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908A - Direct lighting type back light - Google Patents

Direct lighting type back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908A
KR20050091908A KR1020040079395A KR20040079395A KR20050091908A KR 20050091908 A KR20050091908 A KR 20050091908A KR 1020040079395 A KR1020040079395 A KR 1020040079395A KR 20040079395 A KR20040079395 A KR 20040079395A KR 20050091908 A KR20050091908 A KR 20050091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plate
thickness
diffusion plate
plate
direc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6260B1 (en
Inventor
한유아츠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9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26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판의 변형을 억제하여 발광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부품수가 적은 직하형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는, 광원(10)으로부터의 광을 투과 확산시키는 확산판(4)과 그 확산판(4) 주위에 설치된 프레임부(5)가 일체 성형된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와, 상기 확산판(4)이 배치된 개구부(11)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광원(10)이 배치된 하측 프레임(2)을 구비하며, 확산판(4)은 그 중앙쪽에서 가장자리쪽을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두께 변화부(h)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irect type backlight which can suppress the deformation of the diffuser plate and improve the light emitting quality, and has a low component count. The direct type back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diffuses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a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3 in which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provided around the diffuser plate 4 are integrally molded, and an opening 11 in which the diffuser plate 4 is disposed. And a lower frame 2 having a light source 10 disposed therein at the same time, and the diffusion plate 4 has a thickness change portion h whose thickness increases continuously from the center side toward the edge.

Description

직하형 백라이트{Direct lighting type back light}Direct backlight type back light}

본 발명은 직하(直下)형 백라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type backlight.

액정 표시장치 등에 이용되는 백라이트는 사이드 라이트형 백라이트와, 직하형 백라이트로 대별된다. 이 중 직하형 백라이트는 대형화에 적합하며 고휘도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특히 대형 평면 발광창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액정 표시장치에서 예컨대 15인치 이상의 대형 화면에 이용되는 평면 발광장치로서 직하형 백라이트가 이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Backlights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s and the like are roughly classified into side light type backlights and direct type backlights. Among these, the direct type backlight has been widely used as a large flat light emitting device because it is suitable for large size and has a high brightness easily. In addition, a case where a direct type backlight is used as a flat light emitting device used for a large screen of 15 inches or mor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increasing.

종래의 일반적인 직하형 백라이트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액정 패널 등의 표시부나 광학 시트가 이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선형의 광원(31)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백라이트는, 여러개의 광원(램프)(31)와,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에 광원(31)을 갖는 케이싱으로서의 하측 프레임(32)과, 하측 프레임의 내면에 마련된 반사층(33)과, 액정 패널(40) 등의 표시부가 설치되는 테형 상측 프레임(34)과, 상측 프레임(34)과 하측 프레임(32)에 끼워져 지지된 광학 시트(35) 및 확산판(36)으로 구성된다. 광원(31)은 냉음극관 형태의 형광등이 이용된다. 상측 프레임(43)에는 액정 패널 등의 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해 수지제의 가이드 리브(37)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도 7에 도시한 예와 같이 종래의 직하형 백라이트에서는 상측 프레임(34)과 확산판(36)은 각각 별개의 부재로 되어 있으며 확산판(36)만 단독으로 하나의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또 확산판(36)은 그 전체에 걸쳐 두께가 일정한 평판형 부재로 되어 있다(예컨대,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A conventional general direct type backligh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 the case where a display part,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or an optical sheet is used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ear light source 31. As shown in FIG. 7, the backligh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lamps) 31, a lower frame 32 as a casing having an opening, and a light source 31 therein, and a reflective layer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33, a rim-shaped upper frame 34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40, an optical sheet 35 and a diffusion plate 36 sandwiched and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34 and the lower frame 32; It is composed. As the light source 31, a fluorescent lamp in the form of a cold cathode tube is used. The upper frame 43 is provided with a resin guide rib 37 for supporting display portions such as a liquid crystal panel.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in the conventional direct type backlight, the upper frame 34 and the diffusion plate 36 are each separate members, and only the diffusion plate 36 forms a single member. Moreover, the diffuser plate 36 is a flat plate-shaped member whose thickness is constant throughout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below).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평10-10634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106342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제2002-182184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82184

상기 종래의 직하형 백라이트는, 확산판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변형이 발생하는 것은 확산판의 자중 외에 외부 응력의 영향,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 반사 시트로부터의 열의 영향 등이 원인이다. 확산판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면 투과광의 확산의 균일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백라이트로서의 발광 품위가 저하된다. 또 예컨대 액정 패널과 같은 표시부나 광학 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확산판의 변형에 따라 이들 광학 시트나 액정 패널에도 변형이 발생하여 액정 표시 얼룩이 발생한다. 또 상측 프레임 등과 확산판이 별개이기 때문에 백라이트의 부품수가 증가하고 부품의 관리 비용이나 백라이트의 조립 공정수의 증가에 의한 조립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도 있다.The conventional direct type backlight has a problem that deformation such as warpage is likely to occur in the diffusion plate. The deformation is caused by the influence of external stress, change over time, the influence of heat from the reflective sheet, in addition to the self weight of the diffusion plate. When deformation such as warpage occurs in the diffusion plate, the uniformity of diffusion of transmitted light is lower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quality as a backlight is lowered. For example, when using a display part or an optical sheet like a liquid crystal panel,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lso arises in these optical sheets or a liquid crystal panel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of a diffuser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evenness arises. In addition, since the upper frame and the diffusion plate are separ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parts of the backlight is increased and the assembly cost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parts management cost or the number of backlight assembly processes.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확산판의 변형을 억제하여 발광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부품수가 적은 직하형 백라이트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situation, Comprising: It aims at setting it as the direct type backlight which can suppress the deformation | transformation of a diffuser plate, and can improve the light emitting quality, and there are few components.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과 확산시키는 확산판과 그 확산판 주위에 마련된 프레임부가 일체 성형된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와, 상기 확산판이 배치된 개구부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광원이 배치되는 하측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판은 그 중앙쪽에서 가장자리쪽을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두께 변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rect type back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ffuser plate for transmitting and diffu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a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in which a frame portion provided around the diffuser plate is integrally formed, and an opening in which the diffuser plate is disposed, and at the same time a light source therein. It is provided with the lower frame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The said diffusion plate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thickness change part which continuously increases in thickness toward the edge from the center side.

이와 같이 하면 확산판과 프레임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에 의해 확산판이 보강되어 그 확산판의 변형이 억제됨과 동시에 부품수가 감소된다. 또 두께 변화부에 의해 확산판에 작용하는 자중 등의 응력이 분산되어 확산판이 잘 휘지 않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diffusion plate and the fram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diffusion plate is reinforced by the frame portion, thereby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diffusion plate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In addition,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disperses the stress such as the magnetic weight acting on the diffuser plate, so that the diffuser plate is hardly bent.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에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두께 변화부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확산판 전체가 두께 변형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판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를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구성이 되어 확산판의 휨이 최소한으로 된다. 또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도 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화상용 백라이트로서 높은 발광 품위를 얻을 수 있다.In the direct backlight, the diffusion plate may be constituted of only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In this case, since the entire diffuser plate is a thickness deformation portion, the thickness i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toward the edge portion, thereby minimizing the warpage of the diffuser plate.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portion has higher luminance than the edge por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light emitting quality, especially as an image backlight.

