(2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데이터 집중화 장치(60)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를 포함한다.
원격 서버(90)는 미도시된 전력 사업자 서버, 망 사업자 서버, 다수의 서비스 사업자 서버를 포함하고,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방식을 이용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망(40)(예컨대, 광대역 종합 통신망, 광역 통신망, 인터넷, 구내정보 통신망 등 포함)을 통해 다수의 마스터(50)와 고속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 사업자 서버, 가스/수도 사업자 서버, 망 사업자 서버 및 다수의 서비스 사업자 서버는 데이터 통신망(40) 또는 기타 다른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일례로, 전력 사업자 서버는 데이터 통신망(40)을 통해 다수의 마스터(50)로부터 각 수용가(20)의 전력 검침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여기서, 전력 검침량이라 함은 각 수용가(20)에서 사용하는 사용 전력량을 말한다. 전력 사업자 서버는 마스터(50)로부터 제공된 전력 검침량을 기초로 각 수용가(20)의 전력 사용요금을 책정하여 부과하게 된다. 여기서, 전력 검침량으로는 하나의 마스터(50)에 할당된 모든 수용가(20)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의 총합, 각 수용가(20)의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 및 순시 전력량 등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원격 서버(90)는 데이터 통신망(80)을 통해 마스터(50)와 실시간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각 수용가(20)로부터 제공되는 검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각 수용가(20)의 전력상태를 분석한다. 이로써, 원격 서버(90)는 각 수용가(20)의 전력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검침 데이터에는 수용가(20)의 사용 전력량, 가스 및 수도 검침량, IP 기반의 통신장치 데이터, 에어컨(25b), 전등 및 가전제품(26b)의 전력량, 그리고 시크리트 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 전력량, 가스 및 수도 검침량은 월별, 주간별, 야간별, 날짜별, 시간대별 사용 전력량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검침 데이터를 토대로 각 수용가(20)의 전력 사용량에 대응되는 전력 사용요금과, 가스 및 수도 사용량에 대응되는 가스 및 수도 사용요금을 부과하게 된다. 그리고, 원격 서버(90)는 이러한 검침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 수용가(20)의 전력상태, 예컨대 정전 및 공가(빈집), 도전 및 누전 상태 등을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원격 서버(90)는 여름철 특정 시간대별 전력 사용량의 급증에 따른 전력 공급부족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원격으로 각 수용가(20)에 설치된 에어컨(25b)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에어컨(25b)의 전력 사용량은 다른 가전제품에 비해 높기 때문에 에어컨(25b)의 사용에 따른 과부하에 의해 정전이 종종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원격 서버(9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용가(20)의 전력상태를 파악한 후 전력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전력 공급부족상태가 예상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를 통해 각 수용가(20)의 에어컨(25b)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로써, 원활한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마스터(50)는 각 수용가(20)에 설치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와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데이터 통신망(80)을 통해 원격 서버(9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마스터(50)는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로부터 전력선 통신용 데이터 신호(즉,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 검침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용 데이터 신호(즉, TCP/IP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망(80)을 통해 원격 서버(90)로 전송한다. 또한, 마스터(50)는 원격 서버(90)로부터 데이터 통신용 데이터 신호(즉, 검침 데이터 요청신호 및 제어신호)를 수신받고, 그 데이터 통신용 데이터 신호를 광대역 전력선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로 전송한다.