또 상기 확산판은 그 중앙쪽에서 가장자리쪽을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두께 변화부와, 두께가 일정한 동일 두께부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동일 두께부에서는 투과율이 일정해지고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쉽기 때문에 동일 두께부와 두께 변화부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휘도의 균일성과 휨의 억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께 변화부가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동일 두께부가 상기 두께 변화부의 중앙쪽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동일 두께부에 의해 확산판 중앙부의 휘도가 균일해지고 또 두께 변화부에 의해 확산판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화상용 백라이트로서 높은 발광 품위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usion plate may be constituted of a thickness change portion where the thickness continuously increases from the center side toward the edge and the same thickness portion having a constant thickness. In the same thickness part, since 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becomes constant and brightness is easy to be uniform, both uniformity of brightness and suppression of curvature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suitably the same thickness part and thickness change par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thickness change part is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said diffusion plate, and the said same thickness part is provided in the center side of the said thickness change part. In this manner, the luminan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is made uniform by the same thickness portion, and the warpage of the diffuser plate by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portion has higher luminance than the edge por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light emitting quality especially as an image backlight.

확산판의 두께는 0.5㎜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5㎜보다 얇은 경우에는 강성이 부족하여 변형되기 쉽고 또 광의 확산이 부족하여 발광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 5㎜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자중이 너무 커져서 쉽게 휘거나 재료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 확산판의 두께를 0.5㎜∼5㎜의 범위로 함으로써 확산판의 두께의 차가 너무 커져서 휘도가 지나치게 불균일해지는 것이 억제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a diffusion plate is 0.5 mm or more and 5 mm or less. This is because when the thickness is thinner than 0.5 mm, the rigidity is insufficient and the deformation is easy, and light diffusion is insufficient and the light emitting quality may be degraded. If the thickness is larger than 5 mm, the self weight may be too large to bend easily, or the amount of material used may increase, leading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Moreover, by making the thickness of a diffuser plate into the range of 0.5 mm-5 mm, it becomes suppress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thickness of a diffuser plate becomes too large and brightness becomes too nonuniform.

상기 확산판의 표면은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면 그 부분의 발광이 불균일해져 발광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said diffusion plate is continued smoothly. This is because when there is a portion that is not smoothly continuous, the light emission of the portion is uneven and the light emitting quality may be degra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1)의 개략적인 구성을 전개 사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그 단면도(광원(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직하형 백라이트(1)는 위쪽에 개구부(11)를 갖는 상자형 하측 프레임(2)과, 이 하측 프레임(2) 내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여러개의 광원(10)을 구비하고 있다. 또 직하형 백라이트(1)는 하측 프레임(2)의 상기 개구부(11)를 막도록 그 개구부(11)에 배치된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와, 이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의 외면을 따라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 2장의 광학 시트(12,13)와, 이들 광학 시트(12,13) 중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쪽의 광학 시트(12)와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를 서로 접착하는 양면 테이프(14)를 구비하고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rect backlight 1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10). Cross section in one section). The direct backlight 1 includes a box-shaped lower frame 2 having an opening 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several light sources 1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side the lower frame 2. In addition, the direct backlight 1 includes a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disposed in the opening 11 so as to block the opening 11 of the lower frame 2, and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Two optical sheets 12 and 13 dispos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long the outer surface, and among these optical sheets 12 and 13, the optical sheet 12 and the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on the diffuser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side ( The double-sided tape 14 which adhere | attaches 3) is provided.

하측 프레임(2)과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는 연결기구(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기구로는 예컨대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의 측면(16)에 돌기부를 마련하는 한편 하측 프레임(2)의 내벽(2a)에 상기 돌기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을 마련하여 이 돌기부와 결합공을 결합시킨 것을 채용할 수 있으며 기타 나사 등의 각종 기구를 채용할 수도 있다.The lower frame 2 and the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chanism (not shown). As the connecting mechanism, for example, the projection part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16 of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art 3, and the engaging part that can engage with the projection part is provided in the inner wall 2a of the lower frame 2, and this projection part is provided. And a combination of the coupling holes can be employed, and other mechanisms such as screws can also be employed.

또 하측 프레임(2)의 재질로는 방열성이나 기계적 강도, 형상 안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하측 프레임(2)의 저면과 광원(10) 사이에는 직하형 백라이트(1)의 발광 효율을 높이고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반사판(15)이 설치되어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lower frame 2, a metal such as aluminum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mechanical strength, and shape stability can be suitably used. In addition, a reflector 15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2 and the light source 10 in order to increas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direct backlight 1 and to improve the brightness.

도 2는 반사판 일체 프레임부(3)를 외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는 광원(10)으로부터의 광을 투과 확산시켜 발광면이 되는 확산판(4)과, 이 확산판(4)의 주위에 마련된 프레임부(5)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부(5)는 확산판(4)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다. 또 확산판(4)의 외면(4a)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 확산판(4)의 외면(4a)은 직사각형이 되며 액정 표시장치의 액정 화면에 거의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reflector integrated frame portion 3 seen from the outer surface side,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As shown in FIG. 4, the diffuser integrated frame part 3 is configured to diffuse and diffus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0 to form a light emitting surface, and a frame part provided around the diffuser plate 4. It consists of (5). The frame portion 5 is thicker than the diffusion plate 4. Moreover,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is planar. Moreover,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becomes a rectangle, and becomes substantially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iquid crystal scree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프레임부(5)는 확산판(4)에 인접하여 그 주위에 마련되어 확산판(4)의 외면(4a)보다 한층 높게 되어 있는 제1단차부(5a)와, 이 제1단차부(5a) 주위에 마련되어 그 제1단차부(5a)보다 한층 높게 되어 있는 제2단차부(5b)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광학 시트(12,13) 중 내측의 광학 시트(12)는 제1단차부(5a)에 의해 면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며 이 광학 시트(12)의 외측에 배치된 광학 시트(13)는 제2단차부(5b)에 의해 면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The frame part 5 is adjacent to the diffuser plate 4, and is provided around the first step portion 5a, which is further higher than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first step portion 5a. It is provided with the 2nd step part 5b provided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and being higher than the 1st step part 5a. As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f FIG. 3, the inner optical sheet 12 of the two optical sheets 12 and 13 is restricted in the in-plane direction by the first step portion 5a, and the optical sheet 12 Movement of the optical sheet 13 disposed outside of the X-axis in the in-plane direction is regulated by the second step portion 5b.

또 프레임부(5)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데 그 외면의 네 귀퉁이에는 제2단차부(5b)의 외주를 따라 돌출된 가이드 돌기(5c)가 마련되어 있다. 4개의 가이드 돌기(5c) 각각은 직사각형인 제2단차부(5b) 외주의 장변 및 단변을 따른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직하형 백라이트(1)에 액정 화면(20)을 장착하여 액정 표시장치로 하는 경우에는 이 가이드 돌기(5c)의 내측에 도 3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액정 화면(20)을 끼워 넣는다. 그렇게 하면 가이드 돌기(5c)에 의해 액정 화면(20)의 내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액정 화면(20)이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에 고정된다. 또 본 제1실시형태와는 다르지만 이 가이드 돌기(5c) 내에 광학 시트(12,13))을 끼워 넣어 가이드 돌기(5c)에 의해 광학 시트의 면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e overall shape of the frame part 5 becomes substantially rectangular, the guide protrusion 5c which protrude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2nd step part 5b is provid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outer surface. Each of the four guide protrusions 5c has a portion along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tepped portion 5b which are rectangular.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20 is mounted on the direct type backlight 1 to form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20 shown in FIG. 3 as an imaginary line is inserted inside the guide protrusion 5c. Then, the movement to the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screen 20 is regulated by the guide protrusion 5c, and the liquid crystal screen 20 is fixed to the diffuser integrated frame part 3. Moreover, al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is 1st Embodiment, you may make it the structure which the optical sheet 12,13 is sandwiched in this guide protrusion 5c, and the movement in the in-plane direction of an optical sheet is controlled by the guide protrusion 5c. .

이와 같이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에는 그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의 외측에 설치하는 부재(광학 시트(12,13)나 액정 화면(20) 등)의 면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으로서 가이드 돌기(5c)나 단차부(5a,5b)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재(광학 시트(12,13)나 액정 화면(20) 등)가 쉽게 장착되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규제수단(가이드 돌기(5c)나 단차부(5a,5b))은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 화면 고정용 리브 등을 별도의 부재로 하여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 공정도 적어진다.In this way,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regulates the movement in the in-plane direction of the members (optical sheets 12 and 13, the liquid crystal screen 20, etc.) provided outside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Since the guide protrusions 5c and the stepped portions 5a and 5b are provided as the restricting means, the members (the optical sheets 12 and 13, the liquid crystal screen 20 and the like) are easily mounted. In addition, since these restricting means (guide protrusions 5c and stepped portions 5a and 5b) are integrally formed as the diffusion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3, when a liquid crystal screen fixing rib or the like is mounted as a separate member, In comparison,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assembly process is reduc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광학 시트(12,13) 중 확산판(4) 쪽의 광학 시트(12)는 열에 의한 신축을 고려하여 소정 간극(clearance)이 마련된 상태에서 제1단차부(5a)의 단차 내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 시트(12)의 외측에 배치된 광학 시트(13)는 광학 시트(12)보다 면적이 크며 제2단차부(5b)와 광학 시트(13)가 양면 테이프(14)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학 시트(13)가 덮개로서 기능하여 광학 시트(12)를 덮고, 또 광학 시트(12)는 제1단차부(5a)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광학 시트를 확산판(4) 외측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광학 시트를 종래의 확산판(별개의 부재)과 고착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왜냐하면 확산판이 평면이고 또 단부에서 풀이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키면 확산판의 변형(휨)이 광학 시트의 휨을 초래하기 때문이며, 또 단부를 풀 등의 접착제로 고정시킨 고정 부분을 발광 영역 밖에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확산판이 커지고 또 백라이트 자체가 대형화된다는 폐해가 있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3, of the two optical sheets 12 and 13, the optical sheet 12 on the diffusion plate 4 side has the first stepped portion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clearance i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heat. It is accommodated in the step of 5a). And the optical sheet 13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optical sheet 12 is larger than the optical sheet 12, and the 2nd step part 5b and the optical sheet 13 are fixed by the double-sided tape 14. . In this case, since the optical sheet 13 functions as a cover and covers the optical sheet 12, and the optical sheet 12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tepped portion 5a, the plurality of optical sheets are spread over the diffusion plate 4. )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outside. Moreover, it is difficult to fix several optical sheets with the conventional diffuser plate (separate member). This is because if the diffuser plate is flat and fixed at the end with glue or adhesive, the deformation (bending) of the diffuser plate causes warpage of the optical sheet, and it is not necessary to place the fixing portion at which the end is fixed with glue such as glue outside the light emitting area. This is because there is a danger that the diffusion plate becomes larger and the backlight itself becomes larger.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는 그 전체가 동일한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가 수지제이기 때문에 성형하기 쉽고, 또 확산판(4)과 프레임부(5)가 동일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확산판(4)과 프레임부(5) 간의 재료 물성의 차이가 줄어들어 양자의 수축율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뒤틀림이 억제되고 그 뒤틀림에 의해 발생하는 확산판(4)의 변형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가 수지제이면 프레임부(5)가 금속제인 경우에 비해 차열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액정 표면(20)에 백라이트의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다.The whol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same resin. In this case, since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is made of resin, it is easy to mold, and since the diffusion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are made of the same resin, the diffusion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are formed. Differences in the material properties therebetween are reduced so that distor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shrinkage of both is suppressed, and deformation of the diffusion plate 4 caused by the distortion is more effectively suppressed. In addition, when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is made of resin, heat shielding characteristics are superior to the case where the frame portion 5 is made of metal, so that heat of the backlight is hardly transferred to the liquid crystal surface 20.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확산판(4)과 프레임부(5)를 동일한 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확산판(4)으로서의 투과광 확산 기능이 우수하고 또 성형 용이성이나 액정 패널 등에 대한 차열(遮熱) 특성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흰색 계통(유백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또 일체 성형의 방법으로서 사출 성형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확산판 일체형 상측 프레임의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he case where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diffused light diffusion function as the diffuser plate 4 is excellent. Materials having excellent heat shielding properties for panels and the like are preferable, and polycarbonate resins, acrylic resins, polypropylene resins and the like of white systems (milky white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Moreover, when injection molding is employ | adopted as a method of integrated molding, since the productivity of a diffuser plate integrated upper frame becomes high, it is more preferabl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판(4) 및 프레임부(5)가 일체 성형된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 중의 확산판(4)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며 그 확산판(4)의 중앙쪽에서 가장자리쪽을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두께 변화부(h)와, 두께가 일정한 동일 두께부(t)로 이루어진다. 두께 변화부(h)는 확산판(4)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되며 동일 두께부(t)가 두께 변화부(h)의 중앙쪽(확산판(4)에서의 중앙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확산판(4)의 단면은 대략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도 4 참조). 동일 두께부(t)는 그 전체가 평판형이며 또 동일 두께부(t)의 중심점(c)(동일 두께부(t)의 무게중심으로부터 확산판(4)의 외면(4a)으로 내려그은 수직선과 그 외면(4a)과의 교차점)은 확산판(4)의 중심점(c)(확산판(4)의 무게중심으로부터 확산판(4)의 외면(4a)으로 내려그은 수직선과 그 외면(4a)과의 교차점)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확산판(4)의 자중이 확산판(4)의 가장자리 부분에 균등하게 분산되기 쉽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diffuser plate 4 in the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3 in which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are integrally formed is not uniform in thickness, and the diffusion plate 4 is It consists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which thickness increases continuously from a center side toward an edge part, and the same thickness part t which is constant in thickness. The thickness change part h is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same thickness part t is located in the center side (center side in the diffuser plate 4)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As a result, the cross section of the diffuser plate 4 becomes substantially arcuate (refer FIG. 4). The same thickness portion t is flat in its entirety and is a vertical line drawn down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same thickness portion t to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ame thickness portion t. And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surface 4a) with the vertical line c and the outer surface 4a lowered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diffuser plate 4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ffuser plate 4 to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Intersection with)). Therefore, the self weight of the diffuser plate 4 is easily distributed evenly to the edge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4.

그리고 확산판(4)의 두께 분포는 동일 두께부(t)에서 가장 얇고 두께 변화부(h)의 가장자리(즉 확산판(4)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두껍게 되어 있다. 그리고 확산판(4)의 최소 두께(t1)는 0.5㎜ 이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 확산판(4)의 최대 두께(t2)는 5㎜ 이하로 되어 있다. 또 프레임부(5)의 두께(최대 두께)(t5)는 확산판(4)의 최대 두께(t2)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diffuser plate 4 is the thinnest at the same thickness portion t and the thickest at the edge of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h (that is, at the edge of the diffuser plate 4). The minimum thickness t1 of the diffusion plate 4 is 0.5 mm or more, and the maximum thickness t2 of the diffusion plate 4 is 5 mm or less. Further, the thickness (maximum thickness) t5 of the frame portion 5 is thick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t2 of the diffusion plate 4.