데이터 집중화 장치(60)는 검침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장치로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로부터 제공되는 검침 데이터를 마스터(50)를 통해 전송받아 임시로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검침 데이터는 원격 서버(90)로부터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마스터(50)에 의해 원격 서버(90)로 제공된다. 이때, 마스터(50)는 원격 서버(90)로부터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기설정된 전송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데이터 집중화 장치(6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인출하여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원격 서버(9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번호 '70'은 주상 변압기이고, '100'은 변전소와 연결된 배전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원격검침서비스, 전력부하제어 서비스, 인터넷 접속 서비스, VoIP 폰 서비스 및 수용가 내부의 영상감시 서비스을 제공하며, 이러한 각 서비스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원격검침 서비스]
원격검침 서비스 동작을 설명하면, 각 수용가(20)에 설치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옥외 인입선(40)으로부터 전자식 전력량계(11)를 통해 전력량을 검출한 후 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한다. 한편,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가스/수도 계량기(21b)을 통해 검침되어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송된 가스 및 수도 검침량을 옥내 인입선(30)으로부터 검출한 후 검침 전력량과 함께 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된 검침 전력량, 가스 및 수도 검침량을 포함한 검침 데이터는 전력선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된 후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마스터(50)로 전송된다. 마스터(50)로 전송된 검침 데이터는 데이터 집중화 장치(60)에 임시로 저장된다. 마스터(50)는 원격 서버(90)의 요청신호시 데이터 집중화 장치(60)에 저장된 검침 데이터를 인출한 후 데이터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망(80)을 통해 원격 서버(90)로 전송한다. 원격 서버(90)는 데이터 통신망(80)을 통해 전송된 검침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수용가(20)의 전력 사용량, 가스 및 수도 사용량을 감시하는 한편, 각 수용가(20)의 전력 사용량, 가스 및 수도 사용량에 따라 각 수용가(20)의 전력 사용요금, 가스 및 수도 사용요금을 책정하여 부과한다.
[전력부하제어 서비스]
전력부하제어 서비스 동작을 설명하면, 원격 서버(90)는 마스터(5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고, 각 수용가(20)의 사용 전력량을 토대로 총 사용 전력량을 파악한다. 만약, 총 사용 전력량의 증가에 따라 과부하가 예상되는 경우 원격 서버(90)는 제어하고자 하는 각 수용가(20)의 전력 과다 가전제품, 예컨대 에어컨(25b)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통신망(80)을 통해 마스터(50)로 전송한다. 이때, 원격 서버(90)는 제어신호가 해당 수용가의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의 데이터 프레임(frame)의 목적지 주소가 포함된다. 마스터(50)는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한 후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해당 수용가(20)의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로 전송한다.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판독 분석한 후 해당 전력부하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예컨대,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력부하 제어장치(25a)로 전송한다. 전력부하 제어장치(25a)는 전송된 제어신호를 토대로 에어컨(25b)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전력부하제어 서비스는 원격 서버(9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 이외에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의 제어부(18) 또는 터치 스크린(178)을 통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인터넷 접속 서비스]
인터넷 접속 서비스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컴퓨터(22b)가 전력선 통신모뎀(22a)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사설 IP를 전력선 통신모뎀(22a)에 할당한다. 전력선 통신모뎀(22a)은 할당된 사설 IP를 토대로 통신을 수행한다. 컴퓨터(22b)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전력선 통신모뎀(22a)을 통해 옥내 인입선(30)으로 실어 전송된다.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로 전송된다.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전송된 데이터를 전력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후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마스터(50)로 전송한다. 마스터(50)는 전력 통신용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망(80)으로 전송한다. 이로써, 인터넷 접속이 이루어진다.
[VoIP 폰 서비스]
VoIP 폰 서비스 동작은 인터넷 접속 서비스 동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VoIP 폰(23b)이 전력선 통신모뎀(23a)을 통해 인터넷 폰 통신을 시도하는 경우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사설 IP를 전력선 통신모뎀(23a)에 할당한다. 전력선 통신모뎀(23a)은 할당된 사설 IP를 토대로 통신을 수행한다. VoIP 폰(23b)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전력선 통신모뎀(23a)을 통해 옥내 인입선(30)으로 실어 전송된다.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로 전송된다.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전송된 데이터를 전력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후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마스터(50)로 전송한다. 마스터(50)는 전력 통신용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망(80)으로 전송한다. 이로써, 인터넷 폰 통신이 이루어진다.