상기와 같이 확산판(4)의 외면(4a)은 평면이기 때문에 확산판(4)의 내면(4b)을 전체적으로 비평면으로 함으로써 확산판(4)의 두께 변화가 부여되어 있다. 확산판(4)의 표면(외면(4a) 및 내면(4b))에는 단차가 없기 때문에 그 단차에 의한 이상 발광(그 단차가 발광면에서 띠형무늬로 보이는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확산판(4)의 표면(외면(4a) 및 내면(4b))에는 단순히 단차가 없는 것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다. 즉 동일 두께부(t)와 두께 변화부(h)의 경계는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으며 또 두께 변화부(h)의 표면(두께 변화부(h)의 내면 및 외면)도 원활하게 연속되어 있다. 또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인데 이와 직교하는 방향, 즉 도 2의 B-B선 단면도(미도시)도 도 4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두께 변화부(h)의 두께 변화는 직사각형인 확산판(4)의 장변 방향 및 단변 방향 모두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확산판(4)은 오목렌즈형의 두께 분포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is flat, the thickness change of the diffuser plate 4 is imparted by making the inner surface 4b of the diffuser plate 4 entirely non-planar. Since there are no steps on the surfaces (outer surface 4a and inner surface 4b) of the diffusion plate 4, no abnormal light emission due to the step (the step is seen as a band-shaped pattern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does not occur. The surfaces (outer surface 4a and inner surface 4b) of the diffusion plate 4 are not only free from steps but are smoothly continuous as a whole. That is, the boundary between the same thickness part t and the thickness change part h is smoothly continued, and the surface (inner surface and outer surface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is also smoothly continu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but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is, that is,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not shown) of FIG. 2,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FIG. That is, the thickness change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changes both the long side direction and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diffusion plate 4. The diffuser plate 4 has a concave lens-shaped thickness distribution.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판(4)은, 확산판(4)의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의 임의 위치에서의 단면(확산판(4)의 외면(4a)에 수직한 단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외면(4a)에 수직하고 또 그 외면(4a)의 단면선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직선(tx)에 관해 선대칭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확산판(4)의 중심점(c)을 지나며 확산판(4)의 외면(4a)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의한 단면 형상이, 그 중심점을 지나며 외면(4a)의 단면선에 수직한 직선(tz)에 대해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확산판(4)의 두께 분포는 대칭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확산판(4)의 자중이 더욱 균등하게 분포되어 그 자중에 의한 확산판(4)의 변형이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 확산판(4)의 휘도 분포도 대칭 상태가 되어 발광 품위가 높아진다.Moreover, as shown in FIG. 4, the diffuser plate 4 has a cross section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at arbitrary position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and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diffuser plate 4. The cross-sectional shape is linear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tx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4a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of the cross-sectional line of the outer surface 4a. Moreover, the cross-sectional shape by any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c of the diffuser plate 4 and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is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and perpendicular to the cross-sectional line of the outer surface 4a. It is linearly symmetric about (tz). Therefore, since 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diffuser plate 4 is in a symmetrical state, the self weight of the diffuser plate 4 is more evenly distributed, so that deformation of the diffuser plate 4 due to the self weight is very effectively suppressed, and the diffuser plate 4 The luminance distribution is also in a symmetrical state, and the light emitting quality is increas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직하형 백라이트(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The direct type backlight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확산판(4)과 프레임부(5)가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프레임부(5)에 의해 확산판(4)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판(4)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 프레임부(5)의 두께(최대 두께)(t5)는 확산판(4)의 최대 두께(t2)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부(5)에 의한 확산판(4)의 보강 효과가 한층 향상된다. 또 프레임부(5)와 확산판(4)이 별도의 부재인 경우에 비해 직하형 백라이트(1)이 부품수가 감소된다.Since the diffusion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diffusion plate 4 is reinforced by the frame portion 5, the deformation of the diffusion plate 4 is suppressed. Moreover, since the thickness (maximum thickness) t5 of the frame part 5 is thicker than the maximum thickness t2 of the diffuser plate 4, the reinforcing effect of the diffuser plate 4 by the frame part 5 is further improved. do. In addition, the number of parts of the direct type backlight 1 is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rame portion 5 and the diffusion plate 4 are separate members.

또 두께 변화부(h)에 의해 확산판(4)에 작용하는 자중 등의 응력이 분산되어 확산판(4)이 잘 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change part h disperses stresses such as the magnetic weight acting on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diffuser plate 4 is less likely to bend.

또 동일 두께부(t)에서는 광의 투과율이 일정해지고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 두께부(t)와 두께 변화부(h)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휘도의 균일성과 휨의 억제를 모두 달성함과 동시에 원하는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 두께 변화부(h)가 확산판(4)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동일 두께부(t)가 두께 변화부(h)의 중앙쪽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판(4) 중앙부의 휘도가 균일해지고 또 확산판(4)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확산판(4)의 자중에 의한 휨에 대해서는, 두께 변화부(h)보다 얇은 동일 두께부(t)가 확산판(4)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그 확산판(4)의 중앙부가 경량화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 변화부(h)에 의한 자중 응력 분산 효과와 함께 확산판(4)의 자중에 의한 휨이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된다.In the same thickness part t, the light transmittance is constant and the brightness can be made uniform. Therefore, by combining the same thickness part t and the thickness change part h properly, both luminance uniformity and suppression of warpage are achieved. At the same time, the desired luminance distribution can be obtained. Moreover, since the thickness change part h is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same thickness part 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the luminance of the center part of the diffuser plate 4 becomes uniform, The warpage of the diffusion plate 4 can be suppressed. In particular, regarding the bending caused by the weight of the diffuser plate 4, the same thickness portion t, which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h,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4, whereby the center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4 is thus provided. Since the weight is reduced, the warpage caused by the weight of the diffusion plate 4 is improved very effectively together with the self-weight stress dispersion effect caused by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h.

또 두께 변화부(h)보다 얇은 동일 두께부(t)가 두께 변화부(h)의 중앙쪽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판(4) 내의 휘도 분포는 확산판(4)의 가장자리부보다 중앙부가 비교적 밝아진다. 가장자리부보다 중앙부가 밝은 경우 발광면이 아름답게 보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발광 품위가 높아진다. 특히 액정 화면 등에서 화상을 비추어 보내는 경우에는 화면의 가장자리부보다도 중앙부를 밝게 하는 것이 화상이 아름답게 보이기 때문에 특히 액정 화면이나 액정 테레비젼 등에 이용하는 화상 표시장치용 백라이트에 적합한 발광 품위를 얻을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same thickness part t thinner than the thickness change part h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the luminance distribution in the diffuser plate 4 is relatively brighter in the center part than the edge part of the diffuser plate 4. Lose. If the center part is brighter than the edge part, the light emitting surface tends to look beautiful, so that the light emitting quality is increased. In particular, when an image is projected from a liquid crystal screen or the like, brightening the center portion rather than the edge portion of the screen makes the image look beautiful, so that a light emitting quality suitable for a backlight for an image display device used for a liquid crystal screen, a liquid crystal TV or the like can be obtained.

확산판(4)의 두께는 0.5㎜ 이상 5㎜ 이하로 되어 있다. 확산판(4)의 두께가 0.5㎜보다 얇은 경우 확산판(4)의 강성이 부족하여 쉽게 변형되거나 또 광의 확산이 부족하여 발광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확산판의 두께가 5㎜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확산판(4)의 자중이 지나치게 커져서 쉽게 휘거나 재료의 사용량이 많아져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확산판(4)의 두께를 0.5㎜∼5㎜ 범위 내로 하여 상기 문제점을 최소한으로 하고 있다. 또 확산판(4)의 두께를 0.5㎜∼5㎜ 범위로 함으로써 두께 변화부(h)에서의 확산판(4)의 두께의 차이가 지나치게 커져서 휘도가 과도하게 불균일해지는 것이 억제된다.The thickness of the diffuser plate 4 is 0.5 mm or more and 5 m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diffuser plate 4 is thinner than 0.5 mm, the rigidity of the diffuser plate 4 may be insufficiently deformed, or the light emission quality may be degraded due to insufficient diffusion of light. Moreover, when the thickness of a diffuser plate is thicker than 5 mm, the self-weight of the diffuser plate 4 may become large too much, it may bend easily, or the usage-amount of material may increase and manufacturing cost may increa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oblem is minimized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plate 4 to be within a range of 0.5 mm to 5 mm. Moreover,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diffuser plate 4 into the range of 0.5 mm-5 mm, it becomes suppress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thickness of the diffuser plate 4 in the thickness change part h becomes large too much, and unevenness | luminance becomes excessively uneven.

또 확산판(4)의 표면은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발광 품위를 얻을 수 있다.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면 그 부분의 발광이 특히 뷸균일해지고 발광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는데, 매끄럽게 연속됨으로써 확산판(4)의 단면선에서 각이 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절곡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발광 품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확산판(4)의 표면이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확산판(4)의 외면(4a)에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의한 확산판(4)의 단면의 윤곽선을 고려했을 때 이 윤곽선은 그 윤곽선 상의 모든 점에서 접선을 그을 수 있는 정도로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since the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4 is smoothly continued, high light emission quality can be obtained. If there is a part that is not smoothly continuous, the light emission of the part may be particularly uneven and the light emission quality may be degraded. Since there is no angle at the cross-sectional line of the diffusion plate 4 due to the smooth continuous (bent part Light emission quality increases).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4 is smoothly continuous. More preferably, the cross section of the diffusion plate 4 is formed by an arbitrar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ion plate 4. In consideration of the contour of,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our line is smoothly continuous to draw a tangent line at all points on the contour line.

종래 자중 등의 의한 확산판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확산판(4)의 중앙부 부근에 확산판을 내면측에서 지지하는 지지핀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상기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에서는 자중 등에 의한 휨이 최소한으로 되기 때문에 지지핀 등의 수를 줄이거나 지지핀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e warpage of the diffusion plate due to its own weight or the like, a support pin for supporting the diffusion plate on the inner surface side has been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ffusion plate 4. Since the warpage is minimized, the number of support pins or the like can be reduced or the support pins can be eliminated.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상측 프레임(34)(도 7 참조)은 비용 등을 고려하여 스테인리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경우 광원, 특히 전극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해 비교적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제 프레임의 온도가 높아진다. 액정 패널이 이 금속 프레임에 접하고 있는 경우 그 부분에서의 액정 패널의 온도가 부분적으로 높아져서 액정 패널의 온도 분포가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액정 화면에 색번짐 등의 품위 저하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금속성 프레임과 액정 패널 사이에 차열용 수지(발포수지 스페이서)를 설치함과 동시에 액정 패널을 고정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 리브도 수지제로 할 필요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프레임부(5)를 포함하는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가 수지에 의해 제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금속에 비해 열전도율이 작아진다. 따라서 액정 패널을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에 직접 장착한 액정 표시장치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차열용 수지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고 또 액정 패널 내의 온도차에 의한 액정 화면의 품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가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 표시용 직하형 백라이트로서 더욱 적합해진다.In the prior art, the upper frame 34 (see FIG. 7) is often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luminum in consideration of cost, etc. In this case, metal having a relatively good thermal conductivity due to heat radiation from a light source, especially an electrode, is used. The temperature of the frame rises. When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frame,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t that portion becomes partially high, and thu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becomes nonuniform, causing deterioration such as color bleeding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In this cas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 guide rib for fixing the liquid crystal panel while fixing the heat shielding resin (foaming resin spacer) between the metallic frame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When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including the frame portion 5 is made of resi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ermal conductivity is smaller than that of the metal. Accordingly, the liquid crystal panel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quid crystal panel is directly attached to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heat shielding resin, and suppres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liquid crystal panel. can do. Thus, when the diffuser integrated frame part 3 is formed of resin, it is further suitable as a direct type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백라이트에서는, 확산판(36)과 상측 프레임(34)이 별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의 치수 공차, 수축율의 차이, 변형 등을 고려하여 양자간에 일정한 간극이 마련되어 있었다. 따라서 백라이트의 치수가 대형화될 뿐 아니라 빈틈으로부터 이물질(집안 먼지, 담뱃재 등)이 침입하기 쉬웠다. 또 클리어런스의 설정 불량으로 인해 확산판(36)이 변형되거나 확산판(36)과 상측 프레임(34)이 서로 마찰되어 상처가 생기거나 또는 이 마찰에 의한 부스러기가 백라이트 내부에 부착되어 발광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backlight shown in Fig. 7, since the diffusion plate 36 and the upper frame 34 are separate, a constant gap is provided between the two in consideration of the dimensional tolerance, the difference in shrinkage rate, the deformation, and the like. As a result, the size of the backlight was not only increased, but foreign matters (house dust, cigarette ash, etc.) were easily invaded from the gaps. In addition, the diffusion plate 36 is deformed due to a poor setting of the clearance, the diffusion plate 36 and the upper frame 34 are rubbed with each other, and scratches occur, or debris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acklight to deteriorate the emission quality. There was a case.

이에 대해, 상기 제1실시형태의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에서는 확산판(4)과 프레임부(5) 사이에 간극이 없기 때문에 백라이트 내부에 이물질(집안 먼지, 담뱃재 등)이 침입하기 어려워져, 확산판(4)의 내부(특히 내면(4b))에 이물질이 부착됨으로 인한 발광 품위의 열화가 억제됨과 동시에 직하형 백라이트(1)가 소형화되고 또 클리어런스의 설정 불비에 의한 확산판(4)의 변형도 없다.On the other hand, in the diffuser integrated frame part 3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re is no gap between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frame part 5, foreign matter (house dust, cigarette ash, etc.) is difficult to enter the backlight. The deterioration of the light emitting quality due to the adhesion of foreign matter to the inside of the diffuser plate 4 (especially the inner surface 4b) is suppressed, and the direct backlight 1 is miniaturized and the diffuser plate 4 due to the setting failure of the clearance. ) There is no variation.

또 종래기술(도 7 참조)과 같이 상측 프레임(34), 확산판(36), 광학 시트(35)가 각각 별개로 독립되어 있으며 광학 시트(35)가 확산판(36)에 고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들 부재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없기 때문에 번거롭고 또 확산판(36)과 광학 시트(35) 사이 또는 광학 시트(35) 상호간(광학 시트(35)가 복수인 경우)에 이물질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특히 광원의 램프(31)를 교환할 때에는 상측 프레임(34), 확산판(36), 광학 시트(35)가 각각 별도로 빼내어지기 때문에 번거로운데다가 이물질이 침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램프 교환을 크린룸에서 실행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에 광학 시트(12,13)을 고착시킴으로써 이들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 및 광학 시트(12,13)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10)의 램프 교환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 그 램프 교환시에 광학 시트(12,13) 사이 또는 광학 시트(12,13)과 확산판(4) 사이에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는다.In addition, as in the prior art (see FIG. 7), the upper frame 34, the diffusion plate 36, and the optical sheet 35 are each independently separated, and the optical sheet 35 is not fixed to the diffusion plate 36. In this case, since these members cannot be handled integrally, it is cumbersome and foreign matter enters between the diffusion plate 36 and the optical sheet 35 or between the optical sheets 35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35). There is concern. In particular, when the lamp 31 of the light source is replaced, the upper frame 34, the diffusion plate 36, and the optical sheet 35 are separately taken out, which is cumbersome, and the possibility of foreign matter invading becomes very high. In this case, therefore, troublesome lamp replacement is performed in a clean room. Since the optical sheet 12 and 13 are fixed to the diffuser integrated frame part 3 as in this embodiment, these diffuser integrated frame parts 3 and the optical sheets 12 and 13 can be handled integrally. The lamp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10 becomes easy, and foreign matter does not enter between the optical sheets 12 and 13 or between the optical sheets 12 and 13 and the diffusion plate 4 at the time of lamp replacement.