[수용가 내부의 영상감시 서비스]
수용가 내부의 영상감시 서비스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감시용 카메라(24b)가 전력선 통신모뎀(24a)을 통해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사설 IP를 전력선 통신모뎀(24a)에 할당한다. 전력선 통신모뎀(24a)은 할당된 사설 IP를 토대로 통신을 수행한다. 감시용 카메라(24b)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전력선 통신모뎀(24a)을 통해 옥내 인입선(30)으로 실어 전송된다. 이때, 영상 데이터는 수용가(20)의 실내 내부의 영상으로서, 예컨대 가스 밸브 상태, 가전제품의 전원 코드 상태, 수도 밸브 상태, 도어 잠금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옥내 인입선(30)을 통해 영상 데이터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로 전송된다.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는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전력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한 후 옥외 인입선(40)을 통해 마스터(50)로 전송한다. 마스터(50)는 전력 통신용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 통신용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망(80)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데이터 통신망(80)에 전송된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망(80)을 공유하고 이 영상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다른 통신장치로 전송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원격검침서비스, 전력부하제어 서비스, 인터넷 접속 서비스, VoIP 폰 서비스 및 수용가 내부의 영상감시 서비스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10)의 확장 포트부(19)의 각 포트들(191 내지 193)과 연결된 통신장치들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컨대, 이더넷 포트(191)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는 컴퓨터(미도시)가 있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 동작과 동일하게 인터넷 접속이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별도의 계량기를 통해 소정의 검침량이 검침되어 시리얼 포트(192)로 전송되는 경우 원격검침 서비스 동작과 동일하게 원격검침 서비스가 수행된다. 한편, 인터넷 접속 서비스, VoIP 폰 서비스 및 영상감시 서비스는 고속 통신에서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광대역(수십MHz)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더넷이 연결되는 이더넷 포트,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가 연결되는 시리얼 포트 및 외부 입출력장치가 연결되는 콘솔 포트를 포함하는 확장 포트부가 구비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함으로써 고속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하나로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포트들을 포함한 확장 포트부가 구비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함으로써 각 수용가에 추가로 통신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포트들을 포함한 확장 포트부가 구비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함으로써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통신장치를 전력선 통신모듈(또는 전력선 통신모뎀)의 설치없이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확장 포트부에 직접 연결시켜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여 추가되는 전력선 통신모듈의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 전력선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고속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와, 비교적 저속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원격검침 서비스 및 부하제어 서비스를 하나의 장치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광대역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제공함으로써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라인의 추가 설치없이 광대역 전력선 통신을 통해 고속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로 통신라인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된 마스터(master)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된 모든 원격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에 유연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수용가의 전력선 통신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11 : 전자식 전력량계
12 : 전력선 커플러 13: 전력선 통신용 AFE부(Analog Front End)
131a : 수신 필터부 132a : 수신 증폭부
131b : 송신 필터부 132b : 송신 증폭부
14 : 전력선 통신부 15 : 중앙 처리부
16 : 데이터 저장부 17 : 데이터 표시부
18 : 제어부 19 : 확장 포트부
191 : 이더넷 포트 192 : 시리얼 포트
193 : 콘솔 포트 178 : 터치 스크린
200 : 시크리트 제어장치 20 : 수용가
21a : 전력선 통신모듈 22a 내지 24a : 전력선 통신모뎀
25a : 전력부하 제어장치 26a : 전력선 제어장치
21b : 가스/수도 계량기 22b : 컴퓨터
23b : VoIP 폰 24b : 감시용 카메라
25b : 에어컨 26b : 전등 및 가전제품
30 : 옥내 인입선 40 : 옥외 인입선
50 : 마스터 60 : 데이터 집중화 장치
70 : 주상 변압기 80 : 데이터 통신망
90 : 원격 서버

Claims (9)

  1. 각 수용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으로부터 전력량을 검출한 후 상기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원격 서버로 검출된 전력량을 전송하는 미터 게이트 웨이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된 외부의 다른 통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이더넷 포트와, 상기 수용가의 각 계량기의 검침값을 상기 전력선 및 상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 서버로 송신하기 위하여 시리얼(serial)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시리얼 포트를 포함하는 확장 포트부가 구비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포트부는 외부 입출력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콘솔 포트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포트 및 상기 시리얼 포트에는 상기 수용가의 보안 장치를 제어하는 시크리트 제어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이더넷 포트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4. 수용가로 인입되는 전력선으로부터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자식 전력량계;
    상기 전력선으로부터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전력선으로 아날로그 송신신호를 실어 보내는 전력선 커플러;
    상기 전력선 커플러로부터 전송된 상기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고, 상기 아날로그 송신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상기 전력선 커플러로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용 AFE(Analog Front End)부;
    상기 전력선 통신용 AFE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아날로그 수신신호를 디지털 수신신호로 복조하고, 디지털 송신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송신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전력선 통신용 AFE부로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부;