또 두께 변화부(h)의 두께 분포를 적절히 연구하거나 또는 두께 변화부(h)와 동일 두께부(t)의 배치를 적절히 연구함으로써 발광면의 휘도 분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uminanc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ing surface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appropriately studying 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varying portion h or by appropriately studying the arrangement of the thickness varying portion h and the same thickness portion t.

또 확산판(4)과 프레임부(5)는 일체이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서의 덜거덕거림이 없어 직하형 백라이트(1)를 흔들었을 때의 발생음이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매우 조용한 직하형 백라이트(1)로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ffuser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are integral, there is no rattling between them, and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direct type backlight 1 is shaken to a minimum is suppressed to be very quiet. It is.

도 5(a)∼(d)는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5A to 5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modification of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ortion 3.

도 5(a)는 확산판(4)의 전체가 두께 변화부(h)이다. 즉 이 확산판(4)은 그 중앙쪽에서 가장자리쪽을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두께 변화부(h)만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확산판(4)의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은 확산판(4)의 중심점(c)(즉 확산판(4)의 무게중심으로부터 확산판(4)의 외면(4a)으로 내려그은 수직선과 그 외면(4a)의 교차점) 의 위치로 되어 있다.In FIG. 5A, the entirety of the diffusion plate 4 is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h. That is, this diffuser plate 4 consists only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whose thickness continuously increases toward the edge from the center side. The thinnest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4 is a vertical line drawn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diffuser plate 4 (ie,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ffuser plate 4 to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and its vertical line). The intersection of the outer surface 4a).

이와 같이 하면 확산판 전체가 두께 변화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판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를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확산판의 휨이 최소한이 된다. 또 중앙부가 가장자리부보다 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화상용 백라이트로서 높은 발광 품위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확산판(4)의 두께가 가장 얇은 부분은 확산판(4)의 중심점(c)의 위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판(4)에 작용하는 자중은 균등하게 분산되기 쉬워 자중에 의한 휨이 줄어든다.In this case, since the entire diffusion plate is a thickness change portion, the thickness i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diffusion plate toward the edge portion, thereby minimizing the warpage of the diffusion plate.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portion has higher luminance than the edge por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light emitting quality especially as an image backlight. Moreover, since the thinnest part of the diffuser plate 4 is located at the center point c of the diffuser plate 4, the magnetic weight acting on the diffuser plate 4 tends to be evenly distributed, thereby reducing the warpage caused by the self weight. .

또 도 5(a)의 변형예에서는 확산판(4)의 외면(4a)은 평면이고 또 확산판(4)의 내면(4b)은 구면(球面)형의 곡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의 단면도(확산판(4)의 장변 및 단변에 평행한 단면에서의 단면도)에서는 내면(4b)의 단면선은 그 전체 범위에 대해 곡률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께 변화부(h) 내면의 단면 형상을 곡률이 일정한 형상으로 하면, 확산판(4)에 작용하는 변형 응력이 균등하게 분산되기 쉬워 확산판(4)의 변형 억제 효과가 높아진다.In addition, in the modification of FIG. 5A,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is planar, and the inner surface 4b of the diffuser plate 4 is a spherical curved surface. And in the cross section (FIG. 5 in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 and short side of the diffuser board 4) of FIG. 5 (a),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surface 4b becomes constant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whole range. Thus,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is made into the shape with a constant curvature, the deformation stress acting on the diffuser plate 4 will spread easily, and the deformation suppression effect of the diffuser plate 4 will become high.

도 5(b)의 변형예에서는 확산판(4)의 중앙부는 동일 두께부(t)가 됨과 동시에 확산판(4)의 가장자리부는 두께 변화부(h)가 되고 이 두께 변화부(h)가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께 변화부(h)의 표면은 곡면 뿐 아니라 평면이어도 상관 없다. 또 확산판(4)의 외면(4a)에 수직한 평면에 의한 단면에서 보아 도 5(b)의 단면선과 같이 2개의 다른 직선이 교차되어 있는 경우, 이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θ)는 20°이하가 바람직하고 10°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각도(θ)가 클수록 이들 2직선의 교차점이 이상 발광을 일으키기 쉬워 예컨대 발광 화면에 띠형무늬가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각도(θ)가 작을수록 상기 단면선 교차 부분이 매끄러운 상태에 가까워져 발광 화면에 띠형무늬가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In the modified example of FIG. 5B, the center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4 becomes the same thickness part t, and the edge portion of the diffuser plate 4 becomes the thickness change part h, and the thickness change part h is It is flat. Thus, the surface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h may not only be curved but also planar. Also, when two different straight lines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the cross section by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line of Fig. 5 (b), the angle? 20 degrees or less are preferable, 10 degrees or less are more preferable, 5 degrees or less are especially preferable. The larger the angle [theta], the more the intersections of these two straight lines are likely to cause abnormal light emission. For example, a band-shaped pattern may be seen on the light emitting screen. The smaller the angle [theta], the closer the cross-section line is to a smooth state. This is because the pattern does not appear well.

도 5(c)는 확산판(4)의 전체가 두께 변화부(h)로 되어 있으며 또 이 두께 변화부(h)는 확산판(4)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2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평면 두께 변화부(h2)와, 이 평면 두께 변화부(h2) 사이에 끼워져 배치된 곡면이며 평면 두께 변화부(h2)를 구성하는 두 평면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곡면 두께 변화부(h1)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확산판(4)의 표면은 곡면과 평면이 연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 곡률이 다른 곡면이 연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도 확산판(4)의 표면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즉 단차가 없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확산판(4) 표면 전부가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5(c)의 단면도에서의 모서리 부분(k)은 상기 각도(θ)가 비교적 큰 상태로 되어 있는데 확산판(4)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발광 품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5 (c) shows that the entirety of the diffuser plate 4 is a thickness change part h, and the thickness change part h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diffuser plate 4 and is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A planar thickness varying portion h2 consisting of two planes and a curved surface interposed between the planar thickness varying portions h2 and smoothly connecting two planes constituting the planar thickness varying portion h2.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4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curved surfaces and flat surfaces are continuous. Moreover, curved surfaces with different curvatures may be continuous. Even in this case, the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4 needs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i.e., there should be no step difference. And it is preferable that all the surfaces of the diffuser plate 4 continue smoothly. In addition, the corner portion k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5C is in a state where the angle θ is relatively large, but is outside the range of the diffusion plate 4, and thus does not affect the light emitting quality.

도 5(d)의 변형예에서는 확산판(4)의 외면(4a)은 평면임과 동시에 확산판(4)의 내면(4b)에서는 확산판(4)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두께 변화부(h)와 그 내측에 마련된 동일 두께부(t)는, 후술하는 둥근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평면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 2평면의 교차에 의해 발생하는 모서리 부분에 소정의 곡률 반경(R1)을 갖는 곡면 부분이 부여되어 있다. 즉 상기 모서리 부분에 곡면이 부여되어 있다. 이 곡면에 의해 서로 평면인 동일 두께부(t)와 두께 변화부(h)가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면에 띠형무늬가 발생하지 않고 발광 품위가 높은 직하형 백라이트(1)로 되어 있다.In the modified example of FIG. 5D,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is planar, and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h provided at the edge of the diffuser plate 4 at the inner surface 4b of the diffuser plate 4. ) And the same thickness portion t provided inside thereof are all flat except for the rounded portion described later, but the curv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R1 at the corner portion generated by the intersection of these two planes. Is given. That is, the curved surface is provided to the said edge part. By this curved surface, the same thickness part t and the thickness change part h which are planar mutually are continued smoothly. Therefore, it is the direct type | mold backlight 1 with a high luminous quality without a strip | belt-shaped pattern generate | occur | producing in a light emitting surface.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직하형 백라이트(6)의 단면도이다. 이 직하형 백라이트(6)에서는, 확산판(4)은 그 중앙쪽에서 가장자리쪽을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두께 변화부(h)를 가짐과 동시에 광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확산판(4)의 두께가 국소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국소 두께부(7)를 구비하고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6)에서는 선형의 광원(10)이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국소 두께부(7)도 이들 광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확산판(4)의 외면(4a)이 매끄럽게 연속된 곡면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확산판(4)의 내면(4b)의 단면 형상은 연속된 파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국소 두께부(7)를 마련한 결과 확산판(4)의 두께가 그 중앙쪽에서 가장자리쪽을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역변화 부분(g)이 확산판(4) 일부에 존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확산판(4)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두께 변화부(h)가 존재하면 좋으며 역변화 부분(g)이 확산판(4) 일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국소 두께부(7)를 구성하는 파형 부분의 정점 위치 및 골 사이 위치는 도 6의 단면에서 볼 때 확산판(4)의 외면(4a)을 향해 볼록한 원호(도 6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를 따라 위치되어 있으며 역변화 부분(g)에 의해서도 두께 변화부(h)를 마련한 효과가 가능한 한 저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rect backlight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direct type backlight 6, the diffuser plate 4 has a thickness change portion h whose thickness increases continuously from the center side toward the edge and at the same time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10. The local thickness part 7 in which the thickness of 4) increases locally is provided. In the direct type backlight 6, since the linear light sources 10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local thickness portions 7 are also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se light sources 10.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ion plate 4 is a smoothly continuous curved surface. As a resul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surface 4b of the diffuser plate 4 is in the shape of a continuous waveform. In this embodiment of FIG. 6, as a result of providing the local thickness portion 7, there is an inverse change portion g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diffuser plate 4 is continuously reduced from its center toward the edge. It is supposed to.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change portion h may be present in at least part of the diffusion plate 4, and the reverse change portion g may be present in a part of the diffusion plate 4. 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apex position and the valley position of the corrugated portion constituting the local thickness portion 7 are convex arcs toward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in the cross section of FIG. 6 (in FIG. 6). It is located along the dashed line), and the effect which provided the thickness change part h by the inverse change part g is not impeded as much as possible.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의 재료 특성으로는 이하가 바람직하다. 우선 흡수율이 0.5%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율이 0.5%보다 크면 백라이트의 안팎에서 습도 등의 환경이 다른 경우에 휨 등 변형의 원인이 된다. 또 선팽창계수는 1.5×10-4/℃ 이하, 나아가 0.7×10-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팽창율이 크면 하측 프레임(2) 등의 다른 부품과의 치수차이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광투과율은 20% 이상이 바람직하며 4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너무 작으면 발광의 밝기를 확보할 수 없어 발광 효율이 저하된다. 또 이 발광 효율은 80% 이하가 바람직하며 6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너무 크면 발광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하중 휨 온도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 1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휨 온도가 너무 낮으면 램프나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휨이나 변형이 쉽게 발생된다.As a material characteristic of the diffusion plate integrated frame part 3, the following is preferable. First, the water absorption is preferably at most 0.5%, preferably at most 0.3%. If the absorption rate is greater than 0.5%, it may cause deformation such as warping when the environment such as humidity is different inside and outside the backlight.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is preferably 1.5 × 10 −4 / ° C. or less, more preferably 0.7 × 10 −4 / ° C. or less. If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mensional dif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lower frame 2 becomes large. The light transmittance is preferably 20% or more, more preferably 40% or more. If it is too small, the brightness of light emission cannot be secured and the light emission efficiency is lowered. In addition, the luminous efficiency is preferably 80% or less, more preferably 65% or less. When too large, it may be difficult to ensure uniformity of light emission. 100 degreeC or more is preferable and 120 degreeC or more of load deflection temperature is more preferable. If the warpage temperature is too low, warpage or deformation is easily caus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lamp or inverter.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확산판(4)과 프레임부(5)를 동일한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 프레임부(5)가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두께, 형상 또는 재료 조성 등의 사양에 따라서는 프레임부(5)도 투광성을 갖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프레임부(5)로부터의 투과광에 의해 발광의 균일성이 저해되어 발광 품위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부(5)에 적절히 차광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프레임부(5)로부터의 광누설을 방지하고 확산판(4)의 발광을 균일화하여 발광 품위를 높일 수 있다. 이 차광수단의 예로는 차광도료의 도포, 증착 등의 의한 금속박막 처리, 또는 차광 테이프(검은 테이프 등)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하측 프레임(2)을 차광성이 높은 재료(금속이나 차광성이 높은 수지 등)으로 제작하고 또 하측 프레임(2)에 프레임부(5)의 투과광을 차광할 수 있는 차광부를 마련하는 등 하측 프레임(2)의 형상을 연구하여 프레임부(5)로부터 불필요한 투과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In the case where the diffusion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are formed of the same resin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rame portion 5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light transmittance, so that the specifications such as thickness, shape or material composition may be used. Therefore, a case where the frame portion 5 also has light transmission may occur. In this case, the uniformity of light emission may be impaired by the transmitted light from the frame portion 5, which may deteriorate the light emission quality. In this case, by appropriately providing the light shielding means in the frame portion 5, light leakage from the frame portion 5 can be prevented and the light emission of the diffusion plate 4 can be made uniform, thereby improving the light emission quality. As an example of this shading means, a metal thin film treatment such as coating or vapor deposition of a shading paint, or shading tape (black tape or the like) can be employed. In addition, the lower frame 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light shielding properties (such as a metal or a resin having high light shielding properties), and the lower frame 2 is provided with a light shielding portion capable of shielding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frame portion 5. The shape of the frame 2 may be studied to prevent unnecessary transmission of light from the frame portion 5.