    상기 전자식 전력량으로부터 전송된 전력량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IP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가 연결되는 확장 포트부; 및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량과 상기 확장 포트부로부터 전송된 검침량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하고, 상기 전력선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 수신신호를 데이터 형태별로 분리하여 상기 확장 포트부로 전송하며, 상기 확장 포트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디지털 송신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 형태별로 분리하여 상기 전력선 통신부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량과 상기 확장 포트부로부터 전송된 검침량을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와, 상기 중앙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량과 상기 확장 포트부로부터 전송된 검침량을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은 상기 수용가의 내부에 설치된 가스/수도 계량기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전력선 통신모듈과, IP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의 통신장치의 데이터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다수의 전력선 통신모뎀과, 다수의 가전제품의 동작을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전력부하 제어장치 및 전력선 제어장치와 접속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은 상기 수용가에 설치된 보안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시크리트 제어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시크리트 제어장치는 상기 전력선을 통해 고속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력선 통신모듈이 내장된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8. 상기 제 1 항 또는 제 4 항의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
    상기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아 분석한 후 IP용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검침용 데이터는 데이터 집중화 장치로 전송하는 마스터;
    상기 마스터로부터 전송된 검침용 데이터를 저장 및 취합하는 데이터 집중화 장치; 및
    상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로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마스터에 의해 상기 데이터 집중화 장치로부터 인출된 상기 검침용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검침용 데이터에 대한 전력 사용요금을 부과하는 원격 서버를 포함하는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미터 게이트 웨이는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마스터로부터 제공받고, 중앙 처리부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전력선 또는 상기 확장 포트부를 통해 해당 통신장치를 제어하는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1020040017247A 2004-03-15 2004-03-15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20050092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47A KR20050092161A (ko) 2004-03-15 2004-03-15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247A KR20050092161A (ko) 2004-03-15 2004-03-15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002U Division KR200353093Y1 (ko) 2004-03-15 2004-03-15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61A true KR20050092161A (ko) 2005-09-21

Family

ID=3727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247A KR20050092161A (ko) 2004-03-15 2004-03-15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21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136A1 (en) * 2005-11-29 2007-06-07 Ls Cable Ltd.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in the system
KR100976566B1 (ko) * 2010-03-05 2010-08-17 조승호 고속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감시카메라를 구비한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KR101013127B1 (ko) * 2008-04-30 2011-02-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미터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다양한지능형 홈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8521289A (zh) * 2018-06-13 2018-09-11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线载波通信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136A1 (en) * 2005-11-29 2007-06-07 Ls Cable Ltd.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in the system
KR101013127B1 (ko) * 2008-04-30 2011-02-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미터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다양한지능형 홈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76566B1 (ko) * 2010-03-05 2010-08-17 조승호 고속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감시카메라를 구비한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CN108521289A (zh) * 2018-06-13 2018-09-11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线载波通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8269A (en) Electric meter tamper detection circuit for sensing electric meter removal
US80268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ter reading and high speed data transfer
US83196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energy network management control system
US7764943B2 (en) Overhead and underground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bypass
US8265776B2 (en) Energ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10082599A1 (en) Optimizing Utility Usage by Smart Monitoring
US20030050737A1 (en) Energy-smart home system
US20120275526A1 (en) Ethernet over power
KR100561749B1 (ko) 전력선 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부가형 미터 게이트 웨이 및그의 케이싱 구조, 이를 이용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20070002771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rate limiting system and method
US10069332B2 (en) Electrical power status indicator
US200702226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networked utility meter
WO2006004112A1 (ja) 電力使用量計測装置及び電力管理システム
KR20100086380A (ko)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635700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원격검침과 인터넷 기능을 접목한시스템
CN100412456C (zh) 商用空调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ES2540554T3 (es) Dispositivo de interfaz para una red de puntos de medición
KR20120135761A (ko) 분전반을 이용한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KR200353093Y1 (ko)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KR20050092161A (ko) 다중 통신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지능형 미터게이트 웨이 및 이를 이용한 고속 전력선 통신 시스템
EP2471189B1 (en) Ethernet over power
JP2017108382A (ja) 住宅
KR20050081976A (ko) 광대역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검침/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349315Y1 (ko) 광대역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 검침/제어 시스템
KR20060016649A (ko) 학습형 리모콘 중계기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