또 프레임부(5)를 차광성이 높은 재료로 하고 프레임부(5)의 광투과율을 확산판(4)의 광투과율보다 높게 함으로써 프레임부(5)로부터의 여분의 투과광을 억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확산판(4)을 흰색 수지로 하고 프레임부(5)를 검은색 수지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자의 재료 조성은 착색용 색분(色粉)을 제외하고 공통의 수지로 하면 확산판(4)과 프레임부(5)의 물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확산판(4)과 프레임부(5)의 색을 각각 별도로 할 경우 2색 성형 또는 다색 성형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이 2색 성형 또는 다색 성형도 본원에서 말하는 일체 성형에 해당한다.In addition, extra transmission light from the frame part 5 can be suppressed by making the frame part 5 the material with high light shielding property, and mak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frame part 5 higher than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diffuser plate 4.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diffusion plate 4 can be made of white resin and the frame portion 5 can be made of black resin. In this case, the material composition of both materials is preferable becaus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iffusion plate 4 and the frame part 5 are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for coloring colorant. In this manner, when the colors of the diffusion plate 4 and the frame portion 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method of two-color molding or multi-color molding can be employed. This two-color molding or multi-color molding also corresponds to the integral molding referred to herein.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패널 및 광학 시트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용 직하형 백라이트(1)를 예시했는데 본 발명의 직하형 백라이트(1)는 라이트 박스나 샤워 커튼 등이어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e direct type backlight 1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us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optical sheet was illu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the direct type backlight 1 of this invention may be a light box, a shower curtain, etc.

또 본 발명의 두께 변화부(h)는 한 방향(예컨대 광원(10)의 길이 방향)으로만 두께가 변화해도 좋고 두 방향(예컨대 광원(10)의 길이 방향에 더해 광원(1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이고 또 확산판(4)의 외면(4a)에 평행한 방향)으로 두께가 변화해도 좋다.In addition, the thickness change part h of this invention may change thickness only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10), and may be changed in two directions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10 in addi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10). The thickness may be chang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d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4a of the diffuser plate 4).

확산판과 프레임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판의 변형이 억제됨과 동시에 부품수가 감소된다. 또 두께 변화부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확산판에 작용하는 자중 등의 응력이 분산되어 확산판이 잘 휘지 않는다.Since the diffusion plate and the frame portion are integrally molded, deformation of the diffusion plate is suppressed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Moreover, since the thickness change part was provided, the stress, such as self weight which acts on a diffuser plate, is disperse | distributed and a diffuser plate does not ben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직하형 백라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rect type backlight that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직하형 백라이트에서의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art of the direct backlight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직하형 백라이트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rect type backlight of FIG. 1.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a 내지 도 5d는 모두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5A to 5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modification of the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직하형 백라이트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rect type backlight that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의 직하형 백라이트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rect backligh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직하형 백라이트1 direct backlight

2 하측 프레임2 lower frame

3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3 diffuser integrated frame part

4 확산판4 diffuser plate

4a 확산판의 외면(표면)4a Outside surface (surface) of diffuser plate

4b 확산판의 내면(표면)4b inner surface (surface) of diffuser plate

5 프레임부5 frame parts

6 직하형 백라이트6 direct backlight

h 두께 변화부h thickness change

t 동일 두께부t equal thickness

10 광원10 light source

11 개구부11 opening

Claims (7)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과 확산시키는 확산판과 그 확산판 주위에 마련된 프레임부가 일체 성형된 확산판 일체 프레임부와, 상기 확산판이 배치된 개구부를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광원이 배치된 하측 프레임을 구비하고,A diffuser plate for transmitting and diffus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a diffuser plate integral frame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a frame portion provided around the diffuser plate, and a lower frame having a light source disposed therein while having an opening in which the diffuser plate is disposed; , 상기 확산판은 그 중앙쪽으로부터 가장자리쪽을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두께 변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And said diffuser plate has a thickness change portion whose thickness increases continuously from the center side toward the edg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두께 변화부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The direct type backlight of claim 1, wherein the diffusion plate is formed of only the thickness chang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그 중앙쪽에서 가장자리쪽을 향해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두께 변화부와, 두께가 일정한 동일 두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The direct type backlight of claim 1, wherein the diffusion plate is formed of a thickness change part whose thickness increases continuously from the center side toward the edge, and the same thickness part having a constant thickn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변화부가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되고 상기 동일 두께부가 상기 두께 변화부의 중앙쪽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The direct type backlight of claim 3, wherein the thickness change part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diffusion plate, and the same thickness part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thickness change par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두께는 0.5㎜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The direct type backlight of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plate is 0.5 mm or more and 5 mm or less.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표면은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The direct type backligh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is smoothly continuou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의 표면은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하형 백라이트.6. The direct type backlight of claim 5, wherein the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is smoothly continuous.
KR1020040079395A 2004-03-11 2004-10-06 Direct lighting type back light KR1006762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68674A JP4299702B2 (en) 2004-03-11 2004-03-11 Direct type backlight
JPJP-P-2004-00068674 2004-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908A true KR20050091908A (en) 2005-09-15
KR100676260B1 KR100676260B1 (en) 2007-01-30

Family

ID=3503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395A KR100676260B1 (en) 2004-03-11 2004-10-06 Direct lighting type back ligh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99702B2 (en)
KR (1) KR100676260B1 (en)
CN (1) CN100365488C (en)
TW (1) TW20053069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9272A (en) * 2011-03-09 2011-10-1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Photoresist stripper waste liquid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98020B1 (en) * 2007-10-02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7818B2 (en) * 2007-03-28 2012-10-24 京セラ株式会社 Light emitting device
CN101295087B (en) 2007-04-25 2010-09-29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LCD device
KR101353475B1 (en) * 2007-05-30 201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ght guide plate,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08300203A (en) * 2007-05-31 2008-12-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uminaire
JP4941118B2 (en) * 2007-06-13 2012-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CN101377588B (en) * 2007-08-27 2012-06-20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Backlight module and diffusing plate thereof, and planar display using the same
JP5530419B2 (en) * 2011-11-25 2014-06-25 ミネベア株式会社 Planar illumina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477856B (en) * 2012-03-01 2015-03-21 Au Optronics Corp Display device
JP6131107B2 (en) * 2013-05-30 2017-05-17 株式会社nittoh Lighting device
JP6310683B2 (en) * 2013-11-22 2018-04-11 株式会社nittoh Light guide plate, lighting device
JP6375008B2 (en) * 2017-03-28 2018-08-15 株式会社nittoh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0173B2 (en) * 1996-07-23 2002-01-2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JP3624577B2 (en) * 1996-09-27 2005-03-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Backlight device
JP2003036713A (en) * 2001-07-25 2003-02-07 International Manufacturing & Engineering Services Co Lt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CN2606373Y (en) * 2003-02-18 2004-03-10 三和企业股份有限公司 Improved structure of light conducting 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20B1 (en) * 2007-10-02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2219272A (en) * 2011-03-09 2011-10-1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Photoresist stripper waste liquid reco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260B1 (en) 2007-01-30
JP2005259496A (en) 2005-09-22
JP4299702B2 (en) 2009-07-22
TW200530697A (en) 2005-09-16
CN100365488C (en) 2008-01-30
CN1667467A (en)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782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47725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355533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76260B1 (en) Direct lighting type back light
TW200424607A (en) Back light assembly,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6597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ng surface in zigzag manner with polygonal line
WO2020077972A1 (en) Display device
WO2011129155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11435061B2 (en) Direct-type panel lamp
JP4090473B2 (en) Backlight module with light diffusing device
JP7108897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4192912A (en) Direct backlight
CN111413825A (en) Display device
US8203668B2 (en) Optical member unit,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isplay, and television receiver
TW202024730A (en) Backlight module
US10401679B2 (en) Display apparatus
JP2005285535A (en) Lighting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8845177B2 (en) Backlight module and housing unit structure thereof
US8395719B2 (en) Display device and light source block used therein
JP3960056B2 (en) Backlight for LCD
KR20200008328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20100079976A1 (en) Light source unit and display device
CN114624920A (en) Back plate,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327997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020533A1 (en) Light source unit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